KR20220088558A - 시트 진동유닛 - Google Patents

시트 진동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558A
KR20220088558A KR1020200178488A KR20200178488A KR20220088558A KR 20220088558 A KR20220088558 A KR 20220088558A KR 1020200178488 A KR1020200178488 A KR 1020200178488A KR 20200178488 A KR20200178488 A KR 20200178488A KR 20220088558 A KR20220088558 A KR 20220088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ibration
foam pad
vibration generator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336B1 (ko
Inventor
이상일
정우철
홍성우
Original Assignee
젠스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스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젠스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3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81Warning systems, e.g. the seat or seat parts vibrates to warn the passenger when facing a d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면이 시트의 폼패드 후면에 접촉되어 진동의 발생시 시트 폼패드의 후면 접촉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기; 및 시트프레임에 설치되며, 진동발생기의 후면을 지지하고, 탄성력을 구비하여 진동발생기를 시트 폼패드측으로 가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시트 진동유닛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 진동유닛 {VIBRATION UNIT FOR SEAT}
본 발명은 기존의 시트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시트의 착좌감의 훼손이 없고 기타 기능 구조물들과 간섭되지 않으며, 음악의 입체감을 구현하고 안전을 위한 경고기능을 효과적으로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시트 진동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고급화와 전동화 및 자율주행화에 따라 차량의 실내 구성 중 사운드와 시트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이 많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에 대한 상품성의 증대 역시 많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의 시트의 경우 탑승자의 착좌감에만 기능의 발전이 집중되어 있었으나, 3D, 4D 등의 사운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시트에 진동발생기를 설치하여 사운드와 함께 시트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 진동발생기들의 경우 별도의 대형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기존에 시트에 마련되었던 럼버서포트 등의 구성과 중첩되어 설치가 어려웠으며, 시트의 폼패드에 직접 매립할 경우 시트의 통풍이나 열선 구성과 중첩되어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시트의 기타 구성을 모두 유지한 상태에서 레이아웃의 간섭이 없이 진동발생기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장착에 대한 내구성도 유지하고 효과적으로 진동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기술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16-105868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시트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시트의 착좌감의 훼손이 없고 기타 기능 구조물들과 간섭되지 않으며, 음악의 입체감을 구현하고 안전을 위한 경고기능을 효과적으로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시트 진동유닛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은, 전면이 시트의 폼패드 후면에 접촉되어 진동의 발생시 시트 폼패드의 후면 접촉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기; 및 시트프레임에 설치되며, 진동발생기의 후면을 지지하고, 탄성력을 구비하여 진동발생기를 시트 폼패드측으로 가압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진동발생기는 시트백의 폼패드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진동발생기는 탑승자의 등에서 어깨측 상부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는 시트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패널 형상의 브라켓이며, 지지부는 양단이 각각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부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는 수지재질의 댐핑부를 통하여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는 플라스틱 재질이며 진동발생기의 후면이 고정되고, 양측 진동발생기의 사이 지점에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지지부에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회피홈이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상하 슬라이딩시 지지부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는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의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플랜지부는 댐핑부를 통하여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되고, 지지부는 절곡부를 통하여 탄성이 형성되어 진동발생기를 폼패드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진동발생기는 시트쿠션의 폼패드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진동발생기는 탑승자의 양측 대퇴부 외측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는 시트쿠션 폼패드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 스프링이며, 진동발생기는 서스펜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시트쿠션 폼패드의 하면으로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진동유닛에 따르면, 기존의 시트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시트의 착좌감의 훼손이 없고 기타 기능 구조물들과 간섭되지 않으며, 음악의 입체감을 구현하고 안전을 위한 경고기능을 효과적으로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이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이 시트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이 시트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
도 5는 인체의 촉감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이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이 시트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이 시트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며, 도 5는 인체의 촉감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이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은, 전면이 시트의 폼패드 후면에 접촉되어 진동의 발생시 시트 폼패드의 후면 접촉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기(300); 및 시트프레임에 설치되며, 진동발생기의 후면을 지지하고, 탄성력을 구비하여 진동발생기를 시트 폼패드측으로 가압하는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트 진동유닛은 다양한 시트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신호와 입력을 통하여 진동을 출력하는 것이다. 특히 차량의 시트에 적용될 경우 차량 시트의 4D 사운드 구현이 가능하며 안전기능의 경고를 위한 시트 햅틱을 구현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차량의 시트에는 다양한 기능들과 구성이 탑재되는데, 이러한 구성들의 변경이나 훼손이 없이 어떠한 시트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시트 진동유닛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아래와 같은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시트에 진동을 전달해 주는 제어기는 크게 두 가지 역할을 한다.
가) 음원과 연동하여 사운드 소스와 동일한 패턴으로 진동유닛이 가진하여 시트에 진동을 전달한다. 이 경우 입력 음원 소스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만 (주로 60~200Hz 구간) 추출한다. 음원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컨트롤 신호와 연동하여 진동의 세기를 조절한다.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에 맞추어, 진동 유닛을 제어 한다(차속에 연동하여 진동 세기 조절, 핸즈프리 통화 시 진동 Mute, Navi 안내 음성 시 출력 레벨 감쇄 등). 또한 음원 출력 장치의 사용자 설정에 따른 출력 상태 변경이 가능하다.
나) 제어 신호 중 차량의 안전과 관련한 경고 신호와 연동하여 진동 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선이탈, 안전밸트경고, 후방주차 경고 등 차량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안전 신호와 연동하여 즉각적인 진동 경고를 발생한다. 각 시나리오에 따라 4 채널로 구성된 출력 신호를, 좌/우 분리 경고, 상/하 분리 경고, 채널 별 시분할 경고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시트 진동유닛은 차량 시트의 폼패드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연성재질인 시트폼패드에 적용되며, 시트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식 진동 유닛이 필요하고, 진동 유닛을 시트폼패드와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요구되며, 시트 프레임으로 전달 되는 진동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흡진재가 필요하고, 연성 재질인 시트와 구동기를 밀착 시키기 위한 접착재가 필요하다.
먼저 본 발명의 시트 진동유닛은 크게 진동발생기(300)와 지지부(400)로 구성된다. 진동발생기(300)는 전면이 시트의 폼패드 후면에 접촉되어 진동의 발생시 시트 폼패드의 후면 접촉부에 진동을 전달한다. 그리고 지지부(400)는 시트프레임에 설치되며, 진동발생기의 후면을 지지하고, 탄성력을 구비하여 진동발생기를 시트 폼패드측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진동을 출력하는 것이며, 시트의 폼패드 후면에 밀착되어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해당 부분에서 탑승자에게 진동으로 자극하는 것이다. 그리고 폼패드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후면에 밀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폼패드의 변경이나 훼손이 없어 기존 시트의 열선, 통풍, 서포트 기능 등의 온전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 폼패드의 전체 두께를 활용하기 때문에 진동의 세기가 자극적이지 않고 고급스럽게 탑승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는 시트프레임에 설치되어 진동발생기를 시트 폼패드의 후면에 밀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진동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역으로 지지부를 타고 전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역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시트 폼패드가 아닌 프레임에 전달함으로써 폼패드에서는 원하는 지점에만 진동의 선택적 전달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탑승자의 원하는 신체 부위에 특정하여 진동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진동유닛은 시트백(100)과 시트쿠션(2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전체적인 설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진동발생기(300)는 시트백(100)의 폼패드(120)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발생기(300)는 시트쿠션(200)의 폼패드(220) 하면에서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인체의 촉감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남자(M)와 여자(W) 모두 어깨 부분(10)과 대퇴부 외측(30)에서 진동에 대한 거부감과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유닛 역시 해당 부분에 대응되는 지점의 폼패드 후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탑승자의 신체를 진동으로 자극하는 구동기의 장착 위치 선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초기 장착 위치 선정을 위해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20 ~ 40대 남녀 13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한 결과, 겨드랑이 부분에 구동기를 장착하여 가진 시 인체 장기에 고출력 진동을 지속적으로 노출 할 경우, 울렁거림이 유발된다는 의견이 54%를 차지하였다. 또한, 엉덩이쪽도, 자극이 강한 서혜부 근처 자극 시 간질거림과 불쾌함을 유발한다는 의견도 46%를 차지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신체 민감도를 고려하여, 해부학적으로 상대적으로 덜 통증에 민감한 신체 부위인 등 상단부와, 대퇴부 바깥쪽을 목표 장착위치로 하여 장착 위치를 선정한 것이다.
해당 신체 부위를 자극하도록 구동기 장착위치를 선정 하였을 때,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울렁거림은 크게 개선되었으며, 시트 하단부 자극에 따른 간지러움과 불편함도 대부분의 사용자 조사에서 사라진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시간 자극 시 운전자의 피로도 및 불편함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사전에 정의된 신체 위치에 구동력이 전달 될 수 있도록 착좌 모델링을 참고하여 장착 위치를 선정한 것이다.
따라서, 시트백의 경우 진동발생기는 탑승자의 등에서 어깨측 상부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쿠션의 경우 진동발생기는 탑승자의 양측 대퇴부 외측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이 시트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진동유닛이 시트백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다.
시트백(100)의 경우는 통풍기능과 열선기능 및 다양한 서포트 기능들과 헤드레스트 등이 집중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구성을 모두 회피하여 진동발생기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시스템의 음악 출력값에 연동하여 특정 힘으로 가진하는 진동 유닛을 시트 후면 폼을 훼손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트의 기존 구조를 활용하여 부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시트는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합성피혁, 천연피혁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지만, 내부 구조는 쿠션감을 제공해 주기 위한 폼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연성 재질에 가진형 구동기를 안정적으로 장착하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트 프레임을 활용하여, 안정적으로 구동기 장착이 가능한 구조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00)는 시트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패널 형상의 브라켓이며, 지지부(400)는 양단이 각각 시트백 프레임(140)의 양측 사이드부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400)는 수지재질의 댐핑부(442)를 통하여 시트백 프레임(14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진동발생기(300)의 여진이 시트프레임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시트 폼패드(120)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였으며, 여진 역시 댐핑부를 통하여 걸러줌으로써 시트프레임을 타고 시트 전체가 진동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댐핑부(442)의 경우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지지부의 부착이 가능하고, 벨크로에는 수지재질의 흡음재가 적용되어 진동의 댐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400)는 플라스틱 재질이며 진동발생기(300)의 후면이 고정되고, 양측 진동발생기(300)의 사이 지점(410)에는 복수의 리브(412)가 형성되어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400)에는 헤드레스트(H) 스테이(S)에 대응되는 지점에 회피홈(422)이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스테이(S)의 상하 슬라이딩시 지지부(400)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400)는 양단에 절곡부(430)가 형성되고 절곡부(430)의 단부에 플랜지부(440)가 형성되며, 플랜지부(440)는 댐핑부(442)를 통하여 시트백 프레임(140)에 고정되고, 지지부(400)는 절곡부(430)를 통하여 탄성이 형성되어 진동발생기(300)를 폼패드(120)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시트 프레임 구조는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L자 형태로 설계가 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해당 프레임 구조와 역으로 대칭되게 브라켓을 절곡하여 설계하면, 별도의 피스 고정이나 장치 없이 지지부의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다.
진동발생기기는 음악의 세기에 따라 일정한 세기의 진동을 발생한다. 폼패드위에 단순 접착제로만 부착한 경우는 결국 피로 내구를 이기지 못하여 접착력을 점점 상실하게 되고, 폼패드에서 이격되게 된다. 이 경우, 제품의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고장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품이 안정적으로 시트폼패드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목표한 내구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지지 구조가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장착용 지지부가 그 역할을 수행 한다.
진동발생기는 폼패드 후면의 장착면에 수직으로 상하 진동 운동을 하여 시트폼패드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장착 방향으로 일정한 수준의 강성으로 진동발생기를 지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를 취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장착 시 지지부가 파손되고 내구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제 강성을 보강해야 하는 부분에는 별도의 리브를 추가 성형하여 지지부의 지지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진동발생기와 지지부가 시트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이동 경로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이동 반경 내 구간을 절개 하여 간섭을 회피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에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회피홈이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상하 슬라이딩시 지지부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회피홈이 형성된 지점에는 만입부가 절곡되도록 하여 어더한 종류의 시트에서도 스테이에 의한 간섭이 회피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진동발생기와 지지부의 체결시 조립 오류를 방지하고 동일한 위치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홀을 만들어 정확한 장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시트 쿠션(200)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지지부(400)는 시트쿠션 폼패드(220)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 스프링(500)이며, 진동발생기(300)는 서스펜션 스프링(500)에 의해 지지되어 시트쿠션 폼패드(220)의 하면으로 가압될 수 있다.
시트쿠션에 진동발생기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시트 폼 형상과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기존의 통풍시트, 열선시트 모듈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시트쿠션 폼패드 형상은 변형하지 않는다. 그리고 탑승자의 둔부와 대퇴부 부위의 신체 민감도를 고려하여, 시트에 구조에 따른 적합한 장착 위치로써 양측 대퇴부의 외측에 대응되는 지점으로 장착 위치가 선정된다.
통상적인 차량용 시트의 쿠션 프레임은, 시트 폼패드의 쿠션감 유지와 체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서스펜션 스프링 구조가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시트폼패드 하단부와 프레임의 스프링 구조가 시트 하단부에 장착한 진동발생기를 상하로 지지하는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원하는 지점에 집중적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트 쿠션부에서 폼패드 재질의 불균질한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접착력을 높이도록 프라이머 도포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진동발생기를 접착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장착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1) 전기차/자율주행 차량 등 이동 수단 시트에서 고급 영화관에서만 즐길 수 있는 4DX와 같은 입체 음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2) 시트를 통해 탑승자에게 몸으로 느끼는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3) 고출력 진동엑츄에이터를 활용하여 진동에 따른 드라이빙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4) 차량 AVN 시스템, 차량 연동 전자기기와 시트 우퍼 진동이 연동하여 3차원 사운드 제공이 가능하다.
5) 차량의 안전 기능과 연계되어, 차선이탈, 후측방경고, 시트벨트 알람, 졸음운전 등 다양한 안전 제어 장치 동작 시 운전자에게 진동을 통한 즉각적인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6) 기존의 오디오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장착을 하면 입체 음향을 느낄 수 있는 고급 시스템으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시트백 200 : 시트쿠션
300 : 진동발생기 400 : 지지부

Claims (11)

  1. 전면이 시트의 폼패드 후면에 접촉되어 진동의 발생시 시트 폼패드의 후면 접촉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기; 및
    시트프레임에 설치되며, 진동발생기의 후면을 지지하고, 탄성력을 구비하여 진동발생기를 시트 폼패드측으로 가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시트 진동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진동발생기는 시트백의 폼패드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진동발생기는 탑승자의 등에서 어깨측 상부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부는 시트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패널 형상의 브라켓이며, 지지부는 양단이 각각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 사이드부 상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지지부는 수지재질의 댐핑부를 통하여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지지부는 플라스틱 재질이며 진동발생기의 후면이 고정되고, 양측 진동발생기의 사이 지점에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강성이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7. 청구항 4에 있어서,
    지지부에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회피홈이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상하 슬라이딩시 지지부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8. 청구항 4에 있어서,
    지지부는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의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플랜지부는 댐핑부를 통하여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되고, 지지부는 절곡부를 통하여 탄성이 형성되어 진동발생기를 폼패드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9. 청구항 1에 있어서,
    진동발생기는 시트쿠션의 폼패드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진동발생기는 탑승자의 양측 대퇴부 외측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지지부는 시트쿠션 폼패드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 스프링이며, 진동발생기는 서스펜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시트쿠션 폼패드의 하면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진동유닛.
KR1020200178488A 2020-12-18 2020-12-18 시트 진동유닛 KR10250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488A KR102504336B1 (ko) 2020-12-18 2020-12-18 시트 진동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488A KR102504336B1 (ko) 2020-12-18 2020-12-18 시트 진동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558A true KR20220088558A (ko) 2022-06-28
KR102504336B1 KR102504336B1 (ko) 2023-03-02

Family

ID=8226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488A KR102504336B1 (ko) 2020-12-18 2020-12-18 시트 진동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3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89U (ja) * 1992-06-19 1994-01-28 株式会社日本メモリアル 車載用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H0938168A (ja) * 1995-07-28 1997-02-10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振動機構を備えた車輌用シート
KR200419026Y1 (ko) * 2006-03-09 2006-06-16 김태균 음향진동 체감용 의자
WO2015076623A1 (en) * 2013-11-21 2015-05-28 Cj 4Dplex Co., Ltd Vibrating seat
JP2016105868A (ja) 2016-03-14 2016-06-1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2017214007A (ja) * 2016-06-01 2017-12-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座席装置
KR101974146B1 (ko) * 2017-06-30 2019-04-30 주식회사 다스 차량 탑승자의 피로 저감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89U (ja) * 1992-06-19 1994-01-28 株式会社日本メモリアル 車載用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H0938168A (ja) * 1995-07-28 1997-02-10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振動機構を備えた車輌用シート
KR200419026Y1 (ko) * 2006-03-09 2006-06-16 김태균 음향진동 체감용 의자
WO2015076623A1 (en) * 2013-11-21 2015-05-28 Cj 4Dplex Co., Ltd Vibrating seat
JP2016105868A (ja) 2016-03-14 2016-06-1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2017214007A (ja) * 2016-06-01 2017-12-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座席装置
KR101974146B1 (ko) * 2017-06-30 2019-04-30 주식회사 다스 차량 탑승자의 피로 저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336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5663B2 (ja) マッサージ機能及び形状調整を有する車両シート
US8342607B2 (en) Seat cushion with bubble elements
JPH0640295A (ja) 自動車シートの音響加振体支持構造
WO2016072332A1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シート
US20180065517A1 (en) Vibration module for integration into a motor vehicle seat, motor vehicle seat and a method for integrating the vibration module into a motor vehicle seat
CN109690656A (zh) 用于模拟驾驶的设备和相应方法
CN214775519U (zh) 一种汽车音乐律动振动座椅
JP2016105868A (ja) 乗物用シート
JP2014094623A (ja) 乗物用シート
KR20220088558A (ko) 시트 진동유닛
JP2007054457A (ja) 自動車シート
JP2017065643A (ja)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警報装置
JP5408563B2 (ja) エアポンプ装備自動車用シート
JP2014151836A (ja) アームレストを備えた自動車用内装部品
JP2018197035A (ja) 乗物用シート
JP6495418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1128783A (ja) シート
CN215154125U (zh) 具备集成震动功能的座椅腰托按摩系统
JP6798376B2 (ja) 着座用シート
US20200054517A1 (en) Massaging vehicle headrest
US20190077340A1 (en) Trim elements f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comprising a piezoelectric member
JP6239850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4050956A (ja) 車両用シート及び荷重検知センサ
JP2018140778A (ja) 乗物用シート
US20230211714A1 (en) Vibration Motor Assembly of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