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143A - 팔레트 용기 - Google Patents

팔레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143A
KR20220084143A KR1020227016573A KR20227016573A KR20220084143A KR 20220084143 A KR20220084143 A KR 20220084143A KR 1020227016573 A KR1020227016573 A KR 1020227016573A KR 20227016573 A KR20227016573 A KR 20227016573A KR 20220084143 A KR20220084143 A KR 20220084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cross
tubular
cross members
pallet container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티안 비스코프
마르쿠스 마이어
클라우스-피터 슈미트
Original Assignee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84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the containers being mounted on a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1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32Fram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Packag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또는 자유 유동성 충전 재료를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팔레트 용기(pallet container)(10)에 관한 것으로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얇은 벽의 강성 플라스틱 내부 용기(12)를 갖고, 지지 커버로서 플라스틱 내부 용기(12)를 타이트하게(tightly) 둘러싸고 서로 용접되는 수평 및 수직 관형 로드(tubular rods)(18, 20)를 포함하는 관형 격자 프레임(grid frame)(14)을 갖고, 그리고 플라스틱 내부 용기(12)가 위치 결정되고 관형 격자 프레임(14)이 견고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팔레트(base pallet)(16)를 갖고, 적어도 2 개의 로드 형상의 횡단 크로스 부재(transverse cross-members)(22)가 플라스틱 내부 용기(12) 위에 제공되고, 2 개의 단부가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상부 영역에서 2 개의 상호 대향 측벽에 고정된다.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상부 영역을 충격 하중 및 운송 충격의 불리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횡단 크로스 부재(22, 42)가 탄성 스프링 요소(24)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팔레트 용기
본 발명은 유체 또는 유동성 충전 재료를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팔레트 용기(pallet container)에 관한 것으로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얇은 벽의 강성 내부 용기를 갖고, 지지 커버로서 플라스틱 내부 용기를 타이트하게(tightly) 둘러싸고 서로 용접되는 수평 및 수직 관형 로드(tubular rods)를 포함하는 관형 격자 프레임(grid frame)을 갖고, 그리고 플라스틱 내부 용기가 위치 결정되고 관형 격자 프레임이 견고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팔레트(base pallet)를 갖고, 여기서 2 개의 로드 형상의 횡단 크로스 부재(transverse cross-members)가 플라스틱 내부 용기 위에 제공되고, 2 개의 단부가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서 2 개의 상호 대향 측벽에 고정된다. 로드 형상의 횡단 크로스 부재는, 특히 운송 충격 및 동적 진동이 있는 경우, 플라스틱 내부 용기 또는 중앙 나사 캡을 갖는 상부 베이스의 과도한 팽창을 방지하도록 의도되고, 또한 특히, 팔레트 용기가 바람직하지 않게 뒤집히는 경우, 플라스틱 내부 용기를 베이스 팔레트 상의 관형 격자 프레임에 유지하여 관형 격자 프레임 밖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팔레트 용기의 다중 사용을 위한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간단한 교환을 허용하기 위해, 횡단 크로스 부재는 2 개의 단부가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서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나사 고정된다. 평행하게 연장되는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를 갖는 이러한 팔레트 용기는 예를 들어 공개 공보 WO 2012085940 A2에 공지되어 있다. 공개 공보 DE 4425630 A1에 설명된 팔레트 용기에는, 정확히 4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가 제공되고, 여기서 서로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가 각각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절반을 덮는다.
팔레트 용기가 예를 들어 공격적인 화학 물질과 같은 위험한 액체 충전 재료를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경우, 이러한 팔레트 용기는 이 경우 공식 국가 검사 기관의 소위 위험물 승인을 필요로 하고, 독일에서는 이것이 BAM(Federal Institute for Materials Research and Testing)이다. 이러한 위험물 승인을 얻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팔레트 용기는 예를 들어 내부 압력 테스트, 낙하 테스트 및 진동 테스트와 같은, 다양한 적재 상태에서의 특정 구성 유형 테스트를 받는다. 진동 테스트 중에, 충전된 팔레트 용기에서 상당한 운송 하중(임팩트, 충격)이 시뮬레이션된다. 이 경우,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액체 기둥은 상당한 동적 진동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측벽에 강력한 교대 하중을 유발하고, 지지 커버로서 플라스틱 내부 용기를 타이트하게 둘러싸고 있는 관형 격자 프레임에 직접 전달된다. 팔레트 용기는 일반적으로 2 개의 더 긴 측벽 및 2 개의 더 짧은 측벽을 갖기 때문에, 2 개의 더 긴 대향 측벽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하중을 받게 되며, 따라서 맞물리는 횡단 크로스 부재에 의해 안정화된다.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상부 베이스는 또한 횡단 크로스 부재에 작용하는 상당한 동적 상향 및 하향 진동을 수행한다. 상부 베이스가 위쪽 방향으로 팽창되는 경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알려진 직선 횡단 크로스 부재는 위쪽으로 가압되고, 상당한 인장 하중이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호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관형 격자 프레임 상의 횡단 크로스 부재의 2 개의 고정 위치에 작용하여, 이에 따라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이 내측으로 당겨진다. 상부 베이스가 낮아지면, 플라스틱 내부 용기 및 관형 격자 프레임의 대향하는 측벽이 외측으로 팽창하고, 여기서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도 또한 외측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2 개의 고정 위치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는 다시 상당한 인장 하중을 받게 된다. 이러한 교대 하중은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높은 빈도로 반복되며, 팔레트 용기의 해당 구성 요소에 마모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불리한 인장 응력을 감소시키고, 횡단 크로스 부재의 고정 위치에 대한 인장 하중의 영향을 흡수하고, 이에 따라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대한 영향을 흡수하며, 인장 피크를 완화시키는 것이다.
불리한 인장 응력의 의도된 감소는 2 개의 로드 형상의 횡단 크로스 부재가 탄성 스프링 요소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를 스프링 요소로서 탄성적으로 구성한 결과, 선형 직선 방식으로 관형 격자 프레임의 반대쪽 측벽까지 연장되는 이전의 종래의 횡단 크로스 부재의 강성 연결이 제거되고, 제한된 탄성이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평면에 "통합"된다. 상부 베이스가 위쪽 방향으로 팽창되는 경우, 횡단 크로스 부재의 2 개의 고정 위치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이 감소되고,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은 내측으로 덜 당겨진다. 플라스틱 내부 용기가 측 방향으로 팽창하고 이와 관련되어 관형 격자 프레임의 대향 측벽이 외측 방향으로 팽창되는 경우,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은 횡단 크로스 부재가 탄성 스프링 요소로 구성된 결과 크게 감소되고, 동적 운송 하중이 있는 경우 충전된 팔레트 용기의 작동 안전성이 크게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스프링 요소로서 구성되는 횡단 크로스 부재가 선형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지 않고 대신에 하나 이상의 만곡된 부분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2 개의 고정 위치 사이의 횡단 크로스 부재의 실제 길이는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서 횡단 크로스 부재의 단부의 2 개의 고정 위치의 직접적 간격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적 구성의 결과, 횡단 크로스 부재는, 한편으로는, 인장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관형 격자 프레임이 외측으로 팽창될 때, 수평 길이 방향으로 가요성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측 방향 압력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상부 베이스가 위쪽 방향으로 팽창된 결과 - 수직 방향으로 가요성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횡단 크로스 부재가 2 개의 고정 위치 사이에서 선형 방식으로 연장되지 않고 대신에 만곡된 방식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비교적 큰 만곡부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탄성 스프링 요소로서의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의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큰 형상의 만곡부를 갖는 아치형으로 만곡된 형태의 결과로서 달성된다. 이 경우, 횡단 크로스 부재는 - 장착된 상태에서 보았을 때 - 수평 평면에서 구부러져 있고, 여기서 만곡부는 각각 비교적 큰 반경을 가지며, 관형 격자 프레임의 2 개의 대향하는 더 짧은 측벽의 방향으로 외측으로 지향된다. 장착된 상태에서,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는 결과적으로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상부 베이스 상에 평평하게 위치 결정되고, 여기서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의 만곡부는 서로 멀어지게 지향되도록 배향된다.
유리하게는,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는 폐쇄된 유지 러그(retaining lug)의 형태로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상부 베이스로부터 형성된 유지 장치에 의해 안내된다. 변형된 형태에서,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상부 베이스로부터 형성된 유지 장치는 또한 일 측면이 개방된 캐리어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이 개방된 이러한 캐리어 핀은 또한 아래에서 후크 러그(hook lugs)라고도 한다.
폐쇄된 유지 러그 또는 일 측면이 개방된 캐리어 핀은 스크류 캡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중앙 충전 개구부 옆에 측 방향으로 배열되고,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의 만곡부의 중심은 유지 러그 아래에 또는 캐리어 핀 아래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아치형으로 만곡된 형상부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는, 한편으로, 상부 베이스가 위쪽 방향으로 그리고 아래쪽 방향으로 팽창되는 경우 - 예를 들어 또한 내부 압력 테스트 또는 낙하 테스트의 경우에도 -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항복하고 팽창에 적응하여, 상부 베이스의 형상을 사실상 "추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스프링 요소의 형태인 횡단 크로스 부재에는 비교적 더 작은 반경을 갖는 2 개 또는 3 개의 더 작은 만곡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의 고정 위치는, 가장 큰 인장 하중을 갖는 가장 큰 팽창이 발생하고 흡수되도록 의도되는 위치들에서 - 이전의 종래의 직선 횡단 크로스 부재와 비교하여 -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의 중앙으로 더 변위된다.
진동 테스트 중에,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는 탄성 스프링으로서 역할을 한다. 진동 중에, 내부 용기의 상부 베이스는 위아래로 진동한다. 이러한 진동은 상부 및 하부 단부 지점들에서 이전의 종래의 선형 횡단 크로스 부재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의 탄성적인 굽힘을 유발하며, 이는 고정 위치 사이의 간격의 감소로 직접 변환된다. 이러한 간격의 감소의 결과로서, 상부 영역의 관형 격자 프레임은 이동할 때마다 크게 내측으로 당겨진다. 그러나, 길이 방향으로 또한 가요성인 신규한 "스프링 솔루션"을 사용하면,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에지에서 변형이 크게 감소하여 팔레트 용기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된다.
횡단 크로스 부재의 최적의 탄성 및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얻기 위해, 횡단 크로스 부재의 길이가 2 개의 고정 위치 사이의 (현에 대응되는) 직접적 간격보다 1 % 내지 5 % 더 크도록 2 개의 고정 위치 사이의 곡률선에 따라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횡단 크로스 부재의 아치형으로 만곡된 형태 및 만곡부의 크기는 이에 따라 탄성 스프링 요소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횡단 크로스 부재의 2 개의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강력하게 압축되고, 상응하는 내부 나사산(예를 들어, M8)이 압축된 부분에 직접 형성되고, 횡단 크로스 부재의 2 개의 단부가 전면에서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수평 또는 수직 관형 로드에 견고하게 나사 고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 변형예의 경우, 횡단 크로스 부재의 2 개의 단부가 각각 단부에서 2 개의 인접한 수직 관형 로드의 상부 단부에 나사 고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나사산을 갖는 나사산 형성 너트가 횡단 크로스 부재의 양 단부에서 단부면에 견고하게 삽입되고, 횡단 크로스 부재가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수평 또는 수직 관형 로드에 단부면에서 - 즉, 축 방향으로 - 견고하게 나사 고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중공 관형 프로파일로 구성된 횡단 크로스 부재에 견고하고 해제될 수 없는 방식으로 삽입되는 나사산 형성 너트는 간단히 압입되거나, 압축되거나 또는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고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 용기의 상부 영역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탄성 요소의 형태인 횡단 크로스 부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횡단 크로스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횡단 크로스 부재의 좌측 단부 영역의 확대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횡단 크로스 부재가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연결된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나사산 형성 너트가 삽입된 횡단 크로스 부재의 우측 단부 영역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8은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대한 횡단 크로스 부재의 단부측 나사 연결을 갖는 확대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플라스틱 내부 용기의 상부 베이스로부터 형성되고 횡단 크로스 부재와 맞물리는 후크 러그(캐리어 핀)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관형 격자 프레임의 상부 영역에 대한 횡단 크로스 부재의 통상적인 연결을 갖는 확대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유체 또는 유동성 충전 재료를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 용기(10)("IBC" = 중간 벌크 용기(Intermediate Bulk Container)로도 지칭됨)를 도시한다. 팔레트 용기(1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얇은 벽의 강성 플라스틱 내부 용기(12), 지지 커버로서 플라스틱 내부 용기(12)를 타이트하게 둘러싸고 서로 용접된 수평 및 수직 관형 로드(18, 20)를 포함하는 관형 격자 프레임(14), 및 플라스틱 내부 용기(12)가 위치 결정되고 관형 격자 프레임(14)이 견고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팔레트(16)를 포함한다. 2 개의 로드 형상의 횡단 크로스 부재(22)가 플라스틱 내부 용기(12) 위에 제공되고, 2 개의 단부가 상부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상호 대향하는 2 개의 측벽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아치형으로 만곡된 형태의 탄성 스프링 요소(24)의 형태이다.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특정한 구성적 실시예는, 이들이 2 개의 고정 위치(26, 28) 사이에서 직선 또는 선형이 아니고 대신에 만곡된 방식으로 구성되고 비교적 큰 만곡부(34)을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 경우, 2 개의 고정 위치(26, 28) 사이의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길이는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단부에서 2 개의 고정 위치(26, 28)의 직접적 간격보다 크도록 완전히 특이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위치(26, 28)는 각각의 경우에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2 개의 대향 측벽 사이의 최상부 수평 연장 관형 로드(18) 바로 아래에서 2 개의 수직 로드 상에서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단부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2 개의 고정 위치(26, 28) 사이의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길이는 2 개의 고정 위치(26, 28) 사이의 직접적 간격보다 1 %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3 % 더 크게 구성된다. 충전 부피가 600, 1000 또는 1200 리터이고 폭 및 길이가 동일한 치수인 표준 팔레트 용기의 경우, 2 개의 고정 위치(26, 28)의 서로에 대한 간격은 약 960 mm이고,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유효 길이는 대략 993 mm이다. 동일한 표준 팔레트 용기의 경우,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300 mm 내지 700 mm, 바람직하게는 500 mm의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의도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적 실시예는 도 2에서 확대된 절개부에서 더 잘 볼 수 있다. 이 경우,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 장착된 상태에서 - 플라스틱 내부 용기(12)의 상부 베이스(38) 상의 수평 평면에서 평평하게 위치 결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큰 만곡부(34)는 서로 멀어지게 지향되도록 배향된다.
수정된 실시예에서는, 횡단 크로스 부재(22)가 수평 평면으로 배향되고 비교적 더 작은 반경을 갖는 2 개 또는 3 개의 더 작은 만곡부를 갖는 탄성 스프링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 설치된 상태에서 - 각각 플라스틱 내부 용기(12)의 상부 베이스(38)로부터 형성된 유지 러그(40)를 통해 안내되며, 여기서 유지 러그(40)는 장착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중심에서 맞물림 방식으로 배열된다(유지 러그의 다른 형태가 도 9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스프링 요소의 형태이고 대략 500 mm의 큰 곡률 반경을 갖는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평면도이다. 횡단 크로스 부재는 원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중공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횡단 크로스 부재(22, 42)는 직경이 16 mm 내지 24 mm, 바람직하게는 20 mm이고 벽 두께가 0.8 mm 내지 1.2 mm, 바람직하게는 0.9 mm인 원형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구성 유형에 따르면, 횡단 크로스 부재(22, 42)는 또한 측면 길이가 14 mm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16 mm이고 벽 두께가 0.8 mm 내지 1.2 mm, 바람직하게는 0.9 mm인 정사각형 관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단부 영역에서 - 장착된 상태에서 보았을 때 - 비교적 작은 반경을 갖는 아래쪽으로 형성된 작은 만곡부(36) 및 위쪽으로 지향된 단부를 갖고 (도 8에서 상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전면에서 최상부의 원주방향 수평 관형 로드(18)에 대해 아래로부터 나사 고정되는 2 개의 만곡부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42)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아래쪽으로 형성된 작은 만곡부(36)를 갖는 2 개의 만곡부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42)의 일 단부가 도 5에서 부분 확대도로서 예시된다. 내부 나사산(44)(예를 들어, M8 또는 M10)을 갖는 나사산 형성 너트(30)가 2 개의 만곡부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42)의 중공 관형 프로파일의 개방 단부에 견고하게 삽입된다(도 7 참조). 해제 불가능하게 삽입된 나사산 형성 너트(30)는 단순히 압입, 압축 또는 용접될 수 있다.
나사산 형성 나사(48)가 단부에서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중공 관형 프로파일의 단부 내로 나사 고정되는 하나의 가능한 고정 방법이 도 6에서 볼 수 있다. 이 경우,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외부로부터 단부에서 - 수평 방향으로 - 상호 대향하는 2 개의 수직 관형 로드(20)의 평평화된 상부 단부에 나사 고정되는 나사산 형성 나사(48)에 의해 최상부의 수평 관형 로드(18) 바로 아래에서 고정된다.
도 7은 내부 나사산(44)을 갖는 견고하게 삽입된 나사 너트(30)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22)(하나의 큰 만곡부만을 가짐)의 중공 관형 프로파일의 개방 단부를 상응하게 도시한다. 2 개의 만곡부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42)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부에서 견고하지만 다시 해제될 수 있는 방식으로 관형 격자 프레임의 최상부의 원주방향 수평 관형 로드(18)에 대해 아래로부터 나사 고정된다.
횡단 크로스 부재(42)가 단부에서 나사 고정되고 2 개의 만곡부를 갖는 또 다른 가능한 고정 방법이 도 8에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2 개의 만곡부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42)의 2 개의 단부는 반경 방향으로 강력하게 압축되고, 여기서 대응하는 내부 나사산(46)은 압축된 부분(32)에 직접 형성된다. 이 경우, 단부 영역에 더 작은 만곡부가 있는 2 개의 만곡부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42)는 위로부터 - 수직 방향으로 - 나사 고정되는 나사산 형성 나사(48)에 의해 최상부의 수평 관형 로드(18)에 대해 아래로부터 단부에서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최상부의 수평 관형 로드(18)는 보어 구멍의 상단에서 약간 리세스되어 있고, 나사산 형성 나사(48)는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평평한 헤드, 접시형 헤드 또는 융기된 접시형 나사로 구성된다. 상응하게 형성된 내부 나사산(46)을 갖는 압축된 부분(32)은 (하나의 큰 만곡부만을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경우에도 자연스럽게 생성될 수 있다. 단부측 나사 연결은, 나사 팁이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중공 관형 프로파일 내에 완전히 위치되고, 돌출된 나사 팁을 갖는 이전의 종래의 개방형 나사 연결의 경우에 종종 발생하는 바와 같은 부상이 이에 의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덮여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전의 종래의 선형 크로스 부재는 단부에 나사를 사용하여 중심 축에 직접 어렵게 나사 고정될 수 있었다. 나사가 조여지면, 크로스 부재도 회전하므로, 이것은 조립을 위해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정은 횡단 크로스 부재가 아치형으로 만곡된 형상인 경우에 필요하지 않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 장착된 상태에서 - 각각 플라스틱 내부 용기(12)의 상부 베이스(38)로부터 형성된 유지 러그(40)를 통해 안내된다. 유지 러그(40)는 다른 실시예에서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에서 개방된 캐리어 핀(50)(후크 러그라고도 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재료를 두껍게 하여 단단하게 구성된 캐리어 핀(50)에 의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중앙에 맞물리고 고정된다.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상이하게 구성된 버전은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2 개의 단부를 상부 관형 격자 프레임(14)에 고정하는 상이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설명된 단부 고정 외에도,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단부(52)는 -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 또한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평화될 수 있고,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최상부 수평 로드 주위에 평평하게 배치되고, 최상부의 관형 로드(18) 아래에 나사산 형성 나사(54)에 의해 나사 고정될 수 있다.
조합된 형태로, 횡단 크로스 부재(22, 42)는 또한 비교적 더 작은 반경을 갖는 수직 평면으로 배향되는 2 개의 더 작은 만곡부, 및 비교적 더 작은 반경을 갖는 수평 평면으로 배향되는 1, 2 또는 3 개의 더 작은 만곡부를 갖는 탄성 스프링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성은 토크 중립 구조에 유리할 수 있다. 설명된 횡단 크로스 부재의 실시예들 및 고정 가능성들은 본 발명의 맥락에서 -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 - 간단한 방식으로 서로 조합되거나 또는 서로 교환될 수 있다.
결론: 본 발명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팰릿 용기(10)에서 횡단 크로스 부재(22, 42)를 탄성 스프링 요소로서 구성한 결과,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상부 영역은 운송 충격 및 동적 충격 하중의 불리한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충전된 팔레트 용기를 취급하는 동안 작동 안전성이 증가될 수 있다.
10 팔레트 용기
12 플라스틱 내부 용기
14 관형 격자 프레임
16 베이스 팔레트
18 수평 관형 로드 (14)
20 수직 관형 로드 (14)
22 횡단 크로스 부재
24 스프링 요소 (22)
26 고정 위치 (22)
28 반대쪽 고정 위치(22)
30 나사산 형성 너트 (22)
32 압축된 부분 (22)
34 큰 만곡부 (22)
36 작은 만곡부 (22)
38 상부 베이스 (12)
40 유지 러그 (38)
42 2 개의 만곡부를 갖는 횡단 크로스 부재
44 내부 나사산 (30)
46 내부 나사산 (32)
48 나사산 형성 나사 (30, 32)
50 후크 러그 또는 캐리어 핀 (38, 12)
52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단부
54 나사산 형성 나사 (22, 42)

Claims (18)

  1. 유체 또는 유동성 충전 재료를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한 팔레트 용기(pallet container)(10)로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얇은 벽의 강성 플라스틱 내부 용기(12)를 갖고, 지지 커버로서 상기 플라스틱 내부 용기(12)를 타이트하게(tightly) 둘러싸고 서로 용접되는 수평 및 수직 관형 로드(tubular rods)(18, 20)를 포함하는 관형 격자 프레임(grid frame)(14)을 갖고,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내부 용기(12)가 위치 결정되고 상기 관형 격자 프레임(14)이 견고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팔레트(base pallet)(16)를 갖고, 2 개의 로드 형상의 횡단 크로스 부재(transverse cross-members)(22)가 상기 플라스틱 내부 용기(12) 위에 제공되고, 2 개의 단부가 상기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상부 영역에서 2 개의 상호 대향 측벽에 고정되는, 상기 팔레트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로드 형상의 횡단 크로스 부재(22, 42)는 탄성 스프링 요소(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스프링 요소(24)로 구성된 상기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22, 24)는 선형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지 않고, 대신에 하나 이상의 만곡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 개의 고정 위치(26, 28) 사이의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길이는 상기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상기 상부 영역에서 단부의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상기 2 개의 고정 위치(26, 28)의 직접적 간격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상기 2 개의 고정 위치(26, 28) 사이에서 선형이 아니고 대신에 만곡되고 비교적 큰 만곡부(34)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 장착된 상태에서 보았을 때 - 수평 평면에서 구부러져 있고, 상기 큰 만곡부(34)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2 개의 대향하는 더 짧은 측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지향되고, 아치형으로 만곡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상기 플라스틱 내부 용기(12)의 상부 베이스(38) 상에 평평하게 위치 결정되고, 상기 2 개의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상기 큰 만곡부(34)는 서로 멀어지게 지향되도록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길이는 상기 2 개의 고정 위치(26, 28) 사이에서 상기 2 개의 고정 위치(26, 28) 사이의 직접적 간격보다 1 %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3 % 더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00, 1000 또는 1200 리터의 충전 부피를 갖는 표준 팔레트 용기에 대한 상기 2 개의 고정 위치(26, 28)의 상기 간격은 약 960 mm이고,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의 유효 길이는 약 99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00, 1000 또는 1200 리터의 충전 부피를 갖는 표준 팔레트 용기에 대한 상기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300 mm 내지 700 mm, 바람직하게는 500 mm의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상기 2 개의 단부는 강력하게 압축되고, 압축된 부분(32)에 내부 나사산(46)이 직접 형성되고,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상기 2 개의 단부는 전면에서 상기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상부 수평 또는 수직 관형 로드(18)에 견고하게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나사산(44)을 갖는 나사산 형성 너트(30)가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양 단부의 단부면에 삽입되고, 상기 단부면에서 상기 관형 격자 프레임(14)의 상부 수평 또는 수직 관형 로드(18)에 견고한 방식으로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상기 2 개의 단부는 각각의 경우에 전면에서 2 개의 인접한 수직 관형 로드(20)의 상기 상부 영역에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12. 제1항, 제2항, 제3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의 만곡부를 갖는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42)는 상기 2 개의 고정 위치(26, 28) 사이에서 선형이 아니고 대신에 상기 2 개의 단부에 비교적 작은 반경을 갖는 작은 - 장착된 상태에서 보았을 때 - 아래쪽으로 형성된 만곡부(36)를 갖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경우에 전면에서 최상부의 원주방향 상기 수평 관형 로드(18)에 대해 아래로부터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 42)는 직경이 16 mm 내지 24 mm, 바람직하게는 20 mm이고 벽 두께가 0.8 mm 내지 1.2 mm, 바람직하게는 0.9 mm인 원형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 42)는 측면 길이가 14 mm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16 mm이고 벽 두께가 0.8 mm 내지 1.2 mm, 바람직하게는 0.9 mm인 정사각형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15.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22)는 비교적 더 작은 반경을 갖는 수평 평면으로 배향되는 2 개 또는 3 개의 더 작은 만곡부를 갖는 탄성 스프링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16.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제13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크로스 부재(42)는 수직 평면으로 배향되고 비교적 더 작은 반경을 갖는 2 개의 더 작은 만곡부, 및 수평 평면으로 배향되고 비교적 더 작은 반경을 갖는 2 개 또는 3 개의 더 작은 만곡부를 갖는 탄성 스프링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 42)는 - 장착된 상태에서 - 상기 플라스틱 내부 용기(12)의 상기 상부 베이스(38)로부터 형성된 유지 러그(retaining lug)(40)를 통해 각각의 경우에 안내되고, 상기 유지 러그(40)는 상기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중심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 42)는 - 장착된 상태에서 - 상기 플라스틱 내부 용기(12)의 상기 상부 베이스(38)로부터 형성된 후크 러그(hook lug)(50) 아래에서 각각의 경우에 안내되고, 상기 후크 러그(50)는 상기 아치형으로 만곡된 횡단 크로스 부재(22, 42)의 중심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용기.
KR1020227016573A 2019-10-18 2020-10-16 팔레트 용기 KR20220084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9004316 2019-10-18
DE202019004316.0 2019-10-18
DE202019004962.2 2019-12-05
DE202019004962 2019-12-05
PCT/EP2020/000179 WO2021073767A1 (de) 2019-10-18 2020-10-16 Paletten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143A true KR20220084143A (ko) 2022-06-21

Family

ID=731726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574A KR20220084360A (ko) 2019-10-18 2020-10-16 팔레트 용기
KR1020227016573A KR20220084143A (ko) 2019-10-18 2020-10-16 팔레트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574A KR20220084360A (ko) 2019-10-18 2020-10-16 팔레트 용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20240140674A1 (ko)
EP (2) EP4045429B1 (ko)
JP (2) JP2022553001A (ko)
KR (2) KR20220084360A (ko)
CN (2) CN114514184A (ko)
AU (2) AU2020365203A1 (ko)
BR (2) BR112022006277A2 (ko)
CA (2) CA3153751A1 (ko)
ES (2) ES2956513T3 (ko)
IL (2) IL292154A (ko)
MX (2) MX2022004447A (ko)
PL (2) PL4045430T3 (ko)
WO (2) WO202107376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2045U1 (ko) * 1992-02-18 1992-09-17 Mauser-Werke Gmbh, 5040 Bruehl, De
DE4425630C2 (de) 1994-04-15 1996-09-05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KR20030015251A (ko) * 2000-05-25 2003-02-20 마우저-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팔레트 컨테이너
DE10301517B3 (de) * 2003-01-17 2004-03-11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MXPA05011494A (es) * 2003-04-25 2005-12-15 Mauser Werke Gmbh & Co Kg Recipiente de tarima.
WO2012085940A2 (en) 2010-12-24 2012-06-28 Genex Science And Technologies Pvt. Ltd. Pallet container with riveted cage
DE202013000624U1 (de) * 2012-09-21 2013-03-07 Mauser-Werke Gmbh Palettencontainer
DE102013213167A1 (de) * 2013-07-04 2015-01-22 Protechna S.A. Innenbehälter aus Kunststoff sowie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mit einem derartigen Innenbehälter
FR3037931A1 (fr) * 2015-06-26 2016-12-30 Sotralentz Packaging Conteneur a palette empilable muni d'une armature superieure de renfort
BR112018002888A2 (pt) * 2015-08-12 2019-04-30 Shuttle Gauge Ip Pty Ltd aparelho de medição de volume
DE102015016814A1 (de) * 2015-12-23 2017-06-29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102016000072B4 (de) * 2016-01-07 2018-11-29 Mauser-Werke Gmbh Palettencontainer
CA3036355A1 (en) * 2016-09-12 2018-03-15 Mauser-Werke Gmbh Pallet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6277A2 (pt) 2022-06-28
PL4045430T3 (pl) 2023-11-27
EP4045430B8 (de) 2023-09-20
JP2022552842A (ja) 2022-12-20
AU2020367194A1 (en) 2022-06-02
CA3153773A1 (en) 2021-04-22
AU2020365203A1 (en) 2022-06-02
CA3153751A1 (en) 2021-04-22
WO2021073767A1 (de) 2021-04-22
MX2022004448A (es) 2022-05-03
CN114514183A (zh) 2022-05-17
EP4045430B1 (de) 2023-06-21
MX2022004447A (es) 2022-05-02
EP4045429B1 (de) 2023-06-07
IL292154A (en) 2022-06-01
ES2955336T3 (es) 2023-11-30
WO2021073766A1 (de) 2021-04-22
IL292241A (en) 2022-06-01
EP4045430A1 (de) 2022-08-24
PL4045429T3 (pl) 2023-11-06
KR20220084360A (ko) 2022-06-21
US20240140675A1 (en) 2024-05-02
JP2022553001A (ja) 2022-12-21
ES2956513T3 (es) 2023-12-22
CN114514184A (zh) 2022-05-17
EP4045429A1 (de) 2022-08-24
US20240140674A1 (en) 2024-05-02
BR112022006301A2 (pt)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4701B2 (ja) パレットコンテナ
WO2006120977A1 (ja) 樹脂製収納容器
US8424702B2 (en) Pallet container for liquids
JP5750406B2 (ja) 圧力容器
KR20220084143A (ko) 팔레트 용기
RU2287464C2 (ru) Контейнер и узел герметизации контейнера
KR102081297B1 (ko) 교량용 교좌장치
KR101312958B1 (ko) 중량물의 진동감쇄장치
US20110210027A1 (en) Ibc with shock absorbing feet
CN208199434U (zh) 罐式集装箱及其端框结构
KR100968863B1 (ko) 교체식 충격 흡수형 장치
US20190039872A1 (en) Weighted funnel
RU2682341C2 (ru) Опорная рама в виде паллеты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х и складских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жидкостей
CN110466904A (zh) 罐式集装箱及其端框结构
JP2006524611A (ja) パレットコンテナ
KR101085103B1 (ko) 방사성물질 운반용기의 결속장치
KR101643155B1 (ko) 방폭 커버 장치
KR102550003B1 (ko) 도로시설물 프레임
KR101482949B1 (ko) 화학물질의 저장 및 운반을 위한 밀폐 용기
RU2020106086A (ru) Взрывозащитный клапан
KR102407280B1 (ko)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KR20150022108A (ko) 현가장치의 스트럿 모듈
CN205841427U (zh) 卡扣式螺栓
KR100754994B1 (ko) 관지지수단
JP2006057747A (ja) ガス容器固定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