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280B1 -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280B1
KR102407280B1 KR1020200116579A KR20200116579A KR102407280B1 KR 102407280 B1 KR102407280 B1 KR 102407280B1 KR 1020200116579 A KR1020200116579 A KR 1020200116579A KR 20200116579 A KR20200116579 A KR 20200116579A KR 102407280 B1 KR102407280 B1 KR 10240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long hole
end box
bolt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338A (ko
Inventor
김익수
황재형
정영준
양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200116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2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6Small (<1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07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된 기체의 사용 압력에 따른 변위 발생에 연동하도록 형성된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는 내부에 고압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저장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제1 장홀이 형성된 엔드박스; 일측에 상기 엔드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엔드박스의 제1 장홀과 대응되는 제2 장홀이 형성된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장홀과 상기 제2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엔드박스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Support device for high pressure gas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고압가스 저장용기를 내부에 수납하여 특정 위치로 이송 및 적재시키기 위한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기체의 사용 압력에 따른 변위 발생에 연동하도록 제공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용기가 지지장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가스의 저장용기는 수소, LNG, LN2, CNG 등의 각종 고압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가스는 밀도가 매우 낮으며, 체적 탄성률이 액체에 비해 매우 작은 특성상 한정된 공간에 많은 양의 가스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고압으로 압축해야만 한다. 따라서, 고압가스 저장용기를 제조할 때에는 누설 및 파열로 인한 대형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압력설계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고압가스 저장용기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금속 등의 라이너의 외면에 섬유 강화 수지 또는 강화 섬유를 감아 붙인 구조(TYPE3)의 복합재 저장용기와, 강화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한 용기에 강화 섬유를 감아 붙인 구조(TYPE4)의 복합재 저장용기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장치에 Type4의 복합재 저장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TYPE4의 복합재 저장용기(S)는 엔드박스(10)를 통해 지지장치(1)의 프레임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TYPE4의 복합재 저장용기(S)의 경우 사용압력으로 가스를 충/방전할 때 길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히 복합재 저장용기(S)와 엔드박스(10)를 볼팅 고정할 경우, 복합재 저장용기(S)와 고정체 사이에 전단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고정체의 파손을 야기하여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합재 저장용기(S)가 엔드박스(1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도록 하는 결합구조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구조는 가스의 충/방전시 Type4 복합재 저장용기(S)와 엔드박스(10) 사이의 변위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엔드박스(10)가 프레임부(20)에 단순히 얹혀지는 구조여서 트레일러 차량으로 복합재 저장용기(S)를 이송할 때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프레임부(20)로부터 엔드박스(10)가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987357(2019.09.30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된 기체의 사용 압력에 따른 변위 발생에 연동하도록 제공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용기가 지지장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는 내부에 고압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저장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제1 장홀이 형성된 엔드박스; 일측에 상기 엔드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엔드박스의 제1 장홀과 대응되는 제2 장홀이 형성된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장홀과 상기 제2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엔드박스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한 길이방향으로의 변위 또는 외부에서 충격이 작용할 때, 상기 엔드박스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저장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박스는 상기 프레임부와의 접촉면에 보강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 장홀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제1 장홀과 대응되는 제3 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박스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보스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홀은 상기 엔드박스의 상하부 및 양측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홀의 길이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한 길이방향으로의 변위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장홀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내부에 상기 저장용기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형성된 스키드와, 상기 스키드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엔드박스가 복수개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된 엔드박스 연결 프레임과, 상기 스키드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홀 및 제2 장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바디부와,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1 헤드부를 포함하는 제1 볼트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홀 및 제2 장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바디부와,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2 헤드부를 포함하는 제2 볼트와, 상기 제1 볼트와 상기 제2 볼트 사이에 제공되고, 내부에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연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볼트와 상기 연결너트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 헤드부로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제1 평와셔와, 상기 제1 볼트의 제1 바디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연결너트 내부에 제공되고, 진동으로 인한 상기 제1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제1 스프링와셔와, 상기 제2 볼트와 상기 연결너트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2 헤드부로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제2 평와셔와, 상기 제2 볼트의 제2 바디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연결너트 내부에 제공되고, 진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제2 스프링와셔를 더 할 수 있다.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는 내부에 고압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저장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제1 장홀이 형성된 엔드박스; 일측에 상기 엔드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엔드박스의 제1 장홀과 대응되는 제2 장홀이 형성된 프레임부; 및 상기 엔드박스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장홀과 상기 제2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엔드박스와 상기 프레임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일단이 고정된 엔드박스가 프레임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저장용기 내부로 가스를 충/방전할 때 저장용기가 길이방향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되더라도 체결부재의 파손 없이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엔드박스가 프레임부 상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트레일러 차량을 통해 지지장치에 수납된 저장용기를 이송시킬 때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엔드박스가 프레임부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엔드박스는 프레임부와 접촉하는 면에 보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강도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장치에 Type4의 복합재 저장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에 저장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있어서, 저장용기 내부로 가스가 충전되거나 지지장치에 충격이 가해질 때의 지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에 저장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100)는 엔드박스(110)와, 프레임부(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100)는 수소, LNG, LN2, CNG 등의 고압가스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용기(S)를 내부에 수납하여 특정 위치로 이송 및 적재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엔드박스(110)는 저장용기(S)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고압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S)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저장용기(S)의 길이방향으로 제1 장홀(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용기(S)는 강화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한 용기에 강화 섬유를 감아 붙인 구조를 가지며, 일측에는 외부의 가스 주입구와 연결되는 보스부(b)가 형성된 타입4(TYPE4)의 복합재 용기일 수 있다.
이러한 TYPE4의 저장용기(S)는 내부에 가스가 충전되기 전과 비교하여, 내부에 충전되는 가스로 인한 상승된 내부 압력으로 인해 길이가 대략 25 ~ 30mm 정도로 길어질 수 있다. 즉, 저장용기(S)는 저장된 가스의 사용 압력에 따라 인장 또는 압축되는 변위가 길이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엔드박스(110)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제공되고, 타측에는 저장용기(S)의 보스부(b)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110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110b)에 저장용기(S)의 보스부(b)가 삽입된 상태로 저장용기(S)의 일단을 엔드박스(110)에 볼팅 고정함으로써, 엔드박스(110)와 저장용기(S)를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엔드박스(110) 및 저장용기(S)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엔드박스(1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0b)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엔드박스(110)의 제1 장홀(110a)과 대응되는 제2 장홀(120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120)는 스키드(121)와, 연결 프레임(122), 및 고정 플레이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키드(121)는 내부에 저장용기(S)가 적재되는 적재공간(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키드(121)는 복수의 프레임 바(Bar)가 상호 연결되어 내부에 직육면체의 적재공간(121a)을 형성하고, 이러한 적재공간(121a)에 복수의 저장용기(S)가 다열 및 다행으로 적재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22)은 스키드(121)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엔드박스(110)가 복수개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용부(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프레임(122)의 수용부(120b)는 엔드박스(110)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 즉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사각의 수용부(120b)에 엔드박스(110)가 삽입되어 연결 프레임(12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3)는 저장용기(S)의 타단이 고정되는 것으로서, 스키드(121)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플레이트(123)는 연결 프레임(12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일면에 저장용기(S)의 타단이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제1 장홀(110a)과 제2 장홀(120a)을 관통하여 프레임부(120)와 엔드박스(110)를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130)가 제1 장홀(110a)과 제2 장홀(120a)을 관통하는 구조로 프레임부(120)와 엔드박스(110)를 체결함에 따라, 엔드박스(110)는 프레임부(120) 상에서 저장용기(S)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용기(S)로 가스가 충/방전되어 내부 압력 변화로 인해 길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거나 트레일러 차량을 통해 이송될 때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엔드박스(110)는 프레임부(120) 상에서 저장용기(S)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스가 충/방전되거나 트레일러 차량을 통해 이송될 때 저장용기(S)가 길이방향으로 변위되거나 진동하더라도 엔드박스(110)는 프레임부(12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고, 체결부재(130)에는 전단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체결부재(13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엔드박스(110)와 프레임부(120)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어 저장용기(S) 내부로 가스를 충/방전하거나 트레일러 차량으로 저장용기(S)를 이송할 때, 저장용기(S)의 변형 또는 지지장치(100)의 진동으로 인해 엔드박스(110)가 프레임부(120)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체결부재(130)를 통해 엔드박스(110)가 프레임부(120) 상에서 저장용기(S)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경우, 엔드박스(110)의 이탈을 방지하여 저장용기(S)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130)는 제1 장홀(110a) 및 제2 장홀(120a) 내에 구비되어 엔드박스(110)나 프레임부(120)에 구속되지 않으므로, 엔드박스(110)의 슬라이드 이동시 전단 응력으로 인해 체결부재(13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엔드박스(110)에 형성된 제1 장홀(110a)의 길이는 저장용기(S)의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한 길이방향으로의 변위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홀(110a)은 25 ~ 30mm의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제1 장홀(110a)이 25mm 미만으로 제공되는 경우 엔드박스(110)의 이동거리가 제1 장홀(110a)의 길이보다 더 커 체결부재(130)가 파손될 수 있고, 제1 장홀(110a)이 30mm를 초과하는 경우 엔드박스(110)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 장홀(110a)은 엔드박스(110)의 상하부 및 양측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고, 제2 장홀(120a)은 프레임부(120)의 상하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장홀(110a)은 4개 구비되어 엔드박스(110)의 상부와, 하부, 및 양측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고, 제2 장홀(120a)은 2개 구비되어 프레임부(1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프레임부(120)에 비하여 강도가 약한 엔드박스(110)가 슬라이딩될 때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즉, 엔드박스(110)가 지속된 마찰로 인하여 변형되는 경우 엔드박스(110)를 90°로 뒤집어 프레임부(120)에 다시 결합하면, 엔드박스(11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드박스(110)는 프레임부(120)와의 접촉면에 보강부재(140)가 제공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엔드박스(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의 패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재(140)는 4개 구비되어 엔드박스(110)의 외측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으며, 제1 장홀(110a)과 마주하는 부위에 제1 장홀(110a)과 대응되는 제3 장홀(140a)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드박스(110)의 외측면에 보강부재(140)가 제공됨에 따라 엔드박스(110)가 프레임부(120) 상에서 슬라이딩될 때, 보강부재(140)가 엔드박스(110)를 보호하여 엔드박스(110)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재(130)는 제1 볼트(131)와, 제2 볼트(132)와, 연결너트(133)와, 제1 평와셔(134)와, 제1 스프링와셔(135)와, 제2 평와셔(136), 및 제2 스프링와셔(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트(1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장홀(110a) 및 제2 장홀(120a)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바디부(31a)와, 일측이 프레임부(120)의 상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1 헤드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트(13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장홀(110a) 및 제2 장홀(120a)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바디부(32a)와, 일측이 프레임부(120)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2 헤드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너트(133)는 제1 볼트(131)와 제2 볼트(132) 사이에 제공되고, 내부에 제1 바디부(31a) 및 제2 바디부(32a)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너트(133)의 일측에 제1 볼트(131)를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너트(133)의 타측을 제1 장홀(110a) 과 제2 장홀(120a)을 통과시킨 후, 연결너트(133)의 타측에 제2 볼트(132)를 나사 결합하면 프레임부(120)에 엔드박스(110)가 체결될 수 있다.
제1 평와셔(134)는 제1 볼트(131)와 연결너트(133) 사이에 제공되어 제1 헤드부(31b)로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엔드박스(110)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제1 헤드부(31b)의 마모를 방지하여 제1 볼트(131)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스프링와셔(135)는 제1 볼트(131)의 제1 바디부(31a)를 감싸는 상태로 연결너트(133) 내부에 제공되고, 진동으로 인한 제1 볼트(13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와셔(135)는 인장 및 복원력을 통해 연결너트(133)로에 장력을 가하여 연결너트(133)로부터 제1 볼트(131)가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평와셔(136)는 제2 볼트(132)와 연결너트(133) 사이에 제공되어 제2 헤드부(32b)로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엔드박스(110)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제2 헤드부(32b)의 마모를 방지하여 제1 볼트(131)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스프링와셔(137)는 제2 볼트(132)의 제2 바디부(32a)를 감싸는 상태로 연결너트(133) 내부에 제공되고, 진동으로 인한 제2 볼트(132)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프링와셔(137)는 인장 및 복원력을 통해 연결너트(133)로에 장력을 가하여 연결너트(133)로부터 제2 볼트(132)가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 저장용기 내부로 가스가 충전되거나 지지장치에 충격이 가해질 때의 지지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100)에 대한 결합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용기의 일측은 엔드박스(110)를 통해 연결 프레임(122)에 결합되고, 타측은 고정 플레이트(123)에 결합되어 프레임부(120)의 적재공간(121a) 내에 수납 및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엔드박스(110) 및 연결 프레임(122)에는 저장용기(S)의 길이방향으로 제1 장홀(110a) 및 제2 장홀(120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부재(130)를 통해 엔드박스(110)와 연결 프레임(122)을 결합하였을 때 엔드박스(110)는 프레임부(120) 상에서 제1 장홀(110a) 및 제2 장홀(120a)의 길이만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S) 내부로 가스를 충/방전할 때 저장용기(S)의 내부 압력 변화로 인해 저장용기(S)가 길이방향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박스(110)가 프레임부(120) 상에서 저장용기(S)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와 엔드박스(110)를 사이를 결합하는 체결부재(130)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줄이고, 이는 체결부재(130)의 파손을 방지하여 용기가 지지장치(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일러 차량으로 지지장치(100)에 수납된 저장용기(S)를 이송할 때,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엔드박스(110)와 프레임부(120)는 체결부재(13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어 있으므로, 저장용기(S)의 일측이 결합된 엔드박스(110)가 프레임부(120)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엔드박스
110a: 제1 장홀
120: 프레임부
120a; 제2 장홀
121: 스키드
122: 연결 프레임
123: 고정 플레이트
130: 체결부재
131: 제1 볼트
132: 제2 볼트
133: 연결너트
134: 제1 평와셔
135: 제1 스프링와셔
136: 제2 평와셔
137: 제2 스프링와셔
140: 보강부재

Claims (13)

  1. 내부에 고압가스가 저장된 저장용기의 일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저장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제1 장홀이 형성된 엔드박스; 일측에 상기 엔드박스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엔드박스의 제1 장홀과 대응되는 제2 장홀이 형성된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장홀과 상기 제2 장홀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엔드박스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한 길이방향으로의 변위 또는 외부에서 충격이 작용할 때, 상기 엔드박스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상기 저장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엔드박스는 상기 프레임부와의 접촉면에 보강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엔드박스는 일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보스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장홀은 상기 엔드박스의 상하부 및 양측부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제2 장홀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부에 각각 제공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 장홀과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제1 장홀과 대응되는 제3 장홀이 형성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형성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홀의 길이는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한 길이방향으로의 변위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내부에 상기 저장용기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형성된 스키드와,
    상기 스키드의 일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엔드박스가 복수개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된 엔드박스 연결 프레임과,
    상기 스키드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용기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홀 및 제2 장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바디부와,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1 헤드부를 포함하는 제1 볼트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홀 및 제2 장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2 바디부와, 일측이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제2 헤드부를 포함하는 제2 볼트와,
    상기 제1 볼트와 상기 제2 볼트 사이에 제공되고, 내부에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연결너트를 포함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볼트와 상기 연결너트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 헤드부로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제1 평와셔와,
    상기 제1 볼트의 제1 바디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연결너트 내부에 제공되고, 진동으로 인한 상기 제1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제1 스프링와셔와,
    상기 제2 볼트와 상기 연결너트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2 헤드부로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제2 평와셔와,
    상기 제2 볼트의 제2 바디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연결너트 내부에 제공되고, 진동으로 인한 상기 제2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제2 스프링와셔를 더 포함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13. 삭제
KR1020200116579A 2020-09-11 2020-09-11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KR10240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79A KR102407280B1 (ko) 2020-09-11 2020-09-11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79A KR102407280B1 (ko) 2020-09-11 2020-09-11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38A KR20220034338A (ko) 2022-03-18
KR102407280B1 true KR102407280B1 (ko) 2022-06-10

Family

ID=8093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579A KR102407280B1 (ko) 2020-09-11 2020-09-11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2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6164A1 (en) * 2002-06-14 2004-03-25 Eihusen J.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fluid containment cylinder
JP5611707B2 (ja) * 2010-08-02 2014-10-22 株式会社屋根技術研究所 板状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KR102076311B1 (ko) * 2019-07-09 2020-02-11 주식회사 테크놀로지메이컬스 샤워 헤드와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체결력을 향상시킨 이중 구조 볼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25A (ko) * 2016-09-06 2018-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력 용기의 네크부 고정 구조
KR101987357B1 (ko) 2018-06-26 2019-09-30 주식회사 엔케이 수소저장용기를 포함하는 수소충전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575429B1 (ko) * 2018-10-12 2023-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6164A1 (en) * 2002-06-14 2004-03-25 Eihusen J.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fluid containment cylinder
JP5611707B2 (ja) * 2010-08-02 2014-10-22 株式会社屋根技術研究所 板状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KR102076311B1 (ko) * 2019-07-09 2020-02-11 주식회사 테크놀로지메이컬스 샤워 헤드와 상부 지지플레이트의 체결력을 향상시킨 이중 구조 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38A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7625A (zh) 集装箱等的防振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562689B (zh) 用于机动车辆的燃料罐附接结构
JP6968286B2 (ja) 高圧水素容器
KR102407280B1 (ko)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US69864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fluid containment cylinder
CN113775927A (zh) 罐保持装置
KR20210058358A (ko) 저장용기 지지장치
US11649933B2 (en) Integrated composite mounting structure for use in pressure vessels and pressure vessel systems
US202200639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materials transported in a shipping container, truck, and/or semi trailer
US6202674B1 (en) Pressure vessel bottle mount
KR101511367B1 (ko) 중대형 화물 결박(結縛)용 이동식 일방향 벨트 고정 장치
EP15137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fluid containment cylinder
US10273066B2 (en) Carton-less yarn bobbin package and carton-less yarn packing unit
KR102649392B1 (ko)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양방향 지지장치
KR102430936B1 (ko) 고압가스 저장용기용 연결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지장치
JP2005239224A (ja) コンテナ収納台
US20240140674A1 (en) Pallet container
JP7432646B2 (ja) タンクおよびタンク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828418B2 (en) Flex plate mount for high pressure tank
KR20100125627A (ko) 선박용 수직 배치형 압력탱크
US20180118020A1 (en) Storage container with improved mounting assembly
KR102100487B1 (ko) 에어 튜브 타입 파레트
KR20180088227A (ko) APV(Air Pressure Vessel) 충격완화장치
KR102018463B1 (ko) 물품 적재용 파렛트
KR200186635Y1 (ko) 와이어 권취 보빈 포장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