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429B1 -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429B1
KR102575429B1 KR1020180122057A KR20180122057A KR102575429B1 KR 102575429 B1 KR102575429 B1 KR 102575429B1 KR 1020180122057 A KR1020180122057 A KR 1020180122057A KR 20180122057 A KR20180122057 A KR 20180122057A KR 102575429 B1 KR102575429 B1 KR 102575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ressure vessel
neck mounting
neck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674A (ko
Inventor
김형기
정재한
황기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4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60K2015/03315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for hydrogen
    • B60K2015/06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고정 단부와 슬라이딩 단부를 갖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단부 측 압력 용기의 넥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제1 넥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압력 용기의 팽창량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탱크 팽창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슬라이딩부 길이를 고정부의 길이 수준으로 충분히 짧게 구현함에 따라 탱크 용적을 충분히 크게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NECK MOUNTING APPARATUS FOR FASTENING PRESSURE VESSEL OF VEHICLE}
본 발명은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용기의 넥부에서 압력 용기의 팽창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넥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넥마운팅 구조는 수소 탱크의 팽창을 안정적으로 흡수하면서도 컴팩트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압력 용기 마운팅에 많이 사용된다. 특히, 압력 용기로서 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에 적용되는 수소 탱크의 경우, 충전 시에 길이/직경 방향으로 팽창하기 때문에 양쪽 모두 고정부로 구성할 경우 탱크 내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도 1은 일반적인 넥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탱크 팽창 전후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마운팅 브라켓은 일반적으로 고정부(Fixed braket)와 슬라이딩부(Sliding braket)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측의 넥마운팅 브라켓(20)는 수소 탱크(10)의 제1 넥부에 끼워져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차체에 마운트되는 반면, 슬라이딩부 측 넥마운팅 브라켓(30)은 차체에만 마운트되어 고정되고, 제2 넥부가 슬라이딩부의 구멍을 통해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다. 이 때, 수소 탱크의 넥 마운팅 구조에서, 슬라이딩부는 탱크 팽창량을 흡수해야 하기 때문에 고정부에 비해서 길게 형성된다.
도 2에서와 같이, 탱크 팽창 시 탱크 팽창량만큼 넥부가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딩부에서는 이 탱크 팽창량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즉, 슬라이딩부의 길이(B)는 탱크 팽창을 흡수할 수 있는 구간을 감안하여, 고정부의 길이(A)에 비해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를 갖는 넥 마운팅 구조의 경우, 탱크 양측에 고정부와 슬라이딩부를 함께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탱크 길이 스펙 설정에 제한을 받는다. 즉, 슬라이딩부의 탱크 팽창량 흡수 구간을 적용할 경우, 탱크의 용적이 감소되게 된다.
특히 슬라이딩부는 고정부 대비 길이를 길게 설정하기 때문에 슬라이딩부 구성 길이는 고정부 대비 길 수 밖에 없다. 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에 있어서, 차체와 탱크 이격거리는 법규로 제한되어 있어, 탱크 길이는 차량 제원과 법규를 고려하여 한정적인 공간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충전 시 탱크 팽창량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탱크의 용적을 충분히 크게 구성할 수 있는 컴팩트한 마운팅 구조가 필요하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7225호 (2018.03.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탱크 팽창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슬라이딩부 길이를 고정부의 길이 수준으로 충분히 짧게 구현할 수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부 길이의 감소분 만큼 실질적인 탱크 길이를 증대시킴에 따라 탱크 내용적을 충분히 크게 구성할 수 있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 단부와 슬라이딩 단부를 갖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단부 측 압력 용기의 넥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제1 넥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압력 용기의 팽창량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하부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레일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딩 레일 상에서 넥마운팅 브라켓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압력 용기의 팽창을 안정적으로 흡수하면서도, 슬라이딩부 길이를 고정부의 길이 수준으로 충분히 짧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딩부 길이의 감소분 만큼 실질적인 탱크 길이를 증대시킴에 따라, 차체와 압력 용기 간의 간격은 법규 내로 유지하면서, 탱크 내용적을 충분히 크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넥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탱크 팽창 전후를 도시한 것으로, 탱크 팽창 시 슬라이딩부에서 탱크 팽창량을 흡수하는 것을 비교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대한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대한 C-C'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의 압력 용기 팽창 전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압력 용기란 연료전지 차량에서와 같이 고압의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실린더부와 양측의 돔부 및 돔부에서 연장되어 양측 단부를 형성하는 넥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압력 용기는 이러한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압력 유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압력 용기는 압력 용기의 고정단으로 기능하는 넥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라면, 실린더부 및 돔부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형태라도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와 단면도들이다. 특히, 도 4는 도 3의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대한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대한 C-C'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는 압력 용기(100)의 일측 단부가 차체 측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차체에 직접 또는 다른 매개체를 통해 마운팅되며, 타측 단부는 용기의 팽창에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와 관련,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압력 용기(100)의 좌측 단부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부분이므로 고정 단부라 하고, 도 3의 압력 용기(100) 우측 단부의 경우,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단부이므로, 슬라이딩 단부라 칭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우측 슬라이딩 단부의 제1 넥부(120)에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이 장착되고,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 자체가 압력 용기(100)의 팽창과 함께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반면, 도 3의 좌측 고정 단부의 마운팅 구조는 도 1의 좌측 마운팅 구조와 특별한 차이가 없다. 따라서, 압력 용기(100)의 제2 넥부(110)에는 제2 넥마운팅 브라켓(210)이 고정되고, 상기 제2 넥마운팅 브라켓(210)은 차체 측에 장착되어 압력 용기(100)를 지지하게 된다. 특히, 도 3의 예에서는 브라켓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 프레임(230)이 설치되고, 이 고정 브라켓 프레임(230)이 차체 측과 연결되는 베이스에 장착 고정됨에 따라 제2 넥부(110)를 제2 넥마운팅 브라켓(210)이 지지 및 고정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는 압력 용기(100)를 지지하고, 압력 용기(100)를 포함한 저장 시스템을 차량 등에 장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의 경우, 고정 브라켓 프레임(230)을 매개로 제2 넥마운팅 브라켓(210)이 베이스 측에 고정된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고정 브라켓 프레임(230) 없이, 제2 넥마운팅 브라켓(210)이 베이스 또는 차체 측에 직접 마운팅 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의 우측 슬라이딩 단부의 마운팅 구조를 살피면, 본 구현예에서는 도 1과는 달리, 제1 넥부(120)에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이 고정되고, 따라서 압력 용기(100)의 팽창 시 제1 넥부(120)와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은 우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은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장착되며, 이 슬라이딩 어셈블리에 포함된 탄성 부재(280)가 용기의 팽창량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이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현된다.
본 명세서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라 함은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이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탱크 팽창에 따라 슬라이딩 되었다가 다시 초기 위치로 복원 가능한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조립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이 장착가능하며, 베이스 면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 및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이 슬라이딩하여 이동한 후,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가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 부재(280)를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280)는 압력 용기(100) 팽창 시 압축되어 압력 용기 팽창량을 흡수하고, 압력 용기(100)가 다시 수축될 경우, 그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을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게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280)의 일측 단부에는 탄성 부재(280)를 지지하는 고정단으로 기능하는 스토퍼(270)가 가이드 레일(260) 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280)의 타측 단부는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따라서, 스토퍼(270)와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 사이에 탄성 부재(280)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상기 탄성 부재(280)는 압력 용기(100)가 팽창하지 않은 상태의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 위치, 즉, 압력 용기(100)에 고압의 유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설정하고, 팽창 후 다시 압력 용기(100)가 수축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이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세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280)는 초기 위치에서 소정의 초기 하중을 가지고 압축된 상태에서 장착되어, 초기 위치에서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 및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을 용기의 팽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에 걸리는 힘으로 인해 내구 성능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러한 초기 하중은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이 압력 용기(100)의 팽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이 팽창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2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260)은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의 이탈을 방지하고,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이 소정의 팽창 방향을 향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레일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이러한 가이드 레일(260)은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ㄷ"자 또는 "ㄱ"자 구조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260)일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은 이 가이드 레일(260)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전후진할 수 있는 모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은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이 장착되는 몸체부(251)과 상기 몸체부의 하단 양측단부로부터 가이드 레일(260) 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날개부(252)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60)은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은 가이드 레일(260)을 따라 베이스 상에서 전후진하게 된다. 다만, 도 6에서와 같은 가이드 레일(260) 및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의 전후진을 가이드할 수 있는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가 압력 용기의 팽창함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작동 메커니즘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상단 도면은 압력 용기의 팽창 전을 도시한 것이고, 하단 도면은 압력 용기의 팽창 후를 도시한 것이다. 제2 넥부(110)가 위치하는 고정 단부 측의 경우,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압력 용기(100)의 팽창 시에는 슬라이딩 단부 측에서 팽창량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팽창 후의 경우, 팽창 전에 비하여 압력 용기(100)가 팽창하면서 슬라이딩 단부 측의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 및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이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280)는 압축된다.
이후, 압력 용기(100)가 다시 수축하게 되면, 탄성 부재(280)의 복원력이 작용함에 따라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0) 및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은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기존 넥부에서 브라켓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구조에 비하여 넥부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압력 용기(100)와 그 외부, 특히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차체와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압력 용기(100)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써,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과 가이드 레일(260) 사이에, 두 부재의 습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슬리브 부재(290)를 삽입시킨 예이다. 이러한 슬리브 부재(290)는 가이드 레일(260)의 내측면 또는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레일(260)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26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슬리브 부재(290)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250)의 외표면 중 가이드 레일(260)과의 접촉면에만 슬리브 부재(29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 부재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 및 가이드 레일의 원활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슬리브 부재일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써, 탄성 부재를 고무 재질의 탄성부재(281)를 적용하거나(도 9의 (a)), 또는 허니컴 구조의 탄성 부재(282)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의 고무 재질의 탄성 부재(281)의 경우, "E"형으로 구성하여, 압축 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b)의 허니컴 구조의 탄성 부재(282)의 경우, 탄성을 갖는 허니컴 구조체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갖는 발포폼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압력 용기(100)의 넥 마운팅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장치는 제1 넥마운팅 브라켓(221)이 압력 용기(100)의 돔부를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도 3의 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위치를 압력 용기(100) 내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설계 상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10의 구현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2 넥부(110)와 제1 넥부(120)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압력 용기(100)의 내용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요소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상황들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100: 압력 용기 110: 제2 넥부
120: 제1 넥부 210: 제2 넥마운팅 브라켓
220: 제1 넥마운팅 브라켓 230: 고정 브라켓 프레임
240: 베이스 250: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
260: 가이드 레일 270: 스토퍼
280: 탄성 부재 290: 슬리브 부재

Claims (10)

  1. 고정 단부와 슬라이딩 단부를 갖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단부 측 압력 용기의 넥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제1 넥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압력 용기의 팽창량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은 압력 용기의 팽창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ㄷ"자 또는 "ㄱ"자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은 제1 넥마운팅 브라켓이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 양측 단부로부터 가이드 레일 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 부재이거나, 또는 고무 재질의 탄성 부재이거나, 또는 허니컴 구조의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압력 용기가 팽창하지 않은 초기 상태의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 위치를 초기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압력 용기가 수축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이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소정의 초기 하중을 가지고 압축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에 고정 및 지지되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 및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을 상기 압력 용기의 팽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슬리브 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넥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압력 용기의 돔부를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부 측 압력 용기의 넥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제2 넥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넥마운팅 브라켓을 고정 및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KR1020180122057A 2018-10-12 2018-10-12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KR102575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57A KR102575429B1 (ko) 2018-10-12 2018-10-12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57A KR102575429B1 (ko) 2018-10-12 2018-10-12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674A KR20200041674A (ko) 2020-04-22
KR102575429B1 true KR102575429B1 (ko) 2023-09-05

Family

ID=7047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057A KR102575429B1 (ko) 2018-10-12 2018-10-12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7189B2 (ja) * 2020-02-05 2023-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容器搭載構造
KR102407280B1 (ko) * 2020-09-11 2022-06-10 주식회사 엔케이 고압가스 저장용기의 지지장치
WO2022086036A1 (ko) * 2020-10-22 2022-04-28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KR102429512B1 (ko) * 2020-11-25 2022-08-03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기체 연료 튜브의 스키드 어셈블리
DE102021121526A1 (de) * 2021-08-19 2023-02-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ruckbehälterbaugruppe und Kraftfahrzeug
KR102602201B1 (ko) * 2021-11-24 2023-11-15 디앨 주식회사 수소가스용기 고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1236A1 (en) * 2001-05-17 2002-11-21 Sorin Joitescu Replaceable fuel system module and method
JP2005530104A (ja) 2002-06-14 2005-10-06 ジェネラル・ダイナミックス・アーマメント・アンド・テクニカル・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収容円筒体を取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
US20150122821A1 (en) 2011-12-05 2015-05-07 Blue Wave Co S.A. Iso modal container
KR101646462B1 (ko) * 2015-05-06 201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압력용기 고정장치 및 압력용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25A (ko) 2016-09-06 2018-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력 용기의 네크부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1236A1 (en) * 2001-05-17 2002-11-21 Sorin Joitescu Replaceable fuel system module and method
JP2005530104A (ja) 2002-06-14 2005-10-06 ジェネラル・ダイナミックス・アーマメント・アンド・テクニカル・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収容円筒体を取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
US20150122821A1 (en) 2011-12-05 2015-05-07 Blue Wave Co S.A. Iso modal container
KR101646462B1 (ko) * 2015-05-06 201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압력용기 고정장치 및 압력용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674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429B1 (ko) 압력 용기의 넥 마운팅 장치
KR101145232B1 (ko) 유압식 쇼크 업소버
US9352631B2 (en) Vehicle height adjust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for vehicle height adjusting device
JP4284289B2 (ja) 冷蔵庫の引出装置
US5169131A (en) Shock absorber
US10502278B2 (en) Air spring
JP2010070097A (ja) 燃料タンクの支持体
WO2016006073A1 (ja) エンジンカバー
JP2020067105A (ja) 緩衝器
EP3144168B1 (en) Deflector device
JP4933856B2 (ja) トリガー式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KR100680722B1 (ko) 연료전지차량의 후방충돌 충격흡수구조
CN115492889A (zh) 一种新型压缩缓冲结构的减震器及车辆
KR20150080408A (ko) 봄베 고정 구조
KR100807641B1 (ko) 유압댐퍼
JP2009132365A (ja) 樹脂製タンク内蔵部品の固定構造
JP4634728B2 (ja) 燃料電池用燃料容器
CN108638856B (zh) 踏板作用力模拟组件以及机动车
KR100873674B1 (ko) 쇽업쇼버
CN113090698B (zh) 阻尼器、无人机脚架和无人机
CN219618992U (zh) 车灯组件及具有其的车辆
US20240025307A1 (en) Seat rail retainer
CN213808651U (zh) 一种缓冲装置
CN216374391U (zh) 一种交通运输设备座椅储物装置
JP7008471B2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