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275A - 자동화처리기 - Google Patents

자동화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275A
KR20220076275A KR1020210079068A KR20210079068A KR20220076275A KR 20220076275 A KR20220076275 A KR 20220076275A KR 1020210079068 A KR1020210079068 A KR 1020210079068A KR 20210079068 A KR20210079068 A KR 20210079068A KR 20220076275 A KR20220076275 A KR 2022007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
rotation drive
drive set
automatic rota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훙-우 리
용-린 첸
칭-산 왕
완-팅 홍
추안-치앙 창
치-리앙 리우
Original Assignee
애자일 윙 스마트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9142001A external-priority patent/TWI749917B/zh
Priority claimed from TW109141998A external-priority patent/TW202222496A/zh
Priority claimed from TW109216434U external-priority patent/TWM609250U/zh
Application filed by 애자일 윙 스마트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애자일 윙 스마트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1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step by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31Work holder 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6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movement
    • B23Q1/66Worktables interchangeably movable into operating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3/00Equipment for use with tools or cutters when not in operation, e.g. protectors for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8Multiple gripp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B24B31/033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having several rotating or tumbling drums with paralle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2Accessories; Protective equipment or safety devices; Installations for exhaustion of dust or for sound absorpt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covered by group B24B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34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5Feeding or manipul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grin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자동화처리기는 본체, 재료거치부, 작업세트, 저장장치, 재료거치기구, 연마통 세트, 자동회전 구동세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상기 재료거치부는 복수 개의 작업물을 거치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재료거치기구는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작업물들을 휴대하여 상기 재료거치부까지 이동시키며, 상기 작업세트는 상기 재료거치부로부터 상기 작업물을 휴대하여 상기 연마통 세트까지 이동시켜 가공을 진행할 수 있게 하고, 그중 상기 연마통 세트는 회전판과 복수 개의 연마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마통은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그중 하나의 연마통을 회전시킴으로서 가공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해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자동화 가공 제조공정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생산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화처리기{Automatic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화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제조 과정에서 호빙, 드릴 등과 같은 작업을 진행하는 성형 절삭 공구는 패시베이션, 연모, 광택내기 등과 같은 공정을 거치면서 전술된 절삭 공구뿐만 아니라 작업물에 대해서도 표면 연마 혹은 광택내기 등을 하는 것이 매우 흔한 일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광택내기 작업은 보통 재료를 집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광택내기 작업을 진행해야 할 작업물을 집어 들어 연마 과립이 가득 찬 용기 내로 집어넣고 용기 혹은 클램프를 이동 회전시키면서 작업물이 연마 과립의 영향을 받아 연마가 되거나 광택이 나게하고 있다.
그중 서로 다른 작업물에 대하여 보통 서로 다른 규격이나 종류의 연마 과립을 사용하여 연마 작업을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실제 작업 공정에서는 흔히 서로 다른 규격의 연마 과립이 가득찬 복수 개의 연마통을 사전에 준비해 두고 사용하고 있다. 만약 연마 과립을 변경해야할 경우, 연마통을 회전기구 상에서 꺼내고 난 후, 다른 연마통을 회전기구 상에 배치하여야만 연마를 진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마통을 변경하는 작업은 모두 인공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많이 소모되고 그로 인해 연마 제조 공정이 전자동으로 진행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 중, 클램프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물만 집을 수 있으며 또한 여러 개의 클램프를 설치해 둔 경우에도 반드시 순서에 따라 작업물 집기 작업을 진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비교적 낮았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작업물은 보통 서로 다른 규격의 연마 과립을 사용하여 광택내기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물의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항이지만 이렇게 별도로 작업물의 사이즈를 측량하는 것 역시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어 개선이 필요한 점이 되고 있다. 다른 한 편 작업물을 적합한 상태로 거치해 두지 않으면 작업물이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여 가공 작업의 원활도를 방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으며 제품의 양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외에도 가공이 필요한 작업물을 가공기로 공급하는 기술의 경우, 로봇암과 작업물저장장치를 이용해 이러한 작업을 완성할 수 있다. 즉 작업물저장장치에서 작업물을 공급하고 다시 로봇암을 통해 작업물을 집어 들어 해당 작업물을 가공기에 탑재하여 가공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종래의 작업물저장장치는 TWI632980 등과 같은 특허에 게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해 볼 수 있다.
상술한 특허는 비록 작업물저장장치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상기 내용 중 탑재 트레이부는 자석부를 이용하여 재료탑재 트레이를 흡착시켜 이동시킴으로서 재료탑재 트레이를 작업물저장창치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재료탑재 트레이와 탑재 트레이부 사이에 서로 대응되는 자석부를 설치해야만 한다. 그 결과 부품과 설비 단가가 상승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재료탑재 트레이 구조, 사용 규격 및 환경 조건이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 다음은 재료탑재 트레이가 작업물저장장치에서 탑재 트레이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미끌리며 흔들릴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동화 가공 과정에서 불안정한 요인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상술한 연마 가공 과정을 거치면 작업물의 표면에 보통 연마 과립이 묻게 되며 그 결과 완제품의 표면이 지저분해질 수 있다. 만약 인공으로 각 작업물의 표면에 대해 청결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시간과 인력이 소모될 수밖에 없고, 만약 팔레트 상에 놓인 복수 개의 가공 완제품에 대해 직접적으로 청결 작업을 하게 되면 철저한 청결 작업을 완성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물 가공 작업에 여전히 불안정한 요인이 존재하게 된다.
다른 한 편, 만약 로봇암 등과 같은 공구로 작업물을 들어 연마통에 삽입하게 되면 고정 위치에 있는 연마 과립만이 작업물의 이동과 움직임의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하단 층에 위치하는 연마 과립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부 힘이 결핍되어지는 상황 하에서 거의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그 결과 일부 위치의 연마 과립이 쉽게 뭉치거나 뭉게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일부 위치의 연마 과립은 이와 반대로 더욱 빠르게 닳아 소모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패시베이션 작업의 패시베이션 효과가 균일하게 일치하고 안정적이지 못해 실제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자동화처리기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패시베이션 가공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고 전자동화 제조 공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자동화처리기를 제공하며, 상기 자동화처리기는 본체, 재료거치부, 작업세트, 저장장치, 재료거치기구, 연마통 세트, 자동회전 구동세트를 갖추고 있다.
상기 재료거치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재료거치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거치영역들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재료거치영역에는 작업물이 거치된다. 상기 작업세트는 본체에 설치되며 회전기구와 재료픽업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재료픽업기구를 구동시켜 제1회전축을 감돌며 재료픽업위치와 작업위치 사이에서 추 진자 운동을 하게 하고, 상기 재료픽업기구는 복수 개의 재료픽업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픽업부들은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때 재료픽업부들이 배열되는 위치는 상기 재료거치영역이 설치되는 위치와 서로 대응되며, 상기 재료픽업기구들이 추 진자 운동을 통해 상기 재료픽업위치까지 왔을 때, 상기 각각의 재료픽업부들이 상기 재료거치영역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재료거치영역들에 거치된 작업물을 동시에 픽업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해당 작업물들을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장치는 복수 개의 탑재대와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최소한 두 개의 탑재대가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탑재대들에는 팔레트가 탑재되며, 상기 팔레트들은 복수 개의 작업물을 탑재할 수 있고, 상기 이동장치는 이동대, 수평 구동세트 및 수직 구동세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이동대는 최소한 하나의 탑재대에서 상기 탑재대에 탑재된 팔레트를 받아들이거나 되돌려 놓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수평 구동세트와 상기 수직 구동세트는 둘 중 하나의 세트가 다른 하나의 세트와 이동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대를 이끌어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재료거치기구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이동가능한 휴대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휴대기구는 상기 이동대 상의 팔레트 상에 거치된 작업물을 휴대하여 상기 재료거치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어서 상기 작업물들을 각각 상기 재료거치영역에 거치하게 된다.
상기 연마통 세트는 받침대, 회전판, 복수 개의 연마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판은 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통들은 상기 회전판의 주위를 감돌며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의 표면에 설치되고, 각각의 연마통들의 바닥부에는 제1연결구조를 갖추고 있다.
상기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 상에 상기 연마통들과 서로 대응되는 한 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회전판을 등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동위치와 초기위치 사이에서 승강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제2연결구조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2연결구조와 상기 제1연결구조는 서로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마통과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회전하지 않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게 해 준다.
그중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회전할 때 상기 연마통을 구동시켜 상기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연마통이 상기 자동회전 구동세트의 구동 회전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자동 재료 공급이 가능한 저장장치에서 패시베이션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세트까지 전자동 작업 체인을 형성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인력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 작업의 양률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자동화처리기를 제공하며, 상기 자동화처리기는 본체, 재료거치부, 작업세트, 저장장치, 재료거치기구, 연마통 세트, 자동회전 구동세트를 갖추고 있다.
상기 재료거치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재료거치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거치영역들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재료거치영역에는 작업물이 거치된다. 상기 작업세트는 본체에 설치되며 회전기구와 재료픽업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재료픽업기구를 구동시켜 제1회전축을 감돌며 재료픽업위치와 작업위치 사이에서 추 진자 운동을 하게 하고, 상기 재료픽업기구는 복수 개의 재료픽업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픽업부들은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때 재료픽업부들이 배열되는 위치는 상기 재료거치영역이 설치되는 위치와 서로 대응되며, 상기 재료픽업기구들이 추 진자 운동을 통해 상기 재료픽업위치까지 왔을 때, 상기 각각의 재료픽업부들이 상기 재료거치영역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재료거치영역들에 거치된 작업물을 동시에 픽업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작업물들을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장치는 복수 개의 탑재대와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최소한 두 개의 탑재대가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탑재대들에는 팔레트가 탑재되며, 상기 팔레트들은 복수 개의 작업물을 탑재할 수 있고, 상기 이동장치는 이동대, 수평 구동세트 및 수직 구동세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이동대는 최소한 하나의 탑재대에서 상기 탑재대에 탑재된 팔레트를 받아들이거나 되돌려 놓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수평 구동세트와 상기 수직 구동세트는 둘 중 하나의 세트가 다른 하나의 세트와 이동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대를 이끌어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재료거치기구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이동가능한 휴대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휴대기구는 상기 이동대 상의 팔레트 상에 거치된 작업물을 휴대하여 상기 재료거치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어서 상기 작업물들을 각각 상기 재료거치영역에 거치하게 된다.
상기 연마통 세트는 받침대, 회전판, 복수 개의 연마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판은 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통들은 상기 회전판의 주위를 감돌며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의 표면에 설치되고, 각각의 연마통들의 바닥부에는 제1연결구조를 갖추고 있다.
상기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 상에 상기 연마통들과 서로 대응되는 한 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회전판을 등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동위치와 초기위치 사이에서 승강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제2연결구조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2연결구조와 상기 제1연결구조는 서로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마통과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회전하지 않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게 해 준다.
그중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회전할 때 상기 연마통을 구동시켜 상기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연마통이 상기 자동회전 구동세트의 구동 회전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화처리기는 저장장치, 재료거치기구, 재료픽업부, 연마통의 교체, 작업물의 창결, 연마과립의 과립 뒤집기 작업부터 마지막 완제품을 저장장치에 되돌려 놓기까지의 제조 과정을 전자동화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수 있고, 또한 한 번에 여러 개의 작업물에 대해 가공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가공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입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재료거치부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작업세트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연마통 세트의 입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연마통 세트의 부분 입체 분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연마통과 회전판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9A는 본 발명의 연마통의 다른 한 각도에서 본 입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연마통 세트와 자동회전 구동세트의 단면도이다.
도11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연마통 세트의 입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연마통 세트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연마통 세트의 입체 단면도이다.
도17과 도18은 본 발명의 연마과립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입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저장장치의 부분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신청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1과 도21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은 자동화처리기를 제공하며, 상기 자동화처리기는 본체(10), 재료거치부(20), 작업세트(30), 저장장치(40), 재료거치기구(50), 연마통 세트(60), 자동회전 구동세트(70), 탐지세트와 연마과립장치(9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재료거치부(2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재료거치영역(2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거치영역(21)들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재료거치영역(21)에는 작업물(300)이 거치된다. 상기 작업세트(30)는 본체(10)에 설치되며 회전기구(31)와 재료픽업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기구(31)는 상기 재료픽업기구를 구동시켜 제1회전축을 감돌며 재료픽업위치와 작업위치 사이에서 추 진자 운동을 하게 하고, 상기 재료픽업기구는 복수 개의 재료픽업부(3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픽업부(32)들은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때 재료픽업부들이 배열되는 위치는 상기 재료거치영역(21)이 설치되는 위치와 서로 대응되며, 상기 재료픽업기구들이 추 진자 운동을 통해 상기 재료픽업위치까지 왔을 때, 상기 각각의 재료픽업부(32)들이 상기 재료거치영역(21)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재료거치영역들(21)에 거치된 작업물(300)을 동시에 픽업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작업물들을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장치(40)는 복수 개의 탑재대(41, 41')와 이동장치(4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탑재대는 상기 본체(10)의 한 측에 설치되어 한 열의 제1탑재대(41)와 다른 한 열의 제2탑재대(41')로 각각 나뉘게 되며, 상기 두 열의 탑재대가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탑재대(41, 41')들에는 팔레트(200)가 탑재되며, 상기 팔레트(200)들은 복수 개의 작업물(300)을 탑재할 수 있고, 상기 이동장치(42)는 이동대(421), 수평 구동세트(422) 및 수직 구동세트(423)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비교적 바람직한 상태는 탐지장치(424)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대(421)는 최소한 하나의 탑재대(41, 41')에서 상기 탑재대(41, 41')에 탑재된 팔레트(200)를 받아들이거나 되돌려 놓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수평 구동세트(422)와 상기 수직 구동세트(423)는 둘 중 하나의 세트가 다른 하나의 세트와 이동대(421)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대(421)를 이끌어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해 보면, 상기 탑재대(41)는 돌파구(411)를 갖추고 있고, 상기 돌파구(411)는 수직으로 탑재대(4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탑재대(41) 중의 측변으로 뻗어 나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파구(411)의 개방되어진 한 측은 이동장치(42)를 향해 있어 상기 팔레트(200)가 돌파구에 걸쳐지는 형태로 놓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장치(42)는 제1탑재대(41)와 제2탑재대(41') 사이에 위치하고, 제1탑재대(41)의 돌파구(411)와 제2탑재대(41')의 돌파구(411')는 서로 대응되어 있다. 상기 이동대(421)의 형상은 상기 탑재대(41,41')의 형상에 맞춰 형성하여 이동 구동력을 받을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임의로 지정된 탑재대에서 팔레트(200)를 떠받들어 상기 팔레트(200)가 이동대(421)에 탑재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이동대(421)에 탑재된 팔레트(200)를 탑재대(41, 41')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면, 상기 이동대(421)는 받침대(4211), 제1확장 암(4212)과 제2확장 암(421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확장 암(4212)은 받침대(4211)에 고정 설치되어 제1탑재대(41)를 향해 수평으로 뻗어나와 있으며, 상기 제2확장 암(4213)은 받침대(4211)에 고정 설치되어 제2탑재대(41')를 향해 수평으로 뻗어 나와 있다. 상기 제1확장 암(4212)과 상기 제2확장 암(4213)은 넓이는 대략 탑재대(41,41')의 돌파구(411,411')보다 작기 때문에 제1확장 암(4212)과 제2확장 암(4213)이 각각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돌파구(411,411')를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 구동세트(422)는 이동대(421)에 연결되어 이동대(421)를 이끌어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면, 상기 수평 구동세트(422)는 하나에서 다수 개의 수평으로 뻗어나온 슬라이딩 레일(4221) 및 수평 작동기(422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이동대(421)의 받침대(4211)는 슬라이딩 레일(4221)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며, 상기 수평 작동기(4222)는 모터 나사세트 등과 같은 부품을 사용하여 이동대(421)의 받침대(4211)를 이끌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재료거치기구(5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이동가능한 휴대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휴대기구는 상기 이동대(421) 상의 팔레트(200) 상에 거치된 작업물(300)을 휴대하여 상기 재료거치부(20)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어서 상기 작업물들(300)을 각각 상기 재료거치영역(21)에 거치하게 된다.
상기 연마통 세트(60)는 받침대(61), 회전판(62), 복수 개의 연마통(63)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판(62)은 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받침대(61)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통(63)들은 상기 회전판(62)의 주위를 감돌며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62)의 표면에 설치되고, 각각의 연마통(63)들의 바닥부에는 제1연결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비교적 바람직한 상태는 상기 연마통 세트는 청결통(64)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청결통(64)과 상기 연마통(63)들은 함께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62) 상에 설치되며, 상기 청결통(64)은 통본체(61), 공기공급기구(62)와 회수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공기공급기구(62)는 상기 통본체(61) 내로 연통되어 상기 통본체(61) 내부 공기분사구와 대응되고, 상기 회수기구는 상기 통본체(61) 내로 연통되어 상기 통본체(61) 내부의 기체와 상기 작업물(300)에서 떨어져 나온 과립을 상기 회수기구를 통해 상기 통본체(61)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면, 상기 청결통(64)의 공기공급기구(642)와 상기 회수기구는 각각 상기 통본체(641)의 반지름 방향에 서로 대응되는 양 측에 연결되며, 비교적 바람직한 상태는 상기 공기공급기구(642)가 상기 통본체(641)에서 상기 축심선X와 비교적 멀리 떨어진 한 끝에 연결되고, 상기 회수기구는 상기 통본체(641)에서 상기 축심선X와 비교적 가까운 한 끝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회수기구가 상기 회전판(62)의 축심부까지 뻗어 들어갈 수 있어 기타 다른 회수 기구들과 연결하기에 편리하게 된다. 그러나 기타 구현 가능한 실시예 내에서 상기 회수기구는 역시 상기 회전판에 직접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면, 상기 회수기구는 회수파이프(643), 구동원(도식에는 미표시)과 배출파이프(644)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청결통(64)의 통본체(641)에서 상기 축심선X와 비교적 가까운 한 끝의 벽면에는 배출구(6411)가 개설되어 있으며, 상기 회수파이프(643)의 한 끝은 상기 배출구(6411)와 연통되어 상기 회수파이프(643)가 상기 회전판(6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해 주고, 상기 배출파이프(644)는 상기 축심선X를 감돌며 서로 대응하여 회전하는 형태로 상기 회수파이트(643)의 다른 끝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원은 상기 회수파이프(643)와 상기 배출파이프(644) 중 최소한 둘 중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통본체(641) 내의 공기가 상기 회수파이프(643)와 상기 배출파이프(644)로 흡입되어진 후 다시 상기 배출파이프(644)와 서로 대응되어 있는 상기 회수파이프(643)의 다른 한 끝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배출파이프(644)는 서로 대응되어지는 상기 회수파이프(643)의 다른 한 끝과 서로 연결된 후, 더 나아가 여과 회수 기구(도면에는 미표시)에 연결됨으로써 고정 과립을 회수하여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내용을 이어서 설명해 보면, 상기 회전판(62)이 회전하면 상기 회수파이프(643)는 상기 회전판(62)을 따라 함께 추 진자 운동을 하게 되지만 상기 배출파이프(33) 및 상기 여과 회수 기구는 그대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패시베이션 작업기의 고정 부품이 된다.
비교적 바람직한 상태는 상기 회수파이프(643)가 입구(6431)와 출구(6432)를 갖추고 있고, 상기 입구(6431)는 상기 회전판(62)의 반지름 방향을 따라 개설되고, 상기 출구(6432)는 아래를 향해 상기 축심선X 방향을 따라 개설된다. 상기 회수파이프(643)의 수직단면 면적은 상기 입구(6431)에서 상기 출구(6432) 방향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수파이프(643)가 대략 깔때기 형상으로 완성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상기 회수기구는 확장파이프(645)와 최소한 하나의 베어링(646)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확장파이프(645)는 상기 회수파이프(643)의 출구(6432)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파이프(645)는 상기 배출파이프(644)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베어링(646)는 상기 확장파이프(645)와 상기 회수파이프(643) 사이에 끼임 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확장파이프(645)가 상기 회수파이프(643)와 서로 대응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립과 해체에 용이하도록 상기 회전판(62)의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천공(623)을 개설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623)부에는 고리형상의 받침대(624)가 설치된다. 상기 확장파이프(645)의 상단부는 상기 받침대(624)를 관통한 후, 상기 회수파이프(643)의 출구 주위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확장파이프(645)에는 또한 반지름 방향으로 밖을 향해 뻗어나온 돌출테두리(6451)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테두리(6451)의 상표면은 상기 받침대(624)의 하표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624)가 상기회수파이프(643)와 상기 확장파이프(645)에 의해 그 사이에 끼어 설치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동회전 구동세트(70)는 상기 받침대(61)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62) 상에 상기 연마통(63)들과 서로 대응되는 한 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는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는 상기 회전판(62)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회전판(62)을 등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동위치와 초기위치 사이에서 승강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는 제2연결구조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2연결구조와 상기 제1연결구조는 서로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마통(63)과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서로 대응되어 회전하지 않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탐지세트는 제1탐지기(81), 제2탐지기(82), 제3탐지기(83), 높이탐지부(84)와 각도탐지부(85)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탐지기(81), 상기 제2탐지기(82)와 상기 제3탐지기(83)는 각각 상기 받침대(61)에 설치되고, 상기 제1탐지기(81)의 높이 위치는 상기 제2탐지기(82)보다 낮으며, 상기 높이탐지부(84)와 상기 각도탐지부(85)는 각각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 상에 설치되어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를 따라 승강하게 되며, 상기 높이탐지부(84)는 상기 제1탐지기(81)와 상기 제2탐지기(82)와 서로 대응되며, 상기 각도탐지부(85)는 상기 제3탐지기(83)와 서로 대응된다. 상기 각도탐지부(85)는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의 한 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도탐지부(85)는 슬롯(851)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탐지기(83) 역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의 한 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높이탐지부(84)의 높이와 상기 제1탐지기(81)가 서로 대응되어 상기 제1탐지기(81)의 탐지를 받게 된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높이탐지부(84)의 높이와 상기 제2탐지기(82)가 서로 대응되어 상기 제2탐지기(82)의 탐지를 받게 된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각도탐지부(85)까지 회전되어 상기 제3탐지기(83)의 탐지 범위 내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각도탐지부(85)는 상기 제3탐지기(83)의 탐지를 받게 된다.
상기 연마과립장치(90)는 연마과립부품적재기구(91)와 최소한 하나의 연마과립부품(9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마과립부품적재기구(91)는 제2추축(911)과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91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912)는 상기 제2추축(911)에 연결되어 상기 제2추축(911)을 축으로 하여 수납위치와 연마과립위치 사이에서 추 진자 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연마과립부품(92)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912)에 의해 탑재되며, 상기 연마과립부품(92)은 나선형 나이프(92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나선형 나이프(921)는 수직 방향을 감돌며 나선형으로 뻗어 나와 있다. 상기 재료픽업기구가 나이프 픽업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912)가 상기 연마과립위치에 위치할 때, 그중 상기 재료픽업부(32)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912)에서 최소한 하나의 연마과립부품(92)을 픽업할 수 있으며, 그중 상기 나이프 픽업위치는 상기 재료픽업위치와 상기 작업위치 사이가 된다.
그중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최소한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회전 시 상기 연마통(63)을 구동시켜 상기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는 서로 분리되어 상기 연마통(63)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의 회전 구동력을 받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 상기 회전판(62)은 기판(621)과 구동기구(62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판(621)의 표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감돌며 복수 개의 개공(6211)이 설치되고, 상기 연마통(63)들은 각각 상기 개공(6211)들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공(6211)들을 가려서 덮게 되고, 상기 구동기구(622)는 상기 기판(621)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기판(621)을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기구(622)는 회전모터(6221)와 상기 회전모터(6221)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6221)의 회전 구동력을 받는 전동부품(622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판(621) 바닥부 주변테두리 부위에는 피동체인(6212)이 설치되고, 상기 전동부품(6222)이 상기 피동체인(6212)와 기어 맞물림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6221)가 상기 전동부품(6222)을 구동시켜 회전하게 할 때, 상기 피동체인(6212)이 상기 기판(621)을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비교적 바람직한 상태는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조립부품(1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조립부품(100)은 승강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받침대(61)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62)에는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구멍(6213)이 설치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조립부품(100)은 선택적 상승을 통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구멍(6213)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회전판(6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에 관하여 본 실시예 내에서는 상기 각 연마통(63)의 제1연결구조는 최소한 하나의 삽입홈(632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의 제2연결구조는 최소한 하나의 돌출된 삽입조각(7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삽입홈(6321)과 최소한 하나의 삽입조각(71)은 각각 상기 자동회전축으로부터 미리 설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삽입조각(71)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삽입홈(6321) 내로 삽입되어 들어가며, 이를 통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연마통(63)을 이끌어 상기 자동회전축을 감돌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한 편, 상기 연마통이 상기 회전판까지 일정한 거리까지 밀려서 올라간 후 회전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판(62)의 표면의 이심부에는 복수 개의 제1위치제한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각 연마통(63)의 바닥부 이심부에는 제2위치제한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각 연마통(63)의 제2위치제한구조와 상기 제1위치제한구조 위치가 서로 대응될 때 서로 결합되며, 이를 통해 상기 각 제1위치제한구조와 상기 제2위치제한구조가 상기 회전판(62) 표면 방향 상에 평행을 유지하며 서로 간섭을 하게 된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연마통(63)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에 의해 꼭대기로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위치제한구조와 상기 제2위치제한구조는 상기 회전판(62) 표면 방향과 서로 평행을 유지하며 서로 간섭을 하지 않게 되고, 더 나아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연마통(63)을 이끌어 상기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함께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70)가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위치제한구조와 상기 제2위치제한구조는 상기 회전판(62) 표면 방향과 서로 평행을 유지하며 서로 간섭을 하게 된다.
상기 연마통의 상세 구조에 관하여 본 실시예 내에서는 상기 각 연마통(63)은 통본체(631)와 판체(63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판체(632)는 상기 통본체(631)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상기 판체(632)는 서로 대응되어 평행을 이루는 두 개의 측변(632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두 개의 측변(6322)은 상기 제2위치제한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각 제1위치제한구조는 각격을 두고 평행으로 설치된 두 개의 돌출라인(6214)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돌출라인(6214) 사이는 일정한 공간이 에워싸여져 있다. 상기 두 개의 돌출라인(6214) 사이의 거리는 상기 판체(632)의 상기 두 개의 측변(6322) 사이의 거리와 서로 대응되며, 이를 통해 상기 판체(632)가 상기 두 개의 측변(6322)과 서로 대응되는 상기 두 개의 돌출라인(6214)이 상기 상기 위치고정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비교적 바람직한 상태는 상기 각 제1위치제한구조는 전방 저지 돌출라인(621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저지 돌출라인은 상기 두 개의 돌출라인(62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판체(632)의 앞변(6323)과 서로 대응된다.
이외에도, 상기 각 재료거치영역(21)은 고정공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공구는 이동가능한 복수 개의 클램프(2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211)들은 에워싸는 형태로 개구를 향해 설치되어 고정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고정공간에는 작업물(300)이 수용될 수 있어 상기 작업물(300)이 상기 고정공구의 힘을 받아 고정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재료거치영역(21)은 구동부(212)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부(212)는 상기 고정공구와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211)들을 구동시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재료거치부(20)는 총구동부(23)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부(212)들은 각각 상기 총구동부(23)에 연결되며, 상기 총구동부(23)가 상기 구동부(212)들에게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비교적 바람직한 상태는 상기 각 재료거치영역(21)이 탐지기(213)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고정공간의 정의는 상기 클램프들 사이의 거리이며, 상기 탐지기(213)는 상기 클램프(211)들의 위치를 탐지하여 이를 통해 상기 고정공간의 넓이를 계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재료거치부가 더욱 많은 재료거치영역을 수용하면서도 상기 재료거치영역이 재료거치기구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재료거치영역이 이동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선택적으로 비어 있는 재료거치영역을 재료거치기구이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 내에서, 상기 재료거치부(20)는 최소한 하나의 제1재료거치구역과 제2재료거치구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재료거치구역과 상기 제2재료거치구역은 각각 상기 재료거치부의 다른 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재료거치구역과 상기 제2재료거치구역은 각각 최소한 하나의 상기 재료거치영역(2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거치부(20)는 그중 한 측이 재료거치측으로 정의된다. 상기 재료거치부(20)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재료거치구역 및 상기 제2재료거치구역이 이동할 수 있게 해주며, 더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재료거치구역 및 상기 제2재료거치구역 중 하나가 상기 재료거치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 준다.
상술된 구조를 통해 가공이 필요한 작업물을 저장장치에서 효율적으로 휴대하여 상기 재료거치부까지 거치시키며, 또한 작업세트의 재료픽업부를 통해 한 번에 여러 개의 작업물을 픽업하여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 후 연마 가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연마통 세트가 여러 개의 연마통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작업물의 작업 수요에 따라 회전판을 회전시켜 특정 연마통을 선택할 수 있어 연마에 적합한 연마 과립을 선택하는데 편리하다. 또한 자동회전 구동세트의 구조 설계가 단일 자동회전 구동세트만으로 구성되기 대문에 서로 다른 연마통과 서로 대응될 수 있고,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회전판을 따라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판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판 상에 청결통을 추가로 설치하여 작업물에 대해 가공 작업을 완료한 후 기체를 이용한 청결작업을 진행하여 작업물 상에 연마 과립이 묻어 있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서로 다른 연마통의 연마과립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 편, 연마통 내의 연마 과립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재료픽업부를 이용해 연마과립부품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과립을 뒤집어 주면서 연마 과립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해 품질을 안정적으로 만들어 준다.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코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본체 10 재료거치부 20
재료거치대 201 회전축 202
재료거치영역 21 클램프 211
클램프끝단 2111 구동부 212
탐지기 213 수납공 22
총구동부 23 작업세트 30
회전기구 31 재료픽업부 32
클램핑 발 321 자동회전기구 33
구동벨트 331 구동원 332
승강기구 34 승강레일 341
승강플랫폼 342 저장장치 40
제1탑재대 41 제2탑재대 41'
돌파구 411 돌파구 411'
이동장치 42 이동대 421
받침대 4211 제1확장 암 4212
제2확장 암 4213 수평 구동세트 422
슬라이딩 레일 4221 수평 작동기 4222
슬라이딩 받침 4223 수직 구동세트 423
슬라이딩 레일 4231 탐지장치 424
회전대 4241 탐지기 4242
재료거치기구 50 연마통 세트 60
받침대 61 회전판 62
기판 621 개공 6211
피동체인 6212 위치고정구멍 6213
돌출라인 6214 전방 저지 돌출라인 6215
구동기구 622 회전모터 6221
전동부품 6222 천공 623
받침대 624 연마통 63
통본체 631 판체 632
삽입홈 6321 측변 6322
앞변 6323 청결통 64
통본체 641 배출구 6411
공기공급기구 642 회수파이프 643
입구 6431 출구 6432
배출파이프 644 확장파이프 645
돌출테두리 6451 베어링 646
자동회전 구동세트 70 삽입조각 71
본체 72 피스톤실 721
승강축 73 피스톤 731
제1탐지기 81 제2탐지기 82
제3탐지기 83 높이탐지부 84
각도탐지부 85 슬롯 851
연마과립장치 90 연마과립부품적재기구 91
제2추축 911 적재기구 912
연마과립부품 92 나선형 나이프 921
손잡이부 922 자석부 923
위치고정 조립부품 100 팔레트 200
작업물 300

Claims (13)

  1. 자동화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화처리기는 본체, 재료거치부, 작업세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상기 재료거치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재료거치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거치영역들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재료거치영역에는 작업물이 거치되며,
    그중 상기 작업세트는 본체에 설치되며 회전기구와 재료픽업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재료픽업기구를 구동시켜 제1회전축을 감돌며 재료픽업위치와 작업위치 사이에서 추 진자 운동을 하게 하고, 상기 재료픽업기구는 복수 개의 재료픽업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픽업부들은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때 재료픽업부들이 배열되는 위치는 상기 재료거치영역이 설치되는 위치와 서로 대응되며,
    상기 재료픽업기구들이 추 진자 운동을 통해 상기 재료픽업위치까지 왔을 때, 상기 각각의 재료픽업부들이 상기 재료거치영역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재료거치영역들에 거치된 작업물을 동시에 픽업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작업물들을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처리기는 저장장치, 재료거치기구, 연마통 세트, 자동회전 구동세트를 더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저장장치는 복수 개의 탑재대와 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최소한 두 개의 탑재대가 수직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탑재대들에는 팔레트가 탑재되며, 상기 팔레트들은 복수 개의 작업물을 탑재할 수 있고, 상기 이동장치는 이동대, 수평 구동세트 및 수직 구동세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이동대는 최소한 하나의 탑재대에서 상기 탑재대에 탑재된 팔레트를 받아들이거나 되돌려 놓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수평 구동세트와 상기 수직 구동세트는 둘 중 하나의 세트가 다른 하나의 세트와 이동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대를 이끌어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을 할 수 있게 해 주고,
    상기 재료거치기구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이동가능한 휴대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휴대기구는 상기 이동대 상의 팔레트 상에 거치된 작업물을 휴대하여 상기 재료거치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어서 상기 작업물들을 각각 상기 재료거치영역에 거치하게 되고,
    상기 연마통 세트는 받침대, 회전판, 복수 개의 연마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판은 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통들은 상기 회전판의 주위를 감돌며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의 표면에 설치되고, 각각의 연마통들의 바닥부에는 제1연결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 상에 상기 연마통들과 서로 대응되는 한 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상기 회전판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회전판을 등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동위치와 초기위치 사이에서 승강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는 제2연결구조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2연결구조와 상기 제1연결구조는 서로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마통과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서로 대응되어 회전하지 않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게 해 주며
    그중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회전할 때 상기 연마통을 구동시켜 상기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연결구조와 상기 제2연결구조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연마통이 상기 자동회전 구동세트의 구동 회전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회전판은 기판과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판의 표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감돌며 복수 개의 개공이 설치되고, 상기 연마통들은 각각 상기 개공들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개공들을 가려서 덮게 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기판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기판을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기구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받는 전동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판 바닥부 주변테두리 부위에는 피동체인이 설치되고, 상기 전동부품이 상기 피동체와 기어 맞물림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터가 상기 전동부품을 구동시켜 회전하게 할 때, 상기 피동체이 상기 기판을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을 감돌며 회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4. 제2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각 연마통의 제1연결구조는 최소한 하나의 삽입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의 제2연결구조는 최소한 하나의 돌출된 삽입조각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삽입홈과 최소한 하나의 삽입조각은 각각 상기 자동회전축으로부터 미리 설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삽입조각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삽입홈 내로 삽입되어 들어가며, 이를 통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연마통을 이끌어 상기 자동회전축을 감돌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그중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조립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조립부품은 승강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에는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조립부품은 선택적 상승을 통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구멍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6. 제2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회전판의 표면의 이심부에는 복수 개의 제1위치제한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각 연마통의 바닥부 이심부에는 제2위치제한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각 연마통의 제2위치제한구조와 상기 제1위치제한구조 위치가 서로 대응될 때 서로 결합되며, 이를 통해 상기 각 제1위치제한구조와 상기 제2위치제한구조가 상기 회전판 표면 방향 상에 평행을 유지하며 서로 간섭을 하게 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연마통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에 의해 꼭대기로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위치제한구조와 상기 제2위치제한구조는 상기 회전판 표면 방향과 서로 평행을 유지하며 서로 간섭을 하지 않게 되고, 더 나아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연마통을 이끌어 상기 자동회전축을 감돌며 함께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위치제한구조와 상기 제2위치제한구조는 상기 회전판 표면 방향과 서로 평행을 유지하며 서로 간섭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7. 제2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각 연마통은 통본체와 판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판체는 상기 통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상기 판체는 서로 대응되어 평행을 이루는 두 개의 측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두 개의 측변은 상기 제2위치제한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각 제1위치제한구조는 각격을 두고 평행으로 설치된 두 개의 돌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돌출라인 사이는 일정한 공간이 에워싸여져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돌출라인 사이의 거리는 상기 판체의 상기 두 개의 측변 사이의 거리와 서로 대응되며, 이를 통해 상기 판체가 상기 두 개의 측변과 서로 대응되는 상기 두 개의 돌출라인이 상기 상기 위치고정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세트는 제1탐지기, 제2탐지기, 제3탐지기, 높이탐지부와 각도탐지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탐지기, 상기 제2탐지기와 상기 제3탐지기는 각각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탐지기의 높이 위치는 상기 제2탐지기보다 낮으며,
    상기 높이탐지부와 상기 각도탐지부는 각각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 상에 설치되어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를 따라 승강하게 되며, 상기 높이탐지부는 상기 제1탐지기와 상기 제2탐지기와 서로 대응되며,
    상기 각도탐지부는 상기 제3탐지기와 서로 대응되고, 상기 각도탐지부는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의 한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탐지기 역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의 한 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높이탐지부의 높이와 상기 제1탐지기가 서로 대응되어 상기 제1탐지기의 탐지를 받게 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높이탐지부의 높이와 상기 제2탐지기가 서로 대응되어 상기 제2탐지기의 탐지를 받게 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구동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자동회전 구동세트가 상기 각도탐지부까지 회전되어 상기 제3탐지기의 탐지 범위 내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각도탐지부는 상기 제3탐지기의 탐지를 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각 재료거치영역은 고정공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공구는 이동가능한 복수 개의 클램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들은 에워싸는 형태로 개구를 향해 설치되어 고정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고정공간에는 작업물이 수용될 수 있어 상기 작업물이 상기 고정공구의 힘을 받아 고정 상태가 될 수 있고, 상기 재료거치영역은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공구와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들을 구동시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재료거치부는 총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부들은 각각 상기 총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총구동부가 상기 구동부들에게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재료거치부는 최소한 하나의 제1재료거치구역과 제2재료거치구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재료거치구역과 상기 제2재료거치구역은 각각 상기 재료거치부의 다른 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재료거치구역과 상기 제2재료거치구역은 각각 최소한 하나의 상기 재료거치영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재료거치부는 그중 한 측이 재료거치측으로 정의되며,
    상기 재료거치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재료거치구역 및 상기 제2재료거치구역이 이동할 수 있게 해주며, 더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1재료거치구역 및 상기 제2재료거치구역 중 하나가 상기 재료거치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11. 제9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각 재료거치영역은 탐지기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공간의 정의는 상기 클램프들 사이의 거리이며, 상기 탐지기는 상기 클램프들의 위치를 탐지하여 이를 통해 상기 고정공간의 넓이를 계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12. 제2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연마통 세트는 청결통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청결통과 상기 연마통들은 함께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청결통은 통본체, 공기공급기구와 회수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공기공급기구는 상기 통본체 내로 연통되어 상기 통본체 내부 공기분사구와 대응되고, 상기 회수기구는 상기 통본체 내로 연통되어 상기 통본체 내부의 기체와 상기 작업물에서 떨어져 나온 과립을 상기 회수기구를 통해 상기 통본체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13.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연마과립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마과립장치는 연마과립부품적재기구와 최소한 하나의 연마과립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마과립부품적재기구는 제2추축과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는 상기 제2추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추축을 축으로 하여 수납위치와 연마과립위치 사이에서 추 진자 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연마과립부품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에 의해 탑재되며, 상기 연마과립부품은 나선형 나이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나선형 나이프는 수직 방향을 감돌며 나선형으로 뻗어 나와 있으며,
    상기 재료픽업기구가 나이프 픽업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가 상기 연마과립위치에 위치할 때, 그중 상기 재료픽업부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적재기구에서 최소한 하나의 연마과립부품을 픽업할 수 있으며, 상기 나이프 픽업위치는 상기 재료픽업위치와 상기 작업위치 사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처리기.
KR1020210079068A 2020-11-30 2021-06-18 자동화처리기 KR202200762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142001A TWI749917B (zh) 2020-11-30 2020-11-30 自動化處理機之換桶裝置
TW109141998A TW202222496A (zh) 2020-11-30 2020-11-30 自動化處理機之取料裝置
TW109141998 2020-11-30
TW109142001 2020-11-30
TW109216434U TWM609250U (zh) 2020-12-11 2020-12-11 自動化處理機
TW109216434 2020-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275A true KR20220076275A (ko) 2022-06-08

Family

ID=8158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068A KR20220076275A (ko) 2020-11-30 2021-06-18 자동화처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68860A1 (ko)
JP (1) JP7308547B2 (ko)
KR (1) KR20220076275A (ko)
CN (1) CN114633200A (ko)
DE (1) DE1020211183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589Y2 (ja) * 1988-08-29 1994-11-16 株式会社ワシノエンジニアリング 旋盤におけるワーク搬送装置
JP5524676B2 (ja) * 2010-03-31 2014-06-18 コマツNtc株式会社 加工システムにおけるワーク搬入出装置及びその方法
DE102010023278B4 (de) * 2010-06-10 2017-06-22 Maschinenfabrik Berthold Hermle Ag Anordnung zum Bearbeiten von Werkstücken
CN202071004U (zh) * 2011-04-11 2011-12-14 济南博特威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数控钝化机
CN202763616U (zh) * 2012-08-17 2013-03-06 南阳中一光学装备有限公司 一种光学透镜铣磨加工自动装夹机械手装置
JP5830083B2 (ja) * 2013-12-27 2015-1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組立システム
CN207448050U (zh) * 2017-10-19 2018-06-05 邢台市金成航冶金轧辊有限公司 一种立方氮化硼刀片刃口钝化设备
TWM580015U (zh) * 2018-07-20 2019-07-01 七駿科技股份有限公司 Tool edge passivation and surface polishing device
JP7324613B2 (ja) * 2019-05-15 2023-08-10 株式会社Fuji ワークストッカ
CN210451659U (zh) * 2019-08-30 2020-05-05 苏州顺康达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机械手臂取料组装机构
CN211277661U (zh) * 2019-10-30 2020-08-18 昆山乐升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钝化铣刀用打磨抛光装置
CN211639250U (zh) * 2019-12-31 2020-10-09 嘉兴沃尔德金刚石工具有限公司 多工位刀具钝化机
DE202020100819U1 (de) * 2020-02-14 2020-02-20 Agile Wing Smart Manufacturing Co., LTD. Passivieranlage
CN111421414A (zh) * 2020-04-10 2020-07-17 惠州市星之光科技有限公司 电路板边角钝化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86992A (ja) 2022-06-09
JP7308547B2 (ja) 2023-07-14
DE102021118394A1 (de) 2022-06-02
CN114633200A (zh) 2022-06-17
US20220168860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5501B (zh) 一种硬质合金刀片磨削成型加工生产线
CN213004179U (zh) 一种刀片翻转装置
CN111872485A (zh) 一种环形工件内孔倒角装置
KR100778806B1 (ko) 글라스 렌즈의 회전식 자동 연마장치
CN110814974A (zh) 一种机器人打磨机站
CN108907948B (zh) 一种发动机缸盖机器人自动修毛刺工作站
CN207746904U (zh) 一种用于岩矿标本的自动磨片机
KR20220076275A (ko) 자동화처리기
CN114951730B (zh) 一种偏心零件自动配重夹具、油泵泵体自动化生产线及加工工艺
CN218425885U (zh) 一种滤波器生产用切割装置
CN111823145B (zh) 自动喷砂装置
CN115502792A (zh) 一种圆形刀片自动打磨系统及其打磨方法
JPS59227361A (ja) 平面研削装置
CN212596802U (zh) 一种立式电感自动送料焊锡点胶机
CN210306742U (zh) 一种新型数控机床立式回转工作台
CN211072899U (zh) 一种用于腔体内壁的打磨机
CN210115749U (zh) 自动上下料流体扫光机自动线
CN114131496A (zh) 自动抛光生产线
CN211277845U (zh) 一种手机壳转台数控砂光机
TWM609250U (zh) 自動化處理機
JP2022178891A (ja) 補助装置
CN110842701A (zh) 一种旋转打磨工作台
CN220278461U (zh) 一种伺服铰孔机
CN218874935U (zh) 一种喇叭盘架打磨输送线
CN219925465U (zh) 一种方盘自动去毛刺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