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868A - 경편기용 경편 도구 바 - Google Patents

경편기용 경편 도구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868A
KR20220061868A KR1020210148863A KR20210148863A KR20220061868A KR 20220061868 A KR20220061868 A KR 20220061868A KR 1020210148863 A KR1020210148863 A KR 1020210148863A KR 20210148863 A KR20210148863 A KR 20210148863A KR 20220061868 A KR20220061868 A KR 20220061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bar
flat steel
warp knitting
profile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282B1 (ko
Inventor
마르틴 쇼를렘머
요나스 바이스만텔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슈톨 알앤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슈톨 알앤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슈톨 알앤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6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04B27/08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중공 프로파일로서 설계된 기부 몸체(1)를 갖는, 경편기의 경편 도구 바가 기술된다. 그 목적은, 높은 기계적 부하(mechanical loads)에서 온도 변화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강철로부터 형성된 기부 몸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경편기용 경편 도구 바 {Warp knitting tool bar for a warp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중공 프로파일(hollow profile)로서 설계된 기부 몸체(base body)를 갖는,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용 경편 도구 바(warp knitting tool bar)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경편 도구 바는 공지된 기술이며, 예를 들어 EP 3 216 903 B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경편 도구 바는 전형적으로,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으로부터,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된 기부 몸체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재료들은 통상적으로 경편 도구 바의 질량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편 공정에 관련된 많은 경편 도구 바들은, 스티치 형성 작업(stitch forming operation) 동안, 두 번 가속 및 감속되어야 한다. 경편 막대의 질량이 작을수록, 경편 막대에 작용하는 힘이 낮아진다. 이는, 구동 전력, 및, 통상적으로, 마모를 낮게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경편 도구 바도 고온 안정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한 경편 도구 바의 열적으로 유도된 길이 변화, 즉, 열팽창은 최소화된다. 그러나, 그 제조 비용은 비교적 높다.
다른 경편 도구 바는 DE 1 585 174 B로부터 공지된 기술이다. 이 문헌에서, 막대는 경금속으로 형성되고, 한쪽 면이 종방향으로 미리 응력을 받은 강철 스트립에 결합된다. 이 문헌에서, 그 의도는 열팽창을 최소로 유지하는 것이다.
높은 패브릭 박리력(fabric take-off forces)이 발생하면, 경편 패브릭(warp knitted fabric), 즉, 경편 패브릭을 형성하는 경사(warp threads)와, 경편 패브릭과 접촉하게 되는 경편기의 막대 또는 기타 부품들 사이의 접촉면 상에서 발생하는 마모가 증가한다. 이에 대한 예는 소위 "초핑 엣지(chopping edge)"이다. 패브릭 박리력이 높은 경우, 관련된 기계 요소들의 결과적 변형을 작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정지 부품(stationary parts), 또는 움직임이 적은 부품의 재료로서 강철이 사용되며, 특히, 실 또는 경편 패브릭과 접촉하는 그것의 표면 상에서는, 크롬 도금된 강철이 사용된다.
그러나, 그러한 재료 선택으로 인해, 온도 변화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다. 강철은, 예를 들어 섬유 강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경금속과는 다른 열팽창 거동을 보인다.
본 발명은, 높은 기계적 부하(mechanical loads) 하에서, 온도 변화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 목적은, 기부 몸체가 강철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앞에서 언급된 유형의 경편 도구 바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설계를 사용하면, 경편기의 종방향으로, 즉, 작업 폭에 걸쳐, 이어지는(running) 모든 막대들 및 기타 부품들에 대해 동일한 재료, 즉 강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부 몸체가 중공 프로파일로서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 경우, 경량 설계(lightweight design)로 강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에 따라, 경편 막대(warp knitting bar)의 질량을 다시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중공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평강 프로파일(flat steel profile)을 갖는다. 평강 프로파일은 줄여서 "플레이트(plate)"라고도 한다. 복수의 평강 프로파일들을 결합하여, 기부 몸체의 중공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 공정은, 예를 들어, 용접(welding), 스탬핑(stamping), 크림핑(crimping), 또는 클린칭(clinching)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강 프로파일은 형상화(shaped)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화 공정은 굽힘(bending) 또는 휨(curving)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굽힘의 경우, 굽힘 선은 종방향 연장선(longitudinal extent)과 평행하다. 휨의 경우, 곡선 반경의 중심이 위치되는 선 또한 종방향 연장선과 평행하다. 형상화(shaping)는 개별 평강 프로파일에 증가된 기계적 강성(mechanical rigidity)을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관련된 평강 프로파일은 상대적으로 얇게 설계될 수 있다. 평강 프로파일은 경편 도구 바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형상화된 구역들(shaped sections)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평강 프로파일은 서로 결합되는 2개의 영역들을 갖는다. 그 다음 평강 프로파일은 단면에서 루프(loop) 또는 회로(circuit)를 형성한다. 두 영역들의 결합은, 예를 들어, 두 영역들을 함께 용접함으로써,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 두 영역들 사이에 추가 요소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이 추가 요소는, 예를 들어, 기부 몸체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경편 도구들(warp knitting tools)을 위한 장착 표면의 역할을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서로 결합될 적어도 2개의 평강 프로파일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부 몸체의 중공 프로파일은 복수의 평강 프로파일들로 구성된다. 여기에서도, 적어도 하나의 또는 모든 평강 프로파일이 적어도 하나의 곡선,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굽힘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중공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바람직하게는, 부착 프로파일(attachment profile)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두꺼워진 구역(thickened section)을 갖는다. 예를 들어, 부착 프로파일은 내부 나사산(internal thread)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두꺼워진 구역은, 예를 들어, 열 흐름 드릴링(thermal flow drilling)에 의해 내부 나사산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로부터 밀려나온 재료가 두꺼워진 구역을 형성한다.
중공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벽 두께들을 갖는다. 이때, 벽 두께들은 다양한 부하 환경(loading circumstances)에 맞게 적합화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방향의 가속도는, 제1 방향에 대해 횡으로 놓이는 제2 방향의 가속도보다 더 크다. 이때, 제1 방향의 가속도를 견뎌야 하는 벽 두께가 다소 더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중공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벽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벽 두께들을 갖는 것도 유리하다. 하나의 벽에서 다양한 벽 두께들을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공 프로파일이 1 mm 내지 10 mm, 특히 2 mm 내지 5 mm 범위에서 최대 평균 벽 두께를 갖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이때, 중공 프로파일은 상대적으로 낮은 질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벽 두께는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중공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는다. 개구부에 의해, 기부 몸체의 질량이 재사용될 수 있다.
중공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구역들을 갖는다. 즉, 하나의 연속적인 중공 프로파일이 기부 몸체로서 사용되는 대신, 복수의 구역들이 경편기의 작업 폭을 가로질러 사용된다. 이는, 각각의 구역의 절대 열팽창이 막대 전체의 열팽창보다 작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의해, 다른 경편 도구들에 대한 상기 경편 도구들의 변위(displacements)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경편기의 레버 상의 두 구역들 사이에 접합부(abutment)가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역들이 간편한 방식으로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공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평강 프로파일로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reinforcement rib)를 갖는다. 보강 리브는 중공 프로파일을 강직화(stiffen)하는 역할을 하며, 그에 따라, 중공 프로파일이 다른 측면들(respects)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약하게 치수화(dimensioned)될 수 있다. 평강 프로파일을 사용하면, 보강 리브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보강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배열된다. 이는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중공 프로파일이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reinforcement bead)를 갖는 것도 유리하다. 보강 비드는, 예를 들어, 스탬핑(stamp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과 연계하여, 바람직한 구현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여기서:
도 1은 경편 도구 바의 기부 몸체의 제1 형태의 구현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기부 몸체를 사시도로서 도시한다;
도 3은 경편 도구 바의 기부 몸체의 제2 형태의 구현예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경편 도구 바의 기부 몸체의 제3 형태의 구현예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경편 도구 바의 기부 몸체의 제4 형태의 구현예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각도에서 경편 도구 바의 기부 몸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경편 도구 바의 기부 몸체의 일 부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 대응하는 시야각에서 도 6에 따른 기부 몸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1에 따른 기부 몸체를 갖는 경편 도구 바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3에 따른 기부 몸체를 갖는 경편 도구 바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기부 몸체의 제7 형태의 구현예를 갖는 경편 도구 바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준다.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하고 상응하는 요소들에는 동일한 지시 번호가 제공된다.
도 1은, 중공 프로파일로서 설계되어 중공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경편 도구 바의 기부 몸체(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기부 몸체(1)는 평강 프로파일(3)에 의해 형성된 공동(cavity)(2)을 갖는다. 평강 프로파일(3)은 여러 번 휘어진다. 그것은, 경편 도구 홀더(6)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영역들(4, 5)을 갖는다. 본 경우에, 영역들(4, 5)은, 종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는(running) 평강 프로파일(3)의 단부들에 배열된다. 그러나, 이는 필수 사항은 아니다. 영역들(4, 5)은, 예를 들어, 경편 도구 홀더(6)에 용접된다. 다른 가능한 형태의 결합도 고려될 수 있다.
본 경우에, 기부 몸체(1)를 형성하는 평강 프로파일(3)은 총 5개의 곡선들(7 내지 11)을 갖는다. 각각의 곡선(7 내지 11)의 정점은 기부 몸체(1)의 종방향 연장선(longitudinal extent)에 대해 평행하게 이어진다(runs).
평강 프로파일(3)은 두꺼워진 구역(thickened section)(12)을 갖는다. 두꺼워진 부분(12)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개구부(13)가 배열되며, 이를 사용하여, 기부 몸체(1)가 경편기(미도시)의 레버들에 부착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경편 도구 홀더(6)는 개구부(15)를 갖는 두꺼워진 구역(14)을 가지며, 그에 따라, 경편 도구(도 1에 미도시)가 경편 도구 홀더(6)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경편 도구 홀더(6)는 또한 평강 프로파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두꺼워진 구역(12, 14)은 열 흐름 드릴링에 의해 개구부(13, 15)를 생성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는, 나중에 두꺼워진 구역(12, 14)을 형성하는 평강 프로파일(3) 또는 경편 도구 홀더(6)로부터 재료를 밀어낸다(displace). 예를 들어 내부 나사산과 같은, 부착 프로파일이 개구부(13, 15)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내부 나사산은, 예를 들어 블라인드 리벳 너트(blind rivet nut), 용접 너트(weld nut), 또는 캡티브 너트(captive nut)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열 흐름 드릴링에 의한 생성이, 기부 몸체(1)의 질량을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다.
도 3은, 복수의 평강 프로파일들(16 내지 19)이 조립된 중공 프로파일로서 설계된 기부 몸체(1)의 제2 설계를 도시한다. 여기서, 평강 프로파일(16)은 평판형 프로파일(plane profile)로서 설계된다. 평강 프로파일(19)은 L자형 프로파일로서 설계되어 굽힘부(bend)를 갖는다. 다른 2개의 평강 프로파일들(17, 18)은 휘어져서(curved), 만곡부들(roundings)을 갖는다. 평강 프로파일(16)은 용접 이음매(weld seam)(20)를 따라 평강 프로파일(17)에 결합된다. 평강 프로파일(16)과 평강 프로파일(18) 사이에는 제2 용접 이음매(21)가 있다. 평강 프로파일(18)과 평강 프로파일(19) 사이에는 제3 용접 이음매(22)가 있다. 평강 프로파일(17)과 평강 프로파일(19) 사이에는 제4 용접 이음매(23)가 있다. 각각의 경우에, 용접 이음매들(20 내지 23)은, 인접한 평강 프로파일들을 함께 결합한다.
평강 프로파일(19)의 L자형 프로파일은 기부 몸체의 강성(rigidity)에 기여한다.
도 4는 기부 몸체(1)의 변형된 형태의 구현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평강 프로파일(16)은, 곡선(26)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두 개의 구역들(24, 25)을 갖도록 설계된다. 구역(24)은 구역(25)보다 더 큰 벽 두께를 갖는다. 평강 프로파일(16)의 구역(25)은 평강 프로파일(17, 18)의 벽 두께보다 두꺼운 벽 두께를 갖는다. 평강 프로파일(16)은, 차례로, 용접 이음매(20)에 의해 평강 프로파일(17)에 결합된다. 평강 프로파일(16)은 용접 이음매(21)에 의해 평강 프로파일(18)에 결합된다. 평강 프로파일(19)은 용접 이음매(22)에 의해 평강 프로파일(18)에 결합된다. 평강 프로파일(19)은 용접 이음매(23)에 의해 평강 프로파일(16)의 구역(24) 및 평강 프로파일(17) 둘 다에 결합된다.
도 5는 도 4의 설계에 상응하는 기부 몸체(1)의 설계를 도시한다.
도 4의 설계와 대조적으로, 평강 프로파일(17)은 설계상 대체로 평판형이다. 용접 이음매(20)의 영역에서만, 평강 프로파일(17)이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으며, 그에 따라, 여기에서, 상대적으로 큰 접촉 지역이 두 개의 평강 프로파일들(16, 17) 사이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8은 2개의 추가 특징부들이 추가된 기부 몸체(1)의 추가 설계를 보여준다.
하나의 특징부에서, 기부 몸체(1)는 종방향으로 그것의 2개의 단부 면들 상에 보강 리브들(27, 28)을 구비한다. 보강 리브들(27, 28)은, 예를 들어, 평강 프로파일들(16 내지 19)에 용접될 수 있다. 보강 리브들(27, 28)은, 보강 리브들(27, 28)의 질량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개구부들(29, 30)을 가질 수 있다. 보강 리브들(27, 28) 또한 평강 프로파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평강 프로파일들(16, 18) 또한, 평강 프로파일들(16, 18)의 질량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개구부들(31, 32)을 구비한다. 또한, 평강 프로파일(18)은, 예를 들어 평강 프로파일(18) 내로 스탬핑될 수 있는, 보강 비드들(33)을 갖는다.
보강 리브들(27, 28)은 모든 기부 몸체들에 제공될 수 있음이 강조된다. 도 6 및 도 8에 따른 설계에서, 보강 리브들(27, 28)은 기부 몸체의 단부들에 배열된다. 도 7에 따른 설계에서, 보강 리브(27) 또한, 기부 몸체(1)의 중심에, 즉, 공동(2)에, 배열될 수 있다. 도 7에 따른 설계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개구부들(31, 32)은, 평강 프로파일들(16, 18)에 뿐만 아니라, 원칙적으로 모든 평강 프로파일들에, 즉 평강 프로파일들(3, 17, 19)에도,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비드들(33) 또한 모든 평강 프로파일들(3, 16 내지 19)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따른 설계에서, 단지 3개의 평강 프로파일들(16, 17, 19) 만이 제공되고, 여기서, 평강 프로파일(16, 17)만이 용접 이음매(2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보강 리브(27)는 2개의 평강 프로파일들(16, 17)에 결합되고, 동시에, 평강 프로파일들(16, 17)을 평강 프로파일(19)에 결합하고, 평강 프로파일(19)은 설계상 L자형이다. 결합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에 따른 설계에서, 중공 프로파일은, 보강 리브(27)가 평강 프로파일들(16, 17) 너머로 돌출하는 측면 상에서 개방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경편 도구들(34)과 함께 기부 몸체들(1)을 도시하며, 경편 도구들(34)은 본 구현예에서 경편 바늘(warp knitting needles)로서 설계되어 있다. 다른 경편 도구들도 가능하다.
도 9에 따른 설계에서, 바늘 캐리어(3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 몸체에 결합된다. 니들 캐리어(35)는 동시에 경편 도구 홀더(6)에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은 개구부(15) 내로 나사결합되는 나사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경편 도구들(34)은,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커버(36)에 의해 바늘 캐리어(35)에 유지된다. 바늘 캐리어(35)는 평강 프로파일(3)의 라운딩부(rounding)(11)에 지지된다. 라운딩부(11)는 경편 도구 홀더(6)에 인접한다.
도 10은, 경편 바늘 형태의 경편 도구(34)가 부착된 바늘 캐리어(35)를 구비한 도 3에 따른 기부 몸체(1)를 보여준다. 바늘 캐리어(35)는 평강 프로파일(19)에 결합된다. 바늘 캐리어(35)는 L자형 평강 프로파일(19)의 한 다리에 결합되고, L자형 평강 프로파일(19)의 다른 다리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1에 따른 디자인에서, 경편기 도구(34)용 바늘 캐리어(35)는, 2개의 용접 라인들(37, 38)을 따라, 기부 몸체(1)에 결합, 더욱 정확하게는 용접된다. 하나의 용접 라인(37)이 평강 프로파일(17) 상에 배열된다. 다른 용접 라인(38)은 평강 프로파일(18)의 단부에 배열되고, 이 경우, 평강 프로파일(18)은 평강 프로파일(17)에, 즉 용접 이음매(39)에, 직접 용접된다. 도 11에 따른 설계에서, 단 3개의 평강 프로파일들(16, 17, 18)이 제공된다.
상이한 벽 두께들을 갖는 중공 프로파일을 갖는 기부 몸체가, 도 4와 관련하여, 여기에만 표시된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구현예들에서도, 상이한 벽 두께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쉽게 명백하다. 예를 들어, 개별 강철 시트 프로파일들이 다른 평강 프로파일들의 벽 두께와 다른 벽 두께를 갖는다는 점에서, 상이한 벽 두께들이 구현될 수 있다. 두 개의 상이한 벽 두께들을 갖도록 설계되는 평강 프로파일에 대한 다른 설계도 제공될 수 있다.
모든 경우들에서, 휜 또는 굽혀진 평강 프로파일들이 대체로 평판형인 평강 프로파일과 조합될 수 있다.
모든 경우들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벽 두께들이 사용된다. 중공 프로파일들의 벽 두께들, 및, 따라서, 평강 프로파일들의 벽 두께들은 1 mm 내지 10 mm, 특히 2 mm 내지 5 mm의 범위에 있다. 전반적으로, 평균 벽 두께가 1 mm 내지 10 mm, 특히 2 mm 내지 5 mm의 범위에 있다는 점에서, 기부 몸체(1)의 질량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기부 몸체(1)의 도움으로 형성되는 경편 도구 바는 복수의 구역들(sections)을 갖는다. 예를 들어, 한 구역의 길이는 1 m 내지 1.5 m의 범위이다. 보강 리브(27, 28)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러한 구역들의 단부들에 제공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그러한 구역들의 중앙에 추가 보강 리브들(27)이 제공될 수도 있다.
구역들은 바람직하게는, 경편 도구 바와 함께 이동되는 레버들을 경편기가 갖는 곳에서 끝난다.

Claims (15)

  1. 기부 몸체(base body)(1)를 갖는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의 경편 도구 바(warp knitting tool bar)로서, 상기 기부 몸체는 중공 프로파일(hollow profile)로서 설계되고, 또한 상기 기부 몸체(1)는 강철로부터 형성된, 경편 도구 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평강 프로파일(flat steel profile)(3; 16, 17, 18, 19)을 갖는, 경편 도구 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강 구역(flat steel section)(3; 16, 17, 18, 19)은 형상화된(shaped), 경편 도구 바.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평강 프로파일(3)은 서로 결합된 2개의 영역들(4, 5)을 갖는, 경편 도구 바.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평강 프로파일들(16, 17, 18, 19)이 서로 결합된, 경편 도구 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적어도 하나의 두꺼워진 구역(thickened section)(12, 14)을 갖고, 부착 프로파일(attachment profile)(13, 15)이 제공된, 경편 도구 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16, 17, 18, 19)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벽 두께들을 갖는, 경편 도구 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벽 두께들을 갖는, 경편 도구 바.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1 mm 내지 10 mm, 특히 2 mm 내지 5 mm 범위에서 최대 평균 벽 두께를 갖는, 경편 도구 바.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1, 32)를 갖는, 경편 도구 바.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종방향으로 복수의 구역들(sections)을 갖는, 경편 도구 바.
  12. 제 11 항에 있어서, 경편기의 레버 상의 2개의 구역들 사이에 접합부(abutment)가 배열된, 경편 도구 바.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특히 평강 프로파일로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reinforcement rib)(27, 28)를 갖는, 경편 도구 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27, 28)는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배열된, 경편 도구 바.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reinforcement bead)를 갖는, 경편 도구 바.
KR1020210148863A 2020-11-06 2021-11-02 경편기용 경편 도구 바 KR102620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6076.0 2020-11-06
EP20206076.0A EP3757267B1 (de) 2020-11-06 2020-11-06 Wirkwerkzeugbarre für eine kettenwirk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868A true KR20220061868A (ko) 2022-05-13
KR102620282B1 KR102620282B1 (ko) 2024-01-02

Family

ID=7317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863A KR102620282B1 (ko) 2020-11-06 2021-11-02 경편기용 경편 도구 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757267B1 (ko)
JP (1) JP7364645B2 (ko)
KR (1) KR102620282B1 (ko)
CN (1) CN114438659A (ko)
ES (1) ES2927820T3 (ko)
TW (1) TWI826853B (ko)
ZA (1) ZA202108294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246A (en) * 1988-12-01 1991-02-26 Karl Mayer Testilmaschinenfabrik Gmbh Warp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one bar
KR20070097359A (ko) * 2006-03-28 2007-10-04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KR20140105373A (ko) * 2013-02-22 2014-09-01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플라스틱 편성 도구 바
EP3216903A1 (de) * 2016-03-11 2017-09-1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85174B1 (de) 1963-06-14 1969-11-20 Mayer Textilmaschf Barre aus Leichtmetall fuer Wirkwerkzeuge von Kettenwirkmaschinen
DE4237084C2 (de) * 1992-11-03 1995-04-13 Mayer Textilmaschf Wirknadelanordnung und zugehörige Wirknadel
DE19810117A1 (de) * 1998-03-09 1999-09-16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DE502004006772D1 (de) * 2004-05-27 2008-05-21 Mayer Textilmaschf Wirkwerkzeug-Barre
EP1770194A1 (de) * 2005-09-28 2007-04-04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einer Wirkmaschine
DE102009020028B4 (de) * 2009-05-05 2017-02-1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EP2623652A1 (de) * 2012-01-31 2013-08-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Wirkwerkzeugbarre
JP2014147517A (ja) 2013-01-31 2014-08-21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縫針冷却機構及びミシン
JP2016123534A (ja) 2014-12-26 2016-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縫針冷却機構、ミシン及び空気の吸排気構造
EP3249087A1 (de) * 2016-05-27 2017-11-29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Barre einer kettenwirkmaschine
CN206368253U (zh) * 2016-12-29 2017-08-01 常州市武进永光机械有限公司 经编机的成圈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246A (en) * 1988-12-01 1991-02-26 Karl Mayer Testilmaschinenfabrik Gmbh Warp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one bar
KR20070097359A (ko) * 2006-03-28 2007-10-04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편물도구 바
KR20140105373A (ko) * 2013-02-22 2014-09-01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플라스틱 편성 도구 바
EP3216903A1 (de) * 2016-03-11 2017-09-1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27820T3 (es) 2022-11-11
EP3757267A2 (de) 2020-12-30
TW202219347A (zh) 2022-05-16
JP2022075616A (ja) 2022-05-18
ZA202108294B (en) 2022-08-31
JP7364645B2 (ja) 2023-10-18
KR102620282B1 (ko) 2024-01-02
EP3757267A3 (de) 2021-04-21
EP3757267B1 (de) 2022-09-07
TWI826853B (zh) 2023-12-21
CN114438659A (zh)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301B2 (en) Jacquard heald with embossed thread eye region
JP2009531619A (ja) 取付け装置
CN1982517B (zh) 用于条形经线的综片
KR102620282B1 (ko) 경편기용 경편 도구 바
JP7053094B2 (ja) 織機のための、特に円形織機のためのヘドル
KR20070003670A (ko) 야안 보호 종광
US20090084142A1 (en) Knitting tool arrangement and knitting tool
JP2005336700A (ja) 経編機の編成ツールバー
JP6000932B2 (ja) 構造体の連結部材の製造方法
CN101024908A (zh) 用于针布带的布铗
US3990481A (en) Leno heddles
WO2012054889A4 (en) Strutura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70097090A1 (en) Piston bolt
KR100908375B1 (ko) 편물 또는 루프 형성 기계용 테이크-오프 콤
KR100556056B1 (ko) 편물 공구 및 이 편물 공구의 제조 방법
CN107435186A (zh) 经编机的梳栉
CN101405447B (zh) 用于织机的织物支架和设置有织物支架的织机
CN103306040B (zh) 成圈工具梳栉和用于制造成圈工具梳栉的方法
KR102006805B1 (ko) 경편기
US20060249218A1 (en) Heald shaft for a weaving machine
JP2009056904A (ja) アリゲータ型クロスメンバ
US20040244862A1 (en) Heddle shaft rod, heddle shaft, and method for producing a heddle shaft rod
CN208472278U (zh) 一种提花机
US2995911A (en) Element mounting means for straight bar knitting machines
KR20200070798A (ko) 양면 쐐기형 클램프를 갖는 환봉 절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