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278A -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 Google Patents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278A
KR20220061278A KR1020227014498A KR20227014498A KR20220061278A KR 20220061278 A KR20220061278 A KR 20220061278A KR 1020227014498 A KR1020227014498 A KR 1020227014498A KR 20227014498 A KR20227014498 A KR 20227014498A KR 20220061278 A KR20220061278 A KR 20220061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resin layer
interlayer film
glass
col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야마모토
마나부 마츠모토
히로아키 이누이
아츠시 노하라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6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32B17/10587Surface roughness created by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urfac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using onl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32Pigments, colouring agents or opacifiy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이면서, 부위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가 작고, 미관이 우수한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착색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오목부를 갖고,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착색제를 함유하는 제 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2 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수지층의 탄성률 (E1) 과, 상기 제 2 수지층의 탄성률 (E2) 의 비 (E1/E2) 가 1.25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수지층의 두께 (t1) 와, 상기 제 2 수지층의 두께 (t2) 의 비 (t1/t2) 가 2.0 이하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Description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INTERLAYER FILM FOR COLORED LAMINATED GLASS, AND COLORE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이면서,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가 적은 미관이 우수한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착색 합판 유리에 관한 것이다.
합판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이 비산되는 일이 적어 안전하기 때문에, 자동차 등의 차량의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루프 유리나, 항공기, 건축물 등의 창 유리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합판 유리로서, 적어도 1 쌍의 유리 사이에, 예를 들어, 액상 가소제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시키고, 일체화시킨 합판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유리에 요구되는 성능도 다양화되고 있으며, 의장성, 프라이버시 보호성, 차광성 등의 관점에서, 착색된 합판 유리가 요구되도록 되고 있다. 특히,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인 고착색된 합판 유리는 특히 높은 프라이버시 보호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루프 유리나 건축물 등의 창 유리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차재 카메라를 구비한 미러리스의 자동차가 보급되어 오면, 자동차의 사이드 유리에도 고착색된 합판 유리가 채용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착색된 합판 유리는, 안료 등의 착색제를 배합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 가시광선 투과율 (Tv) 5 % 이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다량의 착색제를 배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다량의 착색제를 배합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부위에 따라 가시광선 투과율이 크게 편차가 발생하고, 미관 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48026호
본 발명은, 상기 현상황을 감안하여,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이면서, 부위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가 작고, 미관이 우수한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착색 합판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오목부를 갖고,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착색제를 함유하는 제 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2 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수지층의 탄성률 (E1) 과, 상기 제 2 수지층의 탄성률 (E2) 의 비 (E1/E2) 가 1.25 이상이고, 또한, 상기 제 1 수지층의 두께 (t1) 와, 상기 제 2 수지층의 두께 (t2) 의 비 (t1/t2) 가 2.0 이하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오목부를 갖고,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 부위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원인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합판 유리의 제조에서는, 통상, 적어도 2 장의 유리판 사이에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닙롤을 통과시켜 스퀴징하거나 (스퀴즈 탈기법), 또는 고무 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고 (진공 탈기법), 유리판과 중간막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하면서 압착한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를,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가열 가압하여 압착함으로써 합판 유리가 제조된다. 합판 유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유리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할 때의 탈기성 (脫氣性) 이 중요하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는, 합판 유리 제조시의 탈기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그 요철에 있어서의 오목부를, 저부 (底部) 가 연속된 홈 형상 (이하, 「각선상 (刻線狀)」이라고도 한다.) 을 갖고, 인접하는 그 각선상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탈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는, 통상적으로는 합판 유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압착시에 메워지기 때문에, 얻어진 합판 유리에 있어서는 거의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착색제를 함유하는 층을 포함하는 2 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경우에는, 합판 유리 제조 공정을 거쳐 얻어진 합판 유리에 있어서, 착색제를 함유하는 층에 오목부의 영향이 잔존하여, 부위에 따라 가시광선 투과율에 편차가 발생하고 있었던 것을 알아냈다.
즉, 착색제를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는 2 층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엠보스롤 등을 사용하여 오목부를 형성한 경우, 중간막의 표면에만 오목부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가공시의 압력에 의해 수지층의 층간의 계면에까지 오목부가 전사되어, 계면이 평활하지 않게 된다고 생각된다. 특히 표면에 각선상의 오목부를 형성하면, 그 각선상의 오목부가 층간의 계면에도 강하게 전사된다고 생각된다. 합판 유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압착시에 중간막의 표면의 오목부는 메워지기는 하지만, 수지층의 층간의 계면에 전사된 요철은 잔존한다. 이와 같은, 수지층의 계면에 잔존하는 요철은 투명한 부분에 있어서는 육안으로는 거의 인식되지 않지만, 가시광선의 편차가 되어 인식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열가소성 수지와 착색제를 함유하는 제 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2 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다. 나아가, 그 제 1 수지층의 탄성률을 크게 함으로써, 계면에 대한 오목부의 전사를 억제하고, 그 결과,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와 착색제를 함유하는 제 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고,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 2 수지층의 적어도 2 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수지층은,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조정하는 역할을 갖는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제 1 수지층이, 2 장의 상기 제 2 수지층에 협지 (挾持) 된 3 층 이상의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3 층 이상의 적층체로 함으로써, 양면에 오목부를 갖는 경우에도,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오목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는, 상기 오목부는,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 (각선상) 을 갖고, 또한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는, 상기 오목부는,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갖고, 또한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는, 상기 오목부는,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2 장의 유리판 사이에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적층된 적층체를 예비 압착 및 본 압착할 때 공기가 빠지기 쉬운 것은, 상기 오목부의 저부의 연통성 및 평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적어도 일방의 면의 오목부의 형상을,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저부의 연통성은 보다 우수하고, 예비 압착 및 본 압착시에 현저하게 탈기성이 향상된다.
또,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적어도 일방의 면의 오목부의 형상을,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저부의 연통성은 보다 우수하고, 예비 압착 및 본 압착시에 현저하게 탈기성이 향상된다.
또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적어도 일방의 면의 오목부의 형상을,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저부의 연통성은 보다 한층 더 우수하고, 예비 압착 및 본 압착시에 보다 한층 더 현저하게 탈기성이 향상된다.
또한,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는」이란, 오목부를 갖는 중간막의 표면을 관찰했을 때에, 일정한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병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이란,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병렬되어 있어도 되고,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지만, 모든 인접하는 상기 오목부의 간격이 등간격이 아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 에, 표면에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등간격, 또한 인접하는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냈다. 도 3 에, 표면에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을, 3 차원 조도 측정기 (KEYENCE 사 제조, 「KS-1100」, 선단 헤드 형번 「LT-9510VM」) 를 사용하여 측정한 3 차원 조도의 화상 데이터를 나타냈다.
상기 오목부를 갖는 표면의 조도 (Rz) 의 바람직한 하한은 5 ㎛, 바람직한 상한은 90 ㎛ 이다. 상기 오목부를 갖는 표면의 조도 (Rz) 를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우수한 탈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갖는 표면의 조도 (Rz) 는, JIS B-0601 (1994)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갖는 표면의 조도 (Rz) 란, JIS B-0601 (1994) 「표면 조도-정의 및 표시」에 규정되는, JIS B-0601 (1994)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중간막의 10 점 평균 조도 (Rz) 를 의미한다. 상기 오목부의 조도 (Rz) 는, 예를 들어, 측정기로서 코사카 연구소사 제조 「Surfcorder SE300」을 사용하고, 측정시의 촉침계 조건을, 컷오프값 = 2.5 ㎜, 기준 길이 = 2.5 ㎜, 평가 길이 = 12.5 ㎜, 촉침의 선단 반경 = 2 ㎛, 선단 각도 = 60 °, 측정 속도 = 0.5 ㎜/s 의 조건으로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측정시의 환경을 23 ℃ 및 30 RH% 하로 한다. 촉침을 움직이는 방향은, 오목부가 각선상인 경우에는 홈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하고, 오목부가 각선상 이외인 경우에는 임의의 방향으로 한다.
상기 각선상의 오목부의 조도 (Rz) 의 바람직한 하한은 10 ㎛, 바람직한 상한은 90 ㎛ 이다. 상기 각선상의 오목부의 조도 (Rz) 를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우수한 탈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각선상의 오목부의 조도 (Rz) 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 ㎛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선상의 오목부의 조도 (Rz) 는, 상기 서술한 JIS B-0601 (1994)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인접하는 상기 각선상의 오목부의 간격의 바람직한 하한은 10 ㎛, 바람직한 상한은 500 ㎛ 이다. 상기 각선상의 오목부의 간격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우수한 탈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각선상의 오목부의 간격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5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0 ㎛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선상의 오목부의 간격은, 광학 현미경 (예를 들어, SONIC 사 제조, 「BS-8000III」등) 을 사용하여,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 (관찰 범위 20 ㎜ × 20 ㎜) 을 관찰하고, 인접하는 오목부의 간격을 측정한 후에, 인접하는 오목부의 최저부 사이의 최단 거리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얻어진다.
오목부가 각선상 이외인 경우에는, 상기 오목부를 갖는 표면의 오목부의 간격 (Sm) 은 6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0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써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롤상으로 권취한 경우의, 합판 유리용 중간막끼리의 자착력 (自着力) 을 저하시키고, 권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오목부가 각선상 이외인 경우의 오목부의 간격 (Sm) 은, 예를 들어, JIS B-0601 (1994) 「표면 조도-정의 및 표시」에 규정되는, JIS B-0601 (1994) 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중간막의 표면의 오목부의 평균 간격 (Sm) 을 의미한다. 상기 오목부의 간격 (Sm) 은, 측정기로서 코사카 연구소사 제조 「Surfcorder SE300」을 사용하고, 측정시의 촉침계 조건을, 컷오프값 = 2.5 ㎜, 기준 길이 = 2.5 ㎜, 평가 길이 = 12.5 ㎜, 촉침의 선단 반경 = 2 ㎛, 선단 각도 = 60 °, 측정 속도 = 0.5 ㎜/s 의 조건으로 측정을 실시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측정시의 환경을 23 ℃ 및 30 RH% 하로 한다. 촉침을 움직이는 방향은, 임의의 방향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수지층은,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전체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일부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에 있어서의 셰이드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부에만 상기 제 1 수지층을 배치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상기 적층체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으로부터의 착색제의 전사를 억제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통상적으로는 롤상으로 권취한 상태로 보관되고, 그 롤상체로부터 인출하여 합판 유리의 제조에 제공된다.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가 되도록 다량의 착색제를 배합한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착색제의 일부가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에 블리드아웃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롤상체에서의 보관 중이나, 롤상체로부터 인출한 후의 작업 중에, 블리드아웃된 착색제가 다른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나 작업자의 손 등에 전사되는 경우가 있다.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 2 수지층을 적층함으로써, 착색제를 함유하는 제 1 수지층으로부터의 착색제의 전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와 착색제를 함유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닐리덴-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삼불화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세탈,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 99.8 몰% 의 범위 내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0 을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미만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에 포함되어 있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의 바람직한 하한은 3, 바람직한 상한은 6 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고, 또 가소제의 블리드아웃을 방지할 수 있다. 알데히드의 탄소수를 6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비닐아세탈의 합성을 용이하게 하고,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가 3 ∼ 6 의 알데히드로는, 직사슬형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분지형의 알데히드여도 되고, 예를 들어, n-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데히드로서,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 10 의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 10 의 알데히드로는, 예를 들어,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 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수산기의 함유율 (수산기량) 은,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또는 ASTM D1396-92 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틸화도 (아세틸기량) 는, 바람직하게는 0.1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과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합판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아세탈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또는 ASTM D1396-92 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의 아세탈화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부티랄화도) 는,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3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3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과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을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아세탈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 또는 ASTM D1396-92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아세틸화도와 수산기의 함유율을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몰분율을 산출하고, 이어서 100 몰% 로부터 아세틸화도와 수산기의 함유율을 빼는 것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수산기량), 아세탈화도 (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수산기량), 아세탈화도 (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부터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배합되는 안료,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이하게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 (Tv) 을 5 % 이하로 할 수 있는 점에서, 안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퀴논, 안트라퀴논의 유도체, 페릴렌, 페릴렌의 유도체, 산화티탄, 산화티탄의 유도체, 아조 화합물,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의 친화성이 높고, 블리드아웃되기 어려운 점에서,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퀴논, 안트라퀴논의 유도체, 페릴렌, 페릴렌의 유도체,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고, 카본 블랙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은,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 (Tv) 을 5 % 이하로 할 수 있는 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착색제가 카본 블랙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수지층 100 질량% 에 대한 카본 블랙의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 질량%, 바람직한 상한은 0.30 질량% 이다. 상기 카본 블랙의 함유량이 이 범위 내이면, 블리드아웃을 방지하면서, 착색 합판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 (Tv) 을 5 %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02 질량%,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0.20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0.03 질량%,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0.10 질량%,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0.08 질량%, 가장 바람직한 상한은 0.05 질량% 이다.
상기 제 1 수지층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로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 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가소제나, 유기 인산 화합물, 유기 아인산 화합물 등의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가소제로서,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수지층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바람직한 하한은 25 질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80 질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이 범위 내이면, 높은 내관통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70 질량부이다.
상기 제 1 수지층은, 최외층으로서 유리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는,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로서, 예를 들어,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합판 유리를 제조할 때에, 유리와 중간막의 접착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마그네슘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을 구성하는 산으로는, 예를 들어, 옥틸산, 헥실산, 2-에틸부티르산, 부티르산, 아세트산, 포름산 등의 카르복실산의 유기산, 또는 염산, 질산 등의 무기산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접착력 조정제로서 변성 실리콘 오일, 난연제, 대전 방지제, 내습제, 열선 반사제, 형광제, 열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제 2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다. 상기 제 2 수지층에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상기 제 1 수지층에 함유되는 것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수지층은, 상기 가소제, 접착력 조정제나,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접착력 조정제로서 변성 실리콘 오일, 난연제, 대전 방지제, 내습제, 열선 반사제, 형광제, 열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제 2 수지층은,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단, 블리드아웃이나 전사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의 소량이면,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수지층에 포함되는 착색제의 일부가, 당초에는 착색제가 포함되지 않는 상기 제 2 수지층으로 이행되는 경우에도, 블리드아웃이나 전사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의 소량이면, 상기 제 2 수지층은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001 질량부 이하의 착색제이면, 블리드아웃이나 전사가 발생하는 경우도 없고,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저해하는 경우도 없다.
상기 제 2 수지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지층에 함유되는 것과 동일한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수지층의 탄성률 (E1) 과, 상기 제 2 수지층의 탄성률 (E2) 의 비 (E1/E2) 가 1.25 이상이다. 이와 같이 탄성률이 높은 제 2 수지층을 적층함으로써, 엠보스 부여시의 오목부의 계면에 대한 전사를 방지하여,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 (E1/E2) 는,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수지층의 탄성률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제 1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믹싱롤로 충분히 혼련 (혼합) 한 후, 150 ℃ 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 800 ㎛ 의 성형체 (제 1 수지층) 를 얻는다. 얻어진 성형체를 덤벨사 제조의 수퍼 덤벨 커터 : SDK-600 으로 타발하여, 시험편을 얻는다. 얻어진 시험편을 23 ℃ 및 습도 30 %RH 로 12 시간 보관한다. 그 후, 23 ℃ 의 항온실에서 에이·앤드·디사 제조의 텐실론을 사용하고, 200 ㎜/min 으로, 시험편의 인장 시험을 실시한다.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의 변형이 0 ∼ 10 % 에서의 기울기를 산출하여, 영률로 한다. 얻어진 영률을 제 1 수지층의 탄성률로 한다. 제 2 수지층, 다른 수지층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23 ℃ 의 환경하에서, 중간막으로부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박리함으로써 얻어진 제 1 수지층을, 두께가 800 ㎛ 가 되도록 150 ℃ 에서 프레스 성형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150 ℃ 10 분간, 가압한 상태로 150 ℃ 10 분간) 한 후, 덤벨사 제조의 수퍼 덤벨 커터 : SDK-600 으로 타발하여, 시험편을 얻어도 된다.
상기 비 (E1/E2) 를 1.25 이상으로 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각각의 수지층에 사용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선택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의 가교도가 높을수록, 중량 평균 분자량이 높을수록, 수지층의 탄성률은 높아진다. 또, 수지층의 탄성률은, 상기 가소제의 배합량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으며, 가소제의 배합량이 많을수록, 수지층의 탄성률은 낮아진다. 또, 수지층의 탄성률은, 상기 착색제의 배합량에 의해서도 조절할 수 있으며, 착색제의 배합량이 많을수록, 수지층의 탄성률이 높아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수지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을 0.07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E2 에 대한 E1 의 값을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지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을 0.09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E2 에 대한 E1 의 값을 보다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지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을 0.12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E2 에 대한 E1 의 값을 더욱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수지층의 두께 (t1) 와, 상기 제 2 수지층의 두께 (t2) 의 비 (t1/t2) 가 2.0 이하이다. 제 2 수지층의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함으로써, 엠보스 부여시의 오목부의 계면에 대한 전사를 방지하여,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 (t1/t2) 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수지층의 평균 두께를 100 ∼ 500 ㎛, 제 2 수지층의 평균 두께를 10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100 ∼ 500 ㎛ 의 범위 내이면, 상기 착색제의 배합에 의해,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의 가시광선 투과율 (Tv) 을 5 % 이하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지층의 평균 두께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0 ㎛,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50 ㎛ 이고,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200 ㎛,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300 ㎛,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400 ㎛ 이다.
상기 제 2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100 ㎛ 이상이면, 상기 제 1 수지층의 평균 두께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20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수지층의 평균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0 ㎛ 정도가 실질적인 상한이다.
또한,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각 수지층의 두께는, 예리한 면도날로, 각 수지층의 단면 (斷面) 이 노출되도록, 상기 중간막을 두께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단한 후, 상기 중간막의 노출된 단면을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하여, 스케일 바 (마이크로 게이지) 및 간이 계측 기능에 의해 상기 중간막의 각 수지층의 두께를 측정한다.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로는, 예를 들어, OLYMPUS 사 제조 「DSX500」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간이 계측 기능에서는 평행 폭 거리 또는 2 점간 거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관찰시의 배율은 277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야 범위는 980 ㎛ × 98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임의의 20 지점을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로 관찰하고, 동일 시야의 각 수지층의 5 지점의 두께를 측정한다. 합계 20 × 5 지점, 즉 100 지점의 측정 결과 중에서 평균값을 구하고, 제 1 수지층의 평균 두께, 제 2 수지층의 평균 두께를 구한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이다. 이로써, 우수한 의장성, 프라이버시 보호성, 차광성 등을 발휘할 수 있고, 차량의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루프 유리나 건축물 등의 창 유리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 (Tv) 은,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은, 이하의 순서에 따라 측정된다.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하고, 얻어진 합판 유리의 임의의 20 지점에 대해, 분광 광도계 (히타치 하이테크사 제조 「U-4100」) 를 사용하여, JIS R 3106 (1998) 에 준거하여, 얻어진 합판 유리의 파장 380 ∼ 780 ㎚ 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가시광선 투과율의 20 점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구하고, 가시광선 투과율의 평균값을 표준 편차로 나눈 값 (가시광선 투과율의 평균값/표준 편차) 을 CV 값으로서 산출하였다.
또한,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측정에 있어서 측정의 편차가 억제되는 점에서, 사용하는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는, 1 장의 두께가 2.4 ∼ 2.5 ㎜, 또한 1 장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90.0 ∼ 91.0 % 인 클리어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1 장의 두께가 2.5 ㎜, 1 장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90.5 % 인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오목부를 갖는다. 이로써, 합판 유리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탈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오목부가,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 (각선상) 을 갖고, 인접하는 그 각선상의 오목부가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비 (E1/E2) 가 1.25 이상이고, 또한, 비 (t1/t2) 가 2.0 이하인 것에 의해, 각선상의 오목부를 갖는 경우에도,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을 공압출법에 의해 압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공압출법에 의해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피드 블록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드 블록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220607호 공보를 참조하길 바란다. 피드 블록법에 사용하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제조 장치는, 1 개의 최표층 형성용의 제 1 압출기를 갖는다. 제 1 압출기에는, 층 배치용 가이드에 형성된 1 개의 제 1 공급공이 접속되어 있고, 그 층 배치용 가이드 내에 있어서, 최표층 형성용 유로의 일단이 그 제 1 공급공에 접속되어 있다. 그 최표층 형성용 유로는 중간에 있어서 제 1, 제 2 분기 유로로 분기되어 있고, 제 1, 제 2 분기 유로의 단부 (端部) 가 제 1, 제 2 최표층 형성용 출구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피드 블록법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지층이 일부에만 배치되어 있는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층의 두께나 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색 줄무늬나 색 빠짐이 없는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이, 1 쌍의 유리판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착색 합판 유리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상기 유리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 판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트 판유리, 마판유리, 형 (型) 판유리, 철망 유리, 선입 (線入) 판유리, 착색된 판유리, 열선 흡수 유리, 열선 반사 유리, 그린 유리 등의 무기 유리를 들 수 있다. 또, 유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 코트층을 갖는 자외선 차폐 유리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플라스틱스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판으로서, 2 종류 이상의 유리판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투명 플로트 판유리와, 그린 유리와 같은 착색된 유리판 사이에, 본 발명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적층한 착색 합판 유리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유리판으로서, 2 종 이상의 두께가 상이한 유리판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이면서, 부위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가 작고, 미관이 우수한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착색 합판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표면에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등간격, 또한 인접하는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표면에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등간격, 또한 인접하는 오목부가 평행하게 병렬되어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표면에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인 오목부가 규칙적으로 병렬되어 있는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표면을 3 차원 조도 측정기로 측정한 3 차원 조도의 화상 데이터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제 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평균 중합도가 1700 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아세틸기량 1 몰%, 부티랄기량 69 몰%, 수산기량 30 몰% 의 폴리비닐부티랄을 얻었다 (이하, 「PVB」라고도 한다). 얻어진 PVB 100 질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40 질량부, 착색제로서 카본 블랙을 첨가하고, 믹싱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 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착색제의 첨가량은, 제 1 수지층 100 질량% 중, 0.095 질량% 가 되는 양이고, 얻어지는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 100 질량% 중, 0.038 질량% 가 되는 양으로 하였다.
(2) 제 2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PVB 100 질량부에 대해,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GO) 40 질량부를 첨가하고, 믹싱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 2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3)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얻어진 제 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과 제 2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 온도 200 ℃ 의 조건으로 압출함으로써, 제 1 수지층/제 2 수지층의 2 층 구조의 적층체를 얻었다.
(4) 오목부의 형성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와 다수의 미세한 볼록부가 형성된 1 쌍의 엠보스롤을 미세 요철 전사 장치로서 사용하고, 얻어진 적층체를 이 엠보스롤에 통과시켜,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와 다수의 미세한 볼록부가 형성된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1 쌍의 엠보스롤을 요철 형상 전사 장치로서 사용하고, 얻어진 다수의 미세한 오목부와 다수의 미세한 볼록부가 형성된 적층체를 이 엠보스롤에 통과시키고, 적층체의 양면에, 저부가 연속된 홈 형상 (각선상) 인 오목부가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표면 조도 (Rz) 31 ㎛ 의 오목부를 부여하여,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얻었다. 상기 1 쌍의 엠보스롤은, 삼각형 사선형 밀을 사용하여 표면에 밀 가공을 실시한 금속롤과, 45 ∼ 75 의 JIS 경도를 갖는 고무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면 조도 (Rz) 는 JIS B-0601 (1994)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홈 형상 (각선상) 인 오목부를 형성할 때의 전사 조건으로서, 적층체의 온도를 95 ℃, 롤 온도를 130 ℃, 프레스압을 500 ㎪ 로 하였다.
얻어진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대해,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각 수지층의 탄성률 및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제 1 수지층의 탄성률 (E1) 은 9.6 N/㎟, 두께 (t1) 는 305 ㎛ 였다. 또, 제 2 수지층의 탄성률 (E2) 은 7.0 N/㎟, 두께 (t2) 는 455 ㎛ 였다.
(5) 착색 합판 유리의 제조
얻어진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세로 5 ㎝ × 가로 5 ㎝ 의 1 쌍의 클리어 유리 (두께 1.0 ㎜) 사이에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진공 라미네이터로 90 ℃ 하, 30 분 유지하면서 진공 프레스를 실시하여 압착하였다. 압착 후 140 ℃, 14 ㎫ 의 조건으로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20 분간 압착을 실시하여, 착색 합판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 3)
착색제의 양 및 각 수지층의 두께가 표 1 에 기재된 값이 되도록, 제 2 수지층/제 1 수지층/제 2 수지층의 3 층 구조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여, 착색 합판 유리를 얻었다.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의 제조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제 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착색제의 첨가량을, 얻어진 제 1 수지층 100 질량% 중, 0.052 질량% 가 되는 양이고, 얻어지는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 100 질량% 중, 0.037 질량% 가 되는 양으로 변경하였다. 이 제 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각 수지층의 두께가 표 1 에 기재된 값이 되는 3 층 구조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여, 착색 합판 유리를 얻었다.
(비교예 2)
제 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착색제의 첨가량을, 얻어진 제 1 수지층 100 질량% 중, 0.043 질량% 가 되는 양이고, 얻어지는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전체 100 질량% 중, 0.037 질량% 가 되는 양으로 변경하였다. 이 제 1 수지층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각 수지층의 두께가 표 1 에 기재된 값이 되는 3 층 구조의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8, 비교예 3 ∼ 6)
가소제의 양, 착색제의 농도 및 각 수지층의 두께가 표 2 에 기재된 값이 되도록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를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합판 유리용 중간막에 대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냈다.
(가시광선 투과율의 측정)
얻어진 합판 유리의 임의의 20 지점에 대해, 분광 광도계 (히타치 하이테크사 제조 「U-4100」) 를 사용하여, JIS R 3106 (1998) 에 준거하여, 파장 380 ∼ 780 ㎚ 에 있어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가시광선 투과율의 20 점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얻어진 표준 편차를 가시광선 투과율의 평균값으로 나누어, 100 배한 값 (표준 편차/가시광선 투과율의 평균값 × 100) 을 CV 값으로서 산출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클리어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90.5 % 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의하면, JIS R3202 (1996) 에 준거한 2 장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여 합판 유리를 제조했을 때에, 가시광선 투과율 (Tv) 이 5 % 이하이면서, 부위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의 편차가 작고, 미관이 우수한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그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착색 합판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본원의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
KR1020227014498A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KR20220061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3261 2016-08-03
JP2016153260 2016-08-03
JPJP-P-2016-153261 2016-08-03
JPJP-P-2016-153260 2016-08-03
PCT/JP2017/028132 WO2018025932A1 (ja) 2016-08-03 2017-08-02 着色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着色合わせガラス
KR1020187033858A KR102554523B1 (ko)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858A Division KR102554523B1 (ko)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278A true KR20220061278A (ko) 2022-05-12

Family

ID=6107343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858A KR102554523B1 (ko)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KR1020227014498A KR20220061278A (ko)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KR1020187033571A KR20190035606A (ko)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KR1020227022855A KR102623134B1 (ko)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858A KR102554523B1 (ko)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571A KR20190035606A (ko)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KR1020227022855A KR102623134B1 (ko) 2016-08-03 2017-08-02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117351B2 (ko)
EP (2) EP3495333A4 (ko)
JP (2) JP6949715B2 (ko)
KR (4) KR102554523B1 (ko)
CN (2) CN109562990A (ko)
MX (2) MX2019001178A (ko)
TW (2) TWI749041B (ko)
WO (2) WO2018025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20815A2 (pt) * 2018-04-16 2021-01-19 Sekisui Chemical Co., Ltd Película intercamadas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para teto de automóvel
JPWO2020203278A1 (ko) * 2019-03-29 2020-10-08
WO2021045037A1 (ja) * 2019-09-02 2021-03-1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車両後方情報取得システム
US11446903B2 (en) * 2019-11-25 2022-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layer glass panel for a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7283639B2 (ja) * 2020-08-12 2023-05-3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成型品の製造方法
WO2022056436A1 (en) * 2020-09-14 2022-03-17 Scott Freeman Colored automotive windows
CN116406327A (zh) * 2020-11-13 2023-07-0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CN115635746B (zh) * 2022-10-24 2024-01-1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不同可见光透过率的夹层玻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8026A (ja) 2009-04-15 2010-11-04 Bridgestone Corp 合わせガラス用着色中間膜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0309A (en) 1975-04-15 1976-10-21 Mazda Motor Corp Intake device for rotary piston engine
JPH01215621A (ja) * 1988-02-23 1989-08-29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天窓材
JP3419416B2 (ja) * 1993-08-23 2003-06-23 株式会社クラレ 熱線遮蔽性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US6239211B1 (en) * 2000-01-24 2001-05-29 Dow Corning Corporation Emulsions containing silicone polymers
EP1845070B1 (en) * 2005-02-03 2012-10-2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07055822A (ja) * 2005-08-22 2007-03-08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GB0602941D0 (en) * 2006-02-14 2006-03-22 Pilkington Automotive Ltd Glazing
US8053079B2 (en) * 2006-09-14 2011-11-0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Sheet glass laminate structure and mulitiple glass laminate structure
JP5450577B2 (ja) 2011-12-16 2014-03-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そ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CN104507887A (zh) * 2012-08-02 2015-04-0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US10513092B2 (en) * 2012-11-14 2019-12-24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glass interlayer and laminated glass
WO2015015601A1 (ja) * 2013-07-31 2015-02-05 株式会社クラレ 透明性、熱割れ現象抑制に優れる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フィルム
MX2016001067A (es) * 2013-08-01 2017-07-27 Sekisui Chemical Co Ltd Capa intermedia de vidrio laminado y vidrio laminado.
CN113858713B (zh) * 2013-08-01 2023-10-1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层合玻璃用中间膜及层合玻璃
EP3127880A4 (en) * 2014-03-31 2017-09-2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N111763017A (zh) * 2014-04-09 2020-10-1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辊状体、夹层玻璃及夹层玻璃的制造方法
JP2016041634A (ja) * 2014-08-15 2016-03-3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US9809009B2 (en) *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 having improved optical an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EP3034297A1 (fr) * 2014-12-19 2016-06-22 AGC Glass Europe Vitrage feuilleté
RU2017134988A (ru) 2015-04-08 2019-04-05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ый слой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US20170015082A1 (en) * 2015-07-16 2017-01-19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having enhanced surface roughness
EP3248775A1 (en) * 2016-05-25 2017-11-2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Laminated glass
US10589495B2 (en) * 2016-06-21 2020-03-17 Solutia Inc. Polymeric interlayers and multiple layer panels made therefrom exhibiting enhanced properties and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8026A (ja) 2009-04-15 2010-11-04 Bridgestone Corp 合わせガラス用着色中間膜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9001178A (es) 2019-07-22
KR20220101003A (ko) 2022-07-18
EP3495333A4 (en) 2020-03-11
TWI749041B (zh) 2021-12-11
JPWO2018025937A1 (ja) 2019-06-06
CN109219585A (zh) 2019-01-15
US20190299569A1 (en) 2019-10-03
JPWO2018025932A1 (ja) 2019-06-06
KR102554523B1 (ko) 2023-07-11
US20210362478A1 (en) 2021-11-25
JP6943767B2 (ja) 2021-10-06
KR20190035606A (ko) 2019-04-03
MX2019001177A (es) 2019-07-22
EP3495332A1 (en) 2019-06-12
US10926515B2 (en) 2021-02-23
EP3495332A4 (en) 2020-04-08
KR20190038476A (ko) 2019-04-08
KR102623134B1 (ko) 2024-01-09
TWI742126B (zh) 2021-10-11
WO2018025937A1 (ja) 2018-02-08
US11117351B2 (en) 2021-09-14
WO2018025932A1 (ja) 2018-02-08
CN109562990A (zh) 2019-04-02
JP6949715B2 (ja) 2021-10-13
TW201819182A (zh) 2018-06-01
US11724480B2 (en) 2023-08-15
EP3495333A1 (en) 2019-06-12
TW201825436A (zh) 2018-07-16
US20190291389A1 (en)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523B1 (ko) 착색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착색 합판 유리
JP6170638B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2215670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유리용 중간막, 롤상체 및 자동차용 프론트 유리
JP6698545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6052615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ロール状体、合わせガラス、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状体の製造方法
WO2017057625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70134388A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6853290B2 (ja) 熱可塑性樹脂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2475493B1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롤상체, 합판 유리, 및 합판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375982B1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6835715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514721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2017443B1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