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947A -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947A
KR20220052947A KR1020227007425A KR20227007425A KR20220052947A KR 20220052947 A KR20220052947 A KR 20220052947A KR 1020227007425 A KR1020227007425 A KR 1020227007425A KR 20227007425 A KR20227007425 A KR 20227007425A KR 20220052947 A KR20220052947 A KR 20220052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alizer
rail
hydraulic cylinder
equalizer beam
pres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죠 이시노
Original Assignee
아이에이치아이 운판키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이치아이 운판키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에이치아이 운판키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8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locking trolleys or cranes to runways or tracks to prevent inadvertent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bstract

최하단의 이퀄라이저 장치에서의 하부 이퀄라이저 빔(9c)(하측 이퀄라이저 빔)과 레일(4) 사이에 레일(4)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압압 프레임(50)과, 압압 프레임(50)의 레일(4)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 양 단부와 최하단의 이퀄라이저 장치에서의 하부 이퀄라이저 빔(9c)(하측 이퀄라이저 빔)의 양 측면 사이에 장착되고 또한 압압 프레임(50)을 승강시키는 유체압 실린더(13)와, 압압 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패드(12)를 갖는 제동 기구(40)를 구비하고, 유체압 실린더(13)는 유체압 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3b)에 작용하는 굽힘력을 흡수하는 탄성 부재(60)를 통하여 고정된다.

Description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
본 발명은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궤도 주행식 기계로서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부호 1은 컨테이너 크레인, 도면부호 2는 컨테이너 크레인(1)이 배비(配備)되는 항만, 도면부호 3은 항만(2)에서의 안벽(岸壁), 도면부호 4는 안벽(3)에 도 1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설된 레일이고, 컨테이너 크레인(1)의 크레인 본체(5)의 지지 다리(6)에는 레일(4)을 따라 전동 가능한 주행 차륜(7)을 갖는 주행 장치(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1)은, 하역 작업 중에 강풍을 만나면, 운전자의 의도에 반하여 주행이 멈추지 않고 일주(逸走)해 버려, 인접하는 기계나 근접 구조물로의 충돌이나 도괴(倒壞)에 이를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궤도 주행식 기계의 일주를 방지하는 장치로서는,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클램프 장치(clamp device)가 있다. 상기 클램프 장치는, 선단부에 끼우기부(挾み部; clamping)가 형성된 한쌍의 접촉자(contats)를 그 대략 중간부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한 끼우기 기구(clamp mechanism)와, 상기 끼우기 기구에서의 상기 접촉자의 기단부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접촉자의 기단부 사이를 좁혀서 상기 끼우기부가 상시 레일을 끼우는 폐(閉)방향으로 상기 접촉자를 회동시키도록 한 스프링 기구와, 상기 한쌍의 접촉자의 기단부에 형성된 캠 수용부(受部)(cam-receiving parts)를 그 내측으로부터 밀어 여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끼우기부에 의한 레일의 클램핑을 해방하기 위한 회전 캠(rotary cam)을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클램프 장치에서는, 레일을 양측에서 클램프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레일면과의 마찰계수를 높이기 위해 클램프 장치측의 접촉면에 들쭉날쭉한 치형을 붙이거나, 혹은 접촉면을 경화시켜 줄판과 같이 하거나 하는 경우, 레일의 측면에 상처를 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레일의 측면의 정밀도가 낮고, 그 폭방향에서의 중심선으로부터 측면까지의 치수에 좌우에서 편차가 생기는 경우, 혹은 레일의 부식 등이 생기는 경우, 상기 끼우기부에 의한 클램프가 균일하게 행해지지 않고 체결력이 크게 저하되어 버려, 충분한 파지력(gripping force)이 얻어지지 않게 될 가능성도 있었다.
이러한 불량을 해소하기 위해, 레일의 주행 차륜 전동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pressing)·이반(離反; separating)시킬 수 있는 유압 실린더 등의 유체압 실린더를 구비한 제동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72690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58805호
그런데, 최근,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1) 등의 궤도 주행식 기계에 있어서는, 상기 주행 장치(8)의 하부에 제동 장치를 마련할 수 있게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특히, 이미 설치된 궤도 주행식 기계의 개조 등을 수행할 때, 크레인 본체(5)의 지지 다리(6) 사이에 상기 지지 다리(6)를 연결하도록 레일(4)을 따라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의 아래에 제동 장치를 마련할 수 없는 경우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제동 장치로는, 유체압 실린더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주행 장치(8)의 하부에 제동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조시에서의 설치 개소의 제약을 없애고, 설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 위를 주행하는 지지 다리의 하부에, 주행 방향과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 핀(locker pin)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측 이퀄라이저 빔과, 상기 상측 이퀄라이저 빔의 주행 방향 양 단부에 주행 방향과 직교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 핀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하측 이퀄라이저 빔으로 이루어진 이퀄라이저 장치를 적어도 1단 갖고, 최하단의 이퀄라이저 장치에서의 하측 이퀄라이저 빔의 주행 방향 양 단부에 레일을 따라 전동 가능한 주행 차륜이 배치된 주행 장치를 구비한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이퀄라이저 장치에서의 하측 이퀄라이저 빔과 레일 사이에 상기 레일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압압 프레임(pressing frame)과, 상기 압압 프레임의 레일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 양 단부와 상기 최하단의 이퀄라이저 장치에서의 하측 이퀄라이저 빔의 양 측면 사이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압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유체압 실린더와, 상기 압압 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갖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에 작용하는 굽힘력(bending force)을 흡수하는 탄성 부재를 통하여 고정되는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측 이퀄라이저 빔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브라켓의 하면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면에 체결 부재로 고정되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실린더 본체 뒷면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는 상기 압압 프레임에 비틀어 박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와 유체압 실린더의 실린더 본체 뒷면 사이에 장착되는 금속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에 의하면, 개조시에서의 설치 개소의 제약을 없애고, 설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궤도 주행식 기계로서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요구성도로서, 제동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화살표 표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요구성도로서, 제동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의 참고예를 나타내는 개요구성도로서, 제동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의 실시예로서, 도면 중,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궤도 주행식 기계로서의 컨테이너 크레인(1)에서는, 크레인 본체(5)의 지지 다리(6) 사이에, 상기 지지 다리(6)를 연결하도록 레일(4)을 따라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6a)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6a)의 바닥면측에 복수(도 2의 예에서는 2기)의 주행 장치(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주행 장치(8)는 상부 이퀄라이저 빔(9a)과, 중간부 이퀄라이저 빔(9b)과, 하부 이퀄라이저 빔(9c), 및 주행 차륜(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 이퀄라이저 빔(9a)은, 상기 하부 프레임(6a)의 바닥면측에, 주행 방향과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 핀(10a)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부 이퀄라이저 빔(9b)은 상기 상부 이퀄라이저 빔(9a)의 주행 방향 양 단부에 주행 방향과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 핀(10b)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이퀄라이저 빔(9c)은 상기 중간부 이퀄라이저 빔(9b)의 주행 방향 양 단부에 주행 방향과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 핀(10c)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 차륜(7)은 상기 하부 이퀄라이저 빔(9c)의 주행 방향 양 단부에 레일(4)을 따라 전동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부 이퀄라이저 빔(9a)과 중간부 이퀄라이저 빔(9b)으로 이루어진 이퀄라이저 장치(9A)와, 중간부 이퀄라이저 빔(9b)과 하부 이퀄라이저 빔(9c)으로 이루어진 이퀄라이저 장치(9B)가 상하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상단의 상기 이퀄라이저 장치(9A)에서의 상부 이퀄라이저 빔(9a)은 상측 이퀄라이저 빔이 되고, 중간부 이퀄라이저 빔(9b)은 하측 이퀄라이저 빔이 된다. 또한, 하단의 상기 이퀄라이저 장치(9B)에서의 중간부 이퀄라이저 빔(9b)은 상대적으로 상측 이퀄라이저 빔이 되고, 하부 이퀄라이저 빔(9c)은 하측 이퀄라이저 빔이 된다. 단, 상기 궤도 주행식 기계로서의 컨테이너 크레인(1)의 규모에 따라서, 상기 이퀄라이저 장치(9A)를 일단만 형성하여, 하측 이퀄라이저 빔(이 경우에는 중간부 이퀄라이저 빔(9b))에 주행 차륜(7)을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이퀄라이저 장치를 상하 3단계 이상 형성하여, 최하단의 이퀄라이저 장치에서의 하측 이퀄라이저 빔의 주행 방향 양 단부에 레일(4)을 따라 전동 가능한 주행 차륜(7)을 배치해도 좋다.
상기 하부 이퀄라이저 빔(9c)(하측 이퀄라이저 빔)은, 복수개(도 3 및 도 4의 예에서는 2개)의 판재(9cp)가 레일(4)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어서 배치되고, 상기 판재(9cp) 사이를 연결하는 판재(9cq)가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 장치(8)의 각각에는 제동 기구(40)가 배치되어 있다. 단, 반드시 상기 주행 장치(8)의 각각에 제동 기구(40)를 배치할 필요는 없고, 충분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제동 기구(40)는 한개라도 좋다.
상기 제동 기구(40)는 상기 주행 차륜(7)이 배치된 하부 이퀄라이저 빔(9c)(하측 이퀄라이저 빔)에 부착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프레임(50)과, 유체압 실린더(13), 및 브레이크 패드(12)를 갖고 있다.
상기 제동 기구(40)의 압압 프레임(50)은 상기 하부 이퀄라이저 빔(9c)(하측 이퀄라이저 빔)과 레일(4) 사이에 상기 레일(4)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동 기구(40)의 유체압 실린더(13)는, 상기 압압 프레임(50)의 레일(4)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 양 단부와 상기 하부 이퀄라이저 빔(9c)(하측 이퀄라이저 빔)의 양 측면 사이에, 상기 압압 프레임(50)을 승강시키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 이퀄라이저 빔(9c)(하측 이퀄라이저 빔)에는 고정 프레임(51)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51)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브라켓(52)의 하면에 탄성 부재(60)(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 등)와 금속판(70)(예를 들어, 강판 등)을 통하여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실린더 본체(13a)가 볼트 등의 체결 부재(80)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본체(13a)로부터 수하(垂下)되는(hanging down) 피스톤 로드(13b)의 선단부는 상기 압압 프레임(50)에 비틀어 박히고, 너트(90)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51)은 상기 압압 프레임(50)의 레일(4) 길이방향에서의 양 단면에 대치하는 스토퍼부(51a)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51a)에 의해 압압 프레임(50)의 레일(4)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게 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한편, 상기 유체압 실린더(1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쪽에 2개배치되어 있지만,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서 한개 혹은 3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동 기구(40)의 브레이크 패드(12)는 상기 압압 프레임(5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에는 유체압 유닛(14)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유체압 유닛(14)은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캡측 챔버(cap-side chamber, 13c)와 로드측 챔버(rod-side chamber, 13d)로 오일 등의 작동 유체를 급배(給排) 가능하고 또한 상기 유체압 실린더(13)를 신축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하에서 그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유체압 유닛(14)은 작동 유체가 저류된 탱크(15)로부터 연장되는 압송 라인(16)과, 유체압 실린더(13)의 캡측 챔버(13c)(피스톤 로드(13b)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측의 챔버)에 접속되는 캡측 라인(17)과, 유체압 실린더(13)의 로드측 챔버(13d)(피스톤 로드(13b)가 돌출되어 있는 측의 챔버)에 접속되는 로드측 라인(18), 및 상기 탱크(15)로 이르는 리턴 라인(19)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송 라인(16) 도중에는, 모터(20)로 구동되는 펌프(21)와, 상기 펌프(21)로 압송되는 작동 유체의 역류를 저지하는 역지(逆止) 밸브(22, chack valve)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압송 라인(16) 및 리턴 라인(19)과, 상기 캡측 라인(17) 및 로드측 라인(18)은 솔레노이드 밸브(23)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역지 밸브(22)와 솔레노이드 밸브(23) 사이에서의 압송 라인(16) 도중으로부터 분기시킨 축압 라인(24, accumulation line)에는 어큐뮬레이터(25)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3)는 브레이크 작동 포지션(23A)과 브레이크 해제 포지션(23B)을 갖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 작동 포지션(23A)은 상기 압송 라인(16)과 캡측 라인(17)을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펌프(21)에 의해 압송되는 작동 유체를 유체압 실린더(13)의 캡측 챔버(13c)로 도입하면서, 상기 로드측 라인(18)과 리턴 라인(19)을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로드측 챔버(13d)의 작동 유체를 탱크(15)로 배출하는 포지션이다. 상기 브레이크 해제 포지션(23B)은, 상기 압송 라인(16)과 로드측 라인(18)을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펌프(21)에 의해 압송되는 작동 유체를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로드측 챔버(13d)로 도입하면서, 상기 캡측 라인(17)과 리턴 라인(19)을 연통시킴으로써,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캡측 챔버(13c)의 작동 유체를 탱크(15)로 배출하는 포지션이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23)는 비상 정지시(긴급을 요하는 의도적인 전원 차단시) 및 정전시에는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스프링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상기 브레이크 작동 포지션(23A)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펌프(21)와 역지 밸브(22) 사이에서의 압송 라인(16) 도중에는, 상기 탱크(15)에 이르는 릴리프 라인(26, relief line)이 분기 접속되고, 상기 릴리프 라인(26) 도중에는, 상기 압송 라인(16)에서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이 되었을 때 개방되어 작동 유체를 탱크(15)로 리턴시키는, 릴리프 밸브(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축압 라인(24) 도중에는, 상기 축압 라인(24)에서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고위 설정압에 달했을 때 작동하는 고위 압력 스위치(28H)와, 상기 축압 라인(24)에서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저위 설정압에 달했을 때 작동하는 저위 압력 스위치(28L)와, 상시 개방(노멀 개방)이고 또한 상기 고위 압력 스위치(28H)의 작동시에 폐쇄되는 셧오프(shutoff) 밸브(28V)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축압 라인(24)에서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상기 어큐뮬레이터(25)의 설정압에 달했을 때에는 고위 압력 스위치(28H)가 작동해서 상기 펌프(21)의 모터(20)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 정지 지령이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셧오프 밸브(28V)가 폐쇄되는 한편, 상기 압력이 상기 어큐뮬레이터(25)의 설정압보다 저하되었을 때에는 저위 압력 스위치(28L)가 작동해서 상기 펌프(21)의 모터(20)에 대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구동 지령이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셧오프 밸브(28V)가 개방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축압 라인(24) 도중에는, 유지 보수 등에 상기 어큐뮬레이터(25)의 작동 유체를 탱크(15)에 빼내기 위한 드레인 라인(29)이 접속되고, 상기 드레인 라인(29)에는 작업자에 의해 개폐되는 수동 개폐 밸브(30)가 마련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압 유닛(14)의 솔레노이드 밸브(23)를 브레이크 해제 포지션(23B)으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압송 라인(16)과 로드측 라인(18)이 연통함으로써, 펌프(21)에 의해 압송되는 작동 유체가 유체압 실린더(13)의 로드측 챔버(13d)로 도입되면서, 캡측 라인(17)과 리턴 라인(19)이 연통함으로써, 유체압 실린더(13)의 캡측 챔버(13c)의 작동 유체가 탱크(15)로 배출된다. 이로써, 피스톤 로드(13b)가 유체압 실린더(13)의 내부에 수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압압 프레임(50)이 위쪽으로 끌어올려지고, 상기 압압 프레임(50)과 일체의 브레이크 패드(12)가 레일(4)의 주행 차륜 전동면(4a)으로부터 이반해서 제동이 해제되고, 컨테이너 크레인(1)은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체압 유닛(14)의 솔레노이드 밸브(23)를 브레이크 작동 포지션(23A)으로 전환하면, 압송 라인(16)과 캡측 라인(17)이 연통함으로써, 펌프(21)에 의해 압송되는 작동 유체가 유체압 실린더(13)의 캡측 챔버(13c)로 도입되면서, 로드측 라인(18)과 리턴 라인(19)이 연통함으로써,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로드측 챔버(13d)의 작동 유체가 탱크(15)로 배출된다. 이로써, 유체압 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3b)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압압 프레임(50)이 밑으로 눌려지고, 상기 압압 프레임(50)과 일체의 브레이크 패드(12)가 레일(4)의 주행 차륜 전동면(4a)에 눌려서 제동이 행하여진다.
한편, 상기 축압 라인(24)에서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상기 어큐뮬레이터(25)의 고위 설정압에 달했을 때에는 고위 압력 스위치(28H)가 작동하여, 상기 펌프(21)의 모터(20)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 정지 지령이 출력되는 동시에 셧오프 밸브(28V)가 폐쇄된다. 한편, 상기 압력이 상기 어큐뮬레이터(25)의 저위 설정압보다 저하되었을 때에는 저위 압력 스위치(28L)가 작동하여, 상기 펌프(21)의 모터(20)에 대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구동 지령이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셧오프 밸브(28V)가 개방된다. 이로써, 상기 어큐뮬레이터(25)는 상시, 고위 설정압과 저위 설정압 사이의 압력으로 축압된다. 더구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3)는, 비상 정지시 및 정전시에는 솔레노이드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스프링력에 의해 기계적으로 상기 브레이크 작동 포지션(23A)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셧오프 밸브(28V)는 상시 개방(노멀 개방)이고 비상 정지시 및 정전시에는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상 정지시 및 정전시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5)에 축압된 작동 유체가 축압 라인(24)으로부터 캡측 라인(17)을 통하여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캡측 챔버(13c)로 이끌려 피스톤 로드(13b)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12)가 레일(4)의 주행 차륜 전동면(4a)에 눌려진다. 그 결과, 비상 정지시 및 정전시에, 설령 펌프(21)가 정지하였다고 해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유체압 실린더(13)는 베이스가 되는 부재에 대하여 실린더 본체(13a)의 뒷면측이 핀 연결되는 동시에, 구동해야 할 부재에 대하여 피스톤 로드(13b)의 선단이 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핀 연결 구조에서는, 아무래도 그만큼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설치 개소의 제약이 커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실린더 본체(13a)의 뒷면측은 탄성 부재(60)와 금속판(70)을 통해 있기는 하지만 지지 브라켓(52)의 하면에 대하여 체결 부재(8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 본체(13a)로부터 수하되는 피스톤 로드(13b)의 선단부는 상기 압압 프레임(50)에 비틀어 박히고, 너트(90)로 고정되어 있고, 핀 연결 구조는 채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데 매우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로써, 이미 설치된 컨테이너 크레인(1)과 같이 궤도 주행식 기계의 개조 등을 수행할 때, 크레인 본체(5)의 지지 다리(6)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6a)(도 2 참조)의 아래에,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제동 장치를 마련할 수 없는 경우라도, 상기 주행 장치(8)의 하부에 제동 기구(40)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핀 연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동 기구(40)의 작동시, 유체압 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3b)에 굽힘력이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3b)에 작용하는 굽힘력은 탄성 부재(60)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유체압 실린더(13)에 불량이 생길 걱정은 없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수명의 저하를 피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70)을 탄성 부재(60)와 유체압 실린더(13)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유체압 실린더(13)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탄성 부재(6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또한, 상기 굽힘력이 탄성 부재(60)에 의해 흡수되어, 지지 브라켓(52)에 대한 유체압 실린더(13)의 부착 정밀도가 엄밀하게 요구되게 되므로, 지지 브라켓(52) 표면의 기계 가공이 불필요해지고, 비용 절감으로도 이어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개조시에서의 설치 개소의 제약을 없애고, 설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의 참고예로서, 도면 중, 도 2 내지 도 5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나타내고 있고, 기본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참고예의 경우, 지지 브라켓(52)의 상면측에 클로로프렌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대좌(65; pedestal)를 배치하고, 상기 대좌(65)를 관통시켜서 체결 부재(80)를 조임으로써, 상기 유체압 실린더(13)를 지지 브라켓(52)의 하면에 고정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참고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참고예에서는, 대좌(65)를 배치한 분만큼 전체 길이는 길어지지만, 상기 제동 기구(40)의 작동시, 유체압 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3b)에 작용하는 굽힘력은 탄성 부재(60)에 의해 흡수되는 동시에, 대좌(65)에 의해서도 흡수되어, 유체압 실린더(13)의 가동 영역이 확대되기 때문에, 불량이 생기기 어렵게 하는 효과가 더욱 높아지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수명의 저하를 피하는 데 보다 유리해진다.
한편, 그 밖의 작용에 관해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 부재(60)는 상기 하측 이퀄라이저 빔으로서의 하부 이퀄라이저 빔(9c)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브라켓(52)의 하면과 상기 지지 브라켓(52)의 하면에 체결 부재(80)로 고정되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실린더 본체(13a)의 뒷면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13)의 피스톤 로드(13b)의 선단부는 상기 압압 프레임(50)에 비틀어 박힌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체압 실린더(13)의 설치에 핀 연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아도 되고, 전체 길이를 짧게 해서, 상기 주행 장치(8)의 하부에 제동 기구(40)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 부재(60)와 유체압 실린더(13)의 실린더 본체(13a) 뒷면 사이에 장착되는 금속판(7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체압 실린더(13)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탄성 부재(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는 상술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1 컨테이너 크레인(궤도 주행식 기계)
2 항만
3 안벽
4 레일
4a 주행 차륜 전동면
5 크레인 본체
6 지지 다리
6a 하부 프레임
7 주행 차륜
8 주행 장치
9A 이퀄라이저 장치
9B 이퀄라이저 장치
9a 상부 이퀄라이저 빔(상측 이퀄라이저 빔)
9b 중간부 이퀄라이저 빔(하측 이퀄라이저 빔(상측 이퀄라이저 빔))
9c 하부 이퀄라이저 빔(하측 이퀄라이저 빔)
9cp 판재
9cq 판재
10a 로커 핀
10b 로커 핀
10c 로커 핀
12 브레이크 패드
13 유체압 실린더
13a 실린더 본체
13b 피스톤 로드
13c 캡측 챔버
13d 로드측 챔버
14 유체압 유닛
15 탱크
16 압송 라인
17 캡측 라인
18 로드측 라인
19 리턴 라인
20 모터
21 펌프
22 역지 밸브
23 솔레노이드 밸브
23A 브레이크 작동 포지션
23B 브레이크 해제 포지션
24 축압 라인
25 어큐뮬레이터
26 릴리프 라인
27 릴리프 밸브
28H 고위압력 스위치
28L 저위압력 스위치
28V 셧오프 밸브
29 드레인 라인
30 수동 개폐 밸브
40 제동 기구
50 압압 프레임
51 고정 프레임
51a 스토버부
52 지지 브라켓
60 탄성 부재
65 대좌
70 금속판
80 체결 부재
90 너트

Claims (3)

  1. 레일 위를 주행하는 지지 다리의 하부에, 주행 방향과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 핀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측 이퀄라이저 빔과, 상기 상측 이퀄라이저 빔의 주행 방향 양 단부에 주행 방향과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커 핀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되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하측 이퀄라이저 빔으로 이루어진 이퀄라이저 장치를 적어도 1단 갖고, 최하단의 이퀄라이저 장치에서의 하측 이퀄라이저 빔의 주행 방향 양 단부에 레일을 따라 전동 가능한 주행 차륜이 배치된 주행 장치를 구비한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이퀄라이저 장치에서의 하측 이퀄라이저 빔과 레일 사이에 상기 레일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압압 프레임(pressing frame)과, 상기 압압 프레임의 레일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 양 단부와 상기 최하단의 이퀄라이저 장치에서의 하측 이퀄라이저 빔의 양 측면과의 사이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압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유체압 실린더와, 상기 압압 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갖는 제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작용하는 굽힘력을 흡수하는 탄성 부재를 통하여 고정되는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측 이퀄라이저 빔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 브라켓의 하면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면에 체결 부재로 고정되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실린더 본체의 뒷면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는 상기 압압 프레임에 비틀어박히는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유체압 실린더의 실린더 본체 뒷면 사이에 장착되는 금속판을 구비한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
KR1020227007425A 2019-08-30 2020-06-24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 KR20220052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8020A JP7258695B2 (ja) 2019-08-30 2019-08-30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JPJP-P-2019-158020 2019-08-30
PCT/JP2020/024868 WO2021039078A1 (ja) 2019-08-30 2020-06-24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947A true KR20220052947A (ko) 2022-04-28

Family

ID=7468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425A KR20220052947A (ko) 2019-08-30 2020-06-24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58695B2 (ko)
KR (1) KR20220052947A (ko)
CN (1) CN114286795A (ko)
TW (1) TW202110683A (ko)
WO (1) WO202103907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690A (ja) 1992-08-26 1994-03-15 Takenaka Komuten Co Ltd レール走行形クレーンのブレーキ装置
KR20150058805A (ko) 2013-11-21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컴프레셔용 안티 서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500A (ko) 2009-11-30 2012-09-25 힐머 인더스트리즈 엘티디 코일 스프링 레일 브레이크
JP6160865B2 (ja) * 2013-09-19 2017-07-12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レール走行型クレーンのレールブレーキ装置
JP2017144954A (ja) 2016-02-19 2017-08-24 Ihi運搬機械株式会社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JP6986953B2 (ja) 2017-12-27 2021-12-22 Ihi運搬機械株式会社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690A (ja) 1992-08-26 1994-03-15 Takenaka Komuten Co Ltd レール走行形クレーンのブレーキ装置
KR20150058805A (ko) 2013-11-21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컴프레셔용 안티 서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35880A (ja) 2021-03-04
JP7258695B2 (ja) 2023-04-17
TW202110683A (zh) 2021-03-16
WO2021039078A1 (ja) 2021-03-04
CN114286795A (zh)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1362B2 (ja) 軌道走行式機械の非常ブレーキ装置
KR20220052947A (ko) 궤도 주행식 기계의 제동 장치
JP2019116339A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WO2007015693A1 (en) Crane return
US3760961A (en) Load compensated car dumper clamp
JP4640833B2 (ja) 昇降式運転室を有する作業機
JP2017144954A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JP6806449B2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CN105253816A (zh) 一种手动电气箱安装专用叉车
JP2006188306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ブレーキ装置
RU2337028C2 (ru) Пружинн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вагонный замедлитель
JP6840608B2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JP6876525B2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JP2019104583A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JP2019099328A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JP6886894B2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JP2018199569A (ja) 軌道走行式機械のレールクランプ装置
JP2019052023A (ja) 軌道走行式機械
KR20220119376A (ko) 궤도 주행식 기계의 레일 브레이크 장치
KR200353503Y1 (ko) 에어 댐핑 스토퍼
JP2023030886A (ja) 軌道走行式機械の制動装置
DE102013108495B4 (de) Hebewerk-Bremssystem
RU23819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ны поглощающего аппарата
JP2018203429A (ja) 軌道走行式機械のレールクランプ装置
US2329838A (en) Brak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