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831A - 복합 튜브, 제조 장치, 공정, 롤러 바디 및 롤러 바디의 응용 - Google Patents

복합 튜브, 제조 장치, 공정, 롤러 바디 및 롤러 바디의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831A
KR20220044831A KR1020227008416A KR20227008416A KR20220044831A KR 20220044831 A KR20220044831 A KR 20220044831A KR 1020227008416 A KR1020227008416 A KR 1020227008416A KR 20227008416 A KR20227008416 A KR 20227008416A KR 20220044831 A KR20220044831 A KR 2022004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ainless steel
steel outer
composite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485B1 (ko
Inventor
위청 가오
Original Assignee
산둥 광타이 인바이런멘탈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둥 광타이 인바이런멘탈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둥 광타이 인바이런멘탈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16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 B21C1/22Metal drawing by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other means than drums, e.g. by a longitudinally-moved carriage pulling or pushing the work or stock for making metal sheets, bars, or tub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54Making multi-wal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1/00Materials used for the handl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Properties thereof
    • B65H2401/10Materials
    • B65H2401/15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8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3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made of circular 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8Rollers composed of several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40/00Specified values or numerical ranges of parameters; Relations between them
    • F16C2240/40Linear dimensions, e.g. length, radius, thickness, gap
    • F16C2240/54Surface rough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40/00Specified values or numerical ranges of parameters; Relations between them
    • F16C2240/40Linear dimensions, e.g. length, radius, thickness, gap
    • F16C2240/70Diameters; Radi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복합 튜브, 제조 장치, 공정, 롤러 바디 및 롤러 바디의 응용에 있어서, 상기 복합 튜브는 내부 튜브 바디(1) 및 내부 튜브 바디(1)의 외부에 피복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 내경, 내부 튜브 바디(1) 외경의 차이는 1mm 이하이고, 상기 복합 튜브 외경의 진원도 공차는 0.3mm 이하이다. 내부 튜브 바디(1)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 내벽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사용 중에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튜브, 제조 장치, 공정, 롤러 바디 및 롤러 바디의 응용
본 발명은 복합 튜브의 제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 튜브, 제조 장치, 공정, 롤러 바디 및 롤러 바디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세탁, 방직, 날염, 몰딩 머신과 같은 기계 장비는 롤러 샤프트와 같은 제품을 자주 사용하고, 종래의 가이드 롤러는 전기 도금 방식으로 강관을 처리하여 부식 방지 목적을 달성하지만, 이제 전기 도금 공정은 점점 더 심각해지는 환경 보호 요구에 부합하지 않으며, 동시에 전기 도금 공정의 부식 방지 및 녹 방지 능력은, 점차적으로 날염 장비의 부식 방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어, 최근 몇 년 동안 시중에서는 전기 도금 공정 대신 점차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탄소강 내부 튜브 바디로 제조된 복합 튜브를 사용하고 있고, 중국 특허 제CN103757847A호는 고정밀 스테인리스강 복합 가이드 롤러를 기재했고, 냉간 압연 정밀 용접 강관을 기본 튜브로 하고, 외부 복합 304 순수 스테인리스강 박벽 용접 튜브를 통해 중국산 날염 장비의 가이드 롤러의 기계적 성능 및 표면 품질을 향상시킨다.
 진원도란 공작물의 횡단면이 이론상의 원에 가까운 정도를 의미하며, 진원도는 바로 최대 반경과 최소 반경의 차이 값이고, 진원도 공차는 반경 차이를 공차 값(t)으로 하는 두 동심원 사이의 영역이며, 만약 하나의 원기둥의 진원도 공차가 0.03이면, 해당 원기둥의 임의의 단면상의 원은 모두 0.03의 간격을 두고 있는 두 동심원 사이에 위치해야 함을 의미한다.   
기계 장비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요구하는 롤러 바디의 길이가 점차 증가하고, 회전속도도 점점 증가하므로, 롤러 바디의 흔들림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으며, 롤러 바디의 흔들림이 크면 천이 구겨질 수 있고, 동력 시스템의 부하를 증가시키며, 천이 구겨져 품질 문제가 발생하거나 또는 동력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기만 하면 기업에 심각한 손실을 주게 되므로, 일반적인 기업들은 새로운 제품을 시도하는 것을 꺼려하고, 실제 사용 중 롤러 바디의 진원도 공차는 반드시 0.3mm 이하여야만 흔들림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롤러 바디는 스테인리스강 복합 튜브로 제조되는데,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튜브 직경 차이가 1.5mm 미만일 경우, 튜브 삽입 시 필요한 추력 강도가 매우 커지며, 동력 출력이 소정의 강도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동력 출력이 불안정하여 튜브 삽입 시 튜브 바디가 떨거나 정지하면, 튜브 삽입 불량의 원인이 되기 쉽고, 동력 출력을 증가시키면, 외부층 스테인리스강관의 관벽이 얇아, 튜브 바디 고정단의 관벽이 부분적으로 함몰되기 쉽고, 함몰되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관벽에 고르지 않은 힘이 가해져, 마찬가지로 튜브 삽입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튜브 삽입 장비의 정밀도의 제한을 받으므로, 롤러 제조업체는 모두 튜브 직경 차이가 약 2mm인 내부 튜브 바디 및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선택하여 튜브 삽입을 진행한다.
한편으로 2mm의 튜브 직경 차이는 드로잉 가공을 거치더라도 여전히 사용 중에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내부 튜브 바디에서 탈락되는 현상이 쉽게 나타나고, 다른 한편으로 스테인리스강관의 진원도가 사용 요구에 도달하지 못하는데, 첫째,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두께가 작아 선삭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드로잉 방식을 통해 제조할 수 밖에 없고, 2mm의 튜브 직경 차이는 드로잉 후 진원도가 좋더라도, 사용 중에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연성으로 인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변형되어, 진원도 공차가 증가하며, 일반적인 경우 진원도를 높이고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드로잉 횟수를 늘려야 하지만, 기존 스테인리스강관 역시 용접된 것이므로, 용접 부분의 연성은 스테인리스강관의 다른 부위 보다 현저히 약하고, 드로잉 횟수를 늘려 다른 부위의 연신 정도가 용접 부분을 초과하기만 하면, 오히려 스테인리스 강관의 진원도 공차가 감소하고, 또한 스테인리스강 복합 튜브의 얇은 외층 박벽은 반복 드로잉으로 인해 쉽게 파손된다.
튜브 삽입 후 내부 튜브 바디를 둥글게 하여도 복합 튜브의 진원도를 높일 수 있으나, 롤러 바디 길이가 3m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롤러 바디의 강도 요구가 증가하고, 내부 튜브 바디의 관벽 두께는 일반적으로 4mm 이상이며, 둥글게 하는 머신의 내부 장력의 제한을 받으므로, 내부 튜브 바디의 관벽 두께가 2.5mm를 초과할 경우, 둥글게 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냉간 드로잉하는 기술과 둥글게 하는 기술로는 모두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밀착 결합시킬 수 없어, 복합 튜브는 원하는 진원도 공차에 도달할 수 없고, 현재 국내외 회사들은 모두 이러한 기술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이상의 스테인리스 복합 튜브의 진원도 요구로 인해 스테인리스 복합 튜브의 응용이 제한되었고, 스테인리스 강관으로 선삭할 경우, 기업이 비용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많은 기업들은 상당 부분 기존의 탄소강관으로 선삭하여 원하는 진원도에 도달하는 쪽으로 전환하기 시작하였고, 비록 가공 공정에 대한 요구가 낮아졌지만, 탄소강은 부식 방지 효과가 좋지 않다.
상기 배경 기술을 극복하고, 이로 인한 문제점 및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스테인리스강 복합 튜브 및 이에 맞는 생산 공정을 연구 개발하였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튜브, 제조 장치, 공정, 롤러 바디 및 롤러 바디의 응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튜브 바디 및 내부 튜브 바디의 외부에 피복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경, 내부 튜브 바디 외경의 차이는 1mm 이하이고, 복합 튜브 외경의 진원도 공차는 0.3mm 이하인 복합 튜브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1.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는 0.3mm 이하이고, 흔들림 폭이 작은 고품질, 고정밀도 롤러 바디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고,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경, 내부 튜브 바디 외경의 차이는 1mm 이하이므로,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벽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사용 중에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제거할 수 있다.
2. 외부층은 스테인리스 강관을 사용하므로, 부식에 강할 뿐만 아니라, 기존 장비의 응용 조건에 따라 표면 평활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벽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복합 튜브 외경의 진원도 공차는 0.2mm 이하이다.
상기 추가적인 방안의 유익한 효과는, 내부 튜브 바디는 제작 시 관벽에 일부 고르지 않은 부분이 나타나는 것을 피하기 어려우므로,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벽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벽이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서로 감합되어 내부 튜브 바디의 요철부와 서로 적응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관벽은 내부 튜브 바디의 돌출된 부분에서 내부 튜브 바디의 함몰된 부분보다 얇아,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밀착 결합되는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복합 튜브의 직경은 40-200mm이고, 관벽 두께는 4-10mm이며, 진원도 공차는 0.15mm 이하이다.
상기 추가적인 방안의 유익한 효과는, 복합 튜브의 관벽 두께는 4-10mm이고, 비용을 과도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굽힘 저항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튜브 바디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튜브 바디의 관벽 두께가 계속 증가하면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동시에 복합 튜브의 자체 중량도 증가하여, 튜브 바디가 회전할 때 진원도 공차로 인해 튜브 바디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 중에 튜브 바디가 변형되기 쉽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관벽 두께는 0.3-3mm이고, 내부 튜브 바디의 관벽 두께는 2.5mm 이상이다.
상기 추가적인 방안의 유익한 효과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두께를 조절하면, 첫째, 비용을 절약하고, 둘째, 두께가 너무 크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연성을 활용하기 어렵고, 0.3-3mm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연성을 잘 활용할 수 있고,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는 직경이 줄면 내벽과 내부 튜브 바디 외벽 사이가 밀착 결합되면서, 복합 튜브의 진원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벽이 밀착되는 부분은 내부 튜브 바디 외벽의 면적의 50%보다 크다.
상기 추가적인 방안의 유익한 효과는,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밀착 결합되는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복합 튜브의 길이는 3-15m이다.
상기 추가적인 방안의 유익한 효과는, 길이가 3-15m인 롤러 바디를 일체로 제조할 수 있어, 롤러 바디를 제조할 때 2개의 튜브 바디를 맞춤 연결한 다음 용접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첫째, 롤러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둘째, 제조된 롤러 바디가 우수한 변형 저항 특성을 갖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복합 튜브 튜브 삽입 장비 및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삽입 장비는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튜브 바디 푸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는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에는 내부 튜브 또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홈의 제2 지지 부재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에는 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제2 지지 부재와 가까운 일단에는 튜브 삽입 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튜브 삽입 단부의 단면적은 베이스에 가까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고, 상기 튜브 바디 푸시 장치는 내부 튜브 또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밀어 이동시켜, 내부 튜브,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상대적으로 변위되도록 하여, 내부 튜브 바디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복합 드로잉 장비는 견인 기구, 드로잉 프레임 및 드로잉 프레임에 설치된 드로잉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잉 몰드는 몰드 슬리브 및 몰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코어에는 몰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몰드 구멍은 원뿔 구조의 가이드 영역 및 가이드 영역과 연결된 사이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영역의 두 개의 옆측 라인 사이의 협각은 18°-24°이고, 상기 사이징 영역의 길이는 25-110mm인, 복합 튜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튜브 삽입 장비는 베이스를 위치 고정 지점으로 하고, 상기 튜브 바디 푸시 장치를 이동 지점으로 하여, 튜브 바디를 밀어 이동시켜, 내부 튜브 바디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위치 고정시키고, 튜브 바디의 위치 고정 지점에 가까운 일단은 튜브 삽입 단부에 삽입되어, 튜브 바디 단부가 함몰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제1 지지 부재에 위치된 튜브 바디의 관벽이 얇거나 압력 저항 강도가 약할 경우, 튜브 삽입 시의 압력으로 인해 튜브 바디 단부에 접힘, 함몰 등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고, 이에 의해 튜브 바디 푸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튜브 삽입 시의 정지 및 튜브 바디의 떨림을 감소시키고, 오목홈은 튜브 바디가 베이스를 지지점(支點)으로 편향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어, 튜브 삽입 과정에서 튜브 바디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튜브 삽입 불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2개의 튜브 바디의 직경 차이가 1.5mm보다 크지 않아도 튜브 삽입을 완성할 수 있고, 튜브 삽입 후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관벽의 접합 밀착성이 좋고, 복합 튜브의 굽힘 저항 능력 및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고,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는 드로잉 몰드 가이드 영역의 두 개의 옆측 라인 사이의 협각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 드로잉 후 복합 튜브의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관벽이 서로 접촉하여 밀착 결합되어, 튜브 바디의 강도 및 진원도를 높이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단계: 압력을 통해 내부 튜브 바디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에 위치 고정시키되,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연성은 내부 튜브 바디의 연성 보다 크고, 상기 내부 튜브 바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직경 차이는 1mm 이하인 단계;
제2 단계: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소성 변형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직경이 감소하면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복합 후의 튜브 바디의 진원도 공차를 0.3mm 이하로 유지하면 복합 튜브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튜브의 제조 공정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연성을 이용하여,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여,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벽과 내부 튜브 바디 외벽 사이에 밀착 결합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조된 복합 튜브는 진원도 공차가 좋고, 튜브 바디의 흔들림이 작아, 고품질, 고정밀도 롤러 바디를 생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면 튜브 직경의 소성 변형이 발생하면서 냉간 드로잉을 통과하는 방식은,
a. 압력을 통해 내부 튜브 바디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위치 고정시킬 때,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외부 노출 부분을 미리 남겨두는 단계;
b. 복합 튜브를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에 위치시키고, 복합 튜브가 드로잉 몰드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외부 노출 부분이 몰드 구멍을 관통하도록 하는 단계;
c.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의 견인 기구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외부 노출 부분을 클램핑하여 복합 튜브가 드로잉 몰드의 몰드 구멍을 관통하도록 견인하고,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몰드 구멍의 사이징 영역의 길이는 25mm 이상으로, 드로잉 후 소성 변형되면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직경 감소 후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방안의 유익한 효과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소성 변형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직경 감소 후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몰드 구멍의 사이징 영역의 길이는 25mm 이상으로, 스테인리스 복합 튜브의 외층 박벽 스테인리스 강관이 변형을 회복하는 잔류 응력을 제거하여,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밀착 결합되는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할 때, 복합 튜브는 견인 기구의 구동에 의해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몰드 구멍을 관통하고, 몰드 구멍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경 방향 압력을 반경 방향으로 가하여,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튜브 직경을 감소시킨다.
상기 추가적인 방안의 유익한 효과는, 몰드 구멍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균일한 압력을 반경 방향으로 가하여,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갑자기 반경 방향으로 큰 압력을 받아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손상되는 것(예를 들면 눌린 자국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당겨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드로잉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압력을 통해 내부 튜브 바디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위치 고정시킬 때,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외부 노출 부분을 미리 남겨두는 단계는, 상기 내부 튜브 바디의 일단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대응하는 단부의 내측에 위치시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단부가 내부 튜브 바디에 의해 채워지지 않도록 하고, 이후 압착을 통해 평평한 형상의 외부 노출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노출 부분의 폭은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튜브 직경보다 크지 않은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방안의 유익한 효과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단부를 클램핑하는데 유리할 수 있고,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관벽을 손상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언클램핑되지 않도록 클램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튜브 및 복합 튜브의 양단에 고정 연결되는 샤프트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헤드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가 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호형 연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호형 연결 부재의 본체와 멀리 떨어진 일단은 제2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판은 지지축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을 향해 경사지고 복합 튜브의 내벽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롤러 바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어느 한 항에 따른 롤러 바디를 응용한 아이어닝 머신, 스프레딩 머신, 피딩 머신, 폴딩 머신, 스태킹 머신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복합 튜브는 진원도 공차가 좋고, 길이가 3m 이상이고 굽힘 저항 성능이 우수한 롤러 바디로 만들 수 있고, 롤러 바디는 하류 장치(예를 들면 아이어닝 머신, 스프레딩 머신 등 리넨 마무리 장비)의 롤러 바디 흔들림에 대한 요구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고, 지지축의 호형 연결 부재는 탄성 작용을 발휘할 수 있고, 제2 지지판은 관재를 지지하고 호형 연결 부재의 탄성 작용을 이용하여 관재 내벽의 튜브 직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 샤프트 헤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억지 끼워 맞춤은 샤프트 헤드와 내부 튜브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여, 샤프트 헤드가 튜브 바디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지지 부재와 내부 튜브가 억지 끼워 맞춤 될 때 제2 지지판이 관재를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관재의 진원도 공차를 유지하고, 사용 중에 내부 튜브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는 실제 응용 요구에 따라 롤러 바디의 표면 평활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복합 튜브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복합 튜브의 횡단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복합 튜브의 종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복합 드로잉 장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드로잉 몰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몰드 코어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튜브 삽입 장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튜브 삽입 장비의 구조 개략도 1이다.
도 9는 튜브 삽입 장비의 구조 개략도 2이다.
도 10은 튜브 삽입 단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은 롤러 바디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복합 튜브를 제공하고, 상기 복합 튜브의 직경은 40-200mm이고, 길이는 3-15m이고, 내부 튜브 바디(1) 및 내부 튜브 바디(1)의 외부에 피복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내경, 내부 튜브 바디(1)의 외경의 차이는 1mm 이하이고, 실제 생산에서 0.3mm, 0.5mm 또는 0.8mm를 선택할 수 있고, 제조될 롤러 바디의 진원도 오차에 따라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직경 차이를 설정하고,
상기 복합 튜브 외경의 진원도 공차는 0.3mm 이하이고, 복합 튜브의 관벽 두께가 4mm 내지 10mm이면 강도가 좋고, 우수한 굽힘 저항 성능을 가지며,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관벽 두께는 0.3-3mm이고, 내부 튜브 바디(1)의 관벽 두께는 2.5mm 이상이다.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는 0.3mm 이하이고, 흔들림 폭이 작은 고품질, 고정밀도 롤러 바디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고,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내경, 내부 튜브 바디(1)의 외경의 차이는 1mm 이하이고, 내부 튜브 바디(1)의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내벽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사용 중에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합 튜브의 제조 시스템은, 복합 튜브 튜브 삽입 장비 및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삽입 장비는 제1 지지 부재(31), 제2 지지 부재(32), 튜브 바디 푸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31), 제2 지지 부재(32)는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31)에는 내부 튜브 또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홈(33)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홈(33)의 제2 지지 부재(32)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에는 베이스(34)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34)의 제2 지지 부재(32)와 가까운 일단에는 튜브 삽입 단부(35)가 설치되고, 상기 튜브 삽입 단부(35)의 단면적은 베이스(34)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고, 상기 튜브 바디 푸시 장치는 내부 튜브 또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를 밀어 이동시켜, 내부 튜브,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가 상대적으로 변위되도록 하여, 내부 튜브 바디(1)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 내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튜브 삽입 단부(35)는 원뿔 모양 또는 반구형이고,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방안으로, 상기 튜브 바디 푸시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레일(37), 레일(3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푸시 장치(38), 상기 푸시 장치(38)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 기구(39)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기구(39)는 푸시 장치(38)와 연결된 전동 체인 및 전동 체인이 움직이게 구동하는 모터(36)를 포함하고, 체인 구동을 이용하면, 체인은 큰 외력으로 당겨도 늘어나거나 헛돌지 않고, 동력을 푸시 장치(38)에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푸시 장치가 상대적으로 크고 안정적인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튜브 바디 푸시 장치의 운행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튜브 삽입 시 튜브 바디의 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복합 드로잉 장비는 견인 기구(41), 드로잉 프레임(42) 및 드로잉 프레임(42)에 설치된 드로잉 몰드(43)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제1 지지 프레임,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잉 몰드(43)는 몰드 슬리브(51) 및 몰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코어에는 몰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몰드 구멍은 원뿔 구조의 가이드 영역(52) 및 가이드 영역(52)과 연결된 사이징 영역(53)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영역(52)의 두 개의 옆측 라인 사이의 협각은 18°-24°이고, 상기 사이징 영역(53)의 길이는 25-110mm이고,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방안으로, 상기 가이드 영역(52)의 측벽은 호형이고, 상기 가이드 영역(52)의 두 개의 옆측 라인의 접선 협각(α)은 18°-24°이고, 상기 가이드 영역(52)과 사이징 영역(53)의 연결 부분은 부드럽게 이어지고, 상기 가이드 영역(52)은 사이징 영역(53)의 직경보다 작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튜브 삽입 장비는 베이스(34)를 위치 고정 지점으로 하고, 상기 튜브 바디 푸시 장치를 이동 지점으로 하여, 튜브 바디를 밀어 이동시켜, 내부 튜브 바디(1)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 내에 위치 고정시키고, 튜브 바디의 위치 고정 지점에 가까운 일단은 튜브 삽입 단부(35)에 삽입되어, 튜브 바디 단부가 함몰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제1 지지 부재(31)에 위치된 튜브 바디의 관벽이 얇거나 압력 저항 강도가 약할 경우, 튜브 삽입 시의 압력으로 인해 튜브 바디 단부에 접힘, 함몰 등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고, 이에 의해 튜브 바디 푸시 장치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튜브 삽입 시의 정지 및 튜브 바디의 떨림을 감소시키고, 오목홈(33)은 튜브 바디가 베이스(34)를 지지점으로 편향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어, 튜브 삽입 과정에서 튜브 바디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튜브 삽입 불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2개의 튜브 바디의 튜브 직경 차이가 1mm보다 크지 않아도 튜브 삽입을 완성할 수 있고, 튜브 삽입 후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관벽의 접합 밀착성이 좋고, 복합 튜브의 굽힘 저항 능력 및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고,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는, 드로잉 몰드(43)의 가이드 영역(52)의 두 개의 옆측 라인 사이의 협각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 드로잉 후 복합 튜브의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관벽이 서로 접촉하여 밀착 결합되어, 튜브 바디의 강도 및 진원도를 높이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예의 복합 튜브의 제조 공정은, 하기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 압력을 통해 내부 튜브 바디(1)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 내에 위치 고정시키되,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연성은 내부 튜브 바디(1)의 연성 보다 크고, 상기 내부 튜브 바디(1),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직경 차이는 1mm 이하이고, 압력을 통해 내부 튜브 바디(1)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위치 고정시킬 때,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외부 노출 부분을 미리 남겨두는 단계는, 상기 내부 튜브 바디(1)의 일단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대응하는 단부의 내측에 위치시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단부가 내부 튜브 바디(1)에 의해 채워지지 않도록 하고, 이후 압착을 통해 평평한 형상의 외부 노출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 노출 부분의 폭은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튜브 직경 보다 크지 않은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단계: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소성 변형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직경이 감소하면 내부 튜브 바디(1)의 외벽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복합 후의 튜브 바디의 진원도 공차를 0.3mm 이하로 유지하면, 복합 튜브를 얻으며, 선택적인 방안으로, 상기 내부 튜브 바디의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내벽이 밀착되는 부분은 내부 튜브 바디 외벽의 면적의 50%보다 크고, 구체적으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면 튜브 직경의 소성 변형이 발생하면서 냉간 드로잉을 통과하는 방식은, 하기 단계 a, 단계 b, 단계 c를 포함한다.
단계 a는, 압력을 통해 내부 튜브 바디(1)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위치 고정시킬 때,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외부 노출 부분을 미리 남겨두며, 해당 단계는 튜브 삽입 장비를 통해 완성된다.
단계 b는, 복합 튜브를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에 위치시키고, 복합 튜브가 드로잉 몰드(43)로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외부 노출 부분이 몰드 구멍을 관통하도록 한다.
단계 c는,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의 견인 기구(41)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외부 노출 부분을 클램핑하여 복합 튜브가 드로잉 몰드(43)의 몰드 구멍을 관통하도록 견인하고,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할 때, 견인 기구(41)는 복합 튜브가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몰드 구멍을 관통하도록 견인하고, 복합 튜브는 몰드 코어의 가이드 영역(52) 및 사이징 영역(53)을 차례로 통과하며, 상기 몰드 구멍의 가이드 영역(52)의 두 개의 옆측 라인의 접선 협각(α)은 18°-24°이고, 선택적인 방안으로, 가이드 영역(52)과 사이징 영역(53)의 연결 부분은 부드럽게 이어지고, 상기 가이드 영역(52)은 사이징 영역(53)의 직경보다 작지 않고, 몰드 구멍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균일한 압력을 반경 방향으로 가하여,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축소되도록 하고, 몰드 구멍의 사이징 영역(53)의 길이는 25mm 이상으로, 드로잉 후 소성 변형되면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가 직경 감소 후 내부 튜브 바디(1) 외벽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내부 튜브 바디(1)는 제작 시 관벽에 일부 고르지 않은 부분이 나타나는 것을 피하기 어려우므로, 내부 튜브 바디(1)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 내벽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 내벽이 내부 튜브 바디(1) 외벽과 서로 감합되어 내부 튜브 바디(1)의 요철부와 서로 적응되게 할 수 있다. 즉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관벽은 내부 튜브 바디(1)의 돌출된 부분에서 내부 튜브 바디(1)의 함몰된 부분보다 얇아, 내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밀착 결합되는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복합 튜브를 사용하여 제조된 롤러 바디를 제공하고, 상술한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튜브, 및 복합 튜브의 양단에 고정 연결되는 샤프트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헤드는 지지축(6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61)은 적어도 하나의 튜브 바디 지지 부재(62)가 축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튜브 바디 지지 부재(62)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호형 연결 부재(63)가 설치되고, 상기 호형 연결 부재(63)의 본체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는 제2 지지판(64)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판(64)은 지지축(61)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을 향해 경사지고 복합 튜브의 내벽에 밀착 결합되고, 본 실시예는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가 좋고, 길이가 3m 이상이고 굽힘 저항 성능이 우수한 롤러 바디로 만들 수 있고, 롤러 바디는 하류 장치(예를 들면 아이어닝 머신, 스프레딩 머신 등 리넨 마무리 장비)의 롤러 바디 흔들림에 대한 요구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고, 지지축(61)의 호형 연결 부재(63)는 탄성 작용을 발휘할 수 있고, 제2 지지판(64)은 관재를 지지하고 호형 연결 부재(63)의 탄성 작용을 이용하여 관재 내벽의 튜브 직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 샤프트 헤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억지 끼워 맞춤은 샤프트 헤드와 내부 튜브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데 유리하여, 샤프트 헤드가 튜브 바디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지지 부재(32)와 내부 튜브가 억지 끼워 맞춤 될 때 제2 지지판(64)이 관재를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관재의 진원도 공차를 유지하고, 사용 중에 내부 튜브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는 실제 응용 요구에 따라 롤러 바디의 표면 평활도를 변경할 수 있어, 롤러 바디를 응용하여 아이어닝 머신, 스프레딩 머신, 피딩 머신, 폴딩 머신, 스태킹 머신 중 어느 하나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복합 튜브의 직경은 40-200mm이고, 길이는 3-15m이고, 내부 튜브 바디(1) 및 내부 튜브 바디(1)의 외부에 피복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내경, 내부 튜브 바디(1)의 외경의 차이는 1mm 이하이고, 복합 튜브 외경의 진원도 공차는 0.3mm 이하이며,
실제 사용 시 복합 튜브의 직경은 40mm, 50mm, 60mm, 65mm, 70 mm, 75 mm, 80 mm, 85 mm, 90 mm, 95 mm, 100 mm, 105 mm, 110 mm, 115 mm, 120 mm, 125 mm, 130 mm, 140 mm, 150 mm, 160 mm, 170 mm, 180 mm, 200 mm와 같은 다양한 사양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복합 튜브의 관벽 두께가 4-6mm일 때,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0.1mm로 제어하고, 복합 튜브의 관벽 두께가 7-10mm일 때,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0.15로 제어되고, 복합 튜브의 관벽 두께가 5mm일 때,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는 0.08mm로 제어되고, 복합 튜브의 관벽 두께가 5.5mm일 때,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는 0.1mm로 제어되고, 복합 튜브의 관벽 두께가 6mm일 때,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는 0.11mm로 제어되고, 복합 튜브의 관벽 두께가 7mm일 때,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는 0.12mm로 제어되고, 복합 튜브의 관벽 두께가 8.5mm일 때,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는 0.13mm로 제어되고, 복합 튜브의 진원도 공차를 0.3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mm 이하로 제어하여, 흔들림 폭이 작은 고품질, 고정밀도 롤러 바디를 제조하며, 동시에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내경, 내부 튜브 바디(1)의 외경의 차이가 1mm 이하이면, 내부 튜브 바디(1)의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의 내벽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사용 중에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2)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된 기술 원리에 대한 설명이다. 본 출원에서 언급한 발명 범위는 상술한 구성의 특정 조합으로 이뤄진 기술 방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시에 발명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구성 또는 균등한 구성의 임의의 조합으로 형성된 기타 기술 방안도 포함되어야 함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성은 본 출원에서 공개된 내용(이에 한정되지 않음)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1 내부 튜브 바디
2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21 제1 프레임
22 제2 프레임
31 제1 지지 부재(31),
32 제2 지지 부재(32)
33 오목홈
34 베이스
35 튜브 삽입 단부
36 모터
37 레일
38 푸시 장치
39 전동 기구
41 견인 기구
42 드로잉 프레임
43 드로잉 몰드
51 몰드 슬리브
52 가이드 영역
53 사이징 영역
61 지지축
62 튜브 바디 지지 부재
63 호형 연결 부재
64 제2 지지판

Claims (13)

  1. 복합 튜브에 있어서,
    내부 튜브 바디 및 내부 튜브 바디의 외부에 피복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경, 내부 튜브 바디 외경의 차이는 1mm 이하이고, 상기 복합 튜브 외경의 진원도 공차는 0.3mm 이하인, 복합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벽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복합 튜브 외경의 진원도 공차는 0.2mm 이하인, 복합 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튜브의 직경은 40-200mm이고, 관벽 두께는 4-10mm이고, 진원도 공차는 0.15mm 이하인, 복합 튜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관벽 두께는 0.3-3mm이고, 내부 튜브 바디의 관벽 두께는 2.5mm 이상인, 복합 튜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벽이 밀착되는 부분은 내부 튜브 바디 외벽의 면적의 50%보다 큰, 복합 튜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튜브의 길이는 3-15m인, 복합 튜브.
  7. 복합 튜브 제조 장치에 있어서,
    복합 튜브 튜브 삽입 장비 및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삽입 장비는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튜브 바디 푸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는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에는 내부 튜브 또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홈의 제2 지지 부재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에는 베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제2 지지 부재와 가까운 일단에는 튜브 삽입 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튜브 삽입 단부의 단면적은 베이스에 가까운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고, 상기 튜브 바디 푸시 장치는 내부 튜브 또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밀어 이동시켜, 내부 튜브,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상대적으로 변위되도록 하여, 내부 튜브 바디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는 견인 기구, 드로잉 프레임 및 드로잉 프레임에 설치된 드로잉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잉 몰드는 몰드 슬리브 및 몰드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코어에는 몰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몰드 구멍은 원뿔 구조의 가이드 영역 및 가이드 영역과 연결된 사이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영역의 두 개의 옆측 라인 사이의 협각은 18°-24°이고, 상기 사이징 영역의 길이는 25-110mm인, 복합 튜브 제조 장치.
  8. 복합 튜브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1 단계: 압력을 통해 내부 튜브 바디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 내에 위치 고정시키되,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연성은 내부 튜브 바디의 연성 보다 크고, 상기 내부 튜브 바디,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직경 차이는 1mm 이하인 단계;
    제2 단계: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소성 변형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직경이 감소하면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고, 복합 후의 튜브 바디의 진원도 공차를 0.3mm 이하로 유지하면, 복합 튜브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튜브의 제조 공정.
  9. 제8항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면 튜브 직경의 소성 변형이 발생하면서 냉간 드로잉을 통과하는 방식은,
    a. 압력을 통해 내부 튜브 바디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위치 고정시킬 때,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외부 노출 부분을 미리 남겨두는 단계;
    b. 복합 튜브를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에 위치시키고, 복합 튜브가 드로잉 몰드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외부 노출 부분이 몰드 구멍을 관통하도록 하는 단계;
    c. 복합 튜브 드로잉 장비의 견인 기구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외부 노출 부분을 클램핑하여 복합 튜브가 드로잉 몰드의 몰드 구멍을 관통하도록 견인하고,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몰드 구멍의 사이징 영역의 길이는 25mm 이상으로, 드로잉 후 소성 변형되면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가 직경 감소 후 내부 튜브 바디 외벽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튜브의 제조 공정.
  10. 제8항에 있어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를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여 전체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모두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할 때, 복합 튜브는 견인 기구의 구동에 의해 복합 튜브는 일단으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몰드 구멍을 관통하고, 몰드 구멍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경 방향 압력을 반경 방향으로 가하여,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튜브 직경을 감소시키는, 복합 튜브의 제조 공정.
  11. 제8항에 있어서,
    압력을 통해 내부 튜브 바디를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위치 고정시킬 때,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에 외부 노출 부분을 미리 남겨두는 단계는, 상기 내부 튜브 바디의 일단은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대응하는 단부의 내측에 위치시켜,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단부가 내부 튜브 바디에 의해 채워지지 않도록 하고, 이후 압착을 통해 평평한 형상의 외부 노출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노출 부분의 폭은 상기 스테인리스강 외부 튜브의 튜브 직경보다 크지 않은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튜브의 제조 공정.
  12. 롤러 바디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튜브 및 복합 튜브의 양단에 고정 연결되는 샤프트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헤드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가 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호형 연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호형 연결 부재의 본체와 멀리 떨어진 일단에는 제2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판은 지지축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을 향해 경사지고 복합 튜브의 내벽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롤러 바디.
  13. 제12항에 따른 롤러 바디를 응용한 아이어닝 머신, 스프레딩 머신, 피딩 머신, 폴딩 머신, 스태킹 머신 중 어느 하나.
KR1020227008416A 2019-08-14 2020-07-13 복합 튜브, 제조 장치, 공정, 롤러 바디 및 롤러 바디의 응용 KR102656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47671.7 2019-08-14
CN201910747671.7A CN110626848B (zh) 2019-08-14 2019-08-14 一种复合管、制备装置、工艺、辊体和辊体的应用
PCT/CN2020/101611 WO2021027460A1 (zh) 2019-08-14 2020-07-13 一种复合管、制备装置、工艺、辊体和辊体的应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831A true KR20220044831A (ko) 2022-04-11
KR102656485B1 KR102656485B1 (ko) 2024-04-11

Family

ID=6896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416A KR102656485B1 (ko) 2019-08-14 2020-07-13 복합 튜브, 제조 장치, 공정, 롤러 바디 및 롤러 바디의 응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015427A4 (ko)
JP (1) JP2022544296A (ko)
KR (1) KR102656485B1 (ko)
CN (1) CN110626848B (ko)
WO (1) WO2021027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6848B (zh) * 2019-08-14 2024-05-03 山东广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管、制备装置、工艺、辊体和辊体的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21725A (zh) * 2003-11-27 2005-06-01 李西海 一种金属塑料复合冷热水管及其制造方法
CN104525615A (zh) * 2014-12-02 2015-04-22 常熟市东涛金属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金属层压复合管的制备方法
CN205839435U (zh) * 2016-07-05 2016-12-28 山东广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烫平机用隔带辊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418A (ja) * 2000-06-16 2002-01-08 Showa Denko Kk 情報機器用ローラ材および情報機器用ローラ材製造用の引抜ダイス並びに情報機器用ローラ材の製造方法
CN1215914C (zh) * 2002-09-14 2005-08-24 大庆油田创业金属防腐有限公司 钢管与不锈钢内衬管硬性贴壁工艺方法及专用设备
AU2003902440A0 (en) * 2003-05-20 2003-06-05 Cladtek International Pty Ltd Production of clad pipes
CN101323081B (zh) * 2008-07-02 2010-06-09 葛心民 高精度复合导布辊辊体的制造方法
JP2011073059A (ja) * 2009-09-02 2011-04-14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二重管の製造方法
CN103757847A (zh) 2014-02-09 2014-04-30 芜湖鑫力管道技术有限公司 高精度不锈钢复合导布辊
CN206718466U (zh) * 2017-04-17 2017-12-08 成都泰年管道科技有限公司 一种衬塑铝合金pe‑rt复合管穿管装置
CN110626848B (zh) * 2019-08-14 2024-05-03 山东广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管、制备装置、工艺、辊体和辊体的应用
CN110422677A (zh) * 2019-08-14 2019-11-08 山东广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管体支撑件、制辊用管、辊体和辊体的应用
CN211141052U (zh) * 2019-08-14 2020-07-31 山东广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管、制备装置、辊体和机械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21725A (zh) * 2003-11-27 2005-06-01 李西海 一种金属塑料复合冷热水管及其制造方法
CN104525615A (zh) * 2014-12-02 2015-04-22 常熟市东涛金属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金属层压复合管的制备方法
CN205839435U (zh) * 2016-07-05 2016-12-28 山东广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烫平机用隔带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485B1 (ko) 2024-04-11
EP4015427A1 (en) 2022-06-22
WO2021027460A1 (zh) 2021-02-18
CN110626848A (zh) 2019-12-31
CN110626848B (zh) 2024-05-03
EP4015427A4 (en) 2023-08-30
JP2022544296A (ja)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4831A (ko) 복합 튜브, 제조 장치, 공정, 롤러 바디 및 롤러 바디의 응용
JP4828160B2 (ja) パイプ曲げ加工装置及びパイプ曲げ加工方法
CN107626781B (zh) 一种可调四辊卷板机
US10543708B2 (en) Printing plate forming method and cylindrical forming apparatus for printing plate
US7065999B2 (en) Bending roll apparatus
KR101427026B1 (ko) 금속관재의 강소성 가공방법 및 그 장치
CN211141052U (zh) 一种复合管、制备装置、辊体和机械设备
KR100943111B1 (ko) 외경에 단차가 있는 금속관 인발축경장치 및 외경에 단차가 있는 금속관
JP2775490B2 (ja) 蛇腹管の製造装置
CN100376339C (zh) 管子弯曲加工装置和管子弯曲加工方法
KR101625094B1 (ko) 경량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롤러 제조 방법 및 그 롤러
CN106271027B (zh) 一种摩擦焊机及其径向摩擦焊闭式夹具
KR20180056481A (ko) 가변단면을 가진 파이프 제조 장치 및 방법
CN215143654U (zh) 一种弯管装置
CN210731424U (zh) 一种自动焊机焊芯校直下料装置
KR101443205B1 (ko) 마그네슘 파이프 교정방법
CN211965511U (zh) 一种加强圈煨弯装置
JP6322510B2 (ja) 管材矯正方法
CN204549594U (zh) 橡胶辊芯轴、橡胶辊轴及橡胶辊
CN112680937B (zh) 一种工业烫平机滚筒及加工方法
JP2008093687A (ja) 鋼管の曲げ加工方法および曲げ加工装置
CN113828655B (zh) 用于大型管件管端的三辊式矫圆方法及其矫圆装置
CN109675977B (zh) 一种薄壁金属管拉弯方法
CN217071021U (zh) 一种齿轮轴类零件磨齿夹具
CN115570518A (zh) 一种用于离合器跳动检测的夹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