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722A - 교정 도구 - Google Patents

교정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722A
KR20220044722A KR1020227002454A KR20227002454A KR20220044722A KR 20220044722 A KR20220044722 A KR 20220044722A KR 1020227002454 A KR1020227002454 A KR 1020227002454A KR 20227002454 A KR20227002454 A KR 20227002454A KR 20220044722 A KR20220044722 A KR 20220044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tool
area
orthodontic
corr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야마다
야오 첸
히데토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61F5/0113Drop-foot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또한, 장착은 용이하고 장착 시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교정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정 도구이며, 상기 교정 도구를 장착 시에 교정력을 발현하는 영역 B를 갖고, 상기 영역 B는, 임의의 교정 부위에 대해, 교정 부위를 피복하는 영역 B1과 교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지지 영역인 영역 B2와, 상기 영역 B1과 영역 B2를 연결하는 영역 B3을 포함하고, 또한, 영역 B에 사용하는 구조체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구조체이며,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이, 경위 방향 또는, 그 어느 방향으로 1.0% 이상 20% 이하인 교정 도구이며, 또한 상기 교정 부위의 주변을 덮는 영역 A를 갖고, 상기 영역 A는 적어도 1종 이상, 신축성을 갖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교정 도구
본 발명은 교정 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뇌졸중편 마비, 소아마비 등의 장애 혹은 그 밖의 장애로, 신체의 기능 저하나 손실에 의해, 근육이나 관절을 자력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이게 할 수 없는 사람을 위한, 첨족, 경직, 측만증 등과 같은 변형 방지, 기능 개선, 일상의 동작 향상을 목적으로 한 교정 도구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고, 상기 교정 도구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딱딱한 고정식의 것이 주류이며, 환부로의 고정력, 교정력이 우수하다.
또한, 유연한 소재를 사용한 교정 도구도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발의 움직임을 봉하는 일 없이, 발끝을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발의 교정용 장구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발에 장착되는 제1 장착체와, 사람의 대퇴에 장착되는 제2 장착체와, 그 양자간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고무 밴드 등의 신축체를 포함하고, 이 신축체를 확대하도록 하여 장착하면, 그 신축체가 구비하는 탄성력이, 제1 장착체와 제2 장착체를 접근하도록 작용하고, 그 결과, 발은 종아리 전방면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발끝은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고 하는 기술이다. 또한, 가압력은, 어느 정도의 발 움직임은 가능한 정도이며, 발끝을 낮추는 기능이 손상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가압력에 저항하여 자력으로 발끝을 낮출 수 있다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313553호 공보
그러나,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경질 또는 반경질의 딱딱한 소재를 사용한 고정식의 교정 도구는, 상기 교정 도구를 장착했을 때, 피부로의 접촉에 의한 위화감, 신체를 움직이게 할 때, 딱딱한 부분이 닿는 것에 의한 통증이나 외견의 나쁨 등, 환자의 신체적 및 정신적인 고통 뿐만 아니라, 간병인으로부터도 착탈성의 나쁨이나 식사를 하기 어려움 등의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교정용 장구는, 2개의 장착체를 신축체에 의해, 가까이 함으로써 작용시키고 있고, 2개의 장착체의 착용과 신축체의 장착에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축체는 고무 밴드로 대표되는 탄성적으로 신축하는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며, 그 가압력은, 어느 정도의 발 움직임은 가능한 정도이므로, 교정 부위의 고정이 충분하지 않고, 필요한 교정력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시키고, 또한, 장착은 용이하고 장착 시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덧붙여, 적당한 고정력, 교정력이 장기간 유지되고,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교정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어느 구성을 갖는다.
(1) 교정 도구이며, 상기 교정 도구를 장착 시에 교정력을 발현하는 영역 B를 갖고, 상기 영역 B는, 임의의 교정 부위에 대해, 교정 부위를 피복하는 영역 B1과 교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지지 영역인 영역 B2와, 상기 영역 B1과 영역 B2를 연결하는 영역 B3을 포함하고, 또한, 영역 B에 사용하는 구조체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구조체이며,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이, 경방향 및 위방향 또는, 그 어느 방향으로 1.0% 이상 20% 이하인 교정 도구.
(2) 또한 상기 교정 부위의 주변을 덮는 영역 A를 갖고, 상기 영역 A는 적어도 1종 이상, 신축성을 갖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교정 도구.
(3) 상기 영역 B에 사용하는 직물 구조체의 하중 100N/5㎝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경방향 및 위방향 또는, 그 어느 방향으로 80% 내지 100%인 (1) 또는 (2)에 기재된 교정 도구.
(4) 상기 영역 B1과 영역 B3에 사용하는 직물 구조체의 스프링 상수가, 10N/㎜ 이상 100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교정 도구.
(5) 상기 영역 B1 또는/및 영역 B2가 착용 시에 긴체력(緊締力)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교정 도구.
(6)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교정 도구.
(7) 상기 영역 A와 영역 B가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교정 도구.
(8) 재활(rehabilitation)용의 장구로서 사용되는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교정 도구.
(9) 상지 장구인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교정 도구.
(10) 체간 장구인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교정 도구.
(11) 하지 장구인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교정 도구.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하고, 또한, 장착은 용이하고, 장착 시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덧붙여, 적당한 고정력, 교정력이 장기간 유지되고,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교정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정 도구는, 신체의 변형 방지, 기능 개선, 일상 생활의 동작 향상을 목적으로 한 치료용, 갱생용의 상지 장구, 체간 장구, 하지 장구와 같은 장구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적용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역 B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작한 교정 도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교정 도구는, 신체의 변형 방지, 기능 개선, 일상 생활의 동작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신체의 상태를 정상적인 상태로 유도하기 위한 교정력을 발현하기 위한 장구이며, 치료용이나 갱생용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지, 체간 혹은 하지 등에 장착하는 상지 장구, 체간 장구 혹은 하지 장구 등의 장구류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교정 도구를 장착하고, 교정력을 발현시키면서 일상 생활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혹은 신체의 변형 방지, 기능 개선을 위한 재활을 행함으로써, 신체의 상태를 보다 정상적인 상태로 유도하고, 장착자가 보다 편한 상태에서, 혹은 보다 지속적으로 생활 혹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정 도구는, 교정 도구를 장착 시에 교정력을 발현하는 영역 B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양태의 교정 도구에 있어서는, 교정 부위의 주변을 덮는 영역 A와 상기 교정 도구를 장착 시에 교정력을 발현하는 영역 B로 구성된다.
상기 교정 부위의 주변을 덮는 영역 A는, 영역 B와 인접하고, 교정 도구로서 쾌적하게 착용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영역 A에는 적어도 1종 이상, 신축성을 갖는 구조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편지 소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편지 소재에는, 경편 소재와 환편 소재가 있지만, 신축성이 좋으면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사용되는 실도 단섬유, 장섬유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실의 재질에 있어서도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등의 한정은 없고, 각종 섬유가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면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울, 견 등의 천연 섬유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소재는, 교편, 삽입, 뜨개질 등에 의해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소재에 신축 소재인 탄성 섬유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하는 탄성 섬유로서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섬유, PTT계 복합 가공실(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바이메탈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영역 A는 교정 부위의 주변을 덮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교정 부위의 신체측과 영역 B의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서, 교정 부위의 주변(교정 부위 및/또는 그 주변)에 마련함으로써, 교정 부위로의 촉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정 도구가 하지용인 경우, 양말 형태로, 영역 B1 내지 B3의 적어도 일부의 내측에서 교정 부위를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지용의 경우는, 긴 장갑 형태로, 영역 B1 내지 B3의 적어도 일부의 내측에서 교정 부위를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간용의 경우는, 셔츠 형태로, 영역 B1 내지 B3의 적어도 일부의 내측에서 교정 부위를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역 B는, 상기 교정 도구를 장착했을 때, 교정 부위에 교정력을 발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영역 B는, 임의의 교정 부위에 대해, 교정 부위를 피복하는 영역 B1과 교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지지 영역인 영역 B2와, 상기 영역 B1과 영역 B2를 연결하는 영역 B3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역 B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1 중 영역 A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 영역 B1(1)은 교정 부위를 피복하고, 고정함으로써, 교정 부위가 원하는 교정 방향 이외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영역 B2(2)는 원하는 교정력에 대하여 어긋남, 찢어짐, 과도한 신장 등, 교정력을 저감시키는 일 없이, 교정력을 유지시키는 지지점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영역 B3(3)은 영역 B1(1)과 영역 B2(2)를 연결하고, 교정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연결 길이의 조정 등에 의해, 원하는 교정력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영역 B1과 영역 B2로의 연결 방법은, 원하는 교정력을 충족하는 한은,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재봉틀 등에 의한 바느질, 면 파스너, 천 테이프, 스냅 버튼 등이 사용된다.
상기에 있어서 교정 부위란, 첨족, 구축, 측만증 등과 같은 몸의 변형이나 보행 등의 기능 저하에 대해서, 원래 정상적인 위치에 교정을 촉구하거나, 기능을 개선하거나 하기 위해, 작용시키는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증상, 즉, 몸의 변형이나 보행 등의 기능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는 부위이어도 되고, 증상의 원인이 되고 있지 않아도, 작용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부위이어도 된다.
영역 B의 구조체에는, 교정력을 발현하기 위한 고정력이나 치수 안정성의 점으로부터, 직물 구조체가 사용된다.
또한, 영역 B에 사용하는 직물 구조체는 신축성을 갖고,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 즉, 하중 100N/5㎝로 신장시켜 측정했을 때의 신장률이, 경방향 및 위방향 또는, 그 어느 방향으로 1.0% 내지 20%이며, 2.0% 내지 20%가 더욱 바람직하고, 3.0% 내지 20%가 보다 바람직하다. 신장률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교정 부위를 과도하게 고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직물 구조체가 적절하게 신장함으로써,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이 저감되고, 동작 시에 있어서의 교정 부위의 요동이나, 교정력이 작용할 때에 일어나는, 영역 B가 덮는 부위로의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이 보다 좋아지고, 장착 시의 통증이나 위화감이 억제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덧붙여, 동작 시에, 장착자가 가하는 힘을 상기 직물 구조체가 수용함으로써, 근육을 움직이게 하기 쉬워져,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효과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 구조체의 직조직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충족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직, 능직, 주자직이나, 이들의 조직을 조합한 이중직 등의 조직을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실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충족하는 한 단섬유, 장섬유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실의 재질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충족하는 한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등의 한정은 없으며, 각종 섬유가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면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울, 견 등의 천연 섬유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소재는, 교편, 삽입, 뜨개질 등에 의해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소재에 신축 소재인 탄성 섬유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하는 탄성 섬유로서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섬유, PTT계 복합 가공실(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바이메탈실)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치수 안정성이나 고탄성의 신축성이 얻어지기 쉬운 점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영역 B에 사용하는 섬유의 섬도로서는, 30 데시텍스 내지 1500 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데시텍스 내지 1000 데시텍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섬유와 그 밖의 섬유(비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탄성 섬유의 섬도는 50 데시텍스 내지 1500 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156 데시텍스 내지 1000 데시텍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타 섬유인 비탄성 섬유의 섬도로서는, 30 데시텍스 내지 1000 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데시텍스 내지 500 데시텍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하는 실의 일부에 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 섬유를 사용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직물이 갖는 치수 안정성과, 탄성 섬유가 갖는 신축성이나 신장 후의 양호한 회복성을 구비하고, 교정 부위에 교정력을 발현하기 위한 고정력이나 치수 안정성, 동작으로의 추종성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하는 탄성 섬유의 사용 비율은 원하는 특성이 얻어지는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경사 혹은 위사, 또는 직물 전체로서, 30중량% 내지 70중량% 정도이다.
또한, 상기 직물 구조체에 있어서, 탄성 섬유 이외의 섬유인 그 밖의 섬유(비탄성사)를 사용하는 경우, 그 크림프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그 신장률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에 비탄성 섬유를 사용하고, 그 크림프율을 5% 이상 30% 이하로 하면, 원하는 신장성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0% 이하이다.
또한, 경사 또는 위사 중 어느 한쪽에 탄성 섬유와 비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비탄성 섬유의 크림프율을 5% 이상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탄성 섬유가 신장할 때에 비탄성 섬유도 크림프율에 따라서 추종하고, 또한 탄성 섬유에 의한 과도한 신장을 멈출 수 있다.
그 경우의 탄성 섬유의 크림프율도 원하는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지만, 0%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직물 구조체의 직밀도는 경사 밀도, 위사 밀도에 있어서, 각각 20개/inch(2.54㎝) 내지 150개/inch(2.54㎝)인 것이 바람직하고, 30개/inch(2.54㎝) 내지 100개/inch(2.5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 B에 사용하는 직물 구조체의 하중 100N/5㎝에 있어서의 반복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경방향 및 위방향 또는, 그 어느 방향으로 8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내지 100%가 더욱 바람직하고, 90% 내지 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복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동작 시에, 장착자가 가하는 힘에 대하여 원래의 교정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이 적절하게 작용함으로써, 적절한 교정 위치가 유지되고,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효과가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덧붙여, 적당한 고정력, 교정력이 장기간 유지됨으로써, 본 발명의 교정 도구를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되고,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의해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교정 도구에 있어서, 상기 영역 B1과 영역 B3에 사용하는 구조체의 스프링 상수가, 경방향, 위방향 또는, 그 어느 방향으로 10N/㎜ 이상 10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N/㎜ 이상 100N/㎜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0N/㎜ 이상 100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스프링 상수를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교정 부위를 적절하게 교정하고, 교정 도구와의 마찰,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이 보다 좋아지고, 장착 시의 통증이나 위화감이 억제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상수를 갖는 직물 구조체를 얻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실의 일부에 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 섬유를 사용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탄성 섬유가 갖는 신축성이나 신장 후의 양호한 회복성을 구비하고, 탄성 섬유를 사용하는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스프링 상수가 얻어진다. 직조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직, 능직, 주자직이나, 이들의 조직을 조합한 이중직 등의 조직을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탄성 섬유로서는,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섬유, PTT계 복합 가공실(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의 바이메탈실)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고탄성의 신축성이 얻어지기 쉬운 점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직물 구조체는,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10% 이상 30% 이하인 크림프율을 갖는 비탄성 섬유를 포함하고, 다른 쪽의 적어도 일부가 0% 이상 5% 이하인 크림프율을 갖는 탄성 섬유를 포함하는 평직물이다. 또한, 직밀도는 경사 밀도, 위사 밀도에 있어서, 30개/inch(2.54㎝) 내지 100개/inch(2.5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도는, 비탄성 섬유에서 50 데시텍스 내지 500 데시텍스, 탄성 섬유에서 156 데시텍스 내지 1000 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교정 도구는, 상기 영역 B1 또는/및 영역 B2에, 착용 시에 긴체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체력을 임의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교정 도구를 착용하여 동작할 때, 영역 B1 또는/및 영역 B2가 소정의 위치에서 어긋나거나, 벗어나는 등과 같은 경우가 없고, 영역 B1에 있어서는, 교정 부위를 안정적으로 덮어,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영역 B2에 있어서는, 영역 B1, B3이 교정력을 발현하는 지지체로서, 적합하게 작용한다. 상기 조정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벨트, 훅, 천 테이프, 버튼, 버클 등,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정 도구는,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란, 본 발명의 교정 도구를 탈착할 때에 개구부를 넓히도록 개폐하거나, 착용 시, 통상 개구하고 있지 않은 장소를 개폐 가능하게 하여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기구이다. 개폐 가능한 기구를 마련하는 장소로서는, 교정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착탈이 용이해지는 장소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영역 A(영역 A를 사용하는 경우), 영역 B1 내지 3의 어느 것 혹은 그 연결부 어느 것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첨족, 구축 등과 같은 변형이 강한 착용자나, 고령의 착용자 등이, 혼자 착탈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간병인에 있어서도 착탈 작업이 경감되어, 사용이 기피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정 도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의해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개폐 가능한 기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선 파스너, 면 파스너 등의 파스너, 천 테이프, 스냅 버튼, 턱 버튼 등의 버튼 등,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정 도구는, 상기 영역 B에 있어서, 원하는 교정력, 착탈성 등의 특성을 충족하는 한, 영역 B만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영역 A와 영역 B에 있어서, 원하는 교정력, 착탈성 등의 특성을 충족하는 한, 각각 별도의 부재로서 사용해도 되고, 일부,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영역 A와 영역 B가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 A와 영역 B가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착용 시에 번거롭지 않게, 일반 의료와 같이 착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용자, 간병인의 부담을 경감하고, 본 발명의 교정 도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기능 회복, 일상의 동작 향상에 의해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한 연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제, 접착 등,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이리하여 얻어지는 교정 도구는,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교정력을 갖고,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와의 마찰,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갖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장착은 용이하고 장착 시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상지 장구, 체간 장구, 하지 장구 등의 장구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장착 용도도, 일상 생활용의 장구로서 적합한 뿐만 아니라, 재활용의 장구로서도 매우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각종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섬도
섬도는, JIS L 1013:20108.3.1 정량 섬도(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2)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
영역 B에 사용하는 직물 구조체의 신장률은 JIS L 1096:20108.14.1 JIS법의 스트립법(A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5㎝×30㎝의 시험편을 경, 위방향으로 각각 5매씩 채취하였다. 자동 기록 장치 구비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고, 파지 간격을 20㎝로 하고, 시험편의 느슨함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파지로 고정하였다. 인장 속도 200㎜/분에서 100N까지 신장시켜, 그때의 파지 간격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신장률 LA(%)를 구하고, 5매의 평균으로 나타냈다.
신장률 LA(%)=[(L1-L)/L]×100
L: 파지 간격(mm)
L1: 100N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파지 간격(mm)
(3) 하중 100N/5㎝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
영역 B에 사용하는 직물 구조체의 신장 회복률은 JIS L 1096: 20108.15.1 JIS법의 스트립법(A법)을 참고에 측정하였다. 즉, 5㎝×30㎝의 시험편을 경, 위방향으로 각각 5매씩 채취하였다. 자동 기록 장치 구비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고, 파지 간격을 200m(Lb)로서 표시하여, 시험편의 느슨함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파지로 고정하였다. 인장 속도 200㎜/분으로 별도로 구한 신장률(전항 LA)의 값까지 신장시켜, 1분 방치한 후, 동일한 속도로 원래의 위치까지 복귀시키고, 3분간 방치한다. 이 조작을 50회 반복한 후, 하중을 제거하여, 3분간 방치한 후, 시험편의 느슨함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표시간의 길이(Lb1)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신장 회복률 LB(%)를 구하고, 5매의 평균으로 나타냈다.
신장 회복률 LB(%)=[Lb-(Lb1-Lb)/Lb]×100
(4) 스프링 상수
JIS-K-6400-2:2012E법을 참고로 하고, 시트용 정하중 휨 시험기(일본 전산 심포지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FGS-TV특, 2축 수동 주행 사양)를 사용하고, R30 구비 타원판(짧은 직경 250㎜×긴 직경 φ300㎜)의 가압 지그의 중심을 포백의 중심 위치에 맞추어, 접하는 위치를 초기 위치(0N)로 하고, 시험을 개시한다. 가압 속도 270㎜/분에서, 200N 이상의 하중까지 가압하고, 200N 하중 시의 하중과 침강량[㎜]의 그래프 접선의 기울기를 각각 5개의 샘플에 대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을 산출하였다.
(5) 착용 평가
제작한 교정 도구를 교정이 필요한 한쪽 발에 착용하여, 1시간 보행한 상태에서, 교정력, 압박감, 마찰의 3항목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착용자에 의한 관능 평가로 실시하고, 5, 3, 1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A. 교정력
5: 교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힘을 주었을 때, 영역 B가 약간 추종한다.
3: 교정된 상태가 강하게 유지되고, 힘을 주어도 영역 B가 변화되지 않는다.
1: 교정된 상태의 유지가 약하고, 힘을 주면 영역 B가 추종한다.
B. 압박감
5: 보행 중에 영역 B가 덮이는 부분에서 위화감은 있지만, 신경쓰지 않는다.
3: 보행 중에 영역 B가 덮이는 부분에서 압박감을 느끼지만, 통증은 없다.
1: 보행 중에 영역 B가 덮이는 부분에서 압박감을 강하게 느껴, 통증이 있다.
C. 마찰
5: 보행 중에 영역 B의 주변에서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3: 보행 중에 영역 B의 주변에서 통증은 느끼지 않지만 마찰된 것 같은 위화감이 있다.
1: 보행 중에 영역 B의 주변에서 피부와 마찰되어 통증을 느낀다.
(6) 직밀도
JIS L 1096:20108.6.1 (A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평평한 받침대 위에 놓고, 부자연스러운 주름이나 장력을 제외하고, 다른 5군데에 대하여 1inch(2.54㎝)간에 존재하는 경사 및 위사의 개수를 세어,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7) 크림프율
직물로부터 발출한 경사 및 위사에 대해서, JIS L10968.7b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20개의 실에 대해서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실시예 1]
영역 A에 54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탄성 섬유로서 156 데시텍스의 폴리우레탄 섬유에 2종류의 섬유를 교편한 트리코트 편지를 사용하였다. 영역 B에는, 경사로서, 비탄성사인 167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위사로서, 탄성사인 480 데시텍스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하이트렐"(등록 상표)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경사 밀도 39개/inch(2.54㎝), 위사 밀도 43개/inch(2.54㎝)의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직물을 180℃의 온도에서 2분간, 열처리를 행하고, 경사 밀도 45개/inch(2.54㎝), 위사 밀도 46개/inch(2.54㎝)의 직물 구조체를 얻었다. 경사, 위사의 크림프율은 각각 20%, 3%이었다.
얻어진 직물 구조체는,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이, 경 5%, 위 15%, 신장 회복률은 경 85%, 위 95%, 스프링 상수는 50N/㎜이었다. 상기, 영역 A, 영역 B의 포백을 사용하여 양말 타입의 교정 도구를 제작하였다. 도 2는 그 교정 도구의 측면도이다. 영역 A(4)는 한쪽 발의 발로부터 무릎까지를 덮는 양말 형상으로 하였다. 영역 B1(1)은 발의 중족골 주위를 발의 폭 방향과 얻어진 직물 구조체의 위방향이 일치하도록 덮고, 영역 B2(2)는 슬와를 포함하는, 무릎의 주위를, 무릎의 둘레 방향과 얻어진 직물 구조체의 위방향이 일치하도록 덮었다. 영역 B3(3)은 영역 B2(2)의 무릎측을 중심으로 한 양측면으로부터, 영역 B1(1)의 중족골의 엄지손가락 외측과 새끼손가락 외측까지를, 영역 B3의 길이 방향이 얻어진 직물 구조체의 위방향과 일치하도록 연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B1측은 면 파스너(TRUSCO사제 "매직 테이프"(등록 상표) TMSH-1005-W), B2측은 재봉틀에 의한 바느질로 영역 B3을 영역 B1, B2와 연결하였다. 그 연결 길이는, 힘을 뺀 상태에서 발과 몸의 방향이 90°가 되도록, 영역 B2는 무릎부가 보행에 적합한 각도로 덮이도록 조정하였다. 영역 B1에 있어서는, 발 등 부분 이외를, 영역 B2에 있어서는, 슬와 이외를 영역 A와 재봉틀에 의한 바느질로 연결시키고, 영역 B1과 B2의 각각에 있어서, 둘레 방향 단부를 면 파스너에 의해 접착시킴으로써, 원하는 긴체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작한 교정 도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교정력은 5, 압박감은 5, 마찰은 5로, 교정 도구로서,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하고, 또한, 변형했을 때의 회복도 충분하고, 본 교정 도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교정 도구를 착용하여 구두를 신었더니, 발의 사이즈 대로 구두를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양말 모양이므로 착탈도 간편하고, 영역 B3의 위치 조정도 용이하였다.
[실시예 2]
영역 B3의 양단부를 각각 영역 B1, 영역 B2에 재봉틀에 의한 바느질로 연결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양말 타입의 교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교정 도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교정력은 5, 압박감은 5, 마찰은 5로, 교정 도구로서,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하고, 또한, 변형했을 때의 회복도 충분하고, 본 교정 도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교정 도구를 착용하여 구두를 신었더니, 발의 사이즈 대로 구두를 신을 수 있었다. 또한 미리 영역 B3의 위치와 사이즈가 조정되어 있으므로, 착탈도 간편하였다.
[실시예 3]
영역 B3을 발목 전방측에서 영역 A에 재봉틀에 의한 바느질로 연결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양말 타입의 교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교정 도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교정력은 5, 압박감은 5, 마찰은 5로, 교정 도구로서,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하고, 또한, 변형했을 때의 회복도 충분하고, 본 교정 도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교정 도구를 착용하여 구두를 신었더니, 발의 사이즈 대로 구두를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착탈도 간편하고, 영역 B3이 발에 붙게 되어 장착 외관도 보다 향상되었다.
[실시예 4]
영역 B3을 발의 전방측에서 크로스하도록 영역 B1과 영역 B2에 연결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양말 타입의 교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교정 도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교정력은 5, 압박감은 5, 마찰은 5로, 교정 도구로서,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하고, 또한, 변형했을 때의 회복도 충분하고, 본 교정 도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교정 도구를 착용하여 구두를 신었더니, 발의 사이즈 대로 구두를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착탈도 간편하였다.
[실시예 5]
영역 B3을 발목의 전방측에서 영역 A에 재봉틀에 의한 바느질로 연결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의 양말 타입의 교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교정 도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교정력은 5, 압박감은 5, 마찰은 5로, 교정 도구로서,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하고, 또한, 변형했을 때의 회복도 충분하고, 본 교정 도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교정 도구를 착용하여 구두를 신었더니, 발의 사이즈 대로 구두를 신을 수 있었다. 또한 착탈도 간편하고, 영역 B3이 발에 붙게 되어 장착 외관도 보다 향상되었다.
[실시예 6]
영역 A는 사용하지 않고, 영역 B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포백을 사용하여, 단하지용의 교정 도구를 제작하였다. 영역 B1(1)은 발의 중족골 주위를 발의 폭 방향과 얻어진 직물 구조체의 위방향이 일치하도록 덮고, 영역 B2(2)는 슬와를 포함하는, 무릎의 주위를, 무릎의 둘레 방향과 얻어진 직물 구조체의 위방향이 일치하도록 덮고, 영역 B3(3)은 영역 B2(2)의 무릎측을 중심으로 한 양측면으로부터, 영역 B1(1)의 중족골의 엄지손가락 외측과 새끼손가락 외측까지를, 영역 B3의 길이 방향이 얻어진 직물 구조체의 위방향과 일치하도록, 연결하고, 그 연결 길이는 힘을 뺀 상태에서 발과 몸의 방향이 90°가 되도록, 영역 B2는 무릎부가 보행에 적합한 각도로 덮이도록 조정하였다. 영역 B1과 B2의 각각에 있어서, 둘레 방향 단부를 면 파스너에 의해 접착시킴으로써, 원하는 긴체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작한 교정 도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교정력은 5, 압박감은 5, 마찰은 3으로, 교정 도구로서,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과,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요동, 압박 등에 대한 추종성을 양립하고, 또한, 변형했을 때의 회복도 충분하고, 본 교정 도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교정 도구를 착용하여 구두를 신었더니, 발의 사이즈 대로 구두를 신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영역 B에 시판하고 있는 고무 밴드를 사용한 것과, 영역 B1(1)은 발의 중족골 주위를 발의 폭 방향과 고무 밴드의 경방향이 일치하도록 덮고, 영역 B2(2)는 슬와를 포함하는, 무릎의 주위를, 무릎의 둘레 방향과 고무 밴드의 경방향이 일치하도록 덮고, 영역 B3(3)은 영역 B2(2)의 무릎측을 중심으로 한 양측면으로부터, 영역 B1(1)의 중족골의 엄지손가락 외측과 새끼손가락 외측까지를, 영역 B3의 길이 방향이 고무 밴드의 위방향과 일치하도록, 연결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양말 타입의 교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시판하고 있는 고무 밴드는,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이, 경 70%, 위 25%, 신장 회복률은 경 95%, 위 80%, 스프링 상수는 5N/㎜이었다.
제작한 교정 도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교정력은 1, 압박감은 5, 마찰은 5가 되고, 교정 도구로서, 영역 B의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이 과도하게 크고,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이 불충분하며,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2]
두께 3㎜의 폴리프로필렌제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된 슈혼형의 단하지 장구를 교정 도구로서 사용하였다. 폴리프로필렌제 시트는,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이, 경 0.5%, 위 0.5%, 신장 회복률은 경 30%, 위 30%, 스프링 상수는 150N/㎜이었다.
사용한 교정 도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교정력은 3, 압박감은 3, 마찰은 1이 되고, 교정 도구로서,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이 과도하게 강하고,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에 대하여 통증이 있었다. 또한, 프로필렌제 시트가 변형되었을 때, 변형 전의 형상에 회복되지 않아, 지속적인 사용에는 불충분하며,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3]
두께 3㎜의 스테인리스판을 지주로 한, 양측 지주형의 단하지 장구를 교정 도구로서 사용하였다. 스테인리스판은,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이, 경 0%, 위 0%, 신장 회복률, 스프링 상수는, 상기 측정 조건에서는 측정 불능이었다.
제작한 교정 도구에 있어서, 착용 시험을 실시한 결과, 교정력은 3, 압박감은 1, 마찰은 1이 되고, 교정 도구로서, 신체의 변형이나 기능 개선에 필요한 고정력, 교정력이 과도하게 강하고, 동작 시에 일어나는 교정 부위와 교정 도구의 마찰, 압박 등에 대하여 통증이 있어, 부적합하였다.
Figure pct00001
1. 영역 B1
2. 영역 B2
3. 영역 B3
4. 영역 A

Claims (10)

  1. 교정 도구이며, 상기 교정 도구를 장착 시에 교정력을 발현하는 영역 B를 갖고, 상기 영역 B는, 임의의 교정 부위에 대해, 교정 부위를 피복하는 영역 B1과 교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지지 영역인 영역 B2와, 상기 영역 B1과 영역 B2를 연결하는 영역 B3을 포함하고, 또한, 영역 B에 사용하는 구조체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 구조체이며, 하중 100N/5㎝ 시의 신장률이, 경방향 및 위방향 또는, 그 어느 방향으로 1.0% 이상 20% 이하인 교정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교정 부위의 주변을 덮는 영역 A를 갖고, 상기 영역 A는 적어도 1종 이상, 신축성을 갖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교정 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B에 사용하는 직물 구조체의 하중 100N/5㎝에 있어서의 50회 신장 후의 신장 회복률이, 경방향 및 위방향 또는, 그 어느 방향으로 80% 내지 100%인 교정 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B1과 영역 B3에 사용하는 직물 구조체의 스프링 상수가, 10N/㎜ 이상 100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도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B1 또는/및 영역 B2가 착용 시에 긴체력(緊締力)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교정 도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 시에 개폐 가능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교정 도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A와 영역 B가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교정 도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지 장구인 교정 도구.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간 장구인 교정 도구.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지 장구인 교정 도구.
KR1020227002454A 2019-08-09 2020-08-06 교정 도구 KR202200447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47629 2019-08-09
JPJP-P-2019-147629 2019-08-09
PCT/JP2020/030225 WO2021029325A1 (ja) 2019-08-09 2020-08-06 矯正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722A true KR20220044722A (ko) 2022-04-11

Family

ID=7456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454A KR20220044722A (ko) 2019-08-09 2020-08-06 교정 도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80321A1 (ko)
EP (1) EP4011348A4 (ko)
JP (1) JP7415932B2 (ko)
KR (1) KR20220044722A (ko)
CN (1) CN114144147A (ko)
CA (1) CA3147405A1 (ko)
WO (1) WO202102932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553A (ja) 1996-05-27 1997-12-09 Hiroshi Okumura 足の矯正用装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153A (ja) * 2004-03-31 2005-10-13 Undo Kagaku Kenkyusho Kk 歩行矯正器
JP5321893B2 (ja) * 2008-04-22 2013-10-23 株式会社コーポレーションパールスター 外反母趾矯正用具
KR20110036070A (ko) * 2008-07-18 2011-04-06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스포츠 웨어
JP5499249B2 (ja) * 2009-06-03 2014-05-21 株式会社コーポレーションパールスター 矯正ストラップ及びこれを有する足矯正靴下
TWI533814B (zh) * 2010-01-22 2016-05-21 Kowa Co Elbow support belt
JP5548949B2 (ja) * 2010-06-15 2014-07-16 株式会社コーポレーションパールスター 矯正ストラ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足矯正具
US20190105216A1 (en) * 2016-03-30 2019-04-11 Toray Industries, Inc. Garment
US11076974B2 (en) * 2016-04-01 2021-08-03 Ing Source, Inc. Orthotic ankle garment,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lower leg of a wearer
JP2018011903A (ja) * 2016-07-22 2018-01-25 佐直 清 下肢用サポータ
JP2019081986A (ja) 2017-10-31 2019-05-30 美津濃株式会社 衣服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553A (ja) 1996-05-27 1997-12-09 Hiroshi Okumura 足の矯正用装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80321A1 (en) 2022-09-08
CA3147405A1 (en) 2021-02-18
JP7415932B2 (ja) 2024-01-17
EP4011348A4 (en) 2023-08-16
WO2021029325A1 (ja) 2021-02-18
JPWO2021029325A1 (ko) 2021-02-18
CN114144147A (zh) 2022-03-04
EP4011348A1 (en)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513A (en) Remedial support appliance for medical use on a leg or an arm
EP1974704B1 (en) Compression device
JP6527629B1 (ja) 動作補助作業着
US3800331A (en) Novel self supporting elastic surgical stocking
JP2017192719A (ja) 動作補助作業着
CN106061440A (zh) 护膝及膝关节保护方法
KR102314566B1 (ko) 손목 관절용 붕대
US20100100024A1 (en) Anti-slip Mechanism, Garment, and Methods
RU2189160C2 (ru) Сдавливающее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типа эластичного чулка
WO2011090192A1 (ja) 手関節サポーター
JP6924056B2 (ja) 衣類
KR20220044722A (ko) 교정 도구
JP7165296B2 (ja) 靴下
JP2002227002A (ja) ストッキング
JP2019081986A (ja) 衣服
JP7420139B2 (ja) 下肢矯正具
US20120034843A1 (en) Clothes having a waist portion
JP2017089045A (ja) タイツ
CN215875135U (zh) 一种脚踝康复装置
JP7187499B2 (ja) 衣類
JP3221658U (ja) 身辺衣料
JP2021195649A (ja) 下肢装着用製品
JP2018168507A (ja) 下衣
JP2015190091A (ja) 上衣
JP3109915U (ja) スキンケアパン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