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566B1 - 손목 관절용 붕대 - Google Patents

손목 관절용 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566B1
KR102314566B1 KR1020167026926A KR20167026926A KR102314566B1 KR 102314566 B1 KR102314566 B1 KR 102314566B1 KR 1020167026926 A KR1020167026926 A KR 1020167026926A KR 20167026926 A KR20167026926 A KR 20167026926A KR 102314566 B1 KR102314566 B1 KR 10231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yarn
wrist
bandage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803A (ko
Inventor
아키하루 쓰치야
히토시 오지마
히데노리 가세노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61F13/108Openable re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19Wound bandages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53Wound bandages coloured or with decoration pattern or prin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Woven Fabric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손목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 손의 건초염을 방지할 수 있는 테이핑 기능을 가지는 손목 관절용 붕대를 제공한다.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13)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손목에 권취되는 권취부(11) 및 상기 착용자의 손등 또는 손바닥으로부터 손목까지 배치되는 지지부(12)로 이루어지는 밴드형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일단(10a)에 접합되고, 착용자의 손가락이 삽통되는 앵커부(20)와, 본체부(10)의 타단(10b)에 접합되고, 본체부(10)의 루프면(13)에 착탈 가능한 면 파스너의 훅면(33)을 가지는 계착부(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손목 관절용 붕대{WRIST JOINT BANDAGE}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일상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손목 관절용 붕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손목 관절(wrist joint)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손목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손의 건초염(tenosynovitis)을 방지하는 테이핑(taping) 기능을 가지는 손목 관절용 붕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목 관절, 발목 관절(ankle joint) 또는 무릎 관절(knee joint)의 염좌(捻挫; sprain) 등의 외상 예방, 이들 외상등의 부상을 입었을 때의 응급 처치, 부상을 입은 후부터 완전 회복까지의 사회 복귀 요법의 보조, 또는 외상 등의 재발 예방 등의 의료용의 목적에 대응하기 위해, 밴드형의 테이핑 테이프[신체의 부분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신축성(伸縮性) 또는 비신축성(非伸縮性) 점착포(粘着布) 테이프] 또는 붕대나 환편(丸編)에 의해 편성(編成)된 대략 통형(筒形)의 서포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테이핑 테이프는, 일회용이므로 경제적이 아니고, 사용자의 체질에 따라서는 점착제(粘着劑)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발진이 생기게 되고, 또한 고령자 등의 피부의 약한 사용자에는 테이핑 테이프를 벗길 때 표피 박리(剝離)가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편의 서포터는, 대략 통형이므로, 부상을 입은 부위를 무리하게 굽혀 삽입으로 하는 경우에 통증을 수반할 우려가 있는 데다, 테이핑 테이프와 비교하여 고정력이 뒤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붕대는, 경사(warp)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 직물이므로, 환부에 추종하기 쉽고, 착용자 자신이 고정력을 조정하면서 권취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몸의 동작에 대하여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아, 안정된 고정력이 얻어져,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손목 교정구는, 손의 엄지 또는 그 외의 손가락에 걸리는 걸림부와, 손목에 환형(環形)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상기 권취의 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밴드형의 환형 권취부와, 이들 걸림부와 환형 권취부를 연결하여, 손의 엄지 또는 그 외의 손가락으로부터 손목에 걸쳐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상기 권취의 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밴드형의 나선(螺旋) 권취부를 구비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 제2011-45628호 공보
종래의 손목 교정구는, 나선 권취부(걸림부) 및 환형 권취부가 연속하여 밴드형으로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나선 권취부 및 환형 권취부의 소재가 동일하며, 나선 권취부 및 환형 권취부의 최대 신장도[최고 하중으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장의 길이(신장 치수)와 원래의 길이(lay-flat size)와의 차이의, 원래의 길이에 대한 백분율]가 동일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손목 교정구는, 교정구로서의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나선 권취부의 신장률을 억제한 경우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걸림부의 주위의 생지(生地; cloth)(나선 권취부)의 최대 신장도도 저하되게 되어, 생지의 신장(伸長)에 따른 걸림부(구멍)의 변형 등의 자유도를 저하시켜, 걸림부 근방의 생지의 떠오름(floating) 및 주름(wrinkle)의 발생이나, 걸림부에 삽입한 손가락에 통증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에는, 손목 교정구의 나선 권취부와 환형 권취부는, 일체의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무릎 교정구 또는 팔꿈치 교정구의 나선 권취부와 환형 권취부와 같이, 구조가 상이한 것이라도 된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지만, 나선 권취부 및 환형 권취부의 최대 신장도의 상위에 대한 기재는 없다. 특히, 걸림부는, 나선 권취부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이며, 나선 권취부 및 환형 권취부가 일체 또는 별체임에 관계없이, 나선 권취부의 최대 신장도에 영향을 주는 것이며, 전술한 문제점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손가락이 삽통(揷通)되는 걸림부[앵커부(anchor part)]에 자유도를 갖게 하면서, 손목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손목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손목 관절용 붕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손목 관절용 붕대에 있어서는, 면 파스너(touch fastener)의 루프면(loop face)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織成)되고, 착용자의 손목에 권취되는 권취부 및 착용자의 손등 또는 손바닥으로부터 손목까지 배치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밴드형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일단(一端)에 접합되고, 착용자의 손가락이 삽통되는 앵커부와, 본체부의 타단에 접합되고, 본체부의 루프면에 착탈 가능한 면 파스너의 훅면(hook face)을 가지는 계착부(engaging part)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권취부가 같은 폭의 직선형인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배치(being disposed)」란 「사람(착용자의 부위)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닿아 멈추어 두는 것」을 의미하고, 「설치(being provided)」란 「물품(object; 손목 관절용 붕대)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한 손목 관절용 붕대에 있어서는, 손가락이 삽통되는 앵커부에 자유도를 갖게 하면서, 손목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손목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손목 관절용 붕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배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나타낸 본체부에 무늬(pattern)를 형성한 손목 관절용 붕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2의 (a)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배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좌측면도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우측면도이며, (c)는 도 1의 (a)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평면도이며, (d)는 도 1의 (a)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저면도이며, (e)는 도 1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앵커부에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b)는 본체부를 왼 손의 척골두(尺骨頭;ulnar head)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손목으로 반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c)는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손목으로 다시 반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d)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착용 상태를 손등 측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며, (e)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의 착용 상태를 손바닥 측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에 나타낸 본체부의 루프면의 직물 조직(組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5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A-A'선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6의 (a)는 도 2에 나타낸 본체부의 루프면 및 무늬 부분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6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본체부의 최대 신장도의 상위에 따른 효과감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의 (a)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본체부의 표지면(表地面; front ground face)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C-C'선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본체부의 무늬 부분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9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D-D'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붕대란 「경사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 직물을 주재료로 하고, 상기 밴드형 직물이 신체의 일부에 권취됨으로써, 상기 신체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이와 같은 효력을 가지는 것이면, 붕대라고 표현되어 있지 않아도(예를 들면, 테이핑 서포터, 서포터 밴드 등) 본 발명의 붕대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 파스너의 루프면(13)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손목에 권취되는 권취부(11) 및 착용자의 손등 또는 손바닥으로부터 손목까지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지지부(12)로 이루어지는 밴드형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일단(10a)에 접합되고, 착용자의 손가락이 삽통되는 앵커부(20)와, 본체부(10)의 타단(10b)에 접합되고, 본체부(10)의 루프면(13)에 착탈 가능한 면 파스너의 훅면(33)을 가지는 계착부(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착용자의 왼 손 또는 오른 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좌우 겸용이다.
본체부(10)는, 니들 직기(needle loom)나 자카드(jacquard) 니들 직기 등의 역직기(power loom)에 의해, 경사(1) 및 위사(weft)(2)를 조합시켜 직성되고,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위사 방향(폭 방향 W의 신축성을 억제한 세폭의 신축(伸縮) 직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부(10)는, 착용자의 손목에 권취되는 권취부(11)와 착용자의 손등 또는 손바닥으로부터 손목까지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지지부(12)로 구성되며, 지지부(12)가 본체부(10)의 일단(10a) 측에 설치되고, 권취부(11)가 본체부(10)의 타단(10b) 측에 설치되고, 또한 지지부(12)와 권취부(11)가 같은 폭의 직선형이다.
또한, 본체부(10)의 경사(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2)와 함께 직물의 하나의 면[예를 들면, 안감면(back ground face)]을 구성하는 경지사(warp ground yarn)(1a)와, 경사 방향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위사(2) 상으로 떠올라 직물의 다른 면[예를 들면, 표지면(front ground face)]에 루프를 형성하는 파일사(pile yarn)(1b)와, 경사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사(elastic yarn)(1c)를 구비한다. 이후, 본 명세서에 있어서 루프면(13)을 가지는 면을 「표지면」이라고 하고, 그 배면을 「안감면」이라고 한다.
위사(2)는, 경지사(1a)와 함께 직물의 안감면을 구성하는 위지사(weft ground yarn)(2a)와, 위지사(2a)에 병설되는 열융착성을 가지는 융착사(2b)를 지가고, 1개의 위지사(2a) 및 1개의 융착사(2b)를 병설하여 2개의 위사(2)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는, 1개의 위지사(2a) 및 1개의 융착사(2b)를 1개의 위사(2)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b) 및 도 5의 (b)에 있어서는, 병설되는 위사(2)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이 표지면으로 되고, 하측이 안감면으로 된다.
또한, 본체부(10)는, 자카드 니들 직기를 사용함으로써,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위사(2)에 대하여, 경사(1)의 경지사(1a)를 표지면 측으로 떠올리고, 경사(1)의 파일사(1b)를 안감면 측으로 가라앉게 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롭게 개구되는 쟈가드 조직에 의해,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늬(14)를 표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무늬(14)의 영역을 제외하고, 표지면의 거의 전체면에 루프[루프면(13)]를 가지는 것이 된다.
다음에, 도 5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루프면(13)을 이루는 경지사(1a)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과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1-3의 교차 부침(浮沈)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루프면(13)을 이루는 파일사(1b)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6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6-2-2-2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루프면(13)을 이루는 탄성사(1c)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경지사(1a), 파일사(1b) 및 탄성사(1c)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표지면에 루프[루프면(13)]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면,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6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 형성하는 무늬(14)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무늬(14)를 이루는 경지사(1a)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3-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파일사(1b)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2-2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탄성사(1c)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경지사(1a), 파일사(1b) 및 탄성사(1c)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표지면의 루프면(13)의 사이에 무늬(14)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부(10)는,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打入; picking) 횟수(개수)에 의해,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대 신장도란, 「최고 하중으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장의 길이(신장 치수)와 원래의 길이(lay-flat size)와의 차이의, 원래의 길이에 대한 백분율」을 나타낸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는, 후술하는 관능 평가의 총합적 판단의 결과로부터, 40%∼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75%가 더욱 바람직하고, 60%가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최대 신장도를 60%로 설정한 본체부(10)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경지사(1a)는, 굵기 100번째의 울리 나일론 쌍사(wooly nylon two-ply yarn)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132개의 울리 나일론 쌍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파일사(1b)는, 10개의 나일론 필라멘트를 꼬아 합하여 열을 가하고, 다시 10개의 나일론 필라멘트의 꼰 방향(twisting direction)과 반대 방향으로 꼬아 가공한 굵기 210 데니어(denier)의 특수 가공실(210D-10F)이며,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132개의 특수 가공실(210D-10F)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탄성사(1c)는, 굵기 56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사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36개의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경사(1)의 재질에서의 본체부(10)는, 예를 들면, 폭이 5cm이면, 경사(1)[경지사(1a), 파일사(1b), 탄성사(1c)]에 의한 경밀도(經密度; warp density)가, 1485.6D/㎜[=((210D×132개)+(100D×2개×132개)+(560D×36개))/50㎜]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파일사(1b)는, 필라멘트 카운트가 10개인 것에 의해, 필라멘트 카운트가 로우 카운트(low count)(예를 들면, 7개)의 경우와 비교하여, 밀집하는 필라멘트의 접착력이 높아, 직물[본체부(10)]의 감촉이 유연(soft)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탄성사(1c)는, 굵기를 560 데니어로 함으로써, 굵은 탄성사(예를 들면, 1120 데니어)의 경우와 비교하여, 직물[본체부(10)]의 두께를 얇게 하여 직물 자체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위지사(2a)는,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사(polyester woolly yarn) (EW: polyester woolly)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융착사(2b)에는, 굵기 100 데니어의 나일론 열 융착사[예를 들면,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엘더(Elder)(등록상표」]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역직기에 의해 1개의 위지사(2a) 및 1개의 융착사(2b)가 위사(2)로서 동시에 타입되고,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의 타입 횟수(개수)가 2.54cm(1인치)당 36.9회(각 36.9개)이다.
즉, 전술한 위사(2)의 재질 및 타입 횟수(개수)에서의 본체부(10)는, 위사(2)(폴리에스테르 울사, 나일론 열 융착사)에 의한 위밀도(緯密度; weft density)가, 9225D/인치[=(150D+100D)×36.9회/인치]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위사(2)의 위지사(2a)는, 굵기를 150 데니어로 함으로써, 굵은 위사의 위지사(예를 들면, 300 데니어)의 경우와 비교하여, 직물[본체부(1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전술한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에 의해,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6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탄성사(1c)의 굵기에 대해서는, 560 데니어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입수(양산) 가능한 1 랭크(rank) 하의 굵기의 420 데니어나 1 랭크 상의 굵기의 1120 데니어를 선택하고, 전술한 위사(2)의 굵기 및 타입 횟수(개수)를 변경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탄성사(1c)의 굵기는, 420 데니어∼1120 데니어이면, 본체부(1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사(2)의 위지사(2a)의 굵기에 대해서는, 150 데니어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입수(양산) 가능한 1 랭크 하의 굵기의 100 데니어나 1 랭크 상의 굵기의 300 데니어를 선택하고, 전술한 탄성사(1c)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를 변경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사(2)의 위지사(2a)의 굵기는, 100 데니어∼300 데니어이면, 본체부(1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의 타입 횟수(개수)에 대해서는, 2.54cm(1인치)당 36.9회(각 36.9개)를 일례로서 들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2.54cm당 32.8회(각 32.8개)∼41.0회(각 41.0개)를 선택하고, 전술한 탄성사(1c) 및 위사(2)의 굵기를 변경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의 타입 횟수(개수)는, 2.54cm당 32.8회(각 32.8개)∼41.0회(각 41.0개)이면, 본체부(1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의 두께는, 너무 두꺼운 경우에, 착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붕대를 권취할 때 커져서 감기 어려워지고, 너무 얇은 경우에, 붕대의 직물 자체가 쉽게 접혀져 원하는 고정력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체부(10)의 두께는, 붕대를 권취하기 쉽고, 원하는 고정력이 얻어지는 두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본체부(1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가 60%이면, 3㎜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착용자의 손목에 본체부(10)를 권취한 경우에 외측으로 되는 면(표지면)에 루프면(13)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본체부(10)에 배치한 계착부(30)[훅면(33)]은, 탈착(脫着)의 용이성 및 계착 위치의 자유도로부터, 본체부(10)의 타단(10b)의 안감면 측에 설치한다.
또한, 본체부(10)는, 착용자의 손등 또는 손바닥을 지지하는 부분[지지부(12)]의 길이와, 착용자의 손목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자의 손목을 적어도 일주(一周)하는 부분[권취부(11)]의 길이가 필요하며, 성별이나 연령 등에 의해 손의 크기에 개인차는 있지만, 예를 들면, 28cm∼33cm의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0)는, 착용자의 건초염의 치료(손목 관절의 고정)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폭을 필요로 하고, 예를 들면, 3cm∼7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부(20)는, 착용자의 손가락을 삽통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손목 관절에 대하여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손목에 대한 본체부(10)의 권취 방향의 회전 이동을 억제하여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다.
앵커부(20)는, 니들 직기나 자카드 니들 직기 등의 역직기에 의해, 경사(1) 및 위사(2)를 조합시켜 직성되고, 경사 방향(주위 방향,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위사 방향(폭 방향)의 신축성을 억제한 세폭(細幅)의 신축 직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는, 무늬(14)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니들 직기에 의해 직성된다.
또한, 앵커부(20)의 경사(1)는, 위사(2)와 함께 직물의 하나의 면(예를 들면, 안감면)을 구성하는 경지사(1a)와, 경사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사(1c)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의 경지사(1a)는, 굵기 70번째의 울리 나일론 쌍사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에는, 184개의 울리 나일론 쌍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의 탄성사(1c)는, 굵기 84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사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에는, 27개의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경사(1)의 재질에서의 앵커부(20)는, 예를 들면, 폭이 3cm이면, 경사(1)[경지사(1a), 탄성사(1c)]에 의한 경밀도(warp density)가, 1614.66D/㎜[=((70D×2개×184개)+(840D×27개))/30㎜]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의 위지사(2a)에는,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사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에는, 위사(2)[위지사(2a)]의 타입 횟수(개수)가 2.54cm(1인치)당 33.9회(33.9개)이다.
즉, 전술한 위사(2)의 재질 및 타입 횟수(개수)에서의 앵커부(20)는, 위사(2)(폴리에스테르 울사)에 의한 위밀도(weft density)가, 5085D/인치(=150D×33.9회/인치)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는, 전술한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에 의해, 주위 방향(길이 방향,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240%로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앵커부(20)의 최대 신장도는, 200%∼2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앵커부(20)의 주위 방향(길이 방향,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가 본체부(10)의 길이 방향 L(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보다 큰 것에 의해, 앵커부(20)의 유연성을 갖게 하면서, 본체부(10)의 긴체력(緊締力)에 의해 손목 관절을 고정시켜 손목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손목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는, 신축 직물인 밴드형체(band-shape body)의 양단을 본체부(10)의 일단(10a)에 접합[예를 들면, 봉합(縫合)]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므로, 본체부(10)와 별개의 부재로서, 주위 방향[길이 방향, 경사(經絲)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본체부(10)의 길이 방향 L(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와 다르게 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앵커부(20)는, 본체부(10)와의 접합에 의해, 도 3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표지면 측을 소경부(小徑部)로 하고, 본체부(10)의 안감면 측을 대경부(大徑部)로 하는 선단이 가는 형태의 대략 원뿔통형으로 된다. 이로써,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착용자의 손가락이 앵커부(20)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앵커부(20)의 내측면이 손가락의 베이스의 형상에 피트하여, 앵커부(20)에서의 떠오름이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앵커부(20)와 본체부(10)의 일단(10a)과의 접합부(40)는, 본체부(10)의 폭 방향 W의 길이보다 길고 앵커부(20) 측을 볼록하게 하여 봉제(縫製)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일단(10a)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꼭지각(頂角; apex angle)을 약 135°로 하는 2개의 경사변의 길이가 같은 산형(山型)(대략〈형)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나의 경사변에 앵커부(20)의 일단(21)이 봉제되고, 다른 경사변에 앵커부(20)의 타단(22)이 봉제되어 있지만, 상기 꼭지각은, 120°∼15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접합부(40)가 앵커부(20)를 향해 볼록형으로 봉제되는 것에 의해,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자의 손목에 권취하는 경우에, 본체부(10)의 권취(견인) 방향에 대응하여, 접합부(40)에서의 비틀림(twist)을 흡수하여, 접합부(40) 근방의 떠오름이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봉제의 종류에는, 플랫 시머(flat seamer)(4개 침 봉제), 오버록(overlock), 3점 지그재그 등이 있지만, 본 실시형 형태에 관한 접합부(40)는, 맞춤 부분(combined portion)이 얇아져, 솔기(seam; 봉제한 자리)를 눌러넣는 힘(pressing force)에 의해 솔기가 평평하고 튼튼하게 마무리되어, 산형 재단(裁斷)에 의해 입체(立體)에 따르기 용이하고, 생지 이면(裏面)에 솔기가 없으므로, 피부에 봉제 개소(箇所)가 닿지 않아 착용감이 양호하다는 장점을 가지는 플랫 시머로 봉제된다.
또한, 앵커부(20)는, 착용자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며, 예를 들면, 7cm∼11cm의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앵커부(20)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착용자가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할 때, 본체부(10)로부터의 인장(引張) 응력에 의해, 앵커부(20)로부터 손가락의 걸림 부분에 걸리는 압력이 높아져, 손가락에 통증이 생기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앵커부(20)의 폭은, 어느 정도의 폭이 필요하며, 예를 들면, 2cm∼4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계착부(30)는,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과 등각(等脚) 사다리꼴을 조합한 평면 형상이며, 직사각형 부분(31)이 본체부(10)의 안감면에 봉제되고, 등각 사다리꼴 부분(32)이 본체부(10)의 타단(1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착부(30)는, 등각 사다리꼴 부분(32)이 본체부(10)의 타단(1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본체부(10)와 중첩되지 않는 분만큼 얇아져, 등각 사다리꼴 부분(32)을 착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把持)하기 용이하여, 본체부(10)의 루프면(13)에 대하여 훅면(33)을 용이하게 착탈(着脫)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착용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왼 손에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착용자의 오른 손에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0)의 손목에 대한 권취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는 이외에는, 왼 손의 착용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착용자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 손의 손바닥이 보이는 상태에서,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앵커부(20)를 손의 제1 손가락(엄지손가락, 엄지)에 건다[앵커부(20)에 손의 제1 손가락을 삽통한다].
그리고, 착용자는, 오른 손으로 본체부(10)의 타단(10b)을 파지하면서 본체부(10)를 견인하고, 왼 손의 제1 손가락의 밑으로부터 척골두(ulnar head)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 손등 측에서 신장 상태의 본체부(10)[지지부(12)]를 배치시킨다. 그리고, 신장 상태란, 착용자가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 후에 권취 위치를 미세 조정 가능하게 하는 신장대(elongation margin)를 가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착용자는, 도 4의 (b) 및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장 상태의 본체부(10)[권취부(11)]를 왼 손의 척골두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손목을 주회(周回)시킨 후, 도 4의 (d) 및 도 4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타단(10b)에 있는 계착부(30)의 훅면(33)을 본체부(10)[권취부(11)]의 루프면(13)에 계착시켜, 완료한다.
그리고, 전술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착용 방법에 있어서는, 앵커부(20)에 삽통시키는 착용자의 손가락을 제1 손가락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손가락(제2 손가락[집게손가락), 제3 손가락(중지), 제4 손가락(약지), 제5 손가락(새끼손가락을 1개 또는 복수 개를 앵커부(20)에 삽통하여 착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착용 방법에 있어서는, 손등 측으로부터 본체부(10)를 권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손가락을 손등 측으로 구부릴(bend) 수 없는 경우에는, 손바닥 측으로부터 본체부(10)를 역방향으로 권취하여 착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본체부(10)에서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의 최적의 범위에 대하여, 테스트 시험의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테스트 시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에 의해 직성된 최대 신장도가 45%, 60% 또는 75%인 본체부(10)(길이: 33cm, 폭: 5cm)와, 앵커부(20)와, 계착부(30)를 구비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이하,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이라고 각각 칭함)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최대 신장도가 35% 또는 90%인 본체부(10)(길이: 33cm, 폭: 5cm)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손목 관절용 붕대(이하, 비교예 1 및 비교예 2라고 각각 칭함)를 제작하여, 테스트 시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로 이루어지는 시판 중인 손목 관절용 붕대(이하, 비교예 3이라고 함)를 사용하여, 테스트 시험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비교예 3은, 면 파스너로서의 루프면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경사에서의 파일사 및 위사에서의 융착사를 지가고 있지 않다.
[표 1]
Figure 112016094173892-pct00001
테스트 시험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왼 손에 손목 관절용 붕대를 착용하고, 도 7의 평가 항목에서의 착용자의 효과감의 관능 평가(합계 5명)를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먼저 각 착용자에 의해 각 평가 항목에 대한 관능 평가를 3 단계(3: 매우 양호함, 2: 양호함, 1: 나쁨)로 점수화하여, 각 평가 항목에서의 착용자 전원(5명)의 평균점을 산출하였다. 그 후,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 대하여, 각 평가 항목의 합계점 및 평균점을 산출하여, 총합적으로 평균점이 2점 이상을 급제점(passing mark)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도 7의 평가 항목 「고정력(fixing force)」은, 손목 관절의 장굴(掌屈; palmar flexion) 또는 배굴(背屈; dorsal flexion)의 가동역(可動域) 억제력이면, 하물(荷物)의 운반, 전철 또는 버스의 스트랩(strap)을 사용하는 경우, 스포츠 시, 베딩 드라잉(bedding drying), 또는 자동 이륜차의 클러치 등의 동작에서의 필요 이상으로 힘을 사용하는 장굴 또는 배굴의 가동역의 억제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요굴(橈屈; radial flexion) 또는 척굴(尺屈; ulnar flexion)의 가동역 억제력이면, 후라잉 팬(frying pan)을 좌우로 흔드는(shaking), 컵을 잡는(holding a cup), 낚시대를 흔드는(shaking a fishing rod), 스포츠 시 등의 동작에서의 필요 이상으로 힘을 사용하는 요굴 또는 척굴의 가동역의 억제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도 7의 평가 항목 「통증」에 대하여, 직물의 압박력에 의한 통증이면,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근육 또는 관절의 동작이나 피부의 신축에 직물이 추종할 수 없어, 압박력을 더욱 강하게 느껴 통증을 기억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되고,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가동역을 억제하는 고정력이 약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직물의 경도에 의한 마찰의 통증이면,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근육이나 피부의 동작에 추종할 수 없으므로, 직물과 피부가 마찰되어 통증을 느끼기 쉬운 것으로 생각되고,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근육이나 피부에 대하여 부응하도록 직물이 신장되므로, 피부에 대한 트러블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 7의 평가 항목 「면 파스너의 벗기기 용이함(ease of peeling-off of touch fastener)」에 대하여, 면 파스너가 벗기기 용이하다는 것은, 힘이 약한 착용자에게도 면 파스너의 착탈(着脫) 사용에 지장이 없는 동시에,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는 직물 자체가 딱딱해져 형(shape)이 무너지지(lose) 않게 된다.
또한, 면 파스너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는 것은, 착용자의 운동 시에, 붕대의 착용 부위에서의 관절의 가동(可動)이나 근육의 팽창에 의해, 면 파스너의 훅면이 루프면으로부터 벗겨지지 않는 반면, 면 파스너의 훅면 및 루프면 사이의 강한 계착력(engaging force)에 의해,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는 직물로부터 파일사를 뽑아(pulled out), 면 파스너를 벗겼을 경우에, 파일사가 직물로부터 돌출되어 직물의 보풀이 생기도록 하게 된다.
또한, 도 7의 평가 항목 「직물의 밀착성」에 대하여,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근육이나 피부의 동작에 추종할 수 없으므로, 생지가 밀착되지 않아 피부 저항이 감소하고, 붕대의 효과가 약한 것으로 생각되고,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생지와 피부가 밀착되어 고정되기 쉽고, 피부나 근육의 움직임에 피팅(fitting)하여, 붕대의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 7의 평가 항목 「감기 용이함(ease of winding)」에 대하여,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피부의 곡면을 따르기 어려워, 본체부(10)의 권취가 곤란하다. 또한,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직물과 피부가 밀착되어 고정되기 쉽고, 피부나 근육의 동작에 피트하기 쉽지만, 본체부(10)의 신장의 한계점이 쉽게 느끼지지 않으므로, 본체부(10)의 권취수가 많아지게 되어, 본체부(10)의 권취가 곤란해진다.
또한, 도 7의 평가 항목 「고정력의 조정의 용이함(ease of adjustment of fixing force)」에 대하여,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견고한 고정에 적합하지만, 고정력의 조정 가능한 범위가 좁으므로, 힘이 약한 착용자에게 있어서 고정력의 조정이 어려워진다.
또한, 도 7의 평가 항목 「직물의 접히기 어려움(difficulty of fabric folding)」에 대하여,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작을 경우에는, 조직(texture)이 막혀져 있으므로, 직물의 단단함(stiffness)도 있어, 직물이 접히기 어렵다. 또한, 직물의 최대 신장도가 클 경우에는, 조직이 비어 있으므로, 직물이 접혀지기 쉬운 직조직이며, 직물이 접힘으로써 본체부(10)의 구조가 약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평가 항목에 있어서, 실시예 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모두의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평가 결과를 얻고 있다.
또한, 실시예 3은, 고정력이 약하지만, 다른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평가 결과를 얻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은, 통증이 있어, 직물의 밀착성이 나쁘기는 하지만, 다른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평가 결과를 얻고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대부분의 평가 항목에 있어서 나쁜 평가 결과를 얻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총합적인 평가 결과로서는, 평균점이 2점 이상인 실시예 1(최대 신장도 45%), 실시예 2(최대 신장도 60%) 및 실시예 3(최대 신장도 75%)이, 본체부(10)로서, 최적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본체부(10)에서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는, 40%∼80%가 바람직하고, 45%∼75%가 더욱 바람직하고, 60%가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본체부(10)에 대하여, 면 파스너의 내구성(耐久性) 시험(박리 강도)의 시험 결과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면 파스너의 내구성 시험(박리 강도)에서는, 전술한 관능 평가의 평가 결과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결과인 실시예 2[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가 60%의 본체부(10)]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신축 직물과 비교했다. 또한, 비교예로서는, 전술한 관능 평가에 사용한 비교예 3에 더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로 이루어지는 시판 중인 신축 직물(이하, 비교예 4 및 비교예 5에서 각각 칭함)을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112016094173892-pct00002
그리고, 실시예 2와 비교예 3∼5와의 큰 상위점은, 파일사의 필라멘트 카운트의 상위이며, 실시예 2의 10개에 대하여, 비교예 4가 7개며, 비교예 5가 15개이며, 비교예 3가 파일사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고 있지 않다).
면 파스너의 내구성 시험(박리 강도)은, 일본공업규격의 JIS(L3416) 「면 파스너」의 7.4.2 「박리 강도」에 준거하고, 1000회의 접착·박리의 반복을 행한 실험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6094173892-pct00003
실시예 2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비율(초기의 박리 강도에 대한 내구(耐久) 시험 후의 박리 강도의 백분율)이 비교예 3∼5와 비교하여 가장 높고, 손목에 권취하여 면 파스너의 훅으로 계착시키는 손목 관절용 붕대(100)에 사용하는 본체부(10)로서 최적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는, 내구 시험 후의 박리 강도가 초기의 박리 강도에 대하여 크게 되어 있으므로(유지 비율이 100%를 초과하므로) 손목 관절용 붕대(100)로서 장기간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데 유리하다.
그리고, 파일사의 필라멘트 카운트가 많은 것은, 면 파스너의 훅이 루프에 계착하기 용이해져, 유지 비율이 높아지는 한편, 최대 신장도가 낮아진다.
비교예 5는, 파일사의 필라멘트 카운트가 실시예 2의 파일사의 필라멘트 카운트보다 많은 것이지만, 외관의 보풀을 방지하기 위해 수지가공이 행해져 있으므로, 면 파스너의 훅이 루프에 계착하기 어려워져, 초기의 박리 강도 및 유지 비율이, 실시예 2의 초기의 박리 강도 및 유지 비율보다 낮아져 있다.
이상과 같이,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본체부(10)와 착용자의 손목 관절을 고정하고, 손등 측으로부터 권취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손목 관절의 장굴을 제한하고, 손바닥 측으로부터 권취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손목 관절의 배굴을 제한하여, 손목 관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손목 관절에 위치하는 힘줄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손목 관절에 동통(疼痛)이 있으면, 손목 관절에 대한 과부하를 보상(compensate)하는 팔꿈치 관절 등에도 부담이 걸려, 2차적인 동통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손가락이나 손목 관절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고, 팔꿈치나 견관절(肩關節) 전면(前面)에 동통이 있는 사람은,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착용에 의해, 손목 관절의 동통으로부터 연쇄적으로 생기는 팔꿈치 및 견관절의 동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손목 관절의 운동에는, 장굴 및 배굴 외에, 요굴 및 척굴이 있고, 이 요굴 및 척굴은, 일상 생활에 여러 차례에 사용하는 동작이며, 이 동작에 따라 손으로부터 엄지를 향해 신장되고 있는 힘줄의 염증(炎症)인 드·꿰르벵(De Quervain) 증후군의 발생 빈도는 높다. 이에 대하여,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착용자의 손목 관절의 요굴 및 척굴을 제한함으로써, 드·꿰르벵 증후군의 예방이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예를 들면,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1)의 경지사(1a)에 녹색의 실을 사용하고, 본체부(10)의 경사(1)의 파일사(1b)에 흑색의 실을 사용하고,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경사(1)의 탄성사(1c)에 흑색의 실을 사용하고, 본체부(10) 및 앵커부(20)의 위사(2)에 흑색의 실을 사용하는 동시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의 위사(2)에 대하여 경지사(1a)를 띄우고 파일사(1b)를 가라앉게 함으로써, 흑색의 표지면에 녹색의 무늬(14)가 형성되고, 본체부(10)의 표지면의 무늬(14)에 대응하는 본체부(10)의 안감면의 부분이 흑색으로서 본체부(10)의 녹색의 안감면에 나타난다.
그리고,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이들 색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본체부(10)의 경사(1)의 파일사(1b)에 무지개색의 7색(빨 주 노 초 파 남 보) 중 어느 1색의 실을 사용하고, 본체부(10)의 무늬(14)를 제외하고 표지면을 무지개색 중 어느 1색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로써,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7색의 컬러(color) 변화의 상품군에 의해, 수요자의 구매 의욕을 발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예를 들면, 본체부(10)의 경사(1)의 파일사(1b)에 형광색의 실을 사용하여 본체부(10)의 무늬(14)를 제외하고 표지면을 형광색으로 함으로써, 수요자의 구매 의욕을 발휘하게 하는 동시에, 야간의 외출 시에 착용함으로써, 자동차 등의 헤드라이트에 비추어져 눈에 띄어, 안전 방재면에도 기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13)을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면 파스너의 루프면(13)을 가지고 있지 않은 신축 직물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 본체부(10)는, 루프면(13)을 이루는 파일사(1b)를 필요로 하지 않고, 파일사(1b)에 의한 루프를 유지하는 융착사(2b)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경사(1)를 구성하는 파일사(1b)의 교체에, 전술한 경지사(1a)[이하, 제1 경지사(1a)라고 함)에 대하여 위사(2)와의 교차 부침을 반대로 대응시킨 경지사(1a)[이하, 제2 경지사(1d)라고 함)를 사용하고 있다.
즉, 경사(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2)와 함께 직물의 하나의 면(예를 들면, 안감면)을 구성하는 제1 경지사(1a)와, 경사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사(1c)와, 위사(2)와 함께 직물의 다른 면(예를 들면, 표지면)을 구성하는 제2 경지사(1d)를 구비한다.
또한, 위사(2)는, 제1 경지사(1a)와 함께 직물의 안감면을 구성하는 위지사(2a)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8의 (b) 및 도 9의 (b)에 있어서는, 병설되는 위사(2)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이 표지면으로 되고, 하측이 안감면으로 된다.
또한, 본체부(10)는, 자카드 니들 직기를 사용함으로써,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위사(2)에 대하여, 경사(1)의 제1 경지사(1a)(예를 들면, 녹색의 실)를 표지면 측으로 떠오르게 하여[제2 경지사(1d)(예를 들면, 흑색의 실)를 안감면 측으로 가라앉게 하여], 자유롭게 개구되는 쟈가드 조직에 의해,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늬(14)를 표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제1 경지사(1a)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3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탄성사(1c)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제2 경지사(1d)는,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3-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제1 경지사(1a), 탄성사(1c) 및 제2 경지사(1d)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9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늬 부분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무늬(14)를 이루는 제1 경지사(1a)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3-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탄성사(1c)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제2 경지사(1d)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3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제1 경지사(1a), 탄성사(1c) 및 제2 경지사(1d)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표지면에 무늬(14)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체부(10)가 면 파스너의 루프면(13)을 가지고 있지 않은 신축 직물이며, 최대 신장도를 60%(1.60배±0.1)로 설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제1 경지사(1a) 및 제2 경지사(1d)는, 굵기 100 데니어의 울리 나일론 쌍사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152개의 울리 나일론 쌍사를 제1 경지사(1a) 및 제2 경지사(1d)에 각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탄성사(1c)는, 굵기 56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사(예를 들면, 도레이·오페론텍스 가부시키가이샤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라이크라(등록상표) 섬유」)에 2개의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리(EW: polyester woolly) 단사(單絲; single yarn)을 커버링한 커버링사(covering yarn)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41개의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위지사(2a)는,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사(EW)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역직기에 의해 1개의 위지사(2a)가 위사(2)로서 타입되고, 위사(2)[위지사(2a)]의 타입 횟수(개수)가 2.54cm(1인치)당 33.6회(33.6개)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전술한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에 의해,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6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나일론 47%, 폴리에스테르 44%, 폴리우레탄 9%의 혼율(混率)이지만, 이 혼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착용자의 손목에 본체부(10)를 권취시킨 후에, 본체부(10)의 타단(10b)에 있는 계착부(30)[면 파스너의 훅면(33)]을 본체부(10)에 계착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면 파스너의 루프면(13)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본체부(10)를 손목 관절용 붕대(100)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착부(30)가 계착하는 본체부(10)[권취부(11)]의 표지면의 대응 범위에,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는 별개의 부재를 설치하게 된다.
특히, 본체부(10)에 별개의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개의 부재에 의해 본체부(10)의 신축이 저해되게 되지만, 착용자의 손목으로 엄지를 기준으로 일주 한 후의 권취부(11)의 일부의 영역에서는, 권취부(11)의 신축을 너무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 권취부(11)의 영역에 별개의 부재를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는, 맨살에 직접 권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11/090192호 팜플렛에 개시되는 손목 관절 서포터나 장갑을 착용한 손목 관절에 대하여, 손목 관절 서포터 위나 장갑 상에 권취함으로써, 맨살에 대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미끄러짐을 없게 하여,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작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장갑 상에 권취하는 경우에는, 손목 관절용 붕대(100)와 장갑을 세트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손목 관절용 붕대(100)를 장갑(최대 신장도가 낮은 장갑이 바람직함) 상에 권취하는 경우에는,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일 태양(態樣)으로서, 손목 관절용 붕대(100)의 앵커부(20)를 본체부(10)로부터 제거하고, 본체부(10)의 일단(10a)을 장갑의 엄지의 베이스 근방에 봉제함으로써, 장갑의 엄지를 앵커부(20)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1: 경사
1a: 경지사(제1 경지사)
1b: 파일사
1c: 탄성사
1d: 제2 경지사
2: 위사
2a: 위지사
2b: 융착사
10: 본체부
10a: 일단
10b: 타단
11: 권취부
12: 지지부
13: 루프면
14: 무늬
20: 앵커부
21: 일단
22: 타단
30: 계착부
31: 직사각형 부분
32: 등각 사다리꼴 부분
33: 훅면
40: 접합부
100: 손목 관절용 붕대

Claims (9)

  1.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손목에 권취되는 권취부 및 상기 착용자의 손등 또는 손바닥으로부터 손목까지 배치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밴드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접합되고, 상기 착용자의 손가락이 삽통되는 앵커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 접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루프면에 착탈 가능한 면 파스너의 훅면을 가지는 계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가 상기 본체부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권취부가 같은 폭의 직선형이고,
    상기 앵커부는, 밴드형체의 양단(兩端)을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접합하여 환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상기 앵커부는, 주위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상기 앵커부의 주위 방향의 최대 신장도가,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최대 신장도보다 큰,
    손목 관절용 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최대 신장도가, 40%∼80%인, 손목 관절용 붕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과의 접합부가,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앵커부 측을 볼록하게 하여 봉제되는, 손목 관절용 붕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왼 손 또는 오른 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좌우 겸용인, 손목 관절용 붕대.
  5. 제1항에 있어서,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늬가, 상기 본체부의 표지면에 형성되는, 손목 관절용 붕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본체부의 루프면을 구비하는 표지면 측을 소경부로 하고, 상기 본체부의 안감면 측을 대경부로 하는 선단이 가는 형태의 원뿔통인, 손목 관절용 붕대.
  7. 제1항에 기재된 손목 관절용 붕대; 및
    상기 착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서포터 또는 장갑;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단을 상기 서포터 또는 장갑의 엄지의 베이스 근방에 봉제하는,
    손목 관절용 붕대 세트.
  8. 삭제
  9. 삭제
KR1020167026926A 2014-03-03 2015-03-03 손목 관절용 붕대 KR102314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0936 2014-03-03
JPJP-P-2014-040936 2014-03-03
PCT/JP2015/056223 WO2015133480A1 (ja) 2014-03-03 2015-03-03 手関節用バンデ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803A KR20160127803A (ko) 2016-11-04
KR102314566B1 true KR102314566B1 (ko) 2021-10-18

Family

ID=5405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926A KR102314566B1 (ko) 2014-03-03 2015-03-03 손목 관절용 붕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821016B2 (ko)
EP (1) EP3114949B1 (ko)
JP (1) JP6799461B2 (ko)
KR (1) KR102314566B1 (ko)
CN (1) CN106163310A (ko)
CA (1) CA2939932C (ko)
CL (1) CL2016002200A1 (ko)
EA (1) EA033378B1 (ko)
ES (1) ES2749081T3 (ko)
MY (1) MY181273A (ko)
PH (1) PH12016501722B1 (ko)
SG (1) SG11201607154XA (ko)
TW (1) TWI691312B (ko)
WO (1) WO2015133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41684S (ko) * 2015-06-26 2016-01-18
TR201517806A2 (tr) * 2015-12-31 2016-09-21 Kipas Mensucat Isletmeleri Anonim Sirketi Pamuk i̇pli̇kleri̇yle dokunmuş kumaşa zimparalama prosesi̇ uygulamaksizin zimparalanmiş kumaş özelli̇kleri̇ni̇n elde edi̇lmesi̇
KR102114828B1 (ko) 2019-08-28 2020-05-25 성양수 격투기용 보호 장갑
KR102567810B1 (ko) * 2021-05-12 2023-08-17 주식회사 어썸프로젝트컴퍼니 가변압박구조를 포함하는 손목밴드
FR3124944B1 (fr) * 2021-07-09 2023-08-04 Thuasne Bande de compression auto-agrippante
USD981572S1 (en) * 2022-12-12 2023-03-21 Shenzhen Zhenlang E-commerce Co., Ltd. Wrist br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425B2 (ja) * 1990-05-11 2000-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01034070A1 (en) * 1999-11-08 2001-05-17 Harold Fisher Thumb splint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8939A (en) * 1965-02-23 1966-03-08 Frank F Stubbs Wrist support
US3613679A (en) * 1969-10-01 1971-10-19 Patricia W Bijou Elastic bandage with tension indicator
US4207885A (en) * 1979-03-07 1980-06-17 Carolon Company Woven elastic compression bandage
US4369775A (en) * 1981-03-06 1983-01-25 Jung Products, Inc. Multi-purpose anatomical support wrap
JPS61373A (ja) * 1984-06-12 1986-01-06 帝人株式会社 サポ−タ−
DK158066C (da) * 1984-11-21 1990-08-20 Moelnlycke Ab Fikseringsbind
US4632105A (en) * 1985-01-11 1986-12-30 Barlow, Inc. Hand and wrist wrap including a thumb loop
JPH0316761U (ko) * 1989-07-03 1991-02-19
US4991234A (en) * 1989-10-10 1991-02-12 Bert Greenberg Body support band
US5188356A (en) 1989-10-30 1993-02-23 Furr Guy H Basketball shooting aid device
US5916187A (en) * 1995-01-31 1999-06-29 Brill; Bonnie E. Dynamic support to correct/prevent carpal tunnel syndrome
CA2255930C (en) * 1996-05-22 2006-05-09 Coloplast A/S A dressing comprising a main part and a handle part
US5685787A (en) * 1996-07-03 1997-11-11 Kogut; Christopher Mark Golf club swing training method
JP3040425U (ja) * 1997-01-20 1997-08-19 落合株式会社 包 帯
USD403425S (en) * 1998-02-25 1998-12-29 Beiersdorf Ag Support brace for ankle or wrist
US6142966A (en) * 1999-08-05 2000-11-07 Weber Orthopedic, Inc. Wrist orthosis
US6575926B2 (en) * 2000-12-15 2003-06-10 Bonutti 2003 Trust-A Myofascial strap
US20040054308A1 (en) * 2001-08-23 2004-03-18 Thorsten Herzberg Joint brace
US7037286B1 (en) * 2004-10-26 2006-05-02 Tannhauser Gate Llc Wrist brace
JP3122511U (ja) * 2006-04-03 2006-06-15 有限会社松江義肢製作所 関節装具
US20090124949A1 (en) * 2007-11-12 2009-05-14 Uriel Rosen Versatile medical article
JP2009167558A (ja) * 2008-01-16 2009-07-30 Takenobu Miyamoto 運動用手袋
JP4353441B2 (ja) * 2008-03-03 2009-10-28 進 中谷 手首バンド
JP5210750B2 (ja) * 2008-07-30 2013-06-12 株式会社竹虎 手関節固定具
USD620058S1 (en) * 2009-03-05 2010-07-20 Mccrane, Inc. Wrist wrap
JP5419537B2 (ja) * 2009-05-13 2014-02-19 モリト株式会社 手首用サポーター
US8480502B2 (en) * 2009-05-22 2013-07-09 Jay S. Korte Wrist rotation controller for bowlers
JP4997612B2 (ja) 2009-08-28 2012-08-08 政則 愛知 四肢矯正具
TWI501756B (zh) * 2010-01-22 2015-10-01 Kowa Co Hand joint support belt
US8679045B2 (en) * 2010-12-09 2014-03-25 Leland Henry Dao Supinating arm and elbow brace
JP3167610U (ja) * 2011-01-28 2011-05-12 日本中央税理士法人 法人利益・役員給与計算書
JP3167617U (ja) * 2011-02-09 2011-05-12 俊博 渡邊 取手付き膝サポーター
US8702634B2 (en) * 2011-06-01 2014-04-22 Wiltse Parker Crompton Modular upper extremity support system
EP2747722B1 (en) * 2011-09-29 2019-01-09 Andover Healthc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leg ulcers
US20130253400A1 (en) * 2012-03-22 2013-09-26 Gordon W. MASSA Thumb support
JP6101503B2 (ja) * 2013-02-13 2017-03-22 旭化成株式会社 弾性織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425B2 (ja) * 1990-05-11 2000-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01034070A1 (en) * 1999-11-08 2001-05-17 Harold Fisher Thumb spl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133480A1 (ja) 2017-04-06
EA201691771A1 (ru) 2016-12-30
SG11201607154XA (en) 2016-10-28
PH12016501722A1 (en) 2016-10-03
KR20160127803A (ko) 2016-11-04
TWI691312B (zh) 2020-04-21
EP3114949A1 (en) 2017-01-11
CA2939932A1 (en) 2015-09-11
PH12016501722B1 (en) 2016-10-03
JP6799461B2 (ja) 2020-12-16
EP3114949A4 (en) 2017-08-23
TW201538139A (zh) 2015-10-16
CL2016002200A1 (es) 2017-03-03
CA2939932C (en) 2022-11-29
EA033378B1 (ru) 2019-10-31
US20170065449A1 (en) 2017-03-09
EP3114949B1 (en) 2019-07-31
CN106163310A (zh) 2016-11-23
WO2015133480A1 (ja) 2015-09-11
US10821016B2 (en) 2020-11-03
MY181273A (en) 2020-12-21
ES2749081T3 (es)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566B1 (ko) 손목 관절용 붕대
US10335306B2 (en) Supporter
KR102294970B1 (ko) 무릎 관절용 서포터
TWI679008B (zh) 足關節用繃帶
EP0642777B1 (en) Arm support garment
JP2018076628A (ja) 腰用サポーター
JP6018673B2 (ja) サポーター
WO2015133481A1 (ja) バンデージ用伸縮織物
JP6994708B2 (ja) 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