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785A -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 - Google Patents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785A
KR20220038785A KR1020227007168A KR20227007168A KR20220038785A KR 20220038785 A KR20220038785 A KR 20220038785A KR 1020227007168 A KR1020227007168 A KR 1020227007168A KR 20227007168 A KR20227007168 A KR 20227007168A KR 20220038785 A KR20220038785 A KR 20220038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ad
weak
terminal block
contact device
met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 마미야
마사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쇼트 니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트 니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트 니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ct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는 통공(51) 및 개구부(51a)를 갖는 금속 용기(52)와, 통공(51)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53)와, 금속 용기(52)와 파이프 리드(53)를 봉착하는 절연재(54)와, 파이프 리드(5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53)에 고착한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55)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53)는 외부로부터의 응력을 완화하는 취약부(57)를 가진다.

Description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
본 개시는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고전기 용량의 릴레이 장치에 탑재되는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의 자동차 메이커는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에의 대책으로서, 하이브리드차(이하, HV라고 약기)를 실용화하였다. HV는 현재 대형차나 RV차 등에도 전개되어 있다. 전기 자동차(이하, EV라고 약기)의 개발도 활발화하고 있다. HV나 EV는 큰 모터 출력을 필요로 하고, 탑재되는 배터리도 고용량의 것이 된다. HV나 EV를 안정하며 효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고성능인 고용량 릴레이가 불가결하다.
차량 탑재용의 고용량 릴레이는 한정된 스페이스에 부착하기 위해 소형 경량화가 요구된다. 또한 릴레이의 통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전 부분에 저저항 금속을 이용하면서도 연속 통전 시의 온도 상승을 극력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차량 탑재 부품이기 때문에 과혹한 진동이나 온도 부하에 견디는 강건성 및 신뢰성도 요구된다.
이와 같은 릴레이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특개2015-046377호 공보)에 기재되는 전자 계전기가 있다. 이 전자 계전기는 전자석 장치와, 접점 장치와, 트립 장치를 가지고 있다.
전자석 장치는 제1 여자 코일과 가동자와 제1 고정자를 가지고 있다. 전자석 장치는 제1 여자 코일에의 통전 시에 생기는 자속에 의해 제1 고정자에 가동자를 흡인한다. 전자석 장치는 이 가동자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에 이동시킨다.
접점 장치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가지고 있다. 가동자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동 접점이 이동함에 의해 가동자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닫힘 상태가 된다. 가동자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및 제3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진 열림 상태가 된다.
트립 장치는 접점 장치와 직렬로 접속된 제2 여자 코일을 가지고 있다. 트립 장치는 가동자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접점 장치를 통하여 흐르는 규정치 이상의 이상(異常) 전류에 의해 제2 여자 코일에서 생기는 자속에 의해 가동자를 제3 위치에 이동시킨다.
접점 장치, 전자석 장치 및 트립 장치는 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트립 장치는 전자석 장치에 대해 접점 장치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량 탑재용의 고전기 용량의 릴레이를 구성하는 접점 장치에서는 종래로부터, 접점 오프 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신속하게 소호(消弧)하기 위해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배치된 공간을 구성하고, 공간 내에 소호성 가스(절연성 가스)를 충전한 접점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일본 특개2015-049939호 공보)에 기재된 접점 장치는 하우징, 연결체, 플레이트 및 플런저 캡을 접합하여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접점 장치는 하우징, 연결체, 플레이트 및 플런저 캡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기밀 공간으로 하고, 이 기밀 공간에는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호성 가스가 밀봉되어 있다.
접점 장치에는 특허 문헌 3(일본 특개2017-069144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기밀 단자를 갖는 금속 용기에 수용된 것이 있다. 그 접점 장치는 전자석 장치에 의해 접점 장치를 개폐하는 전자 계전기에 이용된다. 접점 장치는 통공(通孔)을 갖는 금속 용기와, 통공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와 파이프 리드를 봉착하는 절연 글라스와, 파이프 리드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에 고착한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와, 단자대에 지지된 고정 접점과, 금속 용기의 개구부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덮개체와, 덮개체를 관통한 샤프트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에 마련된 가동 접점을 가지고 있다.
이 접점 장치에 포함되는 기밀 단자는 통공을 갖는 금속 용기와, 통공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와 파이프 리드를 봉착하는 절연 글라스와, 파이프 리드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에 고착한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를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15-04637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2015-049939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2017-069144호 공보
종래의 접점 장치를 형성하는 기밀 단자에는 구리제 단자대의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해 파이프 리드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단자대와 파이프 리드의 간극이 불충분할 때에는 단자대의 팽창 및 수축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여 파이프 리드 자체가 변형하는 일이 있었다. 종래의 파이프 리드에서는 상기 변형이 금속 용기와 파이프 리드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나 단자대와 파이프 리드의 접합부까지 전파하여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보다 기밀성이 높은 기밀 단자 및 이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통공(通孔)을 갖는 금속 용기와, 상기 통공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와, 상기 금속 용기와 상기 파이프 리드를 봉착하는 절연재와, 상기 파이프 리드를 관통하고 상기 파이프 리드에 고착한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 리드는 주부(主部)와 외부로부터의 응력을 완화하는 취약부를 가지고 있다.
기밀 단자의 파이프 리드에 취약부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가 단자대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한 경우에 파이프 리드에 가해지는 외력을 취약부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와 단자대의 접속부나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까지 변형의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기밀 단자의 파이프 리드에 취약부를 마련함에 의해 응력의 영향을 소망하는 범위로 한정시킨다. 이에 의해 영향이 접속부나 절연재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기밀 단자에서 상기 취약부의 강성은 상기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은 또는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아도 좋다.
상기 기밀 단자에서 취약부의 강성은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게 하는 것, 또는 취약부의 내력은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게 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가 단자대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한 경우에 파이프 리드의 변형을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취약부에서 받아들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이프 리드와 단자대의 접속부나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까지 변형의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기밀 단자에 파이프 리드에 굳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취약부를 마련함에 의해 변형 부위를 소망하는 범위로 한정시킨다. 이에 의해 영향이 접속부나 절연재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기밀 단자에서 상기 취약부의 강성은 상기 주부의 강성보다 낮고, 또한,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아도 좋다.
상기 기밀 단자에서 취약부의 강성은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고, 또한, 취약부의 내력은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게 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가 단자대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한 경우에 파이프 리드의 변형을 강성 및 내력이 낮은 취약부에 생기게 함으로써, 파이프 리드와 단자대의 접속부나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까지 변형의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기밀 단자의 파이프 리드에 굳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한, 내력이 낮은 취약부를 마련함에 의해 변형 부위를 소망하는 범위로 한정시킨다. 이에 의해 변형의 영향이 접속부나 절연재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동시에 보호에 필요한 변형 부위를 강성과 내력의 양방의 요소에 의거하여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 선정 및 형상 선정이 용이해진다.
상기 기밀 단자에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주부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薄厚部)로 구성해도 좋다.
취약부를 주부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로 구성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가 단자대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한 경우에 파이프 리드의 변형을 박후부에서 받아들여서 파이프 리드와 단자대의 접속부나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까지 변형의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기밀 단자의 파이프 리드에 굳이 변형하기 쉬운 취약부를 마련함에 의해 변형 부위를 소망하는 범위로 한정시킨다. 이에 의해 변형의 영향이 접속부나 절연재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기밀 단자에서 상기 파이프 리드는 단차부를 가져도 좋다. 상기 기밀 단자에서 상기 단자대는 구리, 알루미늄, 구리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구성해도 좋다.
상기 기밀 단자에서 상기 절연재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로 구성해도 좋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전자석 장치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 장치로서, 외력을 완화하는 취약부를 갖는 상기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가 제공된다. 접점 장치는 전자석 장치에 의해 개폐하는 접점 장치로서, 통공 및 개구부를 갖는 금속 용기와, 상기 통공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와, 상기 금속 용기와 상기 파이프 리드를 봉착하는 절연재와, 상기 파이프 리드를 관통하고 상기 파이프 리드에 고착한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와, 상기 금속 용기의 개구부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를 관통한 샤프트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 리드는 외부로부터의 응력을 완화하는 취약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 단자대는 고정 접점을 가지고, 상기 가동 접촉자는 가동 접점을 가지고 있다.
접점 장치의 파이프 리드에 취약부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에 가해지는 외력을 취약부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와 단자대의 접속부나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까지 변형의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점 장치의 파이프 리드에 취약부를 마련함에 의해 응력의 영향을 소망하는 범위로 한정시킨다. 이에 의해 영향이 접속부나 절연재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접점 장치에서 상기 취약부의 강성은 상기 주부의 강성보다 낮은 또는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아도 좋다.
접점 장치에서 취약부의 강성은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게 하는 또는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게 한다. 이에 의해 파이프 리드가 단자대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한 경우에 파이프 리드의 변형을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취약부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와 단자대의 접속부나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까지 변형의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점 장치는 파이프 리드에 굳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취약부를 마련함에 의해 변형 부위를 소망하는 범위로 한정시킨다. 이에 의해 영향이 접속부나 절연재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기밀 단자에서 상기 취약부의 강성은 상기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고, 또한,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아도 좋다.
접점 장치에서 상기 취약부의 강성은 상기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고, 또한,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게 한다. 이에 의해 파이프 리드가 단자대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한 경우에 파이프 리드의 변형을 강성 및 내력이 낮은 취약부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와 단자대의 접속부나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까지 변형의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점 장치는 파이프 리드에 굳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및 내력이 낮은 취약부를 마련함에 의해 변형 부위를 소망하는 범위로 한정시켜서 변형의 영향이 접속부나 절연재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접점 장치에서 취약부를 상기 주부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로 구성해도 좋다.
접점 장치에서 취약부를 주부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로 구성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가 단자대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한 경우에 파이프 리드의 변형을 박후부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와 단자대의 접속부나 파이프 리드와 금속 용기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까지 변형의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점 장치는 파이프 리드에 굳이 변형하기 쉬운 박후부를 마련함에 의해 변형 부위를 소망하는 범위로 한정시키고, 변형의 영향이 상술한 접속부나 절연재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접점 장치에서 파이프 리드는 단차부를 가져도 좋다. 상기 접점 장치에서 상기 단자대는 구리, 알루미늄, 구리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구성해도 좋다.
상기 접점 장치에서 상기 절연체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로 구성해도 좋다.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다 기밀성이 높은 기밀 단자 및 접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및 (a)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c)는 하면도.
도 2는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및 (a)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c)는 하면도.
도 3은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및 (a)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c)는 하면도.
도 4는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및 (a)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c)는 하면도.
도 5는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를 도시하고, (a)는 닫힘 상태의 정면 단면도, (b)는 열림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6은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를 도시하고, (a)는 닫힘 상태의 정면 단면도, (b)는 열림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7은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를 도시하고, (a)는 닫힘 상태의 정면 단면도, (b)는 열림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8은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를 도시하고, (a)는 닫힘 상태의 정면 단면도, (b)는 열림 상태의 정면 단면도.
이하,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10)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및 (a)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또한, 도 1에서의 단자대는 고정 접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공(11)을 갖는 금속 용기(12)와, 통공(11)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13)와, 금속 용기(12)와 파이프 리드(13)를 봉착하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제의 절연재(14)와, 파이프 리드(1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13)에 고착한 은, 구리, 알루미늄, 은계 합금,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15)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13)는 외부로부터의 응력을 완화하는 취약부(17)를 가진다.
파이프 리드(13)에 취약부(1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13)가 단자대(1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13)에 가해지는 외력을 취약부(17)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13)와 단자대(15)의 접속부(18)나 파이프 리드(13)와 금속 용기(1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14)까지 응력 등의 영향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파이프 리드(13)는 예를 들면, 철 또는 철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주부(16)와, 주부(16)보다 외력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재질 또는 강성과 내력의 양방이 낮은 재질의 취약부(17)로 구성해도 좋다. 취약부(17)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주부(16)와 다른 구리, 알루미늄, 주석, 은 등의 연(軟)금속재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연(軟)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신하여 파이프 리드(13)는 금속재의 주부(16)와, 이것을 고주파 소둔(燒鈍) 등으로 약체화시킨 동일재로 이루어지는 취약부(17)로 구성해도 좋다. 이에 대신하여 파이프 리드(13)가 연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주부(16)를 단조 등으로 강화함으로써 취약부(17)를 형성해도 좋다.
도 2는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20)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및 (a)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의 단자대는 고정 접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공(21)을 갖는 금속 용기(22)와, 통공(21)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23)와, 금속 용기(22)와 파이프 리드(23)를 봉착하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제의 절연재(24)와, 파이프 리드(2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23)에 고착한 은, 구리, 알루미늄, 은계 합금,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25)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23)는 외력에 의한 변형에 대항하는 주부(26)와 주부(26)보다도 외력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또는 강성 및 내력의 양방이 낮은 박후부(27)를 가진다. 박후부(27)는 취약부를 구성한다.
파이프 리드(13)에 박후부(2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23)가 단자대(2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23)에 가해지는 외력을 박후부(27)가 변형함으로써 응력을 완화하면서 받아들일 수 있고, 파이프 리드(23)와 단자대(25)의 접속부(28)나 파이프 리드(23)와 금속 용기(2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24)까지 응력 등의 영향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도 3은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30)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및 (a)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의 단자대는 고정 접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기밀 단자(20)는 도 3에 도시하는 기밀 단자(30)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즉, 기밀 단자(20)는 통공(31)을 갖는 금속 용기(32)와, 통공(31)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33)와, 금속 용기(32)와 파이프 리드(33)를 봉착하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제의 절연재(34)와, 파이프 리드(3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33)에 고착한 은, 구리, 알루미늄, 은계 합금,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35)를 구비하고 있다. 파이프 리드(33)는 적어도 주부(36)와 주부(3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37)를 가진다. 박후부(37)는 취약부를 구성한다.
파이프 리드(33)에 주부(36)와 주부(3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3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33)가 단자대(3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33)의 변형을 박후부(37)에서 받아들여서 파이프 리드(33)와 단자대(35)의 접속부(38)나 파이프 리드(33)와 금속 용기(3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34)까지 변형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도 4는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및 (a)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또한, 도 4에서의 단자대는 고정 접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기밀 단자(20)는 도 4에 도시하는 기밀 단자(40)와 같이도 변형이 가능하다. 즉, 기밀 단자(40)는 통공(41)을 갖는 금속 용기(42)와, 통공(41)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43)와, 금속 용기(42)와 파이프 리드(43)를 봉착하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제의 절연재(44)와, 파이프 리드(4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43)에 고착한 은, 구리, 알루미늄, 은계 합금,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45)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43)는 적어도 주부(46)와 주부(4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47)를 가진다. 박후부(47)는 취약부를 구성한다.
파이프 리드(43)에 주부(46)와 주부(4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4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43)가 단자대(4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43)의 변형을 박후부(47)에서 받아들여서 파이프 리드(43)와 단자대(45)의 접속부(48)나 파이프 리드(43)와 금속 용기(4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44)까지 변형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기밀 단자(40)에서는 파이프 리드(43)의 박후부(47)의 구경을 주부(46)의 구경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4와 같이 접속부(48)의 파이프 리드(43)와 단자대(45)의 접합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8과 같이 파이프 리드(43)를 단자대(85)의 측벽면에만 접합시킬 수도 있다. 도 2와 같이 파이프 리드(43)를 단자대(25)의 플랜지면에만 접합시킬 수도 있다. 파이프 리드(43)와 단자대(45)의 접합 부위를 상황에 응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기밀 단자(20) 및 도 3에 도시하는 기밀 단자(30)와 같이, 파이프 리드(23, 33)에 주부(26, 36)와 박후부(27, 37)를 구획하는 단차부(29, 39)를 마련해도 좋다. 단차부(29, 39)에 의해 주부(26, 36)와 구획되는 박후부(27, 37)에 의해 파이프 리드(23, 33)에 부분적으로 약한 개소를 마련한다. 박후부(27, 37)가 변형함으로써 열팽창 계수가 큰 저저항 금속의 단자대(25, 35)로부터 받는 응력을 완화시킨다.
기밀 단자의 금속 용기는 금속제면 된다. 금속 용기의 재료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철, 니켈,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이 알맞다. 본 개시에 관한 기밀 단자의 파이프 리드는 취약부를 구성할 수 있으면 어느 재료를 사용해도 좋고, 금속, 플라스틱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복합재를 이용해도 좋다. 파이프 리드의 취약부에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하고, 이것에 주부로서 글라스, 세라믹스를 조합시켜서 복합재로 하여도 좋다.
파이프 리드의 주부와 취약부는 함께 동일 재료로 구성해도 좋고, 주부와 취약부를 다른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주부는 철 또는 철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취약부는 주부보다 외력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재질 또는 강성과 내력의 양방이 낮은 재질로 구성해도 좋다. 그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주부와 다른 구리, 알루미늄, 주석, 은 등의 연금속재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연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신하여 파이프 리드는 금속재의 주부와, 이것을 고주파 소둔 등으로 약체화시킨 동일재로 이루어지는 취약부로 구성해도 좋다. 이에 대신하여 파이프 리드가 연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주부를 단조 등으로 강화하여 취약부를 형성해도 좋다.
도 5는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50)를 도시하고, (a)는 닫힘 상태의 정면 단면도, (b)는 열림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에서의 고정 접점은 단자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가동 접점은 가동 접촉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5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기밀 단자(10)를 이용한 접점 장치이다. 전자 계전기에 이용되는 접점 장치(50)는 전자석 장치(500)에 의해 개폐한다. 접점 장치(50)는 적어도 통공(51) 및 개구부(51a)를 마련한 금속 용기(52)와, 통공(51)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53)와, 파이프 리드(53)와 금속 용기(52)를 봉착하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제의 절연재(54)와, 파이프 리드(5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53)에 고착한 은, 구리, 알루미늄, 은계 합금,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55)와, 금속 용기(52)의 개구부(51a)의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덮개체(520)와, 덮개체(520)를 관통한 샤프트(530)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540)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53)는 외부로부터의 응력을 완화하는 취약부(57)를 가진다. 단자대(55)는 고정 접점(510)을 가지고, 가동 접촉자(540)는 가동 접점(550)을 가진다.
접점 장치(50)의 파이프 리드(53)에 취약부(5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53)가 단자대(5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53)에 가해지는 외력을 취약부(57)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53)와 단자대(55)의 접속부(58)나 파이프 리드(53)와 금속 용기(5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54)까지 응력 등의 영향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도 6은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60)를 도시하고, (a)는 닫힘 상태의 정면 단면도, (b)는 열림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에서의 고정 접점은 단자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가동 접점은 가동 접촉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6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기밀 단자(20)를 이용한 접점 장치이다. 전자 계전기에 이용되는 접점 장치(60)는 전자석 장치(600)에 의해 개폐한다. 접점 장치(60)는 적어도 통공(61) 및 개구부(61a)를 마련한 금속 용기(62)와, 통공(61)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63)와, 파이프 리드(63)와 금속 용기(62)를 봉착하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제의 절연재(64)와, 파이프 리드(6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63)에 고착한 은, 구리, 알루미늄, 은계 합금,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65)와, 금속 용기(62)의 개구부(61a)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덮개체(620)와, 덮개체(620)를 관통한 샤프트(630)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640)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63)는 외력에 의한 변형에 대항하는 주부(66)와, 주부(66)보다도 외력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또는 강성과 내력의 양방이 낮은 박후부(67)를 가진다. 단자대(65)는 고정 접점(610)을 가지고, 가동 접촉자(640)는 가동 접점(650)을 가진다.
접점 장치(60)의 파이프 리드(63)에 박후부(6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63)가 단자대(6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63)에 가해지는 외력을 박후부(67)가 변형함으로써 완화하면서 받아들일 수 있다. 파이프 리드(63)와 단자대(65)의 접속부(68)나 파이프 리드(63)와 금속 용기(6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64)까지 응력 등의 영향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도 7은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70)를 도시하고, (a)는 닫힘 상태의 정면 단면도, (b)는 열림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에서의 고정 접점은 단자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가동 접점은 가동 접촉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접점 장치(60)는 도 7에 도시하는 접점 장치(70)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즉, 전자 계전기에 이용되는 접점 장치(70)는 전자석 장치(700)에 의해 개폐한다. 접점 장치(70)는 적어도 통공(71) 및 개구부(71a)를 마련한 금속 용기(72)와, 통공(71)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73)와, 파이프 리드(73)와 금속 용기(72)를 봉착하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제의 절연재(74)와, 파이프 리드(7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73)에 고착한 은, 구리, 알루미늄, 은계 합금,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75)와, 금속 용기(72)의 개구부(71a)의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덮개체(720)와, 덮개체(720)를 관통한 샤프트(730)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740)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73)는 외력에 의한 변형에 대항하는 주부(76)와, 주부(76)보다도 외력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또는 강성과 내력의 양방이 낮은 박후부(77)를 가진다. 단자대(75)는 고정 접점(710)을 가지고, 가동 접촉자(740)는 가동 접점(750)을 가진다.
접점 장치(70)의 파이프 리드(73)에 주부(76)와 주부(7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7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73)가 단자대(7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73)의 변형을 박후부(77)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73)와 단자대(75)의 접속부(78)나 파이프 리드(73)와 금속 용기(7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74)까지 변형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도 8은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80)를 도시하고, (a)는 닫힘 상태의 정면 단면도, (b)는 열림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에서의 고정 접점은 단자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가동 접점은 가동 접촉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접점 장치(60)는 도 8에 도시하는 접점 장치(80)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즉, 전자 계전기에 이용되는 접점 장치(80)는 전자석 장치(800)에 의해 개폐한다. 접점 장치(80)는 적어도 통공(81) 및 개구부(81a)를 마련한 금속 용기(82)와, 통공(81)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83)와, 파이프 리드(83)와 금속 용기(82)를 봉착하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제의 절연재(84)와, 파이프 리드(8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83)에 고착한 은, 구리, 알루미늄, 은계 합금, 구리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85)와, 금속 용기(82)의 개구부(81a)의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덮개체(820)와, 덮개체(820)를 관통한 샤프트(830)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840)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83)는 외력에 의한 변형에 대항하는 주부(86)와 주부(86)보다도 외력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또는 강성과 내력의 양방이 낮은 박후부(87)를 가지고, 단자대(85)는 고정 접점(810)을 가지고, 가동 접촉자(840)는 가동 접점(850)을 가진다.
접점 장치(80)의 파이프 리드(83)에 주부(86)와 주부(8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8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83)가 단자대(8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83)의 변형을 박후부(87)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83)와 단자대(85)의 접속부(88)나 파이프 리드(83)와 금속 용기(8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84)까지 변형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접점 장치(80)는 파이프 리드(83)의 박후부(87)의 구경을 주부(86)의 구경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 4와 같이 접속부(48)의 파이프 리드(43)와 단자대(45)의 접합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파이프 리드(43)를 단자대(85)의 측벽면에만 접합시킬 수도 있다. 도 2와 같이 파이프 리드(43)를 단자대(25)의 플랜지면에만 접합시킬 수도 있다. 파이프 리드(43)와 단자대(45)의 접합 부위를 상황에 응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접점 장치(60) 및 도 7에 도시하는 접점 장치(70)와 같이, 파이프 리드(63, 73)에 주부(66, 76)와 박후부(67, 77)를 구획하는 단차부(69, 79)를 마련해도 좋다. 단차부(69, 79)에 의해 주부(66, 76)와 구획되는 박후부(67, 77)에 의해 파이프 리드(63, 73)에 부분적으로 약한 개소를 마련한다. 박후부(67, 77)가 변형함으로써 열팽창 계수가 큰 저저항 금속의 단자대(65, 75)로부터 받는 응력을 완화시킨다.
접점 장치의 금속 용기는 금속제면 된다. 금속 용기의 재료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철, 니켈,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이 알맞다.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의 파이프 리드는 취약부를 구성할 수 있으면 어느 재료를 사용해도 좋고, 금속, 플라스틱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복합재를 이용해도 좋다. 파이프 리드의 취약부에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이용하고, 이것에 주부로서 글라스, 세라믹스를 조합시켜서 복합재로 해도 좋다.
파이프 리드의 주부와 취약부는 함께 동일 재료로 구성해도 좋고, 주부와 취약부를 다른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주부는 철 또는 철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취약부는 상기 주부보다 외력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강성 또는 내력이 낮은 재질 또는 강성과 내력의 양방이 낮은 재질로 구성해도 좋다. 그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주부와 다른 구리, 알루미늄, 주석, 은 등의 연금속재 또는 그것들을 포함하는 연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신하여 파이프 리드는 금속재의 주부와, 이것을 고주파 소둔 등으로 약체화시킨 동일재로 이루어지는 취약부로 구성해도 좋다. 이에 대신하여 파이프 리드가 연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주부를 단조 등으로 취약부보다도 강화해도 좋다.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의 덮개체는 금속 용기의 저부(底部) 개구단을 밀폐할 수 있으면 된다. 덮개체의 재료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금속, 플라스틱, 글라스, 세라믹스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복합재라도 좋다.
본 개시에 관한 접점 장치는 필요에 응하여 금속 용기 및 덮개체의 내벽면에 내열성이나 절연성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내열 절연재를 장착 또는 내열 절연재의 라이닝을 마련해도 좋다.
실시례
본 개시에 관한 실시례 1의 기밀 단자(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공(11)을 갖는 철제의 금속 용기(12)와, 통공(11)에 삽통한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리드(13)와, 금속 용기(12)와 파이프 리드(13)를 기밀하게 봉착하는 소다 바륨 글라스의 절연재(14)와, 파이프 리드(1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13)에 기밀하게 고착한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15)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13)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 리드(13)의 취약부(17)는 주부(16)보다도 강성이 낮은 재료로 구성되고 주부(16)와 일체가 되어 있다.
기밀 단자(10)의 주부(16) 및 취약부(17)는 다른 재료를 소정의 공정으로 고착시켜서 일체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절연재(14)와의 접합 조건(예를 들어 글라스 봉착 온도 등)의 영향을 고려하는 일 없이 파이프 리드(13)의 구성을 선택할 수 있어 재료 선정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취약부(17)는 주부(16)와 동일 부재로 형성하고, 열처리(예를 들어 소둔 등)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이에 대신하여 주부(16)를 단조 등에 의해 강화함으로써 취약부(17)를 형성해도 좋다. 그 경우는 주부(16) 및 취약부(17)는 동일 부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저감을 할 수 있고 관리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파이프 리드(13)에 주부(16)와 주부(16)보다도 강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취약부(1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13)가 단자대(1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13)의 변형을 취약부(17)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13)와 금속 용기(1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14)까지 변형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본 개시에 관한 실시례 2의 기밀 단자(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공(21)을 갖는 42 합금(42% Ni-Fe 합금)제의 금속 용기(22)와, 통공(21)에 삽통한 코바르 합금(29% Ni-17% Co-Fe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리드(23)와, 금속 용기(22)와 파이프 리드(23)를 기밀하게 봉착하는 붕규산 글라스의 절연재(24)와, 파이프 리드(2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23)에 기밀하게 고착한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25)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23)는 외단부가 얇은 두께로 되어 있다. 파이프 리드(23)는 주부(26)와, 주부(2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27)와, 주부(26)와 박후부(27)를 구획하는 단차부(29)를 가진다. 박후부(27)는 주부(26)보다도 강성이 낮은 취약부를 구성한다.
기밀 단자(20)는 절연재(24)와의 접합 조건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파이프 리드(23)를 구성할 수 있어, 재료 선정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취약부를 박후부(27)로 구성함으로써, 두께에 의해 강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 선정의 자유도가 늘어난다. 박후부(27)는 주부(26)와 동일 부재로 형성하고, 기계 가공에 의해 주부(26)보다도 박육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부품 점수의 저감을 할 수 있고 관리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실시례 2는 도 3에 도시하는 실시례 3의 기밀 단자(30)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즉, 기밀 단자(30)는 통공(31)을 갖는 철제의 금속 용기(32)와, 통공(31)에 삽통한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리드(33)와, 금속 용기(32)와 파이프 리드(33)를 기밀하게 봉착하는 소다 바륨 글라스의 절연재(34)와, 파이프 리드(3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33)에 기밀하게 고착한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35)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33)는 주부(36)와, 주부(3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37)와, 주부(36)와 박후부(37)를 구획하는 2개의 단차부(39)를 가진다. 실시례 3의 기밀 단자(30)의 파이프 리드(33)는 파이프 리드(33)의 상단에도 단차부(39)를 마련함에 의해 접속부(38)의 폭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의 신뢰성이 늘어난다.
또한, 실시례 2는 도 4에 도시하는 실시례 4의 기밀 단자(40)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즉, 기밀 단자(40)는 통공(41)을 갖는 42 합금제의 금속 용기(42)와, 통공(41)에 삽통한 코바르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리드(43)와, 금속 용기(42)와 파이프 리드(43)를 기밀하게 봉착하는 붕규산 글라스의 절연재(44)와, 파이프 리드(4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43)에 기밀하게 고착한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45)를 구비한다. 파이프 리드(43)는 주부(46)와, 주부(4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47)를 가진다. 기밀 단자(40)는 파이프 리드(43)의 박후부(47)의 구경을 주부(46)의 구경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박후부(47)를 단자대(45)의 측벽면과 두부의 플랜지면에 접합시킴으로써, 접속부(48)의 접합 면적을 더욱 넓게 할 수 있다.
도 1부터 도 4에 도시한 실시례 1부터 실시례 4의 기밀 단자는 각각 도 5부터 도 8에 도시하는 접점 장치의 기밀 단자에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실시례 5의 접점 장치(5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에 이용되고, 전자석 장치(500)에 의해 개폐된다. 접점 장치(50)는 통공(51)을 마련한 탄소강의 금속 용기(52)와, 통공(51)에 삽통한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리드(53)와, 파이프 리드(53)와 금속 용기(52)를 기밀하게 봉착하는 소다 바륨 글라스의 절연재(54)와, 파이프 리드(5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53)에 기밀하게 고착한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55)와, 단자대(55)에 지지된 고정 접점(510)과, 금속 용기(52)의 개구부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Fe-Ni 합금제의 덮개체(520)와, 덮개체(520)를 관통하는 샤프트(530)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540)와, 가동 접촉자(540)에 마련된 가동 접점(550)을 구비한다. 가동 접촉자(540)는 고정 접점(510)에 접촉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가세되어 있다.
파이프 리드(53)는 외력에 대항하는 주부(56)와, 주부(56)의 단자대(55)측의 단부를 고주파 가열에 의해 소둔시켜서 마련한 주부(56)보다 취약한 취약부(57)를 가진다. 접점 장치(50)의 파이프 리드(53)에 주부(56)와 주부(56)보다 취약한 취약부(5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53)가 단자대(5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53)의 변형을 취약부(57)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53)와 금속 용기(5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54)까지 변형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본 개시에 관한 실시례 6의 접점 장치(6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에 이용되고, 전자석 장치(600)에 의해 개폐된다. 접점 장치(60)는 통공(61)을 마련한 42 합금제의 금속 용기(62)와, 통공(61)에 삽통한 코바르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리드(63)와, 파이프 리드(63)와 금속 용기(62)를 기밀하게 봉착하는 붕규산 글라스의 절연재(64)와, 파이프 리드(6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63)에 기밀하게 고착한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65)와, 단자대(65)에 지지된 고정 접점(610)과, 금속 용기(62)의 개구부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탄소강제의 덮개체(620)와, 덮개체(620)를 관통하는 샤프트(630)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640)와, 가동 접촉자(640)에 마련된 가동 접점(650)을 구비한다. 가동 접촉자(640)는 고정 접점(610)에 접촉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가세되어 있다.
파이프 리드(63)는 주부(66)와, 주부(6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67)와, 주부(66)와 박후부(67)를 구획하는 단차부(69)를 가진다. 접점 장치(60)의 파이프 리드(63)에 주부(66)와 주부(6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67)를 마련함에 의해 파이프 리드(63)가 단자대(65)의 열팽창에 의해 변형해도, 파이프 리드(63)의 변형을 박후부(67)에서 받아들임으로써, 파이프 리드(63)와 금속 용기(62)를 절연 봉지하는 절연재(64)까지 변형이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실시례 6은 도 7에 도시하는 실시례 7의 접점 장치(70)로 변형할 수 있다. 즉, 접점 장치(70)는 통공(71)을 갖는 철제의 금속 용기(72)와, 통공(71)에 삽통한 Fe-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리드(73)와, 금속 용기(72)와 파이프 리드(73)를 기밀하게 봉착하는 소다 바륨 글라스의 절연재(74)와, 파이프 리드(7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73)에 기밀하게 고착한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75)와, 단자대(75)에 지지된 고정 접점(710)과, 금속 용기(72)의 개구부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탄소강제의 덮개체(720)와, 덮개체(720)를 관통하는 샤프트(730)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740)와, 가동 접촉자(740)에 마련된 가동 접점(750)을 구비한다. 가동 접촉자(740)는 고정 접점(710)에 접촉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가세되어 있다.
파이프 리드(73)는 주부(76)와, 주부(7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77)와, 주부(76)와 박후부(77)를 구획하는 2개의 단차부(79)를 가진다. 실시례 7의 파이프 리드(73)는 파이프 리드(73)의 상단에도 단차부(79)를 마련함에 의해 접속부(78)의 폭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의 신뢰성이 늘어난다.
실시례 6은 도 8에 도시하는 실시례 8의 접점 장치(80)로 변형할 수 있다. 즉, 접점 장치(80)는 통공(81)을 갖는 42 합금제의 금속 용기(82)와, 통공(81)에 삽통한 코바르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리드(83)와, 금속 용기(82)와 파이프 리드(83)를 기밀하게 봉착하는 붕규산 글라스의 절연재(84)와, 파이프 리드(83)를 관통하고, 파이프 리드(83)에 기밀하게 고착한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85)와, 단자대(85)에 지지된 고정 접점(810)과, 금속 용기(82)의 개구부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42 합금제의 덮개체(820)와, 덮개체(820)를 관통하는 샤프트(830)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840)와, 가동 접촉자(840)에 마련된 가동 접점(850)을 구비한다. 가동 접촉자(840)는 고정 접점(810)에 접촉하도록 스프링에 의해 가세되어 있다.
파이프 리드(83)는 주부(86)와, 주부(86)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87)를 가진다. 실시례 6의 접점 장치(80)는 파이프 리드(83)의 박후부(87)의 구경을 주부(86)의 구경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접속부(88)를 단자대(85)의 측벽면에만 접합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는 HV나 EV 등의 차량 탑재용 시스템 메인 릴레이 장치에 탑재되는 기밀 단자를 포함하는 기밀 단자 전반, 및, HV나 EV 등에 탑재되는 시스템 메인 릴레이를 포함하는 릴레이 장치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10, 20, 30, 40: 기밀 단자
11, 21, 31, 41, 51, 61, 71, 81: 통공
12, 22, 32, 42, 52, 62, 72, 82: 금속 용기
13, 23, 33, 43, 53, 63, 73, 83: 파이프 리드
14, 24, 34, 44, 54, 64, 74, 84: 절연재
15, 25, 35, 45, 55, 65, 75, 85: 단자대
16, 26, 36, 46, 56, 66, 76, 86: 주부
17, 57: 취약부
18, 28, 38, 48, 58, 68, 78, 88: 접속부
27, 37, 47, 67, 77, 87: 박후부(취약부)
29, 39, 59, 69, 79: 단차부
50, 60, 70, 80: 접점 장치
51a, 61a, 71a, 81a: 개구부
320, 520, 620, 720, 820: 덮개체
500, 600, 700, 800: 전자석 장치
510, 610, 710, 810: 고정 접점
530, 630, 730, 830: 샤프트
540, 640, 740, 840: 가동 접촉자
550, 650, 750, 850: 가동 접점

Claims (14)

  1. 통공을 갖는 금속 용기와,
    상기 통공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와,
    상기 금속 용기와 상기 파이프 리드를 봉착하는 절연재와,
    상기 파이프 리드를 관통하고 상기 파이프 리드에 고착한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 리드는 주부와 외부로부터의 응력을 완화하는 취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의 강성은 상기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은 또는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의 강성은 상기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고, 또한,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단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주부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단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리드는 단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단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구리, 알루미늄, 구리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단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단자.
  8. 전자석 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접점 장치로서,
    통공 및 개구부를 갖는 금속 용기와,
    상기 통공에 삽통한 파이프 리드와,
    상기 금속 용기와 상기 파이프 리드를 봉착하는 절연재와,
    상기 파이프 리드를 관통하고 상기 파이프 리드에 고착한 저저항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대와,
    상기 금속 용기의 상기 개구부 주연을 덮어서 밀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를 관통한 샤프트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프 리드는 주부와 외부로부터의 응력을 완화하는 취약부를 가지고,
    상기 단자대는 고정 접점을 가지고, 상기 가동 접촉자는 가동 접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의 강성은 상기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은 또는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의 강성은 상기 주부의 강성보다도 낮고, 또한, 상기 취약부의 내력은 상기 주부의 내력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주부보다 두께가 얇은 박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리드는 단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는 구리, 알루미늄, 구리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는 글라스 또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장치.
KR1020227007168A 2020-03-18 2021-03-16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 KR20220038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47811A JP7170214B2 (ja) 2020-03-18 2020-03-18 気密端子およびその気密端子を用いた接点装置
JPJP-P-2020-047811 2020-03-18
PCT/JP2021/010643 WO2021187490A1 (ja) 2020-03-18 2021-03-16 気密端子およびその気密端子を用いた接点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785A true KR20220038785A (ko) 2022-03-29

Family

ID=7777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168A KR20220038785A (ko) 2020-03-18 2021-03-16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62588A1 (ko)
EP (1) EP4002415A4 (ko)
JP (1) JP7170214B2 (ko)
KR (1) KR20220038785A (ko)
CN (1) CN114375483A (ko)
WO (1) WO2021187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6633A1 (de) 2021-10-14 2023-04-20 Schott Ag Durchführung mit einem Anschlussterminal sowie Gehäuse und Relais mit einer solchen Durchführ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6377A (ja) 2013-08-02 2015-03-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5049939A (ja) 2013-08-29 2015-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
JP2017069144A (ja) 2015-10-02 2017-04-06 エヌイーシー ショット 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高容量リレー用パイプリード付き気密端子およびその気密端子を用いたリレー用接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5407A1 (de) * 1988-07-27 1990-02-01 Sachsenwerk Ag Schaltkammer eines vakuumschalters
JPH0864089A (ja) * 1994-08-18 1996-03-08 Omron Corp 圧力センサ
CN201898131U (zh) * 2010-12-06 2011-07-13 西安卫光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减应力绝缘环的大功率晶体管座
JP2014099264A (ja) * 2012-11-13 2014-05-29 Ngk Spark Plug Co Ltd 継電器、継電器の製造方法
JP6029140B2 (ja) 2013-02-25 2016-11-24 エヌイーシー ショット 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圧縮封止型気密端子
JP6400906B2 (ja) 2014-01-07 2018-10-0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継電器
DE112015002850T5 (de) * 2014-06-19 2017-03-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Kontaktvorrichtung, elektromagnetisches Relais, das sie verwende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Kontaktvorrichtung
JP6551830B2 (ja) 2015-04-09 2019-07-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JP2016058290A (ja) * 2014-09-11 2016-04-21 日本精機株式会社 回動型スイッチ装置
JP6355202B2 (ja) * 2014-12-19 2018-07-11 ショット日本株式会社 高電流用気密端子
US10249443B2 (en) * 2015-06-03 2019-04-02 Schott Japan Corporation Hermetic terminal,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JP2018181721A (ja) * 2017-04-19 2018-11-15 ショット日本株式会社 気密端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6377A (ja) 2013-08-02 2015-03-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5049939A (ja) 2013-08-29 2015-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
JP2017069144A (ja) 2015-10-02 2017-04-06 エヌイーシー ショット 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高容量リレー用パイプリード付き気密端子およびその気密端子を用いたリレー用接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2588A1 (en) 2022-08-18
EP4002415A1 (en) 2022-05-25
CN114375483A (zh) 2022-04-19
WO2021187490A1 (ja) 2021-09-23
JP2021150124A (ja) 2021-09-27
EP4002415A4 (en) 2023-08-23
JP7170214B2 (ja)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061B1 (ko) 고용량 릴레이용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고용량 릴레이용 접점 장치
WO2012060087A1 (ja) 継電器
KR101024755B1 (ko) 전자 개폐장치
EP1191566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170201145A1 (en) Feedthrough for hermetic applications
EP2973616A1 (en) High-pressure hermetic terminal
HU231395B1 (hu) Gyújtótekercs belsőégésű motorhoz, valamint annak gyártási eljárása
KR20220038785A (ko) 기밀 단자 및 그 기밀 단자를 이용한 접점 장치
JP4453676B2 (ja) 電磁継電器
US7805996B2 (en) Servo accelerometer
JP6103223B2 (ja) 蓄電装置
CN107611248B (zh) 用于封装热电模块的方法
JP5991848B2 (ja) 継電器
CN115315769A (zh) 电磁继电器及电磁继电器的制造方法
US20140291293A1 (en) Vacuum chamber with a one-piece metallic cover for self-centering
JP5369841B2 (ja) 電池の製造方法
EP4102534A1 (en) Airtight terminal and contact device using said airtight terminal
JP7191144B2 (ja) 気密端子およびその気密端子を用いた接点装置
US20040032164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20040004808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101088165B1 (ko) 계전기의 아크 소호부
JP2020173938A (ja) 電磁継電器
CN115803834A (zh) 布置在开关保险装置盒中的功率开关和机动车的开关保险装置盒
JP2004231437A (ja) セラミックと金属のロウ付け構造
JP2004231441A (ja) セラミックと金属のロウ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