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269A -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269A
KR20220035269A KR1020227007232A KR20227007232A KR20220035269A KR 20220035269 A KR20220035269 A KR 20220035269A KR 1020227007232 A KR1020227007232 A KR 1020227007232A KR 20227007232 A KR20227007232 A KR 20227007232A KR 20220035269 A KR20220035269 A KR 20220035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sheet
acid
water
cosmetic gel
carbox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573B1 (ko
Inventor
나오코 곤도우
잉-슈 쿠안
후미오 가미야마
Original Assignee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filed Critical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35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미용 분야나 의료 분야에 적합한 화장용 겔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용 겔 시트는,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 및 산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한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다당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겔 시트 중의 수분 함유량은 30중량%이지만, 수분 함유량이 10중량% 이하이면 더한층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용 겔 시트는,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 및 산을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용액을 건조시켜서 겔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그 수용액 중의 산의 함유량이, 그 수용액의 pH를 2.0 내지 4.0으로 하기에 적당한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COSMETIC G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 겔을 사용하는 새로운 화장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겔 시트는 스킨케어용 소재로서, 피부에 부착되면 보습 효과나 냉감·열감을 준다. 겔 시트는 화장수나 화장 유액과 같이 흐르지 않고, 장시간에 걸쳐 피부에 효과를 발휘한다.
종래의 화장용 겔 시트는, 친수성의 수지를 물에 용해시켜 겔화시킨 것으로서, 그 중에 물·보습제·전해질 등을 보유시켜서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겔 시트는 다량의 물을 포함하고, 가교제에 의해 친수성 수지를 가교시키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콜라겐이나 키틴, 키토산, 알긴산, 셀룰로오스 등의 다당류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시트상 팩제(특허문헌 1)나, 폴리아크릴산, 다가 알코올, 물, 외부 가교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각질 연화제나 세포 부활 성분 등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스킨케어 화장용 겔 시트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홍조 다당류(한천 및 아가로오스 등)와 발효 다당류(글루코만난, 갈락토만난 등)를 포함하는 다당류 겔 시트도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3). 또한, 이온성기를 갖는 친수성 고분자와 물을 포함하는 겔 시트도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4). 이온성기를 갖는 친수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유도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유도체, 다당류 유도체(크산탄검, 구아검 등)가 예시되어 있다.
아밀로스를 포함하는 수불용성의 겔 시트에 미용액이 함침된, 2성분계의 시트상 팩 화장료도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5).
친수성기를 갖는 천연 고분자, 예를 들어 중성 다당류(셀룰로오스, 아밀로스, 아밀로펙틴, 덱스트란, 풀루란, 이눌린, 갈락탄, 만난, 자일란, 아라비난, 글루코만난, 갈락토만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 음이온성 다당류(펙틴산, 알긴산, 아가로오스, 한천, 카라기난, 푸코이단,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헤파린, 젤란검, 네이티브 젤란검, 크산탄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등), 양이온성 다당류(키틴, 키토산,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등), 단백(젤라틴, 카제인, 엘라스틴 등)을 사용한 생체용 점착 겔 시트도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6).
다당류를 포함하는 겔 시트로서, 콜라겐 및 겔화제 및 다가 알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겔 시트(특허문헌 7-9)도 보고되어 있다.
겔 시트에 다당류를 혼화하면 바람직한 것도 지적되어 있다(특허문헌 10, 11). 바람직한 다당류로서는, 중성 다당류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밀로스, 아밀로펙틴, 덱스트란, 풀루란, 이눌린, 갈락탄, 만난, 자일란, 아라비난, 글루코만난, 갈락토만난, 아가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커들란, 자일로글루칸 등), 음이온성 다당류(펙틴산, 알긴산, 아가로오스, 한천, 카라기난, 푸코이단,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헤파린, 젤란검, 네이티브 젤란검, 크산탄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전분,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 등), 양이온성 다당류(키틴, 키토산,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전분, 양이온화 덱스트란 등)가 예시되어 있다. 음이온성 다당류로서, 카르복시기, 술포기, 포스포기를 갖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형의 겔 시트는, 대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3-0812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283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3-5180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4589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131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379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0913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080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080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0800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08008호 공보
지금까지 공표되어 있는 물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겔 시트는, 시트가 무거워 피부에 붙여도 살며시 얼굴을 위로 하여 반듯하게 눕지 않으면 시트가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계에는, 차가워서 불쾌감을 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서 겔 시트 부착 시에 온감을 느껴서 상쾌감을 줄 수 있는 화장용 겔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겔 시트는,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 및 산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고, 함수량이 3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란, 분자 내에 치환기로서 카르복시기를 갖는 수용성 고분자를 말한다.
화장용 겔 시트 중의 함수량은 15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용 겔 시트는, 종래의 화장용 시트와 비교하여 시트 중의 수분 함량이 지극히 적은 것이 특징이며, 함수량은 실질적으로 0이어도 지장없다.
본 화장용 겔 시트 중의 함수량이 30중량% 이상이 되면 수용성 고분자의 겔화가 불충분해지고, 그 때문에 겔 시트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여 화장용 시트로서 부적당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화장용 겔 시트는, 원료 조합 단계에서 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제품 중에 수분은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조 과정에서 수분을 증발 휘산시켜, 화장용 겔 시트 내의 수분을 감소시켜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 시트 중의 수분량이 적은 것은 물성적으로는 문제 없지만, 물의 증발을 위한 에너지 비용이 고액이 된다. 그 때문에 실용상으로는 화장용 겔 시트의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수분을 남겨도 된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합성 카르복시기 함유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공중합체와, 카르복시기 함유 다당류가 있는데 후자 쪽이 본 발명에서는 보다 바람직하다. 이유는, 합성 고분자인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는 불쾌한 악취를 갖는 잔류 단량체가 염려되는 것에 의한다.
본 화장용 겔 시트는 그것만으로 취급 가능하므로, 지지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지체를 붙여도 지장없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산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제조하고, 그 수분을 증발시켜서 pH를 낮추면, 카르복시기끼리의 회합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가 의사 가교되어, 용이하게 겔화된다. 본 발명의 화장용 겔 시트는,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의 이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본 화장용 겔 시트 중에는 수용성 2가 이온을 함유시킬 필요는 없다. 다량의 물(겔 시트의 70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종래형 하이드로겔 시트의 경우,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를 겔화하기 위해서는 수용성 2가 금속 이온에 의해 가교할 필요가 있다(특허문헌 1, 2). 본 발명에서는, 겔 중의 수분량을 저감시키고, 카르복시기끼리의 회합을 이용하므로 금속염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다량의 물을 포함하고 2가 금속 이온에 의해 회합한 겔 시트는, 피부에 적용 후 물과 함께 마사지해도, 카르복시기 함유 다당류가 물에 녹을 일은 없다. 종래형 하이드로겔 시트와 본 발명의 화장용 겔 시트는 겔 회합의 기구가 명확하게 상이하다.
본 화장용 겔 시트 중의 각 성분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다음과 같다.
다가 알코올은, 수용성 고분자 1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상 100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산은, 원료 수용액의 pH가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의 회합이 적절하게 되는 양으로 한다.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1중량부에 대하여 물 120중량부를 사용했을 때, 산의 양은 수용액의 pH를 4.5 내지 2.0으로 하기에 필요한 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이 이것보다 적으면 적음에 따라서 pH를 작게 할 수 있고, 많으면 많음에 따라서 pH를 크게 할 수도 있다. 예시된 수분량의 경우, pH가 4.5 이상에서는 물을 건조시켜도 충분한 강도가 있는 겔이 되지 않는다. 또한, pH가 2.0 이하로 되면 원료 수용액이 물을 건조시키기 전에 겔화되기 쉽고, 설령 건조하여 겔 시트를 생성시켜도 겔 시트를 얼굴에 붙였을 때 자극성을 느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는 산성 하에서 카르복시기의 회합에 기인하여 겔상이 되지만, pH가 중성에 가까워지면 겔 구조가 파괴되어서 수용성이 된다. 즉 pH 변화에 수반하여 가역적으로 겔 상태와 가용 상태를 취한다. 그로 인해, 겔 상태에서 피부에 부착한 후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마사지하면, 다당류 겔을 가용화하여 다당류 및 배합 유가 성분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용액의 pH가 2.0 이하로 되는 산 농도에서는, 겔 구조가 견고하기 때문에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마사지해도 가용 상태가 되기 어렵다. 여기서 적당량이란, 화장용 겔 시트를 안면에 부착하고 물을 첨가할 때, 안면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양을 말한다. 안면에 보유할 수 없을 만큼의 양의 물을 첨가하는 것은 실용상 의미를 갖지 않는다.
다가 알코올은 물과 접촉하면 발열하는 성질을 갖는다. 본 겔 시트의 최대 성분인 다가 알코올은, 겔 시트를 피부에 부착하고 물을 첨가했을 때에 발열하여, 피부에 기분 좋은 온감을 부여한다. 종래의 겔 시트는 다량의 물을 포함하므로 유의한 발열을 하지 않지만, 수분 함유량이 적은 본 발명의 겔 시트는 온감을 발생한다.
카르복시기 함유 다당류로서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크산탄검, 젤란검, 알긴산,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등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그것 등은,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등의 금속염일 수도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의 분자량은, 약 5×104 내지 5×106달톤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이 범위 내이면, 상이한 수용성 고분자를 혼합할 수도 있고, 또한 동일 수용성 고분자의 분자량이 상이한 것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범위의 분자량의 것과 이 범위보다 분자량이 작은 것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의 양은, 겔 전체의 0.1중량%부터 1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의 양이 0.1중량% 보다도 적으면 겔이 물렁해져서, 우수한 탄성체의 겔을 형성할 수 없다. 한편, 10중량%를 초과하면 단단해져서, 우수한 탄성체의 겔을 형성할 수 없고 피부에 대한 밀착성도 나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은, 염산, 아세트산, 락트산 등의 1염기산, 시트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등의 다염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시트르산, 타르타르산과 락트산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2종류 이상의 산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글리세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의 양은,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1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0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500중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의 양이 10중량부보다 적으면 적합한 피부 부착성을 갖는 우수한 탄성체의 겔이 아니라 단단한 겔이 된다. 한편, 1000중량부를 초과하면 겔이 물렁해지거나 또는 겔 형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카르복시기 함유 다당류 겔 중에서는, 당초 배합 원료 중의 최대 성분인 물은 건조 과정에서 휘산되어 다가 알코올이 최대 성분이 된다.
본 발명의 겔 시트는 카르복시기 함유 고분자끼리의 회합에 의해 겔화되어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또한 그 겔 구조는 pH를 높이면 붕괴되어 용해되어버린다. 이러한 겔 시트는 본 발명에 의해 처음으로 실용화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겔 시트의 강도를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면 파단 응력은 0.05N/㎠ 이상이었다. 파단 응력이 0.05N/㎠ 이하이면 겔 시트 자체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져 시트 형성이 곤란해진다.
화장용 겔 시트에는,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 성분 등의 유가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특히 화장품, 의약 부외품으로서의 응용에 유리하다. 배합 가능한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미백 성분, 항 주름 성분, 항염증 성분, 혈행 촉진 성분, 항균 성분, 항소양 성분, 각종 비타민 및 그의 유도체, 항산화 성분 색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배합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성분은, 원료 수용액에 첨가하면 된다.
미백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및 그의 염류 및 아실화 유도체, 에틸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아스코르빌 등의 비타민 C 유도체, α-알부틴, β-알부틴, 코지산, 태반 추출물, 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엘라그산, 루시놀, 트라넥삼산, 바이칼레인, 아데노신 및 그의 인산나트륨염, 아스타크산틴, 녹각영지, 유용성 감초, 라벤더, 름뿌양, 오이풀, 레스베라트롤, 영지 및 그들의 추출물, 팅크 또는 그들에 포함되는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항 주름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레티놀, 레티노산,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레티노이드, 시트르산, 프루츠산, 글리콜산, 락트산 등의 α-히드록시산, α-히드록시산콜레스테롤, 루틴 당 유도체, N-메틸세린, 엘라스틴, 콜라겐, 세리신, 병풀 추출물, 황금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레틴산2K, 알란토인, 입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아줄렌, 시코닌, 트라넥삼산 및 황련, 감초, 테르미날리아, 서양톱풀, 자근, 컴프리, 알로에, 부처브룸, 마로니에, 복숭아잎, 비파나무잎 및 그들의 추출물, 팅크 또는 그들에 포함되는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혈행 촉진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비타민 E류,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산벤질, 니코몰, 카페인, 캡사이신, 노난산바닐릴아미드, 쇼가올, 진저롤, 등을 들 수 있다.
항균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카르반, 트리클로로히드록시페놀, 할로카르반,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의 양이온 계면 활성제, 감광소,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키틴, 키토산, 히노키티올 및 아니스, 등을 들 수 있다.
항소양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염산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크로타미톤, 글리시리진산류, 멘톨, 캄포, 로즈마리유, 캡사이신, 노난산바닐릴아미드, 디부카인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용성 비타민류로서 비타민 A유, 간유,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레티놀, 데히드로레티놀, 비타민 A3, 레티노산, 비타민 D,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 비타민 유도체, 비타민 E(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부티르산토코페롤, 니코틴산토코페롤,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천연 비타민 E, 비타민 K, 비타민 U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용성 비타민류로서, 비타민 B1(티아민), 비타민 B2(리보플라빈부티르산에스테르), 비타민 B6(디카프릴산피리독신, 디팔미트산피리독신 등 지방산에스테르), 비타민 B12(코발아민), 비타민 B13, 비타민 B14, 비타민 B15(판감산), 엽산, 카르니틴, 티옥산, 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콜린, 이노시톨,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빌, 판토텐산아스코르빌, 디팔미트산아스코르빌, 비타민 H(비오틴), 비타민 P(헤스페리딘), 아프레시아,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안토시아닌, 카테킨, 녹차 폴리페놀, 사과 폴리페놀 등의 폴리페놀류,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황산나트륨, β-카로틴, 아스타크산틴 등의 카르테노이드, 토코페롤류, 아세트산토코페롤, 천연 비타민 E, 토코모노에놀, 토코트리에놀, 커큐민 등의 β-디케톤, 세사민, 세사몰린 등의 리그난, 유게놀 등의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항알레르기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리진산2K, 등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감초, 클로렐라, 컴프리, 목단피, 틸리아 코르다타, 방아풀, 세이지, 차조기, 쑥 및 그들의 추출물, 팅크 또는 그들에 포함되는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겔 시트는,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산 및 다가 알코올을 물에 균일하게 용해하고, 목적으로 하는 형태가 되도록 수분을 적절하게 건조·증산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와 다가 알코올과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프로펠러식 회전형 교반 장치로 혼화하여 제조한다. 이 제조한 수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온풍으로 건조함으로써, 투명하고, 균일한 두께의 겔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함수량이 30중량% 이하로 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 시트를 재단하여 원형, 타원형, 곡옥상, 페이스상으로 하고, 이것을 시트상 화장료로 하여 제품으로 한다.
또한, 트레이에 제조된 수용액을 유입하고, 건조시켜서 물을 증발시킬 수도 있다. 트레이를 곡옥상, 페이스상 등으로 하면 시트의 재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트레이의 소재는, 산소 및 수증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재료 또는 그 재료의 복합체가 바람직하고, 플라스틱제로 하고 프레임부 부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제 트레이는 열 성형 또는 박벽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열가소성 물질, 또는 열가소성 물질의 복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본 화장용 겔 시트를 얼굴에 적용하면, 다가 알코올이 수증기 또는 얼굴의 표면 수분을 흡수하여 발열되어 안면에 온감을 준다.
본 화장용 겔 시트를 얼굴에 적용 후 적당량의 물을 부여하여 마사지하면, 안면에 온감을 주면서 겔 시트는 점차 용해된다. 수분량이 증가하고, pH값이 상승하기 때문에 겔이 용해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용 겔 시트는, 물은 필수 성분이 아니고, 다가 알코올 중에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가 겔화하여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화장용 겔 시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물을 소량 밖에 포함하지 않으므로 미생물의 번식에 알맞지 않아, 방부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2) 주성분이 다가 알코올이며, 본 겔 시트를 피부에 적용하고 물(뜨거운 물)로 마사지하면, 알코올이 수화에 의해 발열되어 피부에 기분 좋은 감각을 준다.
(3) 물에 불안정한 화장품 유가 성분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화장용 겔 시트는, 수용성 고분자나 다당류 원래의 우수한 특징을 활용하고 있다. 화학 가교를 하지 않는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겔은, 피부에 적용 후 소량의 물을 첨가하면 다가 알코올의 수화에 의한 온감이 발생하고, 마사지하면 겔이 용해되어 배합 성분이 피부에 침투한다. 그 후 물로 씻어 버려도 효과는 지속되어, 피부에 온감, 습기감과 미끌미끌감을 부여한다. 그 때문에 미용 분야에 사용하는 재료로서 유용하다. 종래형 하이드로겔 시트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보이지 않는다.
이하에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원래부터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당류 겔 시트의 제조)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 및 산의 수용액을, 다음의 표 1에 기재된 배합비(중량부)에 의해 프로펠러식 회전형 교반 장치로 교반 혼합하여 원료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토코페롤이나 아프레시에는 소량의 에탄올에 용해시켜서 첨가하였다. 제조한 원료 수용액을 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기어 오븐에서 60 내지 80℃, 5 내지 30분간 건조하여, 약 200㎛의 두께의 화장용 겔 시트, 또는 겔화되어 있지 않은 점조상물을 얻었다. 겔 중의 함수량은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을 변화시켜서 조정하였다.
원료 수용액의 pH를 측정한 것에 대해서, 표 1의 우측단란에 나타냈다.
각 원료의 규격 및 입수처는 다음과 같다. 폴리아크릴산은 아론비스 AH-106X(도아 고세(주)), 또한 실시예 5, 9의 히알루론산(H80)은 분자량 약 80만(기코만 바이오케미파(주) 제조의 FCH-80), 실시예 13, 14, 15의 히알루론산(H200)은 분자량 약 200만(기코만 바이오케미파(주) 제조의 FCH-200)을 사용하였다. 기타의 원료로서, 글리세린(농 글리세린, 미요시 유시(주)), 시트르산(나카라이 테스크(주)), 팔미트산아스코르빌인산3나트륨(아프레시에, 쇼와 덴꼬(주)), 토코페롤(나카라이 테스크(주)), 크산탄검(산쇼(주)), 젤란검(와꼬 쥰야꾸(주)),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는 CMC1260(다이셀 파인캠), 알긴산(기코만 바이오케미파(주))을 사용하였다. 락트산, 에틸렌글리콜, 염산 및 아세트산은 시약 특급(나카라이 테스크(주))을 사용하였다.
염산 및 아세트산의 양은, 수용액 시약으로부터의 환산 중량부이다.
(제조된 다당류 겔 시트의 성상 비교)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및 2의 다당류 겔 시트의 평가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각 평가 결과의 내용은 이하와 같다.
1. 성상 관찰 결과
육안 및 감촉에 의한 유연성, 탄성, 인장 강도에 관한 관찰 결과를 나타낸다.
2. 수분량 측정 결과
겔 중의 함수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함수량의 측정은 시료를 90℃에서 1시간 가열하고 가열 전후의 중량 감소로부터 구하였다.
3. 피부 밀착성 시험 결과
다당류 겔 시트(2cm×2cm)를 인간 지원자 전완 내측에 적용할 때 피부에 대한 밀착성의 결과를 나타낸다.
4. 온감 시험 결과
다당류 겔 시트(2cm×2cm)를 인간 지원자 전완 내측에 적용할 때 피부에 대한 온감의 결과를 나타낸다.
5. 용해성 시험
인간 지원자의 전완부에 다당류 겔 시트(2cm×2cm)를 적용하고 1ml의 물을 적하하여 3분간 시트 상으로부터 마사지하여 겔의 용해성을 관찰하였다.
6. 기계적 강도 시험
다당류 겔 시트를 1.5cm폭의 덤벨 형상으로 펀칭하고, 양단을 지지하여 인장 속도 1cm/min의 속도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파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수치의 단위는 N/㎠이다.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의 소형 탁상 시험기 EZ Test EZ-SX를 사용하였다.
표 2의 성상에 있어서, A는 유연성, 탄성, 인장 강도, 모두 충분하고, B는 유연성, 탄성은 충분하고, C는 유연성, 탄성은 불충분하고, D는 제조한 것이 액체인 것을 나타낸다.
표 2의 피부 밀착성 시험에 있어서, A는 잘 밀착된 것을, B는 부분적으로 떠서 밀착된 것을, C는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벗겨진 것을 나타낸다. 성상이 C 또는 D인 것은 실용적인 시트를 형성할 수 없어, 이 시험을 할 수 없었다.
표 2의 온감 시험에 있어서, A는 높은 온감을 피부에 느낀 것을, B는 온감을 느낀 것을, C는 온감이 없었던 것을 나타낸다. 시트를 형성하지 않은 것은, 이 시험을 할 수 없었다.
표 2의 용해성 시험에 있어서, A는 완전히 용해된 것을, B는 부분적으로 용해된 것을 나타낸다. 시트를 형성하지 않은 것은, 이 시험을 할 수 없었다.
(페이스 마스크: 실시예 16)
물 120중량부에, 알긴산 1중량부, 글리세린 80중량부, 타르타르산 0.5중량부, 토코페롤 0.05중량부 및 비타민 C 유도체 0.05중량부를 첨가하고, 잘 혼합하여 균일한 용액으로 하였다. 이 용액을, 폴리프로필렌을 열성형한 인간 얼굴형 트레이에 트레이의 저부로부터의 깊이 3mm가 되도록 쏟아 부었다. 주입 후, 75℃에서 2시간 열풍 건조하여 물을 증발시켜서 겔 시트를 성형하였다. 겔 시트를 형으로부터 취출하여 페이스 시트의 형으로 재단하고 얼굴을 대상으로 하여 각 평가를 행하였다. 피부 밀착성, 발열성, 수용해성, 모두 양호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Claims (12)

  1.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 및 산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고, 함수량이 30중량% 이하인 화장용 겔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량이 1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가 카르복시기 함유 다당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1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다가 알코올 함량이 10 내지 100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단 응력이 0.05N/㎠ 이상인 화장용 겔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상기 다가 알코올 및 상기 산을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용액을 건조시켜서 겔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수용액 중의 상기 산의 함유량이, 그 수용액의 pH를 2.0 내지 4.5로 하기에 적당한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부착에 의해 발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다당류가, 크산탄검, 젤란검, 알긴산, 히알루론산 및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이 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이,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및 염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 또는 복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12.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 및 산을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용액을 필름 상에 도포하거나 또는 트레이에 유입하고, 함수량이 30중량% 이하로 되도록 건조시켜서 화장용 겔 시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겔 시트 제조 방법.
KR1020227007232A 2014-02-17 2015-02-12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35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2110 2014-02-17
JP2014042110A JP6430128B2 (ja) 2014-02-17 2014-02-17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167021470A KR102372049B1 (ko) 2014-02-17 2015-02-12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PCT/JP2015/053761 WO2015122433A1 (ja) 2014-02-17 2015-02-12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470A Division KR102372049B1 (ko) 2014-02-17 2015-02-12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269A true KR20220035269A (ko) 2022-03-21
KR102535573B1 KR102535573B1 (ko) 2023-05-30

Family

ID=538001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470A KR102372049B1 (ko) 2014-02-17 2015-02-12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27007232A KR102535573B1 (ko) 2014-02-17 2015-02-12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470A KR102372049B1 (ko) 2014-02-17 2015-02-12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849834B2 (ko)
EP (1) EP3108870B1 (ko)
JP (1) JP6430128B2 (ko)
KR (2) KR102372049B1 (ko)
CN (3) CN113827499A (ko)
CA (1) CA2939895C (ko)
ES (1) ES2932207T3 (ko)
WO (1) WO2015122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0128B2 (ja) * 2014-02-17 2018-11-28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1109B1 (ko) * 2016-01-20 2016-06-16 이미연 건조 바이오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조 바이오 셀룰로오스
KR101918811B1 (ko) * 2016-03-23 2018-11-27 이병수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WO2017188424A1 (ja) * 2016-04-28 2017-11-02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化粧用アルコ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853994B2 (ja) * 2016-04-28 2021-04-07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化粧用アルコ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08156B1 (ko) 2016-09-30 2017-02-17 주식회사 유로프 바이오 셀룰로오스 시트, 바이오 셀룰로오스 시트 제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6633135B (zh) * 2016-12-20 2019-05-07 温州大学 用褐藻糖胶和多酚制备具有抗菌活性的可食性膜的方法
KR102130482B1 (ko) * 2017-10-26 2020-07-17 손동우 수가용성 젤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7184804B2 (ja) * 2017-12-27 2022-12-06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貼付用ゲルシート
CN111818903B (zh) * 2018-03-05 2024-05-2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化妆料或医疗材料
US20200060957A1 (en) * 2018-08-27 2020-02-27 Lonza Ltd Dried Rehydratable Composition
KR102026830B1 (ko) * 2019-02-28 2019-09-30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투습성 멤브레인 미용시트
WO2020196652A1 (ja) * 2019-03-27 2020-10-01 Tdk株式会社 固体状接触媒体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1213A (ja) 1989-08-24 1991-04-05 Kobayashi Kose Co Ltd パック剤
US5456745A (en) * 1988-08-13 1995-10-10 Lts Lohmann Therapie-Systeme Gmbh & Co. Kg Flexible, hydrophilic gel film, th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the use of it
JPH11228340A (ja) 1998-02-12 1999-08-24 Nitto Denko Corp 化粧用ゲルシート
JP2000119128A (ja) * 1998-10-13 2000-04-25 Nitto Denko Corp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518008A (ja) 1999-07-06 2003-06-03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予め成形されたゲルシート
JP2005145895A (ja) 2003-11-17 2005-06-09 Kao Corp 粘着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213176A (ja) 2004-01-29 2005-08-11 Taiki:Kk 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JP2006503003A (ja) * 2002-07-26 2006-01-26 ファイザー・インク 経口摂取できる剤形を作製する方法
JP3877106B2 (ja) * 1998-10-13 2007-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化粧用ゲルシート
JP2008137970A (ja) 2006-12-04 2008-06-19 Fujifilm Corp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9091342A (ja) 2007-09-20 2009-04-30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9108007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9108005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JP2009108006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JP2009108008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11102257A (ja) * 2009-11-10 2011-05-26 Sanei Gen Ffi Inc 乾燥ゲル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JP2014024828A (ja) * 2012-06-17 2014-02-06 Kosumedei Seiyaku Kk 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048A (ja) * 1992-08-20 1994-03-08 Kibun Food Chemifa Co Ltd フィルム状パック剤
US20020081321A1 (en) * 1998-10-13 2002-06-27 Masayuki Konno Gel sheet for cosmetic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20014178A1 (en) * 2000-07-14 2002-02-07 Haught John Christian Biocide compositions and methods and systems employing same
US20040131661A1 (en) 2002-07-26 2004-07-08 Pfizer Inc. Process for making orally consumable dosage forms
JP3995247B2 (ja) 2003-09-26 2007-10-2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美白用ゲルシート
US20070122360A1 (en) * 2003-12-26 2007-05-31 Lion Corporation Nonaqueous gel composition for tooth whitening and tooth whitening set
JP2008150311A (ja) * 2006-12-15 2008-07-03 Lintec Corp 水性ジェル組成物および水性ジェル貼付剤
JP5357411B2 (ja) * 2007-08-09 2013-12-04 花王株式会社 濡れ肌用ボディ化粧料
WO2009038030A1 (en) 2007-09-20 2009-03-26 Fujifilm Corporation Gel sheet and sheet-like cosmetic material using the same
JP5435723B2 (ja) * 2009-01-26 2014-03-05 公益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アルギン酸成形体の製造方法
JP5503888B2 (ja) * 2009-03-25 2014-05-2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化粧品パック用ゲルシート
JP5841311B2 (ja) * 2009-12-21 2016-01-13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油性原料の増粘剤またはゲル化剤、それを含有してなるゲル状組成物および化粧料もしくは外用剤の製造方法
EP2638921B1 (en) * 2010-11-12 2018-04-25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Gel sheet comprising lipidic peptide type gelling agent and polymeric compound
KR101507301B1 (ko) * 2011-10-28 2015-04-01 주식회사 제닉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JP2013107862A (ja) * 2011-11-24 2013-06-06 Dhc Co ジェル状皮膚化粧料
KR101740833B1 (ko) * 2012-07-18 2017-05-26 신현우 2액형 타입 화장료 조성물
WO2015002091A1 (ja) * 2013-07-03 2015-01-08 株式会社リタファーマ 水溶性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430128B2 (ja) * 2014-02-17 2018-11-28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745A (en) * 1988-08-13 1995-10-10 Lts Lohmann Therapie-Systeme Gmbh & Co. Kg Flexible, hydrophilic gel film, th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the use of it
JPH0381213A (ja) 1989-08-24 1991-04-05 Kobayashi Kose Co Ltd パック剤
JPH11228340A (ja) 1998-02-12 1999-08-24 Nitto Denko Corp 化粧用ゲルシート
JP3877106B2 (ja) * 1998-10-13 2007-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化粧用ゲルシート
JP2000119128A (ja) * 1998-10-13 2000-04-25 Nitto Denko Corp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518008A (ja) 1999-07-06 2003-06-03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予め成形されたゲルシート
JP2006503003A (ja) * 2002-07-26 2006-01-26 ファイザー・インク 経口摂取できる剤形を作製する方法
JP2005145895A (ja) 2003-11-17 2005-06-09 Kao Corp 粘着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213176A (ja) 2004-01-29 2005-08-11 Taiki:Kk 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JP2008137970A (ja) 2006-12-04 2008-06-19 Fujifilm Corp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9091342A (ja) 2007-09-20 2009-04-30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9108007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9108005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JP2009108006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JP2009108008A (ja)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ゲル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11102257A (ja) * 2009-11-10 2011-05-26 Sanei Gen Ffi Inc 乾燥ゲル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JP2014024828A (ja) * 2012-06-17 2014-02-06 Kosumedei Seiyaku Kk 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39895A1 (en) 2015-08-20
CN113827500A (zh) 2021-12-24
EP3108870A1 (en) 2016-12-28
JP2015151394A (ja) 2015-08-24
KR102535573B1 (ko) 2023-05-30
US20170007509A1 (en) 2017-01-12
CN106029047A (zh) 2016-10-12
KR102372049B1 (ko) 2022-03-08
CN113827499A (zh) 2021-12-24
WO2015122433A1 (ja) 2015-08-20
EP3108870B1 (en) 2022-11-09
US20210038486A1 (en) 2021-02-11
EP3108870A4 (en) 2017-08-16
CA2939895C (en) 2022-07-26
US10849834B2 (en) 2020-12-01
ES2932207T3 (es) 2023-01-16
KR20160124093A (ko) 2016-10-26
US11701309B2 (en) 2023-07-18
JP6430128B2 (ja)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049B1 (ko) 화장용 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6064004B2 (ja) ヒアルロン酸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7209381B2 (ja) 化粧用アルコ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85461A (ja)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シート状化粧料
JP7166014B2 (ja)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815363B2 (ja)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200447A1 (ja) オブラートを支持体とする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ES2932630T3 (es) Lámina de alcogel para uso cosmético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de la mis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