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811B1 -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811B1
KR101918811B1 KR1020160034662A KR20160034662A KR101918811B1 KR 101918811 B1 KR101918811 B1 KR 101918811B1 KR 1020160034662 A KR1020160034662 A KR 1020160034662A KR 20160034662 A KR20160034662 A KR 20160034662A KR 101918811 B1 KR101918811 B1 KR 10191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iquid
layer
dry sheet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368A (ko
Inventor
김숙현
이병수
이찬무
Original Assignee
이병수
주식회사지오글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수, 주식회사지오글로브 filed Critical 이병수
Priority to KR102016003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8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시트에 관한 것으로, 건조된 상태로 피부와 접촉하며, 내부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 측으로 액체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 상에 마련되며, 피부 측에 제공되는 성분을 건조한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DRY SHEE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센스의 사용을 배제하여 건조된 상태로 제공되는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남성 및 여성을 구별하지 않고 피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 팩이 선보이고 있다.
종래의 마스크 팩의 경우, 시트 상에 에센스를 침지한 상태로 제공되므로, 시트로부터 에센스가 과도하게 흘러내리고, 유통 및 보관에 따라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여기서,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에센스에 인체에 유해한 방부제를 첨가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한편, 시트 상에 에센스가 침지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고, 마스크팩 착용 이후에는 활동 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 하이드로겔 타입의 시트, 또는 더 나아가 천연 재료 또는 발효 기술이 가미된 셀룰로오즈 시트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이드로겔 타입의 시트, 셀롤로오즈 시트 역시도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방부제를 사용해야 하고, 장기간 보관에 대한 한계점, 에센스의 증발에 따른 사용 효과가 제한된다는 점 등 고가의 제품에 비해 실질적으로 효과가 미비한 단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246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조된 상태로 피부와 접촉하며, 내부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 측으로 액체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 상에 마련되며, 피부 측에 제공되는 성분을 건조한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건조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이 상기 일면의 반대 측인 타면보다 고밀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으로부터 외측에 마련되는 이면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친수성의 성질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이면층은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 사이에 상기 이면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액체가 상기 표면층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면은 흡수성 물질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마련되어, 외부의 액체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유동시키는 액체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체 안내부는 발수성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복수개가 정렬된 상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피부 활성 성분, 영양 성분 및 의약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 시트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키는 접촉 단계; 상기 건조 시트의 타면 측으로 액체를 제공하는 액체 제공단계; 상기 건조 시트의 저장부에 저장된 성분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제공되도록 대기하는 대기단계;상기 건조 시트를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건조 시트의 사용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한 상태로 제공되어 미생물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매우 적고,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장기간 동안 보관이 가능한 건조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에 저장된 성분들이 액체에 의해 용해됨과 동시에 피부에 제공되므로, 성분들의 피부 흡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사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트(100)는 건조된 상태로 제공되어 오염 방지 및 장기간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몸체부(110)와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트(100)는 상술한 저장부(120)에 저장된 성분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가령, 피부 활성 성분이나 영양 성분이 저장된 경우에는 마스크 팩, 의약 성분이 저장된 경우에는 파스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건조 시트(100)는 마스크 팩으로 활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트(100)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건조한 상태로 제공되어 피부와 접촉하며, 내부적으로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 측으로 액체(W)가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액체(W)는 수분과 소정의 유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화장수나 에센스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는 표면층(111)과 이면층(112)과 전이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111)은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이면층(112)은 피부와 이격되는 부분이며, 전이층(113)은 표면층(111)과 이면층(112)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10)를 다수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것은 몸체부(110)의 타면으로부터 제공되는 액체(W)가 몸체부(110)의 일면 측으로 원할하게 제공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는 표면층(111)과 이면층(112)의 밀도차를 형성함으로써 액체(W)의 원활한 전이를 안내할 수 있다.
즉, 표면층(111)이 이면층(112)에 비해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면층(111) 및 이면층(112) 각각에서 원사의 밀도, 비표면적차 또는 가닥수 편차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111)은 친수성의 성질을 가짐으로써 액체(W)를 받아들일 수 있고, 이면층(112)은 소수성의 성질을 가짐으로써 수문을 밀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표면층(111)은 원사 측면에 미세한 슬릿이 다수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수평 모세관 현상이 활발히 발생하여 액체(W)의 흡수력이 증가되며, 전이층(113)은 소수성 원사인 폴리에스테르원사로 마련되어 수직 모세관 현상을 통해 액체(W)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며, 이면층(112)은 극소수성 원사인 폴리올레핀으로 마련되어 공극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표면층(111) 및 전이층(113)에서는 수직방향의 액체 유동이 활발하게 발생하여 액체의 흡수가 원할해지고, 이면층(112)에서는 수평방향의 액체 유동이 활발하게 발생하여 후술할 저장부(120) 측으로 액체의 제공이 원할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몸체부(110)를 구성함으로써 표면층(111) 측으로 액체(W)의 전이를 발생시키면서 이면층(112) 측으로의 액체(W)이 전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120)는 몸체부(110)의 일면, 더 정확히는 표면층(111)의 외측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피부 측에 제공되는 성분을 건조한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다.
즉, 저장부(120)는 필요에 따라 상술한 것과 같은 소정의 성분을 건조한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수용성으로 마련되며, 몸체부(110)를 통해 액체(W)가 표면층(111) 측으로 유입되면, 액체(W)에 의해 용해되어 피부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액체(W)가 이면층(112) 측으로 이탈하지 않으므로, 저장부(120)에 저장된 성분도 액체(W)에 용해된 상태로 이면층(112) 측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건조 시트(100)의 제1실시예의 사용방법(S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사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트의 사용 방법(S10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트(10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접촉 단계(S110)와 액체 제공단계(S120)와 대기단계(S130)와 제거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단계(S110)는 건조 시트(100)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건조 시트(100)는 건조된 상태로 제공되며. 몸체부(110)의 표면층(111)과 저장부(120)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제공단계(S120)는 몸체부(110)의 이면층(112) 측으로 액체(W)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액체(W)는 사용자가 별도의 스프레이 도구를 이용하여 이면층(112) 측으로 액체(W)를 살포하거나 몸체부(110)의 이면층(112) 측에 소정의 흡수성 물질을 마련하여 공기 중의 액체(W)가 이면층(112) 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대기단계(S130)는 건조시트(1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된 성분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충분히 제공되도록 대기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몸체부(110)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W)는 이면층(112), 전이층(113) 및 표면층(111)을 순차적으로 유동하고, 표면층(111)에서 저장부(120)를 용해시킴으로써 성분들과 함께 액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제공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액체(W)가 몸체부(110) 내부에서 유동하고, 저장부(120)를 용해시켜 피부에 흡수되기까지 요구되는 소정의 시간 동안 대기할 필요가 있다.
적어도 이러한 소정 시간을 대기 단계(S130)를 통해 확보함으로써 건조 시트(100)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거단계(S140)는 기사용된 건조 시트(100)를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드라이 시트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110) 상에서 밀도차를 형성하여 액체(W)를 전이시키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후술할 액체 안내부(230) 및 코팅층(214)을 이용하여 액체(W)를 전이시키게 되며, 몸체부(210)와 저장부(220)와 액체 안내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1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트(200)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건조한 상태로 제공되어 피부와 접촉하며, 내부적으로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 측으로 액체(W)가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몸체부(210)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표면층(111), 이면층(112) 및 전이층(113)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에 고흡수성의 고분자 코팅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코팅층(214)은 입자 크기가 10 내지 100 마이크론의 고분자로서, 바인더와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들은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폴리아키릴산, 폴리비닐알콜, 젤라틴, 셀룰로오즈계, 키토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분자 사슬간의 가교결합을 통해 3차원 망상구조 또는 단일사슬구조에서 친수성기의 도입을 통해 액체(W)의 흡수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코팅층(214)은 고분자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스프레이, 딥핑 또는 프린팅 등의 방식을 통해 몸체부(210)의 일면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2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액체 안내부(230)는 몸체부(210)의 타면 상에 형성되어 외부의 액체(W)를 몸체부(210) 측으로 유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발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몸체부(210)의 타면의 복수개가 정렬된 상태로 배열된다.
여기서, 액체 안내부(230)는 0.1 내지 10 마이크론의 간극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발수제와 바인더가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발수제는 불소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발수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인더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안내부(230)에 액체(W)가 제공되면, 액체(W)는 액체 안내부(230)에 포함되는 발수제에 의해 액체 안내부(230)로의 흡수가 방지되고, 액체 안내부(230)가 배치되지 않은 몸체부(210)의 타면 측으로 제공된다.
액체 안내부(230)에 의해 액체(W)가 몸체부(210) 측으로 제공되면 몸체부(210) 일면에 형성된 고분자 코팅층(214)에 의해 액체(W)가 저장부(220) 측으로 유동하며,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저장부(220)에 저장된 성분을 용해시켜 사용자의 피부에 제공되도록 한다.
상술한 건조 시트(200)의 제2실시예의 사용방법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례 또는 변형례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건조 시트 110: 몸체부
120: 저장부
S100: 건조 시트의 사용방법 S110: 접촉단계
S120: 액체 제공단계 S130: 대기단계
S140: 제거단계
200: 건조 시트 210: 몸체부
220: 저장부 230: 액체 안내부

Claims (10)

  1. 건조된 상태로 피부와 접촉하며, 내부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 측으로 액체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 상에 마련되며, 피부 측에 제공되는 성분을 건조한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는 일면이 상기 일면의 반대 측인 타면보다 고밀도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으로부터 외측에 마련되는 이면층을 포함하되,
    상기 표면층은 친수성의 성질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이면층은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 사이에 상기 이면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액체가 상기 표면층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전이층을 더 포함하는 건조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면은 흡수성 물질로 도포되는 건조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마련되어, 외부의 액체를 상기 몸체부 내부로 유동시키는 액체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안내부는 발수성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복수개가 정렬된 상태로 배열되는 건조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피부 활성 성분, 영양 성분 및 의약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건조 시트.
  10.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건조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 시트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키는 접촉 단계;
    상기 건조 시트의 타면 측으로 액체를 제공하는 액체 제공단계;
    상기 건조 시트의 저장부에 저장된 성분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제공되도록 대기하는 대기단계;
    상기 건조 시트를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건조 시트의 사용방법.
KR1020160034662A 2016-03-23 2016-03-23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918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662A KR101918811B1 (ko) 2016-03-23 2016-03-23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662A KR101918811B1 (ko) 2016-03-23 2016-03-23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368A KR20170110368A (ko) 2017-10-11
KR101918811B1 true KR101918811B1 (ko) 2018-11-27

Family

ID=6013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662A KR101918811B1 (ko) 2016-03-23 2016-03-23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8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9241A (ja) * 2005-12-26 2007-07-05 Tsukioka:Kk 化粧パック
JP2015151394A (ja) * 2014-02-17 2015-08-24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9241A (ja) * 2005-12-26 2007-07-05 Tsukioka:Kk 化粧パック
JP2015151394A (ja) * 2014-02-17 2015-08-24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368A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19957T2 (de) Pflaster, Anordnung bestehend aus einem Pflaster und einem Behälter, und Verfahren
ES2157731B1 (es) Preparacion farmaceutica oral de un compuesto de actividad antifungica y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on.
RU2015101029A (ru) Гемостатические устройства
KR102001009B1 (ko) 피부부착형 패치
WO2015007212A1 (zh) 一种立体无纺布
PE20010409A1 (es) Aplicador semicerrado que utiliza un material, en lamina activable selectivamente para distribuir y dispersar una sustancia sobre la superficie de un objeto a tratar
AR017229A1 (es) Un producto de tisu suave que tiene dos o mas estratos y un metodo para hacer dicho producto
KR102009451B1 (ko) 미용 시트
JP2005533903A5 (ko)
KR20170024544A (ko)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918811B1 (ko) 드라이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FR3048680A3 (fr) Plateau de masque facial
AR026970A1 (es) Una composicion que comprende un agente de fijacion del tenido y proceso para tratar telas
AR009327A1 (es) Un material permeable de control de flujo de liquido
EP1373460A1 (en) Fabric cleaning
CN204484819U (zh) 透气保湿的面膜结构
WO2019140905A1 (zh) 一种表面呈梳状造型的新型吸收体及其制备方法
US6196743B1 (en) Sun tan applicator and container
KR20160003814U (ko) 문양이 인쇄된 화장용 마스크
KR101704743B1 (ko) 건식 미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878451B1 (ko) 약물전달기능을 갖는 언더웨어
KR101900900B1 (ko) 고형 세정제
JPS5939941Y2 (ja) 化粧用塗布具
KR20180065568A (ko) 마스크 팩형 클렌징 시트
CN215779213U (zh) 一种引导液体加速流动和提高吸液效果的芯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