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988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988A
KR20220025988A KR1020200106325A KR20200106325A KR20220025988A KR 20220025988 A KR20220025988 A KR 20220025988A KR 1020200106325 A KR1020200106325 A KR 1020200106325A KR 20200106325 A KR20200106325 A KR 20200106325A KR 20220025988 A KR20220025988 A KR 2022002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opening
power tailgat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6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5988A/ko
Priority to US17/145,671 priority patent/US20220056752A1/en
Priority to CN202110259184.3A priority patent/CN114086853A/zh
Publication of KR2022002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devices carried by persons or objects, e.g. magnet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6Speed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05Y2400/664Wireless transmission by radio w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2Acou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ight emitting diodes [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때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파워 테일 게이트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여러 개의 도어가 구비된다. 대부분의 도어는 차량(100)의 측면에 마련되며, 탑승객이 승차/하차하는데 이용된다. 세단형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후방에는 트렁크 도어가 마련되지만, SUV(Sports Utility Vehicle)나 RV(Recreation Vehicle), 밴(Van)에는 차량의 후방에는 테일 게이트라고 불리는 도어가 마련된다. 테일 게이트를 구비한 차량의 경우, 사용자는 테일 게이트를 손으로 직접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파워 테일 게이트의 경우에는 원격 제어기의 조작 또는 휴대만으로도 파워 테일 게이트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단, 파워 테일 게이트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때, 차량의 후방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으면 열리거나 닫히는 파워 테일 게이트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접촉 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때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욱 감소시키거나 또는 더욱 증가시킨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욱 감소시키거나 또는 더욱 증가시킨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시각적 표현 수단 또는 청각적 표현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시각적 표현 수단을 통한 표시는, 상기 차량의 등화류의 점등과 소등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고; 상기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청각적 표현 수단을 통한 표시는, 상기 차량의 스피커 또는 경적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타인이 존재할 때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거나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열고 닫음을 중단한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타인의 존재의 검출은 상기 차량의 후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검출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초광대역 통신 모듈과 상기 차량 사이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욱 감소시키거나 또는 더욱 증가시킨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욱 감소시키거나 또는 더욱 증가시킨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시각적 표현 수단 또는 청각적 표현 수단을 통해 표시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시각적 표현 수단을 통한 표시는, 상기 차량의 등화류의 점등과 소등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고; 상기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청각적 표현 수단을 통한 표시는, 상기 차량의 스피커 또는 경적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타인이 존재할 때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거나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열고 닫음을 중단한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타인의 존재의 검출은 상기 차량의 후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차량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검출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초광대역 통신 모듈과 상기 차량 사이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 제어 방법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과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초광대역 통신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주변에서 상기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은,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초광대역 통신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주변에서 상기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때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열리거나 닫히는 파워 테일 게이트와 사용자가 접촉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용자 위치 검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직관적 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의 동작 인식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에 타인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에는 여러 개의 도어가 구비된다. 대부분의 도어는 차량(100)의 측면에 마련되며, 탑승객이 승차/하차하는데 이용된다. 세단형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후방에는 트렁크 도어가 마련되지만, SUV(Sports Utility Vehicle)나 RV(Recreation Vehicle), 밴(Van)에는 차량의 후방에는 테일 게이트라고 불리는 도어가 마련된다. 도 1에 나타낸 차량(100)은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마련된 SUV이다. 테일 게이트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파워 테일 게이트(102)는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다. 파워 테일 게이트(102)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이나 차량(100)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에 의한 사용자 감지에 응답하여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열리고 닫힌다. 이를 위해 파워 테일 게이트(102)는 래치와 액추에이터, 모터 등의 구동 요소들을 포함한다.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은, 차량(100)의 원격 제어기(일명 스마트 키)(106)에 마련되어 있는 버튼을 조작하여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워 테일 게이트(102)를 열거나 닫고자 할 때,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격 제어기(106)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은, 사용자가 차량(100)의 원격 제어기(106)를 휴대한 채 차량(100)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차량(100)에 마련되어 있는 검출 수단이 통신을 통해 원격 제어기(106)의 접근을 검출하고, 이 검출에 응답하여 제어부(도 3의 310)가 파워 테일 게이트(102)를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는 방법이다.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열린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106)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1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밖으로 벗어나면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량(100)의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힘에 있어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고 닫히는 속도(동작 속도)가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 즉,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때 그 동작 속도가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속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사용자 위치 검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에는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통신용 안테나(210)가 마련된다. 초광대역 통신용 안테나(210)는 사용자(250)가 휴대하고 있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초광대역 통신 모듈은, 차량용 원격 제어기(106)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그 밖의 초광대역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여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통신을 통해, 차량(100)은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한 사용자(25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250)의 위치를 측정한 결과로부터 차량(100)과 사용자(250) 사이의 상대 거리는 물론, 사용자(250)의 이동 방향 등도 판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광대역 통신 기술의 통신 기능과 레이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의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202, 204, 206은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설정 구간(또는 범위)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한 사용자(250)의 위치가 차량(100)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에 따라(즉, 상대 거리에 따라) 차량(100)의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까운 구간(근접)(202)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미리 설정된 느린 속도로 제어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먼 구간(안전)(206)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미리 설정된 빠른 속도로 제어한다. 만약 사용자(250)가 가까운 구간(202)과 먼 구간(206)의 중간 구간(주변)(204)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느린 속도와 빠른 속도 사이의 중간 속도로 제어한다. 여기서 '느린 속도'와 '빠른 속도'는 상대적인 것으로서, 사용자(250)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미리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속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10)의 입력 측에는 초광대역 통신부(320)와 후방 초음파 센서(33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초광대역 통신부(320)는 초광대역 모듈과의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초광대역 통신부(320)에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 있는 초광대역 통신용 안테나(210)가 포함된다.
후방 초음파 센서(330)는 주차 보조 시스템(Parking Assistance System)을 위한 센서로서, 차량(100)의 후방 범퍼에 설치되어 차량(100)의 주차 시 차량(100)의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또는 사람)과 차량(100)의 후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차량(100)의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또는 사람)과 차량(100)의 후면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안으로 도달하면 차량(100) 내부에서 경보음이 발생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와 같은 후방 초음파 센서(330)를 이용하면 초광대역 통신 모듈(예를 들면 원격 제어기(106))의 휴대 여부와 무관하게 차량(100)의 후방에 위치한 사람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10)의 출력 측에는 차량(100)의 파워 테일 게이트(102)와 램프(라이트)(340), 스피커(35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래치와 액추에이터, 모터 등이 구동된다. 램프(라이트)(340)는 차량(100)에 마련되는 시각적 표현 수단의 일례로서, 전조등과 후미등, 안개등, 주간 주행등(Daytime Running Light), 실내등, 제동등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등화류일 수 있다. 스피커(350)는 차량(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청각적 표현 수단으로서, 스피커 또는 경적(Warning Horn)일 수 있다.
초광대역(UWB) 통신 기술은 초고속 데이터 통신은 물론 레이더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초광대역 통신 기술의 초고속 데이터 통신은, 차량(100)으로부터 멀지 않은 거리에서 차량(100)을 향해 접근하는 사용자(250)를 탐지하여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초광대역 통신 기술을 적용한 레이더는 날씨와 같은 환경의 영향을 노이즈 필터링을 통해 효과적으로 걸러내서 탐지 대상(예를 들면 사용자(250))의 위치(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도 3(B)는 초광대역 통신 기술의 신호 분할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용 데이터와 레이더용 데이터를 시분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10)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의 하나인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를 수신한다(402).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는, 사용자(250)가 원격 제어기(106)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이거나, 또는 사용자(250)가 휴대한 원격 제어기(106)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위치(또는 거리)를 측정한다(406). 사용자(250)의 위치(거리)는, 엄밀하게는 사용자(250)가 휴대한 초광대역 통신 모듈(예를 들면 원격 제어기(106))의 위치(거리)이다. 거리는 차량(100)으로부터의 거리이다.
사용자(250)의 위치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위치가 속한 구간을 판별한다(410). 예를 들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도 2에 나타낸 가까운 구간(202)과 중간 구간(204), 먼 구간(206) 가운데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를 판별한다.
사용자(250)가 위치한 구간의 판별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판별된 구간에 대응하도록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제어한다(418).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까운 구간(202)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미리 설정된 느린 속도로 제어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먼 구간(206)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미리 설정된 빠른 속도로 제어한다. 만약 사용자(250)가 가까운 구간(202)과 먼 구간(206)의 중간 구간(204)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느린 속도와 빠른 속도 사이의 중간 속도로 제어한다.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가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 제어를 종료한다(422의 '예'). 반대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10)는 사용자 위치 측정 단계(406)로 복귀하여 이하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422의 '아니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차량(100)과 사용자(25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직관적 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의 제어와 함께,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현재의 구동 속도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으로서, 등화류의 점등과 소리의 음량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250)가 위치한 구간에 따라 램프(라이트)(340)의 점등 상태에 차등을 두어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까운 구간(근접)(202)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램프(라이트)(340)를 빠른 속도로 점멸함으로써 사용자(250)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중간 구간(주변)(204)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램프(라이트)(340)를 보통 속도로 점멸함으로써 사용자(250)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먼 구간(안전)(206)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램프(라이트)(340)를 점등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250)가 안전한 위치에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또는, 사용자(250)가 위치한 구간에 따라 램프(라이트)(340)의 점등 색상에 차등을 두어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까운 구간(근접)(202)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램프(라이트)(340)를 적색으로 점등함으로써 사용자(250)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중간 구간(주변)(204)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램프(라이트)(340)를 황색으로 점등함으로써 사용자(250)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먼 구간(안전)(206)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램프(라이트)(340)를 백색으로 점등함으로써 사용자(250)가 안전한 위치에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또는, 사용자(250)가 위치한 구간에 따라 소리의 음량에 차등을 두어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까운 구간(근접)(202)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스피커(350)를 통해 큰 음량의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250)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중간 구간(주변)(204)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스피커(350)를 통해 중간 음량의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250)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먼 구간(안전)(206)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스피커(350)를 통해 작은 음량의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250)가 안전한 위치에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은 램프의 점등 형태나 점등 색상, 또는 경고음의 음량을 통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구동 속도의 표시는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10)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의 하나인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를 수신한다(602).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는, 사용자(250)가 원격 제어기(106)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이거나, 또는 사용자(250)가 휴대한 원격 제어기(106)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위치(또는 거리)를 측정한다(606). 사용자(250)의 위치(거리)는, 엄밀하게는 사용자(250)가 휴대한 초광대역 통신 모듈(예를 들면 원격 제어기(106))의 위치(거리)이다. 거리는 차량(100)으로부터의 거리이다.
사용자(250)의 위치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위치가 속한 구간을 판별한다(610). 예를 들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도 2에 나타낸 가까운 구간(202)과 중간 구간(204), 먼 구간(206) 가운데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를 판별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250)가 위치한 구간이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속도 조절 대상 범위에 속하는지 아니면 속도 조절 범위에서 벗어나는지도 판단한다. '속도 조절 범위'는 사용자(250)의 최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에 매우 가까운 영역으로서, 이 사용자(250)가 '속도 조절 범위' 밖에 위치한 경우에만 도 6에 나타낸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속도 제어를 수행한다. 사용자(250)가 속도 조절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더욱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초광대역 통신부(320)의 통신 기능과 레이더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위치 측정을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기준 속도와 비교한다(614). 즉, 제어부(310)는 서로 다른 두 지점 사이에서 사용자(250)가 이동한 시간(Tm)을 통해 사용자(25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측정한 이동 시간(Tm)을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Ts)과 비교한다.
사용자(250)가 위치한 구간의 판별, 그리고 사용자(250)의 이동 시간(Tm)과 기준 시간(Ts)의 비교가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이동 시간의 비교 결과에 대응하도록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제어한다(618).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까운 구간(202)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미리 설정된 느린 속도로 제어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먼 구간(206)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미리 설정된 빠른 속도로 제어한다. 만약 사용자(250)가 가까운 구간(202)과 먼 구간(206)의 중간 구간(204)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느린 속도와 빠른 속도 사이의 중간 속도로 제어한다.만약, 사용자(250)의 이동 시간(Tm)이 기준 시간(Ts)보다 크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 빠르게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250)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와 달리, 만약, 사용자(250)의 이동 시간(Tm)과 기준 시간(Ts)이 동일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 미리 정해진 일반적인 속도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미리 정해진 속도로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달리, 만약, 사용자(250)의 이동 시간(Tm)이 기준 시간(Ts)보다 작으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 비교적 느리게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 느리게 접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250)가 파워 테일 게이트(102)로부터 충분히 멀리 있다고 판단하고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증가시켜서 빠르게 열거나 닫는다.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가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 제어를 종료한다(622의 '예'). 반대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10)는 사용자 위치 측정 단계(406)로 복귀하여 이하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622의 '아니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차량(100)에 대한 사용자(250)의 이동 시간(속도)에 따라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10)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의 하나인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를 수신한다(702).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는, 사용자(250)가 원격 제어기(106)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이거나, 또는 사용자(250)가 휴대한 원격 제어기(106)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위치(또는 거리)를 측정한다(706). 사용자(250)의 위치(거리)는, 엄밀하게는 사용자(250)가 휴대한 초광대역 통신 모듈(예를 들면 원격 제어기(106))의 위치(거리)이다. 거리는 차량(100)으로부터의 거리이다.
사용자(250)의 위치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위치가 속한 구간을 판별한다(710). 예를 들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도 2에 나타낸 가까운 구간(202)과 중간 구간(204), 먼 구간(206) 가운데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를 판별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동작을 인식한다(714). 여기서 사용자(250)의 동작은 사용자(250)의 이동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가 차량(100)을 향해 접근하면서 직선 또는 직선에 가까운 궤적으로 이동하는지, 아니면 좌 또는 우로 방향을 바꾸면서 이동하는지를 인식한다.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동작 인식의 결과를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속도를 제어하는데 이용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250)의 동작 인식을 위해 초광대역 통신부(320)의 통신 기능과 레이더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250)가 위치한 구간의 판별, 그리고 사용자(250)의 동작 인식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동작 인식 결과에 대응하도록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제어한다(718).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차량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의 동작 인식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참조 부호 802는, 사용자(250)가 직진하는 중간에 우측-좌측의 순서로 방향을 전환하였다가 다시 직진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 제어부(310)는, 미리 약속된 대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감소시킨다. 도 8의 참조 부호 804는, 사용자(250)가 직진하는 중간에 좌측-우측의 순서로 방향을 전환하였다가 다시 직진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 제어부(310)는, 미리 약속된 대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250)의 동작 인식의 또 다른 양태로서, 도 8의 8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250)가 직진하는 중간에 좌측-우측-좌측의 순서로 더욱 복합적인 동작을 통해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더욱 빠르게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8의 참조 부호 802, 804, 806에 나타낸 동작은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차량(100)의 제조사에서 미리 정한 약속된 것일 수 있다. 이 약속에 따른 사용자(250)의 동작과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구동 속도의 제어는 도 8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양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로 돌아와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가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 제어를 종료한다(722의 '예'). 반대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10)는 사용자 위치 측정 단계(406)로 복귀하여 이하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722의 '아니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차량(100)에 대한 사용자(250)의 이동 시간(속도)에 따라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10)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의 하나인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를 수신한다(902).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는, 사용자(250)가 원격 제어기(106)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이거나, 또는 사용자(250)가 휴대한 원격 제어기(106)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통신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원격 제어기(106)에서 발생하는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위치(또는 거리)를 측정하고, 또 차량(100)의 후방에 타인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906). 예를 들면, 파워 테일 게이트 개폐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파워 테일 게이트(102)가 구동할 때(열리거나 또는 닫힐 때) 후방 초음파 센서(330)가 활성화되어 차량(100)의 후방에 타인이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250)의 위치(거리)는, 엄밀하게는 사용자(250)가 휴대한 초광대역 통신 모듈(예를 들면 원격 제어기(106))의 위치(거리)이다. 거리는 차량(100)으로부터의 거리이다. 타인은 사용자(250)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서, 특히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하지 않은 사람일 수 있다. 타인은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하지 않은 사람이므로,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확인하기보다는 후방 초음파 센서(330)를 이용하여 타인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사용자(250)의 위치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위치가 속한 구간을 판별한다(910). 예를 들면, 제어부(310)는 사용자(250)의 도 2에 나타낸 가까운 구간(202)과 중간 구간(204), 먼 구간(206) 가운데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를 판별한다.
사용자(250)가 위치한 구간의 판별이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판별된 구간에 대응하도록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제어한다(918). 예를 들면,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가까운 구간(202)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미리 설정된 느린 속도로 제어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250)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먼 구간(206)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미리 설정된 빠른 속도로 제어한다. 만약 사용자(250)가 가까운 구간(202)과 먼 구간(206)의 중간 구간(204)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느린 속도와 빠른 속도 사이의 중간 속도로 제어한다.
다만,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구동 속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차량(100)의 후방에 타인이 존재하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후방에 타인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록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100)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있더라도, 차량(100)의 후방에 타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구동에 의해 파워 테일 게이트(102)와 타인(1050)이 충돌할 수 있으므로, 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구동을 중지하거나 또는 구동 속도를 충분히 느리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9의 918 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250)가 위치한 구간에 대응하도록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제어하되, 차량(100) 후방의 타인의 존재 여부를 추가로 고려하여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구동을 중지하거나 또는 구동 속도를 충분히 느리게 제어할 수 있다.
도 9로 돌아가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가 완료되면 제어부(310)는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 제어를 종료한다(922의 '예'). 반대로,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개폐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10)는 사용자 위치 측정 단계(406)로 복귀하여 이하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922의 '아니오').
이와 같은 제어를 통해, 차량(100)과 사용자(25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파워 테일 게이트(102)의 열리는 속도 또는 닫히는 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위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
102 : 파워 테일 게이트
106 : 원격 제어기(초광대역 통신 모듈)
202, 204, 206 : (사용자 위치 구분을 위한) 설정 구간(범위)
210 : 초광대역 통신용 안테나
250 :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한) 사용자
310 : 제어부
320 : 초광대역 통신부
330 : 후방 초음파 센서
340 : 램프(라이트)
350 : 스피커(경적)
802, 804, 806 : 사용자 이동 궤적
1050 :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하지 않은) 타인

Claims (20)

  1.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욱 감소시키거나 또는 더욱 증가시키는 차량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욱 감소시키거나 또는 더욱 증가시키는 차량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시각적 표현 수단 또는 청각적 표현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시각적 표현 수단을 통한 표시는, 상기 차량의 등화류의 점등과 소등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고;
    상기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청각적 표현 수단을 통한 표시는, 상기 차량의 스피커 또는 경적을 통해 표현하는 것인 차량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타인이 존재할 때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거나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열고 닫음을 중단하는 차량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인의 존재의 검출은 상기 차량의 후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차량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검출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초광대역 통신 모듈과 상기 차량 사이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차량 제어 방법.
  10.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하는 차량.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욱 감소시키거나 또는 더욱 증가시키는 차량.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욱 감소시키거나 또는 더욱 증가시키는 차량.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시각적 표현 수단 또는 청각적 표현 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차량.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시각적 표현 수단을 통한 표시는, 상기 차량의 등화류의 점등과 소등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고;
    상기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청각적 표현 수단을 통한 표시는, 상기 차량의 스피커 또는 경적을 통해 표현하는 것인 차량.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후방에 상기 타인이 존재할 때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거나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열고 닫음을 중단하는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인의 존재의 검출은 상기 차량의 후방 감지 센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차량.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 검출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한 초광대역 통신 모듈과 상기 차량 사이의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차량.
  19.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과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초광대역 통신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주변에서 상기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20.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초광대역 통신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초광대역 통신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차량의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고 닫기 위한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주변에서 상기 초광대역 통신 모듈을 휴대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개폐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를 열거나 닫을 때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느리게 제어하고, 상기 차량과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파워 테일 게이트의 여는 속도 또는 닫는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200106325A 2020-08-24 2020-08-2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25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325A KR20220025988A (ko) 2020-08-24 2020-08-2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7/145,671 US20220056752A1 (en) 2020-08-24 2021-01-11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ail gate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202110259184.3A CN114086853A (zh) 2020-08-24 2021-03-10 车辆的电动尾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325A KR20220025988A (ko) 2020-08-24 2020-08-2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988A true KR20220025988A (ko) 2022-03-04

Family

ID=8026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325A KR20220025988A (ko) 2020-08-24 2020-08-2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56752A1 (ko)
KR (1) KR20220025988A (ko)
CN (1) CN1140868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1269B2 (en) * 2019-02-01 2022-06-28 Kiekert Ag Activation device for at least two spatially separated motor vehicle closure units
US20230212904A1 (en) * 2022-01-04 2023-07-06 Akash Ladha Touchless Frunk Release and Directional Frunk Sensor Array System
CN115075683B (zh) * 2022-06-30 2023-05-1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后电尾门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366842A (zh) * 2022-08-15 2022-11-22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汽车脚踢行李箱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3483A (en) * 1995-02-06 1996-10-08 Chrysler Corporation Control function-power operated lift gate
US6768944B2 (en) * 2002-04-09 2004-07-27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US8695564B2 (en) * 2010-02-04 2014-04-15 Dalhousie University Toroidal engine
KR20130066347A (ko) * 2011-12-12 2013-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테일게이트의 최대 오픈량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150279131A1 (en) * 2014-03-28 2015-10-0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Key fob and smartdevice gestures for vehicle functions
US20170154482A1 (en) * 2015-11-27 2017-06-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ftgate and garage door synchronization
US10386937B2 (en) * 2017-05-08 2019-08-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oreign object detection systems and control logic for vehicle compartment closure assemblies
JP2019007213A (ja) * 2017-06-23 2019-01-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バックドア開閉装置
JP7256447B2 (ja) * 2019-03-15 2023-04-12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86853A (zh) 2022-02-25
US20220056752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5988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8116366B (zh) 用于提供至少一个车门的无需用手操作的系统和方法
CN109606252B (zh) 一种汽车氛围灯的控制系统及方法
US7586402B2 (en) Process and device for avoiding collision while opening vehicle doors
CN112384407B (zh) 包括开门报警系统的车辆
CN103707833A (zh) 车辆周界探测系统
TW201416268A (zh) 車輛警示方法以及使用該方法的車輛警示系統
CN114439346B (zh) 一种车辆后备箱控制方法及系统
US10818294B2 (en) Voice activation using a laser listener
US10183618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vehicle
CN104340129A (zh) 车辆的侧梯的操作装置和操作控制方法
US10597927B2 (en) Back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1747818B1 (ko) 지능형 차량경보 장치 및 그 방법
CN110406468A (zh) 一种智能车门开启预警方法及系统
JP6564280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の降車警告装置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45591A (ko) Avm을 이용한 차량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50949B2 (ja) 車両施錠装置
CN115675279A (zh) 车门开启防撞预警方法、电子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4537310A (zh) 门控制装置
JP6829059B2 (ja) ドア開閉装置
JP6626282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の降車検知装置
US20230243200A1 (en) Vehicle door safety system
TWI592322B (zh) 車輛車門開啓警示系統以及車輛車門開啓警示方法
CN210212211U (zh) 开关车门的安全检测装置及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