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936A - 용기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936A
KR20220024936A KR1020227002502A KR20227002502A KR20220024936A KR 20220024936 A KR20220024936 A KR 20220024936A KR 1020227002502 A KR1020227002502 A KR 1020227002502A KR 20227002502 A KR20227002502 A KR 20227002502A KR 20220024936 A KR20220024936 A KR 2022002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container
star foil
air
s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998B1 (ko
Inventor
융둬 케이
히로히사 후꾸다
구니따까 아사노
다다히로 가따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산교 세이교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산교 세이교 솔루션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산교 세이교 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22002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7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0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properties of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rigidity, leaks, fill-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8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suction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피검체(101)가 반송되는 반송면(201)의 상부에 배치되고, 외주에 피검체(101)를 수용하는 수용부(110)가 복수 형성된 스타 호일(60)과, 반송면(201)으로부터 하측에 배치되고, 스타 호일(6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220)과, 회전축(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230)와, 스타 호일(60) 및 회전축(220)의 내부를 관통하고, 회전축(220)과 수용부(110)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60a, 60b, 220a, 220b)과, 회전축(220)의 주위에 고정되고, 통기 구멍(60a, 60b, 220a, 220b)에, 피검체(101)를 수용부(110)에 흡착시키는(sucking) 흡착력(suction force)을 발생시키는 에어 커플링(24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용기 선별 장치
본 발명은, 용기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앰플, 바이알, 시린지 등의 용기를, 화상 처리 장치(검사 장치)에 의해 이물 검사나 외관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는 용기 선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용기를 보유 지지하는 홈(수용부)과 스타 호일 저면을 연결하는 진공관로가 형성되고, 진공관로가 스타 호일 저면과 밀접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밸브 플레이트와 접속되고, 밸브 플레이트를 진공원에 연결시킴으로써, 용기를 보유 지지하고, 용기의 양부를 선별하는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4-308122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홈(수용부)에 용기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시키기 위해, 스타 호일과 밸브 플레이트를 밀접하게 미끄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스타 호일의 굴곡 등을 흡수하기 위해 밸브 플레이트측에 어져스터블한 기구를 마련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고, 반송면과 밸브 플레이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그러나, 용기 파손 시 등에 밸브 플레이트와 반송면의 간극으로부터 용기 파편이나 용기 내용물이 장치 내부에 낙하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용기 내용물 등의 이물이 장치 내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 용기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면 상에 배치되고, 외주에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복수 형성된 스타 호일과, 상기 스타 호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와, 상기 스타 호일 및 상기 회전축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수용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고정되고, 상기 연통로에, 상기 용기를 상기 수용부에 흡착시키는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용기 흡착력 발생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내용물 등의 이물이 장치 내부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 용기 선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를 구비한 용기 주입액 제품 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용기 주입액 제품 검사 장치에 있어서 피검체가 반송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스타 호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회전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스타 호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스타 호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를 구비한 용기 주입액 제품 검사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주입액 제품은 앰플, 바이알, 시린지 등의 용기에 넣어진 약액 제품이라고 하고, 이하, 검사 대상의 약액이 넣어진 용기를, 단순히, 피검체라고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주입액 제품 검사 장치(100)는, 검사 로터(10),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 검사 제어 장치(30), 투입 피검체 반송 장치(40), 피검체 공급용 스타 호일(50), 피검체 분별용 스타 호일(60), 피검체 회귀용 스타 호일(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피검체 분별용 스타 호일(6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용기 선별 장치의 선별 기구가 적용되어 있다.
도 2는, 용기 주입액 제품 검사 장치의 주요부에 있어서 피검체가 반송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 로터(10)는 원판 또는 원통의 주연부에 피검체(101)를 보유 지지하는 복수의 피검체 보유 지지부(102)가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사 로터(10)는 원판 또는 원통의 중심을 축에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피검체(101)를, 예를 들어, 도시 시계 회전 방향으로 반송한다. 또한, 검사 로터(10)는 원환상의 반송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송로가 순환 형상으로, 피검체 보유 지지부(102)가 그 순환 형상의 반송로 상에 등간격으로 마련되고, 그 순환 형상의 반송로 상을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면, 어떤 형태의 것이어도 된다.
도 1로 되돌아가,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는 검사 로터(10)의 외주부 근방의 검사 로터(10)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피검체 보유 지지부(102)(도 2 참조)에 보유 지지된 피검체(101)(도 2 참조)가 그 전방면을 통과할 때, 그 피검체(101)의 외관 화상을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의해 취득한다. 이 취득한 외관 화상을 사용하여, 피검체(101)에 있어서의 액 내의 이물 및 용기의 외관 불량 등을 검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가 검사 로터(10)의 외주부의 복수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도 1의 예에서는, IM1 내지 IM4의 4개의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가 마련되어 있음). 각각의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는 피검체(101)의 각각 다른 상태의 외관 화상을 취득하고, 그 불량을 검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는 검사 로터(10)의 외주부에 마련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검사 로터(10)의 내주부에 마련해도 된다.
검사 제어 장치(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기억 장치를 적어도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사 제어 장치(30)는 각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로부터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각 피검체(101)가 양품 또는 불량품의 어느 것일지를 판별한다. 또한, 검사 제어 장치(30)는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로부터 검사 결과가 얻어지지 않은 피검체(101)에 대해서는, 미검사품으로서 판정한다.
또한, 불량품은, 외관 불량품, 이물 불량품 등과 같이, 더욱 세분화하여 분별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량품은, 외관 불량품과 이물 불량품으로 세분화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검사 제어 장치(30)는, 각 피검체(101)에 대해서, 양품, 불량품 또는 미검사품으로 분별한 분별 정보를, 기억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해 둠과 함께, 피검체 분별용 스타 호일(60)에 통지한다.
투입 피검체 반송 장치(40)는 피검체 투입부(41)로부터 투입된 피검체(101)를 검사 로터(10)의 쪽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이며, 공급 컨베이어(42), 공급 스크루(43) 등에 의해 구성된다. 공급 컨베이어(42)는 벨트식의 컨베이어 등으로 구성되고, 피검체 투입부(41)로부터 피검체(101)를 반출하고, 반송하고, 반송한 피검체(101)를 공급 스크루(43)로 전달한다.
공급 스크루(43)는, 소위 웜 스크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검체(101)는 웜 스크루의 홈에 끼워지고, 웜 스크루가 회전하는 데 수반하여 반송된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42)가 피검체(101)를 공급 스크루(43)에 전달하는 공급 컨베이어(42)측의 부분에는, 제1 반송 억제 게이트(421)(도 2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피검체 공급용 스타 호일(50)은 투입 피검체 반송 장치(40)의 공급 스크루(43)로부터 피검체(101)를 수취하고, 그 수취한 피검체(101)를 검사 로터(10)의 위치까지 반송하고, 검사 로터(10)의 피검체 보유 지지부(102)에 전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체 공급용 스타 호일(50)은 3개의 스타 호일 SS1 내지 SS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타 호일이란, 도 2에 도시한 스타 호일 SS1 내지 SS3과 같이, 그 주연부에 수용부(110)를 갖는 원형 기어상의 반송 장치를 말한다. 즉, 스타 호일은, 그 원형 기어상의 톱니 홈 부분에 피검체(101)를 수용한다. 피검체(101)는, 그 스타 호일의 회전과 함께, 스타 호일의 외연부를 반송로로서 반송된다. 또한, 스타 호일에 있어서, 피검체(101)가 반송되는 반송로 부분에는, 피검체(101)가 수용부(110)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가이드(120)가 마련되어 있다.
피검체 분별용 스타 호일(60)은 검사 로터(10)로부터 배출되는 피검체(101)를 수취하고, 그 수취한 피검체(101)를 검사 제어 장치(30)(도 1 참조)로부터 통지되는 그 피검체(101)에 대한 분별 정보에 기초하여, 양품, 외관 불량품, 이물 불량품 및 미검사품 중 어느 것으로 분별하여 배출한다.
피검체 분별용 스타 호일(60)은 5개의 스타 호일 CS1 내지 CS5에 의해 구성된다. 스타 호일 CS1은, 검사 로터(10)로부터 배출되는 피검체(101)를 수취하고, 그 피검체(101)가 스타 호일 CS2와의 분기점에 이르렀을 때, 검사 제어 장치(30)로부터 통지된 분별 정보에 기초하여, 그 피검체(101)가 양품, 불량품 및 미검사품 중 어느 것일지를 판정하고, 미검사품이었던 경우에는, 그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S2에 전달한다. 한편, 그 피검체(101)가 미검사품이 아니었던 경우에는, 스타 호일 CS1이 그 피검체(101)를 보유 지지한 상태로 회전을 계속한다.
또한, 스타 호일 CS1에 있어서의 분기점이란, 각각의 스타 호일 CS1, CS2의 외연부에 마련된 반송로가 최접근하는 위치를 말하고, 그 분기점에는, 피검체(101)를 어느 반송로에 반송할지를 선택하는 분기 기구(선별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 분기 기구에서는, 분기시키는 조건에 따라서, 예를 들어 공기 등을 분출시킴으로써, 한쪽의 수용부(110)에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흡인력을 발생시킨 측의 수용부(110)에 피검체(101)를 이동시킨다.
마찬가지로, 스타 호일 CS1은, 검사 제어 장치(30)로부터의 분별 정보에 기초하여, 스타 호일 CS3과의 분기점에서는, 그 피검체(101)가 외관 불량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외관 불량품이었던 경우에는, 그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S3에 전달한다. 또한, 스타 호일 CS1은, 검사 제어 장치(30)로부터의 분별 정보에 기초하여, 스타 호일 CS4와의 분기점에서는, 그 피검체(101)가 이물 불량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물 불량품이었던 경우에는, 그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S4에 전달한다.
또한, 스타 호일 CS1은, 스타 호일 CS5와의 분기점에서는, 반송되어 온 피검체(101)를 모두 양품으로서 스타 호일 CS5에 전달한다. 스타 호일 CS5는, 그 수취한 피검체(101)를 양품 컨베이어(61)에 전달한다. 양품 컨베이어(61)는 그 피검체(101)를 다음 공정에 반송한다.
또한, 스타 호일 CS3은, 스타 호일 CS1로부터 수취한 피검체(101)를 외관 불량품으로서, 외관 불량품 트레이(62)에 배출한다. 마찬가지로, 스타 호일 CS4는, 스타 호일 CS1로부터 수취한 피검체(101)를 이물 불량품으로서, 이물 불량품 트레이(63)에 배출한다.
또한, 스타 호일 CS2는, 스타 호일 CS1로부터 수취한 피검체(101)를 미검사품으로서, 피검체 회귀용 스타 호일(70(RS1))에 전달한다. 또한, 피검체 회귀용 스타 호일(70)은 그 수취한 피검체(101)를 피검체 공급용 스타 호일(50(SS2))에 전달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체 회귀용 스타 호일(70)을 마련한 것에 의해, 미검사품의 피검체(101)는 피검체 공급용 스타 호일(50)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검사 로터(10)에 다시 반송되고,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에 의해 다시 검사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피검체(101))를 분기시키는 분기점, 즉, 스타 호일 CS1 내지 CS4에 용기 선별 장치가 적용되어 있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선별 장치(200)는 스타 호일(60)과, 회전축(220)과, 베어링부(230)와, 에어 커플링(용기 흡착력 발생 부재)(24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타 호일(60)은,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한 스타 호일 CS1 내지 CS4에 대응한다.
스타 호일(60)은 용기 선별 장치(200)의 수평한 반송면(20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타 호일(60)은 반송면(201)으로부터 상방에 약간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또한, 스타 호일(60)은 외주연에 있어서 피검체(101)를 보유 지지하여, 피검체(101)의 저면이 반송면(201) 상을 미끄럼 이동하면서 반송된다.
회전축(220)은 반송면(201)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상단부면에 스타 호일(60)이 고정되어 있다. 스타 호일(60)의 회전 중심의 상부에는, 스타 호일(60)을 회전축(220)에 착탈할 때에 조작되는 핸들(13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타 호일(60)과 회전축(220) 사이에는, 위치 결정용의 핀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타 호일(60)은 회전축(220)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20)은 반송면(201)이 형성되는 반송대(20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20)에는, 회전 동력을 회전축(220)에 전달하는 전달축(221)이 동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달축(221)의 외경은, 회전축(220)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달축(221)은 도시하지 않은 풀리를 개재하여 전동기(250)와 접속되어 있다.
베어링부(230)는 회전축(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베이스 부재(231)와, 베어링(스러스트 베어링)(232, 23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31)는, 대략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원환상의 플랜지부(2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231a)는 반송면(20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231a)에 볼트(234)가 삽입 관통되고, 반송대(202)에 비틀어 넣어짐으로써, 베이스 부재(231)가 반송대(202)에 체결되어 있다. 베어링(232, 233)은 베이스 부재(231)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스타 호일(60)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 구멍(연통 구멍)(6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60a)은 일단부가 수용부(110)까지 연장되고, 타단부가 스타 호일(60)의 회전 중심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기 구멍(60a)의 타단부는, 회전축(220)과 축방향(연직 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스타 호일(60)에는, 통기 구멍(60a)의 타단부와 연통하고, 축방향(연직 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통기 구멍(6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60b)의 하단부는, 스타 호일(60)의 하면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기 구멍(60a, 60b)은 스타 호일(6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220)에는, 축방향 Ax로 연장되는 통기 구멍(2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220a)의 상단부(일단부)는 회전축(220)의 상단부면(220s)에 개구되어있다. 또한, 회전축(220)에는, 통기 구멍(220a)의 하단부(타단부)와 연통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기 구멍(2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기 구멍(220a, 220b)은 회전축(22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타 호일(60)은 회전축(220)에 체결하여 구성되고, 서로 밀착하고 있으므로, 스타 호일(60)의 통기 구멍(60b)과 회전축(220)의 통기 구멍(220a)과의 사이의 경계의 기밀성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즉, 통기 구멍(60b)과 통기 구멍(220a)의 경계에서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에어 커플링(240)은 회전축(220)의 통기 구멍(220b)으로부터 에어(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며, 반송대(20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 커플링(240)은 회전축(220)을 둘러싸도록 대략 환상(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 커플링(240)은 볼트(270)를 개재하여 반송대(20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회전하고 있는 부재(회전축(220))에, 외측에 고정된 에어 커플링(240)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반송대(202)의 두께는, 회전축(220)의 축방향 Ax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스타 호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 호일(60)은 원반의 외주연부에 8개의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수용부(110)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하는 수용부(110)와는 수를 다르게 한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
스타 호일(60)은 각 수용부(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경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기 구멍(60a)이 형성되어 있다. 각 통기 구멍(60a)의 길이는,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0)의 오목형의 벽면에는, 통기 구멍(60a)의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1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60a)은 내경측의 단부가 통기 구멍(60b)과 연통하고 있다. 또한, 분출구(110a)는 개구 면적이 안쪽측보다도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커플링(240)은 원호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보유 지지부(241, 242)를 갖고, 보유 지지부(241, 242)의 단부(일단부)끼리가 힌지(24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부(241, 242)를 개폐함으로써, 보유 지지부(241, 242)를 회전축(220)에 달라붙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 242)는 반원호보다도 둘레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부(241, 242)에서 회전축(220)을 끼워 넣었을 때, 보유 지지부(241, 242)가 둘레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 242)의 단부(타단부)에는,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245)이 걸쳐져 있다. 보유 지지부(241)의 단부에는, 코일 스프링(245)의 일단부가 걸리는 걸림부(246)가 형성되고, 보유 지지부(242)의 단부에는, 코일 스프링(245)의 타단부가 걸리는 걸림부(247)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부(241, 242)를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시켜서, 보유 지지부(241, 242)의 내주면(241t, 242t)을 회전축(220)의 외주면(220t)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 242)에는, 축방향 Ax(도 3 참조)에 관통하는 긴 구멍(241a, 242a)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241a, 242a)은, 대략 직경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241a, 242a)에는, 볼트(270)가 삽입 관통되고, 반송대(202)(도 3 참조)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241a, 242a)으로 함으로써, 보유 지지부(241, 242)의 내주면(241t, 242t)과 회전축(220)의 밀착 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의 내주면(241t)에는, 긴 홈(24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홈(248)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에는, 긴 홈(248)이 형성되는 위치에, 공기(에어)를 도입하는 튜브(260)가 접속되어 있다. 튜브(260)는 긴 홈(248)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튜브(260)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원(예를 들어, 펌프)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긴 홈(248)은 어느 하나의 통기 구멍(220b)과 연통되도록 둘레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주면(241t, 242t)의 전체가 회전축(220)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예를 들어, 내주면(241t, 242t)의 긴 홈(248)과는 다른 위치에, 홈을 복수 형성하여, 보유 지지부(241, 242)와 회전축(220)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회전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에서는, 에어 커플링(240)의 일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20)에는, 축방향 Ax로 연장되는 통기 구멍(220a)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220a)의 상단부는, 개구되어 형성되고, 스타 호일(60)에 형성된 통기 구멍(60b)(도 4 참조)과 접속된다.
또한, 회전축(220)에는, 통기 구멍(220a)의 하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통기 구멍(220b)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220b)은 45°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220b)은 회전축(220)의 외주면에 개구(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기 선별 장치(200)(도 3 참조)에서는, 튜브(26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긴 홈(248)을 통하여, 회전축(220)의 통기 구멍(220b)에 도입된다. 통기 구멍(220b)에 도입된 공기는, 축방향 Ax로 연장되는 통기 구멍(220a)을 상승하고, 스타 호일(60)의 통기 구멍(60b)(도 4 참조)에 도입된다. 통기 구멍(60b)에 도입된 공기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 구멍(60a)(도 4 참조)을 통해,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도 4 참조)로부터 분출한다. 수용부(110)에 피검체(101)(도 3 참조)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면,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피검체(101)를 공기가 분출되어 있는 측의 수용부(110)에 흡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60)의 수용부(110)에 흡착한 상태에서 피검체(101)를 반송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달측의 스타 호일과 수취측의 스타 호일의 직경을 각각 동일하게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는, 2개의 용기 선별 장치(200)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용기 선별 장치(200)는 스타 호일(60)에,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용기 선별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한쪽(도시 좌측)의 스타 호일(60)을 스타 호일 A로 하고, 다른 쪽(도시 우측)의 스타 호일(60)을 스타 호일 B로서 설명한다.
스타 호일 A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타 호일 B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스타 호일 A, B는, 서로의 수용부(110)가 합쳐지도록, 동기하여 회전한다. 또한, 스타 호일 A, B는, 분기 개시점 P에 있어서,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와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가 가장 접근하여, 수용부(110, 110)에서 피검체(101A(101))의 주위 전체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타 호일 A의 피검체(101)의 도입측(입구측)에는, 가이드(120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120a(120))는 스타 호일 A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고, 수용부(110)로부터 피검체(101)가 튀어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타 호일 A, B의 피검체(101)의 도출측(출구측, 배출측)에는, 가이드(120b, 120c, 120d(120))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120b)는 스타 호일 A의 외주면 및 스타 호일 B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고,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120c)는 피검체(101)를 가이드(120b)와 함께 스타 호일 A로부터 루트 A에 안내하는 원호 형상을 갖고 있다. 가이드(120d)는 피검체(101)를 가이드(120b)와 함께 스타 호일 B로부터 루트 B에 안내하는 원호 형상을 갖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에 있어서, 피검체(101A(101))가 루트 A에 배출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피검체(101A)가 스타 호일 A와 스타 호일 B에서 끼워진 위치 a1일 때, 스타 호일 A의 피검체(101A)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B의 피검체(101A)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대응하는 통기 구멍(220b)(도 5 참조)이 긴 홈(248)(도 5 참조)에 대향했을 때, 튜브(260)(도 5 참조)로부터 긴 홈(248)에 공기가 도입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통기 구멍(220b, 220a)(도 6 참조)을 통하여, 스타 호일 A의 통기 구멍(60b)에 도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통기 구멍(60a)을 통하여, 대응하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피검체(101A)가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에 흡착된다. 그리고, 분기가 종료되는 위치 a2까지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된다. 이것은, 에어 커플링(240)에 둘레 방향으로 긴 홈(248)(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피검체(101A)가 위치 a1로부터 위치 a2까지의 사이(범위 a에 있어서), 공기가 계속해서 분출되는 것에 의한다.
또한, 반대로, 피검체(101A(101))가 루트 B에 배출되는 경우에는, 피검체(101A)가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와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에서 끼워진 위치 b1일 때,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대응하는 통기 구멍(220b)(도 5 참조)이 긴 홈(248)(도 5 참조)에 대향했을 때, 튜브(260)(도 5 참조)로부터 긴 홈(248)에 공기가 도입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통기 구멍(220b, 220a)(도 6 참조)을 통하여, 스타 호일 B의 통기 구멍(60b)에 도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통기 구멍(60a)을 통하여, 대응하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피검체(101A)가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에 흡착된다. 그리고, 분기가 종료되는 위치 b2까지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를 분출한다. 이것은, 에어 커플링(240)에 둘레 방향으로 긴 홈(248)(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피검체(101A)가 위치 b1로부터 위치 b2까지의 사이(범위 b에 있어서) 공기가 계속해서 토출되는 것에 의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숫자는, 용기 번호이며, 예를 들어, 용기 번호 1은, 1개째의 피검체(101)를 나타내고(도 7의 피검체(101A) 참조), 용기 번호 2는, 2개째의 피검체(101)를 나타내고 있다(도 7의 피검체(101B) 참조). 이하에서는, 용기 번호 2, 3, 5는, 루트 A에 배출되는 피검체(101)이며, 용기 번호 1, 4, 6은, 루트 B에 배출되는 피검체(101)이다. 또한, 횡축은, 스타 호일 A, B의 회전각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부호 101A로 나타내는 피검체를 1개째, 부호 101B로 나타내는 피검체를 2개째, 부호 101C로 나타내는 피검체를 3개째로 한다. 또한, 4개째 이후의 피검체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1개째의 피검체(101A)의 위치를 회전각 0°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번호 1(1개째)의 피검체(101A)(도 7 참조)는 위치 b1로부터 위치 b2까지(범위 b에 있어서) 반송되는 사이,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에어 분출), 스타 호일 A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에어 정지). 이에 의해, 용기 번호 1의 피검체(101A)는 위치 b2에 이르기(분기 종료)까지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용기 번호 1의 피검체(101A)는 위치 b2(회전각 45°)를 통과하면, 스타 호일 B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피검체(101)를 흡착하는 흡착력이 정지된다. 그리고, 피검체(101A)는 가이드(120b)와 가이드(120d)에 의해 루트 B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1에 이어지는 용기 번호 2(2개째)의 피검체(101B)(도 7 참조)는 0°로부터 45° 회전 후, 스타 호일 B의 에어 분출의 정지와 동시에,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된다. 용기 번호 2의 피검체(101B)는 위치 a1로부터 위치 a2까지(범위 a에 있어서) 반송되는 사이, 스타 호일 A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스타 호일 B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 번호 2의 피검체(101B)는 위치 a2(분기 종료)까지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위치 a2(회전각 90°)를 통과하면, 용기 번호 2의 피검체(101B)를 수용부(110)에 흡착하는 흡착력은 정지한다. 그리고, 피검체(101B)는 가이드(120b)와 가이드(120c)에 의해 루트 A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2에 이어지는 용기 번호 3(3개째)의 피검체(101C)(도 7 참조)는 0°로부터 90° 회전 후, 스타 호일 A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B의 에어 분출을 정지한다. 용기 번호 3의 피검체(101C)는 위치 a1로부터 위치 a1까지(범위 a에 있어서) 반송되는 사이, 스타 호일 A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스타 호일 B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 번호 3의 피검체(101C)는 위치 a2(분기 종료)까지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위치 a2(회전각 135°)를 통과하면, 용기 번호 3의 피검체(101C)를 수용부(110)에 흡착하는 흡착력은 정지한다. 그리고, 피검체(101C)는 가이드(120b)와 가이드(120c)에 의해 루트 A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4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1의 피검체(101A)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B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5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2, 3의 피검체(101B, 101C)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A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6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1, 4의 피검체(101A, 101)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B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스타 호일 A를 구비한 용기 선별 장치(200)와 스타 호일 B를 구비한 용기 선별 장치(200)를 각 피검체 화상 검사 장치(20)로부터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피검체(101)의 양부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용기 주입액 제품 검사 장치(100)에 있어서,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S1에 그대로 보유 지지시키거나, 스타 호일 CS3에 분기시켜서, 외관 불량품 트레이(62)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S1에 그대로 보유 지지시키거나, 스타 호일 CS4에 분기시켜서, 이물 불량품 트레이(63)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S1에 그대로 보유 지지시키거나,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S2에 분기시켜서, 피검체 회귀용 스타 호일(70)로 되돌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200)는, 피검체(101)가 반송되는 반송면(201) 상에 배치되고, 외주에 피검체(101)를 수용하는 수용부(110)가 복수 형성된 스타 호일(60)과, 스타 호일(6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20)과, 회전축(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230)와, 회전축(220)의 주위에 고정되고, 통기 구멍(60a, 60b, 220a, 220b)에, 피검체(101)를 수용부(110)에 흡착시키는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에어 커플링(240)을 구비한다(도 3 참조). 이에 의하면, 반송면(201)에, 어져스터블 기구를 구비한 밸브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이 불필요해지므로, 용기 파손 시 등에 밸브 플레이트와 반송면(201)의 간극으로부터 용기 파편이나 용기 내용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커플링(240)은 한 쌍의 원호상의 보유 지지부(241, 242)와, 보유 지지부(241, 242)의 일단부끼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243)와, 보유 지지부(241, 242)의 타단부끼리를 연결하고, 당해 보유 지지부(241, 242)를 회전축(220)의 외주면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스프링(245)을 구비한다(도 5 참조). 이에 의하면, 보유 지지부(241, 242)를 회전축(220)의 외주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회전축(220)을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하고 있는 회전축(220)의 통기 구멍(60a, 60b, 220a, 220b)에 공기가 누설되는 일 없이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부(241)의 내주면(241t)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긴 홈(248)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분기 개시 위치(a1, b1)로부터 분기 완료 위치(a2, b2)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공기의 공급을 계속 할 수 있다(도 7 참조). 그 결과, 분기 완료까지, 스타 호일(60)의 수용부(110)에 피검체(101)를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커플링(240)은 반송면(201)이 형성된 반송대(202)에 고정되어 있다(도 3 참조). 이에 의하면, 에어 커플링(24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부(230)가 베어링(232, 233)을 지지하는 원통상의 베이스 부재(231)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231)의 상단부에는, 당해 베이스 부재(231)를 반송면(201)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231a)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31a)는 반송면(201)으로부터 상방(스타 호일(60))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피검체(101)가 파손되어 약액이 흘러 나왔다고 해도, 플랜지부(231a)로부터 회전축(220)측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선별 장치(200A)는 피검체(101)(용기)가 반송되는 반송면(201) 상에 배치되고, 외주에 피검체(101)를 수용하는 수용부(110)가 복수 형성된 스타 호일(60C)과, 스타 호일(60C)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20A)과, 회전축(220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230)와, 수용부(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커플링(240A)(에어 블록, 에어 커플링)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타 호일(60C)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 구멍(60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60c)은 일단부가 수용부(110)까지 연장되고, 타단부가 스타 호일(60C)의 회전 중심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기 구멍(60c)의 타단부는, 회전축(220A)과 축방향(연직 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스타 호일(60C)에는, 통기 구멍(60c)의 타단부와 연통하고, 축방향(연직 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통기 구멍(60d)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60d)의 하단부는, 스타 호일(60C)의 저면에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기 구멍(60c, 60d)은 스타 호일(60C)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220A)에는, 회전축(220A)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 구멍(220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220c)의 상단부(일단부)는 회전축(220A)의 상단부면(220s)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20A)에는, 통기 구멍(220c)의 하단부(타단부)와 연통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기 구멍(220d)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기 구멍(220c, 220d)은 회전축(220A)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에어 커플링(240A)은 회전축(220A)의 통기 구멍(220d)에 공기(에어)를 공급하는 것이며, 반송대(202)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에어 커플링(240A)은 회전축(220A)을 둘러싸도록 대략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 커플링(240A)은 볼트(270)를 개재하여 반송대(20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대(202)의 두께는, 회전축(220A)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스타 호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 호일(60C)은 원반의 외주연부에 16개의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0)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22.5도마다)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타 호일(60C)은 각 수용부(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경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기 구멍(60c)이 형성되어 있다. 각 통기 구멍(60c)은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통기 구멍(60c)은 외경측의 일단부가 수용부(110)의 벽면에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1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60c)은 내경측의 타단부가 통기 구멍(60d)과 연통되도록, 스타 호일(60C)의 회전 중심 O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11은, 도 9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커플링(240A)은 원호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보유 지지부(241A, 242A)가 힌지(24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부(241A, 242A)를 회전축(220A)에 달라붙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A)의 내주면(241t)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긴 홈(248a, 248b)이 형성되어 있다. 긴 홈(248a, 248b)은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A)에는, 긴 홈(248a)이 형성되는 위치에, 공기(기체)를 도입하는 튜브(260A)가 마련되고, 튜브(260A)와 긴 홈(248a)이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A)에는, 긴 홈(248b)이 형성되는 위치에, 공기를 도입하는 튜브(260B)가 마련되고, 튜브(260B)와 긴 홈(248b)이 연통되어 있다. 또한, 긴 홈(248a, 248b)은 어느 하나의 통기 구멍(220d)과 연통되도록 둘레 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선별 장치는, 용기 선별 장치(200A)와, 용기 선별 장치(200, 200)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하나의 스타 호일(60C)에 대하여 스타 호일(60, 60)에 의해, 2군데의 배출 루트(분기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스타 호일(60C)을 스타 호일 C로 하고, 스타 호일(60, 60)을 스타 호일 A, B로서 설명한다.
또한, 용기 선별 장치에 있어서, 반송면(201)(도 9 참조) 상에는, 스타 호일 C의 입구측(피검체(101)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스타 호일 C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의 가이드(120e)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120e)는 스타 호일 C의 수용부(110)로부터 피검체(101)가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반송면(201) 상에는, 스타 호일 C의 출구측(피검체(101)의 흐름 방향 의 하류측)에, 스타 호일 C, A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의 가이드(120f)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통기 구멍(220c, 220d)(도 11 참조) 및 통기 구멍(60c, 60d)을 개재하여 스타 호일 C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에 보유 지지시킨 상태에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로부터 스타 호일 A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반송면(201) 상에는, 가이드(120f)와 함께 스타 호일 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피검체(101)를 안내하는 가이드(120g)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검체(101)를 배출 루트 A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반송면(201) 상에는, 스타 호일 C의 출구측에, 스타 호일 B, C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의 가이드(120h)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스타 호일 C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에 보유 지지시킨 상태에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로부터 에어를 분출함으로써,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C로부터 스타 호일 B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반송면(201) 상에는, 가이드(120h)와 함께 스타 호일 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피검체(101)를 안내하는 가이드(120i)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검체(101)를 배출 루트 B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반송면(201) 상에는, 가이드(120h)와 함께 스타 호일 C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피검체(101)를 안내하는 가이드(120j)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검체(101)를 배출 루트 C에 배출할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피검체(101A(101))를 스타 호일 C에 보유 지지하는 경우에는, 피검체(101A)가 스타 호일 C와 스타 호일 A로 둘러싸인 위치 c1일 때, 스타 호일 C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즉, 대응하는 통기 구멍(220d)(도 11 참조)이 긴 홈(248a)(도 11 참조)에 대향했을 때, 튜브(260A)(도 11 참조)로부터 긴 홈(248a)에 공기가 도입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통기 구멍(220d, 220c)을 통하여, 스타 호일 C의 통기 구멍(60d)에 도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대응하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분출하고, 피검체(101A)가 스타 호일 C의 수용부(110)에 흡착된다. 그리고, 분기가 종료되는 위치 c2까지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된다.
또한, 피검체(101A(101))를 루트 A에 배출하는 경우에는, 피검체(101A)가 스타 호일 A와 스타 호일 C로 둘러싸인 위치 d1일 때,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C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공기가, 통기 구멍(220b, 220a)(도 3 참조)을 통하여, 스타 호일 A의 통기 구멍(60b, 60a)에 도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대응하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피검체(101A)가 스타 호일 A의 수용부(110)에 흡착된다. 그리고, 분기가 종료되는 위치 d2까지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된다.
또한, 피검체(101B(101))를 스타 호일 C에 보유 지지하는 경우에는, 피검체(101B)가 스타 호일 C와 스타 호일 B로 둘러싸인 위치 e1일 때, 스타 호일 C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즉, 대응하는 통기 구멍(220d)(도 11 참조)이 긴 홈(248b)(도 11 참조)에 대향했을 때, 튜브(260B)(도 11 참조)로부터 긴 홈(248b)에 공기가 도입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통기 구멍(220d, 220c)(도 11 참조)을 통하여, 스타 호일 C의 통기 구멍(60d, 60c)에 도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대응하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분출하고, 피검체(101B)가 스타 호일 C의 수용부(110)에 흡착된다. 그리고, 분기가 종료되는 위치 e2까지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된다.
또한, 피검체(101B(101))를 루트 B에 배출하는 경우에는, 피검체(101B)가 스타 호일 B와 스타 호일 C로 둘러싸인 위치 f1일 때,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C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공기가, 통기 구멍(220b, 220a)(도 3 참조)을 통하여, 스타 호일 B의 통기 구멍(60b, 60a)에 도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대응하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분출하고, 피검체(101B)가 스타 호일 B의 수용부(110)에 흡착된다. 그리고, 분기가 종료되는 위치 f2까지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가 분출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커플링(240A)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긴 홈(긴 홈(248a, 248b))이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에 의하면, 하나의 스타 호일 C에 대하여 복수의 선별부(분기부)를 마련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선별 장치(200B)는 피검체(101)(용기)가 반송되는 반송면(201) 상에 배치되고, 외주에 피검체(101)를 수용하는 수용부(110)가 복수 형성된 스타 호일(60D)과, 스타 호일(60D)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220B)을 구비한다. 또한, 용기 선별 장치(200B)는 스타 호일(60D) 및 회전축(220B)의 내부를 관통하고, 회전축(220B)과 수용부(110)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220e, 220f, 220g, 220h, 60e, 60f, 60g, 60h)(통기 구멍(60g)은 도 14 참조)을 구비한다. 또한, 용기 선별 장치(200B)는 회전축(220B)의 주위에 고정되고, 통기 구멍(220e, 220f, 220g, 220h, 60e, 60f, 60g, 60h)에, 피검체(101)를 수용부(110)에 흡착시키는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에어 커플링(240B)(용기 흡착부 발생 부재)을 구비한다.
통기 구멍(220e, 220g)은 회전축(220B)의 축방향 Ax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220e)은 통기 구멍(220g)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통기 구멍(220e)은 통기 구멍(220g)보다도 짧게 형성되고, 통기 구멍(220e)의 하단부가 통기 구멍(220g)의 하단부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타 호일(60D)에는, 통기 구멍(220e)과 연통하는 통기 구멍(60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타 호일(60D)은 통기 구멍(220g)과 연통하는 통기 구멍(60h)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스타 호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 호일(60D)은 원반의 외주연부에 16개의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0)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22.5도마다)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타 호일(60D)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 구멍(60e, 60g)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60e)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60g)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60e, 60g)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고, 전체로서,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22.5°마다)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60e)은 일단부가 수용부(110)까지 연장되고, 타단부가 통기 구멍(60f)에 접속되어 있다. 통기 구멍(60g)은 일단부가 수용부(110)까지 연장되고, 타단부가 통기 구멍(60h)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60e)이 접속되는 수용부(110)의 벽면에는,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110b)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60g)이 접속되는 수용부(110)의 벽면에는,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1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60g)의 타단부(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는 통기 구멍(60e)의 타단부(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보다도 회전 중심 O측에 위치하고 있다.
통기 구멍(60e, 60g)의 타단부는, 회전축(220B)(도 13 참조)과 축방향(연직 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도 13 참조). 또한, 스타 호일(60D)에는, 통기 구멍(60e, 60g)의 타단부와 연통하고, 축방향(연직 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통기 구멍(60f, 60h)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 구멍(60f, 60h)의 하단부는, 스타 호일(60D)의 저면에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기 구멍(60e, 60f, 60g, 60h)은 스타 호일(60D)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에어 커플링(240B)은 회전축(220B)의 통기 구멍(220e, 220g)에 공기(에어)를 공급하는 것이며, 반송대(202)(도 13 참조)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에어 커플링(240B)은 회전축(220B)을 둘러싸도록 대략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 커플링(240B)은 볼트(270)를 개재하여 반송대(20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대(202)의 두께는, 회전축(220B)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도 1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커플링(240B)은 원호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보유 지지부(241B, 242B)가 힌지(24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부(241B, 242B)를 회전축(220B)에 달라붙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B)의 내주면(241t)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긴 홈(24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홈(248c)은 통기 구멍(220f)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B)에는 긴 홈(248c)이 형성되는 위치에, 공기(에어)를 도입하는 튜브(260C)가 마련되고, 튜브(260C)와 긴 홈(248c)이 연통되어 있다. 긴 홈(248c)을 마련함으로써, 회전축(220B)이 회전하는 소정 구간, 통기 구멍(220f)에 연속해서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 16은, 도 1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부(241B)의 내주면(241t)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긴 홈(248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홈(248d)은 상기한 긴 홈(248c)보다도 축방향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긴 홈(248d)은 통기 구멍(220h)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부(241B)에는 긴 홈(248d)이 형성되는 위치에, 공기를 도입하는 튜브(260D)가 마련되고, 튜브(260D)와 긴 홈(248d)이 연통되어 있다. 긴 홈(248d)을 마련함으로써, 회전축(220B)이 회전하는 소정 구간, 통기 구멍(220h)에 연속해서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것은, 용기 선별 장치는, 용기 선별 장치(200B, 200B)가 조합되어 구성되고, 1군데의 선별부에 의해, 배출 루트 A, B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한쪽(도시 좌측)의 스타 호일(60D)을 스타 호일 D로 하고, 다른 한쪽(도시 우측)의 스타 호일(60D)을 스타 호일 E로서 설명한다.
반송면(201)(도 13 참조) 상에는, 스타 호일 D의 입구측에, 스타 호일 D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의 가이드(120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반송면(201) 상에는, 스타 호일 D, E의 출구측에, 스타 호일 D, E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의 가이드(120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반송면(201) 상에는, 스타 호일 D의 루트 A측에, 가이드(120b)와 함께, 스타 호일 D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피검체(101)를 안내하는 가이드(120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반송면(201) 상에는, 스타 호일 E의 루트 B측에 가이드(120b)와 함께, 스타 호일 E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피검체(101)를 안내하는 가이드(120d)가 마련되어 있다.
피검체(101C(101))를 루트 A에 배출하는 경우에는, 피검체(101C(101))가 스타 호일 D, E로 둘러싸인 위치 g1일 때, 스타 호일 D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b)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E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b)로부터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즉, 대응하는 통기 구멍(220h)(도 16 참조)이 긴 홈(248d)(도 16 참조)에 대향했을 때, 튜브(260D)(도 16 참조)로부터 긴 홈(248d)에 공기가 도입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통기 구멍(220h, 220g)을 통하여, 스타 호일 D의 통기 구멍(60h, 60g)에 도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대응하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c)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피검체(101C)가 스타 호일 D의 수용부(110)에 흡착된다. 그리고, 분기가 종료되는 위치 g2까지 분출구(110d)로부터 공기가 토출된다. 이것은, 에어 커플링(240B)에 둘레 방향으로 긴 긴 홈(248d)(도 16 참조)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피검체(101)가 위치 d1로부터 위치 d2까지(범위 d에 있어서) 공기가 계속해서 분출되는 것에 의한다.
또한, 피검체(101C(101))를 루트 B에 배출하는 경우에는, 피검체(101C)가 스타 호일 D, E로 둘러싸인 위치 h1일 때, 스타 호일 E의 수용부(110)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D의 수용부(110)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즉, 대응하는 통기 구멍(220h)(도 16 참조)이 긴 홈(248d)(도 16 참조)에 대향했을 때, 튜브(260D)(도 16 참조)로부터 긴 홈(248d)에 공기가 도입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통기 구멍(220h, 220g)을 통하여, 스타 호일 E의 통기 구멍(60h, 60g)에 도입된다. 그리고, 공기는, 대응하는 수용부(110)의 분출구(110c)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피검체(101C)가 스타 호일 E의 수용부(110)에 흡착된다. 그리고, 분기가 종료되는 위치 h2까지 분출구(110c)로부터 공기가 토출된다. 이것은, 에어 커플링(240B)에 둘레 방향으로 긴 긴 홈(248d)(도 16 참조)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피검체(101)가 위치 h1로부터 위치 h2까지(범위 h에 있어서) 공기가 계속해서 토출되는 것에 의한다.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의 용기 선별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숫자는, 도 8과 마찬가지로 용기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횡축은, 스타 호일의 회전각을 나타낸다. 도 17에 있어서, 부호 101C로 나타내는 피검체를 1개째(용기 번호 1)로 하고, 이때의 회전각을 0°로 한다. 1개째의 피검체(101C)에 이어지는 피검체(101)를 2개째(용기 번호 2)로 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번호 1의 피검체(101)는 위치 h1로부터 위치 h2까지(범위 h에 있어서) 반송되는 사이, 스타 호일 E의 분출구(110c)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D의 분출구(110c)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 번호 1의 피검체(101C)는 위치 h1로부터 위치 h2에 이르기(분기 종료)까지 스타 호일 E의 수용부(110)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반송된다. 그리고, 용기 번호 1의 피검체(101)는 위치 h2(회전각 45°)를 통과하면, 스타 호일 E의 분출구(110c)로부터의 에어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피검체(101C)를 흡착하는 흡착력이 정지된다. 그 후, 피검체(101)는 가이드(120b)와 가이드(120d)에 의해 루트 B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1에 이어지는 용기 번호 2의 피검체(101)는 스타 호일 E가 h1로부터 h2까지의 중간의 위치(회전각 22.5°)에 있어서, 스타 호일 E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b)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스타 호일 D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b)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이 정지된다. 용기 번호 2의 피검체(101)는 위치 h1로부터 위치 h2까지(범위 h에 있어서) 반송되는 사이, 스타 호일 E의 분출구(110b)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스타 호일 D의 분출구(110b)로부터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 번호 2의 피검체(101)는 위치 h2(분기 종료)까지 스타 호일 E의 수용부(110)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반송된다. 그리고, 위치 h2(회전각 67.5°)를 통과하면, 용기 번호 2의 피검체(101)를 수용부(110)에 흡착하는 흡착력은 정지한다. 그리고, 피검체(101)는 가이드(120b)와 가이드(120c)에 의해 루트 B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1개째의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E에 흡착하고 있는 사이에, 2개째의 피검체(101)를 스타 호일 E에 흡착할 수 있다.
용기 번호 2에 이어지는 용기 번호 3의 피검체(101)는 회전각 45°에 있어서, 스타 호일 D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c)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E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c)로부터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용기 번호 3의 피검체(101)는 위치 g1로부터 위치 g2까지(범위 g에 있어서) 반송되는 사이, 스타 호일 D의 분출구(110c)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스타 호일 E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 번호 3의 피검체(101)는 위치 g1로부터 위치 g2(분기 종료)까지 스타 호일 D의 수용부(110)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반송된다. 그리고, 위치 g2(회전각 90°)를 통과하면, 용기 번호 3의 피검체(101)를 수용부(110)에 흡착하는 흡착력은 정지한다. 그리고, 피검체(101)는 가이드(120b)와 가이드(120c)에 의해 루트 A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3에 이어지는 용기 번호 4의 피검체(101)는 회전각 67.5°에 있어서, 스타 호일 D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b)로부터 공기를 분출하고, 스타 호일 E의 수용부(110)의 분출구(110b)로부터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용기 번호 4의 피검체(101)는 위치 g1로부터 위치 g2까지(범위 g에 있어서) 반송되는 사이, 스타 호일 D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스타 호일 E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 번호 4의 피검체(101)는 위치 g2(분기 종료)까지 스타 호일 D의 수용부(110)에 보유 지지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위치 g2(회전각 112.5°)를 통과하면, 용기 번호 4의 피검체(101)를 수용부(110)에 흡착하는 흡착력은 정지한다. 그리고, 피검체(101)는 가이드(120b)와 가이드(120c)에 의해 루트 A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5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3의 피검체(101)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A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6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4의 피검체(101)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A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7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1의 피검체(101)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B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8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2의 피검체(101)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B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9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3, 5의 피검체(101)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A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10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4, 6의 피검체(101)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A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 11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7의 피검체(101)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B에 배출된다. 용기 번호(12)의 피검체(101)는 용기 번호 82의 피검체(101)와 마찬가지로 하여, 루트 B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스타 호일 D, E를 구비한 용기 선별 장치(200B)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피검체(101)를 루트 A, B에 선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커플링(240B)이 회전축(220B)의 축방향 Ax에 겹쳐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피검체(101)를 선별하고 있는 공정 중(흡인하고 있는 도중)에 있어서, 다른 피검체(101)의 선별 공정에 들어갈 수 있다. 스타 호일(60D)이 1주 하는 사이에, 많은 피검체(101)를 선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스타 호일끼리를 조합하여 용기 선별 장치를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스타 호일과 직선상의 반송로를 조합하여, 스타 호일측에만 용기 선별 장치(용기 선별 기구)를 마련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체(101)를 수용부(110)에 흡착되는 기구로서, 수용부(110)의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를 분출하여 흡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분출구(110a)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부압을 발생시켜서, 피검체(101)를 수용부(110)에 흡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60, 60C, 60D: 스타 호일
60a, 60b, 60c, 60d: 통기 구멍
101: 피검체(용기)
110: 수용부
110a, 110b, 110c: 분출구
200, 200A, 200B: 용기 선별 장치
201: 반송면
202: 반송대
220, 220A, 220B: 회전축
220a 내지 220h: 통기 구멍
230: 베어링부
231: 베이스 부재
231a: 플랜지부
232, 233: 베어링
234: 볼트
240: 에어 커플링(용기 흡착력 발생 부재)
241, 242: 보유 지지부
243: 힌지
245: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
246, 247: 걸림부
248, 248a, 248b, 248c: 긴 홈
250: 전동기
270: 볼트

Claims (8)

  1.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면 상에 배치되고, 외주에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복수 형성된 스타 호일과,
    상기 스타 호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와,
    상기 스타 호일 및 상기 회전축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수용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연통로와,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고정되고, 상기 연통로에, 상기 용기를 상기 수용부에 흡착시키는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용기 흡착력 발생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흡착력 발생 부재는, 한 쌍의 원호상의 보유 지지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의 일단부끼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보유 지지부의 타단부끼리를 연결하고, 당해 보유 지지부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선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의 내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선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흡착력 발생 부재는, 상기 반송면이 형성된 반송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선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베어링을 지지하는 원통상의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당해 베이스 부재를 상기 반송면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반송면으로부터 상기 스타 호일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선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흡착력 발생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 겹쳐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선별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긴 홈은,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선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흡착력 발생 부재는, 상기 연통로에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기체를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선별 장치.
KR1020227002502A 2019-07-31 2020-07-29 용기 선별 장치 KR102619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41804A JP7165631B2 (ja) 2019-07-31 2019-07-31 容器選別装置
JPJP-P-2019-141804 2019-07-31
PCT/JP2020/028973 WO2021020417A1 (ja) 2019-07-31 2020-07-29 容器選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936A true KR20220024936A (ko) 2022-03-03
KR102619998B1 KR102619998B1 (ko) 2024-01-03

Family

ID=7422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502A KR102619998B1 (ko) 2019-07-31 2020-07-29 용기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91829B2 (ko)
JP (1) JP7165631B2 (ko)
KR (1) KR102619998B1 (ko)
CN (1) CN114174202B (ko)
WO (1) WO202102041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8122A (ja) 1991-04-05 1992-10-30 Hitachi Ltd 容器選別装置
JPH05146757A (ja) * 1991-11-26 1993-06-15 Koei Sangyo Kk 振動篩機
JP2000024916A (ja) * 1998-07-09 2000-01-25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研磨装置およびウエハの研磨方法
JP2001010722A (ja) * 1999-06-29 2001-01-16 Kirin Techno-System Corp スターホイール装置
JP2003095430A (ja) * 2001-09-27 2003-04-03 Kirin Techno-System Corp 容器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9433A (en) * 1941-09-20 1944-10-03 Anchor Hocking Glass Corp Transferring machinery
US3563379A (en) * 1968-11-12 1971-02-16 Barry Wehmiller Co Container fill level inspection apparatus
CA1109026A (en) * 1976-11-04 1981-09-15 Fredrick L. Calhoun Vacuum starwheel classification system
TW200521050A (en) * 2003-12-23 2005-07-01 Tokyo Weld Co Ltd Work transferr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nd work transferring and transporting method
JP4608356B2 (ja) * 2005-04-15 2011-01-12 株式会社日本設計工業 搬送・仕分けシステム
JP5264049B2 (ja) * 2005-07-13 2013-08-14 株式会社オーテックメカニカル ワーク搬送装置及びワーク検査装置
US8245551B2 (en) * 2008-04-24 2012-08-21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Adjustable transfer assembly for container manufacturing process
DE102009055301A1 (de) * 2009-12-23 2011-06-30 Krones Ag, 93073 Behältertransporteur
JP5570887B2 (ja) * 2010-06-28 2014-08-13 太陽誘電株式会社 外観検査装置
JP5762074B2 (ja) * 2011-03-24 2015-08-12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容器詰め液製品検査装置および容器詰め液製品検査方法
CN102424269B (zh) * 2011-08-22 2014-03-19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瓶体分选装置
ITBO20110551A1 (it) * 2011-09-27 2013-03-28 Ima Life Srl Gruppo e metodo per pesare contenitori
CN204980324U (zh) * 2015-08-06 2016-01-20 上海东富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选择物体机构
CN207417848U (zh) * 2017-09-23 2018-05-29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防碎瓶功能的真空出料装置
CN207497885U (zh) * 2017-11-21 2018-06-15 常州迈欧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伯努利吸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8122A (ja) 1991-04-05 1992-10-30 Hitachi Ltd 容器選別装置
JPH05146757A (ja) * 1991-11-26 1993-06-15 Koei Sangyo Kk 振動篩機
JP2000024916A (ja) * 1998-07-09 2000-01-25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研磨装置およびウエハの研磨方法
JP2001010722A (ja) * 1999-06-29 2001-01-16 Kirin Techno-System Corp スターホイール装置
JP2003095430A (ja) * 2001-09-27 2003-04-03 Kirin Techno-System Corp 容器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998B1 (ko) 2024-01-03
US20220258989A1 (en) 2022-08-18
WO2021020417A1 (ja) 2021-02-04
US11691829B2 (en) 2023-07-04
CN114174202B (zh) 2023-08-29
JP7165631B2 (ja) 2022-11-04
JP2021024665A (ja) 2021-02-22
CN114174202A (zh)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4355A (ko) 강구 분류부를 구비한 강구 검사장치
JP2008008897A (ja)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KR20220024936A (ko) 용기 선별 장치
JP4848547B2 (ja) 表示検査装置
KR101390753B1 (ko) 강구를 회전 및 직선 운동시키면서 강구의 결함을 검사하는 강구 검사장치
EP3124409B1 (en) Conveyance system and system for inspecting article to be conveyed
JPH101192A (ja) 計量装置
JP2015125017A (ja) 検査装置
JP2015182820A (ja) 検査装置
WO2021020418A1 (ja) 容器搬送装置
KR20150051714A (ko) 오작동이 적고 불량 강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강구 검사장치
JP2018095458A (ja) 搬送装置
KR20220136994A (ko) 캡슐의 외관검사장치
KR101061050B1 (ko) 용기의 입구부 결함검사장치
JP3887575B2 (ja) 紙カップ漏れ検査装置
KR20160031271A (ko) 용기 자동 세척장치
JP2016217866A (ja) 容器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H0157008B2 (ko)
JPH02304337A (ja) 壜検査機
KR101760120B1 (ko) 병 충진액 검사장치
KR20150074357A (ko) 전자동 강구 검사장치
JPH0752101Y2 (ja) 小型容器選別装置
JP6116098B2 (ja) 検査装置
JP5344907B2 (ja) ビン検査装置
JP3329708B2 (ja) ワイヤシール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