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107A -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107A
KR20220023107A KR1020200104633A KR20200104633A KR20220023107A KR 20220023107 A KR20220023107 A KR 20220023107A KR 1020200104633 A KR1020200104633 A KR 1020200104633A KR 20200104633 A KR20200104633 A KR 20200104633A KR 20220023107 A KR20220023107 A KR 20220023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solution
hours
suga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690B1 (ko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프
Priority to KR102020010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6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2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easoning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생강을 세척하는 제 1 단계,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찹쌀을 세척하고 침지하는 제 3 단계,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생강액, 상기 제 4 단계에서 제조된 고두밥에 엿기름을 넣고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5 단계에서 제조된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는 제 6 단계,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추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며, 상기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3.333 중량부, 엿기름 0.1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강청 제조방법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Sugar Free Ginger Syrup and methode of manufacturing thereof Using NFC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포함하지 않고 생강을 가열하지 않는 생착즙법인 NFC 제조공법을 이용하며, 찹쌀에 비해 생강이 많이 함유되고, 엿기름이 적게 함유됨으로써, 생강의 맛과 향은 강하지만, 당화는 잘 이뤄지며,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무설탕 청에 대한 관심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 물을 넣어 착즙하여 맛이 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산물이 가라앉으므로, 소비자들이 보았을 때, 변질 또는 이물질과 같은 위생에 대한 의구심이 들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845297호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것으로, 본 발명인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은, 물을 포함하지 않고 생강을 가열하지 않는 생착즙법인 NFC 제조공법을 이용하며, 찹쌀에 비해 생강이 많이 함유되고, 엿기름이 적게 함유됨으로써, 생강의 맛과 향은 강하지만, 당화는 잘 이뤄지며,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는, 생강을 세척하는 제 1 단계,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찹쌀을 세척하고 침지하는 제 3 단계,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생강액, 상기 제 4 단계에서 제조된 고두밥에 엿기름을 넣고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5 단계에서 제조된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는 제 6 단계,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추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며, 상기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3.333 중량부, 엿기름 0.1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단계의 침지는, 8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 단계의 가열은, 65℃에서 7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7 단계의 가열은, 90℃에서 3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단계의 생강 세척 후, 생강 냉동 단계와 생강 찌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물을 포함하지 않고, 생강을 가열하지 않는 생착즙법인 NFC 제조공법에 의해 생강의 맛과 향은 강하지만, 당화는 잘 이뤄지며,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생강을 세척하는 제 1 단계(S1),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S2), 찹쌀을 세척하고 침지하는 제 3 단계(S3),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는 제 4 단계(S4), 상기 제 2 단계(S2)에서 제조된 생강액, 상기 제 4 단계(S4)에서 제조된 고두밥에 엿기름을 넣고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제 5단계(S5), 상기 5 단계(S5)에서 제조된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는 제 6 단계(S6),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추는 제 7 단계(S7)를 포함하여 진행되며, 상기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3.333 중량부, 엿기름 0.1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생강이 3.333 중량부보다 적게 함유되면, 생강 특유의 맛이 강하지 않아 소비자의 기호도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생강이 3.333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상기 생강의 함유량이 많아, 생강의 맛은 많이 나지만, 그만큼 생강 특유의 매운 맛이 강하고 생강의 향이 진해 소비자의 기호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엿기름이 0.100 중량부보다 적게 함유되면, 단맛이 적게 나면서 생강의 쓴맛이 많이 포함되어 소비자의 기호도가 낮을 수 있고, 상기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엿기름이 0.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단맛이 지나치게 포함되어 생강의 맛과 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기호도가 낮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에는 생강을 세척하는 제 1 단계(S1)가 이뤄진다. 상기 세척은, 상기 생강에 붙어있는 먼지와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S2)가 이뤄진다. 상기 착즙은, 물을 가하지 않고, 생강을 가열하지 않는 생착즙법인 NFC 제조공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강을 착즙할 때, 물을 첨가하게 되면, 생강의 맛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는 상기 착즙한 생강의 건더기들이 다음단계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찹쌀을 세척하고 침지하는 제 3 단계(S3)가 이뤄진다. 상기 세척은 상기 찹쌀에 붙어있는 먼지와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침지는 8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지가 8시간보다 적은 시간으로 이뤄지면, 찹쌀이 충분히 불려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침지가 8시간보다 많은 시간동안 이뤄지면, 찹쌀에 수분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고두밥으로 제조하기에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는 제 4 단계(S4)가 이뤄진다. 상기 고두밥의 제조는 통상의 찜통에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단계(S2)에서 제조된 생강액, 상기 제 4 단계(S4)에서 제조된 고두밥에 엿기름을 넣고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제 5 단계(S5)가 이뤄진다. 상기 제 5 단계(S5)의 가열은, 65℃에서 7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화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가열이 65℃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면, 당화온도가 낮아 고두밥 알갱이가 위로 떠오르지 않는 등 충분한 당화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생강의 쓴맛이 많이 포함되어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수 있다. 또한, 상기 당화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가열이 65℃보다 높은 온도에서 진행되면, 당화온도가 높아, 당화보다는 살짝 익는 과정으로 변화되면서, 당화의 맛과 다른 맛이 발현될 수 있고 맛이나 제형이 전체적으로 변하면서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수 있다.
또한, 상기 당화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가열이 65℃에서 7시간 보다 적은 시간동안 진행되면, 당화시간이 짧아, 고두밥 알갱이가 위로 떠오르지 않는 등 충분한 당화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생강의 쓴맛이 많이 포함되어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수 있다. 또한, 상기 당화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가열이 65℃에서 7시간보다 오랜 시간동안 진행되면, 당화시간이 길어, 당화보다는 살짝 익는 과정으로 변화되면서, 당화의 맛과 다른 맛이 발현될 수 있고 맛이나 제형이 전체적으로 변하면서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5 단계(S5)에서 제조된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는 제 6 단계(S6)가 이뤄진다. 상기 전분질과 분리는, 전분질을 포함시키지 않으므로써, 맑고 깨끗한 당화액만을 사용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추는 제 7 단계(S7)가 이뤄진다. 상기 50Brix는 청으로 제조되기에 적절한 제형이다. 상기 제 7 단계(S7)의 가열은, 90℃에서 3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7 단계(S7)의 가열이 90℃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뤄지면, 청으로의 제조 온도가 낮으므로, 묽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용해도는 좋지만, 청보다는 차에 가까운 제형으로 인해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7 단계(S7)의 가열이 90℃보다 높은 온도에서 이뤄지면, 청으로의 제조 온도가 높으므로, 끈적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용해도가 양호하지 못하여, 물에 본 발명인 무설탕 생강청이 충분히 녹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 맛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7 단계(S7)의 가열이 90℃에서 3시간보다 적은 시간동안 이뤄지면, 청으로의 제조 시간이 짧으므로, 묽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용해도는 좋지만, 청보다는 차에 가까운 제형으로 인해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상기 7 단계(S7)의 가열이 90℃에서 3시간보다 오랜 시간동안 이뤄지면, 청으로의 제조 시간이 길어, 끈적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용해도가 양호하지 못하여, 물에 본 발명인 무설탕 생강청이 충분히 녹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 맛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은, 1 단계(S1)의 생강 세척 후, 생강 냉동 단계(S8)와 생강 찌는 단계(S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동 단계(S8)는, 상기 1 단계(S1)에서 세척한 생강을 영하 20℃에서 냉동하며, 상기 찌는 단계는, 상기 냉동된 생강을 100℃의 스팀이 나오는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283m/s 속도로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찌는 단계(S9)는 상기 냉동된 생강의 내부와 외부를 일정하게 해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스팀의 온도가 100℃보다 낮으면, 냉동되었던 생강의 속과 겉이 일정하게 녹지 않아 맛이 일정하지 않아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수율 또한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의 온도가 100℃보다 높으면, 다소 높은 온도로 인해 과하게 물렁해진 생강을 착즙하므로, 수율은 높지만, 생강이 쪄지는 것 보다는 익으면서 맛이 변하고, 향도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 수 있다.
상기 냉동된 생강이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283m/s 보다 낮은 속도로 통과하게 되면, 다소 느린 속도로 스팀관을 통과하게 되어, 과하게 물렁해진 생강을 착즙하므로, 수율은 높지만, 생강이 쪄지는 것 보다는 익으면서 맛이 변하고, 향도 충분히 발현되지 않아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된 생강이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283m/s보다 빠른 속도로 통과하게 되면, 스팀관을 빠르게 통과하게 되므로, 냉동되었던 생강의 속과 겉이 일정하게 녹지 않아 맛이 일정하지 않아 소비자의 기호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수율 또한 낮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실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ㄱ) 생강 비율에 따른 관능평가 실험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100명의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
생강 2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2]
생강 35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3]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4]
생강 65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5]
생강 8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생강(g) 찹쌀(g) 엿기름(g)
실시예 1 2000 1500 150
실시예 2 3500 1500 150
실시예 3 5000 1500 150
실시예 4 6500 1500 150
실시예 5 8000 1500 150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5.2 7.4 6.2
실시예 2 6.3 9.5 7.4
실시예 3 9.5 9.5 9.7
실시예 4 8.5 6.1 7.6
실시예 5 7.1 5.5 6.1
생강 비율에 따른 관능평가 실험결과인 표 2를 통해, 실시예 3이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생강 함유량의 차이에 의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먼저,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생강의 함유량이 적어, 생강 특유의 맛이 강하지 않아, 맛에서 낮은 점수를 얻었을 수 있으며, 실시예 4와 실시예 5는, 생강의 함유량이 많아, 생강의 맛이 많이 나지만, 그만큼 생강 특유의 매운 맛이 강하고 생강의 향이 진해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하락하였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3과 같이,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은 3.333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ㄴ) 엿기름 비율에 따른 관능평가 실험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75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7]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8]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225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생강(g) 찹쌀(g) 엿기름(g)
실시예 6 5000 1500 75
실시예 7 5000 1500 150
실시예 8 5000 1500 225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6 5.5 9.5 5.4
실시예 7 9.5 9.5 9.7
실시예 8 6.2 7.5 6.4
엿기름 비율에 따른 관능평가 실험결과인 표 4를 통해, 실시예 7이 실시예 6과 실시예 8보다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엿기름의 함유량의 차이에 의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먼저, 실시예 6의 경우, 엿기름 함유량이 적어, 단맛이 많이 적게 나면서 생강의 쓴맛이 많이 났을 수 있고, 그로 인해 맛에서 확연히 적은 점수를 얻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8의 경우, 엿기름의 함유량이 많아, 단맛이 지나치게 많이 남으로써 생강의 맛과 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시예 7과 같이, 엿기름은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0.10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ㄷ) 당화온도에 따른 관능평가 실험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5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10]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11]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7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구분 당화온도(℃) 당화시간(hr)
실시예 9 55 7
실시예 10 65 7
실시예 11 75 7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9 6.4 9.5 8.4
실시예 10 9.5 9.5 9.7
실시예 11 5.7 9.5 5.8
당화온도에 따른 관능평가 실험결과인 표 6을 통해, 실시예 10이 실시예 9와 실시예 11에 비해 맛,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당화온도의 차이에 의해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실시예 9는 당화온도가 낮아서, 고두밥 알갱이가 위로 떠오르지 않는 등 충분히 당화되지 못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생강의 쓴맛이 실시예 10 보다 강하게 났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1은 당화온도가 높아서, 단맛이 강하게 났을 수 있다. 또한, 온도가 다소 높음으로 인해, 당화보다는 익음의 과정으로 변화하며, 당화의 맛과 다른 맛이 나고, 맛이나 제형이 변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하락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0과 같이, 생강청의 당화는 65℃에서 7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ㄹ) 당화시간에 따른 관능평가 실험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6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13]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14]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8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구분 당화온도(℃) 당화시간(hr)
실시예 12 65 6
실시예 13 65 7
실시예 14 65 8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2 7.4 9.5 7.9
실시예 13 9.5 9.5 9.7
실시예 14 5.6 9.5 7.5
당화시간에 따른 관능평가 실험결과인 표 8을 통해, 실시예 13이 실시예 12와 실시예 14에 비해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당화시간의 차이에 의해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실시예 12는 당화시간이 짧아서, 고두밥 알갱이가 위로 떠오르지 않는 등 충분히 당화되지 못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생강의 쓴맛이 실시예 13 보다 강하게 났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4는 당화시간이 길어서, 단맛이 강하게 났을 수 다. 또한, 온도가 다소 높음으로 인해, 당화보다는 익음의 과정으로 변화하며, 당화의 맛과 다른 맛이 나고, 맛이나 제형이 변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하락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3과 같이, 생강청의 당화는 65℃에서 7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ㅁ) 청 제조 온도에 따른 관능평가 및 용해도평가 실험
(1) 관능 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2) 용해도 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용해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진행한 것으로, 용해도평가는 본 발명인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에 해당하는 물에 무설탕 생강청을 녹인 후, 녹인 직후, 5분 후, 10분 후에 육안으로 확인하여, 건더기 많음, 건더기 있음, 건더기 약간 있음, 건더기 없음의 4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다.
[실시예 15]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8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16]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17]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10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구분 청 제조 온도 (℃)
실시예 15 80
실시예 16 90
실시예 17 100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물에 녹인
직후
5분 후 10분 후
실시예 15 8.6 9.5 5.4 건더기 없음 건더기 없음 건더기 없음
실시예 16 9.5 9.5 9.7 건더기 약간
있음
건더기 없음 건더기 없음
실시예 17 6.6 9.5 7.5 건더기 있음 건더기 있음 건더기 있음
청 제조 온도에 따른 관능평가 및 용해도평가 실험결과인 표 10을 통해, 실시예 16이 실시예 15와 실시예 17에 비해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7의 경우, 건더기가 10분이 지난 후에도 없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청 제조 온도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5는 온도가 낮아서, 묽은 제형으로 제조되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용해도는 좋지만, 청보다는 차의 개념으로 제조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현저히 낮은 점수를 얻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17은 청 제조 온도가 높아, 끈적한 제형으로 무설탕 생강청이 제조되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물에 충분히 용해되지 못해 연한 맛이 형성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6과 같이, 청으로 제조하기 위한 가열공정은 90℃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ㅂ) 청 제조 시간에 따른 관능평가 및 용해도평가 실험
(1) 관능 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2) 용해도 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용해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진행한 것으로, 용해도평가는 본 발명인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에 해당하는 물에 무설탕 생강청을 녹인 후, 녹인 직후, 5분 후, 10분 후에 육안으로 확인하여, 건더기 많음, 건더기 있음, 건더기 약간 있음, 건더기 없음의 4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다.
[실시예 18]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2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19]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20]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4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구분 청 제조 시간(hr)
실시예 18 2
실시예 19 3
실시예 20 4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물에 녹인
직후
5분 후 10분 후
실시예 18 8.1 8.4 5.4 건더기 없음 건더기 없음 건더기 없음
실시예 19 9.5 9.5 9.7 건더기 약간
있음
건더기 없음 건더기 없음
실시예 20 6.1 8.5 7.4 건더기 있음 건더기 있음 건더기 있음
청 제조 시간에 따른 관능평가 및 용해도평가 실험결과인 표 12를 통해, 실시예 19가 실시예 18과 실시예 20에 비해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0은 건더기가 10분이 지난 후에도 없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청 제조 시간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8은 청 제조 시간이 짧아서, 묽은 제형으로 제조되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용해도는 좋지만, 청보다는 차의 개념으로 제조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현저히 낮은 점수를 얻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20은 청 제조 온도가 높아, 끈적한 제형으로 무설탕 생강청이 제조되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물에 충분히 용해되지 못해 연한 맛이 형성되어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낮은 점수를 얻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9와 같이, 청으로 제조하기 위한 가열공정은 90℃에서 3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ㅅ) 물 첨가에 따른 관능평가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22]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여,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고두밥에 물 3000g,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90℃에서 3시간 한번 더 가열하여 50Brix의 조청으로 만든 후, 상기 조청에 상기 생강액을 1:1 비율로 교반하여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구분 생강 찹쌀 엿기름
실시예 21 5000g 1500g 150g X
실시예 22 5000g 1500g 150g 3000g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21 9.5 9.5 9.7
실시예 22 5.4 6.5 5.4
물 첨가에 따른 관능평가 실험결과인 표 14를 통해, 실시예 21이 실시예 22보다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 점수가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물 첨가에 의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실시예 22의 경우,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만큼, 생강의 맛과 향이 많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낮은 값을 가졌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1과 같이, 물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ㅇ) 스팀 온도에 따른 관능평가 및 수율평가 실험
(1)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2) 수율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인 무설탕 생강청의 수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된 것으로, 수율은 (생강착즙액의 무게)/(착즙 전 생강의 무게)*100 으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23]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24]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 영하 20℃에서 냉동하고, 냉동한 생강을 50℃의 스팀이 나오는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283m/s 속도로 통과시킨 뒤,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25]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 영하 20℃에서 냉동하고, 냉동한 생강을 100℃의 스팀이 나오는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283m/s 속도로 통과시킨 뒤,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26]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 영하 20℃에서 냉동하고, 냉동한 생강을 150℃의 스팀이 나오는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283m/s 속도로 통과시킨 뒤,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27]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 영하 20℃에서 냉동하고, 냉동한 생강을 200℃의 스팀이 나오는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283m/s 속도로 통과시킨 뒤,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구분 스팀 온도 (℃)
실시예 23 X
실시예 24 50
실시예 25 100
실시예 26 150
실시예 27 200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수율(%)
실시예 23 9.5 9.5 9.7 60
실시예 24 8.4 9.5 8.4 65
실시예 25 9.5 9.5 9.7 75
실시예 26 6.4 6.8 6.6 82
실시예 27 4.0 5.5 4.4 85
스팀 온도에 따른 관능평가 및 수율평가 실험결과인 표 16을 통해, 실시예 23, 실시예 25가 실시예 24, 실시예 26, 실시예 27 비해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생강의 냉동, 스팀과정의 유무 차이 및 생강의 냉동 후 스팀과정에서 스팀의 온도 차이에 의해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3은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는 좋지만, 생강 냉동 및 스팀과정이 없으므로, 단단한 생생강을 착즙해야하여 수율이 낮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4는, 냉동 후 스팀과정을 거칠 때 50℃의 스팀, 즉 다소 낮은 스팀 온도로 인해, 냉동되었던 생강의 속과 겉이 일정하게 녹지 않아 맛이 일정하지 않아 낮은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 점수를 얻었을 수 있고, 생강이 충분히 녹지 않아 수율 또한 낮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5는 냉동 후 스팀과정을 거칠 때, 100℃의 스팀을 이용함으로써, 적절한 맛과 향, 수율을 보존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실시예 26, 실시예 27의 경우, 냉동 후 스팀과정을 거칠 때, 150℃, 200℃의 스팀을 이용함으로써, 다소 높은 온도로 인해 과하게 물렁해진 생강을 착즙하므로 수율은 높지만, 생강이 쪄지는것 보다는, 익으면서 맛이 변하고, 향도 충분하지 못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율을 최대로 착즙하려면, 실시예 25와 같이, 냉동 후 스팀과정은 스팀의 온도 100℃가 바람직하다.
(ㅈ) 스팀관 통과 속도에 따른 관능평가 및 수율평가 실험
(1) 관능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무설탕 생강청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검사원으로서의 적합성이 인정된 식품공학과 대학원생을 본 실험의 목적에 적합한 훈련을 시킨 후에 관능평가를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2) 수율평가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인 무설탕 생강청의 수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된 것으로, 수율은 (생강착즙액의 무게)/(착즙 전 생강의 무게)*100 으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28]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 영하 20℃에서 냉동하고, 이를 100℃의 스팀이 나오는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183m/s 속도로 통과시킨 뒤,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29]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 영하 20℃에서 냉동하고, 이를 100℃의 스팀이 나오는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283m/s 속도로 통과시킨 뒤,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실시예 30]
생강 5000g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한 생강 영하 20℃에서 냉동하고, 이를 100℃의 스팀이 나오는 총길이 4.25m의 스팀관을 0.383m/s 속도로 통과시킨 뒤,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고 찹쌀 1500g 세척하고 8시간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고, 상기 생강액과 고두밥에 엿기름 150g을 넣고 65℃에서 7시간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고, 상기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고,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90℃에서 3시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춘 무설탕 생강청을 제조하고, 무설탕 생강청 1 중량부에 대하여 10배의 물을 가하였다.
구분 스팀관 통과 속도(m/s)
실시예 28 0.183
실시예 29 0.283
실시예 30 0.383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수율(%)
실시예 28 5.0 4.5 5.6 85
실시예 29 9.5 9.5 9.7 75
실시예 30 8.6 9.5 8.5 65
스팀관 통과 속도에 따른 관능평가 및 수율평가 실험결과인 표 18을 통해, 실시예 29와 실시예 30이 실시예 28에 비해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수율평가 실험 결과, 실시예 30은 실시예 28과 실시예 29에 비해 수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스팀관 통과 속도 차이에 의해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8의 경우, 스팀관을 느리게 통과함으로써, 생강에 스팀이 많이 포함되고 그로 인해 수율은 높지만, 생강의 향과 맛이 적게 발현되어 낮은 기호도 점수를 얻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0의 경우, 맛과 향, 전체적인 기호도는 양호하지만, 냉동 후, 스팀관을 빠르게 통과하면서, 생강이 적절하게 해동되지 못하여 수율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생강 냉동 후 스팀공정을 거칠 경우 실시예 29와 같이, 4.25m의 스팀관을 통과할 때, 스팀관 통과 속도는 0.283m/s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 : 생강 세척 단계
S2 : 생강액 제조 단계
S3 : 찹쌀 세척 및 침지 단계
S4 : 고두밥 제조 단계
S5 : 당화액 제조 단계
S6 : 전분질 분리 단계
S7 : 50Brix의 청 제조 단계
S8 : 생강 냉동 단계
S9 : 생강 찌는 단계

Claims (5)

  1. 생강을 세척하는 제 1 단계;
    상기 세척한 생강을 착즙하고 여과하여 생강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찹쌀을 세척하고 침지하는 제 3 단계;
    상기 침지된 찹쌀로 고두밥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생강액, 상기 제 4 단계에서 제조된 고두밥에 엿기름을 넣고 가열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5 단계에서 제조된 당화액을 전분질과 분리하는 제 6 단계;
    상기 전분질과 분리된 당화액을 가열하여 50Brix를 맞추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며,
    상기 찹쌀 1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3.333 중량부, 엿기름 0.1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침지는, 8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가열은, 65℃에서 7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의 가열은, 90℃에서 3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생강 세척 후, 생강 냉동 단계와 생강 찌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0104633A 2020-08-20 2020-08-20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의 제조방법 KR10246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33A KR102464690B1 (ko) 2020-08-20 2020-08-20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33A KR102464690B1 (ko) 2020-08-20 2020-08-20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07A true KR20220023107A (ko) 2022-03-02
KR102464690B1 KR102464690B1 (ko) 2022-11-08

Family

ID=8081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33A KR102464690B1 (ko) 2020-08-20 2020-08-20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6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230A (ko) * 2013-02-06 2014-08-14 한국식품연구원 발효 생강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1448A (ko) * 2015-08-18 2017-02-28 고민아 생강이 첨가된 참외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1399A (ko) * 2016-03-28 2017-10-12 김나윤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발효조청의 제조방법
KR101845297B1 (ko) 2016-06-27 2018-05-21 괴산군 으뜸백도라지를 이용한 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으뜸백도라지를 이용한 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230A (ko) * 2013-02-06 2014-08-14 한국식품연구원 발효 생강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1448A (ko) * 2015-08-18 2017-02-28 고민아 생강이 첨가된 참외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1399A (ko) * 2016-03-28 2017-10-12 김나윤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발효조청의 제조방법
KR101845297B1 (ko) 2016-06-27 2018-05-21 괴산군 으뜸백도라지를 이용한 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으뜸백도라지를 이용한 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690B1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5458B2 (ja) 香味及び呈味の改善された梅酒及びその製造方法
US6287618B1 (en) Method of production of citrus concentrated aroma and method of preparation of flavorous composition or drink using the resulting flavorous component
KR20070002768A (ko) 조미 고추냉이, 이를 함유한 고추냉이 피클 및 고추냉이샐러드 드레싱의 제조방법
KR102464690B1 (ko) Nfc 제조공법으로 만든 무설탕 생강청의 제조방법
KR102028909B1 (ko) 초밥용밥 제조방법
KR20180075297A (ko) 홍마늘농축액과 홍양파농축액을 혼합한 스파우트 파우치 음료 제조방법
JP4876213B2 (ja) 梅酒の製造方法
JPS6317426B2 (ko)
CN103416773A (zh) 多种香味成品蛋的制作方法
KR102101292B1 (ko) 참외 피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외 피클
KR101701570B1 (ko) 배 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1733B1 (ko) 아로니아 진액 제조방법
KR20160007793A (ko) 반건조 원물형 스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원물형 스낵
KR20090025396A (ko) 식혜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663119B1 (ko) 패션프루츠 발효주의 제조 방법
KR100202129B1 (ko) 감귤을 이용한 천연감귤초 제조 방법
RU93011917A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дварки из моркови
KR102191377B1 (ko) 양파를 이용한 요리용 맛술 제조방법
KR980008029A (ko) 대추를 이용한 저열량(Kcal)잼과 건강잼의 제조방법
JP7334967B2 (ja) 新規梅酒の製造方法
KR20230104396A (ko) 유자를 이용한 단감청 제조방법
KR102717820B1 (ko) 간장게장의 제조 방법
JP2007028910A (ja) 漬物の製造方法
KR102350577B1 (ko) 아로니아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JP7486354B2 (ja) タマネギ含有加工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