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921A - 유리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921A
KR20220021921A KR1020217038567A KR20217038567A KR20220021921A KR 20220021921 A KR20220021921 A KR 20220021921A KR 1020217038567 A KR1020217038567 A KR 1020217038567A KR 20217038567 A KR20217038567 A KR 20217038567A KR 20220021921 A KR20220021921 A KR 20220021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oling
flange
electrode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키무라
카츠토시 후지와라
마사키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8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8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 C03B5/182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by moving the molten glass along fixed elements, e.g. deflectors, weirs, baffle p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유리 이송 장치는 용융 유리(GM)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관(18)과, 기체로 이루어지는 냉매(R)를 통과시키는 냉각 유로(22a, 22b)를 구비한다. 유리 이송관(18)은 관상의 본체부(19)와, 플랜지부(20)와, 전극부(21)를 구비한다. 냉각 유로(22a, 22b)는 플랜지부(20)의 내부 및/또는 전극부(21)의 내부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유리 이송 장치
본 발명은 용융 유리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는 유리 기판이나 커버 유리로서 판유리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조 장치는 용융 유리의 공급원이 되는 용해조(용융 용기)와, 용해조의 하류측에 설치된 청징조(청징 용기)와, 청징조의 하류측에 설치된 교반조(혼합 용기)와, 교반조의 하류측에 설치된 포트(송급 용기)와, 포트의 하류측에 설치된 성형체(성형 본체)와, 이들 구성요소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 도관을 구비한다. 청징조, 교반조, 포트 및 결합 도관은, 예를 들면 백금 등의 귀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용융 유리의 온도를 제어하면서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유리 이송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유리 이송 장치는 용융 유리를 이송하기 위한 관상의 본체부와, 용융 유리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열 장치로서의 플랜지부 및 전극부와, 플랜지부 및 전극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도관을 구비한다. 플랜지부 및 전극부는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냉각 도관은 플랜지부 및 전극부의 주위(외측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냉각 도관은, 예를 들면 물 등의 냉매를 유통시킴으로써 용융 유리의 이송 시에 플랜지부 및 전극부를 냉각한다. 이 경우, 플랜지부 및 전극부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정도이다.
일본 특허 공표 2018-513092호 공보
종래의 유리 이송 장치에 있어서, 플랜지부 및 전극부를 냉각 도관에 의해 수냉하는 경우, 플랜지부 및 전극부를 과도하게 냉각해 버려, 용융 유리의 온도 제어에 의한 소비 전력이 증대하고,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물 등의 액체 대신에 기체를 냉매로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기체는 액체와 비교해서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냉각 부족이 되고, 플랜지부 등이 산화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냉매가 기체여도, 플랜지부 등의 가열에 의한 산화를 적합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냉각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기체를 냉매로서 사용하면서 적합한 냉각을 행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고, 용융 유리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관과, 기체로 이루어지는 냉매를 통과시키는 냉각 유로를 구비하는 유리 이송 장치이며, 상기 유리 이송관은 관상의 본체부와, 플랜지부와, 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 및/또는 상기 전극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의 내부 및/또는 전극부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 유로에 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플랜지부 및 전극부의 주위에 냉각 유로(냉각 도관)를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플랜지부 및/또는 전극부를 균등하게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로를 플랜지부의 내부 및/또는 전극부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해당 플랜지부 및/또는 전극부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부 및/또는 전극부의 전기 저항을 저하시킴과 아울러 강성을 높임으로써, 발열을 저감하면서 에너지 효율이 좋은 가열을 행함과 아울러 플랜지부 및/또는 전극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를 냉매로 하는 경우라도, 플랜지부 및/또는 전극부를 적합하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플랜지부의 내부 및/또는 전극부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 유로에 냉매를 통과시킴으로써 이송 장치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고, 이송 장치의 설치에 요하는 공간을 삭감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 및 상기 전극부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부와 전극부의 쌍방을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를 냉각하는 복수의 플랜지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랜지 냉각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의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플랜지 냉각부를 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플랜지부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균등하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전극부는 소정의 폭을 갖고 있으며,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전극부를 냉각하는 복수의 전극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냉각부는 상기 전극부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극 냉각부를 전극부의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해당 전극부를 전체 범위에 걸쳐서 균등하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유리 이송관은 상기 용융 유리를 교반하는 교반조여도 좋다.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교반조의 유리 이송관은 하측의 플랜지부 및 전극부에 있어서,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교반조의 유리 이송관에 적용하면, 상술의 이송 장치의 설치에 요하는 공간을 삭감할 수 있는 효과가 현저해진다.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전극부는 내열성이 우수한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은 산화되기 쉬우므로, 상술의 플랜지부 및/또는 전극부를 적합하게 냉각하는 효과가 현저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를 냉매로서 사용하면서 적합한 냉각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유리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교반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교반조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교반조의 플랜지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교반조의 플랜지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유리 공급로에 의한 유리 이송관의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유리 이송관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유리 이송관의 플랜지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유리 이송관의 플랜지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다. 이 제조 장치는 상류측부터 순차적으로 용해조(1)와, 청징조(2)와, 교반조(교반 포트)(3)와, 포트(4)와, 성형체(5)와, 이들 각 구성요소 1∼5를 연결하는 유리 공급로(6a∼6d)를 구비한다. 이 밖에, 제조 장치는 성형체(5)에 의해 성형된 판유리(GR)(유리 물품)를 서랭하는 서랭로(도시하지 않음) 및 서랭 후에 판유리(GR)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용해조(1)는 투입된 유리 원료를 용해해서 용융 유리(GM)를 얻는 용해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용해조(1)는 유리 공급로(6a)에 의해 청징조(2)에 접속되어 있다.
청징조(2)는 용융 유리(GM)를 이송하면서 청징제 등의 작용에 의해 탈포하는 청징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청징조(2)는 유리 공급로(6b)에 의해 교반조(3)에 접속되어 있다.
교반조(3)는 청징된 용융 유리(GM)를 교반하고, 균일화하는 공정(균질화 공정)을 행하기 위한 바닥이 있는 관상 용기이다. 교반조(3)는 교반 날개를 갖는 스타터(3a)를 구비한다. 교반조(3)는 유리 공급로(6c)에 의해 포트(4)에 접속되어 있다. 교반조(3)는 용융 유리(GM)를 교반하면서 이송하는 유리 이송 장치(유리 이송관)로서 기능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반조(3)는 본체부(7)와, 이 본체부(7)의 외주부(외주면)에 설치되는 플랜지부(8)와, 플랜지부(8)와 함께 가열 장치로서 기능하는 전극부(9)와, 플랜지부(8) 및 전극부(9)를 냉각하는 냉각 유로(10a, 10b)를 구비한다.
본체부(7)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에 의해 관상(예를 들면, 원관상)으로 구성된다. 본체부(7)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그 중도부에 유리 공급로(6b, 6c)가 연결되어 있다. 청징조(2)와 본체부(7)를 연결하는 유리 공급로(6b)는 포트(4)와 본체부(7)를 연결하는 유리 공급로(6c)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본체부(7)는 상류측의 유리 공급로(6b)로부터 공급된 용융 유리(GM)를 하방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하류측의 유리 공급로(6c)에 공급한다.
플랜지부(8)는 원판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부(7)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플랜지부(8)는 본체부(7)와 동심상이 되도록 본체부(7)와 일체로 구성(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8)는 본체부(7)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체부(7)의 중도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플랜지부(8)는 제 1 플랜지부(8a)와, 제 1 플랜지부(8a)의 외주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 2 플랜지부(8b)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부(8a)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플랜지부(8a)는 본체부(7)의 각 단부에 대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제 2 플랜지부(8b)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환상(예를 들면, 원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플랜지부(8b)는 그 내주부와, 제 1 플랜지부(8a)의 외주부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해당 제 1 플랜지부(8a)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부(9)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부(9)는 소정의 폭을 갖고 있으며, 제 2 플랜지부(8b)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장척상의 부분이다. 전극부(9)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유로(10a, 10b)는 제 1 냉각 유로(10a) 및 제 2 냉각 유로(10b)를 포함한다. 냉각 유로(10a, 10b)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8) 및 전극부(9)의 치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각 냉각 유로(10a, 10b)는 공기 등의 기체로 이루어지는 냉매(R)를 이송하는 냉각용 배관(11)을 플랜지부(8) 및 전극부(9)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구성된다. 냉각용 배관(11)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구성된다.
각 냉각 유로(10a, 10b)는 플랜지부(8)를 냉각하는 플랜지 냉각부(12)와, 전극부(9)를 냉각하는 전극 냉각부(13)를 갖는다. 플랜지 냉각부(12)는 제 2 플랜지부(8b)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극 냉각부(13)는 전극부(9)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냉각부(12)는 플랜지부(8)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해당 플랜지부(8)의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설되는 원호상 유로이다. 전극 냉각부(13)는 전극부(9)의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의 직선상 유로이며, 전극부(9)의 폭방향(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플랜지부(8b)는 원환상 또한 판상의 제 1 구성 부재(14) 및 제 2 구성 부재(15)를 용접으로 접합함으로써 구성된다. 제 1 구성 부재(14)의 일방의 면 및 제 2 구성 부재(15)의 일방의 면에는 단면으로부터 볼 때 원호상의 홈부(16, 17)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플랜지부(8b)의 내부에 냉각 유로(10a, 10b)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성 부재(14)의 홈부(16)와 제 2 구성 부재(15)의 홈부(17) 사이에 냉각용 배관(11)이 개재하도록 제 1 구성 부재(14)와 제 2 구성 부재(15)를 겹친다. 그 후, 제 1 구성 부재(14) 및 제 2 구성 부재(15)는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일체화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에 냉각용 배관(11)에 의한 냉각 유로(10a, 10b)가 형성된 제 2 플랜지부(8b)가 형성된다.
포트(4)는 용융 유리(GM)를 성형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포트(4)는 용융 유리(GM)의 점도 조정 및 유량 조정을 위한 용적부로서 예시된다. 포트(4)는 유리 공급로(6d)에 의해 성형체(5)에 접속되어 있다.
성형체(5)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M)를 판상으로 성형한다. 상세하게는, 성형체(5)는 단면상(도 1의 지면과 직교하는 단면상)이 대략 쐐기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 성형체(5)의 상부에는 오버플로우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성형체(5)는 용융 유리(GM)를 오버플로우 홈으로부터 넘쳐나오게 해서, 성형체(5)의 양측의 측벽면(지면의 표리면측에 위치하는 측면)을 따라 유하시킨다. 성형체(5)는 유하시킨 용융 유리(GM)를 측벽면의 아래 최상부에서 융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띠상의 판유리(GR)가 성형된다. 띠상의 판유리(GR)는 서랭로를 통과 한 후에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소망 치수의 판유리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판유리는, 예를 들면 두께가 0.01∼10㎜이고,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유기 EL 조명, 태양 전지 등의 기판이나 보호 커버에 이용된다. 성형체(5)는 슬롯 다운 드로우법 등의 다른 다운 드로우법을 실행하는 것이어도 좋고, 성형체(5) 대신에 플로트법을 이용하는 성형 장치를 배치해도 좋다.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 물품은 판유리(GR)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관 그 밖의 각종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리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성형체(5) 대신에 단나법을 이용하는 성형 장치가 배치된다.
판유리의 조성으로서는 규산염 유리, 실리카 유리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붕규산 유리, 소다 라임 유리, 알루미노 규산염 유리, 화학 강화 유리가 사용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무알칼리 유리가 사용된다. 여기서, 무알칼리 유리란 알칼리 성분(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유리이며,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성분의 중량비가 3000ppm 이하인 유리인 것이다. 알칼리 성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00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ppm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이다.
유리 공급로(6a∼6d)는 용융 유리(GM)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 장치로서 기능한다. 유리 공급로(6a∼6d)는 가열 장치 및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유리 이송관(18)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유리 공급로(6a∼6d)는 1개의 유리 이송관(18)에 의해 구성되고, 또는 복수개의 유리 이송관(18)을 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유리 이송관(18)은 도시하지 않은 벽돌 등의 단열재에 의해 그 전체가 피복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이송관(18)은 본체부(19)와, 이 본체부(19)의 외주부(외주면)에 설치되는 플랜지부(20)와, 플랜지부(20)와 함께 가열 장치로서 기능하는 전극부(21)와, 플랜지부(20) 및 전극부(21)를 냉각하는 냉각 유로(22a, 22b)를 구비한다.
본체부(19)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에 의해 관상(예를 들면, 원관상)으로 구성된다. 본체부(19)는 내부에 용융 유리(GM)를 통과시킴으로써, 일단부측(상류측)으로부터 타단부측(하류측)으로 해당 용융 유리(GM)를 이송한다.
플랜지부(20)는 원판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부(19)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플랜지부(20)는 본체부(19)와 동심상이 되도록 본체부(19)와 일체로 구성(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20)는 본체부(19)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본체부(19)의 중도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플랜지부(20)는 제 1 플랜지부(20a)와, 제 1 플랜지부(20a)의 외주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 2 플랜지부(20b)를 포함한다.
제 1 플랜지부(20a)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플랜지부(20a)는 본체부(19)의 각 단부에 대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제 2 플랜지부(20b)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환상(예를 들면, 원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플랜지부(20b)는 그 내주부와, 제 1 플랜지부(20a)의 외주부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해당 제 1 플랜지부(20a)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부(21)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부(21)는 소정의 폭을 갖고 있으며, 플랜지부(20)(제 2 플랜지부(20b))의 상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척상의 부분이다. 전극부(21)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극부(21)를 플랜지부(20)(제 2 플랜지부(20b))의 하부나 측부에 설치해도 좋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유로(22a, 22b)는 제 1 냉각 유로(22a) 및 제 2 냉각 유로(22b)를 포함한다. 냉각 유로(22a, 22b)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20) 및 전극부(21)의 치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제 1 냉각 유로(22a) 및 제 2 냉각 유로(22b)는 플랜지부(20)를 냉각하는 플랜지 냉각부(23)와, 전극부(21)를 냉각하는 전극 냉각부(24)를 갖는다. 플랜지 냉각부(23)는 제 2 플랜지부(20b)의 내부에 형성되고, 전극 냉각부(24)는 전극부(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냉각부(23)는 플랜지부(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해당 플랜지부(20)의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설되는 원호상 유로이다. 전극 냉각부(13)는 전극부(2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직선상 유로이고, 전극부(21)의 폭방향(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냉각 유로(22a, 22b)는 냉매(R)의 유입구(25) 및 유출구(26)를 구비한다. 유입구(25) 및 유출구(26)에는 냉매(R)를 이송하는 냉각용 배관(27)이 접속되어 있다. 각 냉각 유로(22a, 22b)의 유입구(25) 및 유출구(26)는 전극부(2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출구(26)에 냉각용 배관(27)을 접속하거나, 유출구(26)에 냉각용 배관(27)을 접속하지 않고, 유출구(26)로부터 냉매(R)를 배출해도 좋다. 또한, 플랜지 냉각부(23)를 플랜지부(20)의 둘레방향으로 분할(예를 들면, 2분할∼4분할)하고, 분할된 각 플랜지 냉각부(23)에 냉매(R)를 흘려도 좋다. 이 경우, 각 플랜지 냉각부(23)의 유입구(25) 및 유출구(26)는 플랜지부(2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유로(22a)에 있어서의 냉매(R)의 흐름방향과, 냉각 유로(22b)에 있어서의 냉매(R)의 흐름방향이 대향하지만, 냉각 유로(22a)에 있어서의 냉매(R)의 흐름방향과, 냉각 유로(22b)에 있어서의 냉매(R)의 흐름방향이 병행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구성은 상술의 교반조(3)의 플랜지부(8)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플랜지부(20b)는 원환상 또한 판상의 제 1 구성 부재(28) 및 제 2 구성 부재(29)를 용접에서 접합함으로써 구성된다. 제 1 구성 부재(28)의 일방의 면 및 제 2 구성 부재(29)의 일방의 면에는 냉각 유로(22a, 22b)를 구성하는 단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의 홈부(30, 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성 부재(28) 및 제 2 구성 부재(29)의 일방의 면끼리를 접촉시키면, 제 1 구성 부재(28)의 홈부(30)와 제 2 구성 부재(29)의 홈부(31)가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구성 부재(28) 및 제 2 구성 부재(29)는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용접함으로써 일체화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성 부재(28)의 홈부(30)와 제 2 구성 부재(29)의 홈부(31)가 일체가 되어서 단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예를 들면, 정방형)의 냉각 유로(22a, 22b)가 구성된다. 이 예에 한정하지 않고, 냉각 유로(22a, 22b)는 교반조(3)의 제 2 플랜지부(8b)의 냉각 유로(10a, 10b)와 마찬가지로, 냉각용 배관(27)을 홈부(30, 31)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구성되어도 좋다.
이하,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를 사용해서 판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방법은 용해조(1)에서 원료 유리를 용해시키고(용해 공정), 용융 유리(GM)를 얻은 후, 이 용융 유리(GM)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청징조(2)에 의한 청징 공정, 교반조(3)에 의한 균질화 공정, 및 포트(4)에 의한 상태 조정 공정을 실시한다. 그 후, 이 용융 유리(GM)를 성형체(5)에 이송하고, 성형 공정에 의해 용융 유리(GM)로부터 판유리(GR)를 성형한다. 그 후, 판유리(GR)는 서랭로에 의한 서랭 공정, 절단 장치에 의한 절단 공정을 거쳐 소정 치수로 형성된다.
균질화 공정에 있어서, 교반조(3)는 본체부(7)에 의해 용융 유리(GM)를 이송하면서 스타터(3a)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교반조(3)는 용융 유리(GM)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전극부(9)에 전압을 인가하고, 본체부(7)를 가열한다. 동시에, 냉각 유로(10a, 10b)에 냉매(R)가 공급된다. 냉매(R)는 냉각용 배관(11) 내를 통과하고, 플랜지부(8) 및 전극부(9)를 냉각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매(R)는 냉각 유로(10a, 10b)의 전극 냉각부(13), 플랜지 냉각부(12)의 순서로 흐른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플랜지 냉각부(12)와 전극 냉각부(13)를 접속하지 않고, 각각 독립시켜도 좋다. 구조가 번잡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플랜지부(8) 및 전극부(9)를 적확하게 냉각하는 관점에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냉매(R)는 냉각 유로(10a, 10b)의 전극 냉각부(13), 플랜지 냉각부(12)의 순서로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유리(GM)를 유리 공급로(6a∼6d)로 이송하는 경우, 유리 이송관(18)의 본체부(19) 내를 유동하는 용융 유리(GM)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전극부(21)에 전압을 인가하고, 본체부(19)를 가열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냉각 유로(22a, 22b)에는 냉매(R)가 공급된다. 냉각 유로(22a, 22b)는 냉각용 배관(27)으로부터 공급 된 냉매(R)를 유입구(25)로부터 유출구(26)로 유통시키고, 플랜지부(20) 및 전극부(21)를 냉각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이송 장치(교반조(3), 유리 공급로(6a∼6d))에 의하면, 플랜지부(8, 20) 및 전극부(9, 21)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 유로(10a, 10b, 22a, 22b)에 냉매(R)를 통과시킴으로써 종래의 유리 이송 장치와 같이 플랜지부 및 전극부의 주위에 냉각 도관을 설치한 경우와 비교해서 플랜지부(8, 20) 및 전극부(9, 21)를 내부로부터 균등하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냉매(R)로서 기체를 사용한 경우라도, 플랜지부(8, 20) 및 전극부(9, 21)의 과도한 냉각에 의한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적합한 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교반조(3), 및 유리 공급로(6a∼6d)에 포함되는 유리 이송관(18)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의 교반조(3)의 냉각 유로(10a, 10b)의 구성을 청징조(2)나 포트(4), 유리 공급로(6a∼6d)를 구성하는 유리 이송관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유리 공급로(6a∼6d)에 의한 유리 이송관(18)의 냉각 유로(22a, 22b)의 구성을 청징조(2)나 교반조(3), 포트(4)를 구성하는 유리 이송관에 적용해도 좋다.
유리 공급로(6a∼6d)나 청징조(2)는 복수개의 유리 이송관(18)을 접속함으로써 소망의 길이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웃이 되는 유리 이송관(18)의 플랜지부(20)끼리를 대향시키고, 플랜지부(20) 사이에 단열 부재 등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해당 유리 이송관(18)을 접속할 수 있다. 플랜지부(20)는 내부에 냉각 유로(22a, 22b)가 형성됨으로써 그 두께 치수가 종래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유리 이송관(18)을 접속하는 경우에 플랜지부(20)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20)의 두께 치수를, 예를 들면 2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5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교반조(3)의 냉각 유로(10a, 10b) 및 유리 공급로(6a∼6d)에 의한 유리 이송관(18)의 냉각 유로(22a, 22b)는 플랜지부(8, 20)와 전극부(9, 21)의 쌍방을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냉각 유로(10a, 10b, 22a, 22b)는 플랜지부(8, 20)만을 냉각해도 좋고, 전극부(9, 21)만을 냉각하는 것이어도 좋다.
3: 교반조 7: 본체부
8: 플랜지부 9: 전극부
10a: 제 1 냉각 유로 10b: 제 2 냉각 유로
18: 유리 이송관 19: 본체부
20: 플랜지부 21: 전극부
22a: 제 1 냉각 유로 22b: 제 2 냉각 유로
R: 냉매 GM: 용융 유리

Claims (6)

  1. 용융 유리를 이송하는 유리 이송관과, 기체로 이루어지는 냉매를 통과시키는 냉각 유로를 구비하는 유리 이송 장치로서,
    상기 유리 이송관은 관상의 본체부와, 플랜지부와, 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 및/또는 상기 전극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 및 상기 전극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리 이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플랜지부를 냉각하는 복수의 플랜지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랜지 냉각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의 반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유리 이송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소정의 폭을 갖고 있고,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전극부를 냉각하는 복수의 전극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냉각부는 상기 전극부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유리 이송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이송관은 상기 용융 유리를 교반하는 교반조인 유리 이송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전극부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구성되는 유리 이송 장치.
KR1020217038567A 2019-06-17 2020-05-22 유리 이송 장치 KR202200219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2092 2019-06-17
JP2019112092A JP7223329B2 (ja) 2019-06-17 2019-06-17 ガラス移送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PCT/JP2020/020411 WO2020255633A1 (ja) 2019-06-17 2020-05-22 ガラス移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21A true KR20220021921A (ko) 2022-02-22

Family

ID=7383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567A KR20220021921A (ko) 2019-06-17 2020-05-22 유리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23329B2 (ko)
KR (1) KR20220021921A (ko)
CN (1) CN113727949B (ko)
WO (1) WO2020255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53650A (ja) 2021-10-01 2023-04-1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JP2023084387A (ja) * 2021-12-07 2023-06-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移送装置、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WO2023234083A1 (ja) * 2022-06-03 2023-12-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WO2024076515A1 (en) * 2022-10-04 2024-04-11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molten glass in a condu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3092A (ja) 2015-03-23 2018-05-24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金属容器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9131B2 (en) 2008-02-28 2012-09-18 Corning Incorporated Nickel-containing flanges for use in direct resistance heating of platinum-containing vessels
US8274018B2 (en) * 2010-02-25 2012-09-25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use in direct resistance heating of platinum-containing vessels
US8857219B2 (en) 2012-07-11 2014-10-14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use in direct resistance heating of platinum-containing vessels
WO2014119709A1 (ja) 2013-02-01 2014-08-07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製造装置
JP6281747B2 (ja) * 2014-03-13 2018-02-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89183B1 (ko) 2016-10-31 2021-08-1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제조 장치, 유리 제조 방법, 유리 공급관 및 용융 유리 반송 방법
JP6765638B2 (ja) * 2016-11-25 2020-10-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加熱装置及びガラス供給管
JP2018172225A (ja) 2017-03-31 2018-11-08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2107900B1 (ko) * 2017-06-30 2020-05-08 아반스트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3092A (ja) 2015-03-23 2018-05-24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金属容器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23329B2 (ja) 2023-02-16
CN113727949A (zh) 2021-11-30
JP2020203810A (ja) 2020-12-24
CN113727949B (zh) 2023-12-08
WO2020255633A1 (ja)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1921A (ko) 유리 이송 장치
JP6969573B2 (ja) ガラス製造装置、ガラス製造方法、ガラス供給管及び溶融ガラス搬送方法
CN110291048B (zh) 玻璃制造方法以及玻璃供给管的预热方法
KR20120127710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KR20210030252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유리 기판
KR20220020802A (ko) 유리 이송 장치
KR102655115B1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CN113874329B (zh) 玻璃物品的制造方法及玻璃物品的制造装置
WO2019035327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溶融炉
JP7138843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TW201827363A (zh) 板玻璃製造方法、澄清容器及板玻璃製造裝置
JP2017014059A (ja) 溶融ガラス供給装置、ガラス板の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7497728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WO2023234083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TWI835935B (zh) 玻璃物品的製造方法
WO2023053923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20130001282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WO2023106093A1 (ja) ガラス移送装置、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CN117500760A (zh) 玻璃物品的制造装置以及制造方法
KR20160146865A (ko) 복합 유리 물품 제조 방법 및 기기
KR20230008057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JP2017065987A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導管
JP2017066005A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導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