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037A - 마스크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037A
KR20220019037A KR1020227000784A KR20227000784A KR20220019037A KR 20220019037 A KR20220019037 A KR 20220019037A KR 1020227000784 A KR1020227000784 A KR 1020227000784A KR 20227000784 A KR20227000784 A KR 20227000784A KR 20220019037 A KR20220019037 A KR 20220019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splay
thickness
transi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오 치 펑
밍싱 리우
슈아이얀 간
지위안 장
웨이리 리
Original Assignee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쿤산 고-비젼녹스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1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H01L27/3234
    • H01L27/3244
    • H01L27/326
    • H01L51/0011
    • H01L51/5206
    • H01L51/5225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 H01L2227/323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을 둘러싸면서 마련되며; 과도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각각 인접하며,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은 모두 정적 또는 동적 화면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 이하이다. 과도 표시 영역의 존재는 연결 브릿지의 위치 영역에 블랙 베젤 표시를 형성하는 등 표시 장치 중 증착 재료가 전면적으로 커버되지 않아 초래되는 불완전 표시를 피하였고, 표시의 완전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마스크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마스크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작 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층, 소스 드레인층,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층, 음극층 및 절연층, 버퍼층 등 무기층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필름층을 형성한다. 증착 대기 기판에 임의의 필름층 형성 시, 한장의 마스크판을 이용하여 증착 대기 기판 중 증착이 필요없는 영역을 차단하여, 특정 패턴을 구비하는 필름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종래 기술 중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과 같은 다른 전자 소자의 장착 공간을 미리 남기기 위해, 표시 영역에 상응 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 부분을 개설해야 하나, 일부 재료층의 재료는 제거하기 어려워, 증착 전 개구 부분을 차단해야 하기에 증착용 마스크에 개구 부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마련해야 하나, 통상적으로 개구 부분이 표시 스크린의 에지에 인접하여 마련되지 않고, 표시 스크린의 에지와 일정한 거리를 두며, 따라서, 종래 기술 중의 차단부는 브래킷(지지 스트립)을 통해 마스크의 베젤에 연결되고, 브래킷의 존재는 증착 과정에서 정상적인 표시 영역에 대한 차단을 초래함으로써, 증착 재료가 브래킷의 차단 영역 내에 성형될 수 없어, 블랙 라인을 형성하고, 표시 스크린의 정상적인 표시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기술 중 디스플레이 패널이 그 제작 공정에서 차단부를 구비하는 마스크판의 사용으로 인해 정상적인 표시 영역에 블랙 라인을 형성하는 흠결을 극복하여, 마스크판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이하와 같다:
본 출원은
기저 표면에 지지되고,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 베젤;
상기 개구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기저 표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아일랜드 차단부; 및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와 상기 마스크 베젤 또는 인접 아일랜드 차단부를 연결하되, 상기 기저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연결 브릿지를 포함하는 마스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표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을 둘러싸면서 마련되며;
과도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이 상기 비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각각 인접하며,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은 모두 정적 또는 동적 화면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 이하인 표시 장치를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은 기재 기판를 제공하고, 기재 기판에 차례로 어레이 회로, 양극층 및 발광층을 제작 형성하는 단계 S1;
음극 재료로 발광층에 제1 음극층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 S2;
비표시 영역에 장착홀을 에칭 형성하는 단계 S3;
상술한 마스크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장착홀이 위치하는 영역을 차단하고, 음극 재료를 사용하여 과도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를 커버하는 제2 음극층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 S4를 포함하고;
그 중, 단계 S2를 거쳐 얻은 상기 제1 음극층 및 단계 S4를 거쳐 얻은 상기 제2 음극층이 공통으로 표시 장치의 음극층을 구성하는 상술한 표시 장치의 제작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이하의 장점을 구비한다:
1.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마스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기저 표면에 지지되고,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 베젤; 상기 개구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기저 표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아일랜드 차단부; 및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와 상기 마스크 베젤 또는 인접 아일랜드 차단부를 연결하되, 상기 기저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연결 브릿지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브릿지와 상기 기저 표면 사이에 간격을 보존하도록, 상기 연결 브릿지가 상기 기저 표면 상부에 현공 가설되며; 추가적으로, 상기 연결 브릿지의 두께가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의 두께보다 작다. 연결 브릿지를 가공 설치함으로써, 증착 과정에서 증착 재료 침적 시 연결 브릿지의 양측의 침적층이 연결 브릿지 하부의 간극을 통해 확산되고 함께 연결되어, 연결 브릿지 하부의 침적층의 두께가 기본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하며, 다시 말해서, 증착 재료가 연결 브릿지의 양측에서 그 하부와 기저 사이의 간격에 진입하고, 이로써 연결 브릿지 양측의 개구 영역 내에 위치하는 증착 재료를 연통함으로써, 연결 브릿지가 설치되어 있어 연결 브릿지 하부의 영역이 증착 재료에 의해 커버되지 않아 표시의 완전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연결 브릿지의 차단 영역에 대해 2차 증착을 진행해야 하는 것을 피한다.
2.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마스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릿지는 곧은 바형상이고; 상기 연결 브릿지가 위치하는 직선은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의 중심을 통과하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연결 브릿지가 설치되어 있다. 두개의 연결 브릿지를 설치하여 아일랜드 차단부를 안정적으로 마스크 베젤 내에 지지할 수 있고, 각각의 연결 브릿지가 모두 아일랜드 차단부의 중심을 통과함으로써, 아일랜드 차단부에 대한 지지 강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3.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을 둘러싸면서 마련되며; 과도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각각 인접하며,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은 모두 정적 또는 동적 화면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 이하이다. 과도 표시 영역의 존재는 연결 브릿지의 위치 영역에 블랙 베젤 표시를 형성하는 등 표시 장치 중 증착 재료가 전면적으로 커버되지 않아 초래되는 불완전 표시를 피하였고, 표시의 완전성을 향상시킨다.
4.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표시 장치의 제작 방법은 기재 기판를 제공하고, 기재 기판에 차례로 어레이 회로, 양극층 및 발광층을 제작 형성하는 단계 S1; 음극 재료로 발광층에 제1 음극층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 S2; 비표시 영역에 장착홀을 에칭 형성하는 단계 S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스크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장착홀이 위치하는 영역을 차단하고, 음극 재료를 사용하여 과도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를 커버하는 제2 음극층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 S4를 포함하고, 그 중, 단계 S2를 거쳐 얻은 상기 제1 음극층 및 단계 S4를 거쳐 얻은 상기 제2 음극층이 공통으로 표시 장치의 음극층을 형성한다. S2 및 S4의 두 단계를 거쳐 공통으로 음극층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과도 영역에 적어도 제1 음극층이 존재하도록 확보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과도 표시 영역이 도통되도록 확보함으로써, 제작되는 표시 장치의 정상적인 표시를 확보한다.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 방안을 더욱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 형태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고, 이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 형태이고,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는 전제 하에 이러한 첨부 도면에 기반하여 다른 첨부 도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마스크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보여준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보여준 B-B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출원의 표시 장치의 가공 과정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표시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 중 표시 장치 C-C 음극층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0은 다른 마스크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하고,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고 전부의 실시예가 아닌 것은 분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마스크 어셈블리를 기재하고, 구체적으로 증착에 사용되는 마스크판(1)이며, 마스크 베젤(11), 복수의 아일랜드 차단부(12) 및 연결 브릿지(13)를 포함하고,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12)는 상기 연결 브릿지(13)를 통해 상기 마스크 베젤(11) 또는 인접 아일랜드 차단부(12)에 연결된다. 그 중 마스크 베젤(11)은 기저의 주변 표면에 지지되고, 즉 마스크 베젤(11)은 증착 재료의 차단에 사용되지 않으며, 마스크 베젤(11) 내에 재료의 진입 및 침적을 허용하는 개구 영역(14)이 형성되어 있고, 아일랜드 차단부(12)는 개구 영역(14) 내에 설치되어 증착 재료를 차단하기 위해 형성되는 차단 영역으로 이용되며; 그 중 기저는 증착되는 기재를 가르키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 베젤(11)은 사각틀 지지판이며, 사각틀 지지판 내에 개구 영역(14) 및 아일랜드 차단부(12)와 연결 브릿지(13)로 구성되는 차단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아일랜드 차단부(12)는 상기 개구 영역(14) 내에 위치하되 개구 영역(14)에 의해 둘러쌓여 마련되고,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12)는 상기 기저 표면에 접촉되며;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12)는 원형 차단판 및/또는 사각형 차단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원형 차단판을 형성하는 아일랜드 차단부(12)가 마련되어 있고, 이는 마스크 베젤(11) 내의 개구 영역(14)에 마련되며, 아일랜드 차단부(12)는 연결 브릿지(13)를 통해 마스크 베젤(11)에 연결되고, 연결 브릿지(13)를 통해 아일랜드 차단부(12)를 지지하여 마스크 베젤(11) 내에 현설(suspending)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아일랜드 차단부(12)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으로만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능형, 육각형 등 형상일 수도 있으며; 마스크 베젤(11)도 사각틀로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틀, 타원형틀, 능형틀, 육각형특 등 형상일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아일랜드 차단부(12)만 마련하는 것에도 한정되지 않고, 두개 또는 복수의 아일랜드 차단부(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사각틀에 다른 아일랜드 차단부(12) 또는 다른 차단 기하 도형이 더 마련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아일랜드 차단부(12) 사이는 연결 브릿지(13)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아일랜드 차단부(12)는 연결 브릿지(13)를 통해 다른 차단 기하 도형 또는 다른 아일랜드 차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9에서 두개의 아일랜드 차단부(12)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두개의 아일랜드 차단부(12) 사이는 하나의 연결 브릿지(13)를 통해 연결되고, 그 중 하나 또는 두개의 아일랜드 차단부(12)는 연결 브릿지를 통해 마스크 베젤(11)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연결 브릿지(13)는 곧은 바형상이고, 상기 연결 브릿지(13)가 위치하는 직선은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12)의 중심을 통과한다. 그 중 본 실시예의 아일랜드 차단부(12)가 원형이기에, 연결 브릿지(13)는 원형 아일랜드 차단부(12)의 원심이 위치하는 직선을 따라 배치할 수 있고; 연결 브릿지(13)가 아일랜드 차단부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아일랜드 차단부에 대한 연결 브릿지(13)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두개의 상기 연결 브릿지가 설치되어 있고,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아일랜드 차단부(12)의 주변에 설치되어, 아일랜드 차단부(12)를 마스크 베젤(11)의 다른 위치에 연결하도록 하며, 본 실시예의 두개의 연결 브릿지는 서로 90°의 협각 배치를 이루고, 물론, 두개의 연결 브릿지(13) 사이의 협각은 서로 90°를 이루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두개의 연결 브릿지를 설치하여 아일랜드 차단부(12)를 안정적으로 마스크 베젤 내에 지지할 수 있고, 물론 연결 브릿지(13)를 복수개 설치하여, 각각의 연결 브릿지(13)가 모두 아일랜드 차단부(12)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아일랜드 차단부(12)에 대한 지지 강도를 추가로 향상시킨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그 중 상기 연결 브릿지(13)는 상기 기저 표면에 접촉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브릿지(13)의 두께는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12)의 두께보다 작으며, 동시에 연결 브릿지(13)의 두께도 마스크 베젤(11)의 두께보다 작고, 다시 말해서, 연결 브릿지(13)는 기재에 현공 가설되고, 본 실시예의 연결 브릿지(13)의 폭(L)은 0.1mm≤L≤0.5mm를 만족시키며, 연결 브릿지(13)를 가공 설치함으로써, 증착 과정에서 증착 재료 침적 시 연결 브릿지(13)의 양측의 침적층이 연결 브릿지(13) 하부의 간극을 통해 확산되고 함께 연결되어, 연결 브릿지(13) 하부의 침적층의 두께가 기본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하며, 즉 증착 재료가 연결 브릿지(13)의 양측에서 그 하부와 기저 사이의 간격에 진입하고, 이로써 연결 브릿지 양측의 개구 영역 내에 위치하는 증착 재료를 연통함으로써, 연결 브릿지가 설치되어 있어 연결 브릿지 하부의 영역이 증착 재료에 의해 커버되지 않아 표시의 완전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연결 브릿지의 차단 영역에 대해 2차 증착을 진행해야 하는 것을 피한다.
실시예 2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는 표시 장치를 기재하고, 표시 영역(3), 적어도 하나의 비표시 영역(4) 및 과도 표시 영역(5)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표시 영역(3)은 상기 비표시 영역(4)을 둘러싸면서 마련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5)는 상기 비표시 영역(4) 및 상기 표시 영역(3)에 각각 인접하며, 그 중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은 상기 비표시 영역(4)과 상기 표시 영역(3)의 에지를 연결한다. 비표시 영역(4)이 하나뿐이 아닐 경우, 과도 표시 영역(5)은 인접한 두개의 상기 비표시 영역(4)을 연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의 제1 전극의 두께는 상기 표시 영역(3)의 제1 전극의 두께 이하이고, 상기 표시 영역(3)의 제1 전극 및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의 제1 전극은 연결되어 면전극을 형성한다.
그 중 상기 표시 영역(3) 및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은 모두 기판(6), 차례로 상기 기판(6)에 스택 설치되는 어레이 회로(10), 양극층(8), OLED발광층(7) 및 음극층(9)을 포함하고; 즉 상기 표시 영역(3) 및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은 모두 정적 또는 동적 화면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차이점은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의 제1 전극의 두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층의 두께 이하이고, 본 실시예의 상기 과도 표시 영역(5) 내의 제1 전극에 두께 차이가 존재하며, 그 중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의 에지에 위치하는 제1 전극의 두께는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의 두께보다 크며, 예를 들어 과도 표시 영역(5)과 상기 표시 영역(3)의 연결 부분의 제1 전극의 두께는 상기 과도 표시 영역(5)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의 두께보다 크고, 과도 표시 영역(5)의 제1 전극의 에지 두께는 표시 영역(3)의 제1 전극의 두께 이하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 본 실시예의 제1 전극은 음극이고, 즉 과도 표시 영역(5)의 음극층(9)의 두께는 표시 영역(3)의 음극층의 두께 이하이고, 과도 표시 영역(5) 내의 음극층(9)에 두께 차이가 존재한다. 물론 과도 표시 영역(5)의 제2 전극, 예를 들어 양극층의 두께도 표시 영역(3)의 양극층의 두께 이하이고, 두께 차이가 존재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 본 실시예의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은 스트립 형상이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5)과 상기 표시 영역(3)의 연결 부분의 음극층 두께는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의 중간 부분의 음극층 두께보다 크다. 도 9에서 상기 바형상 과도 표시 영역(5)의 음극층(9)이 과도 표시 영역(5)의 폭 방향(폭 방향은 과도 표시 영역의 길이보다 짧은 한변에 평행되는 방향을 가르킴)에 두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보여준다. 과도 표시 영역의 존재는 연결 브릿지의 위치 영역에 블랙 베젤 표시를 형성하는 등 표시 장치 중 증착 재료가 전면적으로 커버되지 않아 초래되는 불완전 표시를 피하였고, 표시의 완전성을 향상시킨다.
그 중 본 실시예 2의 음극층(9)은 실시예 1의 마스크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증착 성형된다. 그 중 표시 영역(3)은 마스크 어셈블리의 개구 영역(14)에 대응되고, 즉 증착 재료는 마스크 어셈블리의 개구 영역(14)을 통해 발광층(7)에 침적되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음극층(9)을 형성하며, 비표시 영역(4)은 마스크 어셈블리의 아일랜드 차단부(12)를 커버하는 영역에 대응되고, 과도 표시 영역(5)은 마스크 어셈블리의 연결 브릿지(13)를 커버하는 영역에 대응되며, 본 출원의 연결 브릿지(13) 저부는 기재에 접촉되지 않고, 다시 말해서 음극 재료 증착 과정에서, 음극 증착 재료 침적 시 연결 브릿지(13) 하부의 간격을 통해 분산되고 서로 연결되어, 연결 브릿지(13) 하부에 여전히 침적층이 부착될 수 있어, 증착 재료가 연결 브릿지(13) 양측에서 그 하부와 발광층(7) 사이의 간격에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연결 브릿지 양측 개구 영역(14) 내에 위치한 증착 재료를 연통시켜, 이로써 연결 브릿지(13)를 설치하여 연결 브릿지(13) 하부의 영역이 증착 재료에 커버되지 않는 것을 피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이 그 폭 방향의 음극층의 단면을 따라 표시되고, 과도 표시 영역(5)의 음극층(9)의 표면은 아래로 함몰된 기둥면이며, 기둥면의 양단은 대응되게 과도 표시 영역(5)의 폭 방향 양측의 표시 영역(3)에 연결되고, 과도 표시 영역(5)의 중부 함몰 영역은 음극층을 형성하는 마스크 어셈블리의 연결 브릿지(13)에 대응된다.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의 음극층(9)은 기판(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함몰되고, 그 중 상기 함몰 양측의 상기 표시 영역(3)의 연결 부위의 두께는 상기 함몰 중간 부분의 두께보다 크며, 즉 도 9 중 좌우 양측변의 두께는 함몰 중간 부위의 두께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도 표시 영역(5)의 음극층의 두께는 h이고, 상기 표시 영역(3)의 음극층의 두께는 H이며, 동시에 50nm≤h≤H, 100nm≤H≤180nm을 만족시킨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소자 유닛을 더 포함하고, 그 중 소자 유닛은 비표시 영역(4) 내에 개설되는 장착홀(2) 및 상기 장착홀(2)에 설치되는 기능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소자는 감광 소자, 카메라, 수화기, 광 센서, 광 조사기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제작 과정은 이하와 같다:
단계 S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기판(6)을 제공하고, 기재 기판(6)에 차례로 어레이 회로(10), 양극층(8) 및 OLED발광층(7)을 제작 형성하고;
단계 S2: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층 재료를 사용하여 발광층(7)에 제1 음극층(91)을 증착 형성하고, 그 중 제1 음극층(91)의 두께는 h의 최소치보다 작으며, 다시 말해서 제1 음극층(91)의 두께는 과도 표시 영역(5)의 음극층의 최소 두께보다 작고;
단계 S3: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4)에 장착홀(2)을 에칭 형성하며;
단계 S4: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마스크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장착홀(2)이 위치하는 영역을 차단하고, 음극 재료를 사용하여 제2 음극층(92)을 증착 형성하며, 그 중 제2 음극층(92)이 과도 표시 영역(5) 및 표시 영역(3)을 커버하고;
그 중 단계 S2의 제1 음극층(91) 및 단계 S4의 제2 음극층(92)은 공통으로 표시 장치의 음극층(9)을 구성한다.
두개의 단계를 통해 음극층을 형성하여, 과도 표시 영역(5)에 적어도 제1 음극층(91)이 존재하도록 확보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과도 표시 영역(5)이 도통되도록 확보하며, 그 중 과도 표시 영역(5)의 음극층(9)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아, 정상적인 표시에 대한 영향을 피하고, 과도 표시 영역(5)의 밝기의 균일성 및 정상적인 표시를 확보하고, 후에 외부의 구동 유닛을 통해 과도 표시 영영의 표시 모듈에 대해 외부 광학 보상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학 추출식 Demura 광학 보상을 진행하여 표시 장치 전체의 밝기의 균일성을 향상시켜, 잔상의 발생을 피한다.

Claims (18)

  1. 마스크 어셈블리에 있어서,
    기저 표면에 지지되고,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 베젤;
    상기 개구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기저 표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아일랜드 차단부; 및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와 상기 마스크 베젤 또는 인접 아일랜드 차단부를 연결하되, 상기 기저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연결 브릿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릿지와 상기 기저 표면 사이에 간격을 보존하도록, 상기 연결 브릿지가 상기 기저 표면 상부에 현공 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는 원형 차단판 및/또는 사각형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릿지의 두께가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릿지가 곧은 바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릿지가 위치하는 직선이 상기 아일랜드 차단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상기 연결 브릿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8.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을 둘러싸면서 마련되며; 과도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이 상기 비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각각 인접하며,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은 모두 정적 또는 동적 화면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제1 전극 및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이 연결되어 면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에 두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에지의 제1 전극의 두께가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중간 부분의 제1 전극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h)가 h≥50nm이고, 상기 표시 영역의 제1 전극의 두께(H)가 100nm≤H≤18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제2 전극의 두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제2 전극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제2 전극에 두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에지의 제2 전극의 두께가 상기 과도 표시 영역의 중간 부분의 제2 전극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 내에 개설되는 장착홀 및 상기 장착홀에 설치되는 기능 소자를 포함하는 소자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 소자가 감광 소자, 카메라, 수화기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기재 기판를 제공하고, 기재 기판에 차례로 어레이 회로, 양극층 및 발광층을 제작 형성하는 단계 S1;
    음극 재료로 발광층에 제1 음극층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 S2;
    비표시 영역에 장착홀을 에칭 형성하는 단계 S3;
    제1항 내지 제7항에 따른 마스크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장착홀이 위치하는 영역을 차단하고, 음극 재료를 사용하여 과도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를 커버하는 제2 음극층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 S4를 포함하고,
    단계 S2를 거쳐 얻은 상기 제1 음극층 및 단계 S4를 거쳐 얻은 상기 제2 음극층이 공통으로 표시 장치의 음극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단계 S2를 거쳐 얻은 상기 제1 음극층의 두께가 5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7000784A 2019-07-31 2020-03-24 마스크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20220019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04909.8 2019-07-31
CN201910704909.8A CN110438446B (zh) 2019-07-31 2019-07-31 一种掩模组件以及一种显示装置
PCT/CN2020/080836 WO2021017494A1 (zh) 2019-07-31 2020-03-24 一种掩模组件以及一种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037A true KR20220019037A (ko) 2022-02-15

Family

ID=6843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784A KR20220019037A (ko) 2019-07-31 2020-03-24 마스크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57035B2 (ko)
EP (1) EP3985142B1 (ko)
JP (2) JP2022541025A (ko)
KR (1) KR20220019037A (ko)
CN (1) CN110438446B (ko)
TW (1) TWI736193B (ko)
WO (1) WO2021017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8446B (zh) * 2019-07-31 2020-12-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掩模组件以及一种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4943B2 (en) * 2006-12-12 2010-11-16 Tpo Displays Corp. Reduction of cross-talk in vertical direction for a dual view display devices
US20130122254A1 (en) * 2011-11-11 2013-05-16 Nai-Yue Lia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of compressive stress on a glass substrate and the glass substrate manufacturing by the method
JP2013156622A (ja) * 2012-10-19 2013-08-15 Tokai Kogaku Kk 表示装置用カバープレートの透過領域及び不可視領域の設定方法並びに表示装置用カバープレート
US9612492B2 (en) * 2013-11-26 2017-04-04 Apple Inc. Border masking structures for liquid crystal display
CN103985334B (zh) * 2014-05-04 2017-08-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系统以及设置有该透明显示系统的设备
TW201602851A (zh) * 2014-07-03 2016-01-16 勝華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與觸控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CN104409472A (zh) * 2014-11-25 2015-03-1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04862647B (zh) * 2015-05-13 2017-10-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掩膜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KR102632617B1 (ko) * 2016-08-08 2024-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스크 조립체,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KR20180083459A (ko) * 2017-01-12 2018-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용 마스크 어셈블리
CN107236927B (zh) * 2017-06-16 2019-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膜板模组、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07741870B (zh) * 2017-09-30 2020-07-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显示屏、以及控制显示屏显示的方法
CN108004504B (zh) 2018-01-02 2019-06-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掩膜板
CN108277473B (zh) * 2018-01-22 2020-05-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掩膜装置、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8648695B (zh) * 2018-05-14 2021-06-1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设备
CN108559948B (zh) * 2018-06-28 2023-10-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掩膜板、有机发光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166976B (zh) 2018-08-29 2020-10-30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掩膜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209070895U (zh) * 2018-11-07 2019-07-0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终端
CN109860435A (zh) * 2019-01-17 2019-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掩模板、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显示装置
CN110018610A (zh) * 2019-04-25 2019-07-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掩模板、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和显示装置
US20200357869A1 (en) * 2019-05-10 2020-1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438446B (zh) * 2019-07-31 2020-12-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掩模组件以及一种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57035B2 (en) 2024-04-09
JP2022541025A (ja) 2022-09-21
US20210367218A1 (en) 2021-11-25
EP3985142B1 (en) 2024-04-17
EP3985142A1 (en) 2022-04-20
TW202028857A (zh) 2020-08-01
EP3985142A4 (en) 2022-08-17
CN110438446A (zh) 2019-11-12
JP2023159097A (ja) 2023-10-31
WO2021017494A1 (zh) 2021-02-04
WO2021017494A8 (zh) 2022-01-20
CN110438446B (zh) 2020-12-29
TWI736193B (zh)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12113B (zh) 电致发光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电致发光显示装置
JP2019517009A (ja) アレイ基板、表示装置及び製造方法
US9488872B2 (en) Cell-assembled motherboard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6359650B2 (ja) アレイ基板、表示装置及びアレイ基板の製作方法
CN111338144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1164501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10135155A1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substrate
US11411059B2 (en) Display substrate motherboard with blocking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mother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substrate
US11847276B2 (en) Touch substrate and touch display device
KR20220019037A (ko) 마스크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CN105304642B (zh) 一种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US20160380005A1 (en) Array subs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0518020B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9679924B2 (en)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KR101878188B1 (ko) 스페이서 및 범프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593706B2 (en) Array substrate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array substrate assembly,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3985634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18205620A1 (zh)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0744406B1 (ko) 에프에프에스 모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187950B2 (en) Arr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0643938B (zh) 掩膜板组件
WO2022088102A1 (zh) 电极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133360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292040B (zh)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液晶面板及液晶显示屏
JP2024502220A (ja) 電極構造、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