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224A -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224A
KR20220017224A KR1020200097458A KR20200097458A KR20220017224A KR 20220017224 A KR20220017224 A KR 20220017224A KR 1020200097458 A KR1020200097458 A KR 1020200097458A KR 20200097458 A KR20200097458 A KR 20200097458A KR 20220017224 A KR20220017224 A KR 20220017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mbap
salmon
rice
meat
kimb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834B1 (ko
Inventor
양한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눔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눔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눔드림
Priority to KR102020009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8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를 이용하여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S1);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2); 및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생연어살을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SALMON GIMBAP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를 이용하여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를 김밥소로 이용함으로써 연어살의 식감 및 풍미를 맛볼 수 있고, 연어 뿐만 아니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의 유익한 성분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밥은 밥과 야채, 육류 등을 김에 말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사 대용식품으로 소비가 계속 증대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하다. 김밥은 김과 밥과 소(김밥에 들어가는 여러 가지 김밥재료, 김밥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김밥의 맛도 김과 밥과 김밥소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김밥은 그 맛이 좋고, 섭취가 간편하기 때문에 간식이나 소풍 등의 야외 나들이 시에는 물론, 일상생활에서도 식사대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기호에 따라 상기의 기본재료 외에도 김치, 참치, 치즈 등을 선택적으로 첨가하여 보다 다양한 맛을 내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김밥은 그 모양에 따라 밥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김으로 싼 삼각김밥, 어린이의 한 입에 들어갈 정도로 크기를 작게 만든 꼬마김밥, 재료를 김으로싸고 밥이 겉으로 나오게 한 누드김밥, 맨밥에 김을 싸고 반찬은 별도로 내는 충무김밥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김밥이 판매되고 있다.
김밥은 평평하게 펼친 김 위에 밥을 넓게 펼친 후 그 위에 김밥소를 올려놓고 김을 말아 제조한다. 이때 김밥소로 단무지, 계란지단, 당근, 햄, 시금치 등을 주로 사용하지만, 대개는 영양소가 한정되어 있고, 비교적 익숙해진 맛에 매출이 정체되어 있는 상태이고, 한식문화의 세계화에 김밥이 기여하는 바를 고려할 때, 새로운 관능성과 기호성을 제공하는 김밥소에 대한 연구가 지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연어(Salmon)는 하천에서 부화되어 바다로 나가 살다가 태어난 하천으로 돌아와 산란하는 모천 회귀성의 소하성 어류로서, 일생에 한번 산란하고 죽으며, 그 치어는 바다로 내려간 후 2~5년 만에 성숙하여 성어가 되어 산란 차 회귀한다.
이러한 연어는 다른 어류들에 비해 성장이 빠르고 번식력이 강하며 맛도 좋아 양식 대상 물고기로 인기가 있으며, 건강식품중의 하나로서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DHA 및 EPA 등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은 물론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혈액순환 개선, 면역기능 강화 및 두뇌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등 우리 몸 속에서 여러가지 이로운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연어는 류머티즘과 노인성치매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연어는 비타민 B군을 거의 다 함유하고 있어 위장 장애를 완화시켜 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은 물론 피로회복에도 좋아서, 미국 일간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푸드' 중 하나이다.
종래에 있어 연어는 주로 연기에 그을려 익히는 훈제 방식에 의해 가공된 훈제 연어로 많이 섭취하고 있고, 횟감으로도 이용하고 있으나 지방기가 많아 담백함이 떨어지므로 횟감으로의 소비는 많지 않은 형편에 있다. 또한, 연어는 고급요리 재료로 식탁을 풍성하게 해주는 것으로, 훈제, 샐러드, 스테이크로부터 일식 요리인 소금구이까지 다양한 방식의 요리로 즐기고 있으나, 가정에서 손쉽게 먹을 수 있기는 어려운 것으로, 가정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소비자들의 입맛도 다양해지고 까다로워지고 있다. 더욱이 청소년들의 간편식으로 널리 이용되는 김밥은 성장기의 청소년들에게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김밥이 식사대용 식품으로 영양분이 충분한 완전 식품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햄버거, 피자 등 각종 외래 음식들이 청소년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의 식생활 문화를 바꾸어 가고 있는 현실정에서 우리의 입맛에 맞고 영양의 공급도 충분하여 외래 음식에 대항할 수 있는 기능성을 지닌 간편식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김밥은 그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여 소비자들에게 식상하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단순히 연어가 함유되는 것이 아닌 새로운 레시피로 이루어지는 김밥의 개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4244호(2008.12.09)에는 김 위에 밥을 넓게 펼치는 단계; 참치 캔에 함유된 기름을 제거한 후, 30분~1시간 30분 동안 볶은 참치를 마요네즈와 혼합하는 단계; 마요네즈와 혼합된 참치를 포함하는 속 내용물을 밥 위에 얹은 후, 김을 말아서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치 김밥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0979호(2010.12.07)에는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밥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밥을 상온에서 식히는 단계; 상기 식은 밥을 김밥용 김 위에 골고루 펼쳐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밥위에 다른 속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역줄기 장아찌를 넣기 위해 다른 재료와 유사한 길이로 미역줄기 장아찌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배치된 다른 재료들 사이에 미역줄기 장아찌를 넣는 단계; 및 상기 미역줄기 장아찌를 포함하는 모든 김밥 속의 재료가 배치완료되면, 김밥속이 놓여진 김을 말아서 김밥모양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역줄기 장아찌를 이용한 김밥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8337호(2015.06.05)에는 청 청양고추(청땡초), 홍청양고추(홍땡초), 당근이 혼합된 땡초 소에 후추와, 식용유를 넣고 볶아 땡초 소를 제조하는 땡초 소 제조 공정과; 상기 땡초 소에 조미료와 건조 분말이 혼합된 분말 양념을 함께 넣은 다음 다시 볶는 양념 혼합 공정과; 상기 분말 양념이 혼합된 땡초 소를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과; 밥에 검정깨를 뿌린 다음 냉각된 땡초 소를 넣고 비비는 비빔 공정; 및 김 위에 상기 비벼진 밥을 펴 바른 다음 말아 땡초 김밥을 제조하는 땡초 김밥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6975호(2018.10.01)에는 김밥소로서 영양분이 풍부한 느타리 버섯이 포함되어 맛, 조직감 및 향 등 전체적인 식미 및 식감이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볶은 곡물 가루가 포함되어 고소한 맛이 더할 뿐만 아니라, 바삭한 식감이 우수하여 김밥의 풍미를 더하고, 다른 김밥소와의 맛의 조화를 이루어내는 느타리 버섯 및 볶은 곡물 가루를 포함하는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4244호(2008.12.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0979호(2010.12.0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8337호(2015.06.0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6975호(2018.10.0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를 이용하여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를 김밥소로 이용함으로써 연어살의 식감 및 풍미를 맛볼 수 있고, 연어 뿐만 아니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의 유익한 성분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S1);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2); 및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생연어살을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은, 상기 연어살을 포함하는 김밥소는,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고추 소스, 치즈, 맛살 및 치커리 잎사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은,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김밥소는, 상기 김밥용 김 중앙부에 양상추를 펼쳐 깔아주는 단계; 상기 양상추의 일측에는 상기 양배추를 펼쳐 깔아주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적채를 펼쳐 깔아주는 단계; 상기 양상추 위에 상기 생연어살을 올려주는 단계; 상기 생연어살을 토치로 구워 익히는 단계; 상기 구워 익힌 연어살에 고추 소스를 지그재그로 뿌려주는 단계; 상기 구워 익힌 연어살 위에 상기 치즈를 올려주는 단계; 상기 치즈 위에 상기 맛살을 올려주는 단계; 및 상기 맛살 위에 상기 치커리 잎사귀를 올려주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은,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김밥용 밥은, 상기 김밥용 밥에 초대리 소스를 혼합하여 만든 초대리 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은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를 이용하여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를 김밥소로 이용함으로써 연어살의 식감 및 풍미를 맛볼 수 있고, 연어 뿐만 아니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의 유익한 성분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에서 김밥용 김 위에 김밥소를 올려놓은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이하,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에서 김밥용 김 위에 김밥소를 올려놓은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은,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S1);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2); 및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생연어살을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 김밥 만드는 공지의 과정으로서 말이로 만든 김밥을 먹기 좋게 적당한 크기로 10~12개의 낱개 조각으로 썰어내는 과정 또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김밥용 밥의 준비 단계(S1);
쌀로 김밥용 밥을 짓는다. 김밥용 밥의 준비 단계(S1)는 쌀밥을 짓는 공지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용 밥은, 상기 김밥용 밥에 초대리 소스를 혼합하여 만든 초대리 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초대리 소스는 식초, 설탕, 소금을 혼합하여 조제되는데 식초:설탕:소금의 중량비는 1:0.5~1:0.2~0.3가 바람직하며, 김밥용 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대리 소스는 3~5 중량부를 넣고 골고루 비벼서 잘 혼합하여 제조한 초대리 밥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은 생연어살을 김밥소로 포함하므로 초대리 소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초대리 밥을 김밥용 밥으로 구성하게 되면 더욱 감칠 맛이 나서 바람직하다.
2.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2);
김밥용 김 위에 상기 S1 단계에서 준비한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준다.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2) 또한 공지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하는 단계(S3);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생연어살을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한다.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하는 단계(S3) 또한 공지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마지막으로 깨소금을 적당량 뿌려 데코레이션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는, 상기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고추 소스, 치즈, 맛살 및 치커리 잎사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를 구성하는 재료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김밥용 밥 위에 올려지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김밥용 김 중앙부에 양상추를 펼쳐 깔아주는 단계; 상기 양상추의 일측에는 상기 양배추를 펼쳐 깔아주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적채를 펼쳐 깔아주는 단계; 상기 양상추 위에 상기 생연어살을 올려주는 단계; 상기 생연어살을 토치로 구워 익히는 단계; 상기 구워 익힌 연어살에 고추 소스를 지그재그로 뿌려주는 단계; 상기 구워 익힌 연어살 위에 상기 치즈를 올려주는 단계; 상기 치즈 위에 상기 맛살을 올려주는 단계; 및 상기 맛살 위에 상기 치커리 잎사귀를 올려주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올려지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김밥용 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양상추 30~50 중량부, 상기 양배추 30~50 중량부, 상기 적채 30~50 중량부, 생연어살 40~60 중량부, 상기 고추 소스 10~20 중량부, 치즈 5~15 중량부, 맛살 20~30 중량부 및 치커리 잎사귀 5~15 중량부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생연어살은 냉동 생연어살을 해동하거나 또는 자연산 또는 양식산의 생연어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양상추는 생으로 김밥에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양상추는 서양 채소의 하나로서 생김새는 양배추와 비슷하나 훨씬 부드럽다는 점에서 식감에서는 차이가 있다. 주로 서양 요리에 많이 쓰이는 채소로, 샐러드나 샌드위치, 햄버거 등에 들어간다. 한국 요리에 따로 쓰이는 경우는 잘 없으나, 중국에서는 데쳐서 볶음 요리에 쓰이기도 한다. 식이섬유, 비타민이 풍부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양배추는 생으로 김밥에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양배추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즐겨먹던 채소로 지중해 연안과 서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요구르트, 올리브와 함께 서양의 3대 장수식품으로 꼽히는 식재료로 우리나라에는 19세기 후반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또한, 양배추는 비타민U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위염, 위궤양 등 소화기계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설포라판, 인돌-3카비놀 등의 성분이 풍부해 암발병을 억제하고 면역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포기에 80Kcal의 저칼로리 식품이면서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적채는 생으로 김밥에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적채(赤菜,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f. rubra) 또는 적양배추는 배추과에 속하는 양배추의 한 종류이다. 루비볼이라고도 불리는데 붉은색을 띠어 샐러드나 장식용으로 많이 쓰인다. 적채는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해서 먹기도 하지만 생으로 먹어도 맛있기 때문에 잘게 썰어 간식처럼 집어먹거나 다른 채소와 함께 샐러드로 즐기기 좋다. 일반적으로 양배추에 비하여 식물성 단백질인 라이신과 포도당, 비타민 등의 함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건강 채소로 꼽힌다.
적채에는 항소화성궤양인자인 비타민U가 풍부해 위궤양, 위염 등의 위장 질환 개선에 효과적이고, 간기능 회복에 효과적인 셀레늄이 풍부하여 간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다. 또한 적채에는 암 유발 촉진 인자를 억제하는 설포라판 성분이 들어 있어 암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동경경화를 억제하고, 수분 함량이 높고 비타민C가 많아 피부 미용에 좋을 뿐만 아니라 카로티노이드의 항산화 작용으로 피부 노화를 늦춰줄 수 있다.
또한, 적채에는 칼슘과 비타민K가 함유되어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안토시아닌 색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시력을 유지하고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여 눈 건강을 유지하는데도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치즈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특히 슬라이스 치즈 1장을 4등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맛살 또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특히 크랩 맛살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김밥소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치커리 잎사귀는 줄기 부분을 제거한 잎사귀만을 생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치커리는 그 종류만큼 색, 맛, 형태가 다양한 채소이다. 국내에서는 쌈채소, 샐러드 등 생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해외에서는 그릴에 굽거나 차로 만들어 음용하는 등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된다. 최근 외식업소에서 쌈채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데, 색, 맛, 형태가 다른 치커리를 함께 메뉴에 활용하는 것도 메뉴 차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치커리에는 인티빈(Intybin)이라는, 항산화, 소화 촉진,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조절 등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 들어있다. 이러한 기능성 때문에 치커리는 소화 기능 개선 및 피를 맑게 하는 민간 약재로 활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생연어살을 0.5~1.5℃의 쌀뜨물에 침지하여 1~2일 동안 숙성한 다음 물기를 제거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쌀뜨물에 저온 숙성함으로써 쌀뜨물에 녹아있는 섬유질가 비타민의 유효 성분을 흡수하고 생연어살 특히 냉동 후 해동한 생연어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린내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쌀뜨물에 의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의 온도 및 시간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쌀로 김밥용 밥을 짓는다.
(2) 약 20x27cm 크기의 김밥용 김 위에 김밥용 밥 100g을 올리고 골고루 펼쳐서 깔아준다.
(3) 김 중앙에 양상추 40~45g을 펼쳐서 깔아준다.
(4) 가운데 양상추를 기준으로 위쪽에는 양배추를, 아래쪽에는 적채를 30~33g 펼쳐서 깔아준다.
(5) 냉동 생연어살을 해동하여 김의 가로 길이 만큼 커팅하여 약 50g을 양상추 위에 올려준다.
(6) 생연어살을 토치로 구워 살짝 익혀준다.
(7) 구워 익힌 연어살에 고추 소스 약 15g을 지그재그로 뿌려준다.
(8) 구워 익힌 연어살 위에 슬라이스 치즈 1장을 4등분하여 2장을 일자로 올려준다.
(9) 치즈 위에 크랩 맛살 약 25g을 일자로 올려준다.
(10) 크랩 맛살 위에 줄기 부분을 제거한 치커리 잎사귀만을 약 9g 올려준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김밥용 김 위에 밥과 김밥소가 배치된 모습은 도 2와 같다.
(11) 손으로 김밥 말이한 다음, 마무리로 깨소금을 뿌려 데코레이션한다.
[실시예 1]의 (1)에서, 쌀로 김밥용 밥을 지은 다음, 밥 100g에 초대리 소스 3g을 넣고 골고루 비벼서 초대리 밥을 김밥용 밥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초대리 소스는 식초, 설탕, 소금을 1:0.5~1:0.2~0.3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5)에서, 냉동 생연어살을 0.5~1.5℃의 쌀뜨물에 침지하여 1~2일 동안 숙성한 다음 물기를 제거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김밥용 밥으로 쌀밥을, 그리고 김밥소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햄, 단무지, 시금지, 우엉을 넣은 김밥을 준비하여 [비교예 1]로 하였다.
[시험예 : 관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연어 김밥 및 [비교예 1]의 일반 김밥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성인 남녀 각 50명씩 총 100명의 소비자 패널을 선정하여 식감, 맛, 향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구분 식감 전체 기호도
실시예 1 7.0 7.1 7.1 7.0
실시예 2 7.1 7.3 7.4 7.3
실시예 3 7.6 7.5 7.7 7.6
비교예 1 5.3 5.2 5.3 6.0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생연어살, 채소를 김밥소로 구성함으로써 식감, 맛, 향, 그리고 전체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비교예 1]의 종래 일반 김밥에 비하여 훨씬 높게 평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김밥용 밥으로 초대리 밥을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서도 맛, 향 및 전체 기호도에서 더 높게 평가하였고, 생연어살을 쌀뜨물에 침지하여 저온 숙성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생연어살의 식감을 유지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의 경우보다 더욱 식감 및 풍미가 뛰어나 전체적으로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어 김밥은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채소를 이용하여, 생연어살의 식감 및 풍미를 맛볼 수 있고,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치커리 잎사귀 등의 유익한 성분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김밥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용 밥을 준비하는 단계(S1);
    김밥용 김 위에 상기 김밥용 밥을 펼쳐 깔아주는 단계(S2); 및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생연어살을 포함하는 김밥소를 올린 후 김밥 말이를 하여 김밥을 제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어살을 포함하는 김밥소는,
    상기 생연어살과, 양상추, 양배추, 적채, 고추 소스, 치즈, 맛살 및 치커리 잎사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김밥소는,
    상기 김밥용 김 중앙부에 양상추를 펼쳐 깔아주는 단계;
    상기 양상추의 일측에는 상기 양배추를 펼쳐 깔아주고, 그 타측에는 상기 적채를 펼쳐 깔아주는 단계;
    상기 양상추 위에 상기 생연어살을 올려주는 단계;
    상기 생연어살을 토치로 구워 익히는 단계;
    상기 구워 익힌 연어살에 고추 소스를 지그재그로 뿌려주는 단계;
    상기 구워 익힌 연어살 위에 상기 치즈를 올려주는 단계;
    상기 치즈 위에 상기 맛살을 올려주는 단계; 및
    상기 맛살 위에 상기 치커리 잎사귀를 올려주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김밥용 밥 위에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김밥용 밥은,
    상기 김밥용 밥에 초대리 소스를 혼합하여 만든 초대리 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
  5. 김밥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연어 김밥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어 김밥.
KR1020200097458A 2020-08-04 2020-08-04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247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58A KR102471834B1 (ko) 2020-08-04 2020-08-04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458A KR102471834B1 (ko) 2020-08-04 2020-08-04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224A true KR20220017224A (ko) 2022-02-11
KR102471834B1 KR102471834B1 (ko) 2022-11-30

Family

ID=8026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458A KR102471834B1 (ko) 2020-08-04 2020-08-04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8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602A (ko)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하나로푸드빌 홍국쌀을 이용하는 기능성 홍국 김밥 제조방법
KR20240010600A (ko) 2022-07-14 2024-01-24 주식회사 하나로푸드빌 강황쌀과 홍국쌀김을 이용한 강황 김밥 제조방법
KR20240013939A (ko) 2022-07-21 2024-01-31 주식회사 하나로푸드빌 루테인쌀과 홍국쌀김을 이용한 루테인 김밥 제조방법
KR20240015194A (ko) 2022-07-26 2024-02-05 주식회사 하나로푸드빌 클로렐라쌀과 홍국쌀김을 이용한 클로렐라 김밥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44B1 (ko) 2008-05-14 2008-12-16 이상철 참치 김밥의 제조방법
KR101000979B1 (ko) 2008-07-22 2010-12-13 조성영 미역줄기 장아찌를 이용한 김밥제조방법
KR101528337B1 (ko) 2014-09-26 2015-06-12 최석효 땡초 김밥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땡초 김밥
JP3202743U (ja) * 2015-12-09 2016-02-18 不二製油株式会社 香味油含有米飯加工食品
KR20180106975A (ko) 2017-03-17 2018-10-01 이은희 느타리 버섯 및 볶은 곡물 가루를 포함하는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44B1 (ko) 2008-05-14 2008-12-16 이상철 참치 김밥의 제조방법
KR101000979B1 (ko) 2008-07-22 2010-12-13 조성영 미역줄기 장아찌를 이용한 김밥제조방법
KR101528337B1 (ko) 2014-09-26 2015-06-12 최석효 땡초 김밥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땡초 김밥
JP3202743U (ja) * 2015-12-09 2016-02-18 不二製油株式会社 香味油含有米飯加工食品
KR20180106975A (ko) 2017-03-17 2018-10-01 이은희 느타리 버섯 및 볶은 곡물 가루를 포함하는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별미 연어요리, 연어김밥 만들기, 네이버블로그, [online] 2020.3.16. 공개 <URL: https://blog.naver.com/ssieie/221856378957>* *
소풍경김밥 창업 차별화의 시작, 네이버블로그, [online] 2019.4.25. 공개 <URL: https://blog.naver.com/ambition_jo/221522242943>* *
양배추 넉넉하게 넣어 연어 김밥 만들기, 네이버블로그, [online] 2013.12.10. 공개 <URL: https://blog.naver.com/sheryl4770/110181172106>*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602A (ko)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하나로푸드빌 홍국쌀을 이용하는 기능성 홍국 김밥 제조방법
KR20240010600A (ko) 2022-07-14 2024-01-24 주식회사 하나로푸드빌 강황쌀과 홍국쌀김을 이용한 강황 김밥 제조방법
KR20240013939A (ko) 2022-07-21 2024-01-31 주식회사 하나로푸드빌 루테인쌀과 홍국쌀김을 이용한 루테인 김밥 제조방법
KR20240015194A (ko) 2022-07-26 2024-02-05 주식회사 하나로푸드빌 클로렐라쌀과 홍국쌀김을 이용한 클로렐라 김밥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834B1 (ko)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834B1 (ko)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0905042B1 (ko) 고추를 함유한 양념장 및 이의 제조방법
CN1868334A (zh) 一种猪肉丸子食品的制备方法
KR20170037790A (ko) 과자 치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0171B1 (ko) 고춧가루를 함유한 조미료 조성물
KR101074354B1 (ko) 명란 소스 제조방법
KR102374177B1 (ko) 맛경채 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경채 만두
KR20200053094A (ko) 풍미가 뛰어난 짬뽕 및 짜장면의 제조방법
KR102006548B1 (ko) 콩나물 잡채의 제조방법
CN114304577A (zh) 糍粑辣椒、麻辣风味拌面酱、组合酱料包以及方便拌面
KR20020039526A (ko) 해물자장면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7001A (ko)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KR102593061B1 (ko) 김밥용 닭가슴살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닭가슴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6718A (ko) 김자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김자반
KR102348923B1 (ko) 사과건자두 퓨레를 이용한 김치 페이스트 제조방법
Waters Chez Panisse Pasta, Pizza, & Calzone: A Cookbook
TWI829214B (zh) 金沙苦瓜醬及其製作方法
KR102250473B1 (ko) 숙성 토마토 프레첼 빵 및 그 제조방법
KR102589390B1 (ko) 유부 초밥용 닭가슴살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닭가슴살 유부 초밥 및 그 제조방법
KR102405395B1 (ko) 오레가노 분말이 함유된 바베큐용 등갈비 제조방법
KR20110075073A (ko) 키조개 볶음 고추장의 제조방법
RU2759671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улинарного изделия &#34;Мини-рулеты из блинчиков&#34;
KR20160041069A (ko) 채소를 이용한 볶음 면 및 그 제조 방법
Stone Gluten-free Living: Simple, Delicious, Gluten-free Recipes for the Modern Family
KR20170139782A (ko) 매생이 찜닭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