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191A -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191A
KR20220003191A KR1020200080718A KR20200080718A KR20220003191A KR 20220003191 A KR20220003191 A KR 20220003191A KR 1020200080718 A KR1020200080718 A KR 1020200080718A KR 20200080718 A KR20200080718 A KR 20200080718A KR 20220003191 A KR20220003191 A KR 20220003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ed
uncoiler
roller
coi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360B1 (ko
Inventor
이중길
Original Assignee
태양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양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3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는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가 안착된 후 후방으로 인출되어 공급되게 하는 언코일러; 및 상기 언코일러의 후방에 위치되고, 소재를 공급받아 미리 설정된 길이를 절단하는 컷팅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언코일러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면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Cutting device of coil pipe}
본 발명은 코일형태로 감긴 상태에서 인출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배기관이나 머플러는 차량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무행거를 매개로 별도의 행거로드에 의해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행거로드의 일단은 차량의 프레임에 용접결합되고, 타단에는 고무행거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행거로드는 직선형태의 소재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후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직선형태의 소재를 절단함으써 소재의 손실이 많이 발생하여 원자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를 언와인더에 안착시킨 후 소재를 언와인딩 후 이송시키면서 컷터를 통해 소재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컷팅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컷팅장치는 소재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의 손실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의 특성상 절단된 소재는 직진도가 낮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소재를 직선화하기 위해 별도의 작업을 해야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함과 동시에 소재의 직진도를 교정할 수 있어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가 안착된 후 후방으로 인출되어 공급되게 하는 언코일러; 및 상기 언코일러의 후방에 위치되고, 소재를 공급받아 미리 설정된 길이를 절단하는 컷팅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언코일러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면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를 포함하는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팅유니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절단된 소재가 반출되게 하는 소재 반출 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코일러와 상기 컷팅유니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상기 컷팅유니트로 공급되는 소재의 굽힘을 교정하는 교정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유니트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안착부에 안착된 소재를 상기 컷팅유니트로 초기 공급시 상기 소재의 선단부가 상기 교정유니트를 통과한 후 상기 컷팅유니트에 공급되게 하는 소재 도입유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재 도입유니트는, 상기 교정유니트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바디; 상기 공간부의 내부 소정 위치에 상기 바디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되는 승하강판과, 상기 승하강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승하강판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승하강판과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갖는 작동블록; 일단이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의 상부 외측에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된 핸들을 갖는 작동부; 상기 승하강판과 상기 지지판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결합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지축에 결합된 제1 롤러를 갖는 가압부; 및, 상기 교정유니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제2 롤러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함과 동시에 소재의 직진도를 교정할 수 있어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코일 파이프 커팅장치의 언코일러 및 컷팅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언코일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I-III' 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교정유니트와 소재 도입유니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재 도입유니트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소재 도입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소재 도입유니트의 단면도.
도 9는 도 2의 컷팅유니트의 후단부 및 소재 반출 유니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컷팅유니트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코일 파이프 커팅장치의 언코일러 및 컷팅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는 언코일러(100), 컷팅유니트(200), 교정유니트(300), 소재 도입유니트(400), 소재 반출 유니트(500)를 포함한다.
이하, 소재(도 2의 1)가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재(1)가 진행하여 나가가는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후방에 반대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언코일러(100)는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가 안착된 후 후방으로 인출되어 공급되게 한다.
컷팅유니트(200)는 언코일러(100)의 후방에 위치되어, 언코일러(100)의 소재안착부(130)에 안착된 소재를 공급받아 소재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한다.
컷팅유니트(200)는 이송 부재(210), 컷터(220) 및 소재 전달 부재(도 9의 230)를 포함한다. 이송 부재(210)는 소재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한다. 일 예로, 이송 부재(210)는 컨베이어 벨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컷터(220)는 이송 부재(210)에 의한 이송 경로의 후단부에 위치되어, 소재를 절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언코일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II-III' 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언코일러(100)는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가 안착된 후 인출되어 컷팅유니트(200)로 공급되게 하는 것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며 중심부에 회전축(112)이 구비된 받침대(110)와, 받침대(110)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면이 회전축(112)에 결합되는 회전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130)를 갖는다.
또한, 받침대(110)의 내부에는 회전축(11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부재(14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속도조절부재(140)는 회전축(112)의 축선방향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회전판(141)과, 회전판(14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된 마찰부재(142)와, 회전판(141)으로부터 이격되어 하측단부가 받침대(110)의 내부 상면에 힌지결합되고, 상측단부가 마찰부재(142)의 양단부와 결합되는 작동링크(143)와, 일단이 작동링크(143)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받침대(1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는 체결홀(144a)이 형성된 작동바(144)와, 체결홀(144a)에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타단이 받침대(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작동축(145) 및, 받침대(110)의 외측에 위치되어 작동축(145)의 타단에 결합된 작동핸들(146)를 포함한다.
마찰부재(142)는 회전판(14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며, 양단부가 작동링크(143)의 상측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드(142a)와, 지지패드(142a)의 일측면에 회전판(141)의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결합된 마찰패드(142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자가 작동핸들(146)을 회전시키면 작동축(145)이 회전을 하면서 작동축(145)에 나사결합된 작동바(144)가 작동축(145)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동바(144)가 작동축(145)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작동링크(143)의 상측단부가 받침대(110)의 반경방향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마찰부재(142)가 회전판(141)의 외주면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됨에 따라 회전축(112)의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즉, 언코일러(100)의 회전프레임(120)에 설치된 소재의 중량변화에 따라 작업자가 회전프레임(1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소재안착부(130)에 안착된 소재가 인출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교정유니트와 소재 도입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교정유니트(300)는 언코일러(100)와 컷팅유니트(200) 사이에 설치되어 언코일러(100)로부터 컷팅유니트(200)로 공급되는 소재의 굽힘을 교정한다.
교정유니트(300)는 언코일러(100)와 컷팅유니트(200)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대(310)와, 받침대(310)의 상부면 일측에 받침대(310)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소재의 진행 경로의 수평면을 따라 복수개의 수평롤러(322)가 구비되어 소재의 수평면상의 굽힘을 교정하는 수평교정부(320) 및, 수평교정부(3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소재의 진행 경로의 수직면을 따라 복수개의 수직롤러(332)가 구비되어 소재의 수직면상 굽힘을 교정하는 수직교정부(330)를 포함한다.
수평교정부(320)는 복수개의 수평롤러(322)가 소재의 진행경로를 따라 지그재그로 설치되며, 복수개의 수평롤러(322)가 지그재그로 엇갈려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경우{즉, 평면상에서 소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수평롤러(322)가 위치되는 경우}에는 소개가 복수개의 수평롤러(322)를 통과하면서 굽혀져 있는 소재는 복수개의 수평롤러(322)에 의해 굽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소재의 진행 방향의 수평면에 대하여 직선으로 교정된다.
또한, 수평교정부(320)의 복수개의 수평롤러(322)는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게 제공되어, 소재의 굽힘 정도가 큰 경우는 그 사이 간격을 좁게 하여 소재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 경우 소재의 자체 탄성에 의해 굽은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
소재는 수평교정부(320)를 통과한 후 또는 그에 앞서 수직교정부(330)로 공급된다.
수직교정부(330)는 소재의 진행 경로의 수직면을 따라 복수개의 수직롤러(332)가 구비되어 소재의 수직면상 굽힘을 교정하는 것으로서, 수직교정부(330)의 복수개의 수직롤러(332)는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수직롤러(332)가 소재의 진행경로를 따라 지그재그로{즉, 수직면상에서 수직롤러(332)가 소재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위치되게} 설치된다.
수직교정부(330)의 작용은 상술한 수평교정부(320)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재 도입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소재 도입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소재 도입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소재 도입유니트(400)는 교정유니트(30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소재안착부(130)에 안착된 소재를 컷팅유니트(200)로 초기에 공급할 때 소재의 선단부가 효과적으로 설정 경로를 따라 컷팅유니트(200) 방향으로 공급되게 하는 것으로서, 바디(410), 작동블록(420), 작동부(430), 가압부(440), 구동부(450)를 포함한다.
바디(410)는 기본 골격이 되는 것으로서, 교정유니트(300)의 받침대(3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412)와, 좌측면과 우측면에 공간부(412)와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된 개구부(414)를 갖는다.
작동블록(420)은 공간부(412)의 내부 소정 위치에 바디(410)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416)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되는 승하강판(422)과, 승하강판(422)으로부터 이격되어 승하강판(422)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지지판(424)과, 승하강판(422)과 지지판(424)을 연결하는 연결판(426)을 갖는다.
작동부(430)는 일단이 연결판(426)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바디(410)의 상부 외측에 위치되는 회전축(432)과, 회전축(432)의 타단에 결합된 핸들(434)로 이루지며, 핸들(434)의 회전방향에 따라 작동블록(420)이 바디(410)의 높이방향으로 승하강된다.
가압부(440)는 승하강판(422)과 지지판(424)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442)과, 지지축(442)에 결합된 피동기어(444)와, 피동기어(444)로부터 이격되어 지지축(442)에 결합된 제1 롤러(446)를 갖는다.
구동부(450)는 교정유니트(300)의 받침대(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동축(452a)을 갖는 구동모터(452)와, 피동기어(444)와 치합가능하도록 구동축(452a)에 결합되는 구동기어(454)와, 제1 롤러(446)의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구동축(452a)에 결합된 제2 롤러(456)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소재 도입유니트(400)의 작동은 소재안착부(130)에 안착된 소재의 선단부를 제2 롤러(456)의 외주면 상에 위치시킨 후, 작동블록(420)이 제2 롤러(456)를 향해 하강하도록 작동부(430)의 핸들(434)을 회전시키면 가압부(440)가 작동부(430)와 함께 하강을 하게된다.
가압부(440)가 작동부(430)와 함께 하강을 하게 되면 가압부(440)의 제1 롤러(446)의 외주면이 제2 롤러(456)의 외주면과 맞닿게 됨과 동시에 제2 롤러(456)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 소재의 선단부가 제1 롤러(446)와 제2 롤러(456)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제1 롤러(446)가 제2 롤러(456)의 외주면과 맞닿게 되면 제1 롤러(446)와 동축 상에 위치된 피동기어(444)가 제2 롤러(456)와 동축 상에 위치된 구동기어(454)와 기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452)를 구동시키면 구동축(452a)에 결합된 구동기어(454)와 제2 롤러(456)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기어(454)에 치합된 피동기어(444)로 구동모터(452)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지지축(442)이 회전을 하게 됨에 따라 제1 롤러(446)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롤러(446)와 제2 롤러(456)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소재의 선단부는 교정유니트(300)로 공급된 후 컷팅유니트(200)로 공급된다.
이때, 소재의 선단부가 컷팅유니트(200)에 공급되면 작업자는 작동블록(420)이 최초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작동부(430)의 핸들(434)을 회전시키면 가압부(440)가 작동부(430)와 함께 승강을 하게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기어(454)에 치합된 피동기어(444)가 구동기어(454)로부터 이격되어 치합상태가 해제되고, 제2 롤러(456)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는 제1 롤러(446)가 제2 롤러(456)로부터 이격되어 소재의 가압상태가 해제되고, 소재는 컷팅유니트(200)에 구비된 피더기(미도시)에 의해 계속해서 공급되어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다.
아울러, 승하강판(422)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가이드롤러(428)가 제2 롤러(456)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롤러(428)는 소재의 선단부가 컷팅유니트(200)에 공급된 후 제1 롤러(446)가 제2 롤러(456)로부터 이격되도록 바디(410)의 상측으로 상승되었을 때 제2 롤러(456)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 소재를 제2 롤러(456)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즉, 소재가 컷팅유니트(200)에 구비된 피더기에 의해 컷팅유니트(200)로 자동으로 공급될 때 제2 롤러(456)의 외주면과 소재의 외주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소재의 외주면에 상게 롤러 자국과 같은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소재 도입유니트(400)의 바디(410)의 우측면에는 가이드부(46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460)는 바디(410)의 우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바디(410)에 형성된 개구부(414)와 연통되는 관통부(462a)가 형성된 몸체부(462)와, 관통부(462a)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소재의 상측과 하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상부안내롤러(464) 및 하부안내롤러(466)를 포함한다.
그리고, 몸체부(462)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전술한 컷팅유니트(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바(46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위치바(468)의 외주면에는 지지롤러(468a)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바(468)는 몸체부(462)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컷팅유니트(200)로 공급되는 소재의 상측 일부영역에 지지되고 있다가 언코일러(100)로부터 공급되는 소재의 마지막 단부가 상부안내롤러(464) 및 하부안내롤러(466)를 통과하여 더 이상 소재의 상부 일부영역에 지지되지 못하고 지면을 향해 회전된 경우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부가 컷팅유니트(200)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2의 컷팅유니트의 후단부 및 소재 반출 유니트(5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컷팅유니트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소재 전달 부재(230)는 컷터(2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절단된 소재(1)를 후방으로 전달한다. 소재 전달 부재(230)는 상부 및 전후방이 개방되고, 내측 저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전달홈(231)이 형성되게 제공된다. 소재 전달 부재(230)의 저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설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절단된 후 소재 전달 부재(230)로 반입된 소재(1)는, 전달홈(231)에 의해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된 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전달홈(231)은 좌우 방향으로 복수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소재 전달 부재(230)의 저면에는 설정 길이를 가지고,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제공되는 로드가 폭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로드 사이에 전달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소재 반출 유니트(500)는 컷팅유니트(200)의 후방에 위치되어, 설정 길이로 절단된 소재(1)가 반출되게 한다.
소재 반출 유니트(500)는 지지 부재(501), 반출 이송 부재(510) 및 노즐(540)을 포함한다.
지지 부재(501)는 소재 반출 유니트(500)의 하부 구조를 제공한다. 지지 부재(501)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설정 길이를 가지고, 수평면 상에서 전후방에 대해 수직한 좌우 방향으로 설정 폭을 갖는다. 지지 부재(501)의 폭방향 양측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레일부(505)가 형성된다. 지지 부재(501)의 상부의 전단 및 후단에는 위쪽으로 설정 길이 돌출된 스토퍼(506)가 위치된다.
반출 이송 부재(5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설정 길이를 가지고, 수평면 상에서 전후방에 대해 수직한 좌우 방향으로 설정 폭을 갖는다. 반출 이송 부재(510)는 지지 부재(501)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반출 이송 부재(510)의 저면에는 좌우 방향 양측에 롤러(511)가 제공될 수 있다. 롤러(511)는 전후 방향 양단에 각각 제공되고, 레일부(505)를 따라 이동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511)의 이동 구간은 스토퍼(506)에 의해 제한된다. 반출 이송 부재(510)와 지지 부재(501)는 탄성 부재(520a, 520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520a, 520b)는 제1 탄성 부재(520a) 및 제2 탄성 부재(520b)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520a)는 반출 이송 부재(510)의 전방 영역 측면과 지지 부재(501)의 전단 상부를 연결한다. 제2 탄성 부재(520b)는 반출 이송 부재(510)의 후방 영역 측면과 지지 부재(501)의 후단 상부를 연결한다. 반출 이송 부재(510)는 구동 부재(530)와 연결되어, 반출 이송 부재(510)는 구동 부재(530)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반복 이동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부재(501)의 중앙 내측은 설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되고, 모터로 제공되는 구동 부재(530)는 지지 부재(501)의 측면에 관통 삽입된 되게 위치된 후, 반출 이송 부재(51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의 회전 방향의 전환에 따라, 반출 이송 부재(510)는 전후 방향으로 반복 이동된다.
반출 이송 부재(510)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설정 폭을 가지고, 전후 방향을 따라 이송홈(512)이 형성된다. 이송홈(512)의 저면은 메쉬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반출 이송 부재(510)는 이송홈(512)의 폭 방향 양측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 지게 제공될 수 있다.
반출 이송 부재(510)의 전방 단부에는 반출 투입부(515)가 제공된다. 반출 투입부(515)의 전후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상방으로 라운드진 구조로 제공된다. 반출 투입부(515)의 전방 단부는 소재 전달 부재(230)의 후단부 아래쪽에 위치되고, 반출 투입부(515)의 후단은 좌우 방향 중앙이 이송홈(512)과 정렬되게 위치된다. 반출 투입부(515)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설정 각도 경사지게 제공된다.
반출 이송 부재(510)의 후방 단부에는 반출 배출부(516)가 제공된다. 반출 배출부(516)는 설정 면적을 가지고, 좌우 방향 양단이 위쪽으로 설정 길이 돌출되게 제공된다. 반출 이송 부재(510)의 상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설정 각도 하방으로 경사지게 제공된다. 반출 배출부(516)의 상면 전단은 이송홈(512)의 후단과 정렬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이송홈(512)의 후단으로 이동된 소재는 반출 배출부(516)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후방으로 배출된다.
노즐(540)은 반출 이송 부재(5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된다. 노즐(540)은 반출 이송 부재(510) 상면으로 공기 등과 같은 기체를 분사 가능하게 제공된다. 노즐(540)은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제공될 수 있다. 노즐(540)은 이송되는 소재(1)를 향해 기체를 분사하여, 소재(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소재(1)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 및 기체는 이송홈(512)의 저면의 메쉬를 통해 아래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언코일러 110: 받침대
120: 회전프레임 130: 소재안착부
200: 컷팅유니트 210: 이송 부재
220: 컷터 230: 소재 전달 부재
300: 교정유니트 320: 수평교정부
330: 수직교정부 400: 소재 도입유니트
410: 바디 424: 지지판
460: 가이드부 500: 소재 반출 유니트
501: 지지 부재 510: 반출 이송 부재

Claims (5)

  1. 전방 단부에 위치되어,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가 안착된 후 후방으로 인출되어 공급되게 하는 언코일러; 및
    상기 언코일러의 후방에 위치되고, 소재를 공급받아 미리 설정된 길이를 절단하는 컷팅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언코일러는,
    중심부에 회전축이 구비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면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코일형태로 감긴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를 포함하는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유니트의 후방에 위치되어, 절단된 소재가 반출되게 하는 소재 반출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러와 상기 컷팅유니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상기 컷팅유니트로 공급되는 소재의 굽힘을 교정하는 교정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유니트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안착부에 안착된 소재를 상기 컷팅유니트로 초기 공급시 상기 소재의 선단부가 상기 교정유니트를 통과한 후 상기 컷팅유니트에 공급되게 하는 소재 도입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도입유니트는,
    상기 교정유니트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좌측면과 우측면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바디;
    상기 공간부의 내부 소정 위치에 상기 바디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되는 승하강판과, 상기 승하강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승하강판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승하강판과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갖는 작동블록;
    일단이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의 상부 외측에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된 핸들을 갖는 작동부;
    상기 승하강판과 상기 지지판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결합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지지축에 결합된 제1 롤러를 갖는 가압부; 및,
    상기 교정유니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제1 롤러의 외주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제2 롤러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KR1020200080718A 2020-07-01 2020-07-01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KR10246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18A KR102469360B1 (ko) 2020-07-01 2020-07-01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18A KR102469360B1 (ko) 2020-07-01 2020-07-01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191A true KR20220003191A (ko) 2022-01-10
KR102469360B1 KR102469360B1 (ko) 2022-11-23

Family

ID=7934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718A KR102469360B1 (ko) 2020-07-01 2020-07-01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3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51B1 (ko) * 2005-09-14 2006-02-21 유은미 재생 굵은골재 미분 제거장치
KR101305480B1 (ko) * 2011-06-10 2013-09-06 김대성 리본와이어 제조설비의 리본와이어 압연장치
KR200476507Y1 (ko) * 2013-09-23 2015-03-05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파이프 교정장치
KR20160088454A (ko) * 2015-01-15 2016-07-26 주식회사 나이스맥 와이어 롤 피딩장치
JP2016144822A (ja) * 2015-02-09 2016-08-12 奄美工業株式会社 線材の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51B1 (ko) * 2005-09-14 2006-02-21 유은미 재생 굵은골재 미분 제거장치
KR101305480B1 (ko) * 2011-06-10 2013-09-06 김대성 리본와이어 제조설비의 리본와이어 압연장치
KR200476507Y1 (ko) * 2013-09-23 2015-03-05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파이프 교정장치
KR20160088454A (ko) * 2015-01-15 2016-07-26 주식회사 나이스맥 와이어 롤 피딩장치
JP2016144822A (ja) * 2015-02-09 2016-08-12 奄美工業株式会社 線材の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360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28215A (ja) 1対の回転可能なロ−ルの間の間隙内にフオイル状薄肉材料を送入する装置を備えた処理装置
JPH0337838B2 (ko)
KR20220003191A (ko)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KR101997576B1 (ko) 조관기용 멀티 커팅 시스템
US4722255A (en) Sheet cutting and transporting system
EP0676274B1 (en) Sheet material butt-joining apparatus
JPH061403Y2 (ja) 板状体折曲げ装置
JP2021074730A (ja) 鉄筋切断装置及び鉄筋切断方法
US5154687A (en) Rotary accumulator for pallet stringers or decking members
KR101559354B1 (ko) 타이어의 정렬 장치
KR102026588B1 (ko) 개별 부품이동장치를 이용한 연속 프레스가공시스템
JPH0348024B2 (ko)
JP5192379B2 (ja) 切断装置用供給装置
JP3617919B2 (ja) プレス材搬送装置
US3752949A (en) Apparatus for cage rolling and welding
JPS6186305A (ja) プレ−ト搬送装置
KR102210042B1 (ko)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WO2006059862A9 (en) Automatic loading and supplying apparatus for roll matter
JPH08267145A (ja) コルゲートパイプのセクションの反り矯正装置
KR101402664B1 (ko) 교정장치
KR102456092B1 (ko) 식재료 이송장치
KR910009689B1 (ko) 유연성을 가지는 피공급물의 공급장치
JP2677410B2 (ja) 搬送装置を有する処理設備
JP2908414B1 (ja) 梱包用スキッドの製造装置
JPH10114316A (ja) 袋押込み式敷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