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664B1 -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교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2664B1 KR101402664B1 KR1020120102860A KR20120102860A KR101402664B1 KR 101402664 B1 KR101402664 B1 KR 101402664B1 KR 1020120102860 A KR1020120102860 A KR 1020120102860A KR 20120102860 A KR20120102860 A KR 20120102860A KR 101402664 B1 KR101402664 B1 KR 1014026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 deformable member
- deformable
- movable
- movable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06—Disassembling, repairing or modifying dynamo-electric machin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6—Centering rotors within the stator; Balancing rotors
- H02K15/165—Balancing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는 프레임바디 및 상기 가변부재를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쓸어올리며 형상을 교정토록, 상기 가변부재의 양측에 밀착하여, 높이차를 가지며 진행되게 상기 프레임바디에 제공되는 스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스윕수단은 적어도 교정구간에서는 상기 가변부재 이송방향의 사선방향으로 폐곡선을 형성하며 진행되게 상기 가변부재의 양측면에 제공되는 이동교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교정체는 벨트 또는 체인으로 제공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스윕수단은 적어도 교정구간에서는 상기 가변부재 이송방향의 사선방향으로 폐곡선을 형성하며 진행되게 상기 가변부재의 양측면에 제공되는 이동교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교정체는 벨트 또는 체인으로 제공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변부재를 이송방향의 사선방향으로 쓸어올려 연속적인 상기 가변부재 형상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카본 브러쉬 심지와 같은 가변부재는 그 형상이 가변적이어서 조립시에 형상을 전체 제품에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형성 형상을 교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가변부재의 일측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변부재의 형상을 검사장치가 검사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교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가변부재의 생산시에 가변부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부재를 부착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가변부재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가변부재의 형상을 교정하여 조립공정에 제공하거나, 검사장치에 제공하였기 때문에, 공정의 생산성을 저하되거나, 검사장치에 의한 검사데이터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상기 가변부재의 형상교정을 위해서는 전체공정을 일시중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정 전체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가변부재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고 하여도, 상기 가변부재의 이송을 중단하고 교정작업을 실시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낮은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가변부재를 설정된 하나의 형상으로만 교정할 수 있을 뿐, 필요로 하는 장치 또는 공정에 따라 다르게 상기 가변부재의 형상을 교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가변부재의 형상을 교정할 수 있는 동시에, 연속적인 형상의 교정도 가능한 발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부재의 형상을 교정하기 위해, 상기 가변부재의 이송방향의 사선방향으로 상기 가변부재를 쓸어올려 연속적으로 형상을 교정하는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는 프레임바디 및 가변부재를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쓸어올리며 형상을 교정토록, 상기 가변부재의 양측에 밀착하여, 높이차를 가지며 진행되게 상기 프레임바디에 제공되는 스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스윕수단은 적어도 교정구간에서는 상기 가변부재 이송방향의 사선방향으로 폐곡선을 형성하며 진행되게 상기 가변부재의 양측면에 제공되는 이동교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교정체는 벨트 또는 체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스윕수단은 상기 이동교정체에 내접하며, 상기 가변부재 유입측의 상기 프레임바디에 제공되는 전단회전부재 및 상기 전단회전부재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상기 이동교정체에 내접하며, 상기 가변부재 유출측의 상기 프레임바디에 제공되는 후단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스윕수단은 상기 이동교정체가 상기 가변부재에 밀착하도록, 상기 전단회전부재와 상기 후단회전부재 사이에 상기 가변부재를 지지하게 제공되는 지지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이동교정체에는 상기 가변부재를 쓸어올리는 방향으로 스윕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이동교정체에는 상기 가변부재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전단회전부재 및 상기 후단회전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교정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가변부재는 형상이 변화가능한 가변부위 및 형상이 고정된 가변부재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윕수단은 상기 가변부재의 상향 이탈을 방지토록, 상기 가변부재의 상기 가변부재바디를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는 상기 이동교정체의 이송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가변부재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바디의 하측에 제공되는 지지이송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지지이송벨트는 상기 이동교정체의 속도보다 크거나 작은 이송속도를 제공하며, 상기 가변부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지지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상기 스윕수단의 사선진행방향을 조절토록, 상기 스윕수단과 연계되게 상기 프레임바디에 제공되는 사선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는 가변부재의 형상을 교정할 수 있어, 가변부재의 조립 또는 가변부재 일측의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가변부재의 형상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의해, 공정의 중단 없이 상기 가변부재를 이송시키면서 형상을 교정할 수 있어, 가변부재 형상교정의 효율성 또는 공정 전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한다.
한편, 상기 가변부재의 교정되는 형상을 상기 가변부재의 이송속도 또는 이송각도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에 의해, 가변부재의 형상교정뿐만 아니라, 형상의 설정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벨트에 스윕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벨트에 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단롤러 또는 후단롤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 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이송벨트와 가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선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한 교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벨트에 스윕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벨트에 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단롤러 또는 후단롤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 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이송벨트와 가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선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한 교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1)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정장치(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는 프레임바디(100) 및 가변부재(2)를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쓸어올리며 형상을 교정토록, 상기 가변부재(2)의 양측에 밀착하여, 높이차를 가지며 진행되게 상기 프레임바디(100)에 제공되는 스윕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의 상기 스윕수단(200)은 적어도 교정구간에서는 상기 가변부재(2) 이송방향(path line: PL)의 사선방향(diagonal line: DL)으로 폐곡선을 형성하며 진행되게 상기 가변부재(2)의 양측면에 제공되는 이동교정체(23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교정체(230)는 벨트 또는 체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의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이동교정체(230)에 내접하며, 상기 가변부재(2) 유입측의 상기 프레임바디(100)에 제공되는 전단회전부재(210) 및 상기 전단회전부재(110)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상기 이동교정체(230)에 내접하며, 상기 가변부재(2) 유출측의 상기 프레임바디(100)에 제공되는 후단회전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의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이동교정체(230)가 상기 가변부재(2)에 밀착하도록, 상기 전단회전부재(210)와 상기 후단회전부재(220) 사이에 상기 가변부재(2)를 지지하게 제공되는 지지롤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의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및 상기 후단회전부재(2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형상에 대응되는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정장치(1)는 가변부재(2)를 이송방향(PL)의 사선방향(DL)으로 쓸어올려 연속적인 형상의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가변부재(2)의 조립 또는 가변부재(2) 일측의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가변부재(2)의 형상을 설정된 형상으로 교정하여 조립공정에 투입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거나, 검사공정에 투입하여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속적으로 가변부재(2)의 형상을 교정할 수 있어, 공정의 중단 없이 상기 가변부재(2)를 이송시키면서 형상을 교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변부재(2) 형상교정의 효율성 또는 공정 전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한다.
한편, 상기 가변부재(2)의 교정되는 형상을 상기 가변부재(2)의 이송속도 또는 이송각도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어, 상기 가변부재(2)의 형상교정뿐만 아니라, 형상의 설정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프레임바디(100)는 본 발명의 교정장치(1)의 기본이 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이후에 설명할 스윕수단(200), 사선각도조절수단(300)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바디(100)는 상측에 제공되는 상부프레임(110)과 하측에 제공되는 하부프레임(12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스윕수단(200)이 상기 가변부재(2)의 이송방향(PL)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윕수단(200)의 구동롤러(28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스윕수단(2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윕수단(200)이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윕수단(200)의 롤러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상부프레임(110c, 110d) 및 제2상부프레임(110a, 110b) 등으로 세분화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스윕수단(200)이 상기 가변부재(2) 이송방향(PL)의 사선방향(DL)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사선방향(DL)으로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가변부재(2)의 형상을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변부재(2)의 이송경로 상에 제공되어, 상기 가변부재(2)와 밀착하며, 상기 가변부재(2)의 이송방향(PL)과 사선인 방향(DL)으로 움직이게 동작하여,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재바디(2b)에 제공된 가변부위(2a)를 스윕방향(sweep direction: SD)인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쓸어올리며, 상기 가변부재(2)의 형상을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써, 상기 가변부재(2)가 상기 스윕수단(200)으로 접근하며 유입할 때에는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가변부재(2)의 일측부인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위(2a) 하단부와 접촉하고 있으나, 상기 가변부재(2)가 상기 스윕수단(200)에서 유출될 때에는 상기 가변부재(2)의 타측부인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위(2a) 상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가변부재(2)와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변부재(2)는 상기 스윕수단(200)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측으로 쓸어올려지며 형상을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윕수단(200)은 전단회전부재(210), 후단회전부재(220) 및 이동교정체(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단회전부재(210)는 상기 가변부재(2)가 유입되는 상기 상부프레임(110)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후단회전부재(220)는 상기 가변부재(2)가 유출되는 상기 상부프레임(110)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단회전부재(220)는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부재(2) 이송방향(PL)의 사선방향(DL)으로 상기 이동교정체(230)를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단회전부재(210)와 상기 후단회전부재(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이동교정체(230)가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및 상기 후단회전부재(220)에 의해 상기 가변부재(2) 이송방향(PL)의 사선방향(DL)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또는 상기 후단회전부재(220)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단프레임 또는 상기 후단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또는 상기 후단회전부재(220)는 후술할 스윕 가이드(231) 또는 접촉돌기(2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이동교정체(230)와 접하는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윕 가이드(231) 또는 상기 접촉돌기(232)가 기어의 이(teeth)와 같은 역할을 하고,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또는 상기 후단회전부재(220)의 접촉면은 상기 스윕 가이드(231) 또는 상기 접촉돌기(232)와 맞물려 작동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또는 상기 후단회전부재(220)와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작동이 미끄러짐 없이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상기 이동교정체(230)는 상기 가변부재(2)에 밀착하며 상기 가변부재(2)를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쓸어올리며 상기 가변부재(2)의 형상을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동교정체(230)는 상기 가변부재(2)의 양측에 밀착하여 상기 가변부재(2)를 잡고서 상기 가변부재(2)를 스윕방향(SD)으로 쓸어올리며 형상을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교정체(230)는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및 상기 후단회전부재(220)를 내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가변부재(2)의 양측에 밀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변부재(2)의 형상 교정 자동화를 위해 교정장치을 상하로 왕복하게 제공하여 형상교정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교정장치가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반복해야하기 때문에, 형상교정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기구적 작동이 복잡하여 장치의 내구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가변부재(2)의 교정장치로 제시한 교정장치(1)는 왕복에 의한 형상의 교정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상기 가변부재(2)와 접하며 작동하는 상기 이동교정체(230)가 상기 가변부재(2)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상기 가변부재(2)를 쓸어올리며 형상을 교정하기 때문에, 복수 개의 가변부재(2)를 이송과정 중에 연속적으로 형상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스윕수단(200)의 상기 이동교정체(230)는 왕복 등이 필요하지 않고, 기구적인 구성이 복잡하지 않아서, 장치의 내구성이 좋은 장점도 있다.
상기 이동교정체(230)에는 상기 스윕 가이드(231) 또는 접촉돌기(2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 또는 도 5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가변부재(2)가 상기 이동교정체(230)에 의해서 밀착되어 교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교정체(230)가 상기 가변부재(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롤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240)는 상기 전단회전부재(210)와 상기 후단회전부재(2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교정체(230)에 내접하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24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단회전부재(210)와 상기 후단회전부재(220) 사이에 밀착하여 제공되는 것이 상기 가변부재(2)를 지지하며 이송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롤러(240)는 상기 상부프레임(110)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가변부재(2)를 쓸어올리며 상기 가변부재(2)의 형상을 교정하는 경우에, 상기 가변부재(2)의 상측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 가이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가변부재(2)의 형상 교정시에 교정되는 형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지이송벨트(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이동교정체(2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280)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에 내접하며,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및 상기 후단회전부재(220)와 연계되어 상기 이동교정체(2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롤러(280)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제공되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구동원과의 연결은 기어, 체인 또는 밸트 등의 구동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보조롤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롤러(270)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에 외접하여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상기 후단회전부재(220) 또는 상기 구동롤러(280)가 내접하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내측으로 상기 이동교정체(230)를 가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벨트에 스윕 가이드(231)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벨트에 접촉돌기(232)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전단롤러 또는 후단롤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의 상기 이동교정체(230)에는 상기 가변부재(2)를 쓸어올리는 방향으로 스윕 가이드(2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의 상기 이동교정체(230)에는 상기 가변부재(2)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접촉돌기(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윕 가이드(231)는 상기 가변부재(2)와 접하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위(2a)를 쓸어올리는 방향(SD)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동교정체(230)에 접하는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위(2a)가 설정된 형상으로 교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윕 가이드(23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써, 상기 스윕 가이드(231)는 상기 가변부재(2)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윕 가이드(231)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외측뿐만 아니라,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또는 상기 후단회전부재(220)가 제공되는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또는 상기 후단회전부재(220)에도 상기 스윕 가이드(231)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다.
상기 접촉돌기(232)도 상기 가변부재(2)와 접하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촉돌기(232)는 상기 가변부재(2)와의 접촉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윕 가이드(231)는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위(2a)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가변부위(2a)가 상기 스윕 가이드(231)를 따라서 스윕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접촉돌기(232)는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위(2a)와 직접 접촉하여 가압력을 높이게 제공되는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돌기(232)는 상기 가변부재(2)의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폭방향에 나란히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길이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돌기(232)도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외측뿐만 아니라,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또는 상기 후단회전부재(220)가 제공되는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단회전부재(210) 또는 상기 후단회전부재(220)에는 상기 접촉돌기(232)에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 가이드(250)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의 상기 가변부재(2)는 형상이 변화가능한 가변부위(2a) 및 형상이 고정된 가변부재바디(2b)를 포함하며, 상기 스윕수단(200)은 상기 가변부재(2)의 상향 이탈을 방지토록, 상기 가변부재(2)의 상기 가변부재바디(2b)를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250)는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위(2a)가 상기 이동교정체(230)에 밀착되어 상측으로 쓸어올려질 때, 상기 가변부재(2)가 상기 이동교정체(230)를 따라서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교정장치(1)는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재바디(2b)를 가이드하며 상향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250)에는 상기 가변부재바디(2b)가 걸리도록 이탈방지턱(25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써, 상기 이탈방지턱(251)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이송벨트(260)와 가변부재(2)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이송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가변부재(2)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바디(100)의 하측에 제공되는 지지이송벨트(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의 상기 지지이송벨트(260)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속도보다 크거나 작은 이송속도를 제공되며, 상기 가변부재(2)의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지지탭(2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이송벨트(260)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가변부재(2)의 하측면이 안착되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지지이송벨트(260)는 상기 이동교정체(230)가 없더라도 상기 가변부재(2)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상기 이동교정체(230)와의 속도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이동교정체(230)보다 빠르거나 느리게도 속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위(2a)가 교정되는 형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의 (a)는 상기 이동교정체(230)와 상기 지지이송벨트(260)의 속도가 동일할 경우에 상기 가변부위(2a)가 상측으로 똑바로 교정된 실시예이고, 도 8의 (b)는 하측의 지지이송벨트(260)가 상측의 이동교정체(230) 보다 빠르게 상기 가변부재(2)를 이송시키는 경우에 상기 가변부위(2a)가 상기 가변부재바디(2b)에서 후방으로 기울어져 교정된 실시예이다.
또한, 도 8의 (c)는 하측의 지지이송벨트(260)가 상측의 이동교정체(230)보다 느리게 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가변부위(2a)가 상기 가변부재바디(2b)에서 전방으로 기울어져 교정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이송벨트(260)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변부재(2)의 교정 형상을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이송벨트(260)와 상기 이동교정체(230)의 속도가 다른 경우에 상기 가변부재(2)가 상기 지지이송벨트(26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이송벨트(260)에는 지지탭(2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탭(261)은 상기 지지이송벨트(260)에 안착되는 상기 가변부재(2)의 길이에 맞추어 제공되는 것이 상기 가변부재(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선각도조절수단(300)을 포함한 교정장치(1)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1)의 상기 스윕수단(200)의 사선진행방향을 조절토록, 상기 스윕수단(200)과 연계되게 상기 프레임바디(100)에 제공되는 사선각도조절수단(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선각도조절수단(300)은 상기 가변부재(2) 이송방향(PL)의 사선방향(DL)으로 제공되는 상기 스윕수단(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변부재(2)의 가변부위(2a) 높이에 따라서, 상기 스윕수단(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사선각도조절수단(300)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사선각도조절수단(300)은 상기 하부프레임(120)과 힌지연결된 힌지부(310) 및 상기 스윕수단(2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310)는 상기 상하구동부(320)에 의해 상기 스윕수단(200)의 일단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타단부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윕수단(200)을 사선방향(DL)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구동부(320)는 상기 스윕수단(200)의 일단부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하구동부(32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제공되거나, 전기모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교정장치(1)는 모터의 카본 브러쉬를 교정하는 것이 유용하다. 즉, 가변부재(2)로써 상기 카본 브러쉬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 브러쉬의 일단부는 모터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브러쉬 섬유를 하나의 단위소재로 용접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를 검사장치에서 검사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교정장치(1)는 상기 카본 브러쉬 검사장치에서 상기 카본 브러쉬의 검사가 용이하도록, 상기 카본 브러쉬의 심지를 일(一)자로 교정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가변부위(2a)는 상기 카본 브러쉬의 심지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장치(1)는 상기 카본 브러쉬를 모터와 조립하기 위해, 상기 카본 브러쉬의 심지를 일자로 교정하여 제공할 수도 있어, 상기 카본 브러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 : 교정장치 2 : 가변부재
100: 프레임바디 110: 상부프레임
120: 하부프레임 200: 스윕수단
210: 전단회전부재 220: 후단회전부재
230: 이동교정체 231: 스윕 가이드
232: 접촉돌기 240: 지지롤러
250: 이탈방지 가이드 251: 이탈방지턱
260: 지지이송벨트 261: 지지탭
270: 보조롤러 280: 구동롤러
300: 사선각도조절수단 310: 힌지부
320: 상하구동부
100: 프레임바디 110: 상부프레임
120: 하부프레임 200: 스윕수단
210: 전단회전부재 220: 후단회전부재
230: 이동교정체 231: 스윕 가이드
232: 접촉돌기 240: 지지롤러
250: 이탈방지 가이드 251: 이탈방지턱
260: 지지이송벨트 261: 지지탭
270: 보조롤러 280: 구동롤러
300: 사선각도조절수단 310: 힌지부
320: 상하구동부
Claims (11)
- 프레임바디; 및
가변부재를 일측부에서 타측부로 쓸어올리며 형상을 교정토록, 상기 가변부재의 양측에 밀착하여, 진행되게 상기 프레임바디에 제공되는 스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스윕수단은 상기 가변부재 이송방향의 사선방향으로 진행되게, 전단부와 후단부가 높이차를 가지게 제공되는 교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수단은 적어도 교정구간에서는 상기 가변부재 이송방향의 사선방향으로 폐곡선을 형성하며 진행되게 상기 가변부재의 양측면에 제공되는 이동교정체;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교정체는 벨트 또는 체인으로 제공되는 교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수단은,
상기 이동교정체에 내접하며, 상기 가변부재 유입측의 상기 프레임바디에 제공되는 전단회전부재; 및
상기 전단회전부재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상기 이동교정체에 내접하며, 상기 가변부재 유출측의 상기 프레임바디에 제공되는 후단회전부재;
를 더 포함하는 교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수단은 상기 이동교정체가 상기 가변부재에 밀착하도록, 상기 전단회전부재와 상기 후단회전부재 사이에 상기 가변부재를 지지하게 제공되는 지지롤러;
를 더 포함하는 교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정체에는 상기 가변부재를 쓸어올리는 방향으로 스윕 가이드가 형성된 교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정체에는 상기 가변부재와의 마찰력을 높이도록, 접촉돌기가 형성된 교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회전부재 및 상기 후단회전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교정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접촉면을 제공하는 교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재는 형상이 변화가능한 가변부위 및 형상이 고정된 가변부재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윕수단은 상기 가변부재의 상향 이탈을 방지토록, 상기 가변부재의 상기 가변부재바디를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교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정체의 이송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가변부재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바디의 하측에 제공되는 지지이송벨트;
를 더 포함하는 교정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이송벨트는 상기 이동교정체의 속도보다 크거나 작은 이송속도를 제공하며, 상기 가변부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지지탭이 형성된 교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윕수단의 사선진행방향을 조절토록, 상기 스윕수단과 연계되게 상기 프레임바디에 제공되는 사선각도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는 교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2860A KR101402664B1 (ko) | 2012-09-17 | 2012-09-17 | 교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2860A KR101402664B1 (ko) | 2012-09-17 | 2012-09-17 | 교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7376A KR20140037376A (ko) | 2014-03-27 |
KR101402664B1 true KR101402664B1 (ko) | 2014-06-05 |
Family
ID=5064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2860A KR101402664B1 (ko) | 2012-09-17 | 2012-09-17 | 교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26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90292B (zh) * | 2021-09-16 | 2022-07-01 | 徐州康翔精密制造有限公司 | 一种电机外壳同轴矫正固定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568Y2 (ja) * | 1990-02-21 | 1994-03-09 | 株式会社富士カーボン製造所 | モータブラシ製造装置 |
JPH07183075A (ja) * | 1993-12-22 | 1995-07-21 | Toraisu Kk | リード線付きブラシの圧縮成形装置 |
JP2005051946A (ja) | 2003-07-30 | 2005-02-24 | Totan Kako Kk | カーボンブラシ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
KR20110005675A (ko) * | 2008-04-16 | 2011-01-18 | 도탄카코 가부시키가이샤 | 리드 선 매입 장치 및 리드 선 매입 방법 |
-
2012
- 2012-09-17 KR KR1020120102860A patent/KR1014026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568Y2 (ja) * | 1990-02-21 | 1994-03-09 | 株式会社富士カーボン製造所 | モータブラシ製造装置 |
JPH07183075A (ja) * | 1993-12-22 | 1995-07-21 | Toraisu Kk | リード線付きブラシの圧縮成形装置 |
JP2005051946A (ja) | 2003-07-30 | 2005-02-24 | Totan Kako Kk | カーボンブラシ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
KR20110005675A (ko) * | 2008-04-16 | 2011-01-18 | 도탄카코 가부시키가이샤 | 리드 선 매입 장치 및 리드 선 매입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7376A (ko) | 2014-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1033B1 (ko) | 점착성 밴드의 밴드 부분을 절단 및 접합하는 장치 및 방법 | |
NL1024009C2 (nl) | Loopvlakapplicatieinrichting. | |
JP2010519060A (ja) | 切断装置 | |
JP2008094427A (ja) | 製袋包装システム | |
EP2799219A1 (en) | Belt layer feeding frame and feeding method thereof | |
KR20200132725A (ko) | 필름 절단 시스템 및 방법 | |
JP6074622B2 (ja) | スプライシング装置及びスプライシング装置における部品テープの送り方法 | |
JP5172497B2 (ja) | 鉄筋加工装置 | |
JP5633676B2 (ja) | 補強コード入りゴムシート材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1402664B1 (ko) | 교정장치 | |
JP4893675B2 (ja) | ベルト部材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 |
JP2962647B2 (ja) | シート状材料の突合せ接合装置 | |
JP4983676B2 (ja) | ベルト材の切断供給装置および方法 | |
JPS5911236A (ja) | シ−ト状材料の接合装置 | |
JP6439379B2 (ja) | 基板加工装置 | |
JPH08118514A (ja) | 帯状部材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 |
JP2005111564A (ja) | 板状要素を機械加工するワーキングステーション | |
KR101559354B1 (ko) | 타이어의 정렬 장치 | |
KR20220023565A (ko) | 슬리팅 장치 | |
JP6439716B2 (ja) | 基板加工装置 | |
CN105541093B (zh) | 基板加工装置 | |
JP4167003B2 (ja) | 加硫済トレッド部材の切断方法 | |
CN209599975U (zh) | 纸袋排列机构 | |
KR101770163B1 (ko) |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 |
KR102328486B1 (ko) | 면봉 포장 가압 이송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