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092B1 - 식재료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식재료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6092B1 KR102456092B1 KR1020210055434A KR20210055434A KR102456092B1 KR 102456092 B1 KR102456092 B1 KR 102456092B1 KR 1020210055434 A KR1020210055434 A KR 1020210055434A KR 20210055434 A KR20210055434 A KR 20210055434A KR 102456092 B1 KR102456092 B1 KR 1024560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supply line
- moving
- shaft
- bas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08—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pus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86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근채류를 포함한 식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식재료와의 컨베이어 사이를 분리함으로써,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분비물에 의한 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재료가 이송되는 공급라인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배치되고 공급라인을 따라 연장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체인에 설치되어 이송체인 회전에 따라 컨베이어의 양 선단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으로 연장되는 로드, 상기 로드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에 위치하여 공급라인에 놓인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키는 밀대, 상기 로드를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밀대를 공급라인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는 식재료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근채류 등의 식재료를 가공하기 위한 설비에 구비되어 식재료를 이송하는 식재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무 등의 근채류를 포함한 식재료는 조리 방법이나 요리 종류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조각을 내어 사용될 수 있다.
통상 가정에서는 그 사용량이 많지 않아 주부들이 직접 칼이나 간단한 기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존하여 식재료를 절단한다. 그런데, 대량의 식재료를 처리해야 하는 공장이나 대형 음식점 등의 경우 수작업으로는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기계화를 통한 절단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량의 근채류를 절단설비의 칼날로 기계적으로 이송하여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제2019-0129769호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식재료 가공 컨베이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 제2019-0139789호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또 다른 식재료 가공 컨베이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장치는 컨베이어를 통해 대상물을 칼날조립체로 밀어줌으로써, 회전되는 칼날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절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보다 신속하게 대량으로 근채류를 절단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장치들은 모두 식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오염을 피할 수 없는 구조로, 고장이 빈번하여 실제 사용이 어려웠다. 더욱이 고온의 식재료나 수분이 많은 식재료를 절단하는 경우 하부로 증기나 액체가 흐르면서 오염이 가속되어 설비가 보다 빨리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 들어, 식재료 사업이 커지면서 근채류 외에 다양한 식재료에 대한 절단작업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맞춰 장치를 개선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줄 수 있다.
본 과제는 근채류를 포함한 식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식재료와의 컨베이어 사이를 분리함으로써,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분비물이나 액상 부산물 등에 의한 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식재료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식재료 공급라인에서 이격된 상태에서도 식재료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가공할 수 있도록 된 식재료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식재료를 이송하여 가공을 완료한 후 공급라인을 포함하여 가공설비의 여타 구조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고 간섭을 방지하면서 식재료에서 분리될 수 있는 식재료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이송장치는, 재료가 이송되는 공급라인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배치되고 공급라인을 따라 연장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체인에 설치되어 이송체인 회전에 따라 컨베이어의 양 선단 사이를 이동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으로 연장되는 로드, 상기 로드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에 위치하여 공급라인에 놓인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키는 밀대, 상기 로드를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밀대를 공급라인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재료가 이송되도록 이송홈이 형성된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 출측에 배치되어 식재료를 절단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가공설비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라인을 따라 식재료를 칼날부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공설비는 상기 공급라인을 따라 연장되고 양 측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식재료를 눌러주는 단부를 이루는 누름부재, 상기 프레임 상부에 수직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재에 연결되어 누름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대는 상기 누름부재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단부가 지나가는 절결홀이 형성되어, 근채류를 누르는 상기 누름부재의 단부와 간섭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공급라인을 따라 양 선단부에 설치되는 구동축과 피동축, 상기 구동축과 피동축의 양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스프로켓휠과 피동스프로켓휠,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스프로켓휠과 피동스프로켓휠 사이에 체결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 상기 이송체인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부재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밀대로 식재료를 밀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부재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재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규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규제부는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축부재를 중심으로 베이스부재 이동방향의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선단부재, 상기 선단부재에 설치되는 휠,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연장 설치되어 상기 휠을 받쳐 지지하는 레일, 상기 컨베이어의 선단부에서 컨베이어의 하부쪽 복귀구간과 상부쪽 이동구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휠을 상기 레일 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는 베이스부재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상단브라켓과 하단브라켓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에는 상기 로드가 설치되는 원통체, 상기 이동축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통체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플랜지,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원통체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기, 상기 원통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맞물려 돌기의 이동로를 이루는 캠홈, 상기 이동축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상단브라켓과 상기 원통체 상단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이동축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홈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선단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축의 상하 이동시 원통체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로드에 설치된 밀대를 공급라인 또는 컨베이어 상에 위치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축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축을 밀어올리기 위한 원형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캠에 접하는 롤러 또는 볼캐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홈은 축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캠홈은 축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된 나선홈부와, 상기 나선홈부 상단에서 상부를 향해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공급라인에서 필요시 상기 밀대를 상기 컨베이어로 이동시켜 제거하는 중간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이동부는 상기 이동축 상단에 설치되는 안내롤러, 상기 안내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컨베이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안내롤러를 받쳐 지지하며 안내롤로의 이동로를 이루는 가이드부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승시켜 안내롤러가 설치된 이동축을 들어 올리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이동부는 상기 이동축의 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컨베이어를 따라 연장되는 승강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어 승강판을 상승시켜 이동축을 들어 올리는 수직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식재료 가공설비의 식재료 공급라인과 식재료 공급라인으로부터 식재료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가 완전히 분리 및 이격되어 있어, 공급라인의 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국물 등의 액상 분비물이 컨베이어에 직접 접촉되어 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장치가 오염되고 손상되는 것을 막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장치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보다 청결한 위생 상태에서 식재료를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식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가 식재료 공급라인에서 이격된 상태에서도 식재료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식재료 이송 완료 후 식재료를 밀어 이송시키는 밀판이 가공설비와 간섭없이 분리됨으로써, 연속적인 이송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식재료 가공설비에 설치된 식재료 이송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이송장치의 분리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이송장치의 분리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이송장치의 분리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이송장치의 분리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이송장치의 분리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이송장치의 분리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는 무 등의 식재료를 복수개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식재료 절단 설비에 설치되어 식재료를 이송하는 식재료 이송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식재료 절단장치 외에 다양한 설비에 결합되어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식재료 가공설비에 설치된 식재료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식재료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이하 설명에서, 도 1에서 y축 방향은 상하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또한, 도 1에서 z축 방향은 측방향이라 하고, z축 방향을 따라 양쪽을 측 또는 측부라 한다. 또한, 도 1에서 x축은 식재료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전후방향이라 하고, x축을 따라 식재료가 이동되는 쪽을 출측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입측이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200)는, 식재료를 절단 가공하는 가공설비(100)에 결합되어 절단 대상물인 식재료를 이송한다.
가공설비(100)는 예를 들어,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재료가 이송되도록 이송홈(114)이 형성된 공급라인(112), 공급라인(112) 출측에 배치되어 식재료를 절단하는 칼날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설비는 별도로 동력원을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각 구성부를 고정 및 지지한다. 프레임(110)의 구조나 형태 또는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공급라인(112)은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공급라인(112)을 따라 예를 들어 V자 형태로 함몰된 이송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식재료는 공급라인(112)의 이송홈(114)에 놓인 상태로 이송홈(114)을 따라 이동되어, 공급라인(112)의 출측에 위치한 칼날부(116)를 지나면서 조각으로 절단된다.
공급라인(112)은 상기한 구조 외에 롤러 컨베이어나 벨트 컨베이어와 같이 외부 구동력에 의해 식재료를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200)는 공급라인(112)을 따라 칼날부(116)로 이동된 식재료에 최종적으로 압력을 가해 칼날부(116)를 통과시키며 절단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가공설비(100)는 공급라인(112)을 따라 연장되고 양 측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식재료를 눌러주는 단부(122)를 이루는 누름부재(120), 프레임(110) 상부에 수직 설치되고 누름부재(120)에 연결되어 누름부재(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재(120)는 공급라인(112)을 따라 출구쪽에 배치될 수 있다. 누름부재(120)는 공급라인(112)의 이송홈(114) 위쪽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식재료의 폭방향을 향하는 양 측 단부(122)는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아래로 향해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이송홈(114)을 따라 길게 연장된 두 개의 단부(122)가 식재료를 전체적으로 위에서 눌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재료는 칼날부(116)를 지나는 과정에서 누름부재(120)의 단부(122)에 의해 눌려져 이송홈(114)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확히 절단될 수 있다.
작동실린더(124)는 신축 구동되어 누름부재(120)를 필요시 상하로 이동한다. 작동실린더(124)가 신장 구동되면 누름부재(120)가 하강하여 단부(122)가 식재료를 눌러 이송홈(114)에 고정한다. 작동실린더(124)가 수축 구동되면 누름부재(120)가 상승되고 단부(122)는 식재료에서 위로 이격된다. 작동실린더(124)는 이송장치(200)의 구동에 맞춰 신축 구동되어 이송장치(20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가공설비(100)와 이송장치(200)는 컨트롤패널을 통해 동작 제어되어 자동으로 운전되거나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송장치(200)는 상기한 가공설비(100)에서 이격 배치되어, 공급라인(112)을 따라 재료를 칼날부(116)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200)는, 식재료가 이송되는 공급라인(112)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배치되고 공급라인(112)을 따라 연장된 컨베이어(210), 컨베이어(210)의 이송체인(215)에 설치되어 이송체인(215) 회전에 따라 컨베이어(210)의 양 선단 사이를 이동하는 베이스부재(220), 베이스부재(220)에 설치되고 공급라인(112)으로 연장되는 로드(222), 로드(222) 선단에 설치되고 공급라인(112)에 위치하여 공급라인(112)에 놓인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키는 밀대(224), 로드(222)를 공급라인(112)과 컨베이어(210)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밀대(224)를 공급라인(112)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200)는 가공설비(100)의 식재료 공급라인(112)으로부터 컨베이어(210)가 완전히 분리 및 이격되어 있어, 공급라인(112)의 식재료로부터 발생되는 국물 등의 분비물이나 고열에 컨베이어(21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식재료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장치가 오염되고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210)는 베이스부재(220)를 이동시킨다. 이에, 베이스부재(220)에 로드(222)를 매개로 연결되어 공급라인(112)의 이송홈(114)에 위치한 밀대(224)가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식재료를 이송할 수 있다.
컨베이어(210)는 공급라인(112)을 따라 양 선단부에 설치되는 구동축(211)과 피동축(212), 구동축(211)과 피동축(212)의 양 선단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스프로켓휠(213)과 피동스프로켓휠(214), 구동축(211)에 설치되어 구동축(211)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216), 구동스프로켓휠(213)과 피동스프로켓휠(214) 사이에 체결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215), 이송체인(215) 사이를 연결하며 베이스부재(220)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재(217)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210)는 대략 가공설비(100)의 공급라인(112)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공급라인(112)의 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급라인(112)을 따라 출측과 입측에 각각 구동축(211)과 피동축(212)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축(211)의 양 선단에 설치된 한 쌍의 구동스프로켓휠(213)과 피동축(212)의 양 선단에 설치된 한 쌍의 피동스프로켓휠(214) 사이에 각각 이송체인(215)이 결속된다. 이에, 구동모터(216)가 작동되면 이송체인(215)이 회전되고, 이송체인(215)에 설치된 베이스부재(220)가 이송체인(21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컨베이어(210)의 구동에 따라 이송체인(215)은 전후방향을 따라 공급라인(112)의 입측에서 출측으로 이동되고, 구동스프로켓을 지나 방향이 전환되어 공급라인(112) 출측에서 입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이송체인(215)에 설치된 베이스부재(220) 역시 공급라인(112)의 입측에서 출측으로 이동된 후, 구동스프로켓휠(213)을 지나면서 방향 전환되어 공급라인(112)의 출측에서 입측으로 복귀하고, 다시 입측에서 출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체인(215)을 따라 베이스부재(220)가 연속적으로 이동과 복귀를 반복하면서, 베이스부재(220)에 연결된 밀대(224)가 식재료를 공급라인(112)의 입측에서 출측의 칼날부(116)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베이스부재(220)는 한 쌍의 이송체인(215) 사이에 연결된 축부재(217)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두 이송체인(21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재(220)가 하나의 축부재(217)를 매개로 이송체인(215)에 연결되어 있어서, 이송체인(215)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210) 양 선단에서 이송체인(215)이 구동스프로켓휠(213)이나 피동스프로켓휠(214)을 지나며 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베이스부재(220)가 이송체인(215)과의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송체인(21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송체인(215)에는 복수개의 베이스부재(22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215)에는 3개의 베이스부재(22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3개의 베이스부재(220)에 설치된 밀대(224)가 연속적으로 공급라인(112) 입측으로 이동되면서 공급라인(112)에 놓인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체인(215)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220)의 개수는 식재료의 종류나 설비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로드(222)는 베이스부재(220)에 결합되어 공급라인(112) 상으로 연장된다. 로드(222)는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구조물로, 베이스부재(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로드(222)의 회전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로드(222)의 외측 선단에 밀대(224)가 설치된다. 이에, 이송체인(215)을 따라 베이스부재(220)가 이동되면 로드(222) 선단에 설치된 밀대(224)가 이동되면서 공급라인(112)의 이송홈(114)에 놓인 식재료를 밀어주게 된다.
밀대(224)는 공급라인(112)의 이송홈(114)에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밀대(224)의 하단은 대략 공급라인(112)의 이송홈(114)과 대응되는 형태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밀대(224)가 이송홈(114)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식재료를 효과적으로 밀어 줄 수 있다. 밀대(224)는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형태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대(224)는 누름부재(120)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단부가 지나가는 절결홀(225)이 형성되어, 식재료를 누르는 누름부재(120)의 단부와 간섭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누름부재(120)가 하강되어 식재료를 고정한 상태에서 밀대(224)는 누름부재(120)와 간섭없이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절결홀(225)은 식재료를 누르는 누름부재(120)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단부와 접촉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밀대(224)가 식재료를 밀어 줌에 따라 식재료는 이송홈(114)을 따라 이동되어 공급라인(112)의 출측에 설치된 칼날부(116)를 통과하면서 조각으로 절단된다.
본 실시에의 컨베이어(210)는 밀대(224)로 식재료를 밀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축부재(217)에 대한 베이스부재(220)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규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밀대(224)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어 식재료를 효과적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규제부는 베이스부재(220)에 설치되어 축부재(217)를 중심으로 베이스부재(220) 이동방향의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선단부재(230), 선단부재(230)에 설치되는 휠(231), 컨베이어(210)를 따라 연장 설치되어 휠(231)을 받쳐 지지하는 레일(232), 컨베이어(210)의 선단부에서 컨베이어(210)의 하부쪽 복귀구간과 상부쪽 이동구간 사이에 설치되어 휠(231)을 레일(232) 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바(233)를 포함할 수 있다.
선단부재(230)는 베이스부재(220)의 측방향 양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베이스부재(220)에 대해 이동방향을 따라 뒤쪽으로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두 선단부재(230)에 휠(231)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휠(231)은 컨베이어(210)를 따라 배치된 레일(232)에 지지된다.
레일(232)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휠(23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컨베이어(210)의 입측에서 출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에, 베이스부재(220)는 축부재(217)를 중심으로 이동방향의 반대쪽에 위치한 휠(231)이 레일(232) 상에 받쳐 지지된 상태가 되어 이동방향의 반대쪽으로 밀려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베이스부재(220)에 로드(22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밀대(224)가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식재료에 밀려 베이스부재(220)가 축부재(217)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232)은 컨베이어(210)의 상부쪽에만 설치되어, 베이스부재(220)가 공급라인(112)의 입측에서 출측으로 이동하면서 밀대(224)가 식재료를 이동하는 경우에만 휠(231)을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220)가 방향을 전환하여 공급라인(112)의 입측으로 복귀하는 컨베이어(210)의 하부쪽에는 베이스부재(220)의 휠(231)을 받쳐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컨베이어(210)의 하부쪽에는 레일(232)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부재(220)가 입측으로 복귀하는 컨베이어(210)의 하부쪽에서는, 이송체인(215)의 축부재(217)에 설치된 베이스부재(220)가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이송체인(215)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바(233)는 원호형태로 굽어진 구조로, 일단은 공급라인(112)의 입측에서 레일(232) 선단과 연결되며 타단은 컨베이어(210)의 하부로 연장된다. 이에, 이송체인(215)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부재(220)가 방향을 전환하여 컨베이어(210)의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이동시 베이스부재(220)의 선단부재(230)에 설치된 휠(231)이 가이드바(233) 외주면을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베이스부재(220)가 방향을 전환하면서 휠(231)은 가이드바(233)를 따라 레일(232) 위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부재(220)는 컨베이어(210)에 수직 상태로 세워지고 뒤쪽의 선단부재(230)에 설치된 휠(231)은 레일(232) 상에 놓여 지지되며, 로드(222)에 설치된 밀대(224)가 공급라인(112)의 이송홈(114) 내에 수직 상태로 세워져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20)는 선단부재(230)에 설치된 휠(231)이 레일(232)에 놓여 지지된 상태로, 이동방향의 반대쪽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컨베이어(210)의 구동에 따라 베이스부재(220)에 연결된 밀대(224)가 식재료를 공급라인(112)의 출측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후에는, 베이스부재(220)는 방향을 전환하여 컨베이어(210) 아래쪽으로 이동된 후 입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베이스부재(220)에 설치되어 공급라인(112)쪽으로 연장된 로드(222)와 밀대(224)가 컨베이어(210)쪽으로 이동됨으로써, 공급라인(112) 출측 설비와의 충돌과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컨베이어(210)의 구동에 따라 베이스부재(220)가 원활하게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200)는 위치이동부를 구비하여, 공급라인(112)의 출측에 도달한 밀대(224)를 공급라인(112)의 이송홈(114)에서 컨베이어(210)쪽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공급라인(112) 출측에 배치된 칼날부(116)와 밀대(224)의 간섭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베이스부재(22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의 위치이동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이동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위치이동부는, 베이스부재(220)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상단브라켓(226)과 하단브라켓(227)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축(240), 이동축(240)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에는 로드(222)가 설치되는 원통체(250), 이동축(240)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원통체(250)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플랜지(241), 베이스부재(220)에 고정 설치되고 원통체(25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기(252), 원통체(250) 외주면에 형성되고 돌기(252)와 맞물려 돌기(252)의 이동로를 이루는 캠홈(254), 이동축(240)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단브라켓(226)과 원통체(250) 상단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이동축(240)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2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구동부가 이동축(240)을 상승시키게 되면 원통체(250)가 이동축(240)과 함께 위로 상승되고, 원통체(250)에 형성된 캠홈(254)이 베이스부재(220)에 고정 설치된 돌기(252)를 지나가면서 원통체(250)가 이동축(24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원통체(250)에 설치된 로드(222) 및 로드(222)에 설치된 밀대(224)가 공급라인(112)에서 컨베이어(210)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는 이동축(24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구동축(211)에 설치되어 이동축(240)을 밀어올리기 위한 원형캠(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베이스부재(220)가 공급라인(112) 출측 쪽에 배치된 컨베이어(210)의 구동축(211)에 도달하면 구동축(211)에 설치된 원형캠(260)에 의해 이동축(240)이 밀려 위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원형캠(260)은 원판 구조물로, 외주면이 평면을 이루어 이동축(240) 하단과 접할 수 있다. 원형캠(260)의 직경은 이동축(240)을 원하는 높이로 밀어올릴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축(240)은 베이스부재(220)의 상단브라켓(226)과 하단브라켓(227)에 지지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동축(240)은 하부에 설치된 플랜지(241)가 하단브라켓(227)에 걸려 있는 상태로 하단브라켓(227)을 관통하여 아래로 빠지지 않는다.
이동축(240)은 하단브라켓(227)을 관통하여 베이스부재(220)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이동축(240)의 하단에는 원형캠(260)에 접하는 볼캐스터(262) 또는 롤러(2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롤러(262) 또는 볼캐스터(264)를 매개로 이동축(240)이 원형캠(260)의 외주면에 보다 원활하게 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동축(240)은 원형 단면 형태의 바 구조물일 수 있다. 이동축(240)은 원통체(250)가 회전되는 축으로 작용한다. 이동축(240)은 상하로 직선 운동할 수 있고, 자체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축(240)은 축방향을 따라 키홈(242)이 길게 연장 형성되고, 베이스부재(220)에는 이동축(240)의 키홈(242) 위치에 맞춰 키볼트(243)가 돌출 형성되어 키홈(242)에 맞물린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이동축(240)은 키홈(242)에 맞물린 키볼트(243)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지 않고 상하로만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원통체(250)는 이동축(240)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축(24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24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원통체(250)는 이동축(240)에 형성된 플랜지(241)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축(240)에 결합된다. 이에, 원통체(250)는 이동축(240)을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며, 이동축(240)이 상하로 이동되면 이동축(240)의 플랜지(241)에 지지된 원통체(250) 역시 이동축(240)과 같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원통체(250)의 측면에는 로드(222)가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이에, 이동축(240)의 상하 이동시 원통체(25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로드(222)에 설치된 밀대(224)를 공급라인(112) 또는 컨베이어(210) 상에 위치시키게 된다.
탄성부재(256)는 이동축(240)에 끼워져 상단브라켓(226)과 원통체(250) 상단 사이에 탄력 설치된다.
탄성부재(256)는 이동축(240) 상승시 상단브라켓(226)과 원통체(250)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이동축(240)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한다. 이에, 이동축(240)이 원형캠(260)을 지나면서 상승된 후 원형캠(260)에서 분리되었을 때 탄성부재(256)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동축(2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원통체(250)가 같이 이동하면서 베이스부재(220)에 설치되어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돌기(252)와 원통체(250)에 형성되어 움직이는 캠홈(254)에 의해 원통체(250)가 회전될 수 있다.
돌기(252)는 베이스부재(220)에서 원통체(250)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원통체(250)의 캠홈(254)에 맞물려 결합된다.
캠홈(254)은 원통체(250) 외주면에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선단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캠홈(254)은 축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축방향이라 함은 원통체(250)의 중심축선이 지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캠홈(254)은 축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돌기(252)가 캠홈(254)을 지나는 과정에서는 원통체(250)가 상승하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원통체(250)에 로드(222)를 매개로 연결된 밀대(224)가 공급라인(112)에서 컨베이어(210)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캠홈(254)은 축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된 나선홈부(255)와, 나선홈부 상단에서 상부를 향해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홈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6)에 의해 원통체가 완전히 아래로 하강되면, 캠홈(254)의 직선홈부(253)에 돌기(252)가 위치하게 된다. 돌기(252)가 직선홈부(253)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원통체(250)가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밀대(224)가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식재료에 밀리지 않고 무거운 식재료도 충분히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축(240)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통체(250)는 탄성부재(256)의 탄성력에 의해 최대한 하강되고, 돌기(252)는 캠홈(254)의 상단 직선홈부(253)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원통체(250)는 수직으로 연장된 직선홈부(253)가 돌기(252)에 걸려있는 상태로 이동축(240)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통체(250)에 설치된 로드(222)는 컨베이어(210)에서 공급라인(112)쪽으로 뻗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로드(222) 선단에 설치된 밀대(224)가 식재료에 밀리지 않고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동축(240)이 위로 상승되면 이동축(240)의 플랜지(241)에 걸려 있는 원통체(250)가 이동축(240)과 같이 위로 상승된다. 원통체(250)가 상승되면 캠홈(254)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돌기(252)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즉, 돌기(252)는 고정되어 있고, 원통체(250)는 이동축(24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로, 캠홈(254)이 고정되어 있는 돌기(252)를 지나면서 원통체(250)가 이동축(24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로드(222)가 최초 컨베이어(210) 이동방향에서 직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컨베이어 이동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동축(240)이 완전히 상승되면 이동축(240)에 대해 원통체(250)가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로드(222)가 완전히 컨베이어(210)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이동된다.
따라서, 로드(222) 선단에 설치된 밀대(224)를 공급라인(112) 상에서 컨베이어(210) 위로 이동시켜 공급라인과 완전히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밀대(224)가 컨베이어(210)쪽으로 이동됨으로써, 밀대(224)와 공급라인 출측의 칼날부(116)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축(240)의 상승에 따라 원통체(250)가 상승되면서 원통체(250)와 상단브라켓(226)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256)가 압축된다. 이에, 이동축(240)이 원형캠(260)을 벗어나 이동축(24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탄성부재(256)의 탄성력에 의해 원통체(250)가 아래로 밀려나고 이동축(240)이 원위치로 하강된다.
이에, 고정되어 있는 돌기(252)를 캠홈(254)이 지나면서 원통체(250)가 이동축(240)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동축(240)이 완전히 하강되면 로드(222)가 다시 최초 위치로 이동되고, 컨베이어(210) 상에 위치한 밀대(224)가 다시 공급라인(112)의 이송홈(114) 내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200)는, 공급라인(112)에서 필요시 밀대(224)를 이동시켜 제거하는 중간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라인(112)의 중간에 별도의 칼날부(116) 등이 더 구비되어 식재료를 박피 하는 등 다단계에 걸쳐 절단해야 하는 경우, 공급라인(112) 중간에 설치된 칼날부(116)와 밀대(224) 사이의 간섭을 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중간이동부가 공급라인(112) 중간 위치에서 밀대(224)를 공급라인(112)에서 컨베이어(210)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칼날부(116)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중간이동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이동부는 이동축(240) 상단에 설치되는 안내롤러(270), 안내롤러(27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컨베이어(210)를 따라 연장되고 안내롤러(270)를 받쳐 지지하며 안내롤로의 이동로를 이루는 가이드부재(272),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가이드부재(272)에 연결되어 가이드부재(272)를 상승시켜 안내롤러(270)가 설치된 이동축(240)을 들어 올리는 승강실린더(27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27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선단은 안내롤러(270)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가이드부재(272)는 양측 하단이 안쪽으로 굽어져 ㄷ 자 채널 형태를 이루어 안내롤러(270)를 받쳐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72)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안내롤러(270)는 가이드부재(272) 내측을 따라 원활하게 굴러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안내롤러(270)가 가이드부재(272) 내측으로 진입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274)가 구동되어 가이드부재(272)를 위로 상승시킴에 따라 가이드부재(272)를 지나는 안내롤러(270)가 가이드부재(272)와 같이 상승된다. 따라서, 안내롤러(270)가 설치된 이동축(240)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동축(240)이 위쪽으로 상승됨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통체(250)가 회전되어 밀대(224)가 공급라인(112) 상에서 컨베이어(210)쪽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210)가 계속 구동됨에 따라 안내롤러(270)는 가이드부재(272)를 따라 구르면서 가이드부재(272)를 지나게 된다.
설정된 위치까지 베이스부재(220)가 이동된 후에는 승강실린더(274)가 신장 구동되어 가이드부재(272)가 하강된다. 이에, 이동축(240)이 하강되고 탄성부재(2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통체(250)가 회전되면서 로드(222)가 회전되어 밀대(224)가 다시 공급라인(112)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다른 실시예로, 중간이동부는 이동축(240)의 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컨베이어(210)를 따라 연장되는 승강판(280),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승강판(280)에 연결되어 승강판(280)을 상승시켜 이동축(240)을 들어 올리는 수직실린더(28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판(280)은 직선으로 연장된 판 구조물로, 컨베이어(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설치된다. 승강판(280)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수직실린더(282)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컨베이어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연결플레이트(284)로 연결된다. 연결플레이트(284) 상에 승강판(28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이동축(240)의 하단이 승강판(280)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직실린더(282)가 구동되어 연결플레이트(284)에 설치된 승강판(280)을 위로 상승시킴에 따라 이동축(240)이 승강판(280)에 의해 위로 밀려 상승된다.
이동축(240)이 위쪽으로 상승됨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통체(250)가 회전되어 밀대(224)가 공급라인(112) 상에서 컨베이어(210)쪽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210)가 계속 구동됨에 따라 이동축(240)은 상승된 상태로 승강판(280)을 따라 이동된다. 설정된 위치까지 베이스부재(220)가 이동된 후에는 수직실리더(282)가 다시 수축 구동되어 승강판(280)이 하강된다. 이에, 이동축(240)이 하강되고 원통체(250)가 회전되면서 밀대(224)가 다시 공급라인(112)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 외에, 이동축(240)의 하측에 요철 형태의 판을 설치하여 무동력으로 이동축을 상승하게 하는 구조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가공설비 110 : 프레임
112 : 공급라인 114 : 이송홈
116 : 칼날부 120 : 누름부재
122 : 단부 124 : 작동실린더
200 : 이송장치 210 : 컨베이어
211 : 구동축 212 : 피동축
213 : 구동스프로켓휠 214 : 피동스프로켓휠
215 : 이송체인 216 : 구동모터
217 : 축부재 220 : 베이스부재
222 : 로드 224 : 밀대
226 : 상단브라켓 227 : 하단브라켓
230 : 선단부재 231 : 휠
232 : 레일 233 : 가이드바
240 : 이동축 241 : 플랜지
242 : 키홈 243 : 키볼트
250 : 원통체 252 : 돌기
253 : 직선홈부 254 : 캠홈
255 : 나선홈부 256 : 탄성부재
260 : 원형캠 270 : 안내롤러
272 : 가이드부재 274 : 승강실린더
280 : 승강판 282 : 수직실린더
112 : 공급라인 114 : 이송홈
116 : 칼날부 120 : 누름부재
122 : 단부 124 : 작동실린더
200 : 이송장치 210 : 컨베이어
211 : 구동축 212 : 피동축
213 : 구동스프로켓휠 214 : 피동스프로켓휠
215 : 이송체인 216 : 구동모터
217 : 축부재 220 : 베이스부재
222 : 로드 224 : 밀대
226 : 상단브라켓 227 : 하단브라켓
230 : 선단부재 231 : 휠
232 : 레일 233 : 가이드바
240 : 이동축 241 : 플랜지
242 : 키홈 243 : 키볼트
250 : 원통체 252 : 돌기
253 : 직선홈부 254 : 캠홈
255 : 나선홈부 256 : 탄성부재
260 : 원형캠 270 : 안내롤러
272 : 가이드부재 274 : 승강실린더
280 : 승강판 282 : 수직실린더
Claims (6)
- 재료가 이송되는 공급라인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외측에 배치되고 공급라인을 따라 연장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체인에 설치되어 이송체인 회전에 따라 컨베이어의 양 선단 사이를 이동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으로 연장되는 로드, 상기 로드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에 위치하여 공급라인에 놓인 식재료를 밀어 이동시키는 밀대, 상기 로드를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밀대를 공급라인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를 포함하는 식재료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공급라인을 따라 양 선단부에 배치되는 구동스프로켓휠과 피동스프로켓휠에 체결되는 이송체인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재를 포함하는 식재료 이송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밀대로 식재료를 밀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부재에 대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규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규제부는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축부재를 중심으로 베이스부재 이동방향의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선단부재, 상기 선단부재에 설치되는 휠,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연장 설치되어 상기 휠을 받쳐 지지하는 레일, 상기 컨베이어의 선단부에서 컨베이어의 하부쪽 복귀구간과 상부쪽 이동구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휠을 상기 레일 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식재료 이송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베이스부재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상단브라켓과 하단브라켓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에는 상기 로드가 설치되는 원통체, 상기 이동축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통체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플랜지,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원통체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돌기, 상기 원통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맞물려 돌기의 이동로를 이루는 캠홈, 상기 이동축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상단브라켓과 상기 원통체 상단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이동축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홈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양 선단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축의 상하 이동시 원통체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로드에 설치된 밀대를 공급라인 또는 컨베이어 상에 위치시키는 구조의 식재료 이송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축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축을 밀어올리기 위한 원형캠을 포함하는 식재료 이송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은 축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된 나선홈부와, 상기 나선홈부 상단에서 상부를 향해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홈부를 포함하는 식재료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5434A KR102456092B1 (ko) | 2021-04-29 | 2021-04-29 | 식재료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5434A KR102456092B1 (ko) | 2021-04-29 | 2021-04-29 | 식재료 이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6092B1 true KR102456092B1 (ko) | 2022-10-18 |
Family
ID=8380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5434A KR102456092B1 (ko) | 2021-04-29 | 2021-04-29 | 식재료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60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495028A (zh) * | 2024-07-18 | 2024-08-16 | 河北东大特种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钢纸原纸生产用搬运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9769A (ko) * | 2018-05-10 | 2019-11-20 | 신영태 | 식재료가공컨베이어 |
-
2021
- 2021-04-29 KR KR1020210055434A patent/KR1024560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9769A (ko) * | 2018-05-10 | 2019-11-20 | 신영태 | 식재료가공컨베이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495028A (zh) * | 2024-07-18 | 2024-08-16 | 河北东大特种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钢纸原纸生产用搬运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06832B1 (ko) | 절단기에서의 공작물 이송방법 및 장치 | |
JPH04213512A (ja) | コンベヤ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KR101787654B1 (ko) | 만두성형지그 및 이를 구비한 만두성형장치 | |
DE3703194C2 (ko) | ||
KR102456092B1 (ko) | 식재료 이송장치 | |
JPS5869615A (ja) | チ−ズ移し替え装置 | |
US4739607A (en) | Conveyor | |
CN215923674U (zh) | 一种生产线用送料机构 | |
CN111331156A (zh) | 自动上下料装置 | |
JP4278854B2 (ja) | 包皮食品製造装置における麺皮移し替え装置 | |
DE662352C (de) |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Quetschfuessen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und Entladungsroehren | |
US6051098A (en) | Keyboard etching apparatus | |
WO2021156459A1 (en) | Conveyor for conveying products, in particular fruit products or vegetable products | |
US3587273A (en) | Conveyorized edge processing apparatus for duct-making and the like | |
JPS59108613A (ja) | 昇降装置 | |
DE19820369A1 (de) | Bearbeitungsstation für Backwaren-Gut, insbesondere für Gärgut | |
EP1404913B1 (en) | Method and machine for treating textile articles | |
WO2021034314A1 (en) | Sheet metal brake with loading rollers | |
KR200368857Y1 (ko) | 타이어 센터링 정렬장치 | |
CN220617409U (zh) | 一种水平动力式轻载顶升移载机器 | |
CN217497697U (zh) | 一种烘焙托盘输送装置 | |
KR20030037467A (ko) | 강판 전단기의 체인 컨베이어형 스크랩 배출장치 | |
KR920010653B1 (ko) | 콘베이어 시스템 | |
KR100221152B1 (ko) | 브라운관용 훤넬의 이송장치 | |
JPH07112825A (ja) | 段積みパレットの切出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