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454A - 와이어 롤 피딩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롤 피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454A
KR20160088454A KR1020150007137A KR20150007137A KR20160088454A KR 20160088454 A KR20160088454 A KR 20160088454A KR 1020150007137 A KR1020150007137 A KR 1020150007137A KR 20150007137 A KR20150007137 A KR 20150007137A KR 20160088454 A KR20160088454 A KR 20160088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eeding
inner diameter
roll
wir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스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스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스맥
Priority to KR102015000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454A/ko
Publication of KR2016008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02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 B65H59/0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delivery of material from supply package by devices acting on package 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9Features of movement or transforming movement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92Features of movement or transforming movement of handled material braking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롤 피딩장치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지지축(12)을 중심으로 받침판(14)과 함께 회전되고, 확장력에 의해 와이어 롤(R) 내주면을 외측방향으로 클램핑하도록 구비되는 내경클램프(10); 상기 내경클램프(10)의 회전운동력에 제동 토크를 가하여 와이어 롤(R)의 풀림속도를 제어하도록 마찰드럼(22)과 마찰패드(24)로 구성되는 제동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내경클램프에 의해 와이어 롤의 내경이 클램핑된 상태로 제동부에 의해 풀림 속도가 제어됨에 따라 와이어를 로딩시 와이어 롤의 내외측 풀림현상으로 인한 헝클어짐 및 피딩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롤 피딩장치{Roll wire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롤 피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형태로 권취되어 유통되는 와이어 롤을 로딩시 내외측 풀림현상으로 헝클어져 피딩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와이어 롤 피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철근, 강선을 포함하는 와이어는 생산 공정에서 롤형태로 권취되어 유통되고, 사용자는 와이어 롤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와이어를 언로딩하는바, 주로 현장에서는 와이어 롤이 안착된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받침대를 구비하여 밴딩기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의 로딩력에 의해 와이어 롤이 풀리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와이어 롤이 언로딩시 회전받침대가 자유회전됨에 따라 와이어 롤의 내외경부에 와이어가 과다하게 풀림면서 서로 뒤엉켜 조기 풀림불량으로 이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24970호에서, 공급대 바의 로드 코일에서 와이어 로드가 한 줄씩 해권될 때 로드 걸림부에 작용하는 탄성에 의해서 풀려나오는 로드 와이어의 꼬임이나 엉킴이 방지됨과 아울러 와이어 로드 공급장치에 의해서 와이어 꼬임이 방지되어 인출되는 선속을 표준선속 수준으로 향상시켜 신선의 생산성 향상과 공정 원가절감되도록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와이어 로드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지만, 와이어 로드가 걸림부에 의해 한 줄씩 해권되더라도 꼬임이 축척되면 와이어 로드가 절곡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특히 와이어 로드가 해권되는 과장에서 진동력에 의해 로드 코일의 내외경에 권취된 와이어 로드가 풀리면서 뒤엉켜 풀림불량으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롤형태로 권취되어 유통되는 와이어 롤을 로딩시 내외측 풀림현상으로 헝클어져 피딩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와이어 롤 피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지지축(12)을 중심으로 받침판(14)과 함께 회전되고, 확장력에 의해 와이어 롤(R) 내주면을 외측방향으로 클램핑하도록 구비되는 내경클램프(10); 상기 내경클램프(10)의 회전운동력에 제동 토크를 가하여 와이어 롤(R)의 풀림속도를 제어하도록 마찰드럼(22)과 마찰패드(24)로 구성되는 제동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경클램프(10)는 받침판(14) 상에서 레일(16)을 타고 방사형으로 이송되고, 구동수단(18a)에 의해 승하강되는 작동축(18)과 링크바(19)에 의해 연결되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경클램프(10)는 상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롤(R)을 가압하는 중량판(30)이 구비되고, 중량판(30)은 내경클램프(10) 상단부에 걸려 하강위치가 제한되도록 스톱판(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경클램프(10)에 클램핑되는 와이어 롤(R)의 와이어(R1)를 피딩하는 피딩롤러부(40)와, 피딩롤러부(40) 전방에서 레일(52)을 타고 전후 이송되어 피딩 와이어(R1)를 준비하도록 복수의 내외륜(54)이 구비되는 피딩셔틀(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딩셔틀(50)은 복수의 내외륜(54)에 의해 와이어(R1)를 곡선형으로 준비하고, 텐션부(56)에 의해 이송시 제동 토크가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부(56)는 실린더 또는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텐션부(56) 압력에 의해 피딩셔틀(50)에 준비된 와이어(R1)의 피딩장력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딩셔틀(50)은 센서(58)에 의해 전후 이송 위치가 감지되고, 피딩셔틀(50)의 감지위치에 따라 와이어(R1)의 소진 또는 완충상태를 판단하여 피딩롤러부(40)를 ON/OFF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경클램프에 의해 와이어 롤의 내경이 클램핑된 상태로 제동부에 의해 풀림 속도가 제어됨에 따라 와이어를 로딩시 와이어 롤의 내외측 풀림현상으로 인한 헝클어짐 및 피딩불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와이어를 피딩하는 피딩롤러부와 피딩을 위해 와이어를 준비하는 피딩셔틀이 서로 연계작동되어 와이어 롤의 풀림 및 피딩작동이 정밀하게 유지관리됨에 따라 고하중의 와이어 롤을 적용하더라도 피딩충격 없이 와이어를 부드럽게 공급하면서 밴딩장치를 포함하는 가공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롤 피딩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롤 피딩장치의 내경클램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롤 피딩장치의 중량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롤 피딩장치의 피딩롤러부와 피딩셔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롤 피딩장치의 피딩셔틀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 롤 피딩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와이어 롤 피딩장치는 롤형태로 권취되어 유통되는 와이어 롤을 로딩시 내외측 풀림현상으로 헝클어져 피딩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내경클램프(10), 제동부(2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내경클램프(10)는 지지축(12)을 중심으로 받침판(14)과 함께 회전되고, 확장력에 의해 와이어 롤(R) 내주면을 외측방향으로 클램핑하도록 구비된다. 도 1과 같이 내경클램프(10)는 와이어 롤(R)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횡바와, 내주면에 가압되는 종바가 'ㄴ'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받침판(14)상에 방사형(예컨대, 2~6개소)으로 등각 배치되어, 모터 또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에 의한 확장력에 의해 와이어 롤(R)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압 클램핑하게 된다.
이에 와이어 롤(R)이 보빈(와이어가권취되는 드럼)이 생략된 상태로 권취되어 유통되더라도, 와이어 롤(R)의 내경이 내경클램프(10)에 의해 가압 지지되어 와이어 롤(R)이 모두 소진되는 시점까지 내외측 와어어 풀림으로 인한 엉킴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내경클램프(10)는 받침판(14) 상에서 레일(16)을 타고 방사형으로 이송되고, 구동수단(18a)에 의해 승하강되는 작동축(18)과 링크바(19)에 의해 연결되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되도록 구비된다. 작동축(18)은 받침판(14)과 동축상에 위치되도록 지지축(12)에 삽입되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비되고, 작동축(18)은 링크바(19)에 의해 내경클램프(10) 단부에 연결된다.
이에 도 2와 같이 작동축(18)이 승강시 링크바(19)가 당겨지면서 내경클램프(10)가 언클램핑되고, 하강시 링크바(19)가 내경클램프(10)를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와이어 롤(R)을 클램핑하는 바, 이때 진원을 이루지 못하는 와이어 롤(R)의 내경 형상에 대응하여 각각의 내경클램프(10)가 유연하게 밀착되어 균일한 가압력으로 클램핑됨은 물론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작동축(18)은 구동수단(18a)에 의해 작동력이 전달되는 받침판(14)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링크바(19)의 단부가 작동축(18)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받침판(14)이 회전작동하는 중에도 클램핑력이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경클램프(10)는 상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롤(R)을 가압하는 중량판(30)이 구비되고, 중량판(30)은 내경클램프(10) 상단부에 걸려 하강위치가 제한되도록 스톱판(32)이 구비된다. 중량판(30)은 내경클램프(10) 상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롤(R)을 가압하도록 중앙에 가이드홀이 관통되고, 연결대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스톱판(32)이 설치된다.
이에 도 3처럼 상기 중량판(30)이 와이어 롤(R)을 상부에서 지속적으로 가압하므로 와이어가 소모되는 중에 상측방향으로 헝클어짐이 방지됨은 물론 소정의 하강위치에서 스톱판(32)이 내경클램프(10) 상단에 걸려 이송이 제한되므로 중량판(30)의 과도한 하중에 의해 소량 남은 와이어 롤(R)이 엉클어지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스톱판(32)은 와이어 롤(R)의 규격 및 중량에 따라 교체가능하도록 중량 및 사이즈가 규격별로 구비되고, 스톱판(32)은 중량판(30) 상에서 나사봉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동부(20)는 내경클램프(10)의 회전운동력에 제동 토크를 가하여 와이어 롤(R)의 풀림속도를 제어하도록 마찰드럼(22)과 마찰패드(24)로 구성된다. 마찰드럼(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2) 단부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마찰패드(24)는 마찰드럼(22)에 가압되어 브레이킹 작동되도록 구비되며, 이때 마찰패드(24)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가압력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와이어 롤(R)의 규격 또는 피동속도를 포함하는 가공 환경에 대응하여 제어부에서 마찰패드(24)에 의해 제동력이 조절됨에 따라 와이어 롤(R)의 풀림속도가 제어되면서 후술하는 피딩롤러부(40)에 의한 피딩력이 순간적으로 멈추더라도 관성에 의한 와이어 롤(R)의 풀림현상이 방지된다.
도 4에서, 상기 내경클램프(10)에 클램핑되는 와이어 롤(R)의 와이어(R1)를 피딩하는 피딩롤러부(40)와, 피딩롤러부(40) 전방에서 레일(52)을 타고 전후 이송되어 피딩 와이어(R1)를 준비하도록 복수의 내외륜(54)이 구비되는 피딩셔틀(50)이 더 구비된다. 피딩롤러부(40)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와이어(R1)를 피딩하고, 제어부에 의해 피딩셔틀(50)과 연계되어 ON/OFF 작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피딩셔틀(50)은 밴딩기를 포함하는 가공장치로 공급되는 와이어(R1)를 준비한 상태로 대기되는바, 즉 도 5와 같이 피딩롤러부(4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R1)가 공급되면 피딩셔틀(50)이 전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여유 와이어(R1)를 보유하고, 이어서 가공장치에서 와이어(R1)를 소모시 피딩셔틀(50)이 후방향으로 이송되며 보유하고 있는 여유 와이어(R1)를 소모하고, 상기한 작동을 반복 수행하면서 와이어(R1)를 피딩충격 없이 부드럽게 자동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딩셔틀(50)은 복수의 내외륜(54)에 의해 와이어(R1)를 곡선형으로 준비하고, 텐션부(56)에 의해 이송시 제동 토크가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도 5에서는 내외륜에 의해 와이어(R1)가 아치형으로 절곡되어 피딩롤러부(40)에 의해 공급되는 와이어(R1)의 진행방향으로 180°방향 전환하여 대기된 상태를 도시하는바, 이는 와이어(R1)가 180°방향 전환됨에 따라 피딩셔틀(50) 이송거리 대비 2배 길이만큼의 여유 와이어(R1)가 보유되고, 이에 와이어(R1) 보유량 대비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텐션부(56)는 실린더 또는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텐션부(56) 압력에 의해 피딩셔틀(50)에 준비된 와이어(R1)의 피딩장력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즉, 피딩셔틀(50)이 전방향으로 이송되어 와이어(R1)를 보유한 상태로 대기되고, 가공장치가 와이어(R1)를 당겨 소모시 보유한 와이어(R1)를 제공하기 위해 피딩셔틀(50)이 후방향으로 이송시 텐션부(56)가 피딩셔틀(50)에 제동 토크를 가하여 와이어(R1) 공급 속도 및 장력이 조절된다.
이에 가공장치에서 로딩길이가 긴 제품을 성형시 순간적으로 장사이즈의 와이어(R1)가 피딩되어야 하는 조건에서는 텐션부(56)를 약하게 조절하여 제동 토크를 감소시킴으로 피딩셔틀(50)을 통한 와이어(R1) 공급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처럼 가공 조건에 따라 텐션부(56)를 이용하여 와이어(R1) 피딩 장력 및 피딩셔틀(50)의 반응 감도를 조절하게 되고, 제어부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피딩셔틀(50)은 센서(58)에 의해 전후 이송 위치가 감지되고, 피딩셔틀(50)의 감지위치에 따라 와이어(R1)의 소진 또는 완충상태를 판단하여 피딩롤러부(40)를 ON/OFF작동하도록 구비된다. 센서(58)는 피딩셔틀(50)의 최대 전방향에 인접하는 위치와 최대 후방향에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2개소에 구비되어, 피딩셔틀(50)이 후방향에서 센서(58)가 감지되면 피딩롤러부(40)를 ON작동하여 와이어(R1)를 공급하고, 와이어(R1)가 공급되면서 피딩셔틀(50)이 전방향으로 이송되어 센서(58)에 감지되면 피딩롤러부(40)를 OFF작동하여 와이어(R1) 공급이 정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처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센서(58)와, 피딩셔틀(50)에 구비되어 센서(58)에 감지되는 감지부재(58a)가 설치되는바, 감지부재(58a)는 바형태로 장사이즈로 형성되어, 도 5 (a)와 같이 와이어(R1)가 소모되면서 피딩셔틀(50)이 후방으로 이송되어 감지부재(58a)가 전방 센서에 미감지되고, 후방 센서(58)에 감지되면 와이어(R1)가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에서 피딩롤러부(40) ON작동지령을 송출하고, 이어서 5 (b)처럼 와이어(R1) 공급에 의해 피딩셔틀(50)이 전방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감지부재(58a)가 전방센서(58)를 거쳐 미감지되는 시점에서 이송되면 와이어(R1) 완충상태로 판단하고 피딩롤러부(40)를 OFF작동한다.
이에 와이어(R1) 소모량에 따라 피딩셔틀(50)이 전후 이송되고, 피딩셔틀(50) 위치는 센서(58)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에서 피딩롤러부(40)를 ON/OFF작동하므로 와이어(R1)의 소진 또는 완충상태가 검출되어 자동 공급되므로 무인 자동화 설비에 적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10: 내경클램프 20: 제동부
30: 중량판 40: 피딩롤러부
50: 피딩셔틀

Claims (6)

  1. 지지축(12)을 중심으로 받침판(14)과 함께 회전되고, 확장력에 의해 와이어 롤(R) 내주면을 외측방향으로 클램핑하도록 구비되는 내경클램프(10);
    상기 내경클램프(10)의 회전운동력에 제동 토크를 가하여 와이어 롤(R)의 풀림속도를 제어하도록 마찰드럼(22)과 마찰패드(24)로 구성되는 제동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롤 피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클램프(10)는 받침판(14) 상에서 레일(16)을 타고 방사형으로 이송되고, 구동수단(18a)에 의해 승하강되는 작동축(18)과 링크바(19)에 의해 연결되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롤 피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클램프(10)는 상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롤(R)을 가압하는 중량판(30)이 구비되고, 중량판(30)은 내경클램프(10) 상단부에 걸려 하강위치가 제한되도록 스톱판(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롤 피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클램프(10)에 클램핑되는 와이어 롤(R)의 와이어(R1)를 피딩하는 피딩롤러부(40)와, 피딩롤러부(40) 전방에서 레일(52)을 타고 전후 이송되어 피딩 와이어(R1)를 준비하도록 복수의 내외륜(54)이 구비되는 피딩셔틀(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롤 피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셔틀(50)은 복수의 내외륜(54)에 의해 와이어(R1)를 곡선형으로 준비하고, 텐션부(56)에 의해 이송시 제동 토크가 전달되어 피딩장력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롤 피딩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셔틀(50)은 센서(58)에 의해 전후 이송 위치가 감지되고, 피딩셔틀(50)의 감지위치에 따라 와이어(R1)의 소진 또는 완충상태를 판단하여 피딩롤러부(40)를 ON/OFF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롤 피딩장치.
KR1020150007137A 2015-01-15 2015-01-15 와이어 롤 피딩장치 KR20160088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137A KR20160088454A (ko) 2015-01-15 2015-01-15 와이어 롤 피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137A KR20160088454A (ko) 2015-01-15 2015-01-15 와이어 롤 피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454A true KR20160088454A (ko) 2016-07-26

Family

ID=5668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137A KR20160088454A (ko) 2015-01-15 2015-01-15 와이어 롤 피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45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8509A (zh) * 2017-05-23 2018-07-03 德阳云路科技有限公司 自动调节式复绕机
CN108238487A (zh) * 2017-05-23 2018-07-03 德阳云路科技有限公司 手动调节式复绕机
CN109433854A (zh) * 2018-12-24 2019-03-08 河南省鼎鼎实业有限公司 一种钢筋冷轧生产中可切换收线通道的收线生产线及收线方法
CN109626122A (zh) * 2018-12-24 2019-04-16 江苏省送变电有限公司 迪尼玛绳地面收紧装置
KR20200125301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에스씨 알루미늄 로드 신선장치
KR20200131476A (ko) * 2019-05-14 2020-11-24 태양정공 주식회사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KR20220003191A (ko) * 2020-07-01 2022-01-10 태양정공 주식회사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8509A (zh) * 2017-05-23 2018-07-03 德阳云路科技有限公司 自动调节式复绕机
CN108238487A (zh) * 2017-05-23 2018-07-03 德阳云路科技有限公司 手动调节式复绕机
CN109433854A (zh) * 2018-12-24 2019-03-08 河南省鼎鼎实业有限公司 一种钢筋冷轧生产中可切换收线通道的收线生产线及收线方法
CN109626122A (zh) * 2018-12-24 2019-04-16 江苏省送变电有限公司 迪尼玛绳地面收紧装置
CN109433854B (zh) * 2018-12-24 2023-12-22 河南省鼎鼎实业有限公司 一种钢筋冷轧生产中可切换收线通道的收线生产线收线方法
KR20200125301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에스씨 알루미늄 로드 신선장치
KR20200131476A (ko) * 2019-05-14 2020-11-24 태양정공 주식회사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KR20220003191A (ko) * 2020-07-01 2022-01-10 태양정공 주식회사 코일 파이프 컷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8454A (ko) 와이어 롤 피딩장치
JP6270160B2 (ja) リール巻出し機及び巻出し方法
JP2012086923A (ja) 玉揚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糸巻取機
CN110395614B (zh) 一种卷绕装置
CN105035803A (zh) 卷绕系统
CN101148232A (zh) 制造交叉卷绕筒子的纺织机械的工位
CN216736703U (zh) 全自动打包带收卷设备
US2605974A (en) Winding machine
US3908922A (en) Apparatus for feeding and unreeling wire from a coil
CN114229558A (zh) 全自动打包带收卷机及其控制方法
US6607158B1 (en) Unwinding apparatus
JP4037019B2 (ja) ベニヤ単板の巻取り装置
CN205688103U (zh) 径向退绕卷纱装置
CN206901393U (zh) 无纺布自动生产线分切机放卷装置
KR101425998B1 (ko)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CN217263838U (zh) 一种筒子纱导纱装置
CN214166756U (zh) 用于纺织加工设备的棉花卷送料装置
CN103889726B (zh) 用于将至少一个材料带拉入加工设备的方法
ITMI990591A1 (it) Macchina di trfilatura di filo metallico di ingombro ridotto con bobina di filo montata a livello del pavimento
CN216004724U (zh) 一种便于换卷的并丝机
CN206552968U (zh) 半自动盘卷机夹持器及其半自动盘卷机
CN217050938U (zh) 一种云母带补强工艺中用于放卷展平的微张装置
US6305592B1 (en) Dye machine festooner
JPWO2018230494A1 (ja) テープ類繰出装置及びテープ類繰出方法
CN112623389B (zh) 一种菱形胶带加工设备配套用自动接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