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32A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32A
KR20220000132A KR1020200077714A KR20200077714A KR20220000132A KR 20220000132 A KR20220000132 A KR 20220000132A KR 1020200077714 A KR1020200077714 A KR 1020200077714A KR 20200077714 A KR20200077714 A KR 20200077714A KR 20220000132 A KR20220000132 A KR 2022000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extract
larvae
improving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638B1 (ko
Inventor
박광남
나민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트제약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트제약,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트제약
Priority to KR102020007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6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수면 개시시간을 단축시키고 수면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수면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면개선 조성물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 extracts for improving sleep}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개시시간 단축 및 수면시간 연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가 급증한 사회적 분위기나 환경에 의해 수면장애로 고민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현대인의 수면시간이 크게 줄어든 이유는 장래에 대한 불안, 우울증, 불안장애,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이유에 의한 정신질환 증가, 직업과 사회적 다변화에 따른 주야간 교대 근무, 그리고 바르지 못한 생활습관 등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다. 즉,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할 일이 많아지고 스트레스도 늘어나면서 만성적 수면부족이 생겨난 것이다. 또한 커피 등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더 많이 섭취하는 것도 이유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일시적인 스트레스, 수면습관의 변화로 인한 불규칙한 수면습관 등으로 인하여 일시적인 급성불면증이 쉽게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급성불면증은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유지하고, 불면증을 유발한 스트레스나 원인 인자를 제거하게 되면 정상적인 수면습관으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잘못된 수면습관을 유지하거나 왜곡된 불면증에 대한 대처는 매일 잠을 못자는 만성불면증을 일으키게 된다.
만성불면증상은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우울증의 발생을 10배 이상 증가시키며, 또한 불면증으로 인한 수면장애는 고혈압이나 혈당 조절 문제, 비만 등의 문제를 야기시켜 각종 질병의 유병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의료비 지출의 증가, 주간의 사고 위험성 증가, 직장에서의 업무수행능력 저하 등 환자의 사회적인 부분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수면장애는 수면각성장애라고도 하며, 불면증, 과면증, 수면각성시간(circadian rhythm, 일간리듬)장애, 수면시 이상행동 등으로 분류한다. 불면증은 수면경향이 감퇴하는 양적 이상을 말하는데, 좀처럼 잠들기가 어려운 취면장애(就眠障碍), 일단 잠이 들었어도 숙면이 되지 않는 숙면장애(熟眠障碍), 아침 일찍 깨는 조조각성(早朝覺醒)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남성의 경우, 2008년 9만명이었던 수면장애 환자가 2014년에는 17만으로, 여성의 경우는 2008년에 14만명이었던 것이 2014년에는 25만으로 6년새에 2배 가까이 치솟았으며, 이에 따른 수면장애 관련 진료비 또한 약 2.3배 증가하여 사회적 비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수면에 관계된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은 행복을 느끼는 데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세로토닌은 쾌락, 긍정적인 마음, 흥분성 각성을 담당하는 도파민과 불안, 부정적 마음, 스트레스 반응 등을 담당하는 노르아드레날린의 수준을 적정 상태로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숙면을 취하도록 돕는 멜라토닌 생성에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세로토닌의 전구체인 L-트립토판은 오직 섭취만으로 얻을 수 있는 필수 아미노산으로, 세로토닌의 수치를 높여주는 영양제로 시판되고 있으나, 졸림, 설사, 두통의 부작용이 있으며, 파킨슨병 환자나 특이질환 환자는 섭취전 전문가와 상담후 복용해야 한다.
수면개선제로 시판되고 있는 항히스타민제에는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 독시라민(doxylamine) 등이 있다. 디펜히드라민은 항히스타민제 중 최면진정작용이 강한 편이며,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sleep latency)을 감소시키고 수면의 깊이와 질을 향상시켜 일시적 불면증 완하에 사용한다. 독시라민은 디펜히드라민과 같은 H1 수용체 길항제로,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항히스타민제는 시력장애, 변비, 구갈, 배뇨곤란, 빈맥 등의 항콜린 이상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녹내장,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는 투여가 금지되고 있으며, 모유를 통하여 영유아에게 전달되며, 영유아에게 소량으로도 호흡저하, 의식저하 등의 이상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의 경우, 노화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 저하, 면역력 약화 등에 의한 다양한 약물을 함께 복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항콜린제가 과도하게 사용되어 치매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수면개선을 위한 생약제제로 길초근(Valeriana root)이 이용될 수 있는데, 길초근은 쥐오줌풀(Valeriana officinalis)의 뿌리로, 뇌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GABA 또는 GABA 대사체의 분해를 억제하거나 GABA 수용체에 작용하여 신경과민, 심계항진, 초조, 불안, 스트레스 등에 의한 흥분을 억제하고 진정작용을 나타내며, 호프(Hops), 파시플로라(Passiflorora)와 복합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호프(Hops)는 홉(Humulus lupulus)의 암꽃으로, 최면진정작용을 하는 메틸부탄올(methylbutanol)을 생성시키거나 GABA의 활성을 증가시켜 신경과민 혹은 흥분에 의한 불면증에 효과를 나타낸다. 파시플로라(Passiflorora)는 시계꽃(Passiflora incarnata)의 뿌리를 제외한 꽃과 잎, 줄기 등의 추출물로, 뇌에서 GABA의 수치를 증가시켜 경미한 불면증과 불안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생약제제들은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임상시험 결과가 일치하지 않거나 서로 상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며칠에서 몇주간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급성 불면증에는 효과적이지 않으며, 장기간 복용한 후에는 용량을 서서히 줄여야 한다.
이와 같이, 수면제 장기복용자 및 제한자의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천연 수면보조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수면제를 대체하거나 줄일 수 있는 수면 증진 건강기능식품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LOHAS 트렌드의 확산과 수면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수면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어 불면증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수면 증진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흰점박이꽃무지는 민간 및 동의보감 등의 전통 한방의서에서 "제조" 또는 "굼벵이" 라는 속명으로 불리어지고 있는 딱정벌레목, 풍뎅이과, 꽃무지아과에 속하며, 크기는 17 내지 24센티미터의 초식성 곤충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및 시베리아 동부 지역에 서식하며, 5월에서 10월에 걸쳐 1 내지 2년에 1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고천[古川] 등, 원색곤충백과도감, 집앙사[集英社], 동경[東京], 573-574(1977); 장지이[張芝利], 중국경제곤충지 28책, 초시목, 중국과학원 중국동물지 편찬위원회, 과학출판사(1984)).
흰점박이꽃무지는 3령의 성숙유충 상태로 월동하며, 성충은 주간에 활동하고 복숭아, 배 등의 성숙한 과일이나 옥수수, 상수리 나무 등의 즙액을 먹이로 하는 군집성 곤충이다. 이들의 유충은 퇴비나 건초더미 등의 유기물이 풍부한 부식성 토양속에서 서식한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오래전부터 간질환 등의 치료를 위한 한방 약재로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 유용한 생체 활성물질의 탐색 및 개발을 위한 곤충자원으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23576호에는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615551호에는 점박이꽃무지 유충 유래의 항균 펩티드 및 이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특히 한국등록특허 제1828294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항혈전 활성이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수면개선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23576호,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2020년.03.05.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615551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유래의 항균 펩티드 및 이의 용도, 2016.04.20.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828294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2018.02.06. 등록.
고천[古川] 등, 원색곤충백과도감, 집앙사[集英社], 동경[東京], 573-574(1977) 장지이[張芝利], 중국경제곤충지 28책, 초시목, 중국과학원 중국동물지 편찬위원회, 과학출판사(1984)조용섭, 한국 식물병·해충·잡초명감, 한국식물보호학회, 633(1986). Davi G, Patrono C. Platelet activation and atherothrombosis. N Engl J Med 2007, 357(24), 2482-2494. Fares A. Winter cardiovascular diseases phenomenon. N Am J Med Sci 2013, 5(4), 266-279. Hirsh J, Raschke R, Warkentin TE, Dalen JE, Deykin D, Poller L. Heparin: mechanism of action, pharmacokinetics, dosing considerations, monitoring, efficacy, and safety. Chest 1995, 108(4 Suppl), 258S-275S. Kang, E. H. Sleep Disorder and Socioeconomic Burden.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8(2): 72-5(2011) Pereira MS, Melo FR, Mourao PA.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anticoagulant action of sulfated galactans and sulfated fucans. Glycobiology 2002, 12(10), 573-580. Weitz JI, Hirsh J, Samama MM. New anticoagulant drugs: the Seventh ACCP Conference on Antithrombotic and Thrombolytic Therapy. Chest 2004, 126(3 Suppl), 265S-286S. Wells PS, Forgie MA, Rodger MA.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JAMA 2014, 311(7), 717-728.
본 발명의 목적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높은 수면개선 활성을 갖는 추출물의 제조방법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물(100% H2O)로, 40~80℃에서 2~8시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물(100% H2O)로, 50~70℃에서 6~8시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건조된 것 또는 생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1령, 2령, 3령의 유충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3령의 유충을 사용한다.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물, 아세트산 수용액, C1 내지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1% 아세트산을 용매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100% H2O)을 용매로 사용한다.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건조물 또는 생물을 용매에 침지시키고 40~100℃에서 2~8시간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80℃에서 4~8시간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70℃에서 6~8시간 추출한다.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숙면장애, 수면유지장애, 중도각성, 조기각성, 불면증,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사건수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면장애를 개선하는 수면개선용일 수 있다. 숙면장애는 이른바 얕은 잠으로, 수면중 자주 각성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며, 중도각성은 잠이 들었으나 중간에 여러번 잠이 깨어 다시 잠이 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증상을 말한다. 조기각성은 충분한 수면시간을 채우지 못하고 일찍 잠에서 깨어 다시 잠들기 힘든 수면장애이다. 잠이 드는데 어려움을 겪는 입면장애가 길어지고 이러한 수면 장애가 주 3회 이상씩 한 달 이상 반복되는 경우 불면증으로 진단한다.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특히 수면 유도시간 감소 또는 수면시간 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액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감미제, 산미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산미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500㎎/㎏/일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0.1㎎/㎏/일 내지 200㎎/㎏/일이며,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2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및 피부 도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으로,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전체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수면개선은 숙면장애, 수면유지장애, 중도각성, 조기각성, 불면증,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사건수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면장애를 개선하는 수면개선용일 수 있다. 숙면장애는 이른바 얕은 잠으로 수면중 자주 각성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며, 중도각성은 잠이 들었으나 중간에 여러번 잠이 깨어 다시 잠이 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증상을 말한다. 조기각성은 충분한 수면시간을 채우지 못하고 일찍 잠에서 깨어 다시 잠들기 힘든 수면장애이다. 잠이 드는데 어려움을 겪는 입면장애가 길어지고 이러한 수면 장애가 주 3회 이상씩 한달 이상 반복되는 경우 불면증으로 진단한다.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특히 수면 유도시간 감소 또는 수면시간 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개시시간 단축 및 수면시간 연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을 통해,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수면 개선 조성물의 개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매를 달리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ICR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 추출물의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지표성분 함량평가를 위한 L-트립토판 표준품 0.125 mg/mL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추출 용매에 따른 지표성분의 차이를 보여주는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추출 온도에 따른 지표성분의 차이를 보여주는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추출 온도에 따른 지표성분의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추출 시간에 따른 지표성분 검출량의 차이를 보여주는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추출 시간에 따른 지표성분의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의 수면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시간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의 수면 유도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이 ICR 마우스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ICR 마우스의 시상하부 고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한 ICR 마우스의 시교차 상핵(SCN) 위치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의 ICR 마우스의 아데노신 수용체 A1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은 오래전부터 한방 약재로서 이용되어 왔으며, 단백질 함량이 풍부해 식용으로도 사용하여왔다. 본 발명자들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생리학적 특성을 연구하던 중,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로부터 L-트립토판 유사 활성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수면시간 연장효과 확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로부터 5-히드록시인돌린-2-온(5-hydroxyindolin-2-one), 1-메틸1,2,3,4-테트라히드로-β-카르볼린-3-카르복실산(1-methyl-1,2,3,4-tetrahydro-β-carboline-3-carboxylic acid) (KR10-1828294 B1) 등의 많은 생리적 활성 화합물을 확인, 분리하는 과정에서 수면개선과 관련있는 L-트립토판 및 이의 유도체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안출하였다.
먼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수면시간 연장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10g을 100 mL의 물 또는 70%, 95% 에탄올에서 각각 1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건고하였다. 건고물은 분쇄후, 물에 현탁하여 소정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특정병원체 부재 (SPF) ICR 마우스(CrljOri:CD1(ICR); (주) 오리엔트 바이오, 한국) 수컷에 각 추출물의 농도를 300 mg/kg이 되도록 경구투여하고, 투여 30분 후, Pentobarbital sodium 45 mg/10mL/kg을 복강투여한 다음, 라이팅 반사(Righting reflex) 소실 시간부터 깨어나기까지의 시간(수면시간)을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동량의 물을 사용하였으며, 각 마우스는 3반복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수준으로 마우스의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물(100% H2O)을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이 70% 또는 95% 에탄올보다 수면시간 연장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에 포함된 수면개선 관련 화합물을 HPLC를 통해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 확인>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열수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을 물에 현탁하여 10%(v/v)~30%(v/v)의 메탄올 수용액 농도구배를 갖는 Phenomenex biphenyl 5u, 250×4.6㎜ 컬럼을 이용한 SHIMADZU HPLC system을 통해 추출물을 분석하였다. 이때 온도는 30℃, 유속은 0.5 ml/min이었으며, UV/Vis (280nm)로 확인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에서 다수의 화합물을 확인하였으며, 일정 분획에서 L-트립토판이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다.
L-트립토판은 단백질 생합성에 이용되는 α-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비타민 B3의 전구체이면서 신경 전달 물질 세로토닌, 호르몬 멜라토닌의 전구체로, 우울, 불안, 수면장애, 체중증가를 개선하고 특히 수면패턴을 안정화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트립토판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내의 함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L-트립토판 표준품 0.125 mg/mL 농도로 상기 조건으로 HPLC 분석하고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L-트립토판 표준품 0.125 mg/mL는 HPLC 분석에서 peak area 1077162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10 mg/mL 농도로 HPLC 분석 시 L-트립토판의 peak area는 1124942로 나타났다. 따라서 흰점박이꽃무지유충 추출물 내의 L-트립토판의 함량비는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약 1.3% (13 mg/g)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1
이를 토대로 실시예 1에서 300 mg/kg 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ICR 마우스에 경구투여하여 수면시간 연장효과를 나타낸 결과를 분석하여 보면, ICR 마우스에 적용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내의 L-트립토판의 농도는 약 3.9 mg/kg 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량은 일반적인 L-트립토판의 복용량인 1000 ~ 2000 mg/day 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용량으로, 이로부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내에 L-트립토판 이외의 다른 수면개선 활성성분이 포함되어 수면시간 연장에 작용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실험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내의 활성 화합물을 확인한 결과, L-트립토판 및 L-트립토판 유도체인 (3S)-1,2,3,4-tetrahydro-β-carboline-3-carboxylic acid, (1R,3S)-1-methyl-1,2,3,4-tetrahydro-β-carboline-3-carboxylic acid, (1S,3S)-1-methyl-1,2,3,4-tetrahydro-β-carboline-3-carboxylic acid, methyl 9H-pyrido[3,4-β]indole-1-carboxylate가 포함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L-트립토판 유도체의 구조적 특징이 L-트립토판과 유사함에 따라 L-트립토판의 수득조건에서 L-트립토판 유도체의 수득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L-트립토판 및 L-트립토판 유도체들이 함께 수면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L-트립토판을 지표성분으로 선정하여, 상기 지표성분의 수득률을 높일 수 있는 최적화된 추출조건을 확립하였다.
< 실시예 3.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상기 실시예 2에서 확인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L-트립토판 및 L-트립토판 유사 성분의 수득률을 높일 수 있는 최적화 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L-트립토판을 지표성분으로 사용하여 이하 실험을 실시하였다.
3.1 추출용매 설정
건조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10.0 g 씩을 100% H2O 100 mL, 1%(v/v) 아세트산 수용액(1% acetic acid in 100% H2O) 100 mL 및 1%(v/v) 아세트산 94% 에탄올 (in 94% EtOH) 100 mL로 각각 80℃에서 1시간 추출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100% H2O를 용매로 한 추출물(PBSWE), 1% 아세트산 수용액을 용매로 한 추출물(PBSAWE) 및 1% 아세트산 94% 에탄올을 용매로 한 추출물(PBSAEE)이 각각 4.2 g 씩이 수득되어 42%의 수율로 동일하였다.
이를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HPLC 분석한 결과 중 지표성분의 수득률이 높은 100% H2O(PBSWE) 및 1% 아세트산 수용액을 용매로 한 추출물(PBSAWE)의 HPLC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0% H2O를 용매로 한 조건에서 무게대비 지표성분의 함량이 1% 아세트산 수용액을 용매로 한 추출물(PBSAWE)보다 2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후 실험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추출용매를 100% H2O로 사용하였다.
3.2 추출온도 설정
건조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1.0 g 씩을 100% H2O 10 mL을 용매로 하여 각각 실온(25℃), 40℃, 50℃, 60℃, 70℃, 80℃, 90℃ 및 100℃에서 1시간 추출하였다. 이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실온(PBSWE25), 40℃(PBSWE40), 50℃(PBSWE50), 60℃(PBSWE60), 70℃(PBSWE70), 80℃(PBSWE80), 90℃(PBSWE90) 및 100℃(PBSWE100)에서 각각 0.3g을 100% H2O를 용매로 한 추출물(PBSWE)은 각각 약 3 g 씩이 수득되어 30%의 수율로 동일하였다.
이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HPLC 분석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건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40℃에서 한 시간 추출한 경우(PBSWE40), 실온추출보다 지표성분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50℃에서 한시간 추출한 경우(PBSWE50) 그 함량이 현격히 높아졌다. 또한, 60℃에서 한시간 추출한 경우(PBSWE60) 무게 대비 지표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70℃로 추출한 경우(PBSWE70) 지표성분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여 80℃로 추출한 경우(PBSWE80) 60℃에서 한 시간 추출한 경우(PBSWE60)보다 약 33.7% 감소하였으며, 90℃(PBSWE100) 및 100℃(PBSWE100)로 추출한 경우 60℃에서 한 시간 추출한 경우(PBSWE60)보다 지표성분의 함량이 약 40% 감소하였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6과 같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지표성분은 50~70℃로 추출하는 경우, 가장 높은 수득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실험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추출용매 100% H2O로, 60℃에서 추출하였다.
3.3 추출시간 설정
건조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5.0 g 씩을 100% H2O 10 mL을 용매로 하여 각각 60℃에서 1, 2, 4, 6, 8시간 각각 추출하여 추출 최적화 조건을 확인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1시간(PBSWE601), 2시간(PBSWE602), 4시간(PBSWE604), 6시간(PBSWE606) 및 8시간(PBSWE608) 추출물에서 각각 0.3g, 0.4g, 0.2g, 0.25g, 0.5g을 수득하였다.
이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HPLC 분석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60℃에서 각 시간별로 추출한 경우, 무게 대비 지표성분의 함량은 6시간 추출이 가장 높았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8과 같다. 도 8에서보는 바와 같이 6시간 추출 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내 지표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8시간보다 오랜 시간 추출하는 경우, 추출 수율의 증대 효과는 없고 에너지 사용량만 증가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추출용매 100% H2O로, 60℃에서 6~8시간 추출한 경우, 무게 대비 지표성분의 함량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고, 최적화 추출조건을 확립하였다.
< 실시예 4. ICR 마우스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반복투여에 따른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 확인>
4.1 ICR 마우스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PBSWE ) 의 수면 유도시간에 미치는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수면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특정병원체 부재 (SPF) ICR 마우스(CrljOri:CD1(ICR); (주) 오리엔트 바이오, 한국)를 준비하였다. 상기 수컷 ICR 마우스 56마리를 입수 후 5일간 동물실 내에서 순화시켜 사용하였으며, 이 중 무작위 선택한 48마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동물은 ㈜켐온의 실험동물운영위원회에 의해 승인(심의번호 : 2019-09-011)된 실험동물 윤리규정에 적합하게 취급하였다. 동물은 온도 23 ± 3℃, 상대습도 55 ± 15 %,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 시간 (오전 8 시 점등-오후 8 시 소등) 및 조도 150-300 Lux로 유지되는 경기바이오센터 동물사육구역 1 호실에서 사육하였으며, 온도와 상대습도는 매시간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환기횟수 및 조도는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시험 결과에 영향을 줄만한 이상은 없었다.
ICR 마우스는 하기 6개 그룹으로 군을 분리하고(G1~G6) 표 1과 같이 투여하였다. 투여물질의 투여 시간표는 도 9에 나타내었다.
성별 동물수 동물번호 투여액량
(mL/kg/day)
투여량
(mg/kg/day)
투여물질
G1 M 8 1-8 10 0 부형제
G2 M 8 9-16 10 200 시험물질
(PBSWE)
G3 M 8 17-24 10 300
G4 M 8 25-32 10 800
G5 M 8 33-40 10 20 대조물질
(L-tryptophan)
G6 M 8 41-48 10 300
투여물질은 동물의 경배부를 고정하고 1 mL 주사기를 이용하여 10 mL/kg 액량으로 경구로 투여하였으며, 1회/일, 7일간 투여하였다. 투여액량은 최근 측정한 체중을 기준으로 10 mL/kg으로 산출하였다.
6일째 투여 전 절식을 실시하였으며, 7일 째 시험물질 및 대조물질을 투여하고 30분 후, 펜토바비탈 나트륨(Pentobarbital sodium) 45 mg/10mL/kg을 복강 투여하고 라이팅 반사(Righting reflex) 소실시간(수면 유도시간)을 측정하여 도 10에 나타내었다. 측정결과는 SPSS Statistics 12.0K for Medical Science를 사용하여, 모수적인 다중비교 (parametric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는 ONE-WAY ANOVA 및 Student’s t-test를 실시하여 통하여 군간 비교하고, P<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 200 mg/kg/day, 300 mg/kg/day 및 800 mg/kg/day 투여군 (G2-G4) 모두에서 부형제 대조군 (G1)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수면 유도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P<0.05 or P<0.01). 또한 양성대조물질 투여군 (G6)은 부형제대조군 (G1)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면 유도시간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다 (P<0.0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의 수면 유도시간 감소 효과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의 투여량과 관련있었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L-tryptophan(G6, 300 mg/kg/day)보다 낮은 농도(G2, 200 mg/kg/day)에서 L-tryptophan(G6)과 유사한 수면 유도시간을 나타내었으며, L-tryptophan(G6, 300 mg/kg/day)과 같은 농도(G3, 300 mg/kg/day) 및 이보다 높은 농도(G4, 800 mg/kg/day)에서 L-tryptophan(G6, 300 mg/kg/day)보다 큰 수면 유도시간 감소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G4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 800 mg/kg/day의 농도는 L-tryptophan이 10.4 mg/kg/day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 G4 그룹의 L-tryptophan 농도의 2배 농도인 20 mg/kg/day의 L-tryptophan (G5)에서는 수면 유도시간의 감소가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는 ICR 마우스의 수면 유도시간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효과는 L-tryptophan 단독의 효과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ICR 마우스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PBSWE )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수면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ICR 마우스를 준비하고 6일째 투여 전 절식을 실시하였으며, 7일 째 시험물질 및 대조물질을 투여하고 30분 후, 펜토바비탈 나트륨(Pentobarbital sodium) 45 mg/10mL/kg을 복강 투여하고 라이팅 반사(Righting reflex)가 소실된 후, 소실 시간으로부터 깨어나기까지의 시간(수면시간)을 측정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측정결과는 SPSS Statistics 12.0K for Medical Science를 사용하여, 모수적인 다중비교 (parametric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s)는 ONE-WAY ANOVA 및 Student’s t-test를 실시하여 통하여 군간 비교하고, P<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 200 mg/kg/day, 300 mg/kg/day 및 800 mg/kg/day 투여군 (G2-G4) 모두에서 부형제 대조군 (G1)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수면시간 연장 효과가 관찰되었다 (P<0.05 or P<0.01). 또한 양성대조물질 투여군 (G6)은 부형제대조군 (G1)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면시간 연장 효과가 관찰되었다 (P<0.0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은 양성 대조군인 L-트립토판(G6) 보다 낮은 200 mg/kg/day 농도에서 L-트립토판(G6) 300 mg/kg/day 와 유사한 수면시간 연장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L-트립토판(G6) 과 같은 농도 (300 mg/kg/day)에서는 L-트립토판(G6)과 유의하게 높은 수면연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의 수면시간 연장효과는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하였다.
특히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의 가장 높은 투여량 그룹인 G4 (800 mg/kg/day) 내에 1.3% (10.4 mg/kg/day) 보다 약 2배 농도인 20 mg/kg/day의 L-tryptophan (G5)에서는 수면시간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는 ICR 마우스의 수면시간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효과는 L-tryptophan 단독의 효과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 내에 존재하는 L-트립토판 이외의 물질이 상승작용을 통하여 수면연장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4.3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 PBSWE )이 적용된 ICR 마우스 뇌의 조직병리학적 검사
본 발명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이 적용된 ICR 마우스 뇌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ICR 마우스를 준비하고 상기 4.1 및 4.2의 수면유도시간 및 수면시간 측정을 완료한 후 부검을 실시하여 뇌 조직을 적출하여 10 % 포르말린 완충액에 고정을 실시하였다. 고정된 뇌 조직은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상하부(hypothalamus)를 중심으로 절한한 후, 도 13과 같이 시교차 상핵 (Suprachiasmatic nucleus, SCN)에서 IHC (adenosine A1 receptor, AA1R)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AA1R의 측정 결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 200 mg/kg/day, 300 mg/kg/day 및 800 mg/kg/day 투여군 (G2-G4) 모두에서 부형제 대조군 (G1)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AA1R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P<0.05 or P<0.01). 또한 양성대조물질 투여군 (G6)은 부형제대조군 (G1)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AA1R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P<0.01).
하루 주기를 조절하며 멜라토닌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외부의 멜라토닌 유입시 되먹임 기전을 통해 일주기 시계가 조절된다고 알려진 시교차 상핵 (Suprachiamatic nucleus, SCN)에서, PBSWE 200 mg/kg/day, 400 mg/kg/day 및 800 mg/kg/day 투여군 (G2-G4)은 Neuron의 수의 변화 없이 아데노신 수용체 A1(Adenosine receptor A1; AA1R)의 유의한 증가가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되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의 투여가 수면의 항상성에 관여하는 인자인 AA1R 를 증가시키는 효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의 AA1R 증가는 상기 수면유도시간 및 수면시간에 대한 효과와 같이 L-tryptophan 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을 락토즈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하여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성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 제제예 2.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제제예 2-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 2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 비타민 C 10㎎, 비오틴 10㎍,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 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염화마그네슘 24.8㎎을 섞어 과립으로 제조하였으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변형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제예 2-2. 건강기능성 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PBSWE) 1g, 구연산 0.1g, 프락토올리고당 100g, 정제수 900g을 섞어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교반, 가열, 여과, 살균, 냉장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10)

  1.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50~70℃에서 6~8시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개선은 숙면장애, 수면유지장애, 중도각성, 조기각성, 불면증,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사건수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면증은 수면 유도시간 감소 또는 수면시간 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개선용 조성물은 아데노신 수용체 A1(Adenosine receptor A1; AA1R)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약학 조성물.
  6.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50~70℃에서 6~8시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개선은 숙면장애, 중도각성, 조기각성, 불면증,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사건수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불면증은 수면 유도시간 감소 또는 수면시간 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아데노신 수용체 A1(Adenosine receptor A1; AA1R)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00077714A 2020-06-25 2020-06-25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KR10238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714A KR102382638B1 (ko) 2020-06-25 2020-06-25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714A KR102382638B1 (ko) 2020-06-25 2020-06-25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32A true KR20220000132A (ko) 2022-01-03
KR102382638B1 KR102382638B1 (ko) 2022-04-04

Family

ID=7934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714A KR102382638B1 (ko) 2020-06-25 2020-06-25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559B1 (ko) * 2021-01-27 2023-10-18 에이치엠오건강드림영농조합법인 불면증 및 수면장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에 있어서 굼벵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551B1 (ko) 2015-08-05 2016-04-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유래의 항균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170142756A (ko) * 2016-06-20 2017-12-28 강실호원 유한회사 굼벵이를 포함하는 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8294B1 (ko) 2017-06-27 2018-02-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101988959B1 (ko) * 2019-05-13 2019-06-14 주식회사 한미양행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KR20200023576A (ko) 2018-08-24 2020-03-05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551B1 (ko) 2015-08-05 2016-04-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유래의 항균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170142756A (ko) * 2016-06-20 2017-12-28 강실호원 유한회사 굼벵이를 포함하는 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8294B1 (ko) 2017-06-27 2018-02-1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20200023576A (ko) 2018-08-24 2020-03-05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88959B1 (ko) * 2019-05-13 2019-06-14 주식회사 한미양행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vi G, Patrono C. Platelet activation and atherothrombosis. N Engl J Med 2007, 357(24), 2482-2494.
Fares A. Winter cardiovascular diseases phenomenon. N Am J Med Sci 2013, 5(4), 266-279.
Hirsh J, Raschke R, Warkentin TE, Dalen JE, Deykin D, Poller L. Heparin: mechanism of action, pharmacokinetics, dosing considerations, monitoring, efficacy, and safety. Chest 1995, 108(4 Suppl), 258S-275S.
Kang, E. H. Sleep Disorder and Socioeconomic Burden.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8(2): 72-5(2011)
Pereira MS, Melo FR, Mourao PA.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anticoagulant action of sulfated galactans and sulfated fucans. Glycobiology 2002, 12(10), 573-580.
Weitz JI, Hirsh J, Samama MM. New anticoagulant drugs: the Seventh ACCP Conference on Antithrombotic and Thrombolytic Therapy. Chest 2004, 126(3 Suppl), 265S-286S.
Wells PS, Forgie MA, Rodger MA.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JAMA 2014, 311(7), 717-728.
고천[古川] 등, 원색곤충백과도감, 집앙사[集英社], 동경[東京], 573-574(1977)
장지이[張芝利], 중국경제곤충지 28책, 초시목, 중국과학원 중국동물지 편찬위원회, 과학출판사(1984)조용섭, 한국 식물병·해충·잡초명감, 한국식물보호학회, 633(198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638B1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952B1 (ko) 수면에 영향을 주는 식물 추출물 조성물
EP2117560B1 (en) A composition for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ion and process thereof
KR101747139B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bubakar et al.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Hibiscus Sabdariffa aqueous calyx extract in Albino rats
KR10170491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70085519A (ko) 대엽구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2382638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개선용 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87719B1 (ko) 신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20038372A (ko)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05446B1 (ko) 야관문 추출물
KR20160099972A (ko)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2101A (ko)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RU274426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НИКОТИНОВОЙ ЗАВИСИМОСТИ, ВКЛЮЧАЮЩАЯ ЭКСТРАКТ Liriope platyphylla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KR20060081279A (ko) 죽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관련 정신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864425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 또는 치료제
KR102574896B1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니코틴 중독 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9972B1 (ko) 한약재 추출물(yj05)을 함유하는 불면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87174B1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50005482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0215476B (zh) 一种香叶子叶或块茎提取物在制备抗抑郁药物中的应用
KR101600745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