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174B1 -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174B1
KR100787174B1 KR1020060050065A KR20060050065A KR100787174B1 KR 100787174 B1 KR100787174 B1 KR 100787174B1 KR 1020060050065 A KR1020060050065 A KR 1020060050065A KR 20060050065 A KR20060050065 A KR 20060050065A KR 100787174 B1 KR100787174 B1 KR 10078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mooth muscle
vascular smooth
presen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513A (ko
Inventor
조민경
최수정
금상일
신흥묵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50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17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61K36/8884Arisaema, e.g. Jack in the pulp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추출물의 제조시 용매로서는 물 또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추출물에 대해 실험한 결과, 상기 추출물은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양성 대조군인 PDGF 단독 투여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억제하였으며, 또한 상기 추출물을 1 ㎎/㎖ 농도로 24시간동안 혈관 평활근 세포에 처치하였을 때 양성 대조군에 비해 약 50% 정도의 현저한 세포 이주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제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반하, 백출, 천마, 혈관 평활근 세포(SMC),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증식(proliferation), 이주(migration), 동맥경화

Description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A herbal mixture extract comprising Pinellia termate, Atractylodis Rhizoma Alba, Gastrodia elata,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Poria cocos, Crataegur, 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 Coptis Rhizom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rterioscleros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혈관 평활근 세포에 농도별로 투여하고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을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혈관 평활근의 이주에 미치는 효과를 트랜스웰 이주능 분석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 이주를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맥경화증은 동맥벽에 비후(肥厚)나 조직의 변성(變性)이 일어나서 경화(硬化)하는 질환으로, 동맥의 내막이 두터워져 내경이 좁아지면서 산소와 각종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동맥과 뇌 및 하지로 가는 동맥에 혈류장애가 나타나는데, 노화와 더불어 발생하는 주요 질환 중의 하나이다. 동맥의 내막에 과도한 세포증식에 의해 생겨난 죽종 주위에 섬유화가 일어나 혈관이 점차 단단해지는 현상을 죽상동맥경화라 하며, 죽상이란 용어를 생략하여 동맥경화라 하기도 한다.
동맥경화증은 10세 전후에서 시작되며 40세 후반에 혈류장애가 나타나는데, 때에 따라 섬유막이 파열되어 혈관 안에 혈전이 생길 수 있고, 죽종 안에 출혈이 일어나 혈관내경이 급격하게 좁아져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동맥경화는 뇌동맥 또는 관상동맥에서 일어나기 쉬운데, 뇌동맥경화증의 경우에는 두통, 현기증, 정신장애를 나타내고 뇌연화증의 원인이 되며, 관상동맥경화증의 경우에는 심장부에 동통과 부정맥을 일으켜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심장병, 뇌일혈 등이 유발되어,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질병이 현대 사회에 있어, 특히 50∼60대의 남성들에게 가장 큰 사망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서구에서는 예전부터 주된 사망원인이 되는 흔한 질병이며, 국내 통계청발표에 따르면 1995년 20%에서 2000년에는 73%로 증가하여 국내에서도 동맥경화와 관련된 사망률이 약 50%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맥경화는 중심성 비만을 포함하여 비만(과체중), 혈전, 과응고 및 혈전유발 상태(동맥과 정맥) 등의 대사 증후군이나 지질이상혈증 등과 같은 질환의 발생 및 진행과 깊이 관련되고,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동맥은 대동맥, 중동맥, 소동맥으로 구분되며, 내막, 중막, 및 외막의 세 층으로 구성되며 특히, 죽상동맥경화증은 주로 탄력성 및 근육성 동맥에서 잘 발생한다. 혈관 수축과 확장기능을 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는 자극을 받으면 내막으로 이주하여 증식할 수 있으며, LDL에 대한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매우 엄격한 기작에 의하여 증식이 조절되지만, 비정상적인 경우 과다 증식되어 혈관계 질환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또한, 혈관 평활근 세포는 협심증과 심근 경색증으로 대표되는 허혈성 심질환 치료시 혈관 재협착을 유발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평활근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며, 항산화제, 항혈소판제, 혈관확장제, 항응고제 등의 투여가 실시되고 있지만, 임상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반하, 백출, 천마는 반하백출천마탕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족태음의 담궐두통을 주치로 한 방제로 비위내상으로 인한 두통여렬, 신중여산, 오심번민, 사지궐냉, 구토, 현훈 증상에 처방하며, 그 제습화담의 효능으로 최근 담습의 조체로 인한 심혈관계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병리적으로 비위의 허약은 위내정수와 수독에 의한 담음을 발생시키며 또한, 담음은 혈류의 장애를 초래하여 심혈 관계질환의 병태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반하백출천마탕은 담음이 관여하는 혈류장애나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개선과 혈압강하의 효과가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을 추출하여 동맥경화 치료 효능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유주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추출물에 대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유주 활성을 억제하는 객관적인 효능을 밝혀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의 제조시 용매로서 물 또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 성분 약재별 약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하(Pinellia termate)는 청남성과의 다년초로 끼무릇의 코르크층을 제거하고 덩이줄기를 사용하는 생약으로 진토, 이뇨, 안압강하, 진해거담, 분비억제, 항부정맥, 항암작용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삽주의 근경을 일으키며, 방향성건위제로 한방에서는 비장을 보강하는 건비, 보비 처방에 빈용되며 진정, 이뇨, 지한, 자양, 안테효과,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혈당치저해효능, 혈압강하, 이뇨작용등의 효과가 있다.
천마(Gastrodia elata)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 뇌신경쇠약증, 진통, 두통, 중풍,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콩팥염 및 당뇨병 등에도 사용된다.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는 귤껍질로서, 산초과 또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광귤나무(Citrus Auranticum L.) 또는 제주도산 귤나무(C. Junos), 귤나무(C. nobilis) 등의 익은 열매의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것인데, 동의치료에서는 오래 묵인것일수록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분으로는 정유와 플라보 노이드인 헤스페리딘(hesperidin)이 함유되어 있어 방향성 건위약 또는 진해, 거담, 복만, 복통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정성이 확보된 생약의 일종이다.
복령(Poria cocos)은 나무뿌리에 기생하며, 균핵(菌核) 크기는 10∼30cm이며 백색인 것을 백복령(白茯笭), 적색인 것을 적복령(赤茯笭)이라 한다.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요도염에 이용한다.
산사(Crataegur)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으로 그 성분으로는 히페로사이드(Hyperoside), 케르세틴(quercetin), 올레아놀(oleanol)이 있으며 과실은 이과로서 구형 또는 도란형이며 산사자라 한다. 약효는 건위, 소화, 강장, 고혈압, 월경통 등에 사용한다.
희렴(Siegesbeckia glabrescens Makino)은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으로서 성분으로는 디테르펜다투로시드, 다투린, 알칼로이드, 사포닌, 정유 등이 있으며 혈압내림, 악창, 풍습, 중풍에 효과가 있다.
황련 (Coptis Rhizoma)은 미나리아제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주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보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및 야테오리진(Jateorrhizine) 등을 함유하며, 고미건위정장약등으로 쓰이고, 주성분인 베르베린은 장내세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위장병, 출혈, 동맥경화, 염증, 정신불안 등에 사용되고 있는 생약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을 물,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1이상의 화합물을 선택하여 추출한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은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을 물 또는 유기용매, 또는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데, 유기용매로는 저급 알콜,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예시할 수 있으며,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을 용매로 하여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 총 무게의 1 내지 2 배, 바람직하게는 1.5 배의 물을 첨가하고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시간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제제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을 추출하는 경우는 상기 한약제제 혼합물 총 무게의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5배의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들에서 추출공정은 필요에 따라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약제제 혼합물의 추출물은 여액을 농축시킨 엑기스 상태 또는 상기 여과된 여액을 농축시키고 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는 통상적인 모든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 방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이주 활성 억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세포 실험을 하였다. 먼저,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에 관한 실험에서는, 음성 대조군에서 48시간에 증식된 세포를 100%라 하면 PDGF 단독 투여시 세포 증식 정도는 160%로 60% 증가하였다. 반면에, PDGF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병용 투여하였을 경우는 약 90-100% 정도로 음성 대조군과 비슷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나타내므로서, 양성 대조군인 PDGF 단독 투여군에 비해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도2).
그리고, 트랜스웰 이주능 분석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에 미치는 효능을 측정한 결과, PDGF를 단독 투여하여 48시간 경과 후 평활근 세포의 유주활성을 100%로 나타내었을 때, PDGF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농도별로 병용투여한 군은 80%-40%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PDGF에 의한 혈관 평활근세포의 이주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제제 추출물에 대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활성 억제 효과를 상처치유 (Wound healing) 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 PDGF를 단독 투여하여 24시간 경과후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주활성을 100%로 나타내었을 때, PDGF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병용 투여한 군은 약 20-50% 정도의 유주활성을 나타내어 PDGF에 의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1, 도4).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투여하고 혈소판유래성장인자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 이주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3-4회 반복실험한 후 통계처리한 결과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표이다.
PDGF(5ng/ml) + + + +
실시예1의 추출물농도(mg/ml) - 0.1 0.5 1
세포이주거리(%) 12시간 95 95 59 36
24시간 100 100 76 52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및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및 증식에 관련된 동맥경화 및, 이와 관련된 질환으로서 관상동맥 심장병, 심근경색증, 협심증, 고지혈증, 뇌연화증, 뇌일혈,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혈관 재협착 및 폐색 뿐만 아니라 당뇨병과 그 합병증, 비만, 지질이상혈증 등과 같은 잠재성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제제들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제로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001 내지 2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1 내지 3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및 약학 조성물은 다른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 치료제의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통상의 약학적 제제로 제조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다른 치료제 예를 들어 인슐린, 진통제, 항당뇨병제, 항고혈압제, 진정제, 수면제, 고지혈증 치료제 등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의 제조
반하 9 g, 백출 12 g, 천마 6 g, 진피 6 g, 복령 9 g, 산사 9 g, 희렴 9 g, 황련 9 g 을 잘 씻은 후 추출용기에 넣고 물 500 ㎖을 가하여 100℃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4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한약제제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 15 w/v%). 상기 한약제제 혼합 추출물을 이하의 실험예 및 제제예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혈관 평활근 세포의 독성 실험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의 혈관 평활근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은 MTT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혈관 평활근 세포를 96웰-플레이트에 90-100% 자랄 때까지 배양한 후 혈청이 없는 배지로 기존 배지를 갈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혈청을 고갈시켰다. 그 다음,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을 혈청이 없는 배지에 녹여 96웰-플레이트의 세포에 농도별(㎎/㎖)로 처치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처치하여 24시간 경과 후, 2㎎/㎖ 농도로 MTT 용액을 첨가하였다. 약 4시간 후 플레이트에 형성된 포르마겐(formagen)을 DMSO 200㎕에 녹여 ELISA 리더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에 의한 세포의 생존률은 하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각각 농도별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대하여 70 % 이하의 생존률을 나타낸 시료를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시료로 판단하였다.
세포의 생존률(%) = (실험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100
상기 실험의 결과를 하기 도1에 나타내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관 평활근 세포는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1㎎/㎖에서 세포 생존율이 약 2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독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5㎎/㎖의 농도에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생존율이 약 50%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1㎎/㎖ 이상의 농도에서는 혈관 평활근 세포에 대한 독성이 관찰되었다.
[실험예 2]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혈관 평활근 세포를 96웰-플레이트에서 약 50% 자랄 때까지 배양하고, 혈청이 없는 배지로 기존 배지를 갈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혈청을 고갈시켰다. 그 다음, 음성 대조군에는 배지만 100㎕, 실험군에는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을 1㎎/㎖의 농도로 배지에 녹여 100㎕씩 전투여하고. 1시간 후 PDGF를 양성 대조군과 실험군에 5ng/㎖ 농도로 투여하였다. 각 양성 대조군과 실험군을 12시간에서 72시간까지 배양하고, 각 배양 시간이 경과하면 2 ㎎/㎖의 MTT 용액 50㎕를 첨가하고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포르마겐(formagen)을 DMSO 200㎕에 녹여 ELISA 리더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도2에 나타내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관 평활근 세포는 PDGF 단독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음성 대조군에 비해 2배 정도까지 세포 생존율이 관찰되었으나,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과 PDGF 병용 투여 군에서는 음성 대조군과 비슷한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3]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이 혈관 평활근의 이주에 미치는 효과를 트랜스웰 이주능 분석법으로 나타낸 결과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과를 타입 I 콜라젠 (type I collagen) 으로 코팅된 트랜스웰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혈관 평활근 세포를 3개의 플레이트에서 약 100% 자랄 때까지 배양하고, 혈청이 없는 배지로 기존 배지를 갈아 24시간동안 배양하여 혈청을 고갈시켰다. 업퍼 챔버 (Upper chamber)에 혈관 평활근 세포 100㎕(1×106) 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0, 0.1, 1㎎/㎖로 각각 투여한 후, 로어 챔버 (lower chamber)에 600㎕의 혈청이 없는 배지를 첨가하였다. 1시간 후 50 ng/㎖의 PDGF를 로어 챔버 (lower chamber)에 첨가하고 37℃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경과 후, 업퍼 서피시스 (upper surfaces)를 세척하고 메탄올로 30분간 고정하여 김사액 (Giemsa solution)으로 1시간 동안 염색한 후, 이주된 혈관 평활근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도3에 나타내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GF 단독 투여하여 48시간 경과 후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를 100%로 나타내었을 때,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0.1㎎/㎖과 1㎎/㎖의 농도로 병용 투여하였을 경우 각각 약 80%와 40%로 나타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예4]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과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 억제 효과를 상처 치유 분석(wound healing assay)으로도 관찰하였다. 혈관 평활근 세포를 24웰-플레이트에서 약 100% 자랄 때까지 배양하고,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정지시키기 위해 증식 억제 물질인 마이토마이신(Mitomycin)을 25㎍/㎖ 농도로 투여하였다. 1시간 후 200㎕용 피펫팁을 이용하여 웰-플레이트 바닥에 일정한 굵기의 선을 긋고 배지를 제거하여, PBS로 세척하였다. 그리고 나서, 1% FBS가 첨가된 배지에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하고 30분 후 5ng/㎖ PDGF를 첨가하여 12시간 간격으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주 거리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2와 도4에 나타내었다.
PDGF(5ng/ml) + + + +
실시예1의 추출물농도(mg/ml) - 0.1 0.5 1
세포이주거리(%) 12시간 95 95 59 36
24시간 100 100 76 52
도4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주 사진이며 상기 표1은 이주한 거리를 백분율로 나타낸 표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GF 투여하여 세포의 이주를 유도한 결과 24시간째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가 100% 진행된 것을 관찰하였고,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과 PDGF를 병용투여 하였을 경우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에 의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가 억제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표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GF 단독 투여한 후 12시간째 측정한 결과 95% 정도의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가 관찰되었으나,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을 전투여하였을 경우에는 59.3% 와 35.5%로 약 40-60% 정도의 세포 이주를 나타내어 PDGF에 의한 세포 이주를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24시간째에는 PDGF 투여군에서 100% 이주가 진행된 반면,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을 전투여 하였을 경우에는 약 50% 정도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주가 관찰되어 PDGF에 의한 세포 이주를 상기 추출물이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 · · · · · · · · · 0.1 g
유당 · · · · · · · · · · · ·1.5 g
탈크 · · · · · · · · · · ·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 · · · · · · · · ·0.1 g
락토스 · · · · · · · · · · ·7.9 g
결정성 셀룰로오스 · · · · · · · ·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 · · · · · 0.5 g
총량 · · · · · · · · · · · ·10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 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 · · · · · · · · · 0.1 g
옥수수전분 · · · · · · · · · · 5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 · · · · · · · 4.9 g
총량 · · · · · · · · · · · ·10 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잘 혼합하여 경질 캡슐에 분말 100㎎을 넣어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 · · · · · · · · ·0.1 g
주사용 멸균 증류수 · · · · · · · · 적량
pH 조절제 · · · · · · · · · ·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 · · · · · · · · · ·0.1 g
이성화당 · · · · · · · · · · · 10 g
만니톨 · · · · · · · · · · · ·5 g
정제수 · · · · · · · · · ·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현탁제의 제조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0.1g 을 현탁화제와 함께 100 ㎖ 물에 교반, 혼합시키고 적당한 감미제를 혼합하여 통상의 현탁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현탁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7. 환의 제조
100 ㎖ 의 꿀을 가열한 후 여과하고 다시 가열한 후 여과하기를 서너 차례 반복한 후 손으로 집어 문질러 보아서 점성이 있고 황사 (黃絲)가 생기며 냉각된 후에도 손에서 끈적거리지 않게 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꿀 대신 물, 호도기름 및 식초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준비된 뜨거운 꿀에 실시예1에서 얻은 추출물 5 g 을 첨가하여 반죽한 후 상기 반죽을 인공 혹은 제환기를 이용하여 균등한 크기의 환으로 성형하여 환제를 제조하였다. 환제는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서 건조시킨 후 음냉한 곳에서 밀폐 저장하여 보관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1㎎/㎖의 농도에서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에 의해 증가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크게 억제시켰고, 유주 활성을 억제시켜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4)

  1. 삭제
  2.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심근경색증, 협심증, 뇌연화증, 뇌일혈,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혈관 재협착 및 폐색, 당뇨병 및 그 합병증, 비만, 또는 지질이상혈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20060050065A 2006-06-02 2006-06-02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78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65A KR100787174B1 (ko) 2006-06-02 2006-06-02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65A KR100787174B1 (ko) 2006-06-02 2006-06-02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513A KR20070115513A (ko) 2007-12-06
KR100787174B1 true KR100787174B1 (ko) 2007-12-21

Family

ID=3914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065A KR100787174B1 (ko) 2006-06-02 2006-06-02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896B1 (ko) * 2018-02-27 2020-06-0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산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CN113304235B (zh) * 2020-02-26 2022-07-26 北京重生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674B1 (ko) * 2006-02-03 2006-05-10 신흥묵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약제학적 조성물
KR20060050066A (ko) * 2004-07-13 2006-05-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실장 구조체 및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066A (ko) * 2004-07-13 2006-05-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실장 구조체 및 전자 기기
KR100577674B1 (ko) * 2006-02-03 2006-05-10 신흥묵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513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8553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natur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hiv-associated opportunistic infections and complica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natural agents
KR100787175B1 (ko)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672431B1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48332B1 (ko) 큰까치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87174B1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601390B1 (ko)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4516958B2 (ja) 抗糖尿病用組成物
CN107137438A (zh) 蜡梅属植物抗结核杆菌的用途
KR100963621B1 (ko) 류코트리엔 생합성 억제제 및 그를 포함하는 음식품
US2012007051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erbal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phritis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08829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장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3834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070114444A (ko)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61950B1 (ko) 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프레닐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조성물
KR101503372B1 (ko) 비목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1856468B (zh) 一种治疗老年痴呆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10082B1 (ko) AMPK을 활성화시키는 HM-chroma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093731B1 (ko) 맥문동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21453B1 (ko) 석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08743654B (zh) 一种用于治疗缺血性心脏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60141546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