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372A -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372A
KR20120038372A KR1020110102105A KR20110102105A KR20120038372A KR 20120038372 A KR20120038372 A KR 20120038372A KR 1020110102105 A KR1020110102105 A KR 1020110102105A KR 20110102105 A KR20110102105 A KR 20110102105A KR 20120038372 A KR20120038372 A KR 20120038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kgo biloba
angelica
donepezi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화
구세광
예인해
이한창
김강전
Original Assignee
제일약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약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약품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0745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47063A2/ko
Publication of KR2012003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및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은 독성을 감소시키고, 반수치사량(LD50)을 증가시켜 치매치료제의 독성을 감소시키고, 치매치료제의 보조제로서 약물동력학적 수치들을 증가시키므로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Ginkgo biloba L. leaves; or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Ginkgo biloba L. leaves for Alzheimer's Disease adjuvant o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치료제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치매의 원인으로 만성적, 진행성 기질적 뇌질환으로 기억력, 판단력, 언어능력, 이해능력, 실행능력, 지남력, 학습능력 등 뇌기능의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성격 및 감정의 변화나 생활 활력도 저하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에 타 노인성 질환보다 높은 사회적 비용을 야기시키는 질환으로, 국내 치매노인의 수는 2008년 약 41만명(95% 신뢰구간 29-53만)으로 추정되고, 2019년 70만명, 2030년 109만명, 2050년 200만명으로 추계되고 있다(Suh GH,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 2002, 6:28-35.).
AD의 주요한 신경 병리 소견은 해마와 피질에 불용성의 두 가지 단백물질이 응집하여 침착되는 것으로서 신경세포 밖에는 아밀로이드베타단백(amyloid beta protein, Aβ)으로 구성된 노인판(senile plaque, SP)이 축적되고, 신경세포 안으로는 과인산화된 타우단백(hyperphosphorylated tau protein)으로 이루어진 신경 섬유농축제(neurofibrillary tangle, NFT)가 축적된다(Vetrivel KS, et al., Neurology, 2006, 66:S69-73, Lee VM, et al., Neuron , 2006, 52:33-38).
그동안의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AD의 원인과 발병기전은 아직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최근까지 AD의 약물치료는 콜린성 가설(cholinergic hypothesis)에 근거한 치료제가 근간이 되고 있고(Roberson MR, et al., Brain Res Rev, 1997, 25:50-69, Roberson MR, et al., Neuroscience , 1997, 80:413-418), 치매 질환이 콜린성 신경계의 기능저하 및 인지기능의 손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뇌에서 아세틸콜린의 분해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의 활성을 억제하여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유지하여 인지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치료제인 타크린(tacrin, 제품명; 코그넥스캅셀)과 도네페질(donepezil, 제품명; 아리셉트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타크린(tacrin)은 간독성, 현훈, 운동실조, 불면, 위장관장애, 착란, 혈압이상, 식욕부진, 열감 또는 신경과민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고, 도네페질(donepezil)은 전임상연구 결과, 설치류에서 LD50값이 30-40 mg/kg으로 나타났고, 래트와 개에서 13주 반복 독성실험을 한 결과, 최대 무작용량(NOEL)은 1 mg/kg/일로 나타나 심각한 독성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Pfizer Canada Inc., 2007), 임상 증상으로는 근육 경련, 피로감, 불면증, 어지러움 등의 정신신경계의 장애와 수지진전, 운동장애 등의 추체외로 계의 장애 또는 설사, 구역, 구토 등의 소화기계의 장애등의 부작용들이 나타났다(Dunn NR. et al, J. Psychopharmacol . 2000, 14:406-82000).
따라서, 종래 치매치료제보다 독성은 낮으면서 치매치료효과가 높은 새로운 치매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귀화 식물로서 한국산 당귀를 참당귀라고 하며, 일본이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60 - 90 ㎝이고, 꽃은 흰색으로 8-9월에 가지 끝에 달리며,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뿌리를 당귀라고 하는데, 보혈의 효능이 있으므로 얼굴에 핏기가 없고 현기증이 자주 나며 눈과 입술에 윤기가 없는 사람에게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몸이 허약하여 오는 두통, 여성들의 월경 조절 효능이 뛰어나므로 산전이나 산후의 여러 질병에 자주 사용되며, 월경불순, 복통을 치료한다. 위장의 기능이 약해서 오는 변비 치료에 효과가 있다(배기환 저, 민간요법과 한방요법에 따른 건강지침서 원색도감, 2003, 102-103).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당귀의 성분으로는 쿠마린(coumarine)계 물질인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노다케네틴(nodakenetin), 움벨리페론 (umbelliferon), 노다 케닌(nodaken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안젤란-Ⅰ, 안젤란-Ⅱ 등이 있다. 단리 된 데커신과 데커시놀은 토끼 적출 장관을 마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개구리 적출심장에 대하여는 억제작용 그리고 토끼의 호흡 억제와 혈압강하 작용이 보고되었으며 생쥐의 자발작용을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생약학회지 1970, 1, 1:25-32). 또한, 항혈전작용, 조혈작용, 심장수축억제작용, 혈관이완작용, 혈중지질농도 강하를 통한 죽상동맥경화 억제작용, 면역조절작용, 항암작용 및 항염증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Chung B. S., et al, HyangyakDaesacheon: Youngrimsa, 1998, 406-408). 최근에는 데커신이 단백질 인산화효소 C(protein kinase C)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펙틴질 다당류인 안젤란-Ⅰ, 안젤란-Ⅱ 등이 항암제 또는 면역 증강제로서 효과를 개시하였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999-0031277호).
은행엽 추출물은 수천 년 동안 약물로 사용되어 왔고, 약용으로 사용되는 징코빌로바(ginkgo biloba) 추출물은 건조된 은행엽에서 제조되며 24 % 징코-플라본글라이코사이드(Ginkgo- flavoneglycosides) 및 6 % 터페노이드(terpenoid)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특히, 은행엽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는데, 플라보노이드와 징코라이드(ginkgolide)는 자유라디칼 소거작용 및 항산화작용이 있어 활성산소종 및 지질과산화를 방지하고 빌로바라이드(bilobalide)는 미토콘드리아에서의 호흡률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DeFeudis F.V. et al., Curr Drug Targets , 2000, 1:25-5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치매치료제의 독성을 낮추고 치매 치료효과는 향상키는 물질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종래 치매치료제에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병합투여한 경우 종래 치매치료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독성을 감소시켜 반수치사량(LD50)을 증가시키고, 임상증상을 촉진시키며, 또한, 혈중 약물농도, 약물 흡수속도 등의 약물동력학적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치매를 치료 및 개선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치료제의 독성을 약화시키는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과 치매치료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치료제의 독성을 약화시키는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과 치매치료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은 종래 치매치료제의 독성을 감소시켜 반수치사량(LD50)을 증가시키고, 상기 치매치료제의 약물동력학적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임상 증상의 개선을 촉진시키므로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의 반수치사량(LD50)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2의 반수치사량(LD50)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3의 반수치사량(LD50)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중 최대 약물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치료제의 독성을 약화시키는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당귀 추출물과 은행엽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의 조성비는 중량비로 1:0.1 -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의 조성비는 중량비로 1:2-6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의 조성비는 중량비로 1:4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당귀 및 은행엽은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당귀는 식물 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잎, 줄기 또는 뿌리를 각각 이용할 수 있으며, 이중 뿌리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당귀는 생육단계 중 모든 시기가 사용 가능하고, 은행엽은 은행나무의 잎을 사용한다.
상기 당귀 및 은행엽 추출시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물, C1 -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당귀 및 은행엽 건조 중량의 2 - 30배로 함이 바람직하고, 20배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 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추출 회수는 1 -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1회 - 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시 온도는 10 ℃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간은 1시간 -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3시간 - 7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조성물은 60-70 ℃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여 연조엑기스로 제조하거나, 동결건조 하거나 스프레이 드라이어 또는 유동층 조립기를 이용하여 건조함으로써 분말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치매치료제 및 당귀 또는 치매치료제, 당귀 및 은행엽 복합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치매치료제인 도네페질을 포함하는 당귀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및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독성 효과 및 반수치사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독성효과 및 반수치사량은 래트 또는 마우스에 경구투여하여 사망한 수를 기초로 하였고, 임상증상의 감소 유무는 사망한 마우스를 제외한 나머지 군에서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병용 투여시 도네페질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군에서 사망한 래트 수 및 마우스 수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반수치사량(LD50)값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1, 실험예 2 및 도 1 참조). 특히,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가 1:4인 경우, 도네페질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4 및 도 2, 3 참조).
또한,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경우, 진전(근경련), 우울증, 운동실조 및 연변 등의 임상증상의 정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참조).
나아가, 약물동태학적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물은 도네페질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혼합 조성물이 투여된 군에서 투여용량에 따른 최대 혈중 약물농도 도달시간이 빨라지고, 최대 혈중 약물농도가 높아졌으며, 혈중 약물 체류시간이 증가하고, 약물의 흡수율 및 흡수속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6 참조).
또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과 치매치료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매치료제는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당업계에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복합조성물은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을 단독으로 치매치료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당귀 추출물과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치매치료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의 추출물은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은행엽 추출물은 당귀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0.1-10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의 조성비는 중량비로 1:2-6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의 조성비는 중량비로 1:4이다.
나아가, 상기 치매치료제는 도네페질, 갈란타민, 메만틴, 리바스티그민 및 타크린 등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네페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 치매치료제에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종래 치매치료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독성이 감소 되어 반수치사량(LD50)이 증가하고, 혈중 약물농도, 혈중 약물 체류시간 등의 약물 동력학적 파라미터가 증가하며, 진전(근경련), 우울증, 운동실조 및 연변 등의 임상증상의 개선 효과가 향상되는 등의 우수한 치매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치매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조성물을 0.1 -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강, 설하, 비강, 직장 또는 피하내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나,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상인(표준 체중 60 kg)을 기준으로 10 - 1500 mg 투여범위 내에서 1일 1 - 3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당귀 추출물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당귀(當歸)는 참당귀(Angelica Gigas Radix)로 강원도 평창에서 채취한 것이며, 당귀 100 g에 50% 에탄올 2.7 ℓ를 넣고, 항온조(water bath, 동서과학 DS-SWB-4)를 이용하여 6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한 여과액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BUCHI Rotavapor R-144, swizerland)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얻고, 다시 이를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그 결과, 당귀는 32 %의 수율로 동결건조 추출물 32 g을 얻었다. 상기 동결 건조한 추출물 분말은 증류수에서 10 mg/㎖ 농도로 용해되었으며, 빛과 변성으로부터 차단된 -20 ℃ 냉동실에 보관하였다.
< 실시예 2>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은행엽 추출물(Ginkgo biloba extract)은 인데나(Indena)사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량비로 혼합하여 독성실험을 위한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1 50 mg/kg 50 mg/kg
2 100 mg/kg 100 mg/kg
3 200 mg/kg 200 mg/kg
4 400 mg/kg 400 mg/kg
< 실시예 3> 도네페질 및 당귀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제조
도네페질(제일약품사) 50, 75 또는 100 mg 및 상기 실시예 1의 당귀 추출물 250 mg을 혼합하여 제조한 후, 상기 도네페질 및 당귀 추출물 복합조성물을 증류수 50 ㎖에 용해하여 도네페질 및 당귀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고, 도네페질은 단독으로 증류수 50 ㎖에 용해하여 도네페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 복합조성물의 제조
도네페질(donepezil?HCl?H2O)은 제일약품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의 당귀 추출물 분말, 도네페질 및 은행엽(인데나사) 추출물은 각각 약한 갈색, 백색 및 황백색으로 각각 빛과 변성으로부터 차단된 4 ℃, -10 ℃ 및 -10 ℃에 보관된 후 사용하였다.
도네페질 10 mg,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당귀 추출물 100 mg 및 은행엽 추출물 100 mg을 혼합하여 제제시 첨가제로 사용되는 고분자 화합물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400(PEG400) 및 증류수의 비가 3:7인 용매제 20 ㎖ 에 용해하여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20 ㎖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도네페질과 당귀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이 도네페질 독성에 미치는 효과
본 발명의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이 도네페질의 치사 용량 및 독성 임상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체중이 30 - 32 g의 7주 된 SD 래트를 총 70 마리의 암컷 및 수컷 각각 35마리씩 선정하였고, 상기 래트를 각 실험군 당 10마리를 1군으로 하여, 실험기간 동안 사료와 물은 낮 동안에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동물 사육실의 온도는 20 - 25 ℃이고, 습도는 40 - 45 ℃로 유지시키고, 12시간 마다 낮과 밤이 반복되도록 사육실 내 명암주기(light-dark cycle)를 조절하여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도네페질 및 당귀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및 도네페질을 각각 20, 30 및 40 mg/kg씩 녹인 용액을 20 ㎖/kg씩 상기 래트에 투여하고, 대조군은 증류수만 주사한 후, 7일 동안 관찰하여 사망계를 측정하여 독성 정도를 측정하고,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투여용량(mg/kg)


실험일에 다른 사망한 렛트의 수(마리)
1일째 2일째 3일째 4일째 5일째 6일째 7일째 총 사망 렛트 수
대조군
- 10 - - - - - - - 0


도네
페질
20 10
- - - - - - - 0
30 10
1 - - - - - - 1
40 10
3 - - - - - - 3

도네
페질+당귀 추출물
20 10
- - - - - - - 0
30 10
- - - - - - - 0
40 10
1 - - - - - - 1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네페질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 중에서 투여용량이 30 mg/kg인 경우에는 1일째에 1마리의 래트가 사망하였으며, 투여용량이 40 mg/kg일 경우에는 1일째에 3마리의 래트가 사망하였으나, 본 발명의 도네페질 및 당귀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경우, 투여용량이 40 mg/kg일 경우에 1일째 1마리의 래트가 사망하였으나, 투여용량이 20 mg/kg 및 30 mg/kg인 경우에는 7일 동안 사망한 래트는 없었다.
상기 표 2의 결과, 본 발명의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도네페질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과 비교해 볼 때 오히려 독성이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2>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독성감소 실험-1
본 발명의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가 1:1인 복합조성물이 도네페질의 치사 용량 및 독성 임상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체중이 30 - 32 g의 6주 된 수컷 ICR 마우스(SLC, JAPAN)를 총 100 마리의 선정하여, 각 실험군 당 5마리를 1군으로 하고, 실험기간 동안 사료와 물은 낮 동안에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동물 사육실의 온도는 20 - 25 ℃이고, 습도는 40 - 45 %로 유지시키고, 12시간 마다 낮과 밤이 반복되도록 사육실 내 명암주기(light-dark cycle)를 조절하여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상기 마우스는 도네페질 단독투여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복합조성물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네페질과 혼합하여 각각 증류수 20 ㎖에 용해시켜 50, 100, 200 및 400 mg/kg의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용액을 20 ㎖/kg씩 각각 투여하였고, 생리식염수만 투여한 군을 S1으로 표기하였고, 도네페질을 60 mg/kg 사용한 군을 S2로 표기하였으며, 도네페질을 40 mg/kg 사용한 군을 S3로 표기하였고, 도네페질을 20 mg/kg 사용한 군을 S4로 표기하였다.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S2

60 mg/kg
50 mg/kg 50 mg/kg
100 mg/kg 100 mg/kg
200 mg/kg 200 mg/kg
400 mg/kg 400 mg/kg

S3

40 mg/kg
50 mg/kg 50 mg/kg
100 mg/kg 100 mg/kg
200 mg/kg 200 mg/kg
400 mg/kg 400 mg/kg

S4

20 mg/kg
50 mg/kg 50 mg/kg
100 mg/kg 100 mg/kg
200 mg/kg 200 mg/kg
400 mg/kg 400 mg/kg

투여기간 중 사망동물 수(마리)
(사망율)
0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 도네페질 단독 투여군
S1 - - - - - - - - - - - - - - 0 %
S2 5 - - - - - - - - - - - - - 100 %
S3 4 1 - - - - - - - - - - - - 100 %
S4 2 - - - - - - - - - - - - - 40 %

2. 도네페질(S2, S3 또는 S4)+당귀(50 mg/kg)+은행엽(5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S1 - - - - - - - - - - - - - - 0 %
S2 5 - - - - - - - - - - - - - 100 %
S3 3 - - 1 - - - - - - - - - - 80 %
S4 1 - - - - - - - - - - - - - 20 %

3. 도네페질(S2, S3 또는 S4)+당귀(100 mg/kg)+은행엽(1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S1 - - - - - - - - - - - - - - 0 %
S2 5 - - - - - - - - - - - - - 100 %
S3 3 - - - - - - - - - - - - - 60 %
S4 2 - - - - - - - - - - - - - 40 %

4. 도네페질(S2, S3 또는 S4)+당귀(200 mg/kg)+은행엽(2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S1 - - - - - - - - - - - - - - 0 %
S2 5 - - - - - - - - - - - - - 100 %
S3 4 - - - - - - - - - - - - - 80 %
S4 1 - - - - - - - - - - - - - 20 %

5. 도네페질(S2, S3 또는 S4)+당귀(400 mg/kg)+은행엽(4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S1 - - - - - - - - - - - - - - 0 %
S2 4 1 - - - - - - - - - - - - 100 %
S3 3 - - - - - - - - - - - - - 60 %
S4 - - - - - - - - - - - - - - 0 %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결과, 도네페질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 중에서 도네페질 60 mg/kg 및 40 mg/kg을 투여한 군은 투여 후, 1일 이내에 모든 마우스가 사망(100 %)하였으며, 도네페질 60 mg/kg,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가 1:1인 복합조성물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마우스가 사망하였으나, 도네페질 40 mg/kg,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중량이 각각 50 mg/kg인 복합조성물의 경우에는 4마리(80 %)의 마우스가 사망하였고, 도네페질 40 mg/kg,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중량이 각각 50, 100, 200 mg/kg인 복합조성물의 경우에는 3마리(60 %)의 래트가 사망하였다.
도네페질을 20 mg/kg 단독으로 투여한 군에서는 2마리(40 %)의 마우스가 사망하였고, 도네페질 20 mg/kg,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중량이 각각 50, 100, 200 mg/kg인 복합조성물의 경우에는 1마리(20 %) 또는 2마리(40 %)의 마우스가 사망하였으나, 도네페질 20 mg/kg,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중량이 각각 400 mg/kg인 복합조성물의 경우에는 사망한 사례가 없었다.
상기 표 4의 결과를 바탕으로 반수치사량(LD50)을 계산한 결과, 도네페질 단독 투여군이 21.17 mg/kg인 반면에,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가 1:1인 복합조성물 50, 100, 200 및 400 mg/kg 투여군에서는 반수치사량(LD50)이 각각 29.99, 30.00, 29.99 및 38.71 mg/kg으로 나타났고, 상기 복합조성물 중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400 mg/kg 투여군이 가장 독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도네페질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보다 독성이 감소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치매 치료보조용 및 치매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독성 감소실험-2
도네페질의 치사용량을 낮추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최적 복합 조성을 선택하기 위해, 도네페질 단독, 도네페질+13 종류의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복합조성물(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 1:0(당귀 단독), 1:1, 1:2, 1:4, 1:6, 1:8, 1:10, 0:1(은행엽 단독), 2:1, 4:1, 6:1, 8:1, 10:1)을 200 mg/kg을 투여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9-116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 기준”에 의거하여 14일간의 관찰기간 동안 사망례, 임상 증상 및 체중의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문헌상(Pfizer Canada Inc. PRODUCT MONOGRAPH PrARICEPT(donepezilhydrochloride) Tablets 5 and 10 mgPrARICEPTRDTTM(donepezilhydrochloride) Rapidly Disintegrating Tablets 5 and 10 mg Cholinesterase Inhibitor. FDA Submission Control No: 107207, 2007)에서 알려진 수컷 마우스의 반수치사량(LD50) 45.2 mg/kg 및 이전의 실험을 기준으로 도네페질 60 mg/kg을 최고 용량으로 선정하였으며, 40 및 20 mg/kg을 중간 및 저용량군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네페질
(mg/kg)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
조성비(200 mg/kg)
투여기간 중 사망동물 수
(마리)

(사망율, %)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0 1-13일
0 0 0 - - 0
60 5 - 100
40 5 - 100
20 3 - 60
60 1 0 5 - 100
40 3 - 60
20 - - 0
60 1 1 5 - 100
40 3 - 60
20 1 - 20
60 1 2 4 - 80
40 3 - 60
20 - - 0
60 1 4 5 - 100
40 1 - 20
20 0 - 0
60 1 6 5 - 100
40 3 - 60
20 0 - 0
60 1 8 5 - 100
40 4 - 80
20 1 - 20
60 1 10 4 - 80
40 - - 0
20 1 - 20
60 0 1 4 - 80
40 2 - 40
20 - - 0
60 2 1 5 - 100
40 4 - 80
20 - - 0
60 4 1 5 - 100
40 3 - 60
20 - - 0
60 6 1 5 - 100
40 3 - 60
20 0 - 0
60 8 1 5 - 100
40 4 - 80
20 - - 0
60 10 1 4 - 80
40 3 - 60
20 - - 0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귀:은행엽 조성물과의 조합에 의해 도네페질 LD50가 현저히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미 알려진 도네페질에 의한 임상증상 역시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특히 도네페질+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가 1:10, 1:4 및 0:1인 복합조성군에서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었고, 한편 도네페질+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가 1:10인 조성군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도네페질 최저 용량 투여군인 20mg/kg+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가 1:10인 복합조성물 투여군에서도 사망례가 인정되어, 도네페질+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 1:4 조성물이 도네페질의 독성을 완화 시키는 최적의 조성물로 판단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네페질 단독,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당귀은행엽 추출물 1:0, 1:1, 1:2, 1:4, 1:6, 1:8, 1:10, 0:1, 2:1, 4:1, 6:1, 8:1, 10:1) 복합조성물 투여군에서 50% 치사량 (LD50)은 18.90, 38.59, 30.90, 40.39. 45.13, 38.59, 27.79, 51.47, 44.64, 35.64, 38.59, 38.59, 35.64 및 40.39 mg/kg 으로 각각 인정되었다. 따라서 각각의 당귀:은행엽 복합 조성은 도네페질의 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 + 은행엽 추출물(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 조성비=1:10, 1:4 및 0:1)의 복합조성군에서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었다(도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도네페질의 독성을 현저히 감소(LD50가 현저히 증가)시키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험예 4>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 복합조성물(1:4)의 독성 감소실험
도네페질의 치사용량에 미치는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1:4) 복합조성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도네페질 단독,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1:4) 복합조성물을 각각 50, 100, 200 및 400 mg/kg을 투여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5-60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 기준”에 의거하여 14일간의 관찰기간 동안 사망례, 임상 증상 및 체중의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네페질
(mg/kg)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 (1:4)
(mg/kg)
투여기간 중 사망동물 수
(마리)

(사망율, %)
0 1-13일
0 0 - - 0
60 5 - 100
40 5 - 100
20 3 - 60
0 50 - - 0
60 5 - 100
40 5 - 100
20 - - 0
0 100 - - 0
60 5 - 100
40 5 - 100
20 - - 0
0 200 - - 0
60 5 - 100
40 2 - 40
20 - - 0
0 400 - - 0
60 5 - 100
40 - - 0
20 - - 0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네페질 단독 60 및 40 mg/kg 투여군에서는 모든 실험동물(5/5; 100%)이 투여 후 24시간 이내에 사망하였으며, 20mg/kg 투여군에서도 4 마리(3/5; 60%)의 마우스가 투여일에 국한되어 사망하였고, 도네페질 60mg/kg + 모든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1:4) 복합조성물 투여군, 도네페질40mg/kg +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1:4) 복합조성물 5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도 투여 후 24시간 이내에 모든 실험동물 (5/5; 100%) 사망하였다.
반면, 도네페질 40 mg/kg +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1:4) 복합조성물 200 mg/kg 투여군에서는 2례(2/5; 40%)의 사망례가 인정되었고, 도네페질 40 mg/kg +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1:4) 복합조성물 400 mg/kg 투여군에서는 사망례가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도네페질 20 mg/kg + 모든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 (1:4) 복합조성물 투여군에서는 사망례가 각각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네페질 단독,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은행엽 추출물(1:4) 복합조성물은 50, 100, 200 및 400 mg/kg 투여군에서 각각 50% 치사량(LD50)이 18.90, 30.23, 30.23, 41.57 및 48.29 mg/kg으로 각각 인정되었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도네페질의 독성을 현저히 감소(LD50가 현저히 증가)시키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험예 5>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임상 증상의 개선 효과
상기 실험예 2를 실시한 후, 생존한 마우스를 대상으로 모든 도네페질 투여와 관련된 임상 증상인 진전(근경련), 우울증/운동실조 및 연변 유무를 확인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임상 증상은 증상 정도에 따라 약함;1+, 중간;2+ 및 심함;3+으로 나타내었고, 사망으로 인하여 측정이 불가한 경우에는 bND로 나타내었다.
그룹 임상증상[발병일;증상의 정도]
진전 우울증/운동실조 연변

1. 도네페질 단독 투여군
S1 0/5(0 %) 0/5(0 %) 0/5(0 %)
S2 5/5(100 %)[0일, 3+] 0/0(bND) 0/0(bND)
S3 5/5(100 %)[0일, 3+] 0/0(bND) 0/0(bND)
S4 5/5(100 %)[0일, 3+] 3/3(100 %)[3일, 2+] 3/3(100 %)[3일, 2+]

2. 도네페질(S2, S3 또는 S4)+당귀(50 mg/kg)+은행엽(5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S1 0/5(0 %) 0/5(0 %) 0/5(0 %)
S2 5/5(100 %)[0일, 3+] 0/0(bND) 0/0(bND)
S3 5/5(100 %)[0일, 3+] 2/2(100 %)[3일, 2+] 2/2(100 %)[3일, 2+]
S4 5/5(100 %)[0일, 3+] 0/4(0 %) 3/4(75 %)[1일, 1+]

3. 도네페질(S2, S3 또는 S4)+당귀(100 mg/kg)+은행엽(1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S1 0/5(0 %) 0/5(0 %) 0/5(0 %)
S2 5/5(100 %)[0일, 3+] 0/0(bND) 0/0(bND)
S3 5/5(100 %)[0일, 3+] 2/2(100 %)[3일, 1+] 0/2(0 %)
S4 5/5(100 %)[0일, 2+] 0/3(0 %) 0/3(0 %)

4. 도네페질(S2, S3 또는 S4)+당귀(200 mg/kg)+은행엽(2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S1 0/5(0 %) 0/5(0 %) 0/5(0 %)
S2 5/5(100 %)[0일, 3+] 0/0(bND) 0/0(bND)
S3 5/5(100 %)[0일, 3+] 1/1(100 %)[2일, 1+] 0/1(0 %)
S4 5/5(100 %)[0일, 2+] 0/4(0 %) 0/4(0 %)

5. 도네페질(S2, S3 또는 S4)+당귀(400 mg/kg)+은행엽(4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S1 0/5(0 %) 0/5(0 %) 0/5(0 %)
S2 5/5(100 %)[0일, 3+] 0/0(bND) 0/0(bND)
S3 5/5(100 %)[0일, 2+] 1/2(50 %)[2일, 1+] 1/2(50 %)[3일, 1+]
S4 5/5(100 %)[0일, 1+] 0/5(0 %) 1/5(20 %)[1일, 1+]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도네페질 투여군에서 진전이 일어났으며, 도네페질(20 mg/kg), 당귀(100 mg/kg) 및 은행엽(1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및 도네페질(20 mg/kg), 당귀(200 mg/kg) 및 은행엽(2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도네페질 20 mg/kg 단독 투여군의 경우(3+)보다 진전 증상의 정도가 약해진 것(2+)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네페질(40 mg/kg) 또는 도네페질(20 mg/kg), 당귀(400mg/kg) 및 은행엽(400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증상의 정도가 각각 3+ 에서 2+ 및 3+ 에서 1+로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울증 및 운동실조를 나타내는 수치에서 도네페질(40 mg/kg) 또는 도네페질(20 mg/kg), 당귀 및 은행엽(각각 50, 100, 200 및 4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의 경우에서 우울증 및 운동실조를 나타내었으나, 그 증상의 정도에 있어서, 50 mg/kg 의 경우, 3일 동안 증상의 정도가 2+를 나타낸 반면에 100 mg/kg의 경우에는 3일 동안 증상의 정도가 1+로 나타내었고, 200 mg/kg 및 400 mg/kg인 경우, 2일 동안, 증상의 정도가 1+로 나타내었다.
나아가, 도네페질 20 mg/kg 단독 투여군의 경우, 3일 동안 증상의 정도가 2+로 나타난 반면에, 도네페질(40 mg/kg) 또는 도네페질(20 mg/kg), 당귀 및 은행엽(각각 50, 100, 200 및 4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0 % 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네페질(40 mg/kg) 또는 도네페질(20 mg/kg), 당귀 및 은행엽(각각 1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 및 도네페질(40 mg/kg), 당귀 및 은행엽(각각 200 mg/kg) 복합조성물 투여군에서 연변 소견이 보이지 않았으나, 나머지 투여군에서는 3일 - 1일 동안 정도에 차이만 있을 뿐 연변 소견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진전(근경련) 및 우울증/운동실조에 있어서, 도네페질 단독투여군 보다 증상의 발병일뿐만 아니라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험예 6> 도네페질 ,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 측정
본 발명의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약물동태학적 실험을 하기 위하여, 코아텍사의 체중이 300±20 g의 9주 된 수컷 SD 래트(SPF)를 실험동물로 선정하고, 상기 SD 래트 3마리를 이용하여, 도네페질(10 mg/kg) 및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용액을 20 ㎖/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후, 0.08, 0.25, 0.5, 1, 2, 3, 4, 6, 8 및 24 시간 후에 채혈하였고, 채혈한 혈액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장을 LC/MS/MS(API 2000, 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약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도네페질 도네페질+당귀+은행엽













SD 래트
마리수(N, 마리)
3 3
투여용량
(mg/kg)
10
(20 ㎖/kg)
10 + 100 + 100
(20 ㎖/kg)
최대혈중약물
농도도달시간(Tmax,hr)
2.0 2.0
최대혈중 도네페질 농도
(Cmax, ng/㎖)
31.8 34.1
농도-시간곡선하 면적
(AUC0 -∞, hr.ng/㎖)
439.4 602.1
반감기
(t1 /2, hr)
8.6 10.7
약물 평균 체류시간
(MRTinf, hr)
13.6 16.2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네페질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도네페질, 당귀 및은행엽 복합조성물이 도네페질의 같은 투여용량(10 mg/kg)에 대하여, 약물이 최대혈중농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2.0시간으로 같은데 반하여, 혈중 약물 농도는 34.1 ng/㎖로 도네페질 단독투여군 보다 약 7 % 증가하였다.
또한, 무한대까지의 농도-시간곡선하면적은 602.01 ng/㎖로 도네페질 단독투여군 보다 약 37 %로 약물의 흡수율이 증가했고, 반감기는 10.7시간으로 도네페질 단독투여군 보다 약 25 %로 약물의 흡수 속도가 증가하였다.
나아가, 약물평균체류시간도 16.2시간으로 도네페질 단독투여군 보다 2.6시간(20 %) 길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네페질,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도네페질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보다 혈중 약물 농도가 증가하고, 약물의 흡수율이 증가되고, 약물체류시간 역시 증가시키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치매치료제, 당귀 및 은행엽의 복합조성물 5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치매치료제, 당귀 및 은행엽의 복합조성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캅셀제의 제조
치매치료제, 당귀 및 은행엽의 복합조성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치매치료제, 당귀 및 은행엽의 복합조성물 50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치매치료제, 당귀 및 은행엽의 복합조성물 10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체를 제조한다.

Claims (11)

  1.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치료제의 독성을 약화시키는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는 중량비로 1: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는 중량비로 1: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조성비는 중량비로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은 당귀의 뿌리부분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약학적 조성물.
  6. 당귀 추출물 또는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과 치매치료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0.1-10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2-6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4의 조성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치료제는 도네페질, 갈란타민, 메만틴, 리바스티그민 및 타크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치료제는 도네페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10102105A 2010-10-08 2011-10-06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38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7451 WO2012047063A2 (ko) 2010-10-08 2011-10-07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8349 2010-10-08
KR1020100098349 2010-10-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372A true KR20120038372A (ko) 2012-04-23

Family

ID=4613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105A KR20120038372A (ko) 2010-10-08 2011-10-06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837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70B1 (ko) * 2014-07-29 2015-03-25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퇴행성 치매로 인한 기억력 감퇴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0319A (ko) 2014-06-24 2016-01-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퇴행성 신경계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60041650A (ko) 2014-10-08 2016-04-1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유황의 법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법제된 유황
WO2017179832A1 (ko) * 2016-04-12 2017-10-19 유한회사한풍제약 당귀, 천궁 및 육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866553B1 (ko) * 2017-09-07 2018-07-17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보중익기탕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319A (ko) 2014-06-24 2016-01-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퇴행성 신경계 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05870B1 (ko) * 2014-07-29 2015-03-25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퇴행성 치매로 인한 기억력 감퇴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1650A (ko) 2014-10-08 2016-04-1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유황의 법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법제된 유황
WO2017179832A1 (ko) * 2016-04-12 2017-10-19 유한회사한풍제약 당귀, 천궁 및 육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866553B1 (ko) * 2017-09-07 2018-07-17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보중익기탕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garpanah et al. Chemistry, pharmacology and medicinal properties of Peganum harmala L
KR20110140015A (ko) 용안육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45248B1 (ko) 신생혈관형성 억제용 한약 조성물
KR101341693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20038372A (ko) 당귀 추출물, 은행엽 추출물 단독; 또는 당귀 추출물 및 은행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치매 치료보조용 또는 치매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0491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71437B1 (ko) 상심자 및 복령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5653B1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XPA05002081A (es) Extractos mejorados de psidium huajava, metodos para su obtencion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padecimientos gastrointestinales.
KR101085219B1 (ko) 뇌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생약 추출물
KR101407889B1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27770B1 (ko)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 또는 치료제
KR101864425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 또는 치료제
KR100980400B1 (ko) 치매치료 효과를 갖는 백두옹 추출물
KR102094228B1 (ko) 운카리아 린초필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846493B1 (ko) 식물의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413771B1 (ko) 잣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10019977A (ko) 스트레스 및 공황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26565A (ko)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0745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54129B1 (ko) 잇꽃씨 및 흰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