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856A - 전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856A
KR20210157856A KR1020210050394A KR20210050394A KR20210157856A KR 20210157856 A KR20210157856 A KR 20210157856A KR 1020210050394 A KR1020210050394 A KR 1020210050394A KR 20210050394 A KR20210050394 A KR 20210050394A KR 20210157856 A KR20210157856 A KR 2021015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ircuit
lower arm
upper arm
arm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히로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84Bidirection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at least two simultaneously operating switches on the input side, e.g. "double forward" or "double (switched) flyback"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1Resonant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1Half-bridge at prim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3Full-bridge at prim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8Means for preventing simultaneous conduction of swi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력 변환 장치는, 제어부는,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의 제1 레그를 오프한 상태에서,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 및 제2 하부 암을, 온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교대로 온하여, 제1 브릿지 회로의 공진 콘덴서에 모이는 전력을 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력 변환 장치{POWER CONVE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브릿지 회로 및 제2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는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1 브릿지 회로 및 제2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는 전력 변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력 변환 장치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3006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30067호 공보에는, 공진 콘덴서를 갖는 제1 브릿지 회로와, 제1 브릿지 회로에 트랜스를 통해 접속되어, 공진 콘덴서를 갖는 제2 브릿지 회로를 구비하는 전력 변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30067호 공보의 전력 변환 장치에서는,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승압 동작을 행하기 위해, 제2 브릿지 회로의 공진 콘덴서의 사용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회로를 제2 브릿지 회로에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30067호 공보의 전력 변환 장치에서는, 제1 브릿지 회로 및 제2 브릿지 회로의 양방에 공진 콘덴서를 마련하며,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승압 동작을 행하기 위해, 제2 브릿지 회로의 공진 콘덴서의 사용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회로를 제2 브릿지 회로에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브릿지 회로에 공진 콘덴서 및 전환 회로를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복잡화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회로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하면서,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및 강압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는, 제1 상부 암 및 제1 하부 암을 갖는 제1 레그와, 제2 상부 암 및 제2 하부 암을 갖는 제2 레그와, 제1 레그 및 제2 레그 사이에 마련된 공진 콘덴서를 포함하는 제1 브릿지 회로와, 제1 브릿지 회로에 대하여 트랜스를 통해 접속된 제2 브릿지 회로와, 제1 브릿지 회로 및 제2 브릿지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의 제1 레그를 오프한 상태에서,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 및 제2 하부 암을, 온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교대로 온하여, 제1 브릿지 회로의 공진 콘덴서에 모이는 전력을 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의 제1 레그를 오프한 상태에서,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 및 제2 하부 암을, 온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교대로 온하여, 제1 브릿지 회로의 공진 콘덴서에 모이는 전력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마련한다. 이에 의해, 제1 브릿지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콘덴서의 사용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회로를 제2 브릿지 회로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회로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하면서,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의 온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의 온 시간을 크게 함으로써, 제1 브릿지 회로의 공진 콘덴서에 모이는 전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의 온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제1 브릿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전압의 값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1 브릿지 회로의 출력 전압과 목표 전압의 오차에 기초하여,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의 온 시간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브릿지 회로의 출력 전압이 목표 전압이 되도록,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의 온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제1 브릿지 회로의 출력 전압을 목표 전압에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 및 제2 하부 암을, 오프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오프하여, 제1 브릿지 회로의 제1 레그 및 제2 레그에 병렬로 마련된 평활 콘덴서에 전력을 모으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브릿지 회로의 공진 콘덴서에 전력이 지나치게 모이는 것을 억제하여 제1 브릿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전압을 용이하게 원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2 브릿지 회로는, 제3 상부 암 및 제3 하부 암을 갖는 제3 레그와, 제4 상부 암 및 제4 하부 암을 갖는 제4 레그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2 브릿지 회로의 제3 상부 암 및 제3 하부 암을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고, 제2 브릿지 회로의 제4 상부 암 및 제4 하부 암을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며,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을 제3 상부 암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고, 제2 하부 암을 제3 하부 암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트랜스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전류를 교대로 통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트랜스에 대하여 일방향에만 전류를 통전시키는 경우와 다르게, 연속적으로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2 브릿지 회로의 제3 상부 암 및 제3 하부 암을 각각 듀티비를 0.5로 하여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고, 제2 브릿지 회로의 제4 상부 암 및 제4 하부 암을 각각 듀티비를 0.5로 하며, 제4 상부 암을 제3 하부 암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고, 제4 하부 암을 제3 상부 암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트랜스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 통전하는 시간을 같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밸런스 좋게 트랜스에 전류를 통전하여, 안정되게 연속적으로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릿지 회로가 제3 레그 및 제4 레그를 포함하는 구성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강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2 브릿지 회로의 제3 상부 암 및 제4 상부 암의 온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온하고, 제2 브릿지 회로의 제3 하부 암 및 제4 하부 암의 온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온하여, 제1 브릿지 회로의 공진 콘덴서에 모이는 전력을 작게 함으로써, 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승압 동작 및 강압 동작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제1 브릿지 회로의 스위칭과 제2 브릿지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때문에, 스위칭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승압 동작 및 강압 동작을 심리스로 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의 제2 상부 암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의 온 시간을 동일하게 하여, 제2 상부 암 및 제2 하부 암의 스위칭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상부 암을 온함으로써 공진 콘덴서에 모이는 전력과, 제2 하부 암을 온함으로써 공진 콘덴서에 모이는 전력을 대략 같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상부 암 및 제2 하부 암을 이용하여 안정되게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량(λ)과 제2 상부 암 및 제2 하부 암의 듀티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량(λ)과 제3 상부 암에 대한 제4 상부 암의 위상각의 어긋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량(λ)과 전압 변환율(M)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강압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이다.
도 7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I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II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9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III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IV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V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VI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3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승압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이다.
도 14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VII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5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VIII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6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IX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7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X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8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XI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9는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상태 XII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를 참조하여,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 변환 장치(100)는, 공급된 직류 전력의 전압을 변환하여 직류 전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력 변환 장치(100)는, 예컨대,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다. 전력 변환 장치(100)가 탑재된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에 의해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주행한다. 또한, 전기 자동차는,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접속되어, 전력 변환 장치(100)에 의해 전력 변환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배터리에 충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전력을, 차내의 전기 장비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전력을, 전력 변환 장치(100)에 의해 전력 변환하여, 외부에 접속된 주택 등에 상용 전력(100 V/200 V의 교류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력 변환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브릿지 회로(1)와, 제2 브릿지 회로(2)와, 트랜스(3)와, 제어부(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브릿지 회로(1)는, 제1 상부 암(11) 및 제1 하부 암(12)을 갖는 제1 레그(1a)와,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을 갖는 제2 레그(1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브릿지 회로(1)는, 제1 레그(1a) 및 제2 레그(1b)에 병렬로 마련된 평활 콘덴서(1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브릿지 회로(1)는, 제1 레그(1a) 및 제2 레그(1b) 사이에 마련된 공진 콘덴서(16)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브릿지 회로(2)는, 제3 상부 암(21) 및 제3 하부 암(22)을 갖는 제3 레그(2a)와,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을 갖는 제4 레그(2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는, 제3 레그(2a) 및 제4 레그(2b)에 병렬로 마련된 평활 콘덴서(25)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브릿지 회로(2)는, 트랜스(3)를 통해 제1 브릿지 회로(1)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브릿지 회로(1)의 각 암[제1 상부 암(11), 제1 하부 암(12),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과, 제2 브릿지 회로(2)의 각 암[제3 상부 암(21), 제3 하부 암(22),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스위칭 소자는, 제어부(4)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온 오프를 전환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는, 온한 경우에 일방향 및 타방향의 양방에 통전 가능하고, 오프인 경우에 일방향(도 1의 아래로부터 상방향)에만 통전 가능하다.
전력 변환 장치(100)는,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입력하고, 전력을 변환하여,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전력을 출력하는 동작과, 제2 브릿지 회로(2)에 전력을 입력하고, 전력을 변환하여, 제1 브릿지 회로(1)로부터 전력을 출력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양방향 전력 변환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변환 장치(100)는, 배터리의 충전 시에, 제1 브릿지 회로(1)가 양방향 동작 가능한 인버터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접속되고, 제2 브릿지 회로(2)가 배터리에 접속된다. 즉, 전력 변환 장치(100)는, 배터리의 충전 시에, 제1 브릿지 회로(1)에 공급된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력 변환 장치(100)는, 배터리의 방전 시에, 제1 브릿지 회로(1)가 양방향 동작 가능한 인버터를 통해 외부의 설비에 접속되고, 제2 브릿지 회로(2)가 배터리에 접속된다. 즉, 전력 변환 장치(100)는, 배터리의 방전 시에, 배터리로부터 제2 브릿지 회로(2)에 공급된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제1 브릿지 회로(1)로부터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랜스(3)는, 제1 브릿지 회로(1)와 제2 브릿지 회로(2)를, 절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트랜스(3)는, 제1 브릿지 회로(1)의 전압과 제2 브릿지 회로(2)의 전압을 변환한다. 트랜스(3)는, 제1 브릿지 회로(1)측의 1차 권선과, 제2 브릿지 회로(2)측의 2차 권선을 포함하고 있다. 1차 권선의 권수:2차 권선의 권수는, n:1이다.
제어부(4)는, 제1 브릿지 회로(1) 및 제2 브릿지 회로(2)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는, 게이트 신호에 의해 각 암[제1 상부 암(11), 제1 하부 암(12), 제2 상부 암(13), 제2 하부 암(14), 제3 상부 암(21), 제3 하부 암(22),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의 온 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4)는, 예컨대,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는, 연산 처리부와 메모리가 마련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는, 제어적인 구성으로서, 감산부(41)와, 오차 증폭부(42)와, 리미터(43)와, 리미터(44)와, 펄스 생성부(45)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4)는, 출력 전압 및 전압 지령값(목표 전압)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여, 제1 브릿지 회로(1) 및 제2 브릿지 회로(2)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4)의 감산부(41)는, 전압 지령값으로부터 전압 측정값(출력 전압값)을 감하여 오차를 오차 증폭부(42)에 입력한다. 전압 측정값은,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입력하여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는, 제2 브릿지 회로(2)측의 전압값이 이용된다. 또한, 전압 측정값은, 제2 브릿지 회로(2)에 전력을 입력하여 제1 브릿지 회로(1)로부터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는, 제1 브릿지 회로(1)측의 전압값이 이용된다.
오차 증폭부(42)는, 감산부(41)로부터 입력된 오차를 증폭하여 처리하고, 0 이상 1 이하의 범위의 제어량(λ)을 산출한다. 또한, 오차 증폭부(42)는, 산출한 제어량(λ)을 리미터(43 및 44)에 출력한다.
리미터(43)는, 제어량(λ)이 0 이상 0.25 미만인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의 듀티비가 0이 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펄스 생성부(45)에 출력한다. 또한, 리미터(43)는, 제어량(λ)이 0 이상 0.25 미만인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상부 암(21)에 대한 제4 상부 암(23)의 위상각의 어긋남이, 0도 내지 180도의 범위가 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펄스 생성부(45)에 출력한다.
리미터(44)는, 제어량(λ)이 0.25 이상 0.5 이하인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의 듀티비가 0 내지 0.25의 범위가 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펄스 생성부(45)에 출력한다. 또한, 리미터(43)는, 제어량(λ)이 0.25 이상 0.5 이하인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상부 암(21)에 대한 제4 상부 암(23)의 위상각의 어긋남이, 180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펄스 생성부(45)에 출력한다.
펄스 생성부(45)는, 리미터(43 및 4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상부 암(11), 제1 하부 암(12), 제2 상부 암(13), 제2 하부 암(14), 제3 상부 암(21), 제3 하부 암(22),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의 각각의 게이트(G1, G2, G3, G4, G5, G6, G7 및 G8)에 송신하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량(λ)이 0 이상 0.25 미만인 경우, 전압 변환율(M)이 1 미만이며, 강압 동작이 된다. 또한, 제어량(λ)이 0.25보다 크고 0.5 미만인 경우, 전압 변환율(M)이 1보다 커져, 승압 동작이 된다. 또한, 전압 변환율(M)은, M=[권선의 권수의 비(n)]×(출력 전압)/(입력 전압)의 식에 의해 표시된다.
제어부(4)는,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공진 콘덴서(16)가 마련되어 있는 정류측의 제1 브릿지 회로(1)를 배전압 정류 동작시키며, 소정의 전압값이 되도록, 잉여 에너지를 전력 공급측[제2 브릿지 회로(2)측]에 회생시켜 승압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는, 잉여 에너지를 회생시킬 수 없는 전압 변환율의 범위에서는, 공진 콘덴서가 마련되지 않은 전력 공급측의 제2 브릿지 회로(2)를 위상 시프트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전압의 변동이 비교적 큰 배터리로부터 출력하는 전력을, 외부에 출력하는 경우라도, 폭넓은 범위에서 승압할 수 있기 때문에,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배터리로부터의 입력 전압이 상정 이상으로 변동한 경우라도, 안정된 전압의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4)는, 입력되는 전력을, 출력되는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하여 전력을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출력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감시하면서, 피드백 제어를 행함으로써, 출력 전력의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는,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1 레그(1a)를 오프한 상태에서,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을, 온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교대로 온하여, 제1 브릿지 회로(1)의 공진 콘덴서(16)에 모이는 전력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는,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14)의 온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는, 제1 브릿지 회로(1)의 출력 전압과 목표 전압의 오차에 기초하여,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14)의 온 시간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는,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을, 오프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오프하여,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1 레그(1a) 및 제2 레그(1b)에 병렬로 마련된 평활 콘덴서(15)에 전력을 모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는,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3 상부 암(21) 및 제3 하부 암(22)을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고,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을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며,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을 제3 상부 암(21)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고, 제2 하부 암(14)을 제3 하부 암(22)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는,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3 상부 암(21) 및 제3 하부 암(22)을 각각 듀티비를 0.5로 하여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고,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을 각각 듀티비를 0.5로 하며, 제4 상부 암(23)을 제3 하부 암(22)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고, 제4 하부 암(24)을 제3 상부 암(21)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는,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강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3 상부 암(21) 및 제4 상부 암(23)의 온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온하고,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3 하부 암(22) 및 제4 하부 암(24)의 온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온하여, 제1 브릿지 회로(1)의 공진 콘덴서(16)에 모이는 전력을 작게 함으로써, 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는,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14)의 온 시간을 동일하게 하여,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의 스위칭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는, 제1 브릿지 회로(1)로부터 제2 브릿지 회로(2)에 전력을 전달하는 경우, 펄스 주파수 변조 제어 및 위상 시프트 제어에 의해, 입력 전압을 승압 및 강압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강압 동작)
도 6∼도 12를 참조하여, 전력 변환 장치(100)에 있어서,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강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압 동작에서는,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1 상부 암(11), 제1 하부 암(12),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은 전부 오프가 된다. 즉, 게이트(G1, G2, G3 및 G4)는, 항상 오프가 된다. 또한, 제3 상부 암(21) 및 제3 하부 암(22)은, 듀티비 0.5에 있어서 교대로 온 오프된다. 즉, 게이트(G5)는, 위상각이 0도부터 180도까지는 온이 되고, 180도부터 360도(=0도)까지는 오프가 된다. 또한, 게이트(G6)는, 위상각이 0도부터 180도까지는 오프가 되고, 180도부터 360도(=0도)까지는 온이 된다.
또한,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은, 듀티비 0.5에 있어서 교대로 온 오프된다. 또한, 제4 상부 암(23)은, 제3 상부 암(21)에 대하여 시프트량(θ)만큼 지연시켜 온 오프된다. 또한, 제4 하부 암(24)은, 제3 하부 암(22)에 대하여 시프트량(θ)만큼 지연시켜 온 오프된다. 즉, 게이트(G7)는, 위상각이 θ부터 180도+θ까지는 온이 되고, 180도+θ부터 360도+θ(=θ도)까지는 오프가 된다. 또한, 게이트(G8)는, 위상각이 θ부터 180도+θ까지는 오프가 되고, 180도+θ부터 360도+θ(=θ도)까지는 온이 된다.
또한, 시프트량(θ)을 감소시킴으로써, 제3 상부 암(21)의 온 및 제4 상부 암(23)의 온[제3 하부 암(22)의 온 및 제4 하부 암(24)의 온]이 겹치는 시간이 길어진다. 온이 겹치는 시간이 길어지면, 트랜스(3)에 인가되는 전압이 0이 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출력 전압이 작아진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I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트랜스(3), 제1 상부 암(11), 평활 콘덴서(15), 제2 하부 암(14), 공진 콘덴서(16)를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4 하부 암(24), 평활 콘덴서(25), 제3 상부 암(21)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증가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 및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감소한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 및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0이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증가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II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트랜스(3), 제1 상부 암(11), 평활 콘덴서(15), 제2 하부 암(14), 공진 콘덴서(16)를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4 상부 암(23), 제3 상부 암(21)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감소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 및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증가한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 및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0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III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4 상부 암(23), 제3 상부 암(21)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일정하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 및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0이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 및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0이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일정하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IV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트랜스(3), 공진 콘덴서(16), 제2 상부 암(13), 평활 콘덴서(15), 제1 하부 암(12)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3 하부 암(22), 평활 콘덴서(25), 제4 상부 암(23)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감소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 및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0이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 및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감소한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감소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V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트랜스(3), 공진 콘덴서(16), 제2 상부 암(13), 평활 콘덴서(15), 제1 하부 암(12)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3 하부 암(22), 제4 하부 암(24)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증가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 및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0이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 및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증가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VI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3 하부 암(22), 제4 하부 암(24)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일정하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 및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0이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 및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0이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일정하다.
(승압 동작)
도 13∼도 19를 참조하여, 전력 변환 장치(100)에 있어서,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압 동작에서는,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1 상부 암(11) 및 제1 하부 암(12)은 오프가 된다. 즉, 게이트(G1 및 G2)는, 항상 오프가 된다. 또한, 제3 상부 암(21) 및 제3 하부 암(22)은, 듀티비 0.5에 있어서 교대로 온 오프된다. 즉, 게이트(G5)는, 위상각이 0도부터 180도까지는 온이 되고, 180도부터 360도(=0도)까지는 오프가 된다. 또한, 게이트(G6)는, 위상각이 0도부터 180도까지는 오프가 되고, 180도부터 360도(=0도)까지는 온이 된다.
또한,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은, 듀티비 0.5에 있어서 교대로 온 오프된다. 또한, 제4 상부 암(23)은, 제3 상부 암(21)에 대하여 180도만큼 지연시켜 온 오프된다. 또한, 제4 하부 암(24)은, 제3 하부 암(22)에 대하여 180도만큼 지연시켜 온 오프된다. 즉, 게이트(G7)는, 위상각이 0도부터 180도까지는 오프가 되고, 180도로부터 360도(=0도)까지는 온이 된다. 또한, 게이트(G8)는, 위상각이 0도부터 180도까지는 온이 되고, 180도부터 360도(=0도)까지는 오프가 된다.
또한,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은, 듀티비가 제어되어 온 오프된다. 또한,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의 듀티비는 같다. 또한, 제2 상부 암(13)은, 제3 상부 암(21)의 상승 또는 제3 하부 암(22)의 하강에 동기하여 온이 된다. 또한, 제2 하부 암(14)은, 제4 하부 암(24)의 상승 또는 제4 상부 암(23)의 하강에 동기하여 온이 된다. 즉, 게이트(G3)는, 위상각이 0도부터 A1 동안 온이 된다. 또한, 게이트(G4)는, 위상각이 180도부터 A1 동안 온이 된다.
또한,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의 듀티비(A1 기간)를 조정함으로써, 출력 전압이 제어된다.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의 듀티비(A1 기간)를 증가시키면, 상태 VII 및 상태 XI의 시간이 길어지고,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의 진폭이 증가한다. 그리고, 상태 II 및 상태 V에 있어서, 트랜스(3)에 발생하는 전압에 대하여 공진 콘덴서(16)의 전압이 가산된 전압이 평활 회로에 인가됨으로써, 출력 전압이 커진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VII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트랜스(3), 제1 상부 암(11), 제2 상부 암(13), 공진 콘덴서(16)를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4 하부 암(24), 평활 콘덴서(25), 제3 상부 암(21)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증가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는 감소한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는 0이다. 또한,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증가한다. 또한,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0이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증가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VIII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트랜스(3), 제1 상부 암(11), 평활 콘덴서(15), 제2 하부 암(14), 공진 콘덴서(16)를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4 하부 암(24), 평활 콘덴서(25), 제3 상부 암(21)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감소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는 증가한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는 0이다. 또한,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0이다. 또한,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증가한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증가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IX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4 하부 암(24), 평활 콘덴서(25), 제3 상부 암(21)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증가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는 0이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는 0이다. 또한,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0이다. 또한,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0이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일정하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X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트랜스(3), 공진 콘덴서(16), 제2 하부 암(14), 제1 하부 암(12)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3 하부 암(22), 평활 콘덴서(25), 제4 상부 암(23)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감소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는 0이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는 감소한다. 또한,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0이다. 또한,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증가한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감소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XI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트랜스(3), 공진 콘덴서(16), 제2 상부 암(13), 평활 콘덴서(15), 제1 하부 암(12)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3 하부 암(22), 평활 콘덴서(25), 제4 상부 암(23)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증가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는 0이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는 증가한다. 또한,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증가한다. 또한,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0이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감소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XII에 있어서, 제1 브릿지 회로(1)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제2 브릿지 회로(2)에서는, 트랜스(3), 제3 하부 암(22), 평활 콘덴서(25), 제4 상부 암(23)을 지나는 전류 회로가 된다. 이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를 흐르는 전류(Is)는 감소한다. 또한, 제1 상부 암(11)에 흐르는 전류(I1)는 0이다. 또한, 제1 하부 암(12)에 흐르는 전류(I2)는 0이다. 또한, 제2 상부 암(13)에 흐르는 전류(I3)는 0이다. 또한, 제2 하부 암(14)에 흐르는 전류(I4)는 0이다. 또한, 공진 콘덴서(16)의 전압(Vcr)은 일정하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1 레그(1a)를 오프한 상태에서,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을, 온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교대로 온하여, 제1 브릿지 회로(1)의 공진 콘덴서(16)에 모이는 전력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4)를 마련한다. 이에 의해, 제1 브릿지 회로(1)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진 콘덴서 및 공진 콘덴서의 사용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회로를 제2 브릿지 회로(2)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회로 구성의 복잡화를 억제하면서,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4)를,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14)의 온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14)의 온 시간을 크게 함으로써, 제1 브릿지 회로(1)의 공진 콘덴서(16)에 모이는 전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14)의 온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제1 브릿지 회로(1)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전압의 값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4)를, 제1 브릿지 회로(1)의 출력 전압과 목표 전압의 오차에 기초하여,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14)의 온 시간을 조정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제1 브릿지 회로(1)의 출력 전압이 목표 전압이 되도록,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14)의 온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제1 브릿지 회로(1)의 출력 전압을 목표 전압에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4)를,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을, 오프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오프하여,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1 레그(1a) 및 제2 레그(1b)에 병렬로 마련된 평활 콘덴서(15)에 전력을 모으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제1 브릿지 회로(1)의 공진 콘덴서(16)에 전력이 지나치게 모이는 것을 억제하여 제1 브릿지 회로(1)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전압을 용이하게 원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4)를,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3 상부 암(21) 및 제3 하부 암(22)을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고,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을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며,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을 제3 상부 암(21)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고, 제2 하부 암(14)을 제3 하부 암(22)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트랜스(3)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전류를 교대로 통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트랜스(3)에 대하여 일방향에만 전류를 통전시키는 경우와 다르게, 연속적으로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4)를,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3 상부 암(21) 및 제3 하부 암(22)을 각각 듀티비를 0.5로 하여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고,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4 상부 암(23) 및 제4 하부 암(24)을 각각 듀티비를 0.5로 하며, 제4 상부 암(23)을 제3 하부 암(22)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고, 제4 하부 암(24)을 제3 상부 암(21)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트랜스(3)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 통전하는 시간을 같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밸런스 좋게 트랜스(3)에 전류를 통전하여, 안정되게 연속적으로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4)를,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강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3 상부 암(21) 및 제4 상부 암(23)의 온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온하고, 제2 브릿지 회로(2)의 제3 하부 암(22) 및 제4 하부 암(24)의 온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온하여, 제1 브릿지 회로(1)의 공진 콘덴서(16)에 모이는 전력을 작게 함으로써, 강압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승압 동작 및 강압 동작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제1 브릿지 회로(1)의 스위칭과 제2 브릿지 회로(2)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때문에, 스위칭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승압 동작 및 강압 동작을 심리스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4)를, 제2 브릿지 회로(2)로부터 제1 브릿지 회로(1)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제1 브릿지 회로(1)의 제2 상부 암(13)의 온 시간과 제2 하부 암(14)의 온 시간을 동일하게 하여,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의 스위칭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제2 상부 암(13)을 온함으로써 공진 콘덴서(16)에 모이는 전력과, 제2 하부 암(14)을 온함으로써 공진 콘덴서(16)에 모이는 전력을 대략 같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상부 암(13) 및 제2 하부 암(14)을 이용하여 안정되게 승압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또한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변형예)이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력 변환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력 변환 장치는, 전기 자동차 등의 이동체에 탑재되지 않고, 집 안이나 집 밖에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력 변환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력 변환 장치는, 전기 및 엔진으로 구동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연료 전지에 의해 발전하는 연료 전지 자동차에 탑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차재용 전력 변환 장치는, 전차에 탑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력 변환 장치는, 제1 브릿지 회로에 공진 콘덴서를 마련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브릿지 회로에 공진 콘덴서에 직렬로 공진 리액터를 마련하여도 좋다.

Claims (8)

  1. 전력 변환 장치로서,
    제1 상부 암 및 제1 하부 암을 갖는 제1 레그와, 제2 상부 암 및 제2 하부 암을 갖는 제2 레그와,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 사이에 마련된 공진 콘덴서를 포함하는 제1 브릿지 회로와,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에 대하여 트랜스를 통해 접속된 제2 브릿지 회로와,
    상기 제1 브릿지 회로 및 상기 제2 브릿지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1 레그를 오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2 상부 암 및 상기 제2 하부 암을, 온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교대로 온하여,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공진 콘덴서에 모이는 전력을 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전력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2 상부 암의 온 시간과 상기 제2 하부 암의 온 시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전력 변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출력 전압과 목표 전압의 오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2 상부 암의 온 시간과 상기 제2 하부 암의 온 시간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전력 변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2 상부 암 및 상기 제2 하부 암을, 오프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오프하여,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에 병렬로 마련된 평활 콘덴서에 전력을 모으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전력 변환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릿지 회로는, 제3 상부 암 및 제3 하부 암을 갖는 제3 레그와, 제4 상부 암 및 제4 하부 암을 갖는 제4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3 상부 암 및 상기 제3 하부 암을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고, 상기 제2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4 상부 암 및 상기 제4 하부 암을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며,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2 상부 암을 상기 제3 하부 암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고, 상기 제2 하부 암을 상기 제3 하부 암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전력 변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3 상부 암 및 상기 제3 하부 암을 각각 듀티비를 0.5로 하여 반전시켜 교대로 온 오프하고, 상기 제2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4 상부 암 및 상기 제4 하부 암을 각각 듀티비를 0.5로 하며, 상기 제4 상부 암을 상기 제3 하부 암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고, 상기 제4 하부 암을 상기 제3 상부 암의 온에 동기시켜 온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전력 변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강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브릿지 회로의 제3 상부 암 및 상기 제4 상부 암의 온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온하고, 상기 제2 브릿지 회로의 제3 하부 암 및 상기 제4 하부 암의 온 시간이 서로 겹치도록 온하여,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공진 콘덴서에 모이는 전력을 작게 함으로써, 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전력 변환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브릿지 회로로부터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에 전력을 전달할 때에 승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브릿지 회로의 상기 제2 상부 암의 온 시간과 상기 제2 하부 암의 온 시간을 동일하게 하여, 상기 제2 상부 암 및 상기 제2 하부 암의 스위칭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전력 변환 장치.
KR1020210050394A 2020-06-22 2021-04-19 전력 변환 장치 KR20210157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7078A JP7491080B2 (ja) 2020-06-22 2020-06-22 電力変換装置
JPJP-P-2020-107078 2020-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856A true KR20210157856A (ko) 2021-12-29

Family

ID=7882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394A KR20210157856A (ko) 2020-06-22 2021-04-19 전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6303B2 (ko)
JP (1) JP7491080B2 (ko)
KR (1) KR20210157856A (ko)
CN (1) CN113904556A (ko)
DE (1) DE102021110098A1 (ko)
FR (1) FR3111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1297B (zh) * 2021-06-23 2024-06-25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变换器、增大逆向增益范围的方法、装置、介质
EP4287483A1 (en) * 2022-06-01 2023-12-06 MAHLE International GmbH Dc-dc power converter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3068A (en) * 1989-11-08 1990-08-28 Unisys Corporation Full bridge power converter with multiple zero voltage resonant transition switching
US6937483B2 (en) * 2002-01-16 2005-08-30 Ballard Power Systems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commutation control for an isolated boost converter
JP2005168167A (ja) * 2003-12-02 2005-06-23 Honda Motor Co Ltd Dc−dcコンバータ
JP4274364B2 (ja) 2004-02-05 2009-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4430531B2 (ja) * 2004-12-28 2010-03-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双方向絶縁型dc−dcコンバータ
US7796406B2 (en) * 2007-07-31 2010-09-14 Lumeni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isolated power converter
JP4378400B2 (ja) * 2007-08-28 2009-12-02 日立コンピュータ機器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及び双方向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4643695B2 (ja) * 2008-09-02 2011-03-02 日立コンピュータ機器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US8811039B2 (en) * 2010-07-16 2014-08-19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Pulse width modulated resonant power conversion
JP5928913B2 (ja) * 2012-02-03 2016-06-01 富士電機株式会社 共振形dc−dc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5762617B2 (ja) * 2012-02-14 2015-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2013230067A (ja) 2012-04-27 2013-11-07 Origin Electric Co Ltd 双方向共振型コンバータ
JP5556852B2 (ja) * 2012-06-01 2014-07-23 Tdk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JP5906418B2 (ja) * 2012-06-15 2016-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5556859B2 (ja) * 2012-07-03 2014-07-23 Tdk株式会社 電流共振型dcdcコンバータ
JP5632885B2 (ja) * 2012-08-31 2014-11-2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力変換装置
JP5995139B2 (ja) * 2012-10-12 2016-09-21 富士電機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EP2940848B1 (en) * 2012-12-28 2018-12-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c-to-dc converter
US10079557B2 (en) * 2013-03-14 2018-09-18 Enphase Energy, Inc. Efficient resonant topology for DC-AC inversion with minimal use of high frequency switches
JP2014217196A (ja) * 2013-04-26 2014-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CN105191100B (zh) * 2013-07-11 2018-05-18 富士电机株式会社 双向dc/dc转换器
CN105340166B (zh) * 2013-07-11 2017-09-19 三菱电机株式会社 Dc/dc变换器
US9673719B2 (en) * 2013-10-17 2017-06-06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Dual Active Bridge with flyback mode
JP5807667B2 (ja) * 2013-11-19 2015-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補正方法
JP6286793B2 (ja) 2014-01-24 2018-03-07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Dc−dcコンバータ、二次電池充放電システム、および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5971269B2 (ja) * 2014-02-07 2016-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US9490704B2 (en) 2014-02-12 2016-11-08 Delta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condary side switches in resonant power converters
JP6036741B2 (ja) * 2014-04-09 2016-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9627979B2 (en) * 2014-10-03 2017-04-18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Dual mode DC-DC converter
CN106664023B (zh) * 2014-10-20 2019-04-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力变换装置
US10073512B2 (en) * 2014-11-19 2018-09-1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full range control of dual active bridge
US20160181925A1 (en) * 2014-12-17 2016-06-23 National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US9812977B2 (en) * 2015-04-01 2017-11-07 Futurewei Technologies, Inc. Resonant converters with an improved voltage regulation range
KR102421163B1 (ko) * 2015-05-19 2022-07-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양방향 직류-직류 컨버터
KR102027802B1 (ko) * 2015-05-29 2019-10-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9973099B2 (en) * 2015-08-26 2018-05-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AC/DC converters with wider voltage regulation range
JP6526546B2 (ja) * 2015-11-26 2019-06-05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共振形電源装置
US9935462B2 (en) * 2016-01-27 2018-04-03 Macau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verter circuit
US9667157B1 (en) * 2016-04-27 2017-05-3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converter
CN107346941B (zh) * 2016-05-05 2020-09-25 香港生产力促进局 一种负载范围扩展的软开关双向相移变换器
CN108702093B (zh) * 2016-06-06 2019-12-2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开关电源装置
JP6541884B2 (ja) * 2016-07-19 2019-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CN110168896B (zh) * 2017-02-04 2021-07-06 Abb瑞士股份有限公司 Dc到dc变流器和控制方法
JP6380637B1 (ja) * 2017-09-21 2018-08-29 オムロン株式会社 絶縁型双方向dc/dc変換装置及び絶縁型双方向dc/dc変換回路の制御方法
CN108712081B (zh) * 2018-06-04 2020-06-19 浙江大学 恒电压增益隔离型双向全桥dc/dc变换器的控制方法
DE102018121268A1 (de) * 2018-08-31 2020-03-05 Brusa Elektronik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pannungsanpassung des Glättungskondensators eines DC-DC-Wandlers vor Konnektierung einer Hochvoltbatterie
US10693381B1 (en) * 2018-11-30 2020-06-23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tartup mode for control of a resonant power converter
KR102200284B1 (ko) * 2018-12-07 2021-01-08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 변환 방법
CN109703399B (zh) * 2018-12-27 2021-05-18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车载充放电系统及其所适用的控制方法
CN110492754B (zh) * 2019-09-12 2020-10-13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隔离型谐振变换器
CN110460242B (zh) * 2019-09-12 2020-11-10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双向隔离型谐振变换器
FR3110300B1 (fr) * 2020-05-15 2022-05-0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ommande de convertisseur à découpage
FR3110301A1 (fr) * 2020-05-15 2021-11-19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Commande de convertisseur à découpage
FR3110302A1 (fr) * 2020-05-15 2021-11-19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Commande de convertisseur à découpage
EP3972105A1 (en) * 2020-09-16 2022-03-23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Power conversion method using a synergetic control of two power converters
CN115720045A (zh) * 2021-08-24 2023-02-28 中山旭贵明电子有限公司 可升降压的双向直流-直流电源转换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110098A1 (de) 2021-12-23
JP7491080B2 (ja) 2024-05-28
JP2022002454A (ja) 2022-01-06
CN113904556A (zh) 2022-01-07
US20210399644A1 (en) 2021-12-23
US11936303B2 (en) 2024-03-19
FR3111752A1 (fr)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1495B2 (en) Prediction scheme for step wave power converter and inductive inverter topology
US97806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conversion using an interleaved flyback converter with reactive power control
RU2670417C1 (ru) Система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US10141863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JP4527616B2 (ja) 絶縁共振形双方向dc/dcコンバ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1016199A1 (ja) Dc/dc電力変換装置
KR101132102B1 (ko) 전력 변환 장치, 파워 컨디셔너 및 발전 시스템
US10784704B2 (en) On-board charging system
US11114859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photovoltaic optimizer and power tracking method thereof
KR20210157856A (ko) 전력 변환 장치
CN102904449A (zh) 提供功率转换器缆线补偿的调整电路
CN101982935A (zh) 用于一次侧调节电源转换器的控制装置及方法
CN104321959A (zh) 单开关无限级电力逆变器
JPWO2016125373A1 (ja) Dc/dcコンバータ
CN103532370A (zh) 功率转换器的具有输出缆线补偿的调整电路
JP2015139326A (ja)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CN104937825A (zh) 用于向车辆的车载电气网络供电的供电单元
CN110661247B (zh) 基于功率系数补偿的直流微电网功率均分控制方法及系统
JP5716631B2 (ja) 電力変換装置
JP2019022378A (ja) 電力変換装置
JP5410551B2 (ja) 電力変換装置
US10897211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step-up/step-down operation
JP2005229783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用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5658922B2 (ja) 系統連系電力変換装置及び系統連系電力変換の制御方法
KR20160018423A (ko) 펄스 모듈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