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623A -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623A
KR20210157623A KR1020200075652A KR20200075652A KR20210157623A KR 20210157623 A KR20210157623 A KR 20210157623A KR 1020200075652 A KR1020200075652 A KR 1020200075652A KR 20200075652 A KR20200075652 A KR 20200075652A KR 20210157623 A KR20210157623 A KR 20210157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olia
petals
petal
drying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949B1 (ko
Inventor
정의근
Original Assignee
정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근 filed Critical 정의근
Priority to KR102020007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9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꽃이피기 전에 꽃봉우리 상태로 목련꽃의 꽃봉우리(신이화, 辛夷花)를 채취한 후 1 내지 2일 동안 15 내지 20℃에서 시들게 한 후 꽃잎만 낱개로 따놓는 체취 단계와, 낱장의 꽃잎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꽃잎의 수분이 90%가 건조되도록 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꽃잎의 습도가 40 내지 45%가 되도록 발효촉진제와 물을 혼합하여 뿌리고, 펼쳐놓은 목련꽃잎 위로 비닐과 담요를 덮어 내부 온도가 55 내지 65℃가 10시간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발효단계와, 발효가 된 목련꽃잎을 비벼서 상처를 내는 유념단계와, 상기 유념단계 후 30 내지 40℃ 온도에서 유념된 목련꽃잎의 습도 90%가 건조되도록 하는 2차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목련꽃잎과 생즙을 블렌딩하여 풍미를 더하는 블렌딩단계와, 상기 블렌딩 후 30 내지 40℃ 온도에서 목련꽃잎의 습도 90%가 건조되도록 하는 3차 건조단계 및 3차 건조 후 완성된 목련꽃잎 발효차를 면주머니에 넣어 항아리에 보관하는 보관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agnolia petals fermented tea}
본 발명은 발효 꽃차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효된 목련꽃잎과 블렌딩 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식품으로 음용되어져 왔고, 과거에는 주로 한국, 일본 및 중국을 포함한 동양권에서 주로 음용되었으나, 현재에는 전세계에서 폭넓게 음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여러 종류의 차에 함유된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일반인들에게도 인식되고 있다. 꽃차는 다양한 필수 비타민 성분 및 무기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영양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모양과 좋은 향을 갖고 있다.
목련꽃은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수종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등지에 서식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주로 정원수로 사용되고 꽃 봉오리는 비염의 치료에 사용된다. 목련에 대한 추출성분으로는 α-pinene, β-pinene, cineol, limonene 등이 있으며, 성분 중에는 신미성인 것, 방향성인 것, 진통작용을 갖는 것 등 그 작용이 다양하다. 현재까지 알려진 약리작용은 혈압을 낮추어 주는 성분이 있고, 휘발성 성분 중에는 국소수렴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꽃봉오리에서는 kobusin, aschantin, yangambin 등의 3종의 리그난 화합물을 단리한 보고가 있다.(kim et al., 1996, 1998)
상기 목련꽃은 목련, 백목련, 자목련의 세 종류의 꽃이 있으며, 예전부터 목련나무의 잎이나 껍질,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 것을 이용하여 발효차로 제조한다. 상기 목련꽃의 효능은 매운맛의 성질이 있어 아랫배를 도와 여성의 자궁에 좋고, 소염·진통 작용이 있어 두통, 치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각종 염증에도 효과가 있어 비음, 축농증 치료 및 폐결핵, 비, 담, 위경에도 좋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목련꽃은 목련꽃 특유의 강한 향과 매운맛의 성질이 있어 음용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397188 B KR 10-2018-0093238 A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련꽃 특유의 강한 향을 발효하여 건조한 후 블렌딩하여 향과 맛이 우수한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된 목련꽃잎과 사과 생즙을 블렌딩한 후 건조하여 제조하는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은 꽃이피기 전에 꽃봉우리 상태로 목련꽃의 꽃봉우리(신이화, 辛夷花)를 채취한 후 1 내지 2일 동안 15 내지 20℃에서 시들게 한 후 꽃잎만 낱개로 따놓는 체취 단계와, 낱장의 꽃잎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꽃잎의 수분이 90%가 건조되도록 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꽃잎의 습도가 40 내지 45%가 되도록 발효촉진제와 물을 혼합하여 뿌리고, 펼쳐놓은 목련꽃잎 위로 비닐과 담요를 덮어 내부 온도가 55 내지 65℃가 10시간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발효단계와, 발효가 된 목련꽃잎을 비벼서 상처를 내는 유념단계와, 상기 유념단계 후 30 내지 40℃ 온도에서 유념된 목련꽃잎의 습도 90%가 건조되도록 하는 2차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목련꽃잎과 생즙을 블렌딩하여 풍미를 더하는 블렌딩단계와, 상기 블렌딩 후 30 내지 40℃ 온도에서 목련꽃잎의 습도 90%가 건조되도록 하는 3차 건조단계 및 3차 건조 후 완성된 목련꽃잎 발효차를 면주머니에 넣어 항아리에 보관하는 보관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단계는 발효촉진제와 물이 1:1로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건조된 낱장의 꽃잎에 혼합물이 골고루 흡수도록 15 내지 20℃에서 1시간 숙성한 후 최종 꽃잎의 습도가 40 내지 45%인지 확인하는 습도조절단계와, 습도 확인 후 발효를 위하여 볕집으로 만든 방석을 준비하여, 볕집방석에 누룩가루와 물을 섞은 젖은누룩가루를 올려 놓는 발효방석 준비단계 및 상기 볕집방석 위에 살균된 면보자기를 놓고 목련꽃잎을 고르게 펼쳐 놓고, 펼쳐놓은 목련꽃잎 위로 비닐과 담요를 덮어 내부 온도가 55 내지 65℃가 10시간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발효 환경 유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렌딩 단계는 발효단계에서 목련꽃잎을 먼저 발효한 후에 과일 생즙 또는 과일과 허브가 포함된 생즙을 발효 후 건조된 목련꽃잎에 잘 스며들도록 1시간 동안 15 내지 20℃에서 목련꽃잎의 습도가 40%가 되도록 숙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된 목련꽃잎이 블렌딩 재료와 어우러져 향과 맛이 깊어 기호도가 개선된 목련꽃잎 발효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련꽃잎 발효차는 발효된 목련꽃잎과 과일 생즙의 맛과 향이 블렌딩 되어 과일의 향미를 같이 느낄 수 있는 목련꽃잎 발효차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렌딩 재료로 사과, 자두, 살구 등을 사용하고, 생박하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과일의 향미와 깔끔한 박하의 향이 어우러진 목련꽃잎 발효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목련꽃잎을 다듬는 체취 단계(S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은 도 1에서 1차 건조단계(S200)에서 2차 건조단계(S500)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목련꽃잎을 다듬는 체취 단계(S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은 도 1에서 1차 건조단계(S200)에서 2차 건조단계(S500)까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은 체취 단계(S100), 1차 건조단계(S200), 발효단계(S300), 유념단계(S400), 2차 건조단계(S500), 블렌딩단계(S600), 3차 건조단계(S700) 및 보관단계(S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발효된 목련꽃잎이 블렌딩 재료와 어우러져 향과 맛이 깊어 기호도가 개선된 목련꽃잎 발효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취 단계(S100)는 목련꽃의 꽃봉우리(신이화, 辛夷花)를 채취한다. 목련꽃은 꽃이 피기 시작하면서부터 독성이 나오기 때문에 꽃이피기 전에 꽃봉우리 상태로 채취한다. 채취 후 1 내지 2일 동안 실온(15 내지 20℃)에서 시들게 한 후 꽃잎만 낱개로 따놓는다.
상기 1차 건조단계(S200)는 낱장의 꽃잎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꽃잎의 수분이 90%가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발효단계(S300)는 습도조절단계(S310), 발효방석 준비단계(S320) 및 발효 환경 유지단계(S330)를 포함한다.
상기 습도조절단계(S310)는 발효촉진제와 물이 1:1로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건조된 낱장의 꽃잎의 습도가 40 내지 45%가 되도록 한다. 이때, 꽃잎에 혼합물이 골고루 흡수도록 실온(15 내지 20℃)에서 1시간 숙성한 후 최종 꽃잎의 습도가 40 내지 45%가 되는지 확인한다. 또한, 상기 발효촉진제는 발효주(예, 청주)이거나 과일발효식초일 수 있다.
상기 발효방석 준비단계(S320)는 습도 확인 후 발효를 위하여 볕집으로 만든 방석을 준비한다. 상기 볕집방석에 누룩가루와 물을 섞은 후 젖은 누룩가루을 뿌려 놓는다.
상기 발효 환경 유지단계(S330)는 볕집방석 위에 살균된 면보자기를 놓고 목련꽃잎을 고르게 펼쳐 놓는다. 낱장의 목련꽃잎은 1cm 미만으로 고르게 펼쳐서 발효가 골고루 되도록 한다. 펼쳐놓은 목련꽃잎 위로 비닐과 담요를 덮어 내부 온도가 55 내지 65℃가 10시간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온도가 65℃ 이상이 되면, 발효 효소가 죽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최대 65℃를 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념단계(S400)는 발효가 된 목련꽃잎을 비벼서 상처를 내는 과정이다. 상기 유념단계(S400)는 발효 후 건조하기 전에 유념과정을 수행하여 꽃잎이 부스러지지 않고 목련꽃잎의 유효성분이 잘 우러날 수 있게 한다.
상기 2차 건조단계(S500)는 유념단계(S400) 후 30 내지 40℃ 온도에서 유념된 목련꽃잎의 습도 90%가 건조되도록 한다. 이때, 목련꽃잎의 향을 가두기 위해 살균된 마른 천을 덮은 상태에서 건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빨리 건조하는 것보다, 목련꽃잎의 습도가 90% 될 때까지 저온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빠른 시간 건조하기 위하여 덖음하거나 고온으로 건조하면 발효 유익균이 죽어버리기 때문에 통풍이 잘되도록 하여 저온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2차 건조단계(S500)는 건조 후 밀폐 보관하여 숙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숙성과정은 발효된 목련꽃잎의 풍미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블렌딩단계(S600)는 건조된 목련꽃잎과 생즙을 블렌딩하여 풍미를 더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에서 생즙은 사과, 자두, 살구 등 과일 생즙이거나 과일과 허브가 포함된 생즙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사과 생즙과 생박하 생즙을 갈아서 추출한 생즙으로 블렌딩한다. 상기 사과 생즙은 사과 과육 2000g과 생박하(잎과 연한 줄기만 사용) 124g을 갈아서 생즙만 추출한다. 상기 생즙의 비율은 사과 생즙 93 내지 95 중량%, 생박하 5 내지 7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박하가 7중량%이상 포함되면, 박하향이 강해서 목련꽃잎향이 묻혀버릴 수 있으므로 생즙에서 생박하의 비율이 최대 7중량%가 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블렌딩단계(S600)는 숙성단계(S6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숙성단계(S610)는 생즙이 건조된 목련꽃잎에 잘 스며들도록 1시간 동안 실온(15 내지 20℃)에서 목련꽃잎의 습도가 40%가 되도록 한다.
상기 3차 건조단계(S700)는 블렌딩 후 30 내지 40℃ 온도에서 목련꽃잎의 습도 90%가 건조되도록 한다. 이때, 목련꽃잎의 향과 블랜딩된 사과와 생박하의 향을 가두기 위해 살균된 마른 천을 덮은 상태에서 건조한다. 상기 3차 건조단계(S700)는 건조 후 밀폐 보관하여 숙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숙성과정은 발효된 목련꽃잎의 풍미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3차 건조단계(S700) 후 기호에 따라 블렌딩단계(S600)를 반복하여 블렌딩하고자 하는 생즙의 향과 맛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렌딩단계(S600)을 2 내지 3회 추가 반복할 수 있다. 다만, 하기 실시예에서는 1회 블렌딩을 기본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보관단계(S800)는 3차 건조 후 완성된 목련꽃잎 발효차를 면주머니에 넣어 항아리에 보관한다. 상기 2차 건조단계(S500)와 3차 건조단계(S700)에서 숙성과정 역시 면주머니에 넣어 항아리에 밀폐 보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목련꽃잎 발효차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3월 중순 피지않은 목련꽃 봉우리를 채취하여 1~2일 시든 후 꽃잎만 낱개로 떼어 30 내지 40℃에서 꽃잎의 습도 90%까지 건조(1차)시킨다. 청주(발효촉진제)와 물을 1:1로 혼합하여 건조된 꽃잎의 습도가 45%가 되도록 한다. 실온에서 한시간 숙성 후 최종 습도 역시 45%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볕집 방석에 누룩가루와 물을 섞은 물을 뿌려놓고, 그 위에 살균된 면보자기를 깔고 목련꽃잎을 깔은 다음 비닐과 담요를 덮어 내부 온도가 65℃가 10시간 유지되도록 한다. 발효 후 습이 있는 상태에서 유념을 하여 꽃잎에 골고루 상처를 낸다. 유념 후 통풍이 잘되고 바닥의 온도가 30 내지 40℃에서 꽃잎의 습도 90%까지 건조(2차)시킨다. 발효 후 건조된 목련꽃잎 624g에 사과 생육(95중량%)과 생박하(5중량%)를 갈아서 추출한 생즙 400㎖가 잘 스며들도록 블랜딩하여 실온에서 1시간 숙성시킨다. 블렌딩 후 통풍이 잘되고 바닥의 온도가 30 내지 40℃에서 꽃잎의 습도 90%까지 건조(3차)시킨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에서 발효촉진제로 과일 발효식초를 사용하고, 블렌딩 재료로 자두 생육(94중량%)와 생박하(6중량%)가 포함된 생즙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과정으로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하였다.
비교예1
일반적인 목련꽃차 제조 방법으로 목련꽃 봉우리를 채취하여 꽃잎 펼침 후 건조/덖음과정을 반복하여 목련꽃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2
비교예1의 방법으로 제조된 목련꽃차를 후발효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표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1,2에 따라 제조한 목련꽃잎 발효차를 관능평가하였다. 관능평가는 꽃차의 경험이 있는 주부 5명과 꽃차 경험이 없는 주부 5명을 패널로 구성하여 9점을 기준(9:아주좋다, 8:좋다, 7:좋은편이다, 6:약간좋다, 5:보통이다, 4:약간 별로이다, 3:별로이다, 2:싫어한다, 1: 아주 싫다)으로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다중범위 검정(DMR-Test: Duncan multiple range test)으로 유의수준 p<0.05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구분 꽃잎 모양
실시예1 8.7 8.6 8.9 8.7
실시예2 7.9 7.9 8.5 8.2
비교예1 6.8 6.3 7.2 7.9
비교예2 6.1 5.2 7.1 7.5
상기 표1의 결과를 살펴보면, 향과 맛에 있어서 실시예들은 비교예들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과 맛에서 블렌딩 재료로 사용된 과일(사과, 자두)과 박하가 일반적인 목련꽃차(비교예1,2)보다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에 있어서는 블렌딩 재료로 사용된 생즙이 일반적인 목련꽃차(비교예1,2)와 큰 차이가 없었다. 꽃잎 모양은 실시예1,2와 비교예1,2 모두 꽃잎 모양이 부서지지 않고 유지되었다.
상기 실험으로 본 발명은 발효된 목련꽃잎이 블렌딩 재료와 어우러져 향과 맛이 깊어 기호도가 개선된 목련꽃잎 발효차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도면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꽃이피기 전에 꽃봉우리 상태로 목련꽃의 꽃봉우리(신이화, 辛夷花)를 채취한 후 1 내지 2일 동안 15 내지 20℃에서 시들게 한 후 꽃잎만 낱개로 따놓는 체취 단계;
    낱장의 꽃잎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꽃잎의 수분이 90%가 건조되도록 하는 1차 건조단계;
    상기 꽃잎의 습도가 40 내지 45%가 되도록 발효촉진제와 물을 혼합하여 뿌리고, 펼쳐놓은 목련꽃잎 위로 비닐과 담요를 덮어 내부 온도가 55 내지 65℃가 10시간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발효단계;
    발효가 된 목련꽃잎을 비벼서 상처를 내는 유념단계;
    상기 유념단계 후 30 내지 40℃ 온도에서 유념된 목련꽃잎의 습도 90%가 건조되도록 하는 2차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목련꽃잎과 생즙을 블렌딩하여 풍미를 더하는 블렌딩단계;
    상기 블렌딩 후 30 내지 40℃ 온도에서 목련꽃잎의 습도 90%가 건조되도록 하는 3차 건조단계; 및
    3차 건조 후 완성된 목련꽃잎 발효차를 면주머니에 넣어 항아리에 보관하는 보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발효촉진제와 물이 1:1로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건조된 낱장의 꽃잎에 혼합물이 골고루 흡수도록 15 내지 20℃에서 1시간 숙성한 후 최종 꽃잎의 습도가 40 내지 45%인지 확인하는 습도조절단계;
    습도 확인 후 발효를 위하여 볕집으로 만든 방석을 준비하여, 볕집방석에 누룩가루와 물을 섞은 물을 뿌려 놓는 발효방석 준비단계; 및
    상기 볕집방석 위에 살균된 면보자기를 놓고 목련꽃잎을 고르게 펼쳐 놓고, 펼쳐놓은 목련꽃잎 위로 비닐과 담요를 덮어 내부 온도가 55 내지 65℃가 10시간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발효 환경 유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딩 단계는 과일 생즙 또는 과일과 허브가 포함된 생즙을 건조된 목련꽃잎에 잘 스며들도록 1시간 동안 15 내지 20℃에서 목련꽃잎의 습도가 40%가 되도록 숙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KR1020200075652A 2020-06-22 2020-06-22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KR10247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52A KR102471949B1 (ko) 2020-06-22 2020-06-22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52A KR102471949B1 (ko) 2020-06-22 2020-06-22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23A true KR20210157623A (ko) 2021-12-29
KR102471949B1 KR102471949B1 (ko) 2022-11-28

Family

ID=7917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652A KR102471949B1 (ko) 2020-06-22 2020-06-22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9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9841A (ja) * 1986-06-13 1988-03-15 オツト−・グライタ− 果物風味を有する茶飲料用の混合物の製法
KR101397188B1 (ko) 2012-10-12 2014-05-21 김순희 목련 꽃차의 제조방법
KR20180093238A (ko) 2017-02-11 2018-08-21 이성형 목련꽃잎차와 그 제조방법
KR20180103461A (ko) * 2017-03-10 2018-09-19 정화자 장미꽃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9841A (ja) * 1986-06-13 1988-03-15 オツト−・グライタ− 果物風味を有する茶飲料用の混合物の製法
KR101397188B1 (ko) 2012-10-12 2014-05-21 김순희 목련 꽃차의 제조방법
KR20180093238A (ko) 2017-02-11 2018-08-21 이성형 목련꽃잎차와 그 제조방법
KR20180103461A (ko) * 2017-03-10 2018-09-19 정화자 장미꽃차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king Magnolia flower tea’ published on Naver blog (2014.03.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949B1 (ko)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718B1 (ko) 장미꽃차의 제조방법
KR102155710B1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KR101867536B1 (ko) 국화, 댓잎, 매화, 난꽃, 회화가 함유된 사군자차 제조방법
CN111713580A (zh) 一种红枇杷花茶的制作工艺
KR101013203B1 (ko)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03852B1 (ko) 삼 품은 곶감의 제조방법
CN110881540A (zh) 一种槐花红茶的加工方法
KR101488764B1 (ko)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7912556A (zh) 具有清心除烦、抗肿瘤功效的丹参花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7593990A (zh) 一种辣木红茶的制备方法
CN107751436B (zh) 一种越南抱茎茶发酵茶及其制备方法
CN111728044A (zh) 一种桂花红茶的制备方法
KR20210157623A (ko) 목련꽃잎 발효차 제조방법
CN108485845B (zh) 一种嘉宝果叶片手工皂及其制作方法
CN110558402A (zh) 一种刺梨果茶的制备方法
CN108576284A (zh) 一种花香白茶及其加工方法
KR20180094618A (ko) 동백꽃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4627B1 (ko) 천연식물 에센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41365A (zh) 一种茶花茶的制作方法
CN111743026A (zh) 一种以救心菜为原料制备养心茶的工艺
KR102474892B1 (ko) 남성 생식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07279356A (zh) 一种荷叶乌龙茶及其制备方法
CN113749168B (zh) 一种玫瑰花果香茶的制备方法
KR20200034200A (ko) 6년근 인삼 추출물을 이용한 재래 건식 누룩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누룩을 포함하는 약주 제조방법
KR102319461B1 (ko) 귤피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