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802A - 외부 튜브 및 내부 용기를 구비한 튜브형 용기 - Google Patents

외부 튜브 및 내부 용기를 구비한 튜브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802A
KR20210154802A KR1020217029127A KR20217029127A KR20210154802A KR 20210154802 A KR20210154802 A KR 20210154802A KR 1020217029127 A KR1020217029127 A KR 1020217029127A KR 20217029127 A KR20217029127 A KR 20217029127A KR 20210154802 A KR20210154802 A KR 20210154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adapter
inner container
outer tub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 멘디올라 킨타나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란다 주안 이그나시오 발푸에스타
Original Assignee
씨티엘-티에이치 팩키징, 에스.엘. 유니퍼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티엘-티에이치 팩키징, 에스.엘. 유니퍼스날 filed Critical 씨티엘-티에이치 팩키징, 에스.엘. 유니퍼스날
Publication of KR2021015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각각의 스커트들(2a, 2b)이 설치된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를 갖는 공기 차단 튜브형 용기(1)가 제공된다. 내부 용기(1b)는 내부 용기(1b)를 외부 튜브(1a)에 접속하는 어댑터(3b)를 구비한다.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는 어댑터(3b)에 접속되고 어댑터(3b) 아래에 배치된 전개가능한 부분(20)을 구비한다. 전개가능한 부분(20)은, 튜브형 용기(1)의 제조중에, 외부 튜브(1a)의 스커트(2a)의 길이에 대해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더구나, 전개가능한 부분(20)은 튜브형 용기(1)의 사용중에 내부 용기(1b)의 완만한 찌그러짐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외부 튜브 및 내부 용기를 구비한 튜브형 용기
본 발명은, 화장품, 식품, 약품 등을 수납하는 개량된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튜브와 이 외부 튜브 내의 내부 용기를 구비한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의약품 또는 식품 분야에서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의 사용은 매우 일반적이다.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는 보통, 상품(예를 들어, 화장품, 의약품 또는 식품)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몸체 또는 중공형 스커트(skirt)와, 스커트의 전방 단부(proximal end)에 배치되고 제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 헤드를 구비한다. 헤드는 제품 분배 목부(neck), 뚜껑, 투여 기구 등에 끼워넣어진다. 이와 같은 튜브의 다양한 부품의 제조시에, 예를 들어, 압착, 압출, 동시 압출, 성형 사출, 인몰드 라벨링(IML) 등의 다양한 공지된 제조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튜브형 용기의 제조사는 보통 용기의 헤드를 덮고 덮개를 막고 밀봉하고 일반적으로는 마감을 한 채, 그리고 스커트의 제2 후방 단부(distal end)를 개방한 채 제품 판매자에게 이들 용기를 공급한다. 그후, 판매자는 스커트의 개방된 후방 단부를 통해 제품으로 튜브형 용기를 채운다. 튜브가 상품으로 채워지면, 헤드 반대측의 스커트의 후방 단부를 열전달 용접(열풍, 고온 클램핑), 초음파 또는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밀봉함으로써, 튜브형 용기와 그 내부에 수납된 제품을 대중에게 판매할 수 있는 준비가 된다.
외부 튜브와 내부 용기를 구비하고 포장된 제품의 보존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 용기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차단(airless) 용기가 종래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차단 용기는 사용시에 용기의 찌그러짐(collapsing) 효과도 해소한다. 이것을 위해, 제품을 분배후에 외부 튜브가 그것의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거나 복권할 수 있는 반면에, 내부 용기는 제품의 배출 후에 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공기 차단 용기는 더 양호한 인체공학을 제공하고 용기의 수명 동안 변화하지 않는 외관을 유지한다.
종래 사용된 통상적인 제조 기술로 인해, 그리고 이들 용기가 의도하는 용도로 인해, 높은 사양과 특징을 갖는 재료의 사용이 이와 같은 종류의 튜브를 제조시에 중요한 요건을 구성한다. 제조기술이 관점에서, 사용되는 재료는 다양한 가공성, 용접성, 불침투성, ESCR 저항 요건 등을 만족해야 한다. 이것을 위해, 특정한 (유동성, 밀도, 강성) 그리고 안정된 특성을 갖는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폴리머 혼합물이 보통 사용된다. 더구나, 튜브의 사용과 관련하여, 화장품, 제품 또는 의약품 제품과 접촉하기 위해, 선택된 폴리머 혼합물은, 필요한 경우에, 식품, 의약품 또는 화장품 분야의 일반적인 규제에 따른, 식품 접촉, 무독성, 이동 등과 관련하여, 엄격한 추가적인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튜브는 플라스틱이나, 폴리머와 금속 시트를 결합할 수 있는 금속-플라스틱 적층 복합재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공기 차단 튜브에서, 외부 튜브는 보통 스커트와 헤드 통합 수단 또는 기구(목부, 나사산...)를 구비하여 제품의 배출을 허용하고 용이하게 한다. 내부 용기도 스커트와, 외부 튜브에 체결되는 헤드 또는 목부가 없는 뚜껑일 수 있는 제2 부재를 구비한다. 시판중인 이 튜브의 광범위한 구현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공기 차단 튜브형 용기의 제조는 약간의 문제를 포함하며, 이것의 해결책은 복잡하다.
대부분의 종래의 해결책에서는, 내부 용기에 외부 튜브와 마찬가지로 헤드를 설치하고, 이들 양쪽 헤드가 그들의 목부에 의해 체결된다. 내부 용기의 헤드의 높은 레벨의 강성으로 인해 튜브형 용기가 완전히 찌그러질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해결책은 높은 복원 속도(튜브의 전체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능력)를 취득하는 것에 관한 한 문제점을 제공한다.
종래기술에 공지된 공기 차단 용기의 또 다른 해결책에서는, 내부 용기가 실제로 튜브 헤드를 갖지 않고, 내부 용기가 외부 튜브에 체결되거나 용접됨으로써, 내부 용기가 외부 튜브의 헤드의 목부, 나사산 및 기타 부재를 공유하거나 이용하여, 튜브의 내용물의 분배를 허용한다. 이들 또 다른 해결책의 예는 공보 DE10223842A1과 US2008041890A1에 개시되어 있다. 내부 용기가 실제의 헤드를 구비하지 않는 공기 차단 튜브형 용기의 또 다른 예는,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WO2017158209A1이 기재된 것이다. 이와 같은 후자의 공보의 해결책에서는, 외부 튜브 내에 수납된 내부 용기가 스커트와 가요성 어깨부(shoulder) 또는 개방된 뚜껑을 구비한다. 내부 용기의 스커트 및 어깨부는 별개로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그후, 내부 용기를 외부 튜브 내에 도입하여, 내부 용기의 어깨부를 외부 튜브의 헤드에 용접한다. 내부 용기의 어깨부를 스커트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층 금속-플라스틱 복합체로 제조하고, 나중에 용접을 사용하여 2개의 부품을 체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과정은 양호한 어깨부 변형 능력을 갖는 비용 효율적인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내부 용기가 그것의 형태를 회복하지 않고 내부 용기의 적절한 찌그러짐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들 또 다른 해결책은, 특정한 중요한 영역, 예를 들어, 어깨부의 가장자리 또는 내부 용기의 스커트와 어깨부 사이의 체결 영역에서, 내부 용기의 다층 복합체의 금속제 부품의 노출의 위험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의 금속-플라스틱 복합체의 금속과 그 내부에 수납된 제품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제조과정이 안전한 용기를 얻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 또는 단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공기 차단 용기의 제조공정에서의 이들 추가적인 단계의 구현은, 기술적인 문제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제조과정을 더 비용이 많이 들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기존의 튜브형 용기에 대한 대안인, 공기 차단 튜브형 용기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구나, 튜브의 제조시에 사용된 재료의 바람직하지 않은 노출,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종류의 다층 복합체가 내부 용기를 위해 선택된 경우에, 내부 용기의 금속-플라스틱 복합체의 금속과 용기 내부에 수납된 제품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접촉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을 수납하는 공기 차단 튜브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립항에 따른, 이와 같은 튜브형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공기 차단 용기와 마찬가지로, 튜브형 용기는, 외부 튜브와, 내부 용기와, 튜브형 용기의 외부로부터 외부 튜브와 내부 용기 사이의 중간 캐비티(cavity)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의 공기 통과 영역을 구비한다. 내부 용기는 종 방향의 축 주위에 배치된 스커트를 구비한다. 내부 용기의 이와 같은 스커트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뻗는다. 외부 튜브도 그것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종 방향의 축 주위에 배치된 스커트를 구비한다. 더구나 외부 튜브는 스커트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헤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튜브형 용기는 목부를 갖는 어댑터를 구비한 내부 용기를 갖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어댑터는, 내부 용기의 종 방향 축 주위에서, 내부 용기의 스커트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다. 이 어댑터는 외부 튜브의 헤드에 체결되고 내부 용기의 스커트에 더 체결된다. 내부 용기의 스커트는, 스커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전방 단부를 향해 뻗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으로부터 어댑터의 목부를 향해 뻗는 제2 부분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2 부분은, 내부 용기의 스커트의 전체 길이가 스커트의 제1 부분의 길이와 전개가능한(deployable) 부분의 길이의 합과 같다는 독특함을 갖는, 스커트의 전개가능한 부분을 구비한다. 전개가능한 부분은 어댑터 아래의 위치에 배치되고 어댑터에 체결된다. 이들 스커트는 전개가능한 부분의 길이에 따라 그것들의 후방 단부들에 조정가능한 길이 차이를 갖는다.
내부 용기의 스커트에 전개가능한 부분을 구비한다는 특징은 용기를 사용시에 적절한 찌그러짐을 가능하게 하여, 각각의 헤드들에 의해 체결된 2개의 튜브들을 구비한 종래의 용기에 비해 더 양호한 복원 속도를 얻는다. 내부 용기의 스커트의 전개가능한 부분은 우선하는(preferential) 변형 영역이다. 이와 같은 우선하는 변형 영역은 스커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추가적인 양 또는 잔여 량의 재료의 어댑터 아래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튜브형 용기의 사용중에, 내부 용기에 수납된 제품이 분배됨에 따라 스커트의 전개가능한 부분이 펼쳐진다. 이에 따라, 전개가능한 부분이, 제품이 분배될 때 보통 발생되는 축방향의 응력을 보상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내부 용기의 완만한 찌그러짐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전개가능하다는 것은, 처음에는 기본적으로 어댑터 아래에 놓인 내부 용기의 스커트의 이와 같은 잔여 재료가 어댑터로부터 내부 용기의 후방 단부를 향해 펼쳐져서 뻗을 수 있는 능력으로 해석된다.
더구나, 뚜껑이나 가요성 어깨부 대신에 내부 용기의 스커트 내부에 전개가능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은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다른 용기의 가요성 어깨부는, 스커트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며, 상부 가장자리와 스커트의 나머지 부분에 체결된 하부 가장자리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이들 가장자리에, 어깨부는 다층 복합체의 내부층들이 노출되는 날카로운 가장자리 또는 날카로운 원형 외형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 말단부는, 예를 들어, 스커트가 금속-플라스틱 복합체로 제조될 때, 복합체의 금속과 상품(크림이나 기타 화장품, 의약품 또는 식품)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노출이나 접촉을 일으켜,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는 위험을 포함하는 위험한 영역이다. 스커트의 전개가능한 부분에 체결된 어댑터를 구비한 본 발명의 내부 용기의 구조적 구성의 덕택으로, 튜브형 용기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다층 복합체의 내부층들에 존재하는 금속이나 다른 성분들의 노출 위험을 최소화하고 (일부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심지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기의 또 다른 추가적인 이점은,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통상적인 해결책에 비해 찌그러짐을 최적화하는 것 이외에, 전개가능한 부분이 내부 용기의 전방 단부 부분에서의 제품 체류를 최소화하여, 최종 사용자를 위한 절약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동시에 갖는 튜브형 용기를 제공한다: 다른 튜브형 용기에 대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종래의 장비와 기술을 사용하여, 후방 단부를 통해, 제품 판매자가 튜브형 용기를 채우는 것과 그후에 밀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과, 용기의 전방 영역에서, 내부 용기의 다층 복합체의 부품들과 상품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노출, 접촉 또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거나 심지어는 제거하는 것과, 높은 복원 속도를 제공하는 것과, 용기의 사용후에 내부 용기가 변형되지만 외부 튜브가 그것의 형상을 유지하거나 복원하는 변함없는 공기 차단 용기의 기능을 유지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튜브와 내부 용기로 이루어진 이중 튜브 튜브형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단일 스텝으로 또는 서로 다른 스텝으로, 목부를 구비한 어댑터를 형성하고 이 어댑터를 내부 용기의 스커트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후방 단부로부터 스커트의 전방 단부를 향해 뻗는, 내부 용기의 스커트의 제1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부분으로부터 어댑터의 목부를 향해 뻗는 제2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의 추가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2 부분은, 내부 용기의 스커트의 전체 길이가 제1 부분의 길이와 전개가능한 부분의 길이의 합과 같은, 전개가능한 부분을 구비한다. 전개가능한 부분은 어댑터 아래의 위치에 배치되고 어댑터에 체결된다. 내부 용기는 외부 튜브의 내부에 조립됨으로써, 외부 튜브 및 내부 용기의 스커트들이 전개가능한 부분의 길이에 따라 후방 단부들에서 조정가능한 길이 차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세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은 다음의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외부 튜브와 내부 용기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용기의 일 실시예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에는 내부 용기의 스커트의 전개가능한 부분의 개략도가 더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의 일례에 따른, 외부 튜브에 체결되고 내부 용기에 수납된 제품의 적절한 투여량을 허용하도록 의도된 기구가 설치된, 도 1의 튜브형 용기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스커트의 전개가능한 부분의 구성을 나타낸, 아래에서 본 튜브형 용기의 내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튜브형 용기의 외부 튜브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내부 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어댑터와 스커트를 별개로 나타낸 내부 용기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외부 튜브의 헤드와 도 1의 내부 용기의 어댑터 사이의 결합의 상세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외부 튜브의 헤드의 상세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연결부재와 공기 통과 영역을 나타낸 내부 용기의 어댑터의 상세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및 내부 튜브들의 스커트들의 후방 단부의 상세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은 내부 용기의 스커트의 전개가능한 부분의 특정한 실시예의 형성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품(화장품, 식품, 의약품)을 수납하는 공기 차단 튜브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용기(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다른 튜브형 용기와 마찬가지로, 튜브형 용기(1)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길다란 중공형의 몸체 또는 스커트(2)를 구비한다. 스커트(2)는 전방 단부(5)와 후방 단부(6)를 갖고 튜브형 용기(1)의 중심의 종 방향 축(4) 주위에 배치된다. 튜브형 용기(1)는 헤드(3)를 더 구비하고, 이 헤드는 스커트(2)의 전방 단부(5)에서 폐쇄를 제공하고 제품의 분배를 허용하도록 의도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튜브의 헤드는, 옵션으로, 제품 분배 목부, 단순한 뚜껑, 및/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배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헤드는, 옵션으로, 다양한 고정 부품이나 부재, 구멍, 플러그, 가변 구조의 뚜껑, 투약 펌프, 도포기, 무적(non-drip) 시스템, 역류 방지(non-return) 시스템 들을 구비해도 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다른 공기 차단 용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튜브형 용기(1)는, 제1 외부 튜브(1a)와 외부 튜브(1a) 내부에 수납된 제2의 찌그러질 수 있는 튜브 또는 내부 용기(1b)를 구비한다. 도 4에 단독으로 도시된 외부 튜브(1a)는 스커트(2a)와 헤드(3a)를 구비한다. 길다란 중공형 스커트(2a)는 정방 단부(5a)와 후방 단부(6a)를 갖는다. 이 스커트는 외부 튜브(1a)의 중심의 종 방향 축(4a) 주위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8a)의 경계를 정한다. 옵션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커트(2a)는 내부 직경(d1)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스커트(2a)의 전방 단부(5a)에 놓인 헤드(3a)는, 외부 튜브(1a)를 폐쇄하도록 의된 것이며, 튜브형 용기(1) 내부에 수납된 제품이 분배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3a)는 어깨부(10a)와 목부(9a)를 구비하고, 목부(9a)는 어깨부(10a)의 옆에 배치되고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품을 바르고 분배하는 기구에 연결된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내부 용기(1b)도 내부 공간(8b)의 경계를 정하는 내부 용기(1b)의 중심의 종 방향 축(4b) 주위에 배치된 길다란 중공형 스커트(2b)를 더 구비한다.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도 전방 단부(5b) 및 후방 단부(6b)를 갖는다. 옵션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는 원통형이며 외경(d2)을 갖는다. 전술한 것과 같이, 튜브형 용기(1)의 내부 용기(1b)는, 외부 튜브(1a)의 내부에,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부 튜브(1b)의 스커트(2a)와 헤드(3a)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내부 공간(8a) 내에 놓인다.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후방 단부(6b)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내부 용기(1b)가 튜브형 용기(1)의 하부 부분을 통해 제품으로 채워질 수 있게 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더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튜브형 용기(1)의 내부 용기(1b)는, 목부(9b)가 설치된 헤드 또는 어댑터(3b)를 구비한다는 독특함을 갖는다. 이와 같은 어댑터(3b)는 종 방향 축(4b) 주위로 뻗는 스커트(2b)의 전방 단부(5b)에 배치된다. 어댑터(3b)는 외부 튜브(1a)의 헤드(3a)에 체결되고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에 체결된다.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는 길이(21l)를 갖는 거의 직선의 또는 평활한 제1 부분(21)을 구비하고, 이 제1 부분(21)은 스커트(2b)의 전체 길이(L)의 상당한 부분을 따라 후방 단부(6b)로부터 전방 단부(5b)를 향해 종 방향의 축(4b) 방향으로 뻗는다.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는, 제1 부분(21)으로부터 어댑터(3b)의 목부(9b)를 향해 뻗으며 어댑터(3b) 아래에 놓이는 제2 부분(22)을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2 부분(22)은 길이(20l)를 갖는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전개가능한 부분(20)은 복수의 접한 부분으로 이루어져,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잔여량의 재료로 이루어진 우선하는 변형 영역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잔여의 재료는 어댑터(3b) 아래의 스커트(2b)의 제2 부분(22)에 모인다. 전개가능한 부분(20)의 접힌 부분들의 구성은 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풀무나 아코디언의 형태를 갖는 구성을 제공한다. 옵션으로, 도면의 특정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개가능한 부분(20)은, 후방 단부(6b)를 향해 펼칠 수 있으며 종 방향 축(4b) 주위로 비틀릴 수도 있어, 이와 같은 잔여 량의 재료를 제공하는 복수의 접힌 부분들(23)을 구비한다. 이들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힌 부분들(23)의 구성은, 도 1, 도 2, 도 5, 도 6 및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튜브형 용기(1)의 내부의 저면도에서 가장 상세하게 볼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는,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길이(20l)와 직선의 제1 부분의 길이(21l)의 합과 같은 전체 길이(L)를 갖는다. 본 발명의 내부 용기(1b)는,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구성에 따라, 제1 부분의 더 길거나 더 짧은 길이(21l)를 조정할 수 있다는 특정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특징의 이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어댑터(3b)와 스커트(2b)를 별개로 나타낸, 본 실시예에 대한 내부 용기(1b)의 일부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옵션으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부 용기(1b)의 어댑터(3b)는, 종 방향 축(4b) 주위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목부(9b)를 구비하고, 경사진 어깨부(10b)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경사진 어깨부(10b)는,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을 적어도 일부 수납하도록 의도된 내부 공간 또는 하우징(20)의 경계를 정하는 원추대 형상의 벽을 구비한다. 하우징(11b)은 구체적으로는 어댑터(3b)의 어깨부(10b)의 내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형 용기(1)가 아직 사용되지 않고,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이 어댑터(3b)에 의해 경계가 전해진 하우징(11b) 내부에 대체로 놓이는 초기 휴지 위치에서 튜브형 용기(1)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초기 위치에서는, 직선의 제1 부분(21)이 거의 펴지고, 제2 부분(22)의 접힌 부분들이 접히는 동시에 비틀어져, 전개가능한 부분(20)이 거의 전체가 또는 대체로 어댑터(3b) 아래의 원추대 형상의 하우징(11b) 내부에 수납된다.
도면에 더 나타낸 것과 같이,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의 일단이 어댑터(3b)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개가능한 부분(20)의 최종적인 비틀어지지 않은 접힌 부분(23)이 어댑터(3b)의 어깨부(10b)의 내벽에 체결된다. 옵션으로, 어댑터(3b)와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은, 종 방향 축(4b)의 전체 둘레 주위에 밀봉을 갖고, 용접을 사용하여 체결된다. 제품이 내부 용기(1b)로부터 외부 튜브(1a)와 외부 용기(1b) 사이의 내부 캐비티(7)를 향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밀봉된 결합을 확보한다면, 다른 체결방법도 허용된다.
날카로운 가장자리들을 갖지 않는, 어댑터(3b)와 전개가능한 부분(20) 사이의 결합의 구성 덕분으로,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1)의 사용중에 스커트(2b)의 다층 복합체의 내부층들의 재료와 내부 용기(1b)에 수납된 제품 사이의 혹시나 있을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노출이나 접촉의 위험을 없애는 튜브형 용기(1)를 제공한다. 옵션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가 플라스틱이나 금속-플라스틱 다층 복합체로 이루어진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므로,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에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다층 복합체에 존재하는 금속이나 기타 성분의 전방 단부(5b)에서의 노출의 위험을 완전히 없앤다.
전개가능한 부분(20)에 의해 제공된 우선적인 변형 영역은, 본 발명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이, 강체 부분을 구비할 수 있는 어댑터(3b)에 의해 제공된 기능들을 동시에 이용하여, 내부 용기(1b)의 완만한 찌그러짐과 더 양호한 복원 속도를 허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어댑터(2b)의 어깨부(10b)는 원추대이다. 튜브형 용기(1)를 사용할 때, 그것의 구성이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과 적절한 결합과 적절한 찌그러짐을 제공한다면, 어깨부(10b)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상정된다. 예를 들어, 내부 용기(1b)의 어댑터(3b)의 어깨부(10b)가 경사가 더 작거나 거의 경사를 갖지 않아, 어댑터(3b)가 직선의 수평 어깨부(10b)를 갖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정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대해 외부 튜브(1a)의 헤드(3a)와 내부 용기(1b)의 어댑터(3b) 사이의 결합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의 사시도들은 각각, 도 7의 외부 튜브(1a)의 헤드(3a)와 내부 용기(1b)의 어댑터(3b)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어댑터(3b)는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에 연결되고 외부 튜브(1a)의 헤드(3a)에도 연결된다. 더구나, 본 발명의 튜브형 용기(1)는, 튜브형 용기(1)의 외부로부터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 사이의 중간 캐비티(7)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의 공기 통과 영역을 구비하여, 불변의 튜브형 용기(1)를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중간 캐비티(7)를 향해 공기의 유입을 위해 필요한 이와 같은 공기 통과 영역은, 어댑터(3b)의 목부(9b)에 배치되고 종 방향의 축(4b) 주위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직 홈 또는 채널(1b)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댑터(3b)와 외부 튜브(1a)의 헤드(3a) 사이의 결합은 기계적이므로, 그것의 간단함과 비용으로 인해 적절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기계적인 체결은,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댑터(3b)의 방사형의 돌기(13b)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사형의 돌기(13b)는 간단하게 어댑터(3b)와 외부 튜브(1a)의 헤드(3a) 사이의 클리핑(clipping) 결합을 허용하여, 외부 튜브(1a)와 어댑터(3b) 사이의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고 이들 두 개의 부품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옵션으로,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로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인, 사용중에 튜브형 용기(1) 내부의 제품이 분배될 때, 내부 용기(1b)의 어댑터(3b)는 기본적으로는 강성을 갖고 실제로 찌그러짐에 관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용기(1b)의 어댑터(3b)가 강성을 갖거나 강체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어댑터보다 훨씬 더 유연하거나 변형가능하여 튜브형 용기(1)의 공기 차단 기능을 허용하는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와 달리, 매우 제한된 변형 능력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강성이라는 용어를 해석한다. 예를 들어, 내부 용기(1b)의 스커트는 플라스틱이나 금속-플라스틱 다층 복합체로 제조되어, 찌그러짐을 위해 필요한 가요성을 제공하는 소성이나 탄성 변형을 나타낸다.
옵션으로, 어댑터(3b)는, 전술한 기계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강체 부분, 예를 들어, 목부(9b)와, 강성이 더 작은 부분, 예를 들어, 어깨부(10b) 또는 어깨부(10b)의 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것 이외에, 어깨부(10b) 또는 어깨부(10b)의 일부가 목부(9b)보다 더 변형이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어댑터(3b)와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더 큰 가요성을 갖는 전개가능한 부분(20)이 마찬가지로 우선하는 변형 영역이지만, 어깨부(10b)가 일부 변형을 겪을 수도 있다. 요약하면, 중간의 강성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강성을 갖는 어댑터(3b)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도 상정되며, 이때 이 중간의 강성 부분은 어댑터(3b)와 스커트(2b)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 영기(1b)의 찌그러짐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 서로 다른 레벨의 강성을 갖는 부품들을 구비한 이와 같은 종류의 어댑터(3b)의 취득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부품을 이용하거나 서로 다른 강성을 갖는 2가지 재료의 주입성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과의 결합과 유리한 찌그러짐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본 발명의 내부 용기(1b)의 어댑터(3b)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어댑터(3b)의 적어도 한 개의 부분의 강성은, 예를 들어, 내부 용기가 헤드를 갖지 않는 가요성 어깨부를 갖는 해결책과 비교할 때, 어댑터(3b)와 외부 튜브(1a)의 헤드(3a) 사이에 더 큰 저항을 갖는 조립체와, 수축에 대한 증가된 저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댑터(3b)는, 목부(9b)의 상부와 외부 튜브(1a)의 헤드(3a)의 인접한 부재 사이의 필요한 밀봉을 더 제공한다.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 튜브(1a)의 헤드(3a)는, 튜브형 용기(1)의 사용중에 제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 투약 펌프(30)(도 2 참조)에 체결됨으로써, 이 경우에는 어댑터(3b)의 목부(9b)가 투약 펌프(30)의 링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필요한 밀봉을 제공한다.
옵션으로, 어댑터(3b)와 외부 튜브(1a)의 헤드(3a) 사이의 연결부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초음파 용접을 사용하여 강화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초음파 용접을 위해 돌기 또는 코드(cord)(14b)가 설치된다. 용접된 결합부는 추가적인 안전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찌그러짐 중에 발생하는 축방향 응력이 튜브형 용기(1)의 밀봉이나 다른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튜브형 용기(1)의 특정한 응용분야에서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된 연결부는 어댑터(3b)와 헤드(3a)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이동을 방지하는데 사용되어, 어댑터(3b), 외부 튜브(1b)의 헤드(3a)와 제품 분배기구 사이의 체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더구나, 용접된 결합부는,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제조를 위한 더 큰 강성을 갖는 다층 복합체를 선택할 수 있는(전개가능한 부분(20)의 더 큰 펼침(unfolding)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 또는 더 유연하거나 및/또는 더 가벼운 재료로 이루어진 어댑터(3b)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가열이나 접착제 결합 등과 같이, 어댑터(3b)와 외부 튜브(1a)의 헤드(3a) 사이의 다른 결합 방법도 본 발명과 호환된다. 예를 들어, 내부 용기(1b)에 유지된 제품의 분배를 위한 단방향 밸브 등과 같은 다른 기구를 구비한 헤드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상정할 수 있다.
튜브형 용기(1)의 후방 단부측 구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가 실질적으로 동축이므로, 그들의 종 방향 축들(4a, 4b)이 거의 평행하고 최소 간격을 나타내는데, 이때 이 허용오차 또는 최소 간격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약 수백분의 1 밀리미터이거나, 옵션으로, 약 수십분의 1 밀리미터이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가 기본적으로 원통형일 때,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의 스커트들(2a, 2b)의 벽들은 종 방향 축(4) 방향으로 뻗으며, 내부 용기(1b)의 외경(d2)과 외부 튜브(1a)의 내경(d1)은, 마찬가지로, 양쪽의 스커트들(2a, 2b)의 후방 단부들(6a, 6b)에서, 바람직하게는 대략 수백분의 1 밀리미터 또는 옵션으로 대략 수십분의 1 밀리미터의 간격 또는 최소 허용오차를 갖는다. 이와 같은 동축성의 유지는 제품의 판매자에 의한 충전 처리와 용접을 용이하게 하여, 종래의 용접 설비 및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절차를 행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도 10c는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의 스커트들(2a, 2b)의 후방 단부들(6a, 6b)의 실행을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의 단면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전의 도면에서의 후방 단부들(6a, 6b)의 실행은 도 10a의 실행과 일치한다(도면에서는 인식할 수 없지만 스커트들(2A, 2B) 사이에 간격 또는 허용오차가 존재한다). 튜브형 용기(1)의 특정한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십 분의 1 밀리미터의 허용오차가 사용될 수 있어,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 사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거나 제조과정에서 필요한 다른 가능한 허용오차를 유지할 수 있다.
옵션으로, 도 10b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튜브형 용기(1)는 후방 단부들(6a, 6b)에 근접한 영역에서 스커트들(2a, 2b)의 벽들 사이에 한 개 또는 다수의 결합점들을 구비한다. 옵션으로, 이들 결합점들의 수는 짝수이고,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의 벽들 사이에서, 이들 결합점들이 반경방향 위치에 배치된다. 결합은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 예를 들어, 용접(초음파, 고주파, 가열), 접합 또는 접착 등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옵션의 특징은, 외부 튜브(1a)의 스커트(2a)의 후방 단부(6a)에 대해 후방 단부(6b)의 축방향 위치가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에 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어, 제조과정 중에, 그리고 나중에 후속하는 튜브형 용기(1)의 충전까지, 스커트들(2a, 2b) 사이의 적절한 레벨의 동축성의 유지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
옵션으로, 도 10c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후방 단부(6b)가 소성 개조(plastic adaptation)를 사용하여 폭이 넓어져, 내부 용기(1b)의 외경(d2)이 외부 튜브(1a)의 내경(d1)과 같아지므로, 양쪽의 스커트들(2a, 2b)이 후방 단부(6a, 6b)에 근접한 영역에서 접촉하게 된다. 옵션으로, 도 10c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의 벽들 사이의 상대적인 축 방향 위치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해, 둘레의 띠를 따라 개별 지점에서 또는 연속적으로 방사형 용접이 행해질 수도 있다.
도 10a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 10b 및 도 10c의 대안적인 실시예들 모두에서, 튜브형 용기(1)의 제조가 완료하면, 후속하는 처리 중에 그리고 나중에 상품으로 튜브형 용기(1)의 충전이 완료할 때까지는,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후방 단부(6b)의 종 방향 및 축 방향 위치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이 후방 단부는 자유단이 아니다. 튜브형 용기(1)의 후방 단부(6)가 밀봉되면, 마찬가지로 사용 및 찌그러짐 중에 후방 고정이 유지된다(6).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내부 용기(1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은, 튜브형 용기(1)의 사용의 결과로써 그리고 내부 용기(1b)의 후방 고정의 결과로써 찌그러짐 중에 발생되는 힘이나 축 방향 응력을 보상하는데 도움이 된다.
제품 판매자를 위해 튜브형 용기(1)의 상업상 이익이 보장되는 경우, 양쪽 튜브들 사이의 동축성을 유지하여, 혹시나 있을 수 있는 축 방향의 힘을 보상하고 축 방향의 위치에 스커트들(2a, 2b)을 유지하여 후방 단부들(6a, 6b)의 밀봉을 용이하게 하는 후방 단부들(6a, 6b)의 다른 실시예도 상정된다.
외부 튜브(1a) 및 내부 용기(1b)에 대해, 예를 들어 타원형 형상과 같은, 다른 원통형이 아닌 형태도 가능하다.
더구나, 바람직하게는, 도 10a-도 10c에 도시된 후방 단부들의 3가지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 용기(1b)의 스커트의 후방 단부(6b)에 대해 외부 튜브(1a)의 스커트(2a)의 후방 단부(6a)가 일정한 길이(h)만큼 돌출된다. 즉, 본 발명의 튜브형 용기(1)에서는, 스커트들(2a, 2b)이 그것의 후방 단부들(6a, 6b)에서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직선형 제1 부분(21)의 길이(21l)에 따라 가변의 조정가능한 길이 차이(h)를 갖거나, 마찬가지로, 스커트들(2a, 2b)이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길이(20l)에 따라 후방 단부들(6a, 6b)에서 가변의 조정가능한 길이 차이(h)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구성을 통해, 예를 들어, 비틀림의 레벨에 따라 또는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의 접힌 부분(23)의 수에 따라 이와 같은 길이 차이(h)를 조정 및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최종적인 허용오차는 판매자 뿐만 아니라 튜브형 용기(1)의 제조자에게 적절하다.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구성을 통해 제1 부분(21)의 길이(21l), 따라서, 후방 단부들(6a, 6b)의 차이 길이(h)를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은,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이점 및 가능성을 갖는 다용도의 튜브형 용기(1)를 제공한다: 스커트(2b)의 다층 복합체의 다양한 특성(두께, 강성, ...)에 따라 이와 같은 길이 변형을 할 수 있는 것, 내부 용기(1b)의 후방 단부(6b)를 보호하여, 후방 단부들(6a, 6b)의 밀봉 이전의 튜브형 용기(1)의 취급이나 운반 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접힌 부분들의 형성을 피하는 것, 또는 예를 들어, 내부 용기(1b)와 외부 튜브(1a)의 제조용 재료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때 또는 이들이 서로 다른 호환성과 용접 요건을 갖는 서로 다른 재료들로 이루어질 때와 같은 다양한 경우에 용접을 용이하게 하는 후방 단부들(6a, 6b)에 대한 다양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1)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는, 튜브형 용기(1)를 제조하는 설비는, 내부 용기(1b)의 몸체 또는 스커트(2b)의 성형, 어댑터(3b)의 부가,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의 형성 및 내부 용기(1b)에 대한 외부 튜브(1a)의 부가를 위한 5개의 스테이션을 갖는 캐러셀(carrousel)을 구비한다.
한쪽에서는, 압출, 주입, 블로우 압출(blow-extrusion) 또는 필름 성형 등의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기술들 중에서 어느 한 개를 사용하여 외부 튜브(1a)가 제조된다.
더구나,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 및 어댑터(3b)가 제조된다. 이것을 하기 위해, 어댑터(3b)가 가압에 의해 성형되고(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다른 기술도 허용된다) 어댑터(3b)를 스커트(2b)에 용접한다. 어댑터(3b)의 성형 단계와 스커트(2b)에 대한 어댑터(3b)의 용접은 동시에 행해지거나, 어댑터(3b)가 먼저 성형되고, 그후 용접이 행해질 수 있다. 스커트(2b) 위에 어댑터(3b)가 상부 주입성형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의 단부가 어댑터(3b)의 어깨부(10b)의 내면에 용접되어 내부 용기(1b)를 형성한다. 용접은, 예를 들어, 열풍, 전도, 초음파를 사용하거나, 내부 용기(1b)를 이루는 재료에 따라 적절한 다른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은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의 특정한 실시예의 형성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상태에서 시작하면, 길이(L)를 갖는 스커트(2b)가 그것의 후방 단부(6b)에 의해 고정되고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을 형성하기 위해 어댑터(3b)를 회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개가능한 부분(20)은 복수의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힌 부분들(23)로 이루어져, 우선하는 변형 영역을 정의한다. 도 12에 나타낸 어댑터(3b)의 회전은, 종 방향 축(4b)의 방향으로 그리고 후방 단부(6b)를 향한 어댑터(3b)의 변위를 수반해도 된다. 옵션으로, 본 실시예에 대해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의 상당 부분이 어댑터(3b) 아래의 하우징(11b) 내부에 숨겨진 상태가 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종 방향 축(4b)의 방향으로 그리고 후방 단부(6b)를 향한 어댑터(3b)의 두 번째의 변위가 행해진다. 어댑터(3b)가 더 적거나 수평의 경사를 갖는 어깨부(10b)를 구비할 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두 번째 변위 이동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튜브형 용기(1)의 양쪽 부품의 제조가 완료하면, 조립을 행하여 내부 용기(1b)를 외부 튜브(1a) 내에 배치하여,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 사이에 결합을 이루어,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길이(20l)에 따라 스커트들(2a, 2b)이 후방 단부들(6a, 6b)에서 조정가능한 길이 차이(h)를 갖는다.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체결되고 옵션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용접된다. 스커트들(2a, 2b)의 후방 단부들(6a, 6b)에서, 한 개 또는 다수의 용접 또는 접합 지점들이 추가되거나, 및/또는 내부 용기(1b)의 후방 단부(6b)의 폭 넓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제조용 재료와 관련하여,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는, 플라스틱 재료, 플라스틱 복합체, 금속-플라스틱 복합체, 다른 재료들의 층, 전술한 재료의 조합의 제재와, 일반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적층 복합체, EVOH(Ethylene-Vinyl-Alcohol)을 포함하는 적층 복합체 또는 기타 등과 같이 가요성 재료의 튜브에 적용가능한 모든 재료 또는 제재로 제조된다.
옵션으로, 내부 용기(1b)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플라스틱 복합체, 또는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금속화된 시트, 첨가제 단층 라미네이트, 무기 층 등의) 다른 종류의 구조로부터 얻어진다. 옵션으로,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제조에 사용된 금속-플라스틱 복합체는, 그것의 양호한 장벽 특성 및 산소와 기타 가스에 대한 낮은 투과성으로 인해 적절한 EVOH(Ethylene-Vinyl-Alcohol)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영기(1b)의 제조를 위해 EVOH를 포함하는 비금속 복합체의 사용도 바람직하지 않은 노출의 위험 방지와 관련된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금속 및 플라스틱 복합체의 경우와 같이 부작용을 가질 위험이 없지만, 튜브형 용기(1)의 전방 단부(5)에서 혹시나 있을 수 있는 투과율의 손실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용기(1b)는 단층 필름, 또는 무기 장벽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으로 제조되어도 된다.

Claims (29)

  1.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와, 튜브형 용기(1)의 외부로부터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 사이의 중간 캐비티(7)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의 공기 통과 영역을 구비하고, 내부 용기(1b)가 종 방향의 축(4b) 주위에 배치되고 전방 단부(5b)와 후방 단부(6b)를 갖는 스커트(2b)를 구비하고, 외부 튜브(1a)가 종 방향의 축(4a) 주위에 배치되고 전방 단부(5a) 및 후방 단부(6a)를 갖는 스커트(2a)를 구비하고, 외부 튜브(1a)가 전방 단부(5a)에 배치된 헤드(3a)를 구비한 튜브형 용기(1)에 있어서,
    내부 용기(1b)가 목부(9b)를 갖는 어댑터(3b)를 구비하고, 어댑터(3b)가, 종 방향 축(4b) 주위에서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전방 단부(5b)에 배치되고, 외부 튜브(1a)의 헤드(3a)에 체결되고,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에 체결되고,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는, 길이(21l)를 갖고 후방 단부(6b)로부터 스커트(2b)의 전방 단부(5b)를 향해 뻗는 제1 부분(21)과, 제1 부분(21)으로부터 어댑터(3b)의 목부(9b)를 향해 뻗는 제2 부분(22)을 구비하고, 제2 부분(22)은 길이(20l)를 갖는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을 구비하고, 스커트(2b)의 전체 길이(L)가 제1 부분(21)의 길이(21l)와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길이(20l)의 합과 같고, 전개가능한 부분(20)은 어댑터(3b)의 아래에 놓이고 어댑터(3b)에 체결되고,
    스커트들(2a, 2b)은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길이(20l)에 따라 후방 단부들(6a, 6b)에서 조정가능한 길이 차이(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용기(1).
  2. 제 1항에 있어서,
    전개가능한 부분(20)은 종 방향의 축(4b) 주위에 복수의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힌 부분들(23)을 구비하고, 이들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힌 부분들(23)은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후방 단부(6b)를 향해 펼쳐질 수 있는 튜브형 용기(1).
  3. 제 1항에 있어서,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는 단일 부품으로 제조된 튜브형 용기(1).
  4. 제 1항에 있어서,
    어댑터(3b)의 목부(9b)는 종 방향 축(4b) 주위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어댑터(3b)는 하우징(11b)의 경계를 정하는 경사진 벽이 설치된 원추대 형상의 어깨부(10b)를 구비하고, 전개가능한 부분(20)은 종 방향의 축(4b) 주위에 복수의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힌 부분들(23)을 구비하고,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힌 부분들(23)은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후방 단부(6b)를 향해 펼쳐질 수 있으며, 전개가능한 부분(20)의 비틀어지지 않은 최후의 접힌 부분(23)이 어댑터(3b)의 어깨부(10b)에 체결되고, 전개가능한 부분(20)이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b) 내부에 수납되는 튜브형 용기(1).
  5. 제 1항에 있어서,
    어댑터(3b)의 목부(9b)는 종 방향 축(4b) 주위에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어댑터(3)는 거의 수평인 직선형 어깨부(10b)를 더 구비한 튜브형 용기(1).
  6. 제 1항에 있어서,
    공기 통과 영역은, 어댑터(3b)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 용기(1b)의 종 방향 축(4b) 주위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한 개 또는 다수의 수직 채널들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튜브형 용기(1).
  7. 제 1항에 있어서,
    어댑터(3b)는 외부 튜브(1a)의 헤드(3a)에 기계적 체결되는 튜브형 용기(1).
  8. 제 7항에 있어서,
    기계적 체결은 클리핑(clipping) 결합을 사용하여 행해지는 튜브형 용기(1).
  9.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어댑터(3b)와 외부 튜브(1a)의 헤드(3a) 사이의 결합은 용접을 사용하여 행해지거나 용접을 사용하여 더 보강되거나, 또는 어댑터(3b)와 외부 튜브(1a)의 헤드(3a) 사이의 결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행해지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더 보강되는 튜브형 용기(1).
  10. 제 1항에 있어서,
    어댑터(3b)는, 더 높은 소성 또는 탄성 가요성이나 변형 능력을 나타내는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에 비해, 기본적으로 강성을 갖는 튜브형 용기(1).
  11. 제 1항에 있어서,
    어댑터(3b)는, 더 높은 레벨의 소성 또는 탄성 가요성이나 변형 능력을 나타내는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에 비해, 적어도 한 개의 기본적으로 강성을 갖는 부분, 예를 들어, 종 방향 축(4b) 주위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목부(9b)와, 중간의 강성을 갖는 부분, 예를 들어, 목부(9b)에 대해 경사지거나 직선형의 어깨부(10b)를 구비한 튜브형 용기(1).
  1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1a)의 헤드(3a)는 내부 용기(1b) 내에 수납된 제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 투약 펌프(30)에 체결된 튜브형 용기(1).
  1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의 종 방향 축들(4a, 4b)은 거의 평행하고 최소의 허용오차를 나타내어,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가 거의 동축인 튜브형 용기(1).
  14. 제 13항에 있어서,
    허용오차는 대략 수백분의 1 밀리미터인 튜브형 용기(1).
  15. 제 13항에 있어서,
    허용오차는 대략 수십분의 1 밀리미터인 튜브형 용기(1).
  16. 제 13항에 있어서,
    스커트들(2a, 2b)은 원통형 형상을 나타내고 종 방향 축들(4a, 4b)의 방향으로 뻗고, 외부 튜브(1a)의 스커트(2a)는 내경(d1)을 갖고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는 외경(d2)을 가져, 스커트들(2a, 2b)이 후방 단부들(6a, 6b)에서 최소 간격을 나타내고, 이 최소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수십분의 1 밀리미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수백분의 1 밀리미터인 튜브형 용기(1).
  17. 제 1항에 있어서,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후방 단부(6b)가 탄성 변형에 의해 폭이 넓어져, 양쪽의 스커트들(2a, 2b)이 후방 단부들(6a, 6b)에 근접한 영역에서 접촉하는 튜브형 용기(1).
  18. 제 1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1a)와 내부 튜브(1b)의 벽들 사이의 스커트들(2a, 2b)의 후방 단부들(6a, 6b)에 근접한 영역에 한 개 또는 다수의 결합점들을 구비한 튜브형 용기(1).
  19. 이중 튜브 튜브형 용기(1)의 제조방법으로서,
    전방 단부(5a)와 후방 단부(6a)를 구비한 스커트(2a)를 갖는 외부 튜브(1a)를 형성하는 단계와,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이 스커트(2b)는 전방 단부(5b)와 후방 단부(6b)를 구비하고,
    단일 스텝으로 또는 서로 다른 스텝들로, 목부(9b)가 설치된 어댑터(3b)를 형성하고 어댑터(3b)를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에 체결하는 단계와,
    길이(21l)를 갖고 후방 단부(6b)로부터 전방 단부(5b)를 향해 뻗는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제1 부분(21)을 형성하고, 제1 부분(21)으로부터 어댑터(3b)의 목부(9b)를 향해 뻗는 제2 부분(22)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때 제2 부분(22)은 길이(20l)를 갖는 스커트(2b)의 전개가능한 부분(20)을 구비하고, 스커트(2b)의 전체 길이(L)가 제1 부분(21)의 길이(21l)와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길이(20l)의 합과 같고,
    전개가능한 부분(20)을 어댑터(3b) 아래의 위치에 배치하고 어댑터(3b)에 체결하는 단계와,
    스커트들(2a, 2b)이 전개가능한 부분(20)의 길이(20l)에 따라 그것들의 후방 단부들(6a, 6b)에서 조정가능한 길이 차이(h)를 갖도록 내부 용기(1b)를 외부 튜브(1a)의 내부에 조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전개가능한 부분(20)을 형성하는 단계는, 내부 용기(1b)의 후방 단부(6b)를 향해 펼쳐질 수 있는 복수의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힌 부분들(23)의 형성을 위해, 내부 용기(1b)의 종 방향 축(4b) 주위에 어댑터(3b)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종 방향 축(4b)의 방향으로 그리고 내부 용기(1b)의 후방 단부(6b)를 향해 어댑터(3b)를 동시에 회전시켜 변위시키는 제조방법.
  22. 제 19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전개가능한 부분(20)의 적어도 한 개의 부분이 어댑터(3b) 아래의 하우징(11b) 내부에 수납되도록, 종 방향 축(4b)의 방향으로 그리고 내부 용기(1b)의 후방 단부(6b)를 향해 어댑터(3b)를 변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 사이의 결합은 내부 용기(1b)의 어댑터(3b)와 외부 튜브(1a)의 헤드(3a) 사이의 기계적 체결을 사용하여 행해지는 제조방법.
  24. 제 19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 사이의 결합은, 외부 튜브(1a)의 헤드(3a)에 대한 내부 용기(1b)의 어댑터(3b)의 용접 또는 접착을 사용하여 행해지거나 보강되는 제조방법.
  25. 제 19항에 있어서,
    종 방향의 축들(4a, 4b)이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바람직하게는 대략 수십분의 1 밀리미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수백분의 1 밀리미터의 최소의 허용오차를 나타내어,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가 거의 동축이 되도록, 내부 용기(1b)에 대한 외부 튜브(1a)의 결합이 행해지는 제조방법.
  26. 제 19항에 있어서,
    양쪽의 스커트들(2a, 2b)이 후방 단부들(6a, 6b)에 근접한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소성 변형을 사용하여 내부 용기(1b)의 스커트(2b)의 폭을 넓히는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27. 제 19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1a)와 내부 용기(1b)의 벽들 사이에서 후방 단부들(6a, 6b)에 근접한 영역에 한 개 또는 다수의 결합점들을 만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
  28. 제 19항에 있어서,
    내부 용기(1b)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플라스틱 다층 복합체로 제조되는 제조방법.
  29. 제 19항에 있어서,
    내부 용기(1b)는, 장벽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체로 제조되거나, 또는 단층 필름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무기 장벽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으로 제조되는 제조방법.
KR1020217029127A 2019-04-24 2020-04-01 외부 튜브 및 내부 용기를 구비한 튜브형 용기 KR20210154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382310.1 2019-04-24
EP19382310.1A EP3730420B1 (en) 2019-04-24 2019-04-24 Tubular container with an outer tube and an inner container
PCT/ES2020/070216 WO2020216973A1 (en) 2019-04-24 2020-04-01 Tubular container comprising an outer tube and an inner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802A true KR20210154802A (ko) 2021-12-21

Family

ID=6652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127A KR20210154802A (ko) 2019-04-24 2020-04-01 외부 튜브 및 내부 용기를 구비한 튜브형 용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655078B2 (ko)
EP (1) EP3730420B1 (ko)
JP (1) JP2022529934A (ko)
KR (1) KR20210154802A (ko)
CN (1) CN113784896B (ko)
AR (1) AR118752A1 (ko)
BR (1) BR112021021270A2 (ko)
CO (1) CO2021015218A2 (ko)
ES (1) ES2911638T3 (ko)
IL (1) IL287012A (ko)
MX (1) MX2021010907A (ko)
TW (1) TW202042700A (ko)
WO (1) WO2020216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53765B (zh) * 2021-02-02 2022-01-21 塞席爾商日勤包裝科技股份有限公司 積層剝離容器
EP4306441A1 (de) 2022-07-14 2024-01-17 PackSys Global AG Recycelbare verpackungstube
DE202022106431U1 (de) 2022-11-16 2022-11-23 Packsys Global Ag Verpackungstube mit nachhaltigen Bestandteile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2885A1 (de) * 1992-09-28 1994-03-31 Colgate Palmolive Co Eindrückbarer Abgabebehälter für fließfähige Stoffe
JP3290301B2 (ja) * 1994-06-28 2002-06-10 吉田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
FR2732315B1 (fr) * 1995-04-03 1997-04-25 Cebal Tube a double enveloppe avec clapet automatique
FR2740114B1 (fr) * 1995-10-19 1998-01-02 Innovation Rech Plastique S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avec bague de support d'une pompe manuelle de distribution en doses unitaires
JP2001171699A (ja) * 1999-12-13 2001-06-26 Hideo Nakagawa チューブ容器装置
DE10223842A1 (de) 2002-05-28 2003-12-24 Beiersdorf Ag Matrjoschka-Tube
US7249694B2 (en) * 2002-07-26 2007-07-31 Masatoshi Masuda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EP1595810A1 (de) * 2004-05-10 2005-11-16 Createchnic AG Behälter mit Inliner-Beutel und Einweg-Spenderventil
US20080260978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 two layer preform,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process for producing a blow-moulded bag-in-container, and bag-in-container thus produced
IT1393823B1 (it) * 2009-04-20 2012-05-11 Lumson Spa Dispositivo per contenere a tenuta d'aria e per erogare sostanze fluide
IT1397891B1 (it) * 2010-01-15 2013-02-04 Lumson Spa Contenitore decorato associabile a pompe airless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IT1398945B1 (it) * 2010-03-17 2013-03-28 Lumson Sp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contenitore da utilizzare con una pompa ermetica.
NL2009236C2 (en) * 2012-07-26 2014-02-06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ITMI20121346A1 (it) * 2012-07-31 2014-02-01 Lumson Spa Metodo di produzione di un contenitore destinato a contenere una sostanza da erogarsi tramite una pompa airless, e contenitore prodotto con tale metodo
FR3000035B1 (fr) * 2012-12-21 2016-01-08 Albea Services Tube ameliore exploitant les proprietes de la jupe pour la tete de tube.
WO2015152415A1 (ja) * 2014-04-04 2015-10-08 株式会社ダイゾー 吐出容器
EP3037174B1 (en) * 2014-12-24 2017-10-25 Lumson S.p.A. Device to contain and dispense fluid substances
ES2632977B1 (es) 2016-03-15 2018-06-26 Ctl-Th Packaging, S.L. Unipersonal Envase tubular con un tubo exterior y un contenedor interior
DE102017121333B4 (de) * 2017-09-14 2019-03-28 Linhardt Gmbh & Co. Kg Behälterverpac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11638T3 (es) 2022-05-20
EP3730420A1 (en) 2020-10-28
BR112021021270A2 (pt) 2021-12-21
WO2020216973A1 (en) 2020-10-29
CN113784896A (zh) 2021-12-10
JP2022529934A (ja) 2022-06-27
IL287012A (en) 2021-12-01
TW202042700A (zh) 2020-12-01
CO2021015218A2 (es) 2022-02-07
EP3730420B1 (en) 2022-03-02
MX2021010907A (es) 2021-10-01
CN113784896B (zh) 2022-11-11
AR118752A1 (es) 2021-10-27
US20220194667A1 (en) 2022-06-23
US11655078B2 (en) 2023-05-23
WO2020216973A8 (es)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4802A (ko) 외부 튜브 및 내부 용기를 구비한 튜브형 용기
JP6640882B2 (ja) ピストンエアロゾルディスペンサ
AU2008303998B2 (en) Container with deformable inner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CN103459111B (zh) 用于flair应用的改进预成型件
US10501258B2 (en) Aerosol dispenser having annular seals and aerosol container therefor
JP2018517627A (ja) ピストンエアロゾルディスペンサの製造方法
US6889873B1 (en) Pouch and packaging and distribution unit
CN108883858B (zh) 具有外管和内部容器的管状容器
CA2572162A1 (en) Barrier package aerosol dispenser
AU2016317989B2 (en) Collapsible bottle
JPS5984770A (ja) 2室式充てん容器
US4039103A (en) Pressurized dispensing containers
US20090166380A1 (en) Container for fluid product
JPH11301696A (ja) 2液用容器
US20050098582A1 (en) Stand-up tube with a dispensing nose
JP4017301B2 (ja) チューブ容器
FR2813286A1 (fr) Poche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