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719A -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719A
KR20210150719A KR1020200067501A KR20200067501A KR20210150719A KR 20210150719 A KR20210150719 A KR 20210150719A KR 1020200067501 A KR1020200067501 A KR 1020200067501A KR 20200067501 A KR20200067501 A KR 20200067501A KR 20210150719 A KR20210150719 A KR 20210150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ed
unit
conveyor
oil tank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309B1 (ko
Inventor
이재철
Original Assignee
이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102020006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3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4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the food being transported through an oil-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튀김물이 튀김조리 되기 위한 튀김용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조; 상기 튀김물이 상기 기름조의 내부에 침지되어 튀김조리 될 수 있도록 튀김물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부; 상기 기름조의 하면과 연통되어, 상기 튀김용 기름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유조부; 상기 이송부와 상기 가열유조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튀김물이 튀겨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Multi conveyor automatic fry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시간, 조리온도가 각기 다른 여러 종류의 튀김 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한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요리는 각종 생선류, 육류 및 채소류 등 그 재료의 선택범위가 넓으면서 비교적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어서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패스트푸드 및 치킨점 등의 증가로 인하여 그 조리가 보다 전문화 및 대량화되어 가고 있다.
튀김 조리의 대량화를 실현하는 튀김 장치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93963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49320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45255호에는 컨베이어에 튀김물을 연속적으로 적하시켜, 튀김물의 대량화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컨베이어를 이용한 튀김 장치는 조리시간, 조리온도가 각기 다른 튀김물을 동시에 튀길 수 없었다. 즉, 튀김 장치 속성이 튀김물의 종류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가변되지 못하여, 하나의 튀김 장치에 이용되는 튀김물이 극히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선행문헌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939631호 (등록일 2019.01.11.) [선행문헌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493202호 (등록일 2015.02.06.) [선행문헌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45255호 (등록일 2013.12.19.)
본 발명은 기름조 내부에서 튀김물을 이송시켜 튀김조리 하는 이송부를 복수개로 구성함으로써, 조리시간, 조리온도 등이 각기 다른 여러 개의 튀김물을 하나의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로 한 번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부를 상하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름조로부터 상기 이송부를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기름조 내부의 청소, 기름 교체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유조부 구성하여, 기름이 가열되는 부분과 튀겨지는 부분이 구분됨으로써, 열대류에 의해 튀김물이 균일하게 튀겨지도록 하고, 복수개의 이송부를 이동하는 각각의 튀김물이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튀김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는 튀김물이 튀김조리 되기 위한 튀김용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조(100); 상기 튀김물이 상기 기름조(100)의 내부에 침지되어 튀김조리 될 수 있도록 튀김물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부(200); 상기 기름조(100)의 하면과 연통되어, 상기 튀김용 기름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유조부(300); 상기 이송부(200)와 상기 가열유조부(3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튀김물이 튀겨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200)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는 상기 이송부(2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200)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리프팅부(500)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튀김물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하부 컨베이어(210);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부 컨베이어(220); 및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의 하면은 상기 튀김용 기름의 유면보다 낮게 배치되어, 상기 튀김물이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부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의 하부 사이에서 침지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면에는 튀김물 이송편(2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230)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의 일단에 형성된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유조부(300)는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하부 외측면에는 코일(310)이 형성되어, 유도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유조부(30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온도로 상기 기름조(100)를 가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름조(100)는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된 튀김용 기름을 구획시키는 구획판(11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는 상기 튀김물을 배출하여, 배출된 튀김물을 상기 이송부(200)에 투입하는 튀김물 공급부(700); 상기 제어부(400)와 상기 튀김물 공급부(700)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튀김 음식 주문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송신하는 키오스크(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튀김물 공급부(700)는 복수개의 튀김물을 보관하되, 상기 레시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튀김물 중 일부의 튀김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710); 상기 일부의 튀김물이 일부의 이송부(200)에 선택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름조 내부에서 튀김물을 이송시켜 튀김조리 되도록 하는 이송부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튀김물을 하나의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는 무인 주문 장치(키오스크)에 의해 사용자의 튀김 요리 주문을 입력받아, 상기 튀김 요리에 사용되는 튀김물을 선택적으로 이송부에 공급하여 튀김 작업의 무인화와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튀김물을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부가 각각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하도록 구성하여, 튀김물 종류에 따라서 이송 속도차에 의해 튀김시간을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부를 종축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기름조로부터 상기 이송부를 분리하여, 작업자가 상기 기름조 내부 청소, 기름 교체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튀김물이 상부컨베이어와 하부컨베이어 사이를 이동되며 튀김 조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튀김물이 유면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튀김물의 상면까지 고르게 튀겨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유조부 구비하여, 기름이 가열되는 부분과 튀겨지는 부분이 구분됨으로써, 열대류에 의해 튀김물이 균일하게 튀겨지도록 하고, 구획판을 더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이송부를 이동하는 각각의 튀김물이 서로 다른 온도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가열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의 이송부와 구동부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의한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에 복수개의 가열유조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의한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에 있어서, 이송부가 리프팅부에 의해 상승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의한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에 있어서, 튀김물 공급부와 키오스크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튀김 음식 주문에 따라서, 상기 튀김물이 일부의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 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 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 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10)는 튀김물이 튀김조리 되기 위한 튀김용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조(100); 상기 튀김물이 상기 기름조(100)의 내부에 침지되어 튀김조리 될 수 있도록 튀김물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부(200); 상기 기름조(100)의 하면과 연통되어, 상기 튀김용 기름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유조부(300); 상기 이송부(200)와 상기 가열유조부(3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튀김물이 튀겨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로 조리되는 튀김물은 야채류, 채소류, 스낵류 등일 수 있다. 상기 튀김물은 튀김 과정 중에 기름에서 부상되는 것으로서, 일예로 반죽 등이 해당될 수 있으나, 당업자에 따라서, 가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이송부(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0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튀김물이 상기 기름조(100)의 내부에 침지되어 튀김조리 될 수 있도록 튀김물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200)가 복수개로 구성됨으로써, 여러개의 튀김물을 하나의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를 이용하여 한번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이송부(200)는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이송부(200)가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할 경우, 이송부(200)를 이동하는 튀김물의 이동시간이 각각 달라진다. 즉, 튀김물의 튀김조리시간이 각각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다수개의 튀김물이 각기 다른 튀김 시간을 요구할 지라도, 사용자가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하는 복수개의 이송부(200)에 상기 튀김물을 선택적으로 투입함으로써, 하나의 튀김 장치로 서로 다수개의 튀김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복수개의 이송부(200)의 이송 속도는 제어부(400)에 의해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400)에는 이송부 속도조절부(미도시), 타이머(미도시), 가열유조부 온도조절부(미도시), 전원 스위치(미도시), 부저(미도시), 이송부 비상정지부(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튀김물(20)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하부 컨베이어(210);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부 컨베이어(220); 및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30);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가 내측면에 수납 고정 되도록 하는 컨베이어 프레임(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부 컨베이어(220)는 벨트 이송장치로서, 일정한 이송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일단에는 하부 컨베이어 회전축(212)과 상부 컨베이어 회전축(222)이 구비되어, 구동부(230)의 구동력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는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 형성됨으로써, 튀김물이 일방으로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의 하면은 상기 튀김용 기름의 유면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튀김물(20)이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부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의 하부 사이에서 침지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튀김물(20)이 상부컨베이어와 하부컨베이어 사이를 이동되며 튀김 조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튀김물이 유면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튀김물의 상면까지 고르게 튀겨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튀김물이 튀김용 기름 속에 침지된 상태에서 이송되어, 상면까지 고르게 튀겨지므로, 제조자가 튀김물의 상면을 튀기기 위하여, 튀김물(20)을 뒤집는 등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부 컨베이어(22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며 튀김 조리 완료된 튀김물을 튀김용 기름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부 컨베이어(220)의 일측에는 각각 하부 컨베이어 오름 경사부(213), 상부 컨베이어 오름 경사부(2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부 컨베이어(220)에 오름 경사부가 형성됨으로써, 튀김물이 상기 오름 경사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튀김물에 잔존하는 기름이 흘러내려 기름조(100)에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면에는 튀김물 이송편(2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튀김물 이송편(211)이 구비됨으로써, 튀김물이 기름조(100)에서 정체하는 것을 방지하여, 일방향 이동을 촉진할 수 있고, 상기 튀김물이 하부 컨베이어 오름 경사부(213)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후방으로 낙하되어, 기름조(100)에 재침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컨베이어 오름 경사부(213)에서 배출되는 튀김물을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임시보관바트(미도시)가 상기 하부 컨베이어 오름 경사부(213)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임시보관바트(미도시)에 튀김 완료된 튀김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컨베이어 오름 경사부(213)의 일단은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30)는 구동모터(231), 상기 구동모터(231)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체인(232)과 스프라켓(2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설명된 예에 한정하지 않고, 기어, 체인, 벨트, 풀리, 타이밍 등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구성이 실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라켓(233)은 구동모터(231)의 회전 구동력을 하부 컨베이어 회전축(212)과 구동체인(232)에 전달하는 하부 컨베이어 회전축 스프라켓(233a), 상기 구동체인(232)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력을 상부 컨베이어 회전축(222)에 전달하는 상부 컨베이어 회전축 스프라켓(233b), 상기 하부 컨베이어 회전축 스프라켓(233a)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공회전 하는 종동 스프라켓(233c)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30)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 회전축 스프라켓(233a)과 상부 컨베이어 회전축 스프라켓(233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의 일단에 형성된 각각의 회전축(212,222)이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갖게 된다.
한편, 도 1, 도 2,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는 상기 이송부(2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200)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리프팅부(500)를 더 구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프팅부(500)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장치(10)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리프팅부(500)를 구동하기 위한 리프팅 구동샤프트(미도시)가 포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부(500)는 복수개의 컨베이어 프레임(240)의 상단에 구비된 리프팅부 결합편(241)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연결부(5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510)는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
Figure pat00002
” 형상의 연결부(510)가 상기 리프팅부 결합편(241)에 연결 또는 결합될 경우, 삼각형상을 갖게 된다. 이는 복수개의 연결부(510)와 리프팅부 결합편(241) 인장력과 압축력이 발생하게 되어, 연결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고, 리프팅부(500)가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장치(10)의 양측에 복수개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이송부(200)를 안정적으로 상하이동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리프팅부(500)에 의해 상기 이송부(200)를 상하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름조(100)로부터 상기 이송부(200)를 분리시킬 수 있고, 상기 기름조 (100)내부의 청소, 기름 교체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방법에 따라서, 다수의 링크부 또는 “X”자형 크로스링크가 구비된 리프팅부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열유조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유조부(300)는 상기 기름조(100)의 하면과 연통되어, 상기 기름조(100)의 내부에 수용된 튀김용 기름이 유입 저장될 수 있다. 이는 튀김용 기름이 가열되는 부분과 튀겨지는 부분이 구분됨으로써, 기름조의 상부와 하부에 대류현상이 발생되어, 튀김물이 더욱 균일하게 튀겨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기름배출관(600)이 연통되어, 튀김용 기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기름배출관(600)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개폐밸브(61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 배출관(60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바닥면에 튀김물의 찌꺼기가 적체되더라도, 개폐밸브(610)의 개폐에 의해 상기 튀김물의 찌꺼기가 기름과 함께 조속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방법에 따라서, 상기 기름 배출관(600)은 외부의 기름 정제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기름 정제부(미도시)에서 정제된 튀김용 기름을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튀김용 기름의 사용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유조부(300)는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유조부(300)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될 경우, 튀김물을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된 튀김 찌꺼기 또는 이물질 등이 하부로 자연스럽게 모아질 수 있게 되어, 상기 기름배출관(600)에 구비된 개폐밸브(610)의 개폐에 의해 상기 찌꺼기 또는 이물질이 기름과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는 기름의 산패 진행이 늦어지게 되어, 동일한 기름의 사용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상기 가열유조부(300) 하부 외측면에 코일(310)이 형성되는 구성은 상기 튀김용 기름을 유도가열에 의해 가열하기 위함이다. 이는 단시간에 목표 온도로 가열된 기름을 만들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310)은 여러 가닥의 구리선을 꼬고, 여기에 정련 피복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에나멜 바니쉬를 코팅한 워크코일(또는 유도코일)을 원형으로 감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310)이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은 뜨거운 튀김용 기름 속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코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내부에 코일 또는 별도의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경우와 비교해 구조적으로 간단히 제조될 수 있어,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코일(310)이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은 측면 가열을 통해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바닥면으로 유입되는 튀김 찌꺼기 또는 이물질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튀김용 기름에 아크릴아마이드, 벤조피렌 등의 발암물질이 생성되거나 잔존하지 않게 하고, 기름의 사용주기 또한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코일(310)은 가열유조부(300)의 하부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바닥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격형성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코일(310)이 가열유조부(300)의 바닥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바닥면과 코일(310)의 하단부 사이에 비교적 온도가 낮은 쿨존이 형성된다. 상기 쿨존은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므로, 기름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70~90℃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바닥면에 튀김물 찌꺼기가 유입되거나 적체되더라도, 상기 튀김물 찌꺼기는 쿨존에 위치하게 되어, 직접적으로 열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이는 튀김물 찌꺼기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의 산패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코일(310)의 하단부와 가열유조부(300)의 바닥면의 간격은 5~30 cm가 되도록 구성하여, 쿨존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상기 간격은 당업자에 따라서, 용이하게 가변 가능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방법에 따라서,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상부 외면과 상기 기름조(100)의 외측 하부면에는 튀김용 기름의 온도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손실방지부재(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멀티 컨베이어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는 상기 가열유조부(300)가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온도로 상기 기름조(100)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름조(100)는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된 튀김용 기름을 구획시키는 구획판(110)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가열유조부에 의해 가열되는 튀김용 기름을 구획하는 구획판을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이송부를 이동하는 튀김물이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될 수 있어, 사용자가 다양한 튀김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의한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는 튀김물이 튀김조리 되기 위한 튀김용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조(100); 상기 튀김물이 상기 기름조(100)의 내부에 침지되어 튀김조리 될 수 있도록 튀김물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부(200); 상기 기름조(100)의 하면과 연통되어, 상기 튀김용 기름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유조부(300); 상기 이송부(200)와 상기 가열유조부(3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튀김물이 튀겨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 상기 튀김물을 배출하여, 배출된 튀김물을 상기 이송부(200)에 투입하는 튀김물 공급부(700); 상기 제어부(400)와 상기 튀김물 공급부(700)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튀김 음식 주문에 대한 주문 레시피 정보를 송신하는 키오스크(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키오스크(800)는 사용자 또는 고객 접점에 배치되되, 튀김 음식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주문된 튀김 음식이 입력되는 입출력 유닛(미도시), 튀김 음식 메뉴 각각의 레시피 정보와 결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튀김 음식 주문에 대한 주문 레시피 정보를 상기 튀김물 공급부(700)와 상기 제어부(400)에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문 레시피 정보는 튀김 음식에 사용되는 튀김물 종류, 개수,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튀김물 공급부(700)는 복수개의 튀김물을 보관하되, 상기 주문 레시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튀김물 중 일부의 튀김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보관배출부(710); 상기 일부의 튀김물이 복수개의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튀김물 보관배출부(710)는 복수개의 튀김물(20)이 냉동 상태로 보관되되, 상기 키오스크(800)로부터 수신된 주문 레시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주문된 튀김 음식에 사용되는 일부 튀김물을 상기 투입부(720)를 향해 배출한다.
이후, 상기 투입부(720)는 상기 키오스크(800)로부터 수신된 주문 레시피 정보(조리시간)를 기반으로, 튀김 시간이 각기 다른 복수개의 이송부에 상기 보관배출부(710)로부터 공급된 튀김물을 일부의 이송부에 선택 투입한다.
일예로, 제 1 이송부(200a), 제 2 이송부(200b), 제 3 이송부(200c), 제 4 이송부(200d)의 튀김조리시간이 각각 90초, 150초, 270초, 360초로 구성되고, 상기 투입부(720)에 150초의 튀김조리시간을 갖는 주문 레시피 정보가 송신될 경우, 상기 투입부(720)는 제 2 이송부(200b)에 튀김물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부(720)에 150초와 270초의 튀김조리시간을 갖는 주문 레시피 정보가 송신될 경우, 상기 투입부(720)는 제 2 이송부(200b)와 제 3 이송부(200c)에 각각 튀김물을 투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상기 제 1 이송부(200a), 제 2 이송부(200b), 제 3 이송부(200c), 제 4 이송부(200d)의 튀김조리시간 내지 구동속도는 투입되는 튀김물의 종류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투입부(720)는 복수개의 이송부(200) 각각과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이송부(200)에 상기 키오스크(800)로부터 수신된 주문 레시피 정보(조리시간)를 송신함으로써, 제 1 이송부(200a), 제 2 이송부(200b), 제 3 이송부(200c), 제 4 이송부(200d)의 튀김조리시간이 상기 주문 레시피 정보(조리시간)에 대응하도록 이동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상기 투입부(720)는 복수개의 이송부(200)의 튀김 종료 여부를 모니터링 하여, 복수개의 이송부(200) 중 튀김이 완료된 일부의 이송부에 튀김물을 선택적으로 투입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투입부(720)에 의해 튀김물을 공급받은 일부의 이송부는 공급된 튀김물이 요구하는 조리시간을 충족 할 수 있는 이동속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부(200)에 연속적으로 튀김물을 투입하되,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튀김 조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튀김 종료는 기름에 침지되어 튀김조리 된 튀김물이 유면 위로 부상되는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이송부(200)를 통과한 튀김물을 회수하되, 상기 튀김물의 종류를 구분한 후, 지정된 바트(미도시)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튀김물 전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트(미도시)는 복수개로 구획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바트에서 튀김조리 완료된 튀김물을 종류별로 수납하도록 할 수 있고, 바트(미도시)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튀김물 전달부(미도시)가 자율주행에 의해 복수개의 바트 각각에 서로 다른 튀김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튀김물 전달부(미도시)는 관리서버에 의해 복수개의 이송부(200)에서 배출되는 튀김물의 배출 통태를 피드백 받은 후, 리얼타임에 튀김물을 회수하여, 상기 튀김물을 상기 바트(미도시)에 전달 할 수 있다. 상기 튀김물 전달부(미도시)는 튀김물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파지부를 수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400)는 상기 주문 레시피 정보를 기반으로 가열유조부(300)의 온도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선택된 이송부를 통과하는 튀김물의 조리온도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는 무인 주문 장치(키오스크)에 의해 사용자의 튀김 요리 주문을 입력받아, 상기 튀김 요리에 사용되는 튀김물을 선택적으로 이송부에 공급하여 튀김 작업의 무인화와 자동화가 실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에 의해, 튀김물의 배치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단시간 내에 서로 다른 튀김물을 연속적으로 튀김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20: 튀김물
200: 이송부
200a: 제 1 이송부
200b: 제 2 이송부
200c: 제 3 이송부
200d: 제 4 이송부
210: 하부 컨베이어
211: 튀김물 이송편
212: 하부 컨베이어 회전축
213: 하부 컨베이어 오름 경사부
220: 상부 컨베이어
222: 상부 컨베이어 회전축
223: 상부 컨베이어 오름 경사부
230: 구동부
231: 구동모터
232: 체인
233: 스프라켓
233a: 하부 컨베이어 회전축 스프라켓
233b: 상부 컨베이어 회전축 스프라켓
233c: 피동 스프라켓
240: 컨베이어 프레임
241: 리프팅부 결합편
300: 가열유조부
310: 코일
400: 제어부
500: 리프팅부
510: 연결바
600: 기름배출관
610: 개폐밸브
700: 튀김물 공급부
710: 보관배출부
720: 투입부
800: 키오스크

Claims (12)

  1. 튀김물이 튀김조리 되기 위한 튀김용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조(100);
    상기 튀김물이 상기 기름조(100)의 내부에 침지되어 튀김조리 될 수 있도록 튀김물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부(200);
    상기 기름조(100)의 하면과 연통되어, 상기 튀김용 기름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유조부(300);
    상기 이송부(200)와 상기 가열유조부(3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튀김물이 튀겨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2. 튀김물이 튀김조리 되기 위한 튀김용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조(100);
    상기 튀김물이 상기 기름조(100)의 내부에 침지되어 튀김조리 될 수 있도록 튀김물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이송부(200);
    상기 기름조(100)의 하면과 연통되어, 상기 튀김용 기름이 가열되도록 하는 가열유조부(300);
    상기 이송부(200)와 상기 가열유조부(3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튀김물이 튀겨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
    상기 튀김물을 배출하여, 배출된 튀김물을 상기 이송부(200)에 투입하는 튀김물 공급부(700); 상기 제어부(400)와 상기 튀김물 공급부(700)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튀김 음식 주문에 대한 주문 레시피 정보를 송신하는 키오스크(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4.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는 상기 이송부(2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200)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리프팅부(500)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5.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튀김물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하부 컨베이어(210);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부 컨베이어(220); 및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의 하면은 상기 튀김용 기름의 유면보다 낮게 배치되어, 상기 튀김물이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부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의 하부 사이에서 침지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의 상면에는 튀김물 이송편(2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30)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210)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220)의 일단에 형성된 각각의 회전축이 서로 다른 회전 방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조부(300)는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가열유조부(300)의 하부 외측면에는 코일(310)이 형성되어, 유도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조부(30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온도로 상기 기름조(100)를 가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조(100)는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된 튀김용 기름을 구획시키는 구획판(11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물 공급부(700)는 복수개의 튀김물을 보관하되, 상기 주문 레시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튀김물 중 일부의 튀김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710); 상기 일부의 튀김물이 복수개의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KR1020200067501A 2020-06-04 2020-06-04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KR10244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501A KR102449309B1 (ko) 2020-06-04 2020-06-04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501A KR102449309B1 (ko) 2020-06-04 2020-06-04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719A true KR20210150719A (ko) 2021-12-13
KR102449309B1 KR102449309B1 (ko) 2022-09-29

Family

ID=7883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501A KR102449309B1 (ko) 2020-06-04 2020-06-04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30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435Y1 (ko) * 1988-07-05 1991-03-04 김경택 튀김 기계
JPH114771A (ja) * 1997-04-22 1999-01-12 Sammy:Kk コンベヤー式揚げ物機
JP3065225U (ja) * 1999-06-25 2000-02-02 ニチワ電機株式会社 コンベヤ式フライヤ―
JP2003339555A (ja) * 2002-05-30 2003-12-02 Parchitec Inc フライヤー
KR100675131B1 (ko) * 2005-03-25 2007-02-01 권영신 전기히터를 이용한 자동연속 튀김장치
KR101345255B1 (ko) 2011-10-27 2013-12-26 (주)제이제이푸드 츄러스 제조용 유탕기
KR101493202B1 (ko) 2014-10-30 2015-02-13 정성주 자동 튀김장치
KR101939631B1 (ko) 2017-04-14 2019-01-22 (주)대한기계 핫도그 프라이어
KR102079649B1 (ko) * 2018-08-21 2020-04-07 롯데알미늄(주) 프라이 스테이션 및 자율 튀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34859C (en) * 1994-09-19 2001-09-18 Wajih Kanjo Female connection member for slackless drawbar assembl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435Y1 (ko) * 1988-07-05 1991-03-04 김경택 튀김 기계
JPH114771A (ja) * 1997-04-22 1999-01-12 Sammy:Kk コンベヤー式揚げ物機
JP3065225U (ja) * 1999-06-25 2000-02-02 ニチワ電機株式会社 コンベヤ式フライヤ―
JP2003339555A (ja) * 2002-05-30 2003-12-02 Parchitec Inc フライヤー
KR100675131B1 (ko) * 2005-03-25 2007-02-01 권영신 전기히터를 이용한 자동연속 튀김장치
KR101345255B1 (ko) 2011-10-27 2013-12-26 (주)제이제이푸드 츄러스 제조용 유탕기
KR101493202B1 (ko) 2014-10-30 2015-02-13 정성주 자동 튀김장치
KR101939631B1 (ko) 2017-04-14 2019-01-22 (주)대한기계 핫도그 프라이어
KR102079649B1 (ko) * 2018-08-21 2020-04-07 롯데알미늄(주) 프라이 스테이션 및 자율 튀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309B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1706B1 (en) Fryer device
US20100037782A1 (en) Fryer device with oil removal and conveyor system
US20170095118A1 (en) Apparatus for automated preparation of cooked food products
US5259302A (en) Automatic deep fry apparatus
US20120017773A1 (en) Fryer device with oil removal and conveyor system
KR20140013770A (ko) 자동 치킨 브레딩 장치
JP2021098123A (ja) 自動フライヤ
KR101804549B1 (ko)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US20090208621A1 (en) Cooking Appliance
KR102449309B1 (ko)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RU2450519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для жарки мучных изделий во фритюре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теста в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CN211430801U (zh) 食品炸制机
KR20090044190A (ko) 자동튀김장치
KR101418936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102535103B1 (ko) 무인 주문 자동 튀김장치
MX2010011180A (es) Dispositivo de coccion.
KR102348343B1 (ko) 면 삶는 장치
US7030341B2 (en) Cooking vessel
KR19980044155U (ko) 연속자동 식품 튀김기
JP6653625B2 (ja) フライヤーの搬送装置、及び、フライヤー
US20140272050A1 (en) Food cooking
CN217217982U (zh) 一种腐竹油炸自动化生产装置
CN210610825U (zh) 连续式油炸装置的卸料结构
EP2747620B1 (en) Food cooking
KR102028188B1 (ko) 식자재 자동 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