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631B1 - 핫도그 프라이어 - Google Patents

핫도그 프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631B1
KR101939631B1 KR1020170048770A KR20170048770A KR101939631B1 KR 101939631 B1 KR101939631 B1 KR 101939631B1 KR 1020170048770 A KR1020170048770 A KR 1020170048770A KR 20170048770 A KR20170048770 A KR 20170048770A KR 101939631 B1 KR101939631 B1 KR 10193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dog
conveyor
conveying
hot
sepa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057A (ko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17004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63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8Apparatus for baking in baking fat or oil, e.g. for making doughnuts
    • A21B5/085Apparatus for baking in baking fat or oil, e.g. for making doughnuts for applying oil to bake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60Deep-fried products, e.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핫도그 프라이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핫도그 프라이어는: 튀김유가 수용되는 저장조가 형성되는 본체; 저장조에 설치되는 이송 컨베이어;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도록 이송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에 설치되고, 핫도그가 튀김유에 침지되도록 핫도그를 잡아주는 이송 그리퍼; 이송 그리퍼에서 핫도그를 분리시키도록 이송 컨베이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핫도그 분리부재; 및 이송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핫도그 프라이어{HOTDOG FRIER}
본 발명은 핫도그 프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핫도그를 자동으로 튀길 수 있는 핫도그 프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점 등에서는 일정량의 핫도그를 구입한다. 튀김 용기에 튀김유를 넣고, 튀김유를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튀김유가 일정 온도로 가열되면, 핫도그를 넣고 튀긴다. 핫도그의 튀김이 완료되면 튀겨진 핫도그를 튀김 용기에서 꺼낸다.
그러나, 종래에는 핫도그를 수작업으로 튀김 용기에 넣고 빼내므로, 핫도그를 튀기는 작업이 번거러웠다. 또한, 핫도그의 튀김 시간이 달라짐에 따라 핫도그의 맛이 균일해지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684호(2013. 02. 15 공개, 발명의 명칭: 핫도그 손잡이바아 삽설지지 고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핫도그를 자동으로 튀길 수 있는 핫도그 프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는: 튀김유가 수용되는 저장조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조에 설치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고, 핫도그가 튀김유에 침지되도록 핫도그를 잡아주는 이송 그리퍼; 상기 이송 그리퍼에서 핫도그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핫도그 분리부재;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저장조에 배치되고, 핫도그를 튀기면서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튀김유에서 핫도그를 꺼내도록 이송되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핫도그 분리부재가 설치되는 제3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도그 분리부재는,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상부 분리부재; 및 상기 상부 분리부재에 대향되고,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하부 분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분리부재와 상기 하부 분리부재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 그리퍼는,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제1 설치부와, 상기 제1 설치부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1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제2 설치부와, 상기 제2 설치부에서 상기 제1 집게부와 맞대어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집게부와 함께 상기 핫도그를 잡아주는 제2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2 이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하측에는 튀김유에서 방사되는 열기를 차단하도록 열차단판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조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튀김유가 수용되는 연통조; 및 상기 연통조의 둘레부에 핫도그를 잡아주도록 고정되는 고정 그리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그리퍼는 상기 연통조의 둘레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연통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핑거부를 구비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연통조의 둘레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서 상기 제1 핑거부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핑거부와 함께 핫도그를 잡아주는 제2 핑거부를 구비하는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조는 상기 고정 그리퍼가 설치되는 제1 연통조; 및 상기 제1 연통조의 일측에 상기 제1 연통조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 연통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도그 프라이어는 상기 제2 연통조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통조의 튀김유가 유출입되도록 복수의 통공부가 형성되는 그릴 버켓; 및 상기 그릴 버켓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 공간이 복수의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그릴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컨베이어가 핫도그를 이송시키므로, 핫도그가 이송되면서 튀김유에 튀겨질 수 있다. 따라서, 다량의 핫도그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튀겨질 수 있다. 또한, 핫도그의 튀김 시간이 일정해짐에 따라 핫도그의 맛이 균일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컨베이어의 핫도그는 핫도그 분리부재에 걸림에 의해 이송 그리퍼에서 분리되므로, 핫도그가 튀겨진 후에 자동으로 이송 컨베이어에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그릴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제어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그릴 트레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핫도그 분리부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이송 컨베이어와 저장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연통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핫도그가 핫도그 분리부재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핫도그 프라이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그릴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제어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그릴 트레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핫도그 분리부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이송 컨베이어와 저장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연통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는 본체(110), 이송 컨베이어(120), 연결부재(130), 이송 그리퍼(140), 핫도그 분리부재(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본체(110)에는 튀김유가 수용되는 저장조(111)가 형성된다. 저장조(111)는 직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110)에는 핫도그(H: 도 8 참조)가 배출되도록 핫도그 배출부(117)가 형성된다. 핫도그 배출부(117)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저장조(111)의 하부에는 튀김유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118)가 설치된다. 히터(118)는 저장조(111)의 하부에 복수개 설치된다.
이송 컨베이어(120)는 저장조(111)에 설치된다. 이송 컨베이어(120)로는 저장조(111)의 양측에 배치되는 체인을 제시한다. 이송 컨베이어(120)에는 스프로켓(125)이 연결되고, 스프로켓(125)은 구동 모터부(126)에 의해 회전된다. 스프로켓(125)이 회전됨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120)가 무한궤도로 운행된다. 이송 컨베이어(120)가 핫도그(H)를 이송시키므로, 핫도그(H)가 이송되면서 튀김유에 튀겨질 수 있다. 따라서, 다량의 핫도그(H)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튀겨질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20)가 일정한 속도로 운행되므로, 핫도그(H)의 튀김 시간이 일정해짐에 따라 핫도그(H)의 맛이 균일해질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20)는 제1 컨베이어(121), 제2 컨베이어(122) 및 제3 컨베이어(123)를 포함한다.
제1 컨베이어(121)는 저장조(111)에 배치되고, 핫도그(H)를 튀기면서 이송시킨다. 제1 컨베이어(121)는 저장조(111)의 상측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121)는 튀김유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튀김유에서 떨어지게 설치된다.
제2 컨베이어(122)는 제1 컨베이어(121)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튀김유에서 핫도그(H)를 꺼내도록 이송된다. 제2 컨베이어(122)는 튀김유에서 핫도그(H)를 꺼내므로, 핫도그(H)에서 기름이 빠지게 된다. 제2 컨베이어(122)의 하부에는 저장조(111)를 향하여 아래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부(112)가 형성된다. 경사면부(112)의 하단부는 저장조(111)에 연결된다. 경사면부(112)에 떨어진 기름은 경사면부(112)에서 흘러내려 저장조(111)로 회수된다.
제3 컨베이어(123)는 제2 컨베이어(122)에 연결되고, 핫도그 분리부재(150)가 설치된다. 제3 컨베이어(123)는 제1 컨베이어(121)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3 컨베이어(123)의 핫도그(H)는 핫도그 분리부재(150)에 걸림에 의해 이송 그리퍼(140)에서 분리된다. 제3 컨베이어(123)의 하측에는 핫도그 배출부(117)가 배치된다. 이송 그리퍼(140)에서 분리된 핫도그(H)는 핫도그 배출부(117)로 떨어진다. 따라서, 핫도그(H)가 튀겨진 후에 자동으로 이송 컨베이어(12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도록 이송 컨베이어(120)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재(130)의 양측에 이송 컨베이어(120)가 연결된다. 연결부재(130)는 저장조(111)의 폭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이송 그리퍼(140)는 연결부재(130)에 설치되고, 핫도그(H)가 튀김유에 침지되도록 핫도그(H)를 잡아준다. 이송 그리퍼(140)는 연결부재(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된다. 이때, 이송 그리퍼(140)에는 핫도그(H)의 스틱이 삽입되고, 이송 그리퍼(140)는 핫도그(H)의 스틱을 탄성 가압한다.
이송 그리퍼(140)는 제1 이송 플레이트(141)와 제2 이송 플레이트(143)를 포함한다. 제1 이송 플레이트(141)는 연결부재(130)에 고정되는 제1 설치부(141a)와, 제1 설치부(141a)에서 이송 컨베이어(120)의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집게부(141b)를 구비된다. 제2 이송 플레이트(143)는 연결부재(130)에 고정되는 제2 설치부(143a)와, 제2 설치부(143a)에서 제1 집게부(141b)와 맞대어지도록 연장되고, 제1 집게부(141b)와 함께 핫도그(H)를 잡아주는 제2 집게부(143b)를 구비한다. 제1 집게부(141b)와 제2 집게부(143b)는 핫도그(H)의 스틱을 탄성적으로 잡아준다.
핫도그 분리부재(150)는 이송 그리퍼(140)에서 핫도그(H)를 분리시키도록 이송 컨베이어(12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핫도그 분리부재(150)가 이송 그리퍼(140)에 고정된 핫도그(H)를 분리시키므로,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해 핫도그(H)를 이송시키면서 계속적으로 핫도그(H)를 튀길 수 있다. 핫도그 분리부재(150)에 의해 분리된 핫도그(H)는 핫도그 배출부(117)에 배출된다.
핫도그 분리부재(150)는 상부 분리부재(151) 및 하부 분리부재(153)를 포함한다. 상부 분리부재(151)는 제3 컨베이어(123)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하부 분리부재(153)는 상부 분리부재(151)에 대향되고, 제3 컨베이어(123)의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상부 분리부재(151)와 하부 분리부재(153)는 원형봉 또는 다각봉 형태로 형성된다. 제3 컨베이어(123)의 상측과 하측에 상부 분리부재(151)와 하부 분리부재(153)가 설치되므로, 핫도그(H)가 제3 컨베이어(123)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부 분리부재(151)와 하부 분리부재(153)에 걸려 하측으로 떨어진다.
상부 분리부재(151)와 하부 분리부재(153)는 이송 컨베이어(12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3 컨베이어(123)에서 하나의 연결부재(130)에 고정된 복수의 핫도그(H)가 하나씩 상부 분리부재(151)와 하부 분리부재(153)에 걸려 떨어지게 되므로, 이송 컨베이어(120)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송 컨베이어(12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에는 속도조절부(미도시), 타이머(미도시), 히터 온도 조절부(미도시), 전원 스위치(미도시), 부저(미도시), 비상정지부(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속도조절부가 조작됨에 따라 이송 컨베이어(120)의 이송속도가 조절된다. 타이머에 의해 이송 컨베이어(120)의 운행 시간과 히터(118)의 가동 시간 등이 조절된다. 전원 스위치는 핫도그 프라이어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체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조작된다. 부저는 타이머에서 이송 컨베이어(120)의 운행 시간이 완료되면 소리를 발생한다. 비상정지부는 비상상황 발생시 핫도그 프라이어를 정지시키기 위해 조작된다.
제어부(160)는 제3 컨베이어(123)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어부(160)의 하측에는 튀김유에서 방사되는 열기를 차단하도록 열차단판부(163)가 설치된다. 열차단판부(163)가 열기를 차단하므로, 제어부(160)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10)는 연통조(113) 및 고정 그리퍼(170)를 더 포함한다.
연통조(113)는 저장조(1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튀김유가 수용된다. 연통조(113)의 하부에는 히터(118)가 설치된다. 고정 그리퍼(170)는 연통조(113)의 둘레부에 핫도그(H)를 잡아주도록 고정된다. 고정 그리퍼(170)에는 사용자가 직접 핫도그(H)를 끼워 넣는다.
연통조(113)는 고정 그리퍼(170)가 설치되는 제1 연통조(114)와, 제1 연통조(114)의 일측에 제1 연통조(114)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 연통조(115)를 포함한다. 제1 연통조(114)와 제2 연통조(115)는 저장조(111)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연통조(114)와 제2 연통조(115)에는 저장조(111)와 연통되므로, 튀김유의 온도가 모두 동일해진다.
고정 그리퍼(170)는 제1 고정 플레이트(171)와 제2 고정 플레이트(173)를 포함한다. 제1 고정 플레이트(171)는 연통조(113)의 둘레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171a)와, 제1 고정부(171a)에서 연통조(113)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핑거부(171b)를 구비한다. 제2 고정 플레이트(173)는 연통조(113)의 둘레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173a)와, 제2 고정부(173a)에서 제1 핑거부(171b)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제1 핑거부(171b)와 함께 핫도그(H)를 잡아주는 제2 핑거부(173b)를 구비한다.
핫도그 프라이어는 그릴 버켓(180)과 그릴 트레이(190)를 더 포함한다.
그릴 버켓(180)은 제2 연통조(115)에 배치되고, 제2 연통조(115)의 튀김유가 유출입되도록 복수의 통공부가 형성된다.
그릴 트레이(190)는 그릴 버켓(180)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 공간이 복수의 구획부재(193)에 의해 구획된다. 구획부재(193)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바에 의해 그릴 트레이(19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193a)는 도 4와 같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망(net)에 의해 그릴 트레이(19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그릴 트레이(190)의 양측에는 튀김유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잡이(195)가 형성된다. 복수의 구획부재(193)는 그릴 트레이(190)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릴 트레이(190)에서 구획부재(193)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돈까스 등이 투입된다. 구획된 공간에서 돈까스 등이 튀겨지므로, 돈까스 등이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릴 트레이(190)에서 돈까스를 튀기지 않을 경우에는 그릴 트레이(190)를 그릴 버켓(180)에서 분리한다. 따라서, 그릴 버켓(180)에서는 돈까스보다 큰 치킨과 같은 음식물을 튀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도그 프라이어에서 핫도그가 핫도그 분리부재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송 그리퍼(140)에 핫도그 프라이어를 끼워 넣는다. 이송 그리퍼(140)는 핫도그 프라이어를 잡은 상태로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해 천천히 이송된다. 이송 컨베이어(120)가 운행됨에 따라 핫도그(H)가 저장조(111)의 튀김유에 침지된 상태로 이송되면서 튀겨진다.
핫도그(H)가 저장조(111)에서 튀겨진 후 제2 컨베이어(122)로 이송된다. 제2 컨베이어(122)가 이송됨에 따라 핫도그(H)가 저장조(111)의 튀김유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핫도그(H)가 튀김유에서 나온 상태로 이송되므로, 핫도그(H)에서 튀김유가 빠지게 된다. 제2 컨베이어(122)의 핫도그(H)에서 떨어지는 튀김유는 경사면부(112)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 후 저장조(111)에 회수된다.
제2 컨베이어(122)에서 튀김유가 배출된 핫도그(H)는 제3 컨베이어(123)로 이송된다. 제3 컨베이어(123)의 핫도그(H)가 핫도그 분리부재(150)에 걸림에 따라 아래로 떨어진다.
이때, 상부 분리부재(151)와 하부 분리부재(153)가 제3 컨베이어(123)의 폭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상부 분리부재(151)와 하부 분리부재(153)에는 핫도그(H)가 하나씩 순차적으로 걸리게 된다. 따라서, 핫도그(H)가 이송 그리퍼(140)에서 분리될 때에 제3 컨베이어(123)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123)에서 분리된 핫도그(H)는 핫도그 배출부(117)를 통해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본체 111: 저장조
112: 경사면부 113: 연통조
114: 제1 연통조 115: 제2 연통조
117: 핫도그 배출부 118: 히터
120: 이송 컨베이어 121: 제1 컨베이어
122: 제2 컨베이어 123: 제3 컨베이어
125: 스프로켓 126: 구동 모터부
130: 연결부재 140: 이송 그리퍼
141: 제1 이송 플레이트 141a: 제1 설치부
141b: 제1 집게부 143: 제2 이송 플레이트
143a: 제2 설치부 143b: 제2 집게부
150: 핫도그 분리부재 151: 상부 분리부재
153: 하부 분리부재 160: 제어부
163: 열차단판부 170: 고정 그리퍼
171: 제1 고정 플레이트 171a: 제1 고정부
171b: 제1 핑거부 173: 제2 고정 플레이트
173a: 제2 고정부 173b: 제2 핑거부
180: 그릴 버켓 190: 그릴 트레이
193: 구획부재 195: 손잡이
H: 핫도그

Claims (10)

  1. 튀김유가 수용되는 저장조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조에 설치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고, 핫도그가 튀김유에 침지되도록 핫도그를 잡아주는 이송 그리퍼;
    상기 이송 그리퍼에서 핫도그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핫도그 분리부재; 및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저장조에 배치되고, 핫도그를 튀기면서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튀김유에서 핫도그를 꺼내도록 이송되는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핫도그 분리부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제3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핫도그 분리부재는,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상부 분리부재; 및
    상기 상부 분리부재에 대향되고, 상기 제3 컨베이어의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하부 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분리부재와 상기 하부 분리부재는 복수의 핫도그가 하나씩 걸려 떨어지도록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프라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그리퍼는,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제1 설치부와, 상기 제1 설치부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1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제2 설치부와, 상기 제2 설치부에서 상기 제1 집게부와 맞대어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집게부와 함께 상기 핫도그를 잡아주는 제2 집게부를 구비하는 제2 이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프라이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컨베이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하측에는 튀김유에서 방사되는 열기를 차단하도록 열차단판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프라이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조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튀김유가 수용되는 연통조; 및
    상기 연통조의 둘레부에 핫도그를 잡아주도록 고정되는 고정 그리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프라이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그리퍼는,
    상기 연통조의 둘레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연통조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핑거부를 구비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연통조의 둘레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서 상기 제1 핑거부와 나란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핑거부와 함께 핫도그를 잡아주는 제2 핑거부를 구비하는 제2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프라이어.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조는,
    상기 고정 그리퍼가 설치되는 제1 연통조; 및
    상기 제1 연통조의 일측에 상기 제1 연통조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 연통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프라이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통조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통조의 튀김유가 유출입되도록 복수의 통공부가 형성되는 그릴 버켓; 및
    상기 그릴 버켓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고, 내부 공간이 복수의 구획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그릴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도그 프라이어.
KR1020170048770A 2017-04-14 2017-04-14 핫도그 프라이어 KR10193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70A KR101939631B1 (ko) 2017-04-14 2017-04-14 핫도그 프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70A KR101939631B1 (ko) 2017-04-14 2017-04-14 핫도그 프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57A KR20180116057A (ko) 2018-10-24
KR101939631B1 true KR101939631B1 (ko) 2019-01-22

Family

ID=6413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770A KR101939631B1 (ko) 2017-04-14 2017-04-14 핫도그 프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719A (ko) 2020-06-04 2021-12-13 이재철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275B1 (ko) * 2019-01-17 2020-11-09 주식회사 하림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CN110833079B (zh) * 2019-12-14 2021-11-12 徐州果姿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防油溅油炸池结构
CN113973858B (zh) * 2020-11-16 2022-08-12 杭州味泰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生产设备
KR102582697B1 (ko) * 2021-10-19 2023-09-25 (주)아리엘상사 전기 튀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748Y1 (ko) * 2006-02-06 2006-04-24 이명복 이중 전기튀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6409A (en) * 1991-11-19 1994-01-04 Hughes Aircraft Company Autotuning combiner stabilized against frequency drift
KR20090044190A (ko) * 2007-10-31 2009-05-07 조성필 자동튀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748Y1 (ko) * 2006-02-06 2006-04-24 이명복 이중 전기튀김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특1996-0000139호(1996.01.25.) 1부.*
인터넷 개인블로그 (웹주소: https://blog.naver.com/cooking_yogi/220524387263, 2015.10.3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719A (ko) 2020-06-04 2021-12-13 이재철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57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631B1 (ko) 핫도그 프라이어
US2853937A (en) Apparatus for frying potatoes, fish, and the like
US4694742A (en) Deep fat fryer
US6558724B1 (en) Cooking by enrobing through controlled curtain spillage
US50333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deep fried food portions
KR200391045Y1 (ko) 자동식 튀김기
CN210095447U (zh) 一种炖煮油炸装置
US6495182B1 (en) Loader for conveyorized cooking apparatus
CN209995972U (zh) 一种茶点自动制作机
JP7058598B2 (ja) 自動フライヤ
US5714190A (en) Three-stage barbeque cooker and a method of operating same
CN211298227U (zh) 环形传输油炸装置
JP4761841B2 (ja) 物品処理機
KR19990083030A (ko) 튀김 장치
KR101023663B1 (ko) 자동 구이 장치
JP6795755B2 (ja) 加熱処理装置
KR100205961B1 (ko) 은행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WO2013157073A1 (ja) 食品の味付け装置及び味付き食品の製造装置
KR101770803B1 (ko) 튀김장치
WO2015066032A2 (en) Vertical broiler
JP2739996B2 (ja) 冷凍野菜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449309B1 (ko) 멀티 컨베이어 자동 튀김 장치
KR950014957B1 (ko) 감자칩(potato chip)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200310022Y1 (ko) 닭고기 자동 절단기
KR102516426B1 (ko) 핫도그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