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275B1 -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 Google Patents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275B1
KR102176275B1 KR1020190006073A KR20190006073A KR102176275B1 KR 102176275 B1 KR102176275 B1 KR 102176275B1 KR 1020190006073 A KR1020190006073 A KR 1020190006073A KR 20190006073 A KR20190006073 A KR 20190006073A KR 102176275 B1 KR102176275 B1 KR 102176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w materials
conveyor belt
freez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415A (ko
Inventor
권석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림
Priority to KR102019000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2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62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6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 B65B25/064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poul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는 원재료들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원재료들을 급속 동결시키는 냉동부, 상기 냉동부로부터 냉동된 상기 원재료들을 전달 받아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전달 받은 냉동된 상기 원재료들을 최종 제품 형태로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원재료를 상기 냉동부로 이송하는 투입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투입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배치되는 무릎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APPARATUS FOR FREEZING CHICKEN USING INDIVIDUAL FRESH FROZEN}
본 발명은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닭고기의 육질과 신선도를 유지한 채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하여 급속 냉동하면서도,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닭고기 냉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 저장기술의 발달은 농수축산물 등 식품의 저장기간 및 유통기간이 대폭 연장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또한 저온보존이 가능한 각종 육류가공식품 냉동기술이 인류의 식생활을 윤택하게 하고 있는바, 이는 바로 냉장기술의 발전 덕분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사람들이 섭취하는 식품의 화학성분은 주로 수분, 회분,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식품에는 수분이 60 ~ 80% 까지 함유되어 있어서 이 수분이 식품의 품질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바, 식품이 함유하는 수분은 결합수(結合水)와 자유수(自由水)로 되어 있고, 이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곡류, 콩류 등은 결합수가 대부분이며 자유수는 그 함유율이 적으나 이 자유수는 식품의 내부에서 자유로이 유동하는 물이기 때문에 미생물의 번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일반적으로 날것이 변질하기 쉬운 것은 바로 자유수 때문이다.
식품의 냉각, 동결, 저장과 같은 저온 조작은 식품에 포함된 수분의 존재 상태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바, 식품의 동결 목적을 간단히 말한다면 식품을 0℃ 이하 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식품 중의 자유수를 동결시킴으로써, 식품의 산소에 의한 변질, 미생물이나 곰팡이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인바, 이때 동결되는 것은 주로 동물성 식품이며 그 보존 기간은 대체적으로 온도관리에 의해서 좌우된다.
식품을 냉동시킨 후 해동후에 냉동전과 최대한 같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급속냉동이 필요한바, 급속냉동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냉동대상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대 빙결정 생성대(-1 ~ -5도)를 단 시간에 통과시켜 빙결정의 크기를 작게 해 줌으로서 해동 후 고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닭고기의 경우, 북채(닭다리), 윙 봉 등의 뼈가 포함된 절단육 또는 가슴살, 안심, 정육 등의 뼈가 없는 부분육 채로 냉동되어 포장 후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절단육 또는 부분육 각각의 원재료들의 냉동 품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0942034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 품질이 향상되고, 생산 효율이 향상된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는 원재료들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원재료들을 급속 동결시키는 냉동부, 상기 냉동부로부터 냉동된 상기 원재료들을 전달 받아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전달 받은 냉동된 상기 원재료들을 최종 제품 형태로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원재료를 상기 냉동부로 이송하는 투입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투입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배치되는 무릎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닭고기 냉동 장치는 상기 원재료들이 투입되고, 상기 원재료들을 상기 제1 이송부로 전달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제1 상승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는 상기 원재료들을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원재료들 상방으로 이송하는 상승부, 및 상기 원재료를 상기 제1 이송부로 낙하시켜 전달하는 투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릎 스위치는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원재료들이 집하되는 투입 가이드, 상기 투입 가이드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원재료들을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원재료들을 상기 제1 속도 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이송하는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릎 스위치는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의 상기 상승부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무릎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릎 스위치는 지면으로부터 30 내지 80cm(센티미터)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의 상기 투입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는 상기 냉동기로부터 발생하는 냉기를 차단하기 위한 냉기 차단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닭고기 냉동 장치는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냉동 닭고기를 얻을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높고, 처리 과정이 자동화 및 효율화 되어, 도계부터 최종 제품 생산 까지 일련의 과정인 원 웨이 시스템(one way system)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닭고기 냉동 장치는 작업자의 손이 아닌 무릎으로 조작할 수 있는 무릎 스위치를 포함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닭고기 냉동 장치의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닭고기 냉동 장치의 제1 이송부(2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이송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2 무릎 스위치(SW2a)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닭고기 냉동 장치를 사용하여,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닭고기 냉동 장치는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 제1 이송부(200), 냉동부(10), 제2 이송부(300), 제3 이송부(400), 제2 상승 컨베이어부(500), 자동 분류 포장부(600) 및 제4 이송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는 냉동 대상이 되는 원재료들을 투입하는 투입부(도 2의 110 참조), 상승부 (도 2의 120 참조), 및 상기 원재료를 상기 제1 이송부(200)로 전달하는 투하부(도 2의 13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재료는 북채(닭다리), 윙 봉 등의 뼈가 포함된 절단육 또는 가슴살, 안심, 정육 등의 뼈가 없는 부분육일 수 있다. 도계 후 24시간 내에, 크기별 규격을 분류한 후 육계를 절단하여 북채(닭다리) 윙 봉 등의 뼈가 포함된 절단육 또는 가슴살, 안심, 정육 등의 뼈가 없는 부분육을 상기 원재료로써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의 상기 투입부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원재료는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고, 상기 투하부를 통해 낙하되어 상기 제1 이송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는 제1 무릎 스위치(SW1a, SW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상기 제1 이송부(200)는 투입 가이드(210),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 및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200)는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 하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 무릎 스위치(SW2a, SW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 가이드(210)는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원재료들을 집하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투입 가이드(210)에 집하된 상기 원재료들을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에 적절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해 놓을 수 있다.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를 통해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로 전달되고,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는 상기 원재료들을 냉동에 적합한 간격을 갖도록 조정하여 상기 냉동부(10)에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3 및 4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상기 냉동부(10)는 냉각코일유니트(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냉풍을 이용하여 식품 등의 제품을 급속으로 동결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설비로서, 프리저(freezer)라고도 한다. 상기 냉동부(10)는 스파이럴 프리저(spiral freezer)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동부(10)는 나선형 이동을 위해 나선형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스파이럴 프리저(spiral freezer)로써, 단위 동결기의 다수가 연결되어 터널형태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그 하부로는 직선형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터널 프리저(tunnel freezer)에 비해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고 입출구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 프리저는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부에 식품 등을 급속 동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코일유니트(도면상에서는 3세트가 도시됨)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코일유니트의 상측에 위치하여 팬모터에 연결된 송풍팬이 -35도 이하 예를 들면, 약 -40도로 상기 스파이럴 프리저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원재료들을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으로부터의 팬 바람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며 냉각하는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동부(10)는 3세트의 유니트 쿨러를 포함하고, 냉매를 직접 냉동배관에 순환시키는 냉매 직접 팽창식 스파이럴 프리저일 수 있다.
상기 냉동부(10)는 스파이럴 프리저로, 상기 원재료가 투입되면, 나선형 회전 상승하면서 냉각되는 구조로 입구(도3의 12참조)는 하측(1층) 출구(도 5의 14 참조)는 상측(2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300)는 제1 배출 컨베이어 벨트(310), 제1 가이드(320), 글레이징 컨베이어 벨트(330), 글레이징 처리부(340), 제2 가이드(350) 및 제2 배출 컨베이어 벨트(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부(10)를 통과하여 냉동된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제2 이송부(300)의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 벨트(310)를 통해 상기 냉동부(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원재료는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 벨트(310)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제1 가이드(320)를 통과하여, 상기 글레이징 컨베이어 벨트(330)로 이동된다.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글레이징 컨베이어 벨트(33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글레이징 처리부(340)가 분사하는 찬 물에 의해 표면에 얼음박막이 형성될 수 있다. (glazing; 물코팅) 상기 얼음박막이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제2 가이드(350) 및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 벨트(360)를 통해 상기 제3 이송부(400)로 이송된다.
상기 제3 이송부(400)는 선택부(410), 상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20) 및 하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410)는 상기 제2 이송부(300)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원재료들을 상기 상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20) 또는 상기 하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30) 중 어느 하나로 이송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20)는 상기 하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30)의 위쪽(즉 2층에 설치됨)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30)는 상기 상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20)의 아래쪽(즉 1층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410)는 투입되는 상기 원재료의 종류 및 출하하고자 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상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20) 또는 상기 하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30)로 이동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410)를 회전시켜, 상기 원재료가 상기 상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2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제2 상승 컨베이어부(500) 및 상기 자동 분류 포장부(600)를 거쳐, 설정된 용량만큼의 묶음으로 자동 포장된 후, 상기 제4 이송부(70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410)를 회전시켜, 상기 원재료가 상기 하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3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하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30)에 의해 상기 하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30)의 끝단 배치되는 벌크 포장 작업대(440)로 이송되어, 작업자가 상기 원재료들을 필요한 용량만큼 벌크 포장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승 컨베이어부(500)는 상기 선택부(410)를 통해 이동된 상기 원재료를 상기 자동분류 포장부(600)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 분류 포장부(600)는 상기 원재료를 미리 설정된 량으로 분배하여 포장지를 이용하여 개별 포장할 수 있다. 상기 제4 이송부(700)는 제1 컨베이어 벨트(710), 가이드(720), 제2 컨베이어 벨트(730), 검사부(740) 및 작업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상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20) 및 상기 제2 상승 컨베이어부(500)를 통해 상기 자동분류 포장부(600)로 이송되고, 상기 자동분류 포장부(600)에서 상기 원재료들을 미리 설정된 량으로 분배하여 포장지를 이용하여 개별 포장하고, 개별 포장된 상기 제품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710), 상기 가이드(720)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730)를 통해 상기 작업대(750)로 옮겨지며, 상기 작업대(750)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품에 대한 최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730)에는 상기 제품에 금속의 유입여부를 판별하거나 중량 미달여부를 판별하는 검사부(740)가 설치되어, 상기 제품의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닭고기 냉동 장치의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는 투입부(110), 상승부(120) 및 투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02)는 원재료를 상기 투입부(110)로부터 상기 상승부(120)를 통해 상기 투하부(130)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는 상기 상승부(12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무릎 스위치(SW1a, SW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부(110)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112)의 양 측면으로는 측면 가이드(1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부(11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이 이루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인 제3 방향(D3)으로 상승하는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상기 개구(112)를 가로지르는 가이드 봉(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봉(116)에 인접하여 상승 측면 가이드(114b)가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투입부(110)의 상기 개구(112)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에 상기 원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 가이드(114a)에 의해, 상기 원재료들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투입된 상기 원재료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승부(120)를 지나 상기 투입부(13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에는 복수의 격벽(103)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원재료가 이송되면서 적정량으로 분배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103)들이 형성하는 각각의 공간에 상기 원재료들이 위치한 채로 상기 상승부(120)를 통과하므로, 상기 투하부(130)를 통해 투하되는 상기 원재료들은 적정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가 상승하는 초입 부분인 상기 투입부(110)와 상기 상승부(120)의 인접 부분에서는 상기 원재료들이 역방향으로 흘러 내릴 수 있는데, 상기 상승 측면 가이드(114b) 및 상기 가이드 봉(116)이 상기 원재료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투하부(130)에는 투하 개구(132)가 형성되고, 상기 원재료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투하 가이드(1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릎 스위치(SW1a, SW1b)는 상기 상승부(120)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1 무릎 스위치(SW1a, SW1b)를 눌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의 작동, 중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릎 스위치(SW1a, SW1b)는 지면으로부터 무릎 높이(h)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이 아닌 무릎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재료를 손으로 직접 다루는 작업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무릎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무릎 스위치(SW1a, SW1b)를 눌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의 작동, 중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릎 높이(h)는 작업자의 키와 작업화의 굽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무릎 높이(h)는 약 30cm 에서 80cm 사이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닭고기 냉동 장치의 제1 이송부(2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이송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을 참조하면, 상기 원재료들(R)은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의 상기 투하부(130)를 통해 상기 투입 가이드(210)에 투하되어 집하될 수 있다. 상기 투입 가이드(210)에 집하된 상기 원재료들(R)은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 상에 서로 적절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원재료들(R)은 제1 방향(D1)으로 제1 간격(g1)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 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WK)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는 제1 속도(V1)로 상기 원재료들(R)을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의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한 제2 방향(D2), 즉 폭 방향의 양쪽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상의 상기 원재료들(R)이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는 상기 제1 속도(V1)보다 느린 제2 속도(V2)로 상기 원재료들(R)을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속도(V2)는 상기 제1 속도(V1)보다 느리므로, 상기 원재료들(R)은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로 이동하면서 서로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에서는, 상기 원재료들(R)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제1 간격(g1) 보다 작은 제2 간격(g2)으로 배열 될 수 있다.
상기 냉동부(10)에 투입되는 상기 원재료들(R) 간의 간격이 너무 넓은 경우, 투입량이 줄어들어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상기 냉동부(10)의 가동 시간이 늘어나며, 같은 량에 대한 작업 시간이 늘어나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상기 냉동부(10)에 투입되는 상기 원재료들(R) 간의 간격이 너무 좁은 경우, 각각의 상기 원재료들(R)이 서로 접촉하거나, 서로 영향을 미쳐, 상기 냉동부(10) 내에서 냉기가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냉동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며, 원재료들이 뭉쳐 하나의 덩어리로 냉동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분리하는 경우, 원재료의 파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WK) 입장에서도, 상기 원재료들(R) 간격을 좁게 배열 하는 것보다 넓게 배열하는 것이 용이한 작업이며, 간격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 피로도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의 하부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제2 무릎 스위치(SW2a, SW2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업자(WK)는 작업 공간(WKS)에 서서 상기 원재료(R)의 배열 작업을 하면서, 상기 제2 무릎 스위치(SW2a, SW2b)를 눌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의 작동, 중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릎 스위치(SW2a, SW2b)는 지면으로부터 무릎 높이(h)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이 아닌 무릎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재료를 손으로 직접 다루는 작업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무릎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무릎 스위치(SW1a, SW1b)를 눌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의 작동, 중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릎 높이(h)는 작업자의 키와 작업화의 굽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무릎 높이(h)는 약 30cm 에서 80cm 사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 및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는 적절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의 상기 컨베이어 벨트(102)의 작동여부를 통해, 상기 투입 가이드(210)에 집하되는 상기 원재료(R)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작업자(WK)는 상기 원재료(R)의 배열 작업 동안 무릎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릎 스위치(SW2a, SW2b)를 눌러, 상기 투입 가이드에 집하되는 상기 원재료(R)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의 상기 제2 방향(D2), 즉 폭 방향의 양쪽에는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 상의 상기 원재료들(R)이 이탈되지 않도록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2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의 상기 제2 방향(D2), 즉 폭 방향의 양쪽에는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 상의 상기 원재료들(R)이 이탈되지 않도록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23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 하부에는 냉기 차단판(22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차단판(226)은 냉동기(10)로부터 발생하는 냉기가 상기 작업자(WK)에 이르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작업자(WK)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제2 무릎 스위치(SW2a)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무릎 스위치(SW2a)는 몸체(20), 스위치(26) 및 스위치 탄성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릎 스위치(SW2a)는 제1 및 제2 고정부들(22, 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0)는 상기 닭고기 냉동 장치를 구성하는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20)는 제1 이송부의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를 지지하는 프레임 다리(224)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20)에는 상측에 돌출된 고리 형태의 상기 제1 고정부(22)가 형성되고, 하측에 돌출된 고리 형태의 상기 제2 고정부(24)가 형성되어, 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다리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26)는 상기 몸체(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26)를 상기 몸체 방향으로 눌러 필요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예를 들면, 제1 상승 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 벨트(도 2의 102 참조)를 작동 또는 정지 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26)는 예를 들면, 한번 누름으로써 온(on)되고, 다시 한번 누름으로써 오프(off)되는 푸쉬 버튼 스위치 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탄성부(28)는 상기 스위치 상에 반구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탄성부(28)는 작업자의 무릎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등의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제2 무릎 스위치(SW2b) 및 도 2의 제1 무릎 스위치(SW1a, SW1b)는 상기 제2 무릎 스위치(SW2a)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1의 닭고기 냉동 장치를 사용하여,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닭고기 냉동 방법은 원재료 투입 단계(S100), 원재료 집하 단계(S200), 원재료 1차 배열 단계(S300), 원재료 2차 배열 단계(S400), 개별 신선 냉동 단계 (S500), 글레이징 단계(S600) 및 포장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재료 투입 단계(S100)에서는, 도계 후 24시간 내에, 크기별 규격을 분류한 후 육계를 절단하여 북채(닭다리) 윙 봉 등의 뼈가 포함된 절단육 또는 가슴살, 안심, 정육 등의 뼈가 없는 부분육을 원재료로써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의 투입부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원재료 집하 단계(S200)에서는, 상기 원재료가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고,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100)의 투하부를 통해 낙하되어 제1 이송부(200)의 투입 가이드(210)에 집하될 수 있다.
상기 원재료 1차 배열 단계(S300)에서는 상기 투입 가이드(210)에 집하된 상기 원재료들이 상기 제1 이송부(200)의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 상에 1차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재료들은 서로 제1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는 제1 속도로 상기 원재료들을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제1 또는 제2 무릎 스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 및 중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재료 2차 배열 단계(S400)에서는 상기 원재료들이 상기 제1 이송부(200)의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에서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로 이동하면서 2차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재료들은 서로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30)는 상기 제1 속도 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상기 원재료들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개별 신선 냉동 단계(S500)에서는, 상기 원재료가 냉동부(10)를 통과하며 냉동될 수 있다. 상기 원재료는 상기 제1 및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220, 230)를 거치며 최적의 배열 상태로 상기 냉동부(10)에 투입되며, 상기 냉동부(10)는 상기 원재료들을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하여 냉동 할 수 있다.
개별 신선 냉동이란, 신선육 상태에서 원재료 가공처리 후, -40도 에서 상기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 30-50 분 내로 급속 동결 처리하여, 육질과 신섬함이 도계시와 동일한 상태로 그대로 살아있는 프리미엄 냉동제품으로, 해동 후 조리 시, 닭고기 고유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냉동 방법을 말한다.
상기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하여 냉동된 상기 원재료는 장기 보관하여도 냉장육, 또는 일반 동결 제품 대비 품질 변화가 적어, 신선도, 안전성이 뛰어나며, 적어도 3개월 이상 품질이 유지됨을 확인 하였다.
상기 글레이징 단계(S600)에서는 냉동된 상기 원재료들이 제2 이송부의 제1 배출 컨베이어 벨트(310) 및 제1 가이드(320)를 통해 글레이징 컨베이어 벨트(33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글레이징 컨베이어 벨트(330)에 의해 이송되면서, 글레이징 처리부(340)가 분사하는 찬 물에 의해 표면에 얼음박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 단계(S700)에서는, 상기 얼음박막이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제2 가이드(350),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 벨트(360) 및 선택부(410)를 통해 상기 제3 이송부(400)의 상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20)로 이송되고, 제2 상승 컨베이어부(500)를 거쳐 자동분류 포장부(6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자동분류 포장부(60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량으로 분배하여 포장지를 이용하여 개별 포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얼음박막이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원재료들은 상기 제2 가이드(350),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 벨트(360) 및 상기 선택부(410)를 통해 상기 제3 이송부(400)의 하측 이송 컨베이어 벨트(430)를 거쳐 개별 소포장이 아닌 벌크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닭고기 냉동 방법은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냉동 닭고기를 얻을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높고, 처리 과정이 자동화 및 효율화 되어, 도계부터 최종 제품 생산 까지 일련의 과정인 원 웨이 시스템(one way system)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닭고기 냉동 장치는 작업자의 손이 아닌 무릎으로 조작할 수 있는 무릎 스위치를 포함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 및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냉동부 100: 제1 상승 컨베이어부
200: 제1 이송부 210: 투입 가이드
220: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 230: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
300: 제2 이송부 400: 제3 이송부
500: 제2 상승 컨베이어부 600: 자동 분류 포장부
700: 제4 이송부

Claims (7)

  1. 원재료들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원재료들을 급속 동결시키는 냉동부;
    상기 냉동부로부터 냉동된 상기 원재료들을 전달 받아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전달 받은 냉동된 상기 원재료들을 최종 제품 형태로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원재료를 상기 냉동부로 이송하는 투입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투입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 배치되는 무릎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는 글레이징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글레이징 컨베이어 벨트 상에 배치되고, 분사 방식으로 상기 원재료들의 표면에 수분을 공급하여 상기 원재료의 표면에 얼음박막을 형성하는 글레이징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는 상기 제2 이송부로부터 상기 얼음박막이 형성된 상기 원재료들을 최종 제품 형태로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들이 투입되고, 상기 원재료들을 상기 제1 이송부로 전달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제1 상승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는
    상기 원재료들을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원재료들 상방으로 이송하는 상승부; 및
    상기 원재료를 상기 제1 이송부로 낙하시켜 전달하는 투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 스위치는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원재료들이 집하되는 투입 가이드;
    상기 투입 가이드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원재료들을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원재료들을 상기 제1 속도 보다 느린 제2 속도로 이송하는 제2 투입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스위치는 상기 제1 투입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승 컨베이어부의 상기 상승부의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무릎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 스위치는 지면으로부터 30 내지 80cm(센티미터)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의 상기 투입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는 상기 냉동부로부터 발생하는 냉기를 차단하기 위한 냉기 차단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신선 냉동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KR1020190006073A 2019-01-17 2019-01-17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KR102176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073A KR102176275B1 (ko) 2019-01-17 2019-01-17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073A KR102176275B1 (ko) 2019-01-17 2019-01-17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15A KR20200089415A (ko) 2020-07-27
KR102176275B1 true KR102176275B1 (ko) 2020-11-09

Family

ID=7189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073A KR102176275B1 (ko) 2019-01-17 2019-01-17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2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652A (ja) * 1999-10-21 2001-04-24 Inax Corp 膝スイッチ
JP2003011917A (ja) * 2001-07-03 2003-01-15 Showa Tansan Co Ltd 冷凍あるいは冷蔵食品の製造装置
JP2010195585A (ja) 2009-02-26 2010-09-09 Igun Kim 連続冷却移送装置
KR101873515B1 (ko) * 2017-10-13 2018-07-31 농업회사법인 합자회사 꿈앤들 신선 식품용 급속 질소 냉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34B1 (ko) 2008-06-11 2010-02-11 주식회사 탑그린테크 식품류의 급속동결을 위한 다층구조의 터널식 동결방법 및그에 사용되는 냉매
KR101939631B1 (ko) * 2017-04-14 2019-01-22 (주)대한기계 핫도그 프라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652A (ja) * 1999-10-21 2001-04-24 Inax Corp 膝スイッチ
JP2003011917A (ja) * 2001-07-03 2003-01-15 Showa Tansan Co Ltd 冷凍あるいは冷蔵食品の製造装置
JP2010195585A (ja) 2009-02-26 2010-09-09 Igun Kim 連続冷却移送装置
KR101873515B1 (ko) * 2017-10-13 2018-07-31 농업회사법인 합자회사 꿈앤들 신선 식품용 급속 질소 냉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15A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0760C (en) Apparatus and method of freezing food
CA2086551C (en) Combination cryogenic and mechanical freezer apparatus
US5765381A (en) Multitier crossflow cryogenic freezer and method of use
EP016740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or freezing
WO2001044733A1 (en) System for thermal treating of food products
US6713107B2 (en) Airflow distribution systems for food processors
SE0602126L (sv) Förfarande för automatisk frammatning och uppvärmning av i kylt eller fryst tillstånd lagrade portionsenheter och matautomat för genomförande av förfarandet
US3402568A (en) Quick freezing of food products
US20070169630A1 (en) Thermal processing chamber and conveyor belt for use therein and method of processing product
US25275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zing materials
KR102176275B1 (ko)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장치
KR102176261B1 (ko)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방법 및 장치
JP2008504824A (ja) 順次式冷却方法及び装置
US2363037A (en) Art of preserving valuable elements of organic materials in dry storage
KR102176270B1 (ko)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방법 및 장치
WO2020149300A1 (ja) 食材冷凍システムおよび冷凍食材の製造方法
US6006536A (en) System for multi-pass thermal treating of food products
EP2734047B1 (en) Meat conditioner
GB2457509A (en) Conveyer freezer
KR100280696B1 (ko) 급속 동결 시스템
CN110619717A (zh) 一种生鲜、冻品自动售卖系统、配送系统
RU2056016C1 (ru) Аппарат для заморажива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20220282899A1 (en) Sequential cooling tunnel and method of use
CN210836367U (zh) 一种生鲜、冻品的自动售卖系统和配送、销售系统
RU506U1 (ru) Ли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а быстрозамороженных штучных мясопродуктов из туш 1-15 суточных ягня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