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495A -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495A
KR20210149495A KR1020200066623A KR20200066623A KR20210149495A KR 20210149495 A KR20210149495 A KR 20210149495A KR 1020200066623 A KR1020200066623 A KR 1020200066623A KR 20200066623 A KR20200066623 A KR 20200066623A KR 20210149495 A KR20210149495 A KR 2021014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rite operation
signal
electronic devi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9495A/ko
Priority to US17/017,294 priority patent/US11264062B2/en
Priority to CN202110023764.2A priority patent/CN113764005A/zh
Publication of KR2021014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11C7/1009Data masking during input/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6Write circuits, e.g. I/O line write dri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6Address interface arrangements, e.g. address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Abstract

라이트동작에서 마스킹신호 및 데이터를 토대로 감지신호 및 내부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회로; 및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를 토대로 입력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토대로 구동데이터 및 상기 변환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로 데이터저장회로에 출력하는 입력데이터생성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ELECTRONIC DEVICE FOR EXECUTING A WRITE OPERATION}
본 발명은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 중 반도체장치는 컨트롤러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셀어레이에 저장하여 라이트동작을 수행한다. 반도체장치는 라이트동작을 수행할 때 컨트롤러로부터 마스킹신호를 인가받아 인가받은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가 셀어레이에 저장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장치는 라이트동작에서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하여 컨트롤러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 중 원하는 데이터만을 셀어레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라이트동작에서 마스킹신호 및 데이터를 토대로 감지신호 및 내부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회로; 및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를 토대로 입력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토대로 구동데이터 및 상기 변환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로 데이터저장회로에 출력하는 입력데이터생성회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트동작에서 마스킹신호 및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의 패턴을 감지하여 상기 데이터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비교회로; 상기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마스킹신호로부터 내부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 및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를 토대로 입력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변환회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내부마스킹신호를 활성화시켜 데이터마스킹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앞선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를 변환하여 셀어레이에 저장함으로써, 라이트동작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시스템에 포함된 전자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비교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에 포함된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에 포함된 라이트드라이버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에 포함된 입력데이터생성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에서 수행되는 라이트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의 기재에 있어서, "기 설정된"이라는 용어는 프로세스나 알고리즘에서 매개변수를 사용할 때 매개변수의 수치가 미리 결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매개변수의 수치는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스나 알고리즘이 시작할 때 설정되거나 프로세스나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구간 동안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직접 연결되어" 및 "직접 접속되어"라는 기재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지 않고 직접 연결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로직하이레벨" 및 "로직로우레벨"은 신호들의 로직레벨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로직하이레벨"을 갖는 신호는 "로직로우레벨"을 갖는 신호와 구별된다. 예를 들어, 제1 전압을 갖는 신호가 "로직하이레벨"을 갖는 신호에 대응할 때 제2 전압을 갖는 신호는 "로직로우레벨"을 갖는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로직하이레벨"은 "로직로우레벨"보다 큰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신호들의 로직레벨들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로직레벨 또는 반대의 로직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직하이레벨을 갖는 신호는 실시예에 따라서 로직로우레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고, 로직로우레벨을 갖는 신호는 실시예에 따라서 로직하이레벨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시스템(100)은 컨트롤러(110) 및 전자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제1 컨트롤핀(110_1), 제2 컨트롤핀(110_2) 및 제3 컨트롤핀(110_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제1 장치핀(120_1), 제2 장치핀(120_2) 및 제3 장치핀(120_3)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는 제1 컨트롤핀(110_1) 및 제1 장치핀(120_1) 사이에 연결된 제1 전송라인(130_1)을 통해 커맨드어드레스(CA)를 전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제2 컨트롤핀(110_2) 및 제2 장치핀(120_2) 사이에 연결된 제2 전송라인(130_2)을 통해 데이터(DQ)를 전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제3 컨트롤핀(110_3) 및 제3 장치핀(120_3) 사이에 연결된 제3 전송라인(130_3)을 통해 마스킹신호(DM)를 전자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전자장치(120)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가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저장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마스킹신호(DM)를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동작제어회로(205),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 및 데이터저장회로(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반도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컨트롤러(110)부터 커맨드어드레스(CA), 데이터(DQ) 및 마스킹신호(DM)를 수신하여 라이트동작에 포함된 노멀라이트동작 및 데이터마스킹동작 등 다양한 내부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데이터마스킹동작을 활성화시키고, 앞선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도 2의 D_IN)를 변환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회로(2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앞선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도 2의 D_IN)를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입력데이터(도 2의 D_IN)를 생성하는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입력데이터(도 2의 D_IN)를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회로(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입력받은 데이터(DQ)를 저장하는 노멀라이트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입력받은 데이터(DQ)가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저장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앞선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도 2의 D_IN)를 변환하여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라이트동작에서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입력받은 데이터(DQ)가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저장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라이트동작을 수행할 때 노멀라이트동작 및 데이터마스킹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20)는 컨트롤러(110)로부터 128비트 수를 가지는 데이터(DQ<1:128>) 및 8비트 수를 가지는 마스킹신호(DM<1:8>)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비활성화된 제1 마스킹신호(DM<1>)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제1 데이터(DQ<1:16>)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입력받은 제1 데이터(DQ<1:16>)를 저장하는 노멀라이트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비활성화된 제2 마스킹신호(DM<2>)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제2 데이터(DQ<17:32>)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입력받은 제2 데이터(DQ<17:32>)가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저장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앞선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도 2의 D_IN)를 변환하여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120)는 활성화된 제3 마스킹신호(DM<3>)를 입력받을 때 입력받은 제3 데이터(DQ<33:48>)가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저장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20)는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내부마스킹신호(도 2의 IDM)를 활성화시켜 데이터마스킹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앞선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도 2의 D_IN)를 변환하여 셀어레이(도 2의 223, 225)에 저장함으로써, 라이트동작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전자장치(12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120)는 어드레스디코더(201), 커맨드디코더(203), 동작제어회로(205), 라이트드라이버(211),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 및 데이터저장회로(221)를 포함할 수 있다.
어드레스디코더(201)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토대로 로우어드레스(RADD) 및 칼럼어드레스(CADD)를 생성할 수 있다. 어드레스디코더(201)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디코딩하여 로우어드레스(RADD) 및 칼럼어드레스(CADD)를 생성할 수 있다.
커맨드디코더(203)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토대로 라이트신호(WT)를 생성할 수 있다. 커맨드디코더(203)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디코딩하여 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트신호(WT)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트신호(WT)를 생성시키기 위한 커맨드어드레스(CA)의 로직레벨조합과 커맨드어드레스(CA)의 비트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동작제어회로(205)는 데이터비교회로(207) 및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제어회로(205)는 데이터(DQ), 마스킹신호(DM) 및 라이트신호(WT)를 토대로 감지신호(DET) 및 내부마스킹신호(IDM)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신호(DET)는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내부마스킹신호(IDM)는 입력받은 데이터(DQ)가 셀어레이(223, 225)에 저장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동작제어회로(205)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감지신호(DET) 및 내부마스킹신호(IDM)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회로(205)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감지신호(DET) 및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회로(205)는 라이트동작에서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감지신호(DET)를 비활성화시키고,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데이터비교회로(207)는 마스킹신호(DM) 및 데이터(DQ)를 토대로 감지신호(DET)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비교회로(207)는 라이트동작에서 마스킹신호(DM)가 비활성화될 때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을 감지하여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감지신호(DET)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라이트동작은 제1 라이트동작 및 제2 라이트동작을 포함하고, 제2 라이트동작은 제1 라이트동작이 수행된 다음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비교회로(207)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과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을 비교할 때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감지신호(DET)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데이터(DQ)의 기 설정된 패턴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비교회로(207)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로직레벨이 제1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반전된 로직레벨일 때 감지신호(DET)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데이터비교회로(207)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레벨조합 '00110011'을 가지는 데이터(DQ)를 입력받고, 제2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레벨조합 '11001100'을 가지는 데이터(DQ)를 입력받을 때, 감지신호(DET)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데이터비교회로(207)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감지신호(DET)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데이터비교회로(207)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감지신호(DET)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데이터비교회로(207)는 라이트동작에서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감지신호(DET)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데이터비교회로(207)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마스킹신호(DM)로부터 내부마스킹신호(IDM)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라이트동작에서 마스킹신호(DM) 또는 감지신호(DET)가 활성화될 때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내부마스킹신호(IDM)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라이트동작에서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라이트드라이버(211)는 라이트신호(WT) 및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토대로 데이터(DQ)로부터 구동데이터(WD_O)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트신호(WT)는 라이트드라이버(211)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라이트드라이버(211)는 라이트동작에서 내부마스킹신호(IDM)가 활성화될 때 입력받은 데이터(DQ)가 셀어레이(223, 225)에 저장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구동데이터(WD_O)의 생성을 차단할 수 있다. 라이트드라이버(211)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데이터변환회로(215),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 및 입력데이터저장회로(219)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내부마스킹신호(IDM), 감지신호(DET) 및 구동데이터(WD_O)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하여 변환데이터(D_CON)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구동데이터(WD_O) 및 변환데이터(D_CON)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을 생성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선택데이터(D_SEL)를 래치하여 입력데이터(D_IN)를 생성하고, 입력데이터(D_IN)를 래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입력데이터(D_IN)를 데이터저장회로(221)에 출력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비활성화되는 내부마스킹신호(IDM) 및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구동데이터(WD_O)를 입력데이터(D_IN)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활성화되는 내부마스킹신호(IDM) 및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하여 변환데이터(D_CON)를 생성하고, 변환데이터(D_CON)를 입력데이터(D_IN)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라이트동작에서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비활성화되는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구동데이터(WD_O)를 입력데이터(D_IN)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라이트동작에서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하여 변환데이터(D_CON)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라이트동작에서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을 데이터(DQ)의 로직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을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로직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조합이 '00110011'이고,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로직레벨조합이 '11001100'일 때,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래치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조합을 '11001100'으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비활성화되는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데이터(D_CON)로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활성화되는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을 데이터(DQ)의 로직레벨로 변환하여 변환된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데이터(D_CON)로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활성화되는 내부마스킹신호(IDM)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을 데이터(DQ)의 로직레벨로 변환하여 변환된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데이터(D_CON)로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는 라이트동작에서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구동데이터(WD_O) 및 변환데이터(D_CON)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는 라이트동작에서 감지신호(DET)가 활성화될 때 변환데이터(D_CON)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는 감지신호(DET)가 비활성화될 때 구동데이터(WD_O)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비활성화되는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구동데이터(WD_O)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설정된 패턴일 때 활성화되는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변환데이터(D_CON)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는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비활성화되는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구동데이터(WD_O)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입력데이터저장회로(219)는 라이트동작에서 선택데이터(D_SEL)를 래치하여 래치된 선택데이터(D_SEL)를 입력데이터(D_IN)로 출력하고, 입력데이터(D_IN)를 래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저장회로(219)는 입력데이터(D_IN)를 데이터저장회로(221)에 출력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저장회로(219)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제1 셀어레이(223) 및 제2 셀어레이(22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라이트동작에서 로우어드레스(RADD), 칼럼어드레스(CADD) 및 라이트신호(WT)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를 셀어레이(223, 225)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로우어드레스(RADD) 및 칼럼어드레스(CADD)에 대응되는 제1 셀어레이(223)에 입력데이터(D_IN)를 저장하고, 제2 라이트동작에서 로우어드레스(RADD) 및 칼럼어드레스(CADD)에 대응되는 제2 셀어레이(225)에 입력데이터(D_IN)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데이터비교회로(207)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비교회로(207)는 래치데이터생성회로(231), 비교개시신호생성회로(233) 및 감지신호생성회로(235)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데이터생성회로(231)는 라이트동작에서 데이터(DQ)를 래치하여 래치된 데이터(DQ)를 래치데이터(D_LAT)로 출력할 수 있다. 래치데이터생성회로(231)는 인버터들(237_1~237_3)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237_1)는 데이터(DQ)를 반전버퍼링할 수 있다. 인버터(237_2)는 인버터(237_1)의 출력신호를 반전버퍼링할 수 있다. 인버터(237_3)는 인버터(237_1)의 출력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래치데이터(D_LAT)로 출력할 수 있다.
비교개시신호생성회로(233)는 라이트동작에서 활성화된 라이트신호(WT) 및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비교개시신호(INIT)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비교개시신호생성회로(233)는 라이트동작에서 활성화된 라이트신호(WT) 및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비교개시신호(INIT)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감지신호생성회로(235)는 라이트동작에서 비교개시신호(INIT)가 활성화될 때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과 래치데이터(D_LAT)의 패턴을 비교하여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감지신호(DET)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감지신호생성회로(235)는 라이트동작에서 비교개시신호(INIT)가 비활성화될 때 감지신호(DET)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래치데이터(D_LAT)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비교개시신호(INIT)가 활성화될 때 제1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로직레벨조합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DQ)의 기 설정된 패턴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신호생성회로(235)는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로직레벨이 래치데이터(D_LAT)의 반전된 로직레벨일 때 감지신호(DET)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감지신호생성회로(235)가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레벨조합 '11001100'을 가지는 래치데이터(D_LAT)를 입력받고, 로직레벨조합 '00110011'을 가지는 데이터(DQ)를 입력받을 때, 감지신호(DET)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감지신호(DET)가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될 때 마스킹신호(DM)를 반전시켜 내부마스킹신호(IDM)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라이트동작에서 감지신호(DET) 또는 마스킹신호(DM)가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될 때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내부마스킹신호(IDM)를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로직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된 감지신호(DET)에 의해 마스킹신호(DM)를 그대로 출력하여 내부마스킹신호(IDM)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된 감지신호(DET)에 의해 마스킹신호(DM)를 반전시켜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라이트동작에서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로직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된 감지신호(DET)에 의해 마스킹신호(DM)를 그대로 출력하여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인버터들(241_1, 241_2) 및 전달게이트(243_1)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241_1)는 감지신호(DET)가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될 때 인에이블되고, 감지신호(DET)가 로직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될 때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인버터(241_1)는 감지신호(DET)가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될 때 마스킹신호(DM)를 반전버퍼링하여 내부마스킹신호(IDM)를 생성할 수 있다. 인버터(241_2)는 감지신호(DET)를 반전버퍼링할 수 있다. 전달게이트(243_1)는 감지신호(DET)가 로직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될 때 마스킹신호(DM)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라이트드라이버(21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드라이버(211)는 데이터마스킹회로(251) 및 구동데이터생성회로(253)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마스킹회로(251)는 라이트동작에서 활성화된 라이트신호(WT) 및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드라이버제어신호(WD_CTR)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드라이버제어신호(WD_CTR)는 구동데이터생성회로(253)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데이터마스킹회로(251)는 내부마스킹신호(IDM)가 활성화될 때 드라이버제어신호(WD_CTR)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데이터생성회로(253)는 라이트동작에서 드라이버제어신호(WD_CTR)가 활성화될 때 데이터(DQ)로부터 구동데이터(WD_O)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데이터생성회로(253)는 드라이버제어신호(WD_CTR)가 비활성화될 때 구동데이터(WD_O)의 생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은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데이터변환회로(215),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 및 입력데이터저장회로(219)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라이트동작에서 내부마스킹신호(IDM)가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될 때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을 데이터(DQ)의 로직레벨로 변환하여 변환데이터(D_CON)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라이트동작에서 내부마스킹신호(IDM)가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될 때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을 반전시켜 데이터(DQ)의 로직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을 반전시켜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로직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조합이 '00110011'이고,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로직레벨조합이 '11001100'일 때,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래치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조합을 반전시켜 로직레벨조합 '11001100'으로 변환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라이트동작에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비활성화되는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데이터(D_CON)로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활성화되는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을 반전시켜 데이터(DQ)의 로직레벨로 변환하여 변환데이터(D_CON)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활성화되는 내부마스킹신호(IDM) 토대로 입력데이터(D_IN)의 로직레벨을 반전시켜 데이터(DQ)의 로직레벨로 변환하여 변환데이터(D_CON)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변환회로(215)는 인버터(261_1)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261_1)는 내부마스킹신호(IDM)가 로직하이레벨로 활성화될 때 인에이블되고, 내부마스킹신호(IDM)가 로직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될 때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인버터(261_1)는 입력데이터(D_IN)를 반전버퍼링하여 변환데이터(D_CON)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는 멀티플렉서(262_1)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262_1)는 감지신호(DET)를 선택신호로 하여 감지신호(DET)가 로직하이레벨일 때 변환데이터(D_CON)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로 출력하고, 감지신호(DET)가 로직로우레벨일 때 구동데이터(WD_O)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데이터저장회로(219)는 인버터들(261_2~261_4)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261_2)는 선택데이터(D_SEL)를 반전버퍼링할 수 있다. 인버터(261_3)는 인버터(261_2)의 출력신호를 반전버퍼링할 수 있다. 인버터(261_4)는 인버터(261_2)의 출력신호를 반전버퍼링하여 입력데이터(D_IN)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120)에서 수행되는 라이트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은 제1 및 제2 라이트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제2 라이트동작은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닐 때 전자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디코더(201)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로직레벨조합 'RA1'을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1'을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를 생성한다. 커맨드디코더(203)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레벨조합을 가지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라이트신호(WT)를 활성화시킨다. 동작제어회로(205)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레벨조합 'D1'을 가지는 데이터(DQ)를 래치하여 래치데이터(D_LAT)를 생성한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레벨조합 'D1'을 가지는 구동데이터(WD_O)를 래치하여 입력데이터(D_IN)를 생성한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로직레벨조합 'RA1'을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1'을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에 대응되는 제1 셀어레이(233)에 입력데이터(D_IN)를 저장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어드레스디코더(201)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로직레벨조합 'RA2'를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2'를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를 생성한다. 커맨드디코더(203)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레벨조합을 가지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라이트신호(WT)를 활성화시킨다. 동작제어회로(205)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로우레벨('L')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인가받아 로직레벨조합 'D2'를 가지는 데이터(DQ)와 로직레벨조합 'D1'을 가지는 래치데이터(D_LAT)를 비교한다. 동작제어회로(205)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닌 경우 감지신호(DET) 및 내부마스킹신호(IDM)를 로직로우레벨('L')로 비활성화시킨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비활성화된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로직레벨조합 'D2'를 가지는 구동데이터(WD_O)를 선택하여 입력데이터(D_IN)로 출력한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로직레벨조합 'RA2'를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2'를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에 대응되는 제2 셀어레이(235)에 입력데이터(D_IN)를 저장한다.
도 9 및 도 10은 제1 및 제2 라이트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제2 라이트동작은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전자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디코더(201)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로직레벨조합 'RA1'을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1'을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를 생성한다. 커맨드디코더(203)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레벨조합을 가지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라이트신호(WT)를 활성화시킨다. 동작제어회로(205)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레벨조합 'D1'을 가지는 데이터(DQ)를 래치하여 래치데이터(D_LAT)를 생성한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레벨조합 'D1'을 가지는 구동데이터(WD_O)를 래치하여 입력데이터(D_IN)를 생성한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로직레벨조합 'RA1'을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1'을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에 대응되는 제1 셀어레이(233)에 입력데이터(D_IN)를 저장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어드레스디코더(201)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로직레벨조합 'RA2'를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2'를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를 생성한다. 커맨드디코더(203)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레벨조합을 가지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라이트신호(WT)를 활성화시킨다. 동작제어회로(205)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로우레벨('L')로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인가받아 로직레벨조합 'D2'를 가지는 데이터(DQ)와 로직레벨조합 'D1'을 가지는 래치데이터(D_LAT)를 비교한다. 동작제어회로(205)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감지신호(DET) 및 내부마스킹신호(IDM)를 로직하이레벨('H')로 활성화시킨다. 라이트드라이버(221)는 활성화된 내부마스킹신호(IDM)를 입력받아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한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활성화된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토대로 제1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되고 로직레벨조합 'D1'을 가지는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하여 로직레벨조합 'D2'를 가지는 변환데이터(D_CON)를 생성한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활성화된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변환데이터(D_CON)를 선택하여 입력데이터(D_IN)로 출력한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로직레벨조합 'RA2'를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2'를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에 대응되는 제2 셀어레이(235)에 입력데이터(D_IN)를 저장한다.
도 11 및 도 12는 제1 및 제2 라이트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제2 라이트동작은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전자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디코더(201)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로직레벨조합 'RA1'을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1'을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를 생성한다. 커맨드디코더(203)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레벨조합을 가지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라이트신호(WT)를 활성화시킨다. 동작제어회로(205)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레벨조합 'D1'을 가지는 데이터(DQ)를 래치하여 래치데이터(D_LAT)를 생성한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제1 라이트동작에서 로직레벨조합 'D1'을 가지는 구동데이터(WD_O)를 래치하여 입력데이터(D_IN)를 생성한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로직레벨조합 'RA1'을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1'을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에 대응되는 제1 셀어레이(233)에 입력데이터(D_IN)를 저장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어드레스디코더(201)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로직레벨조합 'RA2'를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2'를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를 생성한다. 커맨드디코더(203)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레벨조합을 가지는 커맨드어드레스(CA)를 입력받아 라이트신호(WT)를 활성화시킨다. 동작제어회로(205)는 제2 라이트동작에서 로직하이레벨('H')로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인가받아 감지신호(DET)를 로직로우레벨('L')로 비활성화시키고, 내부마스킹신호(IDM)를 로직하이레벨('H')로 활성화시킨다. 라이트드라이버(221)는 활성화된 내부마스킹신호(IDM)를 입력받아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한다. 입력데이터생성회로(213)는 비활성화된 감지신호(DET)를 토대로 로직로우레벨조합을 가지는 구동데이터(WD_O)를 선택하여 입력데이터(D_IN)로 출력한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로직레벨조합 'RA2'를 가지는 로우어드레스(RADD) 및 로직레벨조합 'CA2'를 가지는 칼럼어드레스(CADD)에 대응되는 제2 셀어레이(235)에 입력데이터(D_IN)를 저장한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120)에서 수행되는 라이트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전자장치(120)는 컨트롤러(110)에서 라이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레벨조합을 가지는 커맨드어드레스(CA), 데이터(DQ) 및 마스킹신호(DM)를 인가받아 라이트동작을 수행한다.(S101) 동작제어회로(205)는 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S111 단계에서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킨다. 동작제어회로(205)는 비활성화된 마스킹신호(DM)를 입력받을 때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과 래치데이터(도 3의 D_LAT)의 패턴을 비교한다.(S103, S105) 데이터비교회로(207)는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과 래치데이터(도 2의 D_LAT)의 패턴을 비교할 때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감지신호(DET)를 활성화시키고,(S109) 기 설정된 패턴이 아닌 경우 감지신호(DET)를 비활성화시킨다.(S107)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209)는 마스킹신호(DM) 또는 감지신호(DET)가 활성화될 때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킨다.
다음으로, 라이트드라이버(211)는 내부마스킹신호(IDM)가 활성화될 때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한다.(S111) 데이터변환회로(215)는 내부마스킹신호(IDM)가 활성화될 때 앞선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하여 변환데이터(D_CON)를 생성한다.(S113) 데이터선택입력회로(217)는 감지신호(DET)가 활성화될 때 변환데이터(D_CON)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로 출력하고, 감지신호(DET)가 비활성화될 때 구동데이터(WD_O)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D_SEL)로 출력한다.(S115)
마지막으로, 입력데이터저장회로(219)는 선택데이터(D_SEL)를 래치하여 입력데이터(D_IN)를 생성하고, 입력데이터(D_IN)를 래치하여 저장한다. 데이터저장회로(221)는 입력데이터(D_IN)를 셀어레이(223,225)에 저장함으로써 라이트동작은 종료된다.(S117)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20)는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데이터(DQ)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내부마스킹신호(IDM)를 활성화시켜 데이터마스킹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앞선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입력데이터(D_IN)를 변환하여 셀어레이(233, 235)에 저장함으로써, 라이트동작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절감할 수 있다
100: 전자시스템 110: 컨트롤러
120: 전자장치 201: 어드레스디코더
203: 커맨드디코더 205: 동작제어회로
207: 데이터비교회로 209: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
211: 라이트드라이버 213: 입력데이터생성회로
215: 데이터변환회로 217: 데이터선택입력회로
219: 입력데이터저장회로 221: 데이터저장회로
223: 제1 셀어레이 225: 제2 셀어레이

Claims (20)

  1. 라이트동작에서 마스킹신호 및 데이터를 토대로 감지신호 및 내부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회로; 및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를 토대로 입력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토대로 구동데이터 및 상기 변환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로 데이터저장회로에 출력하는 입력데이터생성회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신호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컨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전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동작은 제1 라이트동작 및 제2 라이트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라이트동작은 상기 제1 라이트동작이 수행된 다음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제1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패턴과 상기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패턴을 비교할 때 상기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활성화되는 전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로직레벨이 상기 제1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반전된 로직레벨일 때 활성화되는 전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는 상기 마스킹신호 또는 상기 감지신호가 활성화될 때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전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회로는 상기 감지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마스킹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구동데이터를 생성하는 라이트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데이터생성회로는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를 토대로 상기 입력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변환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변환회로;
    상기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구동데이터 및 상기 변환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선택입력회로; 및
    상기 선택데이터를 래치하여 상기 입력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데이터를 래치하는 입력데이터저장회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회로는 상기 내부마스킹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입력데이터의 로직레벨을 상기 데이터의 로직레벨로 변환하는 전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동작은 제1 라이트동작 및 제2 라이트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라이트동작은 상기 제1 라이트동작이 수행된 다음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데이터변환회로는 상기 제1 라이트동작에서 래치된 상기 입력데이터의 로직레벨을 상기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로직레벨로 변환하는 전자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택입력회로는 상기 감지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변환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 구동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동작은 제1 라이트동작 및 제2 라이트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라이트동작은 상기 제1 라이트동작이 수행된 다음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데이터저장회로는 상기 제1 라이트동작에서 로우어드레스 및 칼럼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제1 셀어레이에 상기 입력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2 라이트동작에서 상기 로우어드레스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제2 셀어레이에 상기 입력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장치.
  13. 라이트동작에서 마스킹신호 및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데이터의 패턴을 감지하여 상기 데이터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일 때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비교회로;
    상기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마스킹신호로부터 내부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 및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를 토대로 입력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변환회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신호는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컨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전자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비교회로는 상기 마스킹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인지 감지하는 전자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동작은 제1 라이트동작 및 제2 라이트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라이트동작은 상기 제1 라이트동작이 수행된 다음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제1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패턴과 상기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패턴을 비교할 때 상기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패턴이 상기 기 설정된 패턴인 경우 활성화되는 전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제2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로직레벨이 상기 제1 라이트동작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의 반전된 로직레벨일 때 활성화되는 전자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는 상기 마스킹신호 또는 상기 감지신호가 활성화될 때 데이터마스킹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전자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신호생성회로는 상기 감지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마스킹신호를 반전시켜 상기 내부마스킹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회로는 상기 내부마스킹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입력데이터의 로직레벨을 상기 데이터의 로직레벨로 변환하는 전자장치.
KR1020200066623A 2020-06-02 2020-06-02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KR20210149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23A KR20210149495A (ko) 2020-06-02 2020-06-02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US17/017,294 US11264062B2 (en) 2020-06-02 2020-09-10 Electronic devices for executing a write operation
CN202110023764.2A CN113764005A (zh) 2020-06-02 2021-01-08 用于执行写入操作的电子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623A KR20210149495A (ko) 2020-06-02 2020-06-02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495A true KR20210149495A (ko) 2021-12-09

Family

ID=7870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623A KR20210149495A (ko) 2020-06-02 2020-06-02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64062B2 (ko)
KR (1) KR20210149495A (ko)
CN (1) CN113764005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1690B2 (ja) * 2000-05-29 2008-07-2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532510B1 (ko) 2004-05-04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입 동작시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 영역에 기입되는데이터를 마스킹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마스킹 방법
JP2009016004A (ja) * 2007-07-09 2009-01-22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制御方法
KR20160076889A (ko) * 2014-12-23 2016-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64005A (zh) 2021-12-07
US20210375334A1 (en) 2021-12-02
US11264062B2 (en)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6838B1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30097576A (ko) 제어신호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모듈 및 반도체시스템
TW201702889A (zh) 輸出就緒-繁忙訊號的半導體記憶體裝置及包括其的記憶體系統
KR20210149495A (ko) 라이트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US20080042684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n-die termination of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US8854912B2 (en) Semiconductor module including modul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4464224A (zh) 减轻行锤击的存储器装置和使用其的半导体系统
KR100914294B1 (ko) 오토 리프래쉬 제어 장치
KR20140146351A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763835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KR2008002034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58876B1 (ko) 리프레쉬 모드를 갖는 반도체메모리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40041750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블록선택정보를 이용한 뱅크전압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56441A (ko) 반도체 메모리의 뱅크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50093077A (ko) 반도체 장치
KR101013459B1 (ko)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US570880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888992B2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voltage
US1113304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 memory system having the same
US20230088153A1 (en) Semiconductor system for performing an active operation using an active period control method
KR100546170B1 (ko) 내부 어드레스신호 발생장치
US7558146B2 (en) Internal address generator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244355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20058261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메모리 셀 블록 활성화 제어방법
KR20170069510A (ko) 테스트 모드 설정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