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718A - 반사재 - Google Patents

반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718A
KR20210145718A KR1020217019545A KR20217019545A KR20210145718A KR 20210145718 A KR20210145718 A KR 20210145718A KR 1020217019545 A KR1020217019545 A KR 1020217019545A KR 20217019545 A KR20217019545 A KR 20217019545A KR 20210145718 A KR20210145718 A KR 2021014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resin
reflector
layer
pref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 야마시타
히사오 다지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470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01662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516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490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516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490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516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49062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4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7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2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 G02B5/0841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양호한 반사 특성을 갖고,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했을 때에 휘도 불균일의 발생이나, 반사재의 표층에 함유하는 입자의 탈리를 억제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의 박형화에 대응 가능한 반사재로서, 폴리올레핀 수지 및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B) 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 (A) 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하고, 또한,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층 (C) 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 (A) ∼ (C) 중 어느 1 개 이상의 층이 공극을 갖는 반사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사재
본 발명은 반사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사재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조명 기구나 조명 간판 등 많은 분야에서 반사재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분야에 있어서 장치의 대형화 및 표시 성능의 고도화가 진행되어, 조금이라도 많은 광을 액정에 공급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게 되었고, 반사재에 대해서도, 보다 한층 우수한 광 반사성 (간단히 「반사성」 이라고도 한다) 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반사재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반사 필름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반사재의 재료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 분자 사슬 중에 포함되는 방향 고리가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해지는 자외선에 의해, 필름이 열화, 황변하여, 반사 필름의 광 반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충전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필름 내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켜, 광 산란 반사를 발생시킨 반사재 (특허문헌 2 참조) 나, 폴리올레핀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기재층과,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 구성된 적층 구성의 폴리올레핀 수지 광 반사체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반사 필름은,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열화나 황변의 문제가 적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비상용성의 수지의 적어도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 수축률이 저감된 2 축 연신 반사 시트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이 반사 시트는, 무기 분말을 다량으로 포함하지 않아도, 평량, 밀도가 동일한 정도의 종래의 반사 시트에 비해 보다 높은 반사율을 나타낸다는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에는 추가적인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내에 구비되는 백라이트에 관해서도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백라이트를 박형화하는 경우, 배면 케이싱이나 도광판 등의 부재를 얇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의 부재를 얇게 하면, 백라이트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본체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도광판과 반사재가 국소적으로 강하게 접촉하여, 휘도 불균일이나 색 불균일 (이하, 총칭하여 「휘도 불균일」 이라고 한다) 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 때문에, 박형화된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백라이트에는, 추가로 휘도 불균일 방지 기능이 부여된 반사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휘도 불균일의 문제를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입자를 반사재의 표층에 함유시킨 반사재 (특허문헌 5, 특허문헌 6 참조) 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2395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42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316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581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6398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001596호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특허문헌 5 및 특허문헌 6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반사재는, 휘도 불균일의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는 볼 수 있지만, 도광판이 깎여 흠집이 생기는 경우나 백라이트 유닛 등의 구성 부재에 오염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이와 같은 현상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반사재에 있어서 발생하기 쉬운 것이 확인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반사재에 관해, 양호한 반사 특성을 갖고, 백라이트 유닛 등의 구성 부재에 사용했을 때, 휘도 불균일의 발생이나 구성 부재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의 박형화에 대응 가능한 반사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및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B) 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 (A) 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하고, 또한,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층 (C) 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 (A) ∼ (C) 중 어느 1 개 이상의 층이 공극을 갖는, 반사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반사재에 의하면, 양호한 반사 특성을 갖고, 백라이트 유닛 등의 구성 부재에 사용했을 때, 휘도 불균일의 발생이나 구성 부재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반사재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박형화에 대응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반사재는,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반사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반사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련된 반사재 (「본 반사재」 라고 칭한다) 는, 폴리올레핀 수지 및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B) 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 (A) 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하고, 또한,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층 (C) 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 (A) ∼ (C) 중 어느 1 개 이상의 층이 공극을 갖는 반사재이다.
여기서, 본 반사재를 설계할 때의 기술 사상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전혀 제약을 받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휘도 불균일을 방지하는 방책으로는, 종래부터, 반사재를 적층 구성으로 하고, 그 표층에 입자 (특히 대입경의 유기 입자) 를 함유시키는 방책이 실시되어 왔다. 이것은, 반사재의 표층에 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표면에 돌기를 형성시키기 때문이다. 반사재의 표면에 돌기가 존재함으로써, 도광판과 반사재가 국소적으로 강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반사재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입자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적층 구성의 최표층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채용되어 왔다.
한편,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이와 같은 반사재는, 휘도 불균일의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는 볼 수 있지만, 반사재를 구성하는 재료의 선택이나, 반사재의 층 구성, 제조 조건 등에 따라서는, 이들 반사재가 도광판을 손상시키는 경우나, 백라이트 유닛 등의 구성 부재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광판의 손상이나 구성 부재의 오염이 생기면, 이와 같은 구성 부재를 장착한 액정 디스플레이가, 액정 화면의 결함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 이와 같은 현상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반사재에 있어서 생기기 쉬운 것도 판명되었다.
본 검토의 결과, 그 주된 원인의 하나는, 반사재에 함유하는 입자가 표층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입자의 탈리는, 반사재의 제조시 뿐만 아니라, 제조된 반사재의 보관 중이나, 백라이트 유닛 조립 공정, 및 장착 후의 제품 취급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고 생각된다.
탈리된 입자가 반사재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하거나, 백라이트 유닛 내에서 반사재로부터 입자가 탈리되거나 하면, 당해 입자는 응집되어 더욱 대입경화되어, 반사재와 도광판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백라이트 유닛에 변형 응력이 가해지면, 응집 입자 부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도광판이나 반사재 자체가 깎여 흠집이 생기고, 그 결과, 액정 화면의 결함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점에서도, 비교적 강직한 (탄성률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수지계의 반사재에 비해, 유연한 (탄성률이 낮은) 폴리올레핀 수지계의 반사재에 있어서 문제가 생기기 쉬운 것도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만일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반사재라고 해도, 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유기 입자 함유층을 최표층으로 하지 않고, 그 유기 입자 함유층의 표층측에 외층에 상당하는 층을 형성함으로써, 휘도 불균일의 억제 효과를 발휘하면서, 반사재 표면에 존재하는 입자의 탈리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반사재를 설계한 것이다.
또한 본 반사재에서는, 수지층 (A), 수지층 (B) 및 수지층 (C) 의 각각의 층의 기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다음의 (i) ∼ (iii) 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이들의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 수지층 (B) 에 광 반사성을 갖게 하는 한편, 수지층 (A) 및 수지층 (C) 에 내열성을 갖게 할 수 있다. 혹은,
(ii) 수지층 (B) 에 광 반사성을 갖게 하는 한편, 수지층 (A) 및 수지층 (C) 에 반사재로서의 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혹은,
(iii) 수지층 (C) 에서 광을 표면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지층 (C) 를 투과한 광을 수지층 (A) 혹은 수지층 (B) 내에서 반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층 (A), 수지층 (B) 및 수지층 (C) 의 기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다 한층 높은 반사 성능과 함께, 보다 한층 우수한 내열성 및 내절성 (耐折性) 을 얻을 수 있다.
<수지층 (A)>
수지층 (A) 는, 폴리올레핀 수지 및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이다.
수지층 (A) 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주성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가 폴리올레핀 수지를 주성분 수지로 함으로써, 수지층 (B) 혹은 수지층 (C) 와 친화성을 갖고, 층간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수지층 (A) 가 유기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본 반사재의 표면, 통상은 수지층 (C) 측 표면에 적당한 돌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성분 수지」 란,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 중 가장 질량 비율이 큰 수지를 의미하고, 당해 주성분 수지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당해 주성분 수지의 함유 비율은,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100 질량% 를 포함한다) 을 차지하는 것이다.
(폴리올레핀 수지)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로서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 폴리메틸펜텐 등의 α-올레핀 수지, 에틸렌-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시클로올레핀 수지 ;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터 폴리머 (EPDM) 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계적 성질, 유연성 등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또는 양자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시클로올레핀 수지를 주성분 수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 수지는 가시광의 흡수가 적고, 내열성이 있기 때문에,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로서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중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고, 통상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본 반사재에 양호한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수지층 (A) 중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도 한정되지 않고, 유기 입자를 제외한 모두가 폴리올레핀 수지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하이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본 반사재의 내파단성, 내절곡성이나 휘도 불균일 방지 기능 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은, 수지층 (A) 중에 있어서의 모든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시클로올레핀 수지)
다음으로,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로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시클로올레핀 수지에 대해 설명한다.
시클로올레핀 수지란, 주사슬이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주사슬의 적어도 일부에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이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는, 노르보르넨이나 테트라시클로도데센으로 대표되는,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 중에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시클로올레핀) 을 단량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도입된다.
시클로올레핀 수지는, 시클로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시클로올레핀과 α-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로 분류되고, 모두 시클로올레핀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시클로올레핀 수지는, 시클로올레핀 단독 중합체,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구체예로는,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등의 1 고리 시클로올레핀 ;
비시클로[2.2.1]헵타-2-엔 (관용명 : 노르보르넨), 5-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5-디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부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타데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메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비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프로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 등의 2 고리 시클로올레핀 ;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 (관용명 :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의 3 고리 시클로올레핀 ;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간단히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이라고도 한다) 등의 4 고리 시클로올레핀 ;
8-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테트라시클로[8.4.14,7.01,10.03,8]펜타데카-5,10,12,14-테트라엔(1,4-메타노-1,4,4a,5,10,10a-헥사하이드로안트라센이라고도 한다) ; 시클로펜타디엔의 4 량체 등의 다고리의 시클로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시클로올레핀 수지는,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 조합하여 공중합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α-올레핀의 구체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의 탄소수 2 ∼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8 의 에틸렌 또는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α-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수지란, 시클로올레핀 성분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이다.
이 때, 상기 「주성분」 이란, 시클로올레핀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 중 가장 질량 비율이 큰 성분을 의미하고, 당해 주성분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당해 주성분의 함유 비율은, 시클로올레핀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의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100 질량% 를 포함한다) 을 차지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수지의 주성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시클로올레핀 수지가 노르보르넨 등의 시클로올레핀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경우, α-올레핀을 공중합 성분으로 하는 것에 의한 연신 가공 등의 가공 성능의 향상의 효과와, 시클로올레핀을 공중합 성분의 주성분으로 하는 것에 의한 내열성의 효과를 균형 있게 얻는 관점에서, 시클로올레핀 수지 중의 시클로올레핀 성분의 함유 비율은 60 ∼ 9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5 질량% 이상 혹은 8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 또는 시클로올레핀과 α-올레핀의 중합 방법 및 얻어진 중합체의 수소 첨가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JIS K7210 에 준거하여,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한 값으로서 0.1 ∼ 2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5 g/10 분 이상 혹은 10 g/10 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 수지는, 결정성이어도 되고 비정성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비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열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다.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이면, 연신 가공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유리 전이점 (Tg)」 은, 시차 주사형 열량계에 의해, 10 ℃/분의 속도로 -50 ℃ 에서 250 ℃ 까지 승온 후, 1 분간 등온으로 유지하고, 10 ℃/분의 속도로 -50 ℃ 까지 냉각시키고, 1 분간 등온으로 유지 후, 다시 10 ℃/분의 속도로 250 ℃ 까지 승온시켰을 때에 판독한 값으로 한다.
또한, 2 종류 이상의 시클로올레핀 수지를 조합하여 혼합하고, 혼합 수지의 유리 전이점 (Tg) 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 수지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성이나 물성 등의 상이한 것을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2 종류 이상의 시클로올레핀 수지를 조합하여 혼합하고, 혼합 수지의 MFR 이나 Tg 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수지층 (A) 중에 있어서의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이다.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본 반사재에 양호한 내열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수지층 (A) 중에 있어서의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하이다.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본 반사재의 내파단성, 내절곡성이나 휘도 불균일 방지 기능 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 수지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닛폰 제온사 제조 「제오노아 (등록상표)」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미츠이 화학사 제조 「아펠 (등록상표)」 (에틸렌과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의 부가 공중합체) 나,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 「TOPAS (등록상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오노아」 및 「TOPAS」 는 광 흡수 작용이 적으므로, 높은 반사 성능을 갖는 반사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시클로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시클로올레핀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 수지 (이하,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라고 한다.) 를 배합하여 수지층 (A) 를 형성함으로써, 내절성과 내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로서 시클로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만을 당해 주성분 수지로서 사용해도 된다.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JIS K7210 에 준거하여,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한 값으로서 0.1 ∼ 2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5 g/10 분 이상 혹은 10 g/10 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시클로올레핀 수지와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를 병용하는 경우,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MFR 도 상기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양자의 MFR 을 조정하면, 반사재로서의 기계 특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로는, 상기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로서 예시한 폴리올레핀 수지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융점이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또,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단,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경우, 압출 성형성의 관점에서,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는, JIS K7210 에 준거하여,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한 값으로서 0.1 ∼ 2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2 g/10 분 이상 혹은 10 g/10 분 이하, 그 중에서도 0.5 g/10 분 이상 혹은 5 g/10 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층 (A) 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으로서, 시클로올레핀 수지와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시클로올레핀 수지의 MFR (「MFR(CO)」) 과,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의 MFR (「MFR(PO)」) 의 관계가, MFR(CO) : MFR(PO) = 1 : 0.05 ∼ 1 :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0.1 ∼ 1 : 1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자의 MFR 의 관계가 상기 범위 내이면,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가 시클로올레핀 수지 중에 배향하여, 반사재로서의 기계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중에 있어서의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의 함유량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클로올레핀 수지와 병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층 (A) 100 질량%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다. 또, 그 상한도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이다.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연신시에 수지층 (A) 가 파단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수지층 (A) 와 수지층 (B), 혹은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층간 접착성이 보다 한층 높게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내열성이나 휘도 불균일 방지 기능을 보다 한층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와 수지층 (C) 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가 동일하면,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접착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단, 동일하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와 수지층 (B) 가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동일하면,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접착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단, 동일하다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입자)
본 반사재의 수지층 (A) 는 유기 입자를 함유한다.
여기서 「유기 입자」 란, 유기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입자상 물질이면 해당한다. 이 때, 「주성분」 이란, 유기 입자를 구성하는 성분 중 가장 질량 비율이 큰 성분을 의미하고, 당해 주성분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당해 주성분의 함유 비율은, 유기 입자를 구성하는 성분의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100 질량% 를 포함한다) 을 차지하는 것이다.
당해 유기 입자로는, 바람직하게는 수지 입자이고, 이른바 폴리머 비드, 폴리머 중공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입자로서의 유기 입자의 종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입자, 스티렌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나일론계 수지 입자,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 벤조구아나민계 수지 입자, 우레탄계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기 입자는, 단독 중합체이어도 되고,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기 입자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입자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 입자 또는 메타크릴산부틸계 수지 입자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경우, 메타크릴산메틸 혹은 메타크릴산부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 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수지층 (A) 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상, 봉상, 평판상이나, 특정한 형상을 갖지 않는 분쇄물이나 응집물, 무정형의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유기 입자의 형상으로는,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상」 이란, 반드시 진구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시각적으로 대략 구형이면 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입자의 단면 형상이 원형, 대략 원형, 타원형, 대략 타원형, 곡률을 갖는 원호로 둘러싸인 형상 등의 것이 해당한다.
수지층 (A) 가 유기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인접하는 수지층 (C) 의 표면, 나아가서는, 그 수지층 (C) 표면에 「다른 층」 이 적층되는 경우도, 그 표면, 즉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에 적당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수지층 (A) 가 함유하는 유기 입자가 구상이면, 당해 유기 입자가 부정형의 입자인 경우에 비해, 상기 돌기의 높이, 크기, 형상 등을 비교적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층 (C) 의 표면, 나아가서는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높이, 크기, 형상 등이 균일해짐으로써, 휘도 불균일의 억제나 입자의 탈리 등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 유기 입자는 가교 처리가 되어 있는 입자 (「가교 입자」 라고 칭한다)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입자가 가교 처리가 되어 있음으로써, 압출 제막 (製膜) 시에서의 가열 상태에서 변형 응력이 가해지는 상태에 있어서도, 입자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유기 입자가 가교 입자인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가교되어 있지 않으면 용해되는 용매 (양용매) 에 침지시켰을 때, 용해되지 않고 팽윤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그 때, 적절히 가열해도 된다. 그 밖에,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NMR) 이나 적외 흡수 스펙트럼 (IR) 등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교되어 있지 않으면 용해되는 용매 (양용매) 는, 유기 입자를 구성하는 수지종에 따라 상이하지만,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입자인 경우이면, 예를 들어 아세톤,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입자를 가교 입자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중합 원료로서 디비닐벤젠이나 폴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멜리트산 등, 다관능의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면 된다.
수지층 (A) 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의 유리 전이점 (간단히 「Tg」 라고도 칭한다) 은,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이다. 그 Tg 가 120 ℃ 이상의 유기 입자를 수지층 (A)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본 반사재 표면에 적당한 경도의 부여가 가능해져,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기 입자의 Tg 의 하한은,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이다.
또, 유기 입자의 Tg 의 상한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260 ℃ 이하이다. 그 Tg 가 260 ℃ 이하임으로써, 본 반사재 표면의 경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유기 입자의 Tg 의 상한은,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24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다.
여기서, 유리 전이점 (Tg) 은, 시차 주사형 열량계에 의해, 30 ℃/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시켰을 때에 판독한 유리 전이점의 값으로 하고, 입자 그 자체를 측정한다. 또한, 복수의 유리 전이점 (Tg) 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 전이점 (Tg) 이 상기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유기 입자의 Tg 를 상기 범위 내로 하는 방법으로는, 유기 입자를 수지 입자로 하고, 수지 골격의 종류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골격 또는 스티렌계 골격 등), 모노머의 종류 (공중합인 경우에는 모노머의 종류나 조성비를 포함한다), 분자량 (가교 입자인 경우에는 가교도)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유기 입자는 가교함으로써 Tg 가 변화한다. 이것은 가교점에 의해 고분자 사슬의 분자 운동이 구속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기 입자가 가교 입자이고, 그 Tg 가 상기 범위이면, 휘도 불균일의 억제의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에 함유되는 유기 입자의 유리 전이점에 있어서의 열용량 (ΔCp) 은, 0.75 J/(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에 ΔCp 가 0.75 J/(g·℃) 이하인 유기 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반사재의 휘도 불균일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기 입자의 ΔCp 의 상한은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서, 바람직하게는 0.50 J/(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5 J/(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J/(g·℃)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5 J/(g·℃) 이하이다.
유기 입자의 ΔCp 의 하한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0.10 J/(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J/(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J/(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J/(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0 J/(g·℃) 이상이다.
여기서 유리 전이점에 있어서의 열용량 (ΔCp) 은, 시차 주사형 열량계에 의해, 30 ℃/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시켰을 때에 판독한 유리 전이점에 있어서의 ΔCp 의 값으로 하고, 입자 그 자체를 측정한다. 또한, 복수의 Tg 가 있는 경우에는, 115 ∼ 260 ℃ 의 범위에 있어서의 가장 낮은 온도의 Tg 에 있어서의 열용량 (ΔCp) 의 값으로 한다.
유기 입자의 ΔCp 를 상기 범위로 하는 방법으로는, 유기 입자를 수지 입자로 하고, 수지 골격의 종류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골격 또는 스티렌계 골격 등), 모노머의 종류 (공중합인 경우에는 모노머의 종류나 조성비를 포함한다), 분자량 (가교 입자인 경우에는 가교도)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교도의 영향이 크다.
상기 유리 전이점이란, 고분자 재료가 마이크로 브라운 운동을 개시하는 온도이며, 열용량 (ΔCp) 이란, 그 때의 운동량에 상당한다. 즉, 유사한 조성의 수지이어도, 가교도가 높은 경우에는 분자 사슬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ΔCp 의 값은 작아진다. 따라서, ΔCp 의 값이 낮다는 것은, 분자가 구속되어 있어 가교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5 ∼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5 ㎛ 이상이면, 휘도 불균일의 억제에 유효한 높이의 돌기를 표면에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한편,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50 ㎛ 이하이면, 입자의 탈리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15 ∼ 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 이상 혹은 4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 ㎛ 이상 혹은 39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3 ㎛ 이상 혹은 37 ㎛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5 ∼ 2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8 ㎛ 이상 혹은 19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상 혹은 18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 ㎛ 이상 혹은 15 ㎛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원료로서의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동적 광 산란법 등에 따라 측정되는 체적 기준 입도 분포로부터 구해지는 평균 입경 (D50) 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수지층 (A) 에 함유하고 있는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광학 현미경이나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수지층 (A) 의 표면 혹은 본 반사재의 단면을 관찰하여, 3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개 이상의 입자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그 때,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타원형 등인 경우), 최장경 (最長徑) 과 최단경 (最短徑) 의 평균값을 각 입자의 직경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 (A) 에 함유하고 있는 유기 입자의 형상이, 원료의 유기 입자의 형상으로부터 유의한 변형을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원료의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을 가지고 수지층 (A) 에 함유하고 있는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 간주할 수 있다.
수지층 (A) 중의 유기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층 (A) 100 질량% 에 대하여) 0.5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입자의 함유량이 0.5 질량% 이상이면, 본 반사재 표면에 특정한 경도나 조도의 부여가 보다 용이하게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하고, 유기 입자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하이면, 압출 제막시의 연속 생산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생산이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입자의 함유량이 0.5 ∼ 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혹은 4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입자의 함유량이 3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질량% 이상 혹은 9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
수지층 (A) 는, 상기 유기 입자와 함께, 상기 유기 입자 이외의 미분상 충전제 (이하 「미분상 충전제」 라고 칭한다.) 를 함유해도 된다.
수지층 (A) 중에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폴리올레핀 수지 등과 미분상 충전제의 굴절률차에 의한 광 산란 외에, 본 반사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분상 충전제의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과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굴절률차에 의한 광 산란, 나아가서는 미분상 충전제의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과 미분상 충전제의 굴절률차에 의한 광 산란 등으로부터도, 본 반사재의 반사 특성이 한층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지층 (B) 에 의해 충분한 광 반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수지층 (A) 에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시키지 않아도 된다.
수지층 (A) 에 사용할 수 있는 미분상 충전제의 종류, 입경 및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수지층 (B) 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미분상 충전제로서 기재한 것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예도 동일하다. 여기서, 수지층 (B) 에 사용하는 미분상 충전제로서 후술하는 사항 중 「수지층 (B)」 는 「수지층 (A)」 로 바꾸어 읽는 것으로 한다.
수지층 (A) 가 함유하는 미분상 충전제는, 그 평균 입경이 0.05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이 0.05 ㎛ 이상이면,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보다 균질한 반사재를 얻을 수 있다. 또, 당해 평균 입경이 15 ㎛ 이하이면, 폴리올레핀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치밀하게 형성되어, 고반사성의 반사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이 0.1 ㎛ 이상 혹은 1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이 0.05 ㎛ 이상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 혹은 2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은,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원료로서의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은, 동적 광 산란법 등에 의해 측정되는 체적 기준 입도 분포로부터 구해지는 평균 입경 (D50), 혹은 원심 침강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등가 구형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 (질량 기준) 50 % 의 입경을 평균 입경 (D50) 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수지층 (A) 에 함유되어 있는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은, 광학 현미경이나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수지층 (A) 의 표면 혹은 본 반사재의 단면을 관찰하여, 10 개 이상의 입자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그 때,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최장경과 최단경의 평균값을 각 입자의 직경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후술하는 수지층 (B) 에 함유하는 미분상 충전제에 대해서도 동일하지만, 그 경우에는 본 반사재의 단면을 관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 (A) 에 함유하고 있는 미분상 충전제의 형상이, 원료의 미분상 충전제의 형상으로부터 유의한 변형을 볼 수 없는 경우에는, 원료의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을 가지고 수지층 (A) 에 함유하고 있는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으로 간주할 수 있다.
수지층 (A) 가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경우, 수지층 (A) 중의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반사재의 광 반사성, 기계적 강도,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수지층 (A) 전체에 대하여 (즉 수지층 (A) 100 질량% 에 대하여) 10 ∼ 8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 질량% 이상 혹은 7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상이면, 수지층 (A) 를 구성하는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본 반사재에 보다 한층 높은 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80 질량% 이하이면, 반사재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수지층 (A) 는, 폴리올레핀 수지, 유기 입자, 미분상 충전제 이외의 성분을 추가로 「그 밖의 성분」 으로서 함유해도 된다.
「그 밖의 성분」 으로는, 상기 이외의 수지 성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이나,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상용화제, 활제 및 미분상 충전제 이외의 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반사재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반사재의 제조 공정 등에서 발생한 재생 원료를 수지층 (A) 중에 함유해도 된다.
재생 원료의 함유 비율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지층 (A)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수지층 (A) 100 질량% 에 대하여) 1 ∼ 6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 질량% 이상 혹은 5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함유량이 1 질량% 이상이면, 재생 원료를 사용함으로써의 비용 메리트가 발생하고, 60 질량% 이하이면, 반사재에 필요한 광 반사성이나, 기계적 강도를 저해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단, 재생 원료를 수지층 (A) 중에 함유시키면, 본 반사재의 표면 조도가 불안정해지는 경우나, 반사율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지층 (B)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B)>
본 반사재에 있어서의 수지층 (B) 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하는 층이다.
수지층 (B) 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하면, 다른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단, 수지층 (A) 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보면, 폴리올레핀 수지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
수지층 (B) 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한정되지 않고, 수지층 (A) 의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예시한 것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시클로올레핀 수지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터 폴리머 (EPDM) 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계적 성질, 유연성 등으로부터,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 (B) 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이한 폴리올레핀 수지이어도 된다. 단, 수지층 (A) (B)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보면, 수지층 (A) 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와 공통되는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B) 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압출 성형성의 관점에서, 그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가, JIS K7210 에 준거하여,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한 값으로서 0.1 ∼ 20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2 g/10 분 이상 혹은 10 g/10 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5 g/10 분 이상 혹은 5 g/10 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층 (B) 중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고, (수지층 (B) 100 질량%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이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수지층 (B) 의 강도가 보다 한층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수지층 (B) 중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도 한정되지 않고, 폴리올레핀 수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반사율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강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
수지층 (B) 에는, 보다 더 나은 반사 성능을 얻는 관점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함께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B) 가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당해 미분상 충전제에 의해 입사광이 난반사되어 반사 특성이 향상됨과 함께, 수지층 (B) 가 연신체인 경우에는, 공극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수지층 (B) 에 함유하는 미분상 충전제는 한정되지 않고, 무기질 미분체, 유기질 미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유기질 미분체는, 수지층 (A) 에 사용하는 유기 입자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수지층 (B) 는, 미분상 충전제로서 당해 무기질 미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질 미분체와 유기질 미분체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수지층 (B) 에 함유하는 것이 가능한 유기질 미분체로는, 예를 들어 폴리머 비드, 폴리머 중공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반사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반사재의 제조 공정 등에서 발생한 단재 (端材) 를 재생 원료로 하여 수지층 (B) 의 원료의 일부로 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수지층 (A) 중에 함유하고 있던 유기 입자가 수지층 (B) 중에도 함유되게 된다.
상기 무기질 미분체로는, 예를 들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실리카,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마이카, 탤크, 카올린, 클레이, 유리 분말, 아스베스토 분말, 제올라이트, 규산 백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수지와의 굴절률차를 고려하면, 굴절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률이 1.6 이상인,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산화티탄은, 다른 무기질 미분체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고,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수지와의 굴절률차를 현저하게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충전제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적은 배합량으로 우수한 광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본 반사재의 두께를 얇게 해도 높은 광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산화티탄의 함유량은 한정되지 않고, 무기질 미분체의 합계 질량의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로서 유기질 미분체와 무기질 미분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질량의 30 % 이상을 산화티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으로는, 예를 들어, 이시하라 산업사 제조, 케무어스사 제조, KRONOS 사 제조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무기질 미분체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 표면에, 실리콘계 화합물,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표면 처리를 실시한 무기질 미분체를 사용해도 된다.
미분상 충전제는, 평균 입경이 0.05 ∼ 1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이 0.05 ㎛ 이상이면,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하므로, 보다 균질한 반사재를 얻을 수 있다. 또,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이 15 ㎛ 이하이면,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치밀하게 형성되어, 보다 높은 반사성의 반사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이 0.1 ㎛ 이상 혹은 1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이 0.05 ㎛ 이상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 혹은 2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경」 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수지층 (B) 에 함유되는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은, 본 반사재의 광 반사성, 기계적 강도,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수지층 (B)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즉 수지층 (B) 100 질량%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반사재에 보다 높은 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의 상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반사재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수지층 (B) 는, 폴리올레핀 수지, 미분상 충전제 이외의 성분을 「그 밖의 성분」 으로서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그 밖의 성분」 으로는, 폴리올레핀 수지 이외의 수지 성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이나, 결정핵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상용화제, 활제 및 그 밖의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지층 (B) 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본 반사재의 제조 공정 등에서 발생한 재생 원료를 함유해도 된다.
재생 원료의 함유 비율은 한정되지 않고, 수지층 (B) 전체의 질량에 대하여 (즉 수지층 (B) 100 질량% 에 대하여) 1 ∼ 6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 질량% 이상 혹은 5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함유량이 1 질량% 이상이면, 재생 원료를 사용함으로써의 비용 메리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당해 함유량이 60 질량% 이하이면, 반사재에 필요한 광 반사성이나, 기계적 강도를 저해하는 일이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통상, 본 반사재의 전체 두께 중, 수지층 (B) 의 두께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재생 원료를 수지층 (B) 중에 함유시키면, 본 반사재의 여러 특성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지층 (C)>
수지층 (C) 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하고, 또한,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층이다. 수지층 (C) 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주성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하고, 또한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층으로서 수지층 (C) 가 존재함으로써, 수지층 (A) 중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가 본 반사재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는, 수지층 (A) 중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의 경도가, 본 반사재의 표면 경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저감되기 때문에, 본 반사재가 도광판 등에 접촉했을 때, 도광판 등을 손상시키는 것이 억제되는 것이 기대된다.
수지층 (C) 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수지층 (C) 에 사용하는 원료, 즉 후술하는 수지 조성물 C 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의 종류 및 함유 비율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기재에 있어서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 를 「입경이 5 ㎛ 이상인 유기 입자」 로 바꾸어 읽은 후에 동일한 규정으로 하는 양태가 보다 바람직하고, 「입경이 2 ㎛ 이상인 유기 입자」 로 바꾸어 읽은 후에 동일한 규정으로 하는 양태가 더욱 바람직하고, 「입경이 1 ㎛ 이상인 유기 입자」 로 바꾸어 읽은 후에 동일한 규정으로 하는 양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 (C) 는, 입경이 10 ㎛ 이상인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유도 상기 유기 입자와 동일하다. 또한, 당해 미분상 충전제는, 수지층 (B) 가 함유하는 미분상 충전제와 동일한 의미이다.
수지층 (C) 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수지층 (C) 에 사용하는 원료, 즉 후술하는 수지 조성물 C 에 함유하는 미분상 충전제의 종류 및 함유 비율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기재에 있어서 「입경이 10 ㎛ 이상인 미분상 충전제」 를 「입경이 5 ㎛ 이상인 미분상 충전제」 로 바꾸어 읽은 후에 동일한 규정으로 하는 양태가 보다 바람직하고, 「입경이 2 ㎛ 이상인 미분상 충전제」 로 바꾸어 읽은 후에 동일한 규정으로 하는 양태가 더욱 바람직하고, 「입경이 1 ㎛ 이상인 미분상 충전제」 로 바꾸어 읽은 후에 동일한 규정으로 하는 양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 이란, 입경 10 ㎛ 이상의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입경 10 ㎛ 이상의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의 수지층 (C) 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1 질량% 이하인 경우를 허용하여 포함한다. 이 때, 수지층 (C) 중의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 비율은, (수지층 (C) 100 질량%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이고,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입경 10 ㎛ 이상의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의 수지층 (C) 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1 질량% 이하이면,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가 본 반사재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수지층 (C) 가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는 것은, 이하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수지층 (C) 의 원료로는, 동적 광 산란법 등에 의해 측정되는 체적 기준 입도 분포로부터 구해지는 평균 입경 (D50) 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를 배합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수지층 (C) 중의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에 관해서는, 먼저 수지층 (C) 중에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가 함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임의의 10 개 이상의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를 선택하고, 광학 현미경이나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그것들 입자의 직경을 측정한다. 이 때,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최장경과 최단경의 평균값을 각 입자의 직경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직경이 10 ㎛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어느 입자도 직경이 10 ㎛ 이상이 아니면, 수지층 (C) 가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경이 5 ㎛ 이상인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 「입경이 2 ㎛ 이상인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 「입경이 1 ㎛ 이상인 유기 입자 또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지 않는」 에 대해서도, 상기의 「10 ㎛」 를 「5 ㎛」 「2 ㎛」 「1 ㎛」 에 각각 바꾸어 읽음으로써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다.
수지층 (C) 는, 상기 수지층 (A) 의 구성으로부터, 유기 입자 및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수지층 (A) 의 양태와 동일하다. 즉, 수지층 (C) 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나 시클로올레핀 수지,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미분상 충전제, 그 밖의 성분의 종류에 관해서는, 전술한 수지층 (A) 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올레핀 수지나 시클로올레핀 수지,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미분상 충전제, 그 밖의 성분으로서 기재한 것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유기 입자 및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 비율 이외에는, 바람직한 예, 바람직한 양태도 동일하다. 여기서 수지층 (A) 의 양태로서 전술한 사항은, 「수지층 (A)」 를 「수지층 (C)」 로 바꾸어 읽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 (A) 에 있어서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와, 수지층 (C) 에 있어서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가 동일한 경우나 친화성이 높은 경우에는, 본 반사재에 있어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유기 입자가 함유하고 있는 영역 (층) 과, 유기 입자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층) 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수지층 (A), 수지층 (C) 로 간주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유기 입자의 함유 비율이 두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의 유기 입자의 함유 비율을 가지고 수지층 (A), 수지층 (C) 로 간주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 (A), 수지층 (C) 에 의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공극>
본 반사재에서는, 어느 층이 공극을 가짐으로써, 반사 특성을 높일 수 있다.
당해 공극은, 수지층 (A), 수지층 (B), 수지층 (C) 중 어느 층만이 가지고 있어도 되고, 이들 층 중 임의의 2 개의 층이 가지고 있어도 되고, 모든 층이 가지고 있어도 된다. 혹은, 이들 층 이외의 층 (그 밖의 층) 이 가지고 있어도 된다. 수지층 (A) 혹은 수지층 (C) 에 공극을 형성하면 내열성이나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수지층 (B) 에만 상기의 공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극을 수지층 (B) 에만 형성함으로써, 필름 전체의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당해 공극은, 각 층을 구성하는 조성물 중에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시켜 두고, 연신, 바람직하게는 2 축 연신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혹은, 각 층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비상용인 수지를 함유시켜 두고, 연신, 바람직하게는 2 축 연신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반사재>
(층 구성)
본 반사재는, 수지층 (B), 수지층 (A) 및 수지층 (C) 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으면, 다른 임의의 층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 (B) 또는 수지층 (C) 의 표면에, 「다른 층」 을 갖는 구성이어도 되고,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층간이나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층간에, 예를 들어 접착층 등의 「다른 층」 을 개재시키도록 해도 된다.
당해 「다른 층」 으로는, 코팅이나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층도 포함한다.
또, 수지층 (A), 수지층 (B) 및 수지층 (C) 중 적어도 어느 층을 2 층 이상 갖는 4 층 이상의 구성이어도 된다. 4 층 이상의 구성인 경우, 수지층 (B) 를 코어층으로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고, 수지층 (B) 의 양면에 수지층 (A) 를 갖고, 또한, 2 개의 수지층 (A) 의 양면에 각각 수지층 (C) 를 갖는 구성, 즉 「수지층 (C)/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C)」 의 5 층을 갖는 구성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 (B), 수지층 (A) 및 수지층 (C) 를 이 순서로 적층함으로써, 각 층의 기능 분리가 가능해져, 반사 성능, 내열성, 내절성, 휘도 불균일의 발생, 입자 탈리의 저감 등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 (B) 에는 주로 광 반사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갖게 하고, 수지층 (A) 에는, 내열성 외에,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갖게 하고, 수지층 (C) 에는 내열성 외에, 입자 탈리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반사재는 어느 층을 최표층으로 해도 되지만, 수지층 (C) 는 입자 탈리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반사재의 표면층, 그 중에서도 반사 사용면인 최외층으로서 수지층 (C) 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수지층 (B) 및 수지층 (C) 의 형태)
수지층 (A), 수지층 (B) 및 수지층 (C) 는 모두, 필름상 즉 박막 형상이면, 보다 구체적인 형상이나 제조 방법에는 전혀 제약은 없다. 그 중에서도, 어느 층도 압출법에 의해 제막되는 필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층이 필름상인 경우, 어느 층도, 무연신의 필름이어도 되고, 1 축 혹은 2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1.1 배 이상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특히 2 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미리 각 층에 상당하는 필름을 제조한 후, 이들을 첩합 (貼合) 하여 적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지만, 한 번에 적층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공압출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출법으로 적층 구성으로 한 후에 연신을 실시하면, 모든 층이 연신되게 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
본 반사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30 ㎛ ∼ 15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용면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고려하면, 본 반사재의 두께는 50 ∼ 100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50 ∼ 7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조명 기구, 조명 간판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70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30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 혹은 1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 이상 혹은 11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0.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휘도 불균일이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층 (A) 의 두께가 5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혹은 8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층 (A) 의 두께가 0.1 ∼ 2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 혹은 1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이상 혹은 1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층 (A) 의 두께는 평균 두께를 의미하고, 유기 입자에 의한 볼록부도 평균화된 두께이다. 또, 본 반사재 중에 수지층 (A) 를 복수 갖는 경우에는, 각 층마다의 두께를 의미한다.
수지층 (B) 의 두께 (수지층 (B) 를 2 층 이상 갖는 경우에는 그 합계 두께) 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0 ∼ 14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B) 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반사 특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층 (B) 의 두께가 50 ㎛ 이상 혹은 6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층 (B) 의 두께가 20 ∼ 12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 혹은 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 이상 혹은 8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층 (B) 의 두께는, 평균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수지층 (A) 에 있어서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와, 수지층 (B) 가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동일한 경우나 친화성이 높은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반사재에 있어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한 각 층의 두께나, 하기의 각 층의 두께비는, 본 반사재를 제조할 때의 각 층의 원료의 사용 비율이나 압출량의 비율로부터 구할 수 있다.
수지층 (C)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C) 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입자의 탈리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층 (C) 의 두께가 5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혹은 8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층 (C) 의 두께가 1 ∼ 1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 혹은 9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 ㎛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층 (C) 의 두께는, 평균 두께를 의미한다. 또, 본 반사재 중에 수지층 (C) 를 복수 갖는 경우에는, 각 층마다의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수지층 (A) 에 있어서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와, 수지층 (C) 에 있어서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가 동일한 경우나 친화성이 높은 경우에는, 본 반사재에 있어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한 각 층의 두께나, 하기의 각 층의 두께비는, 본 반사재를 제조할 때의 각 층의 원료의 사용 비율이나 압출량의 비율로부터 구할 수 있다.
본 반사재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의 비율 ((C)/(A)) 은 0.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두께의 비율이 0.5 이상이면, 수지층 (A) 중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를 수지층 (C) 가 충분한 두께로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수지층 (A) 및 수지층 (C) 에 의한 입자의 유지력이 향상되어, 입자의 탈리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 당해 두께의 비율이 5.0 이하이면, 수지층 (A) 중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가 본 반사재 중에 잘 매몰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의 비율 ((C)/(A)) 의 하한은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서,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또, 당해 두께비의 상한은 상기와 동일한 이유에서,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본 반사재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B) 의 두께의 비율 ((B)/(A)) 은, 1 ∼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에 대한 수지층 (B) 의 두께비가 1 배 이상이면, 반사 특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유연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절곡 가공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 수지층 (A) 에 대한 수지층 (B) 의 두께비가 40 배 이하이면, 내열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관점에서,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B) 의 두께의 비율 ((B)/(A)) 은 2 이상 혹은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 혹은 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께비는, 수지층 (A) 혹은 수지층 (B) 를 2 층 이상 갖는 구성인 경우에는, 각 층의 합계 두께의 두께비를 의미한다.
본 반사재에 있어서, 수지층 (A) 및 수지층 (C) 의 합계 두께에 대한 수지층 (B) 의 두께의 비율 ((B)/((A) + (C))) 은, 2 ∼ 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 (A) 및 수지층 (C) 의 합계 두께에 대한 수지층 (B) 의 두께 비율이 2 배 이상이면, 반사 특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유연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절곡 가공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 이 두께 비율이 20 배 이하이면, 내열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두께 비율은, 수지층 (A) 나 수지층 (C) 혹은 수지층 (B) 를 2 층 이상 갖는 구성인 경우에는, 각 층의 합계 두께의 비율을 의미한다.
(표면의 돌기)
본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지층 (C) 측 표면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은 21 ㎛ ∼ 39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2 ㎛ 이상 혹은 38 ㎛ 이하, 그 중에서도 23 ㎛ 이상 혹은 37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이 당해 범위 내에 있으면, 입자의 탈리를 억제하면서,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관점에서, 수지층 (C) 측 표면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이 5 ㎛ ∼ 2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 ㎛ 이상 혹은 19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상 혹은 18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층 (C) 측 표면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 은, 광학 현미경이나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본 반사재의 표면을 상면으로부터 관찰하고,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명료하게 돌기와 판별할 수 있는 10 개 이상의 임의의 돌기를 선택하고, 당해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 즉 돌기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평면에서 본 돌기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최단경과 최장경의 평균값을 그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으로 한다.
또한, 「수지층 (C)/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C)」 와 같이 「수지층 (C) 측 표면」 이 본 반사재의 양측 표면에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어느 표면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이 상기 범위이면 된다. 후술하는 「평면에서 본 직경이 21 ∼ 39 ㎛ 인 돌기 밀도」, 「평면에서 본 직경이 5 ∼ 20 ㎛ 인 돌기 밀도」, 최대 높이 Rz, 산술 평균 조도 Ra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반사재는,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 (A) 에 수지층 (C) 를 적층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층 (C) 가 본 반사재의 표층인 경우에는, 수지층 (A) 중의 유기 입자에 의해 수지층 (C) 의 표면, 즉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에 돌기가 생기게 된다. 또, 수지층 (C) 의 표면에 「다른 층」 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당해 「다른 층」 의 표면 즉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에 돌기가 생기게 된다.
단, 수지층 (C) 측 표면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의 측정시에는, 수지층 (A) 중의 유기 입자에서 기인하는 돌기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돌기가 수지층 (A) 중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에서 기인하는 것임을 확인할 필요는 없다.
수지층 (C) 측 표면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의 조정 방법으로는, 수지층 (A) 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의 종류나 배합 비율,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 수지층 (A) 및 수지층 (C) 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의 종류나 배합 비율, 반사재를 제조할 때의 연신 조건 등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다. 단, 이들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수지층 (C) 측 표면은, 평면에서 본 직경이 21 ∼ 39 ㎛ 인 돌기의 밀도가, 7 ∼ 40 개/㎟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4 개/㎟ 이상 혹은 35 개/㎟ 이하, 그 중에서도 21 개/㎟ 이상 30 개/㎟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면에서 본 직경이 21 ∼ 39 ㎛ 인 돌기를 상기 범위의 밀도로 가지고 있으면, 휘도 불균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관점에서, 수지층 (C) 측 표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본 직경이 5 ∼ 20 ㎛ 인 돌기의 밀도가 10 ∼ 21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30 개/㎟ 이상 혹은 180 개/㎟ 이하, 그 중에서도 40 개/㎟ 이상 160 개/㎟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돌기의 밀도의 조정 방법으로는, 수지층 (A) 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의 종류나 배합 비율, 반사재를 제조할 때의 연신 조건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최대 높이 Rz)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 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2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4 ㎛ 이상, 그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다.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 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반사 특성이 양호함과 함께, 휘도 불균일이 보다 한층 억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 의 상한도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그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이하이다.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 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반사 특성이 양호함과 함께, 입자의 탈리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지층 (C) 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 의 조정 방법으로는,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 수지층 (A) 및 수지층 (C) 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의 종류나 배합 비율, 수지층 (A) 중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의 종류나 배합 비율, 반사재를 제조할 때의 연신 조건 등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최대 높이 Rz 의 측정은, JIS B0601 에 준거하는 것으로 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산술 평균 조도 Ra)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 이상이다.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반사 특성이 양호함과 함께, 휘도 불균일이 한층 억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상한도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이다. 본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반사 특성이 양호함과 함께, 입자의 탈리를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지층 (C) 측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 의 조정 방법으로는,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두께비, 수지층 (A) 및 수지층 (C) 의 주성분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의 종류나 배합 비율, 수지층 (A) 의 유기 입자의 종류나 배합 비율, 반사재를 제조할 때의 연신 조건 등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산술 평균 조도 Ra 의 측정은, JIS B0601 에 준거하는 것으로 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반사율)
본 반사재는, 높은 반사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반사재의 반사 성능에 제약은 없고, 적어도 편면의 평균 반사율을 95 % 이상, 나아가서는 96 % 이상, 보다 더 나아가서는 97 % 이상, 나아가서는 98 % 이상, 특히 99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사 성능을 갖는 반사재이면, 본 반사재를 장착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그 화면이 충분한 밝기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율」 이란, 파장 420 ∼ 700 ㎚ 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을 의미하고, 보다 상세한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다.
(공극률)
본 반사재는, 반사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공극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반사재 중에 공극을 가지고 있는 것은, 예를 들어 본 반사재의 단면을 현미경 (전자 현미경이나 광학 현미경) 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반사재의 공극률은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고, 한편, 상한값에 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다.
본 반사재의 공극률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본 반사재의 백화가 충분히 진행되므로 높은 광 반사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반사재의 공극률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본 반사재의 기계적 강도가 바람직한 경향이 있다.
수지층 (B) 의 공극률은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고, 한편, 상한값에 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다. 수지층 (B) 의 공극률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본 반사재의 백화가 충분히 진행되므로, 보다 높은 광 반사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또, 수지층 (B) 의 공극률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본 반사재의 기계적 강도가 보다 바람직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반사재의 공극률은, 실질적으로 수지층 (A), 수지층 (B) 및 수지층 (C) 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하고, 이들 층간에 다른 층을 갖는 경우에는, 이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수지층 (A), 수지층 (B) 및 수지층 (C) 보다 외면에, 예를 들어 수지판이나 금속판 등의 다른 층을 갖는 경우에는, 이들 층은 반사재의 공극률의 산출시에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본 반사재의 공극률은,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1) 연신에 의해 공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연신 전후의 반사재의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다음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공극률 (%) =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 연신 후의 필름의 밀도)/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 100
(2) 각 원료의 밀도와 배합 비율이 분명한 경우에는, 각 원료의 밀도와 배합 비율로부터 공극을 갖지 않는 경우의 밀도를 산출하고, 다음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공극률 (%) = {(공극을 갖지 않는 경우의 밀도 - 반사재의 밀도)/공극을 갖지 않는 경우의 밀도} × 100
(3) 나아가서는, 반사재의 밀도를 측정한 후, 당해 반사재를 용융, 감압, 냉각 고화시켜 공극을 제거한 후의 밀도를 산출함으로써 구할 수도 있다.
<본 반사재의 제조 방법>
이하에, 본 반사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공압출법에 의해 제조하는 「수지층 (C)/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C)」 의 5 층 구성의 본 반사재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하의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압출법 대신에, 도포, 압출 라미네이트, 열융착, 접착제 등에 의해 적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대입경의 유기 입자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층을 형성하는 수법으로서, 종래는 주로 도포법이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유기 입자 함유층을 도포법에 의해 형성하면, 표면 조도는 높아지지만, 입자의 탈리나 리사이클성 (자기 리사이클성) 의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 것 외에, 기재로부터의 도포층의 박리, 컬 (감겨지는 경향), 제조 효율의 저하 등의 문제도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반사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층 (수지층 (A)) 을 구성하는 주성분 수지를, 수지층 (B) 및 수지층 (C) 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종 즉 폴리올레핀 수지로 함으로써, 공압출법에 바람직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공압출법에 의해 본 반사재를 제조하면,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도포에 의해 형성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표면 조도를 높게 함과 함께, 입자의 탈리가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리사이클성 (자기 리사이클성) 도 양호해져, 기재로부터의 표층의 박리나 컬도 없고, 제조 효율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반사재와 같은 상기의 구성에 대해, 예를 들어 수지층 (A), 혹은 수지층 (A) 및 수지층 (C) 의 주성분 수지가 아크릴 수지인 경우에는, 공압출법을 채용하는 것이 곤란해져, 상기한 효과도 발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수지 조성물 A)
수지층 (A) 의 원료로서, 폴리올레핀 수지, 유기 입자,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 A 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들의 원료를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셀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의 유동 개시 온도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220 ℃ ∼ 270 ℃) 에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 있다.
또, 각 원료를 다른 피더 등에 의해 소정량을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원료의 일부를 마스터 배치로 해 두고, 이것을 원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원료의 일부를 사용하여 미리 수지 조성물로 해 두고, 이 수지 조성물과 다른 원료를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 B)
수지층 (B) 의 원료로서, 폴리올레핀 수지에, 미분상 충전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 등을 배합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원료를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셀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90 ℃ ∼ 270 ℃) 에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B 를 얻을 수 있다.
또, 수지 조성물 A 와 동일하게, 피더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거나, 원료의 일부를 마스터 배치로서 사용하거나, 원료의 일부를 사용하여 미리 수지 조성물로 해둘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 C)
수지층 (C) 의 원료로서, 폴리올레핀 수지,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 C 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원료를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셀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의 유동 개시 온도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220 ℃ ∼ 270 ℃) 에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C 를 얻을 수 있다.
또, 각 원료를 다른 피더 등에 의해 소정량을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C 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원료의 일부를 마스터 배치로 해 두고, 이것을 원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원료의 일부를 사용하여 미리 수지 조성물로 해 두고, 이 수지 조성물과 다른 원료를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 C 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수지층 (C) 에는 폴리올레핀 수지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혀 배합 등을 실시하는 일 없이 수지 조성물 C 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 A, 수지 조성물 B 및 수지 조성물 C 를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 후, 각각 다른 압출기에 공급하고, 각각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압출 온도 등의 조건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 A 및 수지 조성물 C 의 압출 온도는 220 ℃ ∼ 270 ℃, 수지 조성물 B 의 압출 온도는 190 ∼ 2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용융된 수지 조성물 A, 수지 조성물 B 및 수지 조성물 C 를 3 종 5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T 다이의 슬릿상의 토출구로부터 적층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롤에 밀착 고화시켜 캐스트 시트를 형성한다.
얻어진 캐스트 시트는,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B) 내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박리되어 공극이 형성되고, 시트의 백화가 진행되어, 필름의 광 반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캐스트 시트는 2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 축 연신을 한 것만으로 형성되는 공극은 일방향으로 연신한 섬유상 형태로 밖에 되지 않지만, 2 축 연신함으로써, 그 공극은 종횡 양방향으로 연신된 것이 되어 원반상 형태가 된다.
즉, 2 축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B) 내부의 폴리올레핀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박리 면적이 증대되어, 시트의 백화가 더욱 진행되고, 그 결과, 필름의 광 반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2 축 연신하면 필름의 수축 방향의 이방성이 적어지므로, 필름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캐스트 시트를 연신할 때의 연신 온도는, 수지층 (A) 또는 수지층 (C) 에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 (Tg + 50) ℃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이면, 연신시에 필름이 파단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연신 온도가 (Tg + 50) ℃ 이하의 온도이면, 연신 배향이 높아지고, 그 결과, 공극률이 커지므로, 높은 반사율의 필름을 얻기 쉽다.
2 축 연신의 연신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동시 2 축 연신이어도 되고 축차 연신이어도 된다. 용융 상태의 캐스트 시트로 한 후에, 롤 연신에 의해 흐름 방향 (MD) 으로 연신한 후, 텐터 연신에 의해 가로 방향 (TD) 으로 연신해도 되고, 튜블러 연신 등에 의해 2 축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2 축 연신의 경우의 연신 배율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적 배율로서 통상 4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5 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배 이상이고, 상한은 통상 25 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배 이하이다. 면적 배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반사재의 공공률을 적정한 범위로 제어하여, 우수한 반사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축차 2 축 연신을 실시하는 경우, 1 축째의 연신의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 ∼ 5.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3.5 배이고, 2 축째의 연신의 배율이, 바람직하게는 1.1 ∼ 5.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4.5 배이다.
연신 후에는, 반사재에 치수 안정성 (공극의 형태 안정성) 을 부여하기 위해 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을 열고정시키기 위한 처리 온도는 130 ∼ 16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고정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초 ∼ 3 분이다.
또, 연신 설비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연신 후에 열고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텐터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용도>
본 반사재의 용도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반사재는 반사 성능이 우수한 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 부재로서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편광 반사 시트, 확산 시트, 도광판, 반사 시트, 광원, 광원 리플렉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반사재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패널이나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사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에지부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의 조사광을 집광하여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갖는 광원 리플렉터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반사재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중에 구비되는 반사재로서 바람직하다. 본 반사재를 사용하면, 휘도 불균일의 발생이나 입자의 탈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광판의 재질에도 제약은 없고,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수지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제, 시클로올레핀 수지제 등의 여러 가지 도광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MS 수지제의 도광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반사재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수지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제, 시클로올레핀 수지제 등의 도광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반사재는, 그대로 전술한 층 구성을 갖는 반사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금속판 또는 수지판 (정리하여 「금속판 등」 으로 한다) 에 적층한 구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서술한 용도, 즉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의 반사판으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반사재를 구성 부재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또는 조명 간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반사재를 적층하는 금속판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판이나 스테인리스판, 아연 도금 강판 등을 들 수 있다.
금속판 등에 본 반사재를 적층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열융착하는 방법, 접착성 시트를 개재하여 접착하는 방법, 압출 코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 등의 반사재를 첩합하는 측의 면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반사재를 첩합할 수 있다.
이어서, 적외선 히터 및 열풍 가열로에 의해 도포면의 건조 및 가열을 실시하고, 금속판 등의 표면을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즉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반사재를 피복, 냉각시킴으로써, 반사판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반사재는, 상기 이외의 용도, 예를 들어 각종 공업 재료, 포장 재료, 광학 재료, 전기 재료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용어의 설명>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 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는 「시트」 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 라고 칭하는 경우도 「필름」 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사」 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광의 반사를 의미하고, 보다 한정적으로는 가시광의 반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X ∼ Y」 (X, Y 는 임의의 숫자) 로 표현했을 경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 의 의미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큰」 및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은」 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 「X 이상」 (X 는 임의의 숫자) 으로 표현했을 경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큰」 의 의미를 포함하고, 「Y 이하」 (Y 는 임의의 숫자) 로 표현했을 경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은」 의 의미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측정 및 평가 방법>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샘플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유기 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유리 전이점의 열용량 (ΔCp))
시차 주사 열량계 (퍼킨엘머 재팬사 제조, 기종명 : DSC8500) 를 사용하고, 유기 입자를 30 ℃/분의 승온 속도로 250 ℃ 까지 승온시켰을 때의 유리 전이점 (베이스 라인 시프트간의 변곡점) 및 유리 전이점의 열용량을 측정하였다.
(반사재의 두께)
반사재의 전층의 두께는, 막후계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합계 두께, 그리고, 수지층 (B) 의 두께는, 전자 현미경에 의해 반사재의 단면 관찰로 확인하였다.
또한, 3 종 5 층의 반사재 (샘플) 에 있어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두께는, 현미경에서는 층 계면의 구별이 곤란하므로,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합계 두께에 시트 성형시의 압출량 비율을 각각 곱함으로써 구하였다.
(수지층 (A) 중의 유기 입자의 형상)
반사재 (샘플) 에 대해서는 두께 측정을 위한 단면 관찰시에, 유기 입자가 변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변형 없음 : 원료의 입자 형상과 거의 동일하였다. 또한, 「거의 동일」 이란, 반사재의 수지층 (A) 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유기 입자의 장변과 단변의 비 (L/D) 가 1.8 배 이하인 것을 밀한다. 이 경우, 원료의 입자의 평균 입경을 가지고 수지층 (A) 중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변형 있음 : 원료의 입자 형상으로부터 변형되어 있었다. 또한, 반사재의 수지층 (A) 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유기 입자의 장변과 단변의 비 (L/D) 가 1.8 배를 초과했을 경우에 「변형되어 있다」 고 판단하였다. 이 경우에는, 원료의 입자의 평균 입경을 가지고 수지층 (A) 중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 간주할 수 없다.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
수지층 (A) 중의 유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
상기의 유기 입자의 형상 확인에 있어서 「변형 없음」 인 경우에는, 원료의 입자의 평균 입경의 값을 채용하였다.
상기의 유기 입자의 형상 확인에 있어서 「변형 있음」 인 경우에는, 반사재의 수지층 (A) 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3 개 이상의 입자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때,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최장경과 최단경의 평균값으로 하였다.
(공극률)
연신 전의 적층 시트의 밀도 (미연신 시트 밀도) 와, 연신 후의 적층 시트의 밀도 (연신 시트 밀도) 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반사재 (샘플) 의 공극률 (%) 을 구하였다.
공극률 (%) = {(미연신 시트 밀도 - 연신 시트 밀도)/미연신 시트 밀도} ×100
(표면 조도)
반사재 (샘플) 를 평면 상에 정치 (靜置) 시킨 상태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3 지점의 수지층 (C) 측 표면 (표리 중 어느 일방의 면) 에 대해 Rz 및 Ra 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반사재 (샘플) 의 Rz (㎛) 및 Ra (㎛) 로 하였다.
측정에는, 미츠토요사 제조 「서프테스트 SJ-210」 을 사용하고, JIS B0601 (2001) 에 기초하여, λc : 0.8 ㎜, λs : 2.5 ㎜ 로서 측정하였다.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
반사재 (샘플) 의 수지층 (C) 측 표면 (표리 중 어느 일방의 면) 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의 측정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관찰 배율 300 ∼ 500 배 정도) 을 사용하여 반사재의 표면, 즉 반사재의 수지층 (C) 측 표면을 위에서부터 관찰하여, 3 개 이상의 임의의 돌기 부위의 직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서 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 8 에 있어서, 수지층 (C) 측 표면에서 관찰된 돌기의 평면에서 본 형상은 모두 원형이었다.
(평균 반사율)
분광 광도계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사 제조 「U-3900H」) 에 적분구를 장착하고, 알루미나 백판 (白板) 을 100 % 로 했을 때의 반사재 (샘플) 의 반사율을, 파장 420 ∼ 700 ㎚ 에 걸쳐 0.5 ㎚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값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평균 반사율 (%) 로 하였다.
(실시예 1 및 2, 비교예 2 및 3 의 휘도 불균일 평가)
도광판으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제, 두께 약 2 ㎜ 의 것을 사용하고,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의 평가 모델을 제조하였다.
반사재 (샘플) 의 수지층 (C) 측 (표리 중 어느 일방) 에 도광판을 배치하고, 그 상부에 추 (2 ㎏) 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에지 라이트를 점등하였다. 도광판의 상부에 설치한 카메라로, 추의 부근에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 (good) :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아 박형 백라이트 등의 반사재로서 바람직하였다.
× (poor) :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여, 박형 백라이트 등의 반사재로서 부적당하였다.
(실시예 3 ∼ 8, 비교예 1 및 4 의 휘도 불균일 평가)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여, 도광판이 최표층이 되는 평가 모델을 제조하였다. 두께 0.5 ㎜ 의 금속편과 도광판 사이에 반사재 (샘플) 의 수지층 (C) 측 (표리 중 어느 일방) 이 도광판측이 되도록 배치하고, 그 상부에 추 (300 g) 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에지 라이트를 점등하였다. 도광판의 상부에 설치한 카메라로, 금속편의 부근에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 (excellent) : 금속편의 단부에서 유래하는 휘도 불균일을 볼 수 없었다.
○ (good) : 금속편의 단부에서 유래하는 휘도 불균일이 얇게 생기지만, 박형 백라이트 등의 반사재로서 바람직하였다.
× (poor) : 금속편의 단부에서 유래하는 명료한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여, 박형 백라이트 등의 반사재로서 부적당하였다.
(실시예 1 및 2, 비교예 2 및 3 의 테이프 박리 평가)
반사재 (샘플) 의 수지층 (C) 측 표면 (표리 중 어느 일방의 면) 에 점착 테이프 (니치반 주식회사 제조, 셀로테이프 (등록상표) CT15) 를 첩부 (貼付) 한 후, 점착 테이프를 박리하고, 박리 후의 반사재 (샘플) 표면 및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점착 테이프에 대한 전사는, 구성 부재에 대한 오염의 정도의 대체 지표이다.
◎ (excellent) : 반사재 (샘플) 표면의 박리나, 반사재 (샘플) 표면의 점착 테이프에 대한 전사를 거의 볼 수 없다.
○ (better) : 반사재 (샘플) 표면의 박리나, 반사재 (샘플) 표면의 점착 테이프에 대한 전사가 적다.
△ (good) : 반사재 (샘플) 표면의 박리나, 반사재 (샘플) 표면의 점착 테이프에 대한 전사가 약간 보인다.
× (poor) : 반사재 (샘플) 표면의 박리나, 반사재 (샘플) 표면의 점착 테이프에 대한 전사가 많다.
(실시예 3 ∼ 8, 비교예 1 및 4 의 테이프 박리 평가)
반사재 (샘플) 의 수지층 (C) 측 표면 (표리 중 어느 일방의 면) 에 점착 테이프 (쓰리엠 재팬 (주) 제조, 상품명 「스카치 초투명 테이프 SBK-18」) 를 첩부한 후, 점착 테이프를 박리하고, 박리 후의 반사재 (샘플) 표면을 육안으로 보고, 이하의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 (excellent) : 반사재 (샘플) 표면의 박리가 육안으로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 (better) : 반사재 (샘플) 표면의 박리가 육안으로 조금 확인된다.
△ (good) : 반사재 (샘플) 표면의 부분적인 박리가 확인된다.
× (poor) : 반사재 (샘플) 표면의 큰 박리나 다량의 부분적인 박리가 확인된다.
<원료>
실시예·비교예에서 사용한 원료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COP-A)
비정성 시클로올레핀 수지 (MFR (230 ℃, 21.18 N) : 1.5 g/10 분, Tg : 129 ℃)
(COP-B)
비정성 시클로올레핀 수지 (MFR (230 ℃, 21.18 N) : 15 g/10 분, Tg : 105 ℃)
(PP-A)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사 제조 「노바텍 PP FY6HA」, MFR (230 ℃, 21.18 N) : 2.3 g/10 분)
(PP-B)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사 제조 「노바텍 PP EG6D」, MFR (230 ℃, 21.18 N) : 2.0 g/10 분)
(유기 입자-A)
메타크릴산메틸계 가교 수지 입자 (Tg : 137 ℃, ΔCp : 0.34 J/(g·℃), 평균 입경 (D50) : 30 ㎛)
(유기 입자-B)
메타크릴산메틸계 가교 수지 입자 (Tg : 138 ℃, ΔCp : 0.20 J/(g·℃), 평균 입경 (D50) : 12 ㎛)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KRONOS2450」 (염소법으로 제조되고, 알루미나 및 실리카로 표면 처리된 루틸형의 산화티탄, TiO2 함유량 96.0 %, 평균 입경 (D50) : 0.31 ㎛)
(탄산칼슘)
비호쿠 분화 공업사 제조 「소프톤 3200」 (평균 입경 (D50) : 0.70 ㎛)
<실시예 1>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
COP-A, COP-B, PP-A 의 펠릿 및 유기 입자-A 를, COP-A/COP-B/PP-A/유기 입자-A = 50 : 25 : 21 : 4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수지층 (A) 의 원료로서 수지 조성물 A 를 제조하였다.
(수지 조성물 B 의 제조)
PP-A 의 펠릿과 미분상 충전제를, PP-A : 산화티탄 : 탄산칼슘 = 55 : 40 : 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70 ℃ 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수지층 (B) 의 원료로서 수지 조성물 B 를 제조하였다.
(수지 조성물 C 의 제조)
COP-A, COP-B, PP-A 의 펠릿을, COP-A/COP-B/PP-A = 50 : 25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수지층 (C) 의 원료로서 수지 조성물 C 를 제조하였다.
(반사재의 제조)
상기 수지 조성물 A, B 및 C 를 각각, 단계적으로 220 ℃ 까지 가열된 압출기 A, B 및 C 에 공급하고, 각 압출기로 용융한 후,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압출량이 각각 2.6 ㎏/h 및 2.8 ㎏/h 가 되고,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이 1.1 이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하여 3 종 5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수지층 (C)/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C) 의 5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속도 1.0 m/min 의 캐스트 롤로 냉각 고화시켜 무연신의 적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42 ℃ 에서 필름의 흐름 방향 (MD) 으로 2.3 배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36 ℃ 에서 직교 방향 (TD) 으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전체 두께 195 ㎛ 의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유기 입자의 형상, 공극률, 표면 조도, 평균 반사율, 휘도 불균일 평가 및 테이프 박리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압출량이 각각 1.4 ㎏/h 및 4.2 ㎏/h 가 되고,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이 3.0 이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
COP-A, COP-B, PP-A 의 펠릿 및 유기 입자-B 를, COP-A/COP-B/PP-A/유기 입자-B = 50 : 25 : 21 : 4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20 ℃ 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수지층 (A) 의 원료로서 수지 조성물 A 를 제조하였다.
(수지 조성물 B 의 제조)
수지층 (B) 의 원료로서,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지 조성물 B 를 제조하였다.
(수지 조성물 C 의 제조)
COP-A, COP-B, PP-A 의 펠릿을, COP-A/COP-B/PP-A = 50 : 25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20 ℃ 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수지층 (C) 의 원료로서 수지 조성물 C 를 제조하였다.
(반사재의 제조)
상기 수지 조성물 A, B 및 C 를 각각, 단계적으로 220 ℃ 까지 가열된 압출기 A, B 및 C 에 공급하고, 각 압출기로 용융한 후,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압출량이 각각 1.1 ㎏/h 및 3.0 ㎏/h 가 되고,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이 2 가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하여 3 종 5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수지층 (C)/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C) 의 5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속도 2.5 m/min 의 캐스트 롤로 냉각 고화시켜 무연신의 적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42 ℃ 에서 필름의 흐름 방향 (MD) 으로 2.3 배 롤 연신한 후, 계속해서 136 ℃ 에서 직교 방향 (TD) 으로 3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고, 또한 158 ∼ 162 ℃ 사이에서 2 분간 열고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체 두께 71 ㎛ 의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압출량이 각각 3.0 ㎏/h 및 2.8 ㎏/h 가 되고,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이 1 이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압출량이 각각 3.1 ㎏/h 및 1.1 ㎏/h 가 되고,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이 0.5 가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하고, 열고정 처리 온도를 157 ∼ 162 ℃ 의 사이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COP-A, COP-B, PP-A 의 펠릿 및 유기 입자-B 를, COP-A/COP-B/PP-A/유기 입자-B = 50 : 25 : 17 : 8 의 질량 비율로 하고,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압출량이 각각 1.0 ㎏/h 및 3.0 ㎏/h 가 되고,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이 4 가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압출량이 각각 3.0 ㎏/h 및 2.9 ㎏/h 가 되고,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이 1 이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압출량이 각각 4.9 ㎏/h 및 2.8 ㎏/h 가 되고,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수지층 (C) 의 두께 비율이 0.5 가 되도록 압출량을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수지 조성물 A 대신에 수지 조성물 C 를 사용하고, 수지층 (C)/수지층 (C)/수지층 (B)/수지층 (C)/수지층 (C) 의 2 종 5 층 구성이 되도록 수지층 (C) 의 압출량을 각각 2.6 ㎏/h 및 2.7 ㎏/h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PP-B 의 펠릿 및 유기 입자-A 를, PP-B/유기 입자-A = 90 : 1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PP-B·유기 입자-A 혼합물] 을 얻은 후, COP-A, COP-B 의 펠릿 및 [PP-B·유기 입자-A 혼합물] 을, COP-A/COP-B/[PP-B·유기 입자-A 혼합물] = 50 : 25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층 (A) 의 원료로서, COP-A/COP-B/PP-B/유기 입자-A = 50 : 25 : 22.5 : 2.5 의 질량 비율이 되는 수지 조성물 A2 를 제조하였다.
압출기 C 를 사용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250 ℃ 까지 가열된 압출기 A 및 B 를 사용하여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 의 3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직교 방향 (TD) 으로 141 ℃ 에서 텐터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PP-B 의 펠릿 및 유기 입자-A 를, PP-B/유기 입자-A = 85 : 1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PP-B·유기 입자-A 혼합물] 을 얻은 후, COP-A, COP-B 의 펠릿 및 [PP-B·유기 입자-A 혼합물] 을, COP-A/COP-B/[PP-B·유기 입자-A 혼합물] = 50 : 25 : 25 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층 (A) 의 원료로서 중량 비율이 COP-A/COP-B/PP-B/유기 입자-A = 50 : 25 : 21.25 : 3.75 가 되는 수지 조성물 A3 을 제조하였다.
수지 조성물 A2 대신에 수지 조성물 A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3 층 구성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수지 조성물 C 대신에 수지 조성물 A 를 사용하고, 수지층 (A)/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A) 의 2 종 5 층 구성이 되도록 수지층 (A) 의 압출량을 각각 3.0 ㎏/h 및 2.9 ㎏/h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 (샘플)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및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8 의 반사재는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 (A) 가 수지층 (C) 와 수지층 (B) 사이에 적층되어 있음으로써, 반사율이 높고, 휘도 불균일이 억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재 표면의 박리나 반사재 표면의 점착 테이프에 대한 전사가 적은 것이 확인되고, 수지층 (A) 중에 함유하는 유기 입자의 탈리가 억제되어 있었다.
한편, 수지층 (A) 를 갖지 않는 비교예 1 의 반사재는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없는 것이 확인되고, 또 수지층 (C) 를 갖지 않는 비교예 2 ∼ 4 의 반사재는, 반사재 표면의 박리나 반사재 표면의 점착 테이프에 대한 전사가 많으므로, 입자가 탈리되기 쉬워, 실용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15)

  1. 폴리올레핀 수지 및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B) 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유기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 (A) 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하고, 또한, 입경이 10 ㎛ 이상인 유기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층 (C) 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수지층 (A) ∼ (C) 중 어느 1 개 이상의 층이 공극을 갖는, 반사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 (C) 측 표면의 최대 높이 Rz 가 3.0 ㎛ ∼ 7.0 ㎛ 인 반사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가 함유하는 유기 입자는, 유리 전이점에 있어서의 열용량 (ΔCp) 이 0.75 J/(g·℃) 이하인 반사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입자는, 유리 전이점이 120 ℃ 이상인 반사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입자가 가교 입자인 반사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A) 의 두께에 대한 상기 수지층 (C) 의 두께의 비율이 0.5 ∼ 5.0 인 반사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층 (C) 측 표면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이 21 ㎛ ∼ 39 ㎛ 인 반사재.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층 (C) 측 표면의 돌기의 평면에서 본 직경이 5 ㎛ ∼ 20 ㎛ 인 반사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중에 유기 입자를 0.5 ∼ 10 질량% 함유하는 반사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극률이 10 ∼ 80 % 인 반사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폴리올레핀 수지, 및 수지층 (C) 의 폴리올레핀 수지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이,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시클로올레핀 수지인 반사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C) 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동일한 수지인 반사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반사재.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및 조명 간판 중 어느 것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는 반사재.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재를 구성 부재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또는 조명 간판.
KR1020217019545A 2019-03-28 2020-03-26 반사재 KR20210145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3803 2019-03-28
JP2019063805 2019-03-28
JPJP-P-2019-063805 2019-03-28
JPJP-P-2019-063803 2019-03-28
JPJP-P-2019-063804 2019-03-28
JP2019063804 2019-03-28
JPJP-P-2020-047080 2020-03-18
JP2020047080A JP2020166260A (ja) 2019-03-28 2020-03-18 反射材
JP2020051657A JP2021149061A (ja) 2020-03-23 2020-03-23 反射材
JPJP-P-2020-051657 2020-03-23
JP2020051656A JP2021149060A (ja) 2020-03-23 2020-03-23 反射材
JPJP-P-2020-051656 2020-03-23
JPJP-P-2020-051658 2020-03-23
JP2020051658A JP2021149062A (ja) 2020-03-23 2020-03-23 反射材
PCT/JP2020/013681 WO2020196760A1 (ja) 2019-03-28 2020-03-26 反射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718A true KR20210145718A (ko) 2021-12-02

Family

ID=7261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545A KR20210145718A (ko) 2019-03-28 2020-03-26 반사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45718A (ko)
WO (1) WO202019676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9540A (ja) 1991-01-22 1992-08-27 Toray Ind Inc 液晶ディスプレイ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11174213A (ja) 1997-12-10 1999-07-02 Mitsui Chem Inc 光反射体
JP2005031653A (ja) 2003-06-19 2005-02-03 Yupo Corp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08158134A (ja) 2006-12-22 2008-07-10 Asahi Kasei Corp 反射シート
JP2015001596A (ja) 2013-06-14 2015-01-0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5163986A (ja) 2010-02-24 2015-09-10 東レ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1166B (zh) * 2006-05-16 2014-01-01 Toray Industries 雙軸配向白色聚丙烯膜、反射板及感熱轉印記錄用收受片
JP2008233339A (ja) * 2007-03-19 2008-10-0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JP5464997B2 (ja) * 2008-12-22 2014-04-09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及び面光源装置
JPWO2012026311A1 (ja) * 2010-08-24 2013-10-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ィルムミラー、フィルムミラーの製造方法及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JP5623892B2 (ja) * 2010-12-10 2014-11-12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2軸延伸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424474B2 (ja) * 2014-06-04 2018-11-2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JP2016031486A (ja) * 2014-07-30 2016-03-07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9540A (ja) 1991-01-22 1992-08-27 Toray Ind Inc 液晶ディスプレイ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11174213A (ja) 1997-12-10 1999-07-02 Mitsui Chem Inc 光反射体
JP2005031653A (ja) 2003-06-19 2005-02-03 Yupo Corp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08158134A (ja) 2006-12-22 2008-07-10 Asahi Kasei Corp 反射シート
JP2015163986A (ja) 2010-02-24 2015-09-10 東レ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2015001596A (ja) 2013-06-14 2015-01-0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6760A1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5951B2 (ja) 反射材
JP5739255B2 (ja) 反射材
JP2007293289A (ja) 光反射シート
JP6072754B2 (ja) 反射材
JP5411169B2 (ja) 光拡散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た装置
WO2013108562A1 (ja) 反射材
JP5391618B2 (ja)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2020166260A (ja) 反射材
WO2013108563A1 (ja) 反射材
JP2009098660A (ja)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KR20210145718A (ko) 반사재
JP2021149062A (ja) 反射材
JP2021149060A (ja) 反射材
JP2021149061A (ja) 反射材
JP2012189678A (ja) 光反射体
CN113631967A (zh) 反射材料
JP2020060671A (ja) 反射材
JP2020011430A (ja) 反射材
JP2024054898A (ja) 反射フィルム
JP2019117225A (ja) 反射材
JP2013083792A (ja) 反射材
JP2009226748A (ja) 積層二軸配向白色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2013148607A (ja) 反射材
JP2013148605A (ja) 反射材
JP2019061162A (ja) 反射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