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667A -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667A
KR20210142667A KR1020217032606A KR20217032606A KR20210142667A KR 20210142667 A KR20210142667 A KR 20210142667A KR 1020217032606 A KR1020217032606 A KR 1020217032606A KR 20217032606 A KR20217032606 A KR 20217032606A KR 20210142667 A KR20210142667 A KR 2021014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luorinated
group
composition
fluoro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샤라트
데이비드 그런디
이라 삭세나
Original Assignee
멕시켐 플루어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 카피탈 바리아블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멕시켐 플루어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 카피탈 바리아블레 filed Critical 멕시켐 플루어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 카피탈 바리아블레
Publication of KR2021014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6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introduction of halogen;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02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 C07D301/24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by splitting off HAL—Y from compounds containing the radical HAL—C—C—OY
    • C07D301/26Y being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6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simultaneous introduction of -OH groups and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39/00Hal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34Halogenated alcohols
    • C07C31/38Halogenated alcohols containing only fluorine as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09Preparation of ethers by dehyd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03Ethers having all ether-oxygen atom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3/04Saturated ethers
    • C07C43/12Saturated ether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8/00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8/02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from phosgene or halofor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96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02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 C07D301/03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by oxidation of unsaturated compounds, or of mixtures of unsaturated and 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08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nitro radicals or nitros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48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Epoxy Compound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일부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은 하기 에폭시드와 플루오르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40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Description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플루오르화 에폭시드로부터의 일부 플루오르화 알코올(플루오로히드린)의 제조 방법 및 플루오로히드린으로부터의 플루오르화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루오로히드린은, 다양한 종 예컨대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알데히드 및 산이 제조될 수 있는 합성 빌딩 블록으로서 및 용매로서 유용하다. 특히 관심 대상인 것은, 의미 있는 상업적 가치를 갖는 물질의 중요한 부류인 플루오르화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의 제조에서의 그 유용성이다. 플루오르화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는 통상 합성 중간체로서, 및 전자 장치 예컨대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의 용매로서, 및 윤활제, 밀봉제 및 코팅물과 같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개질되지 않고 사용된다.
에폭시드로부터의 플루오로히드린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올라(Olah)는 플루오라이드의 친핵성 공급원을 사용한 에폭시드의 개환에 의한 플루오로히드린의 일반적 제조 방법을 기재하였다(문헌[G. A. Olah et al, Israel Jr. Chem., 17(1978),148-149]). 그러나, 올라는 이러한 작업을 플루오르화 에폭시드로부터의 플루오로히드린의 제조로 확장시키지 않았다.
플루오로히드린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친핵체에 의한 플루오르화 에폭시드, 2,3-에폭시-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TFPO)의 개환은 일반적으로 문헌[a review of the chemistry of TFPO by Uneyama in Jr. Fluorine Chem., 105(2000) 285-293]에 기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괄은, 올라가 교시한 바와 같이, 친핵성 플루오르화제를 사용한 TFPO 또는 실제로 임의의 다른 플루오르화 에폭시드의 개환 시도의 가능성 또는 예상되는 결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알코올 및 카르복실화제로부터의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의 일반적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문헌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M. B. Smith and J. March, 6th edition, page 1276]을 참조한다. 그러나, 플루오로히드린 및 카르복실화제로부터의 플루오르화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의 제조는 상기 반응의 생성물과 같이 공지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방법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하기 플루오르화 에폭시드와 플루오르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일부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4 중 적어도 1개는 F, CF3 또는 플루오로알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화제는 친핵성 플루오르화제를 포함한다. 플루오르화제의 바람직한 예는, HF, 및 HF와 질소 함유 종, 예컨대 올라 작용제(Olah's reagent)(HF:피리딘 착물), 우레아 또는 3차 아민과의 착물을 포함한다.
방법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1243zf)의 에폭시드와 HF 및/또는 올라 작용제를 반응시켜 CF3CH(OH)CH2F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방법은 1,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1234ze)의 에폭시드와 HF 및/또는 올라 작용제를 반응시켜 CF3CH(OH)CHF2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방법은 1,1,1,4,4,4-헥사플루오로-2-부텐(1336mzz)의 에폭시드와 HF 및/또는 올라 작용제를 반응시켜 CF3CH(OH)CHF(CF3)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방법은 1,1,3,3,3-펜타플루오로프로펜(1225zc)의 에폭시드와 HF 및/또는 올라 작용제를 반응시켜 CF3CH(OH)CF3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본 발명의 화합물 & 조성물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6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단 화합물은 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2-올이 아님.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화합물은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하기 구조를 갖는 일부 플루오르화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07
하기 플루오로히드린과 COX2(식 중, X는 -F, -Cl, -OCH3, -OCCl3, 이미다졸, 숙신이미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8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바람직하게는 1 당량의 COX2당 2 당량(몰 기준)의 플루오로히드린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1 당량의 본 발명의 플루오로히드린은 1 당량의 알코올 종 (분지형 또는 선형 일가/다가 알코올)과 함께 비대칭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제조된 화합물은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9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의) 배터리 용매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합물은 이의 물리적 특성, 전기화학적 안정성, 배터리 구성요소 예컨대 배터리 전극(캐소드 및 애노드) 예컨대 탄소 및 규소를 포함하는 전극, 리튬 함유 전해질 염, 분리막, 바인더, 집전체와의 상용성, 및 낮은 가연성의 결과로서 유익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화합물은 또한 다른 용매 및 첨가제 예컨대 다른 선형 및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로서 사용될 때 조성물은 전해질 염을 포함한다. 전해질 염의 바람직한 예는 리튬-기반 전해질 예컨대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 리튬 트리플레이트(LiSO3CF3), 리튬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Li(FSO2)2N) 및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CF3SO2)2N)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화합물은 (더 고급의) 플루오르화 유도체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R기 중 하나 이상은 불소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방법에서, 플루오르화에 의해 변경되는 R기는 바람직하게는 H, Cl, Br, I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개질되는 R기(들)의 성질에 따라, 플루오르화 유도체의 제조 방법은 다단계 방법; 바람직하게는 2단계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2단계 방법에서, 제1 단계는 표적이 되는 R기(들)의 (상이한) 할로겐 기, 바람직하게는 염소 기(적합한 염소화제 예컨대 염소 사용)로의 개질이고; 제2 단계에서 염소 기는 불소 기(적합한 플루오르화제 예컨대 HF 또는 금속 불소 염, 예컨대 NaF, KF 사용)로 개질된다. 표적이 되는 R기(들)이 이미 불소 이외의 할로겐을 포함하는 경우, 염소에 의해 할로겐이 치환되는 2단계 방법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하기 화합물은 (더 고급의) 플루오르화 유도체로 전환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식 중, R1 내지 R4 중 적어도 2개는 독립적으로 H, Cl, Br, I를 포함함.
플루오르화 유도체에서,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4 중 적어도 2개,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는 독립적으로 F, CF3 또는 플루오로알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4 중 적어도 1개, 더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4 중 1개는 독립적으로 H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4 중 1개는 CF3를 포함하고, R1 내지 R4 중 2개는 F를 포함하고, R1 내지 R4 중 1개는 H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화 유도체는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반응 경로는 하기 화합물에 대해 발생한다:
Figure pct00011
식 중, 바람직한 대체에서,
ㆍ R1은 -CF3이고, R2는 H이고, R3 및 R4 모두는 H임.
ㆍ R1은 -CF3이고, R2는 H이고; R3 및 R4 중 1개는 H이고, R3 및 R4 중 1개는 F임.
이러한 바람직한 경로는 아래에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12
X는 F 또는 Cl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유용한 에폭시드는 플루오르화 알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플루오르화 알켄과 산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일부 플루오르화 에폭시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13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4 중 적어도 1개는 F, CF3 또는 플루오로알킬을 포함한다.
산화제의 바람직한 예는 공기, 산소 및 산소 함유 화합물 예컨대 퍼옥시드, 과염, 및 산소와 다른 원소의 화합물 예컨대 하이포할라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제는 하이포할라이트 예컨대 클로라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제와 반응하는 화합물은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1 및 R2 중 하나는 -CF3이고, R3 및 R4 중 하나는 -F이다. 따라서,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은 1,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1234 ze) 또는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1234yf)이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5 양태 및 제1 양태를 포함하는 플루오로히드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르면, 하기 구조를 갖는 일부 플루오르화 에테르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14
하기 구조를 갖는 플루오로히드린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15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따르면,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16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본 발명의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화합물 또는 본 발명의 제9 양태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배터리 적용물에서의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의 화합물 또는 본 발명의 제9 양태에 따른 조성물은 냉각제, 예를 들어 이머시브 냉각제(immersive coolant)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 구조를 갖는 일부 플루오르화 에테르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17
하기 구조를 갖는 플루오로히드린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18
식 중, R1, R2, R3,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독립적으로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퍼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 퍼플루오로할로알킬의 군으로부터 선택됨.
바람직하게는 에테르 합성은 플루오로히드린의 산 촉매 작용된 탈수를 통해 발생한다.
대안적으로 에테르 합성은 하기 기술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발생한다:
i. 알콕시-데-할로겐화 -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조건 하에서의, 알킬 할라이드와 플루오로히드린의 반응;
ii. 알콕시-데-술포닐옥시-치환 - 플루오로히드린 술페이트와 알콕시드 또는 플루오로히드린 알콕시드의 반응;
iii. 히드로, 알콕시-데-디아조-이치환 - 플루오로히드린과 디아조 화합물의 반응;
iv. 알콕시-데-히드록실화 - 에테르를 수득하기 위한, 예를 들어 농축 황산을 사용한 2개의 알코올의 탈수;
v. 히드록시 또는 알콕시-데-알콕시화 - 알코올 또는 플루오로히드린을 사용한 (플루오로히드린)에테르의 트랜스에테르화; 및/또는
vi. 알콕시-데-히드록실화 - 알코올 또는 플루오로히드린과 옥소늄 화합물의 반응.
또한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19
또한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20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배터리 적용물에서의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냉각제, 예를 들어, 이머시브 냉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은 실시예로부터의 반응 생성물들 중 일부에 대해 수행된 다양한 분광 분석 기술의 결과를 예시한다.
도 1은 2,3-에폭시-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TFPO)과 올라 작용제의 반응 생성물의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올라 작용제를 사용한 2,3-에폭시-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개환의 반응 생성물의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a는 올라 작용제를 사용한 2,3-에폭시-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개환의 반응 생성물의 양성자 커플링된 19F NMR 스펙트럼 및 양성자 디커플링된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올라 작용제를 사용한 2,3-에폭시-1,1,1-트리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판) 개환의 반응 생성물의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생성물 디-(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카르보네이트의 것과 일치하는, 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2-올과 포스젠의 반응 생성물의 19F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제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올라 작용제를 사용한 에폭시드의 개환
하기 단계들을 따랐다.
ㆍ 반응기를 올라 작용제(70 % HF:피리딘, 5 ml)로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얼음 배치에서 냉각시켰다.
ㆍ 2,3-에폭시-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TFPO)(3.4 g)을 이후 적가하였다.
ㆍ 첨가의 종료시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교반을 48시간 동안 지속하였다.
ㆍ 48시간 이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으로 켄칭하였다.
ㆍ 염을 첨가하고,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3 x 5 ml)로 추출하였다. 디에틸 에테르 추출물을 합치고, 포화 칼륨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 및 물로 세척한 후,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비점이 91 내지 93℃인 맑은 무색의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이 생성물의 정체를 NMR 분광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 ― 올라 작용제를 사용한 2,3-에폭시-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의 개환
Figure pct00021
하기 과정을 사용하여 2,3-에폭시-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을 개환시켰다:
ㆍ 100 ml 하스텔로이(Hastalloy) C 압력 반응기를 올라 작용제(70 % HF:피리딘, 25 g)로 충전하였다.
ㆍ 밀봉 이후, 반응기의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20℃로 냉각시켰다.
ㆍ 2,3-에폭시-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11 g)을 이후 첨가하였다.
ㆍ 이러한 첨가가 완료된 이후,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16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ㆍ 168시간 이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으로 켄칭하고, 포화 나트륨 클로라이드 용액(22 ml)을 첨가하였다.
ㆍ 이러한 혼합물로부터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ㆍ 디에틸 에테르 추출물을 합치고, 포화 칼륨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 및 이후 물로 세척한 후,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생성물의 정체를 NMR 분광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a ― 올라 작용제를 사용한 2,3-에폭시-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 의 개환
Figure pct00022
하기 과정을 사용하여 2,3-에폭시-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을 개환시켰다:
ㆍ 100 ml 하스텔로이 C 압력 반응기를 올라 작용제(70 % HF:피리딘, 25 g)로 충전하였다.
ㆍ 밀봉 이후, 반응기의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20℃로 냉각시켰다.
ㆍ 2,3-에폭시-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10.6 g)을 이후 첨가하였다.
ㆍ 이러한 첨가가 완료된 이후, 반응 혼합물을 80℃로 가열하고, 4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ㆍ 43시간 이후, 반응 혼합물의 샘플을 GCMS로 분석하였고, 모든 공급된 에폭시드가 반응되었음이 확인되었다.
ㆍ 냉각 이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으로 켄칭하고, 포화 나트륨 클로라이드 용액(22 ml)을 첨가하였다.
ㆍ 이러한 혼합물로부터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ㆍ 디에틸 에테르 추출물을 합치고, 포화 칼륨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 및 이후 물로 세척한 후,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생성물의 정체를 NMR 분광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올라 작용제를 사용한 2,3-에폭시-1,1,1-트리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판 의 개환
Figure pct00023
하기 과정을 사용하여 2,3-에폭시-1,1,1-트리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판을 개환시켰다:
ㆍ 100 ml 하스텔로이 C 압력 반응기를 올라 작용제(70 % HF:피리딘, 16.5 g)로 충전하였다.
ㆍ 밀봉 이후, 반응기의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20℃로 냉각시켰다.
ㆍ 2,3-에폭시-1,1,1-트리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판(10 g)을 이후 첨가하였다.
ㆍ 이러한 첨가가 완료된 이후, 반응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16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ㆍ 160시간 이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으로 켄칭하고, 포화 나트륨 클로라이드 용액(22 ml)을 첨가하였다.
ㆍ 이러한 혼합물로부터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ㆍ 디에틸 에테르 추출물을 합치고, 포화 칼륨 바이카르보네이트 용액 및 이후 물로 세척한 후, 무수 나트륨 술페이트로 건조시켰다. 생성물의 정체를 NMR 분광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4 ― 포스젠을 사용한 디-(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카르보네이트 의 제조
하기 과정을 사용하여 디-(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카르보네이트를 합성하였다:
ㆍ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불활성 분위기 하에 0℃로 냉각시켰다.
ㆍ 포스젠 용액(톨루엔 중 15 중량%, 50 mL의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ㆍ 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2-올(18.42 g) 및 피리딘(11.02 g)의 혼합물을 용액에 적가하고, 용액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이것이 10℃ 초과로 상승하지 않도록 하였다.
ㆍ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ㆍ 생성물을 여과하여 피리디늄 염을 제거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ㆍ 미정제 생성물을 대기압 조건 하에 증류시켜, 디-(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카르보네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7.08 g, 35 % 수율).

Claims (36)

  1. 하기 에폭시드와 플루오르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일부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4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2.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제가 친핵성 플루오르화제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제가 HF, 및 HF와 질소 함유 종, 예컨대 올라 작용제(Olah's reagent)(HF:피리딘 착물), 우레아 또는 3차 아민과의 착물로부터 선택되는,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HF 대 피리딘의 중량비가 7:3인,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내지 R4 중 1개가 -CF3이고, R1 내지 R4 중 1개가 -F이고, R1 내지 R4 중 2개가 -H이고; 바람직하게는 R1이 -F이고, R3이 -CF3이고, R2 및 R4가 -H이거나, 바람직하게는 R1이 -F이고, R2가 -CF3이고, R3 및 R4가 -H인,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내지 R4 중 2개가 -CF3이고, R1 내지 R4 중 2개가 -H이고; 바람직하게는 R1이 -CF3이고, R3이 -CF3이고; R2가 -H이고, R4가 -H인,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내지 R4 중 1개가 -CF3이고, R1 내지 R4 중 3개가 -H이고; 바람직하게는 R1이 -CF3이고, R2, R3 및 R4가 -H인,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내지 R4 중 1개가 -CF3이고, R1 내지 R4 중 1개가 -Cl이고, R1 내지 R4 중 2개가 -H이고; 바람직하게는 R1이 -Cl이고, R3이 -CF3이고, R2 및 R4가 -H이거나, 바람직하게는 R1이 -Cl이고, R2가 -CF3이고, R3 및 R4가 -H인, 제조 방법.
  9.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25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단 화합물은 1,1,1,3-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2-올이 아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화합물.
  11. 하기 구조를 갖는 일부 플루오르화 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26

    하기 구조를 갖는 플루오로히드린과 COX2(식 중, X는 -F, -Cl, -OCH3, -OCCl3, 이미다졸, 숙신이미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Figure pct00027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12.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28
  13.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igure pct00029
  14. 예를 들어 배터리 적용물에서의 용매로서, 제1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13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15. 제1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13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매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 리튬 트리플레이트(LiSO3CF3), 리튬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Li(FSO2)2N) 및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CF3SO2)2N)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용매 조성물.
  17. 하기 화합물과 플루오르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플루오르화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0

    식 중, R1 내지 R4 중 적어도 2개는 독립적으로 H, Cl, Br, I를 포함함.
  18. 제17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화합물에서 R1 내지 R4 중 적어도 2개가 독립적으로 F, CF3 또는 플루오로알킬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화합물에서 R1 내지 R4 중 적어도 1개가 H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0.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 화합물이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21. 일부 플루오르화 알켄과 산화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일부 플루오르화 에폭시드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1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22. 제21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공기, 산소 및 산소 함유 화합물 예컨대 퍼옥시드, 과염, 및 산소와 다른 원소의 화합물 예컨대 하이포할라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조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산화제가 하이포할라이트 예컨대 클로라이트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4. 제20항,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알켄이 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 예컨대 1,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1234ze) 또는 2,3,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펜(1234yf); 또는 펜타플루오로프로펜, 예컨대 1,1,3,3,3-펜타플루오로프로펜(1225zc)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부 플루오르화 에폭시드의 제조 방법, 및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에폭시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일부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
  26.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부 플루오르화 에폭시드의 제조 방법,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에폭시드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및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루오르화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하는, 일부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
  27. 하기 구조를 갖는 일부 플루오르화 에테르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32

    하기 구조를 갖는 플루오로히드린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Figure pct00033

    식 중, R1,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됨.
  28.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34
  29.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igure pct00035
  30. 예를 들어 배터리 적용물에서의 용매로서, 제27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28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31. 냉각제, 예를 들어 이머시브 냉각제(immersive coolant)로서, 제27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28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32. 하기 구조를 갖는 일부 플루오르화 에테르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36

    하기 구조를 갖는 플루오로히드린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Figure pct00037

    식 중, R1, R2, R3, R4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5는 독립적으로 CF3, 알킬, 플루오로알킬, 퍼플루오로알킬, 할로알킬 퍼플루오로할로알킬의 군으로부터 선택됨.
  33.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38
  34.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igure pct00039
  35. 예를 들어 배터리 적용물에서의 용매로서, 제3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33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36. 냉각제, 예를 들어 이머시브 냉각제로서, 제32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제33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KR1020217032606A 2019-03-21 2020-03-18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 KR20210142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03909.8A GB2582364A (en) 2019-03-21 2019-03-21 Methods
GB1903909.8 2019-03-21
PCT/GB2020/050701 WO2020188274A2 (en) 2019-03-21 2020-03-18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667A true KR20210142667A (ko) 2021-11-25

Family

ID=6638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606A KR20210142667A (ko) 2019-03-21 2020-03-18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897832B2 (ko)
EP (2) EP4349819A2 (ko)
JP (1) JP2022527050A (ko)
KR (1) KR20210142667A (ko)
CN (1) CN113891871A (ko)
AU (1) AU2020243365A1 (ko)
BR (1) BR112021018529A2 (ko)
CA (2) CA3133765A1 (ko)
GB (1) GB2582364A (ko)
MX (1) MX2021011415A (ko)
SG (1) SG11202110202TA (ko)
WO (1) WO20201882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0854B2 (en) * 2020-10-30 2023-07-25 Enevate Corporation Functional epoxides in catalyst-based electrolyte compositions for Li-ion batteri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8680A (en) * 1985-10-18 1989-01-17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ly active compou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4709112A (en) * 1986-01-06 1987-11-2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dimerizing lower α-olefins
JP2582289B2 (ja) * 1988-09-22 1997-02-19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光学活性を有する2―フルオロ―1―アルカノール類の製造方法
JP2582288B2 (ja) * 1988-10-12 1997-02-19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光学活性な1―フルオロ―2―アルカノール類及びその製造方法
JP2649572B2 (ja) * 1989-03-10 1997-09-03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光学活性な2―フルオロ―2―メチル―1―アルカノール類及びその製造方法
US5330873A (en) * 1989-11-09 1994-07-1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Production method of photosensitive member by eliminating outermost surface portion of photosensitive layer
DE4023625A1 (de) * 1990-07-25 1992-01-30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s-fluoralkoholen
AU8763991A (en) * 1990-12-04 1992-07-08 Allied-Signal Inc. Partially fluorinated alkanols having a tertiary structure
JPH09110980A (ja) * 1995-10-13 1997-04-28 Japan Energy Corp トリフルオロプロピレンオキシド重合体の製造方法
WO2008079670A1 (en) 2006-12-20 2008-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inated compounds for use in lithium battery electrolytes
US7988877B2 (en) * 2008-11-03 2011-08-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making fluorinated ethers, fluorinated ethers, and uses thereof
GB201101139D0 (en) * 2011-01-21 2011-03-09 Eisai Ltd Fused aminodihydrothiazine derivatives
GB2540427B (en) * 2015-07-17 2017-07-19 Mexichem Fluor Sa De C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3,3,3-tetrafluoropropene (1234yf)
CN107556167A (zh) * 2016-06-30 2018-01-09 陕西合成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麻醉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8165608A1 (en) 2017-03-10 2018-09-13 The Chemours Company Fc, Llc Processes for preparing partially fluorinated epoxides and perfluorinated epoxides and compositions related thereto
GB201706721D0 (en) 2017-04-27 2017-06-14 Mexichem Fluor Sa De Cv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903909D0 (en) 2019-05-08
EP3941910A2 (en) 2022-01-26
AU2020243365A1 (en) 2021-10-07
EP3941910B1 (en) 2024-02-21
US20220153668A1 (en) 2022-05-19
GB2582364A (en) 2020-09-23
SG11202110202TA (en) 2021-10-28
CA3237843A1 (en) 2020-09-24
WO2020188274A3 (en) 2020-11-12
EP4349819A2 (en) 2024-04-10
US11897832B2 (en) 2024-02-13
WO2020188274A2 (en) 2020-09-24
MX2021011415A (es) 2022-01-24
CN113891871A (zh) 2022-01-04
BR112021018529A2 (pt) 2021-11-23
JP2022527050A (ja) 2022-05-30
CA3133765A1 (en)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68308A (ja) 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01336B2 (ja) 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塩の製造方法
JP5609879B2 (ja) ビススルホニルイミドアンモニウム塩、ビススルホニルイミドおよびビススルホニルイミドリチウム塩の製造方法
KR20210142667A (ko) 플루오르화 알코올의 제조 방법
US875957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uorine-containing imide compound
JP5313579B2 (ja) 新規なフッ素化された1,2−オキサチオラン2,2−ジオキシドの製造方法
JP5234109B2 (ja) フルオロプロピ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法
JP2006219419A (ja) パーフルオロビニルエーテルモノマーの製造法
KR20200130379A (ko) 비닐술폰산 무수물, 그 제조 방법 및 비닐술포닐플루오라이드의 제조 방법
JP5356753B2 (ja) フッ化ジスルフィド化合物の製造方法
JP6577317B2 (ja) 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KR20050112119A (ko) 퍼플루오로알칸술포닐 플루오라이드의 제조방법
JP5158073B2 (ja) ジフルオロメタンビス(スルホニルフルオリド)の製造方法
JP5479697B2 (ja) フッ化ジスルフィド化合物の製造方法
JPWO2005085187A1 (ja) フッ素化合物の製造方法
JP7258694B2 (ja) スルホン酸基含有モノマーの製造方法
JP2008127318A (ja) 含フッ素フルオロスルホニルアルキルビニ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WO2024106331A1 (ja) 含フッ素スルホニルクロライドの製造方法及び含フッ素スルホニルフルオライドの製造方法
JP2015044779A (ja) 含フッ素鎖状エーテル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18426A (ja) 含フッ素フルオロスルホニルアルキルビニ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2008127317A (ja) 含フッ素フルオロスルホニルアルキルビニ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