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337A -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337A
KR20210141337A KR1020210047673A KR20210047673A KR20210141337A KR 20210141337 A KR20210141337 A KR 20210141337A KR 1020210047673 A KR1020210047673 A KR 1020210047673A KR 20210047673 A KR20210047673 A KR 20210047673A KR 20210141337 A KR20210141337 A KR 2021014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cucumber
salt
hot water
water extract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891B1 (ko
Inventor
김보균
Original Assignee
무창포 자율관리어업공동체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창포 자율관리어업공동체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무창포 자율관리어업공동체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4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하여 전처리하는 단계(A); 상기 전처리된 해삼을 물에 넣고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 바닷물을 염전 저수지에 유입시키고 상기 제조된 해삼 열수추출물을 혼합한 후, 증발시켜 소금 결정화를 시키는 증발단계(가); 상기 결정화 된 소금을 한 곳으로 모아 저장하는 채염단계(나)로 이루어진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천일염 가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해삼 제조시 해삼 부산물을 대량 폐기하지 않게 되어 친환경적이며, 부산물 처리에 드는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천일염 제품 개발 및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Salt processing method using sea cucumber hot water extract}
본 발명은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해삼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해삼 삶은 물을 활용하여 해조류 식품 가공에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동시에 아미노산, 사포닌과 같은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우수한 저장성을 가진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삼은 극피동물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류의 총칭으로, 약효가 인삼과 같다고 하여 해삼이라고 명명되었다. 식품학적으로 해삼은 약 90.5%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 단백질 3.2%, 지방 0.2% 및 무기질 3.5% 로 구성되어 있다. 해삼에 함유된 단백질은 질이 우수하고, 무기질로는 칼슘과 인이 적절한 비율로 포함되어 있으며, 연골부에는 콘드로이친 황산이 많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으로, 단맛을 내는 알라닌 및 감칠맛을 내는 글루탐산이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인삼의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진 사포닌의 함량도 높아 바다의 인삼으로도 불리는데, 칼슘과 철분이 풍부하여 치아와 골격의 형성, 근육의 정상적인 수축 등에 효능이 있고, 요오드, 알긴산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체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액을 정화하는 기능이 있다.
해삼의 주요 섭취 부분인 체벽은 주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백질은 콜라겐과 점질성 다당체인 푸코스 당 함유 콘드로이틴 황산(chondroitin sulfate), 강글리오시드(ganglioside),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glycosphingolipid)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삼의 콜라겐은 수분을 보유하는 보습효과와 항산화 활성 및 혈압감소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계에서는 해삼의 콘드로이틴은 관절의 연골에 영양을 공급하고 물리적인 충격과 스트레스를 흡수하는 유액이 연골에 머물도록 하여 탄력을 늘리는 기능을 하고 피부노화 예방과 주독을 중화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강글리오시드는 신경돌기 발생에도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고, 한방과 민간에서는 해삼이 인체의 단핵세포와 거식세포의 담식능력을 제고시켜 면역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당뇨병과 천식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해삼의 영양조성은 100 g당 수분 91.8 g, 단백질 3.7 g, 지방 0.4g, 당질 1.3 g, 회분 2.8 g 정도이고, 상기 회분은 칼슘 119 ㎎, 인 27 ㎎, 철분2.1 ㎎, 비타민 B1 0.01 ㎎, B2 0.03 ㎎, 나이아신 1,2 ㎎, 타우린 18 ㎎ 정도로 구성되며, 이러한 생해삼을 건조하여 건해삼으로 제조하면 건해삼 100 g당 수분이 1.5 g 정도로 줄어들어 거의 무수물 상태로 되고 각종 영양성분이 농축되어 대략 단백질은 77.6 g, 지방 0.9 g, 당질 3.0 g, 회분 17.0 g, 칼슘 1,4 ㎎, 인 72 ㎎, 철분 53 ㎎, 비타민 B1 0.06 ㎎, B2 0.08 ㎎, 나이아신 4.0 ㎎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이 점착성이 있는 당단백질로 구성된 해삼은 산소와의 접촉을 통해 유통 과정에서 쉽게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건조시킨 건해삼으로 유통이 이루어진다. 대량으로 소비되는 건해삼은 해삼을 자숙하고, 염장처리한 후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다량의 자숙 부산물이 발생하게 되며 대부분 폐기되고 있어 경제적 손실이 크며, 환경 오염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해삼 자숙액에는 폴리페놀, 단백질 및 글리코겐과 같은 유용 영양성분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반면, 질소화합물 등 수질의 부영양화를 초래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해양오염의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이의 재처리 혹은 재활용에 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종래 해삼에 관한 연구는 해삼 자체를 이용한 식품 개발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해삼 자숙액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 연구는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한편, 소금은 염화나트륨(NaCl)이 주성분인 흰색의 결정체로써 인체의 신경자극전달, 근육수축, 영양소의 흡수와 수송, 혈액량과 혈압의 유지 등 인체의 생명활동에 필수적인 식품으로서 음식의 맛을 내는데 사용되며, 특히 삼투압작용에 의해 생물체내의 수분을 배출시킴으로써 절임이나 천연방부제역할을 하므로 식품가공에 있어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외에도 소금의 성분은 염화나트륨(NaCl)이 주성분으로 수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을 함유하고 있으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금은 크게 정제염과 천일염으로 분류된다. 정제염은 바닷물을 전기 분해하여 이온 수지막으로 불순물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얻어낸 염화나트륨의 결정체이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으로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을 갖는다.
정제염의 경우, 가열 공정을 거친 구운소금, 볶은소금, 죽염 등의 가공염과 대량 생산되는 기계염이나 화학염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계염이나 화학염은 보통 바닷물을 이온교환막에 전기 투석시켜 제조하는데 소금에 함유되어 있는 몸에 좋은 미네랄 성분까지 모두 제거된다. 이러한 정제염은 염분의 함량이 너무 높아 고지혈증이나 동맥경화와 같은 각종 성인병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반해, 천일염은 태양열, 바람 등 자연을 이용하여 해수를 저류지로 유입해 바닷물을 농축시켜 만듬 소금으로 염화나트륨 순도가 80~86% 정도로 낮은 반면 우리 몸에 유익한 미네랄과 갯벌의 유기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하고, 전통적으로 김장 김치를 만들거나 각종 장류를 담그는데 적합하다.
천일염 중에 함유된 마그네슘은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효소를 활성화하며, 칼슘, 인과 함께 뼈의 대사에 작용을 하며, 천일염 중에 함유된 칼슘은 세포막과 뼈를 강화시키며 심장근육과 신경에 관여한다. 천일염 중에 함유된 칼륨은 수분유지를 통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고 근육수축을 조절하며 신경근의 원활한 활동을 유도한다. 특히, 국산 천일염은 당뇨나 동맥경화 등 성인병을 완화시켜 주는 효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천일염에 대한 연구 및 제품개발이 미흡한 실정이고 이에 본 발명은 기능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20-0045722호에는 천일염을 미네랄의 손실 없이 수분을 건조하여 몸에 좋은 고품질의 친환경 천일염을 제조할 수 있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은, 해수를 취수하고 증발시켜 결정화하는 단계와, 채염된 천일염을 쌓아 올려 일차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일차 수분 제거된 천일염을 볏짚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통공 및 천일염이 담기는 수납 공간을 갖는 가마니 몸체를 포함하는 가마니에 담는 단계와, 천일염이 담긴 가마니를 저장 공간을 갖는 숙성 창고의 내부에 저장하되, 가마니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새끼줄이 위치하도록 가마니 몸체에 새끼줄을 상기 가마니를 숙성 창고의 창고 바닥 위에 놓이는 받침대 위에 다단으로 쌓아 올리고, 숙성 창고의 저장 공간을 그늘지고 통기, 통습 가능한 환경으로 유지시켜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를 가마니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특1995-0013401호에는 염화나트륨과 연화칼륨입자직경 0.4~0.8mm을 압축공기(2kg/㎠에 의해 80℃에서 부유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영양성분조성물의 용액을 80℃의 온도에서 분무시켜(분무속도 10ml/min)접촉코팅하고 그 코팅이 완료될 때 30분간 더 부유상태로 유지시키면서 건조시켜 안정화 처리를 함으로써 영양성분으로 칼슘, 아연, 인, 철 및 마그네슘을 강화시킨 영양강화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036538호에는 오폐수등 오염물질 유입이 없는 청정 지역의 표토 1m 이하의 심층갯벌을 준비하는 갯벌채취공정과;용기성형에 알맞게 80∼100메쉬 이하로 채 걸름하는 공정과;채 걸름한 갯벌을 25∼30℃ 온도에서 12시간 숙성하는 공정과;숙성된 갯벌 60∼70 중량부, 일반퇴적점토 20∼30 중량부, 납석 15∼20 중량부, 패화석 3∼5중량부로 혼련한 소지(素地)로 뚜껑과 갯벌단지를 성형하는 공정과;성형된 갯벌단지를 80∼100℃ 온도로 열풍 가열 후, 0℃ 온도로 12시간 냉장시키는 공정과; 활성화된 갯벌단지를 가마에 넣어 700℃ 온도로 5∼6시간 1차 소성시켜, 냉각후 가마에서 꺼내, 천일염을 담고 뚜껑을 덮어 가마에 적재해 790℃ 온도로 7∼8시간동안 2차 소성시키는 공정과; 실온으로 냉각된 가마에서 갯벌단지를 꺼내 소금을 채취 선별하는 공정과; 진공포장 완성하는 최종 공정을 포함하는 갯벌 구운소금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20-0029824호에는 원료염(原料鹽)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단계; 전처리된 원료염을 용융부와 RF코일부에 의하여 가열하여 용융된 소금을 제조하는 용융단계; 상기 용융된 소금을 아토마이징 방법을 이용하는 냉각부에서 급냉시켜 제1 크기를 갖는 고형의 소금으로 제조하는 냉각단계; 및 상기 고형의 소금을 분쇄부를 통과시켜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를 갖도록 분쇄시키는 분쇄단계;를 포함하고, 내부에 복수개의 포어를 구비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순도를 갖고, 몸에 유익한 기능성 성분을 다량 보유한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천일염에 대한 연구 및 제품 개발에 미흡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해삼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해삼 삶은 물을 활용하여 천일염 제조에 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동시에 아미노산, 사포닌과 같은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한 천일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천일염 가공방법은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채반에 나열하여 천일염으로 염지하는 해삼 전처리 단계(A); 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해삼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B)단계의 해삼 열수추출물의 온도를 낮추는 해삼 열수추출물 식힘 단계(C); 바닷물을 갯벌 또는 저수지에 유입시켜 보관한 후, 수로를 매개로 제1증발지로 이동시켜 상기 바닷물과 상기 (C)단계로 제조된 해삼 열수추출물을 1:1부피비로 저장 및 증발하고 제2증발지로 이동시킨 후 지속적인 증발로 인한 소금 결정화를 시키는 증발단계(가); 상기 (가)단계를 거쳐 결정화 된 소금을 한 곳으로 모아 저장하는 채염단계(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재결정 소금 제조방법은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채반에 나열하여 천일염으로 염지하는 해삼 전처리 단계(A); 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해삼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B)단계의 해삼 열수추출물의 온도를 낮추는 해삼 열수추출물 식힘 단계(C); 천일염을 상기 (C)단계로 제조된 해삼 열수 추출물에 용해시키고 교반하는 천일염 용해단계(a); 상기 (a)단계로 용해가 완료된 소금 용해액을 분무건조 또는 농축 건조를 실시하여 소금을 재결정화 시키는 건조단계(b)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해조류를 가공함으로써 건해삼 제조시 해삼 부산물을 대량 폐기하지 않게 되어 친환경적이며, 부산물 처리에 드는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해삼 자숙 부산물에는 해삼이 가지고 있는 아미노산, 사포닌과 같은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섭취를 통해 영양성분을 흡수하여 면역력 개선 및 항산화 활성 등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삼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천일염 가공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삼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재결정 소금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건해삼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해삼 부산물로 제조한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동시에 아미노산, 사포닌과 같은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우수한 저장성을 가진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 1. 해삼 열수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해삼 열수추출물의 제조는 전처리된 해삼을 물을 넣고 1.5㎏/㎠ 압력 하에 9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며, 제조된 해삼 열수추출물은 온도가 20℃가 되도록 식혀주는 공정을 포함한다.
(A) 해삼 전처리 단계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채반에 나열하여 천일염으로 염지하는 해삼 전처리 단계(A)는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해삼 손질 및 준비 과정이다. 먼저 생해삼의 복부를 절개하여 내장을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절개 부위가 너무 작거나 크지 않도록 하며, 내장을 제거할 때 해삼 내장이 터지지 않도록 한다.
내장 제거를 끝낸 생해삼은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세척한 후 채반에 나열하여 천일염 0.5%로 염지한다. 이때 사용되는 천일염은 국내산 소금으로써, 쓴맛이 없도록 12개월 내지 36개월 동안 간수를 뺀 천일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운 소금이나 염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염지과정은 손질된 해삼에 소금을 처리하는 과정으로 해삼 1000g에 천일염 5g의 비율로 넣어 8~10시간동안 수행한다.
(B)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는 (A)단계의 전처리된 해삼은 중탕기에 물과 함께 넣고 90℃ 이상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 및 건해삼 공정용 해삼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A)단계를 거쳐 전처리된 해삼 100 중량부에 물 200 중량부를 넣고 1.5㎏/㎠ 압력 하에 90℃ 내지 100℃에서 10분 내지 30분간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물은 해삼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2배가 바람직하며, 이보다 적을 경우 해삼 내부의 소금기가 충분히 빠져나오지 못하며, 이보다 많을 경우 소금기는 충분히 빠져나오지만 해삼 내부에 수분이 많이 남아지게 되어 해삼의 상품성 및 보존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열수추출 과정이 완료된 후, 해삼 열수추출물을 수득하고, 해삼은 중탕기에서 건져내 염장과 자숙 과정을 거쳐 건조하여 건해삼으로 제조한다. 해삼을 건져낸 해삼 열수추출물은 생선 염지단계에서 사용하며 해삼의 사포닌 및 아미노산과 같은 영양성분을 그대로 함유한다.
건해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해삼을 자숙한 후 발생하는 다량의 자숙 부산물은 대부분 그냥 버려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버려지는 자숙 부산물에는 해삼이 함유하고 있는 사포닌, 아미노산 등과 같은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해삼 열수추출물과 인삼에 포함되는 사포닌의 함량을 대비한 결과를 표 1에 도시하였다.
해삼 열수추출물과 인삼추출물에 포함되는 사포닌 함량
사포닌 성분 해삼 열수추출물 인삼
Rg1 0.016 mg/g 0.29 mg/g
Re 0.008 mg/g 0.34 mg/g
Rf 0.005 mg/g 0.14 mg/g
Rg2+Rh1 0.013 mg/g -
Rb1 0.005 mg/g 0.27 mg/g
Rc 0.021 mg/g 0.15 mg/g
Rb2+Rb3 0.020 mg/g 0.11 mg/g
Rd 0.006 mg/g 0.08 mg/g
Rg3
(S,R)
0.0006 mg/g -
Rh2 0.0004 mg/g -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삼 열수추출물에는 Rg1 (면역기능강화), Rb1 (진정효과), Rg3 (항암효과)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된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해삼 열수추출물에는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C) 해삼 열수추출물 온도 식힘 단계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해삼 열수추출물은 온도가 20℃가 되도록 해삼 열수추출물 식힘 단계(C)를 거친다. 해삼 열수추출물의 온도를 20℃ 까지로 일정하게 식혀주는 것은 후술 할 가공 공정 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하고자 하는 원료가 온도에 의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2.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천일염 가공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해삼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천일염 가공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해삼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천일염 가공방법은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하여 전처리하는 단계(A); 상기 전처리된 해삼을 물에 넣고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 바닷물을 염전 저수지에 유입시키고 상기 제조된 해삼 열수추출물을 혼합한 후, 증발시켜 소금 결정화를 시키는 증발단계(가); 상기 결정화된 소금을 한 곳으로 모아 저장하는 채염단계(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채반에 나열하여 천일염으로 염지하는 해삼 전처리 단계(A); 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해삼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B)단계의 해삼 열수추출물의 온도를 낮추는 해삼 열수추출물 식힘 단계(C); 바닷물을 갯벌 또는 저수지에 유입시켜 보관한 후, 수로를 매개로 제1증발지로 이동시켜 바닷물과 상기 (C)단계로 제조된 해삼 열수추출물을 1:1부피비로 저장 및 증발하고 제2증발지로 이동시킨 후 증발로 인한 결정화를 시키는 증발단계(가); 상기 (가)단계를 거쳐 결정화 된 소금을 한 곳으로 모아 저장하는 채염단계(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 증발 단계
본 발명의 증발 단계(가)는 바닷물을 갯벌 또는 저수지에 유입시켜 저수지에서 염도를 5~6%까지 올리고 채염 원료를 확보하기 위해 보관을 실시한다. 상기 보관중인 바닷물을 수로를 통해 제1증발지(난치)로 보낸다.
상기 제1증발지에는 해수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해삼 열수추출물을 1:1부피비로 투입하여 증발작용에 의한 농축을 실시한다. 약 1주일 정도 증발을 실시하여 염도 6~8의 소금물을 만들어 제2증발지(느태)로 이동시킨다.
이때, 해삼 열수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사포닌 성분이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소금과 함께 용해가 되면서 융합이 되고 증발에 따른 결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증발지에는 상기 제1증발지에서 농축된 소금물을 더욱 농축시켜 사포닌 성분이 포함된 소금을 분리시킬 수 있다.
(나) 채염단계
본 발명의 채염단계(나)는 상기 (가)단계를 거쳐 일정 형상으로 결정화 된 소금을 대파(끌개)를 이용하여 한 곳으로 모은 후 채반형상의 상자에 저장하여 수분을 어느 정도 제거한 다음 소금창고로 이동시킨다.
<실시예 3.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재결정 소금 제조방법>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소금은 천일염으로서, 간수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금은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재결정 방법을 실시한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재결정 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은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하여 전처리하는 단계(A); 상기 전처리된 해삼을 물에 넣고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 천일염을 상기 제조된 해삼 열수 추출물에 용해시키고 교반하는 천일염 용해단계(a); 상기 용해된 소금 용해액을 분무건조 또는 농축 건조하여 소금을 재결정화 시키는 건조단계(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한 후, 채반에 나열하여 천일염으로 염지하는 해삼 전처리 단계(A); 상기 (A)단계의 전처리된 해삼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B)단계의 해삼 열수추출물의 온도를 낮추는 해삼 열수추출물 식힘 단계(C); 천일염을 상기 (C)단계로 제조된 해삼 열수 추출물에 용해시키고 교반하는 천일염 용해단계(a); 상기 (a)단계로 용해가 완료된 소금 용해액을 분무건조 또는 농축 건조를 실시하여 소금을 재결정화 시키는 건조단계(b)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천일염 용해단계
본 발명의 천일염 용해 단계(a)는 소금의 포화상태를 고려해서 가능한 포화상태까지 천일염을 용해하도록 해삼 열수추출물에 소금 20~23중량%를 투입한 후, 단시간 내에 용해되도록 1시간 동안 교반을 실시한다. 상기 천일염은 통상적으로 판매되는 천일염이나,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천일염을 사용함으로써 소금결정에 사포닌 성분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b) 건조단계
상기 (b) 단계로 용해가 완료된 소금 용해액은 분무건조 또는 농축 건조를 실시하여 소금을 재결정화 시킨다. 이에 소금은 건조와 함께 결정화 되면서 해삼 열수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물질인 사포닌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포닌, 아미노산 등과 같은 영양성분이 뛰어난 해삼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해삼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해삼 부산물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해삼의 뛰어난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우수한 저장성을 가진 소금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건강 증진 및 수산 식품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3)

  1.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하여 전처리하는 단계(A); 상기 전처리된 해삼을 물에 넣고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
    바닷물을 염전 저수지에 유입시키고 상기 제조된 해삼 열수추출물을 혼합한 후, 증발시켜 소금 결정화를 시키는 증발단계(가);
    상기 결정화된 소금을 한 곳으로 모아 저장하는 채염단계(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사포닌 성분이 함유된 소금 가공방법
  2. 해삼의 내장을 제거하고 세척하여 전처리하는 단계(A); 상기 전처리된 해삼을 물에 넣고 가열하여 해삼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B);
    천일염을 상기 제조된 해삼 열수 추출물에 용해시키고 교반하는 천일염 용해단계(a);
    상기 용해된 소금 용해액을 분무건조 또는 농축 건조하여 소금을 재결정화 시키는 건조단계(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사포닌 성분이 함유된 소금 가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사포닌 성분이 함유된 소금
KR1020210047673A 2020-05-15 2021-04-13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KR102662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8703 2020-05-15
KR1020200058703 2020-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337A true KR20210141337A (ko) 2021-11-23
KR102662891B1 KR102662891B1 (ko) 2024-05-03

Family

ID=7869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673A KR102662891B1 (ko) 2020-05-15 2021-04-13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8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38B1 (ko) 2008-06-20 2011-05-24 전영호 갯벌 구운소금 제조방법
KR20200029824A (ko) 2018-09-11 2020-03-19 이재원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
KR20200045722A (ko) 2018-10-23 2020-05-06 손양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538B1 (ko) 2008-06-20 2011-05-24 전영호 갯벌 구운소금 제조방법
KR20200029824A (ko) 2018-09-11 2020-03-19 이재원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
KR20200045722A (ko) 2018-10-23 2020-05-06 손양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번호 특1995-0013401호에는 염화나트륨과 연화칼륨입자직경 0.4~0.8mm을 압축공기(2kg/㎠에 의해 80℃에서 부유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영양성분조성물의 용액을 80℃의 온도에서 분무시켜(분무속도 10ml/min)접촉코팅하고 그 코팅이 완료될 때 30분간 더 부유상태로 유지시키면서 건조시켜 안정화 처리를 함으로써 영양성분으로 칼슘, 아연, 인, 철 및 마그네슘을 강화시킨 영양강화소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891B1 (ko)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82694B (zh) 一种芒果干的生产方法
CN109123582A (zh) 一种竹盐的制备方法
KR20190114239A (ko) 죽염을 첨가한 매생이 굴국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방법
CN103783619A (zh) 一种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704750B1 (ko) 천일염 및 함초를 이용한 함초소금 제조 방법
WO2018014664A1 (zh) 一种有益心血管系统健康的果蔬制品及制备方法
KR101036325B1 (ko) 미네랄 강화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1337A (ko)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KR20090053352A (ko) 양파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EP2868208A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low-hygroscopic, dried extract of a vitamin C rich fruit or vegetable species
KR20160020746A (ko) 생홍고추를 이용한 토마토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72857B1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KR20150025861A (ko) 연과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N103815440A (zh) 一种冻状海参罐头及其制作方法
KR20140068360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꾸지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꾸지뽕 추출물
CN103960652A (zh) 一种香菇菌柄生产的素食品及加工方法
CN102309023A (zh) 一种棕香皮蛋
KR20100016685A (ko) 해양심층수로부터 분리된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네랄 소금의제조 방법
KR102420819B1 (ko)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해조류 가공방법
KR100476418B1 (ko) 초산칼슘 첨가에 의한 칼슘강화 및 선도유지형 김치 및이의 제조방법
KR20150112174A (ko) 청양고추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2985B1 (ko) 달걀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495281A (zh) 一款调味海参蔬菜汁
KR20120077700A (ko) 함초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120018B1 (ko)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생선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