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722A -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722A
KR20200045722A KR1020180126592A KR20180126592A KR20200045722A KR 20200045722 A KR20200045722 A KR 20200045722A KR 1020180126592 A KR1020180126592 A KR 1020180126592A KR 20180126592 A KR20180126592 A KR 20180126592A KR 20200045722 A KR20200045722 A KR 20200045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e
salt
bales
warehouse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755B1 (ko
Inventor
손양호
손정관
Original Assignee
손양호
손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양호, 손정관 filed Critical 손양호
Priority to KR102018012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7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를 친환경적으로 제거하고, 천일염을 미네랄의 손실 없이 수분을 건조하여 몸에 좋은 고품질의 친환경 천일염을 제조할 수 있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은, 해수를 취수하고 증발시켜 결정화하는 단계와, 채염된 천일염을 쌓아 올려 일차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일차 수분 제거된 천일염을 볏짚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통공 및 천일염이 담기는 수납 공간을 갖는 가마니 몸체를 포함하는 가마니에 담는 단계와, 천일염이 담긴 가마니를 저장 공간을 갖는 숙성 창고의 내부에 저장하되, 가마니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새끼줄이 위치하도록 가마니 몸체에 새끼줄을 상기 가마니를 숙성 창고의 창고 바닥 위에 놓이는 받침대 위에 다단으로 쌓아 올리고, 숙성 창고의 저장 공간을 그늘지고 통기, 통습 가능한 환경으로 유지시켜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를 가마니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ECO-FRIENDLY SOLAR SALT}
본 발명은 천일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로부터 채염된 천일염을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보관하여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를 빼내면서 숙성시켜 친환경적인 천일염을 제조할 수 있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크게 정제염과 천일염으로 분류된다. 정제염은 바닷물을 전기 분해하여 이온수지막으로 불순물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얻어낸 염화나트륨의 결정체이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소금으로 굵고 반투명한 육각형의 결정을 갖는다.
정제염의 경우, 가열 공정을 거친 구운소금, 볶은소금, 죽염 등의 가공염과 대량 생산되는 기계염이나 화학염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계염이나 화학염은 보통 바닷물을 이온교환막에 전기 투석시켜 제조하는데 소금에 함유되어 있는 몸에 좋은 미네랄 성분까지 모두 제거된다. 이러한 정제염은 염분의 함량이 너무 높아 고지혈증이나 동맥경화와 같은 각종 성인병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천일염은 전통적으로 김장 김치를 만들거나 각종 장류를 담그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천일염은 바닷물에서 유래되는 여러 미네랄을 함유하여 인체에 필수적인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이 풍부하며, 갯벌의 유기성분들을 함유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하다. 천일염 중에 함유된 마그네슘은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효소를 활성화하며, 칼슘, 인과 함께 뼈의 대사에 작용을 하며, 천일염 중에 함유된 칼슘은 세포막과 뼈를 강화시키며 심장근육과 신경에 관여한다. 천일염 중에 함유된 칼륨은 수분유지를 통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고 근육수축을 조절하며 신경근의 원활한 활동을 유도한다. 특히, 국산 천일염은 당뇨나 동맥경화 등 성인병을 완화시켜 주는 효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자연 건조된 천일염은 몸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간수가 포함되어 있다. 간수는 소금에 약 25% 정도 함유된 쓴맛 성분으로 그 주성분은 마그네슘, 칼륨, 황, 아연 등이 주요 구성 성분이고,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및 황산칼슘 형태로 존재한다. 간수는 쓴맛과 비교적 자극성이 강한 맛을 지녀 식품의 맛을 해칠 뿐만 아니라 조해성이 강한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천일염 생산 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염전에서 채염 후 소금창고에 일정기간 보관하여 간수를 제거하고 감촉이 좋은 소금을 제조하기 위해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소금에서 간수를 포함한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을 경우, 소금 포장 후에도 수분이 빠져 나오게 되어 소금이 축축해지고, 소금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간수가 불완전하게 제거되면 소금에 쓴맛이 존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천일염 생산 업체에서는 이러한 수분의 제거를 빠른 시일 내에 해결하기 위하여 원심탈수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원심탈수기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경우, 수분만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수분과 함께 천일염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미네랄도 함께 제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천일염 제조방법은 수분 제거 공정에서 인체에 필수적인 유익한 미네랄 성분의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천일염의 미네랄 성분을 보유하기 위해, 천일염 제조 공정에서 바닷물을 기계적으로 끓이거나 분무 건조하여 미네랄 함량이 높은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방식이 간단하지 않다. 또한, 종래에는 천일염의 미네랄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 천일염의 제조 시 외부에서 다른 성분들을 공정 중에 추가하여 천일염의 미네랄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천일염의 고유의 미네랄을 보존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제조하는 방법은 연구되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천일염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의 포대에 수용된 상태에서 유통되고, 이 포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저장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천일염을 포대에 담긴 상태로 창고 등에 보관하여 간수를 빼내기도 하는데, 합성수지재 포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삭으면서 부서져 천일염 속에 섞이기 쉽다. 따라서, 합성수지재 포대에 보관되는 천일염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기 쉬어 섭취에 주의가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5-0096998호 (2015. 08. 2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를 친환경적으로 제거하고, 천일염을 미네랄의 손실 없이 수분을 건조하여 몸에 좋은 고품질의 친환경 천일염을 제조할 수 있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은, (a) 해수를 취수하고 증발시켜 결정화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채염된 천일염을 쌓아 올려 일차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일차 수분 제거된 천일염을 볏짚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통공 및 천일염이 담기는 수납 공간을 갖는 가마니 몸체를 포함하는 가마니에 담는 단계; 및 (d) 천일염이 담긴 상기 가마니를 저장 공간을 갖는 숙성 창고의 내부에 저장하되, 상기 가마니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새끼줄이 위치하도록 상기 가마니 몸체에 상기 새끼줄을 감아 상기 가마니를 상기 숙성 창고의 창고 바닥 위에 놓이는 받침대 위에 다단으로 쌓아 올리고, 상기 숙성 창고의 저장 공간을 그늘지고 통기, 통습 가능한 환경으로 유지시켜 상기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를 상기 가마니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는, 복수의 볏짚 각각의 끝단이 상기 가마니 몸체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상기 가마니 몸체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마니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 하나당 천일염이 40~45kg씩 담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의 무게가 4~7kg 감소될 때까지 천일염을 상기 숙성 창고에서 숙성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의 상하 두께가 전후 폭 및 좌우 폭보다 작게 되도록 상기 가마니에 천일염을 담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천일염이 담긴 상기 가마니를 눕혀서 적층하는 것이 좋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가 중앙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그 상하 두께가 감소하도록 상기 가마니에 천일염을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받침대 각각의 상면에 상기 가마니를 다단 배치하여 가마니 더미를 형성하되, 상기 가마니 더미는, 상기 가마니가 복수 개씩 상기 받침대 상면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가마니 단이 다단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가마니 더미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가마니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가마니 단에 배치되는 가마니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가마니 단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가마니와 접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가마니에서 빠져나오는 간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창고 바닥에는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간수를 소정의 수거 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배수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숙성 창고는, 상기 창고 바닥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전면 벽과, 상기 전면 벽과 마주하도록 상기 창고 바닥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후면 벽과,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창고 바닥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져 상기 전면 벽과 상기 후면 벽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벽과, 상기 전면 벽과, 상기 후면 벽과, 상기 한 쌍의 측면 벽에 의해 상기 창고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덮는 지붕과, 상기 전면 벽의 중간에 마련되는 전면 통기구와, 상기 후면 벽의 중간에 마련되는 후면 통기구와, 상기 한 쌍의 측면 벽 각각의 중간에 마련되는 측면 통기구와, 상기 지붕에 마련되는 지붕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창고 바닥에서 상기 전면 통기구까지의 높이 및 상기 창고 바닥에서 상기 후면 통기구까지의 높이는 상기 창고 바닥에서 상기 측면 통기구까지의 높이와 다른 것이 좋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전면 벽과 상기 후면 벽과 상기 한 쌍의 측면 벽으로부터 이격되되, 복수 개가 상기 창고 바닥에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격자 배열되고, 상기 받침대 각각의 상면에 상기 가마니가 다단 배치되어 가마니 더미를 형성하되, 상기 가마니 더미는, 상기 가마니가 복수 개씩 상기 받침대 상면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가마니 단이 다단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받침대 각각에 마련되는 상기 가마니 더미는 각각 전후좌우로 이웃하는 다른 가마니 더미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가마니 더미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세로 간극 및 가로 간극이 마련되고, 상기 가마니 더미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가마니 단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마니 단은 상기 전면 통기구와 상기 후면 통기구와 상기 측면 통기구 중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것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일염이 담긴 복수의 가마니를 숙성 창고의 저장 공간에 적층 및 배치한 상태에서 저장 공간을 그늘지고 통기, 통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환경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를 가마니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을 친환경적으로 숙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천일염을 미네랄의 손실 없이 수분을 건조하여 몸에 좋은 고품질의 친환경 천일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은 볏짚으로 만든 가마니에 천일염을 담아 숙성시키므로,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가 가마니의 통공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고, 통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가마니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천일염에 도달함으로써 천일염에 대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은 천일염을 볏짚으로 만든 가마니에 담아 숙성시키므로, 볏짚에 들어있는 효소가 유해물질의 생성을 저해하고 천일염의 숙성에 좋은 영향을 미침으로써 고품질의 천일염을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마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마니에 천일염이 담긴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가마니가 숙성 창고의 창고 바닥에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가마니가 숙성 창고의 창고 바닥에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숙성 창고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숙성 창고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숙성 창고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은, 채염 공정(S10)과, 수분 제거 공정(S20)과, 가마니 투입 공정(S30)과, 간수 제거 및 숙성 공정(S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에 따르면, 해수로부터 채염된 천일염(S)을 친환경적으로 간수를 제거하면서 숙성시킴으로써 미네랄의 손실 없이 몸에 좋은 고품질의 친환경 천일염을 제조할 수 있다.
채염 공정(S10)은 해수를 취수하고 증발시켜 결정화하는 단계이다. 통상적인 채염 방식과 같이 바닷가로부터 해수를 취수하여 해수 저수지로 보내 염도를 높이고, 해수를 결정지에서 증발시켜 결정화함으로써 천일염(S)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분 제거 공정(S20)은 채염 공정(S10)에서 채염된 천일염(S)을 염전 창고 등에 쌓아 올려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채염된 천일염(S)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염전 창고 등 물빠짐이 가능한 장소에 쌓아 올림으로써 천일염(S)이 함유하는 수분을 일차로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마니 투입 공정(S30)은 수분 제거 공정(S20)에서 일차 수분 제거된 천일염(S)을 다수의 통공을 갖는 가마니(10)에 담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일차 수분 제거된 천일염(S)을 가마니(10)에 담음으로써 천일염(S)이 담긴 가마니(10)를 작업자가 다루기 쉽다. 그리고 일차 수분 제거된 천일염(S)을 가마니(10)에 담아 숙성 창고(30)에 저장함으로써, 간수 제거 및 숙성 공정(S40)에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가마니(10)는 볏짚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볏짚으로 만든 가마니(10)는 수분과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13)을 가지므로, 이에 담긴 천일염(S)으로부터 간수를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고, 천일염(S)을 친환경적으로 숙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볏짚으로 만든 가마니(10)은 이에 담긴 천일염(S)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 간수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더욱이, 볏짚으로 이루어진 가마니(10)는 천일염(S)과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장시간 보관 시 볏짚의 유익한 성분이 천일염(S)에 전달되어 천일염(S)의 미네랄 성분을 증대시키고, 유해물질 생성을 방지하여 천일염(S)의 숙성을 도울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마니(10)는 가마니 몸체(11)와, 가마니 마무리부(14)와, 가마니 날개부(15)를 포함하고, 펼쳤을 때 평면 모양이 사각형인 형상을 갖는다. 가마니 몸체(11)의 내부에는 천일염(S)이 담기는 수납 공간(12)이 마련된다. 가마니 몸체(11)의 양측 단부에는 가마니 마무리부(14)가 구비되고, 가마니 몸체(11)의 한쪽 단부는 천일염(S)을 담을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가마니 몸체(11)의 다른 쪽 단부는 천일염(S)이 담긴 후 밀봉된다. 가마니 날개부(15)는 복수의 볏짚 각각의 끝단이 가마니 몸체(11)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한 쌍의 가마니 마무리부(14)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가마니(10)는 가마니 몸체(11)의 길이(L1)가 가마니 몸체(11)의 폭(W)보다 길고, 가마니 몸체(11)의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부분(가마니 마무리부(14)와 가마니 날개부(15)를 포함한 부분)의 길이(L2)가 가마니 몸체(11)의 폭(W)보다 짧은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마니(10)에는 천일염(S)이 40~45kg씩 담길 수 있다. 가마니(10)에 이보다 적은 천일염(S)이 담기면 천일염(S)을 숙성시키기 위한 저장 공간이 증가하게 되어 비효율적이고, 이보다 많은 천일염(S)이 담기면 천일염(S)의 하중으로 가마니(1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가마니(10)의 중심부에 담긴 천일염(S)에서 간수가 빠져나오기 어려워 간수 제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마니(10)에 과도한 양의 천일염(S)이 담기면 작업자가 가마니(10)를 다루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가마니(10)에 천일염(S)을 담을 때, 가마니(10)의 상하 두께가 가마니 몸체(11)의 전후 폭 및 좌우 폭보다 작게 되도록 천일염(S)을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마니(10)가 이러한 모양이 되도록 가마니(10)에 천일염(S)을 담음으로써, 천일염(S)이 담긴 가마니(10)를 다단으로 쌓을 때 가마니(10)가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가마니(10)에 담긴 천일염(S)이 창고 바닥(32)에 대해 더욱 넓게 퍼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간수 배출에 유리하다.
또한, 가마니(10)에 천일염(S)을 담을 때, 가마니(10)가 중앙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그 상하 두께가 감소하도록 가마니(10)에 천일염을 담는 것이 좋다. 즉,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천일염(S)이 담긴 가마니(10)는 중앙의 두께(Tc)가 가장자리의 두께(Ts)보다 커서 중앙이 가장자리보다 더욱 불룩하게 부푼 모양이 되는 것이 좋다. 가마니(10)가 이러한 모양이 되도록 가마니(10)에 천일염(S)을 담음으로써, 천일염(S)이 담긴 가마니(10)를 다단으로 쌓을 때 전후상하좌우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가마니들(10) 사이에 공기와 수분이 통과할 수 있는 통기로를 확보할 수 있다. 가마니들(10) 사이에 마련되는 통기로를 통해 가마니(10)에서 배출되는 간수와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므로, 천일염(S)의 간수 제거 및 숙성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간수 제거 및 숙성 공정(S40)은 천일염(S)이 담긴 가마니(10)를 숙성 창고(30) 내부의 저장 공간(31)에 받침대(20)를 깔고 다단으로 쌓아 올려 천일염(S)에 함유된 간수를 제거하면서 천일염(S)을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받침대(20)는 숙성 창고(30)의 창고 바닥(32)에 수평으로 놓여 복수의 가마니(10)를 창고 바닥(3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떠받칠 수 있다. 받침대(20)의 평평한 상면에는 복수의 배출구(21)가 구비된다. 받침대(20) 위에 쌓인 가마니(10)에서 빠져나오는 간수가 배출구(21)를 통해 창고 바닥(32)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받침대(2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복수의 가마니(10)를 창고 바닥(3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떠받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숙성 창고(30)는 지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창고 바닥(32)과, 창고 바닥(32)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전면 벽(34)과, 전면 벽(34)과 마주하도록 창고 바닥(32)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후면 벽(39)과, 상호 마주하도록 창고 바닥(32)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져 전면 벽(34)과 후면 벽(39)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벽(42)과, 지붕(45)을 포함한다. 지붕(45)은 전면 벽(34)과, 후면 벽(39)과, 한 쌍의 측면 벽(42)에 의해 창고 바닥(3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되어 저장 공간(31)을 덮는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면 벽(34)의 중간에는 출입구(35)가 마련되고, 출입구(35)에는 출입문(36)이 설치된다. 전면 벽(34)에는 출입구(35)의 좌우 양측으로 전면 통기구(37)가 마련된다. 전면 통기구(37)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숙성 창고(3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전면 통기구(37)에는 해충의 유입을 막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면 벽(39)의 중간에는 후면 통기구(40)가 마련된다. 후면 통기구(4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숙성 창고(3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후면 통기구(40)에도 해충의 유입을 막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측면 벽(42)의 중간에는 측면 통기구(43)가 마련된다. 측면 통기구(43)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숙성 창고(3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측면 통기구(43)에도 해충의 유입을 막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될 수 있다.
전면 벽(34)과, 후면 벽(39)과, 한 쌍의 측면 벽(42) 각각에 구비되는 전면 통기구(37)와, 후면 통기구(40)와, 측면 통기구(43) 각각의 높이는 서로 다르다. 즉, 창고 바닥(32)에서 전면 통기구(37)까지의 높이 및 창고 바닥(32)에서 후면 통기구(40)까지의 높이는 창고 바닥(32)에서 측면 통기구(43)까지의 높이보다 낮다. 이와 같이, 각 통기구(37)(40)(43)의 설치 위치를 다르게 하면, 복수의 통기구(37)(40)(43)를 통해 숙성 창고(30)의 내부에서 공기가 더욱 다양한 흐름을 만들게 되어 천일염(S)에 대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지붕(45)은 전면 벽(34)과, 후면 벽(39) 및 한 쌍의 측면 벽(42)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 지붕(46)과, 메인 지붕(46) 위에 배치되는 서브 지붕(47)을 포함한다. 메인 지붕(46)과 서브 지붕(47)의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지붕 통기구(48)가 마련된다. 지붕 통기구(48)는 숙성 창고(3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지붕 통기구(48)에도 해충의 유입을 막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숙성 창고(30)는 복수의 벽(34)(39)(42)과 지붕(45)에 숙성 창고(3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통기구(37)(40)(43)(48)가 마련되므로, 저장 공간(31) 전체에서 공기 유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천일염(S)에 대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숙성 창고(30)는 가마니(10)에서 배출되는 간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로(50)를 갖는다. 배수로(50)는 받침대(20)의 배출구(21)에서 떨어지는 간수를 소정의 수거 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해 창고 바닥(32)에 마련된다. 배수로(50)는 창고 바닥(32) 위에 놓이는 복수의 받침대(20) 사이에 위치하도록 격자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배수로(50)는 간수를 숙성 창고(30)의 외부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숙성 창고(3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가마니 투입 공정(S30)에서 천일염(S)이 담긴 가마니(10)는 간수 제거 및 숙성 공정(S40)에서 창고 바닥(32) 위에 놓이는 받침대(20) 위에 다단으로 쌓여 보관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창고 바닥(32) 위에 받침대(20)가 전면 벽(34)과, 후면 벽(39)과, 한 쌍의 측면 벽(42)으로부터 이격되되, 복수 개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격자 배열된다. 그리고 받침대(20) 각각의 상면에 가마니(10)가 적층된다.
천일염(S)이 담긴 가마니(10)는 가마니 몸체(11)의 상부 및 하부에 새끼줄(60)이 위치하도록 가마니 몸체(11)에 새끼줄(60)이 감긴 상태로 받침대(20) 위에 눕혀서 적층된다. 새끼줄(60)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볏짚으로 이루어지며 가마니(10)의 대략 중앙을 둘러싼다. 이러한 새끼줄(60)은 가마니(10)를 둘러쌈으로써 가마니(10)가 천일염(S)의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새끼줄(60)은 다단으로 적층되는 가마니들(1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접하는 두 개의 가마니(10) 사이에 통기로를 형성한다. 즉, 아래 위에서 서로 맞닿는 두 개의 가마니(10) 사이에 새끼줄(60)이 개재됨으로써 가마니(10) 사이에 통기로가 확보될 수 있다.
새끼줄(60)에 의해 마련되는 통기로를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가마니(10)에 담긴 천일염(S)에 대한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통기로를 통해 가마니(10)에서 배출되는 간수가 유동할 수 있어 간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새끼줄(60)은 가마니(10)에서 배출되는 간수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가마니(10)로부터 간수의 배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마니(10)가 새끼줄(60) 위에 놓이면 새끼줄(60)이 가마니(10)의 중간 부분을 가압하게 되므로, 가마니(10)에 담긴 천일염(S)이 다소 펼쳐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가마니(10)에 담긴 천일염(S) 속으로 공기가 더욱 깊이 도달할 수 있고, 천일염(S) 속에 함유된 간수가 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새끼줄(60)은 도시된 형태 이외에 다양한 다른 형태 및 개수로 가마니(10)에 감길 수 있으며, 새끼줄(60)의 형상이나 두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새끼줄(60)이 감긴 가마니(10)는 받침대(20) 위에 다단 배치되어 가마니 더미(70)를 형성한다. 가마니 더미(70)는 가마니(10)가 복수 개씩 받침대(20) 상면과 수평 배치되어 형성되는 가마니 단(75)이 복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가마니 단(75)은 5개의 가마니(10)가 받침대(20) 상면과 수평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가마니 더미(70)는 5개의 가마니 단(75)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마니 더미(70)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마니(10)는 상대적으로 하측의 가마니 단(75)에 배치되는 가마니(10)가 상대적으로 상측의 가마니 단(75)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가마니(10)와 접하도록 적층되는 것이 좋다. 즉,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가마니 단(75)을 상호 엇갈리게 적층하면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가마니 단(75)에 배치되는 가마니(10)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가마니 단(75)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가마니(10)와 접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가마니(10)가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무너지지 않는 가마니 더미(70)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가마니(10)가 받침대(20) 상면과 수평 배치되어 하나의 가마니 단(75)을 형성할 때, 각 가마니(10)에 구비되는 가마니 날개부(15)가 다른 가마니(10)와 접하게 되고, 이렇게 가마니 날개부(15)가 위치하는 부분에 공기와 간수가 유동할 수 있는 통기로가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가마니 단(75)이 다단 적층되어 하나의 가마니 더미(70)를 형성할 때, 볏짚으로 만들어진 가마니(10)의 특성 상 가마니 단(75)과 가마니 단(75) 사이에도 공기와 간수가 유동할 수 있는 통기로가 마련된다. 따라서, 가마니 더미(70)를 구성하는 복수의 가마니(10)에 담긴 천일염(S) 속에 함유된 간수는 가마니(10)를 빠져나와 받침대(20)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고, 가마니(10) 속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가마니 더미(70)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마니 단(75)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마니 단(75)은 전면 통기구(37)와 후면 통기구(40)와 측면 통기구(43) 중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것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의 경우, 측면 통기구(43)의 높이가 가장 높으므로, 가마니 더미(7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마니 단(75)의 높이는 측면 통기구(43)의 최상부 높이보다 낮은 것이 좋다. 가마니 더미(70)가 측면 통기구(43)의 높이보다 높게 쌓이면 측면 통기구(43)보다 높이 위치하는 가마니(10)의 주위에서는 공기 유동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할 수 있어 천일염(S)에 대한 건조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복수의 받침대 각각에 형성되는 가마니 더미(70)는 전면 벽(34)과, 후면 벽(39)과, 한 쌍의 측면 벽(42)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며, 전면 벽(34)과 가마니 더미(70)의 사이와, 후면 벽(39)과 가마니 더미(70)의 사이와, 각각의 측면 벽(42)과 가마니 더미(70)의 사이에는 공기나 간수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가마니 더미(70)는 각각 전후좌우로 이웃하는 다른 가마니 더미(70)와 상호 이격된다. 그리고 복수의 가마니 더미(70)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세로 간극(85) 및 가로 간극(80)이 마련된다. 이들 가로 간극(80)과 세로 간극(85)을 통해 공기가 유동함으로써, 가마니(10)에 담긴 천일염(S)에 대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가로 간극(80)과 세로 간극(85) 중 하나의 폭은 다른 것에 비해 클 수 있으며, 폭이 큰 간극은 작업자가 다닐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배수로(50)는 가로 간극(80)과 세로 간극(85)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천일염(S)이 담긴 복수의 가마니(10)를 저장 공간(31)에 적층 및 배치한 상태에서 저장 공간(31)을 그늘지고 통기, 통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환경으로 유지시킴으로써, 가마니(10)에 담긴 천일염(S)에 함유된 간수를 가마니(10)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가마니(10)에 담긴 천일염(S)을 친환경적으로 숙성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은 볏짚으로 만든 가마니(10)에 천일염(S)을 담아 숙성시키므로, 천일염(S)에 함유된 간수가 가마니(10)의 통공(13)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고, 통공(13)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가마니(1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천일염(S)에 도달함으로써 천일염(S)에 대한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천일염(S)을 볏짚으로 만든 가마니(10)에 담아 숙성시키면 볏짚에 들어있는 효소가 유해물질의 생성을 저해하고 천일염(S)의 숙성에 좋은 영향을 미침으로써 고품질의 천일염(S)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친환경적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천일염(S)은 김치, 간장, 메주, 젓갈 등 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음식의 맛을 더욱 좋게 하고, 이를 섭취하는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가마니 투입 공정(S30)에서 가마니(10) 하나당 천일염이 40~45kg씩 담기는 경우, 가마니(10)에 담긴 천일염(S)의 무게가 4~7kg 감소될 때까지 천일염(S)을 숙성 창고(30)에서 숙성시키는 것이 좋다. 가마니(10)에 40~45kg씩 담긴 천일염(S)을 1년에서 수년 간 숙성 창고(30)의 그늘지고 통기성 좋은 환경에서 천일염(S)의 무게가 4~7kg 감소될 때까지 숙성시키면, 간수가 천일염(S)의 맛과 영양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간수가 제거된 고품질의 천일염(S)을 얻을 수 있다. 40~45kg 무게의 천일염(S)이 그 무게가 4kg 미만으로 감소하도록 숙성된 경우, 천일염(S)이 간수 성분의 영향을 받는 저숙성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40~45kg 무게의 천일염(S)을 그 무게가 7kg를 넘게 감소하도록 숙성시키려면 경우 숙성 기간이 너무 길어져 비효율적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천일염(S)이 담기는 가마니(1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천일염(S)이 쌓여 숙성되는 숙성 창고(3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천일염(S)이 쌓여 만들어지는 가마니 더미(70)의 형태나, 가마니 더미(70)를 형성하는 가마니(10)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분 제거 공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가마니 11 : 가마니 몸체
12 : 수납 공간 13 : 통공
14 : 가마니 마무리부 15 : 가마니 날개부
20 : 받침대 21 : 배출구
30 : 숙성 창고 31 : 저장 공간
32 : 창고 바닥 34 : 전면 벽
35 : 출입구 36 : 출입문
37 : 전면 통기구 39 : 후면 벽
40 : 후면 통기구 42 : 측면 벽
43 : 측면 통기구 45 : 지붕
46 : 메인 지붕 47 : 서브 지붕
48 : 지붕 통기구 50 : 배수로
60 : 새끼줄 70 : 가마니 더미
75 : 가마니 단 80 : 가로 간극
85 : 세로 간극

Claims (10)

  1. (a) 해수를 취수하고 증발시켜 결정화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채염된 천일염을 쌓아 올려 일차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일차 수분 제거된 천일염을 볏짚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통공 및 천일염이 담기는 수납 공간을 갖는 가마니 몸체를 포함하는 가마니에 담는 단계; 및
    (d) 천일염이 담긴 상기 가마니를 저장 공간을 갖는 숙성 창고의 내부에 저장하되, 상기 가마니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새끼줄이 위치하도록 상기 가마니 몸체에 상기 새끼줄을 감아 상기 가마니를 상기 숙성 창고의 창고 바닥 위에 놓이는 받침대 위에 다단으로 쌓아 올리고, 상기 숙성 창고의 저장 공간을 그늘지고 통기, 통습 가능한 환경으로 유지시켜 상기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에 함유된 간수를 상기 가마니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는, 복수의 볏짚 각각의 끝단이 상기 가마니 몸체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상기 가마니 몸체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마니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 하나당 천일염이 40~45kg씩 담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에 담긴 천일염의 무게가 4~7kg 감소될 때까지 천일염을 상기 숙성 창고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의 상하 두께가 전후 폭 및 좌우 폭보다 작게 되도록 상기 가마니에 천일염을 담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천일염이 담긴 상기 가마니를 눕혀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마니가 중앙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그 상하 두께가 감소하도록 상기 가마니에 천일염을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받침대 각각의 상면에 상기 가마니를 다단 배치하여 가마니 더미를 형성하되,
    상기 가마니 더미는, 상기 가마니가 복수 개씩 상기 받침대 상면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가마니 단이 다단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가마니 더미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가마니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가마니 단에 배치되는 가마니가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가마니 단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가마니와 접하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는 상기 가마니에서 빠져나오는 간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창고 바닥에는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간수를 소정의 수거 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배수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숙성 창고는,
    상기 창고 바닥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전면 벽과,
    상기 전면 벽과 마주하도록 상기 창고 바닥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후면 벽과,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창고 바닥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져 상기 전면 벽과 상기 후면 벽의 양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벽과,
    상기 전면 벽과, 상기 후면 벽과, 상기 한 쌍의 측면 벽에 의해 상기 창고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덮는 지붕과,
    상기 전면 벽의 중간에 마련되는 전면 통기구와,
    상기 후면 벽의 중간에 마련되는 후면 통기구와,
    상기 한 쌍의 측면 벽 각각의 중간에 마련되는 측면 통기구와,
    상기 지붕에 마련되는 지붕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창고 바닥에서 상기 전면 통기구까지의 높이 및 상기 창고 바닥에서 상기 후면 통기구까지의 높이는 상기 창고 바닥에서 상기 측면 통기구까지의 높이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전면 벽과 상기 후면 벽과 상기 한 쌍의 측면 벽으로부터 이격되되, 복수 개가 상기 창고 바닥에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격자 배열되고,
    상기 받침대 각각의 상면에 상기 가마니가 다단 배치되어 가마니 더미를 형성하되, 상기 가마니 더미는, 상기 가마니가 복수 개씩 상기 받침대 상면과 수평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가마니 단이 다단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받침대 각각에 마련되는 상기 가마니 더미는 각각 전후좌우로 이웃하는 다른 가마니 더미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가마니 더미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세로 간극 및 가로 간극이 마련되고,
    상기 가마니 더미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가마니 단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마니 단은 상기 전면 통기구와 상기 후면 통기구와 상기 측면 통기구 중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것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KR1020180126592A 2018-10-23 2018-10-23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KR102113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92A KR102113755B1 (ko) 2018-10-23 2018-10-23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92A KR102113755B1 (ko) 2018-10-23 2018-10-23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722A true KR20200045722A (ko) 2020-05-06
KR102113755B1 KR102113755B1 (ko) 2020-05-20

Family

ID=7073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592A KR102113755B1 (ko) 2018-10-23 2018-10-23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337A (ko) 2020-05-15 2021-11-23 무창포 자율관리어업공동체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137A (ko) * 2010-11-24 2012-06-01 최진산 천일염 제조방법
KR200461760Y1 (ko) * 2012-04-02 2012-08-03 이인묵 소금 포장용 포대
KR101430229B1 (ko) * 2012-08-08 2014-08-14 이은철 간수 빼기 소금저장 상자
KR20150096998A (ko) 2014-02-17 2015-08-26 곽민선 친환경의 기능성 천일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0004B1 (ko) * 2017-11-01 2018-05-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오름착한식품 간수 배출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137A (ko) * 2010-11-24 2012-06-01 최진산 천일염 제조방법
KR200461760Y1 (ko) * 2012-04-02 2012-08-03 이인묵 소금 포장용 포대
KR101430229B1 (ko) * 2012-08-08 2014-08-14 이은철 간수 빼기 소금저장 상자
KR20150096998A (ko) 2014-02-17 2015-08-26 곽민선 친환경의 기능성 천일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0004B1 (ko) * 2017-11-01 2018-05-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오름착한식품 간수 배출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소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337A (ko) 2020-05-15 2021-11-23 무창포 자율관리어업공동체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 해삼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소금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755B1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635053A5 (de) Verfahren und anlage zur verwertung von traubentrester.
KR102113755B1 (ko) 친환경 천일염 제조방법
CN106115052A (zh) 一种水果包装箱
CN108419852B (zh) 普洱茶茶化石的生产工艺
CN204598999U (zh) 一种新型组合式蜂箱
CN106865026A (zh) 一种分级储果筐
CN107094872A (zh) 板栗保鲜储藏方法
KR101937098B1 (ko) 볏짚을 이용한 발효차 제조방법
CN2922453Y (zh) 蜜蜂半脾巢蜜盒
CN105941342A (zh) 一种产茶昆虫饲养、虫茶收集装置及其饲养方法
CN202026629U (zh) 阳台育菜格
CN109043393A (zh) 一种海带加工方法及得到的超压缩海带产品
CN111820152B (zh) 用于生产成熟蜂蜜的蜂箱以及生产成熟蜂蜜的方法
CN207626369U (zh) 一种多功能蜂场转地控飞装置
KR200482463Y1 (ko) 벌꿀 채집이 용이한 친환경 계상 벌통
JP4313518B2 (ja) ヤエヤマアオキ果汁及びその製造方法
CN208338434U (zh) 一种林下魔芋种植防护装置
CN207443977U (zh) 一种折叠式便于收纳的蜂箱
CN206078923U (zh) 一种食物晾晒风干装置
CN209965155U (zh) 一种红糖烘烤用托盘
KR101446456B1 (ko) 조립식 목재방틀에 잡석을 채운 코이어롤 구조의 식생방틀
CN102246640A (zh) 一种减少甜高粱茎秆糖分损失的储存方法
Samp The bag or block system of Agaricus mushroom growing
CN207284758U (zh) 一种新型活动蜜蜂箱
CN112640673B (zh) 一种海马齿的运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