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913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9137A
KR20210139137A KR1020210044963A KR20210044963A KR20210139137A KR 20210139137 A KR20210139137 A KR 20210139137A KR 1020210044963 A KR1020210044963 A KR 1020210044963A KR 20210044963 A KR20210044963 A KR 20210044963A KR 20210139137 A KR20210139137 A KR 2021013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terminal
block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602B1 (ko
Inventor
준지 오오사카
요헤이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91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73481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2280A external-priority patent/JP73668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5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74938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0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54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1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455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32981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12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41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719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55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72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617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545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842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76078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137A/ko
Publication of KR10262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프레임의 강도 및 차단성을 확보하면서, 부품수가 더욱 적은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프레임의 내측에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로서, 프레임에 마련되고,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의 상대측 커넥터를 둘러싸는 측벽과, 프레임의 내측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프레임의 내측에 있어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에 배치된 차단부를 구비한다. 측벽은 프레임의 전체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어 있고, 측벽 및 차단부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레임의 내측에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끼워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을 구비하는 종래의 커넥터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이하, 커넥터(1)라 함)를 들 수 있다. 커넥터(1)는 도 17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개구(2)를 갖는 프레임(3)의 내측에, 플러그 커넥터인 상대측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를 감합시킬 수 있다. 프레임(3)은 각통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대측 커넥터가 커넥터(1)에 감합된 상태에서는 상대측 커넥터를 둘러싼다.
프레임(3)의 내측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신호 전송용의 단자(4)가 배치되어 있고, 단자(4)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적 간섭이 프레임(3)에 의해서 차단되어 있다. 프레임(3)은 예를 들면, 금속판을 가공하여 성형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금속판에 대해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심리스로 연속된 프레임(3)이 얻어진다. 이러한 심리스인 프레임(3)은 강도 및 차단성의 면에서 우수해진다.
또, 프레임(3)의 내측에 복수의 단자(4)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4)끼리의 사이에 차단부(5)가 배치된다. 차단부(5)는 전자 실드이며, 단자(4)끼리간의 간섭, 구체적으로는 크로스 토크를 억제한다.
특허문헌 1: 중국 실용신안 제211126218호 명세서
커넥터는 더욱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적어질수록, 더욱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17 및 18에 나타내는 커넥터(1)와 같이 심리스인 프레임(3)을 구비하는 한편, 부품수가 더욱 적은 커넥터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목적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프레임의 강도 및 차단성을 확보하면서, 부품수가 더욱 적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레임의 내측에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로서, 프레임에 마련되고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의 상대측 커넥터를 둘러싸는 측벽과, 프레임의 내측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프레임의 내측에 있어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에 배치된 차단부를 구비하고, 측벽은 프레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고, 측벽 및 차단부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측벽이 프레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의 강도 및 차단성(실드성)이 확보된다. 또, 프레임의 측벽과 차단부가 동일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부품수가 더욱 적어진다. 그 결과, 커넥터의 조립 작업이 더욱 간단하게 되고, 커넥터의 제조 코스트를 내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프레임은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개구를 갖고, 상대측 커넥터는 개구로부터 프레임의 내측에 들어가 커넥터와 감합되고, 차단부는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개구와는 반대측의 일단에서 감합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의 개구를 넓게 확보하면서, 프레임의 개구와는 반대측의 일단을 이용하여 차단부를 적절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프레임은 측벽 중,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저벽을 갖고, 측벽, 저벽 및 차단부가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심리스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의 측벽 및 저벽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차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측벽, 저벽 및 차단부가 동일한 금속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차단부는 금속판에 있어서의 저벽과 차단부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금속판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의 측벽 및 저벽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차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측벽 중, 감합 방향에 있어서 개구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는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 부분이 마련되어 있고, 플랜지 부분은 측벽에 있어서 감합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심리스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환언하면, 프레임의 측벽을 성형할 때에, 프레임의 측벽에 플랜지 부분이 마련되는 바와 같은 가공 방법, 예를 들면, 드로잉 가공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심리스인 프레임을 제조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하우징은 차단부에 부착되어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는 차단부가 상대측 커넥터가 갖는 상대측 차단부와 감합되어 전자 실드를 구성하고, 차단부는 상대측 차단부와 감합되는 감합 부분과, 하우징이 부착되는 부착 부분을 가져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의 측벽과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된 차단부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하우징을 프레임의 내측에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에 차단부가 배치되어 있고, 교차 방향에 있어서, 감합 부분의 단면과 부착 부분의 단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차단부에 있어서 감합 부분 및 부착 부분이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차단부를 더욱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감합 부분은 상대측 차단부에 마련된 오목부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상대측 차단부와 감합되고, 부착 부분은 하우징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와, 삽입 오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압입부를 갖고, 압입부는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하우징의 일부분에 압입되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적절하게 차단부를 상대측 차단부에 감합시킬 수 있고, 또, 적절하게 하우징을 차단부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프레임은 도전성을 갖고,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단자이고, 프레임의 내측에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에 저주파 신호 전송용의 제 3 단자가 더 배치되어 있고, 제 1 단자와 제 3 단자 사이 및, 제 2 단자와 제 3 단자 사이에는 각각 차단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의 크로스 토크를 복수의 차단부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차단부는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차단부가 단자간의 크로스 토크를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의 강도 및 차단성이 확보되고, 또한 부품수가 더욱 적은 커넥터가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상대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프레임 및 차단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I-I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J-J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드로잉 가공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감합 도중 단계에서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각각의 전면도이다.
도 16은 감합 도중 단계에서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J-J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하나의 종래예에 관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하나의 종래예에 관한 커넥터가 구비하는 프레임 및 차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해, 첨부도면에 나타낸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든 일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형태로부터 변경 또는 개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 각 부의 재질, 형상 및 설계 치수는 본 발명의 용도 및 본 발명의 실시 시점에서의 기술 수준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된다.
또, 이하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방향을 X, Y, Z방향으로 하고,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이 Z방향과 대응한다. 여기서, Z방향은 커넥터의 상하 방향이고, X방향이 커넥터의 횡폭 방향이며, Y방향이 커넥터의 전후 방향인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커넥터 각 부의 형상 및 위치 등은 +Z측을 커넥터의 상측으로 하고, -Z측을 커넥터의 하측으로 해서 커넥터를 본 경우의 형상 및 위치 등인 것으로 한다. +Z측(상측)은 Z방향에 있어서 커넥터에서 보아 상대측 커넥터가 위치하는 측이고, -Z측(하측)은 Z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에서 보아 커넥터가 위치하는 측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교」 및 「평행」은 커넥터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를 포함하고, 엄밀한 직교 및 평행에 대해 몇 도(예를 들면 2∼3°) 미만의 범위내에서 어긋나 있는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는 것을 「커넥터 감합」이라고 하고,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고 있는 상태를 「커넥터 감합 상태」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의 구성예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이하, 커넥터(10))의 구성에 대해, 도 1∼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 도 13 및 도 16에 나타내는 단면은 후술하는 차단부(40)를 통과하는 단면(XZ면)이다.
커넥터(10)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커넥터(10)의 하단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10)는 상하 방향(Z방향)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인 상대측 커넥터(100)와 감합 가능하다.
커넥터(10)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과, 하우징(20)과, 복수의 컨택트(31, 32, 33)를 갖는다. 상대측 커넥터(10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프레임(102)과, 저벽(104)과, 컨택트 유지부(106, 108)와,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를 갖는다.
프레임(11)은 커넥터(10)의 외주벽을 이루고 있으며, 상대측 프레임(102)은 상대측 커넥터(100)의 외주벽을 이루고 있다. 프레임(11) 및 상대측 프레임(102)은 모두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중공 프레임이고, 예를 들면, 금속판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있는 오목부 공간을 둘러싸고 있다. 프레임(11)의 상단(Z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는 개구(10A)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감합시에는 도 7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100)가 개구(10A)로부터 프레임(11)의 내측에 있는 오목부 공간에 감입(끼워넣음)된다.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프레임(11)이 상대측 커넥터(100)의 전체둘레에 걸쳐 상대측 커넥터(100)를 둘러싸고, 프레임(11)의 내주면에 상대측 프레임(102)의 외주면이 접해 있다.
커넥터(10)에 있어서, 프레임(11)의 내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과 컨택트(31, 32, 33)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대측 커넥터(100)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프레임(102)의 내측에 있어서, 컨택트(31, 32, 33)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가 배치되어 있다.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는 저벽(104)에서 돌출된 볼록 형상의 컨택트 유지부(106, 108)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컨택트(31, 32, 33)는 신호 전송용 또는 급전용의 단자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중의 2개의 컨택트(31, 32)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단자이며, 즉 RF(Radio Frequency)용의 단자이다. 고주파는 예를 들면 6㎓이상의 주파수 대역이며, 5G(5th Generation) 등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컨택트(31, 32)는 쌍을 이루고 있으며, Y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세하게는 커넥터(10)의 중앙을 경계로 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Y측에 배치된 컨택트(31)는 제 1 단자에 상당하고, -Y측에 배치된 컨택트(32)는 제 2 단자에 상당한다. 한 쌍의 컨택트(31, 32)의 각각은 X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고, 혹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컨택트(33)는 도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내측에 복수로(도시한 형태에서는 6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컨택트(33)는 저주파 신호 전송용의 단자를 적어도 포함하고, 급전용의 단자를 더 포함해도 좋다. 복수의 컨택트(33)의 각각은 제 3 단자에 상당하고, Y방향에 있어서, 제 1 단자인 컨택트(31)와 제 2 단자인 컨택트(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컨택트(33)는 X 및 Y방향의 각 방향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예를 들면 커넥터(10)의 중앙을 경계로 해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도 좋고, 혹은 랜덤하게 배치되어도 좋다.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컨택트(31, 32, 33)가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 중, 대응하는 컨택트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컨택트(31)는 상대측 컨택트(111)와 대응하고, 컨택트(32)는 상대측 컨택트(112)와 대응한다. 또, 각 컨택트(31, 32, 33)는 예를 들면, +Z측이 개방된 아치 형상의 부분을 구비하고, 각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는 봉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각 컨택트의 아치 형상 부분의 내측에, 대응하는 상대측 컨택트가 삽입됨으로써, 양자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20)은 컨택트(31, 32, 33)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부품이며, 프레임(11)의 내측, 즉 오목부 공간에 배치된다. 하우징(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복수의 파트로 나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20)은 하우징(20)의 Y방향 중앙부를 이루는 부분(이하, 하우징 중앙부(21))과, 하우징(20)의 Y방향 양단부를 이루는 부분(이하, 하우징 단부(22))을 갖는다. 하우징 중앙부(2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볼록부(이하, 중앙 볼록부(23))와, X방향에 있어서 중앙 볼록부(23)의 양측에 위치하는 볼록부(이하, 측방 볼록부(24))를 구비한다. 중앙 볼록부(23) 및 2개의 측방 볼록부(24)는 각각, Y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중앙 볼록부(23)와 측방 볼록부(24) 사이에는 오목형의 감입홈(25)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감입홈(25)에는 컨택트(33)가 감입되어 있다(도 10 참조).
+Y측의 하우징 단부(22)와, -Y측의 하우징 단부(22)는 Y방향에 있어서 커넥터(10)의 중앙을 경계로 하여 대칭인 형상이다. 각 하우징 단부(2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이다. 하우징 단부(22) 중, Y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이하, 감입 오목부(26))가 마련되어 있다. +Y측의 하우징 단부(22)에 마련된 감입 오목부(26)에는 컨택트(31)가, -Y측의 하우징 단부(22)에 마련된 감입 오목부(26)에는 컨택트(32)가 각각, Y방향 내측에 압입되어 감입되어 있다.
하우징 중앙부(21)와 하우징 단부(22)는 그들 사이에 마련된 부분,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피삽입 부분(2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도 10 참조). 하우징(20)은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이며, 1회의 수지 성형 가공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하우징 중앙부(21) 및 하우징(22) 단부를 갖는 하우징(20)이 성형된다.
또, 커넥터(10)는 도 1, 도 2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내측에 차단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차단부(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즉, Z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컨택트(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Y방향에 있어서, +Y측의 컨택트(31)과 복수의 컨택트(33) 사이, 및 -Y측의 컨택트(32)와 복수의 컨택트(33) 사이에 각각, 차단부(40)가 1개씩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 등에 도시한 케이스에서는 프레임의 내측에 2개의 차단부(40)가 한 쌍의 컨택트(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단, 차단부(40)의 개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40)가 한 쌍의 컨택트(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차단부(40)는 접지 전위(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0)가 실장된 기판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지용의 도전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차단부(40)는 그 하단이 접지용의 도전 패턴에 접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차단부(40)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100)가 갖는 상대측 차단부(114)와 감합하여 전자 실드를 구성한다. 이 전자 실드는 한 쌍의 컨택트(31, 32) 사이에 있어서의 신호(특히, 고주파 신호)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한다.
다음에, 프레임(11)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레임(11)은 도전성을 가지며, 프레임(11)의 내측에는 컨택트(31, 32, 33)가 배치되어 있다. 즉, 컨택트(31, 32, 33)는 도전성을 갖는 프레임(11)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또, 프레임(11)은 커넥터(10)가 실장된 기판 중, 도시하지 않은 접지용의 도전 패턴에 접하고,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11)은 실드성을 발휘하고, 컨택트(31, 32, 33)에 대한 외계로부터의 영향(전자적 간섭)을 차단한다.
프레임(11)은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2)과 저벽(17)을 갖는다. 측벽(12)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하우징(20)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또,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측벽(12)의 내주면이 상대측 커넥터(100)의 외주면(상세하게는 상대측 프레임(102)의 외주면)에 접한다.
측벽(12)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과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을 갖는다.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Y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의 각각은 X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의 긴쪽 방향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각 단변 부분(15, 16)의 길이는 각 장변 부분(13, 14)의 길이보다 짧다.
측벽(12)의 각 부분(즉,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은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없이 또한 단락없이 연결되어 있다. 즉, 측벽(12)은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심리스(seamless)로 연속되어 있다. 프레임(11)의 전체 둘레는 프레임(1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범위이며, 프레임(11)의 둘레 방향은 프레임(11)이 오목부 공간을 둘러싸는 방향이고, 환언하면 오목부 공간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이다.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은 각각,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17)으로부터 상승하여 +Z측으로 연장된 상승 부분(51)을 갖는다. 또,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은 각각의 상단부(즉, Z방향에 있어서 개구(10A)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 굴곡 부분(52)과 플랜지 부분(53)을 갖는다.
굴곡 부분(52)은 상승 부분(51)과 연속되어 있으며, 프레임(11)의 외측을 향해 굴곡된 부분이다. 플랜지 부분(53)은 굴곡 부분(52)과 연속되어 있으며, 굴곡 부분(52)으로부터 프레임(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칼라 형상의 부분이다.
굴곡 부분(52) 및 플랜지 부분(53)은 프레임(11)에 있어서 개구(10A)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고, 또, 안내부(54)를 구성한다. 안내부(54)는 측벽(12) 중, Z방향에 있어서 개구(10A)측에 있는 단부(즉, 상단부)에 마련되고, 개구(10A)에서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상대측 커넥터(100)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안내부(54)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커넥터 감합시에는 상대측 커넥터(100)가 프레임(11)의 내측에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도록, 상대측 커넥터(100)를 프레임(11)의 내측에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또, 안내부(54)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측벽(12)의 상단부(개구(10A)가 있는 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100)를 프레임(11)의 내측에 지장없이 안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안내부(54)가 프레임(1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도중에 끊어져 있는 구성에서는 안내부(54)가 끊어진 개소에 상대측 커넥터(100)가 걸려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안내부(54)가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감합시에 상기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100)의 외주면과 접하고, 그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의 각각의 Y방향 중앙부,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의 각각의 X방향 중앙부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부분(55)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 부분(55)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2) 중의 다른 부분(돌출 부분(55) 이외의 부분)보다 프레임(11)의 내측에 돌출된 부분이다. 또, 돌출 부분(55)은 Z방향에 있어서 측벽(12)의 상단부, 더욱 상세하게는 상승 부분(51)과 굴곡 부분(52)의 경계 주변에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2)의 내주면 중, 돌출 부분(55)이 구비된 영역이 상대측 커넥터(100)의 외주면, 상세하게는 상대측 프레임(102)의 외주면에 접한다. 이와 같이 측벽(12)에 돌출 부분(55)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측벽(12)이 상대측 커넥터(100)와 접하기 쉬워지고, 그 결과, 커넥터 감합 상태를 안정시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돌출 부분(55)은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2)을 구성하는 부재(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금속판(M)) 중, 돌출 부분(55)이 형성되는 부분을 프레임(11)의 내측에 밀어넣어 아치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 각 장변 부분(13, 14)에 마련된 돌출 부분(55)은 Y방향에 있어서, 각 장변 부분(13, 14)의 길이의 1/3 이상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의 길이를 가지면 좋다. 각 단변 부분(15, 16)에 마련된 돌출 부분(55)은 X방향에 있어서, 각 단변 부분(15, 16)의 길이의 1/3 이상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의 길이를 가지면 좋다.
프레임(11)의 저벽(17)은 측벽(12)의 하단(Z방향에 있어서의 개구(10A)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프레임(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저벽(17)은 XY 평면을 따른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대부분이 펀칭되어 있다. 저벽(17)은 프레임(11)의 내측에 있어서 오목부 공간의 바깥 가장자리를 두르도록 마련된 폭이 가느다란 가장자리부(18)와, 오목부 공간의 4개의 모서리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의 단편 형상으로 존재하는 각부(19)를 갖는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 사이에는 차단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는 Y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2조 마련되어 있고, +Y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 사이, 및 -Y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 사이에 각각 차단부(40)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차단부(40)는 저벽(17)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의 각각과 연속되어 있다. 또, 차단부(4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17), 즉 프레임(11)의 Z방향에 있어서의 개구(10A)와는 반대측의 단에서 +Z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차단부(40)는 X방향에 있어서의 프레임(11)의 중앙을 경계로 하여 선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차단부(40)의 중앙부에는 감합 부분(41)이 마련되고, 차단부(40)의 양단부의 각각에는 부착 부분(44)이 마련되어 있다.
부착 부분(44)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에서 보았을 때 역 U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부착 부분(44)의 -Z측의 단에서 +Z측을 향해 형성된 삽입 오목부(45)를 갖는다. 삽입 오목부(45)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일부분인 피삽입 부분(27)이 삽입된다.
피삽입 부분(27)은 Y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중앙부(21)와 하우징 단부(22) 사이에 위치하고, X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중심을 경계로 해서 선대칭의 위치에 2개소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피삽입 부분(27)은 Z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중앙부(21) 및 하우징 단부(22)보다 높이가 낮고, X방향에 약간의 폭을 갖는 기둥형상 볼록부이다.
삽입 오목부(45)는 피삽입 부분(27)의 높이에 따른 깊이를 갖고, 피삽입 부분(27)의 폭보다 약간 넓은 폭을 갖는다. 삽입 오목부(45)의 내측에는 X방향에 있어서 배열되는 한 쌍의 내측면이 마련되어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내측면 중, 차단부(40)의 Y방향 중앙에 더욱 가까운 측의 내측면으로부터는 압입부(46)가 돌출되어 있다. 압입부(46)는 피삽입 부분(27)이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되었을 때에, 피삽입 부분(27)에 압입되고, 상세하게는 피삽입 부분(27)에 잠식된다.
이상과 같이, 피삽입 부분(27)은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부착 부분(44)에 부착된다. 그 결과, 하우징(20)은 프레임(11)의 내측에서 차단부(40)를 통해 프레임(11)에 지지된다.
감합 부분(41)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2개의 부착 부분(44) 사이에 위치하고, 차단부(40)의 -Z측의 단부에 마련된 연결 부분(42)과, 연결 부분(42)의 X방향 중앙부에서 +Z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편(43)을 갖는다.
연결 부분(42)은 X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2개의 부착 부분(44)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돌출편(43)은 Y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V 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 돌출편(43)은 각각, 예를 들면 판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어 탄성을 갖고, 돌출편(43)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다. 또, 각 돌출편(43)의 선단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의 외측을 향해 산 형상으로 돌출된 접촉 볼록부(47)를 갖는다.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부분(41)이 상대측 커넥터에 마련된 상대측 차단부(114)와 감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대측 차단부(114)의 X방향 중앙부에는 감합 부분(4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이하, 감합 오목부(116))가 마련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116)는 한 쌍의 돌출편(43)의 양쪽의 선단부(즉, 접촉 볼록부(47))를 수용하는데 충분한 깊이를 갖는다. 또, 감합 오목부(116)의 폭(X방향의 길이)은 돌출편(43)끼리의 간격, 엄밀하게는 각 돌출편(43)이 탄성변형되기 전의 시점에서의 간격보다 약간 좁다.
커넥터 감합시, 감합 부분(41)이 갖는 한 쌍의 돌출편(43)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변형되어 돌출편(43)끼리의 간격을 좁히면서, 감합 오목부(116)의 안쪽측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감합 부분(41)이 감합 오목부(116)와 감합된다. 감합 부분(41)이 감합 오목부(116)의 안쪽부까지 들어간 상태에서는 한 쌍의 돌출편(43)의 각각의 선단, 즉 접촉 볼록부(47)가 감합 오목부(116)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또한, 감합 오목부(116)의 내측면에는 접촉 볼록부(47)와 피트하도록 접촉 볼록부(47)의 만곡 형상과 대응시켜 형성된 패임부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감합 부분(41)이 상대측 차단부(114)와 감합된 상태, 즉,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차단부(40)가 상대측 차단부(114)와 함께 전자 실드를 구성한다. 이 전자 실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2개의 컨택트(31, 32) 사이에 있어서의 신호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한다.
+Y측의 차단부(40) 및 -Y측의 차단부(40)의 각각에 있어서, 감합 부분(41) 및 2개의 부착 부분(44)의 각각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 감합 부분(41) 및 부착 부분(44)의 각각의 두께(Y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대략 균일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Y방향에 있어서, 감합 부분(41)의 단면과 부착 부분(44)의 단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으면 좋다. 이 경우에는 차단부(40)를 콤팩트화할 수 있고, 프레임(11)내에 있어서의 차단부(40)의 배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10)에서는 부품수를 적게 할 목적에서, 프레임(11)의 측벽(12), 저벽(17) 및 차단부(40)가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11)의 측벽(12) 및 저벽(17)이 동일한 부재, 구체적으로는 1개의 금속판(M)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동일한 금속판(M)의 일부를 이용하여 차단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판(M)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황동 및 청동 등의 구리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금속판(M)의 판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6mm∼0.15mm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10)가 갖는 프레임(11)은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M)에 대해 드로잉 가공(엄밀하게는 각통 드로잉 가공)을 적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M)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을 다이스 등에 의해서 끼워 유지하면서, 금속판(M) 중, 바깥 가장자리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펀치 등의 누름 기구(P)를 바짝 댄다. 이것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잉 저부를 갖는 각통형의 금속 성형품(이하, 프레임 기재(F))이 얻어진다. 드로잉 저부는 드로잉 가공시에 금속판(M)을 밀어넣어 형성되는 부분 중, 가장 안쪽부(저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프레임 기재(F) 중, 누름 기구(P)가 바짝 대어진 면측(이하, 상면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는 프레임(11)의 완성 시점에서 개구(10A)로 된다. 또, 프레임 기재(F) 중의 각통 부분은 프레임(11)의 완성 시점에서 측벽(12)으로 된다. 또, 금속판(M) 중, 드로잉 가공의 실시중에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은 프레임 기재(F)의 상면측에 있어서 칼라 형상의 가장자리부로서 남고, 프레임(11)의 완성 시점에서는 플랜지 부분(53)으로 된다.
드로잉 가공의 실시 후, 프레임 기재(F)의 저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 기재(F) 중, 드로잉 저부에는 프레임(11)의 저벽(17)(상세하게는 가장자리부(18) 및 각부(19))에 상당하는 부분과, 차단부(40)에 상당하는 부분이 남는다. 이 단계에 있어서, 저벽(17)에 상당하는 부분(상세하게는 각부(19)에 상당하는 부분)과, 차단부(40)에 상당하는 부분은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 후, 저벽(17)에 상당하는 부분과 차단부(40)에 상당하는 부분의 경계에 있어서 드로잉 저부를 절곡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드로잉 저부 중, 차단부(40)에 상당하는 부분을 저벽(17)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 대략 90도 절곡해서 기립시킨다.
이상의 수순을 거쳐, 1개의 금속판(M)으로 프레임(11)이 제조된다. 상기의 수순에 의해서 제조된 프레임(11)에서는 측벽(12)이 프레임(11)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11)의 강도 및 차단성(실드성)이 확보된다.
또, 측벽(12)의 각 부에서는 상승 부분(51)과 플랜지 부분(53)이 심리스로 연결되어 있다. 상승 부분(51)과 플랜지 부분(53) 사이에는 굴곡 부분(52)이 마련되고, 굴곡 부분(52) 및 플랜지 부분(53)이 안내부(54)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1개의 금속판(M)에 대해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여 프레임(11)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안내부(54)를 부수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의 측벽(12)과 저벽(17)이 심리스로 연결되어 있고, 차단부(40)가 저벽(17)과 심리스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차단부(40)는 금속판(M)에 있어서 저벽(17)과 차단부(40)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금속판(M)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11)과 차단부(40)를 따로따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종래의 커넥터(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에 비해, 커넥터 구성 부품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의 프레임(3)을 드로잉 가공에 의해서 제조하는 경우, 가공시에 누름 기구(P)가 바짝 대어진 면(환언하면, 플랜지 부분이 형성되는 측의 면)이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고정된다. 한편, 누름 기구(P)를 꽉 눌러 형성되는 드로잉 저부는 펀칭되고, 그 펀칭 구멍이 상대측 커넥터를 프레임(3)의 내측에 감입하기 위한 개구(2)로 된다. 이러한 수순에 의해 제조된 프레임(3)의 내측에 차단부(5)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차단부(5)를 구성하는 부품을 프레임(3)과는 별도로 준비하고, 해당 부품을 프레임(3)의 하단부(기판측의 단부)에 조립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커넥터(10)에 구비된 프레임(11)은 드로잉 가공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가공시에 누름 기구(P)가 바짝 대어진 면을 상면(+Z측의 면)으로 한다. 즉, 누름 기구(P)를 꽉 눌러 형성되는 드로잉 저부가 프레임(11)의 하단부에 상당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드로잉 저부의 일부를 이용하여 차단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차단부(40)를 별개의 부품으로 할 필요가 없어지고, 부품수가 삭감된다. 또, 부품수의 감소에 의해, 커넥터 제조 코스트를 내릴 수 있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에 구비된 프레임(3)을 드로잉 가공에 의해서 제조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잉 저부를 펀칭하는 등 해서, 상대측 커넥터를 감입하기 위한 개구(2)를 형성한다. 이 때, 상대측 커넥터의 치수에 따라 비교적 큰 사이즈의 구멍을 펀칭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커넥터(10)에 구비된 프레임(1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잉 가공시에 누름 기구(P)가 바짝 대어 형성된 개구가 상대측 커넥터(100)를 감입하기 위한 개구(10A)로서, 그대로 이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10A)를 확보하기 위해 드로잉 저부를 크게 펀칭할 필요가 없고, 필요한 사이즈의 개구(10A)를 갖는 프레임(11)을 드로잉 가공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1개의 금속판(M)에 대해 드로잉 가공 및 구부림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차단부(40)와 심리스로 일체화된 프레임(11)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코스트가 더욱 저렴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까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구성에 대해, 구체예를 들어 설명해 왔지만,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든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이외의 실시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11)의 측벽(12), 저벽(17) 및 차단부(40)가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차단부(40)가 저벽(17)으로부터 +Z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차단부(40)가 저벽(17)과 연속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차단부(40)가 측벽(12)과 연속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측벽(12)이 갖는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차단부(40)가 X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심리스 구조의 프레임(11)을 드로잉 가공에 의해서 제조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심리스 구조의 프레임(11)을 제조할 수 있는 한, 다른 가공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깎아냄 및 인발 가공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11)의 측벽(12)의 상단부(+Z측의 단부)에 굴곡 부분(52) 및 플랜지 부분(53)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굴곡 부분(52) 및 플랜지 부분(53)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구성, 즉, 측벽(12)의 상단부가 절곡되지 않고 +Z측으로 곧바로 연장된 구성이라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11)의 측벽(12)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하였다. 단, 측벽(12)의 형상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다리꼴 또는 평행사변형, 혹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등이어도 좋다.
1; 커넥터 2; 개구
3; 프레임 4; 단자
5; 차단부 10; 커넥터
10A; 개구 11; 프레임
12; 측벽 13, 14; 장변 부분
15, 16; 단변 부분 17; 저벽
18; 가장자리부 19; 각부
20; 하우징 21; 하우징 중앙부
22; 하우징 단부 23; 중앙 볼록부
24; 측방 볼록부 25; 감입홈
26; 감입 오목부 27; 피삽입 부분
31; 컨택트(제 1 단자) 32; 컨택트(제 2 단자)
33; 컨택트(제 3 단자) 40; 차단부
41; 감합 부분 42; 연결 부분
43; 돌출편 44; 부착 부분
45; 삽입 오목부 46; 압입부
47; 접촉 볼록부 51; 상승 부분
52; 굴곡 부분 53; 플랜지 부분
54; 안내부 55; 돌출 부분
100; 상대측 커넥터 102; 상대측 프레임
104; 저벽 106,108; 컨택트 유지부
111,112,113; 상대측 컨택트 114; 상대측 차단부
116; 감합 오목부 F; 프레임 기재
M; 금속판 P; 누름 기구

Claims (10)

  1.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의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둘러싸는 측벽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배치된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프레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고,
    상기 측벽 및 상기 차단부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개구를 갖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들어가 상기 커넥터와 감합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의 일단에서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돌출된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측벽 중, 상기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저벽을 갖고,
    상기 측벽, 상기 저벽 및 상기 차단부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심리스로 연결된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상기 저벽 및 상기 차단부는 동일한 금속판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금속판에서 상기 저벽과의 경계 부분에서 상기 금속판을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중, 상기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 부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 부분은 상기 측벽에서 상기 감합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심리스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갖는 상대측 차단부와 감합되어 전자 실드를 구성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상대측 차단부와 감합되는 감합 부분과, 상기 하우징이 부착되는 부착 부분을 갖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서,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상기 차단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교차 방향에서, 상기 감합 부분의 단면과 상기 부착 부분의 단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는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부분은 상기 상대측 차단부에 마련된 오목부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상기 상대측 차단부와 감합되고,
    상기 부착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 오목부와, 상기 삽입 오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압입부를 갖고,
    상기 압입부는 상기 삽입 오목부에 삽입된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압입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도전성을 갖고,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단자이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저주파 신호 전송용의 제 3 단자가 더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3 단자 사이 및, 상기 제 2 단자와 상기 제 3 단자 사이에는 각각 상기 차단부가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210044963A 2020-05-13 2021-04-07 커넥터 KR102623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4468 2020-05-13
JPJP-P-2020-084468 2020-05-13
JPJP-P-2020-091146 2020-05-26
JP2020091146A JP7348135B2 (ja) 2020-05-26 2020-05-26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02280 2020-06-12
JP2020102280A JP7366844B2 (ja) 2020-06-12 2020-06-12 コネクタ
JP2020105098A JP7493877B2 (ja) 2020-06-18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JP-P-2020-105098 2020-06-18
JPJP-P-2020-120397 2020-07-14
JP2020120397A JP7395437B2 (ja) 2020-07-14 2020-07-14 コネクタ組立体
JP2020121984A JP7445551B2 (ja) 2020-07-16 2020-07-16 コネクタ
JPJP-P-2020-121984 2020-07-16
JP2020132981A JP7461245B2 (ja) 2020-08-05 2020-08-05 コネクタ
JPJP-P-2020-132981 2020-08-05
JP2020141324A JP7471960B2 (ja) 2020-05-13 2020-08-25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41324 2020-08-25
JPJP-P-2020-155230 2020-09-16
JP2020155230A JP7467296B2 (ja) 2020-09-16 2020-09-16 コネクタ組立体
JP2020161721A JP2022054592A (ja) 2020-09-28 2020-09-28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161721 2020-09-28
JPJP-P-2020-184224 2020-11-04
JP2020184224A JP7476078B2 (ja) 2020-11-04 2020-11-0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137A true KR20210139137A (ko) 2021-11-22
KR102623602B1 KR102623602B1 (ko) 2024-01-10

Family

ID=7871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963A KR102623602B1 (ko) 2020-05-13 2021-04-0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6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955B2 (ja) * 1988-03-15 1998-12-24 アン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KR20100087364A (ko) * 2007-11-08 2010-08-04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JP6638873B1 (ja) * 2018-08-24 2020-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KR20200008840A (ko) * 2018-07-17 2020-01-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955B2 (ja) * 1988-03-15 1998-12-24 アン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KR20100087364A (ko) * 2007-11-08 2010-08-04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200008840A (ko) * 2018-07-17 2020-01-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JP6638873B1 (ja) * 2018-08-24 2020-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602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5119354U (zh) 连接器
CN215008757U (zh) 连接器
US11495919B2 (en)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TWI804261B (zh) 連接器和連接器組裝體
US11652323B2 (en)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KR102519889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504472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220155902A (ko) 커넥터 조립체
CN110890657B (zh) 电连接器组装体以及被用于该电连接器组装体的电连接器
KR20210139137A (ko) 커넥터
JP2023001455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20210139139A (ko) 커넥터
JP7476078B2 (ja) コネクタ
KR102543900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543913B1 (ko) 커넥터 조립체
JP2022074300A (ja) コネクタ
JP7467296B2 (ja) コネクタ組立体
CN109546390B (zh) 电连接器
JP2023141246A (ja) コネクタセット及び第一コネクタ
JP202217995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2022054592A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22180022A (ja) 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