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472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472B1
KR102504472B1 KR1020210043942A KR20210043942A KR102504472B1 KR 102504472 B1 KR102504472 B1 KR 102504472B1 KR 1020210043942 A KR1020210043942 A KR 1020210043942A KR 20210043942 A KR20210043942 A KR 20210043942A KR 102504472 B1 KR102504472 B1 KR 10250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nnector
cutout
board
groun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9136A (ko
Inventor
준지 오오사카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91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73481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2280A external-priority patent/JP73668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5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74938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0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5437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aper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서로 끼워맞춰져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제1 커넥터(100)의 외곽을 이루는 제1 쉘(50)은 사각형의 각 변의 상단에 만곡부(51a, 52a)를 갖추고,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제2 커넥터(200)의 외곽을 이루는 제2 쉘(80)은 사각형의 변의 외측면에 변을 따라 연신되는 가늘고 긴 볼록부(81a, 82a)를 갖춘다. 만곡부(51a, 52a)와 볼록부(81a, 82a)는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아 부분적으로는 겹친다. 제2 쉘(80)은 제1 쉘(50) 내에 수용되고, 볼록부(81a, 82a)는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쉘(50)과 접촉하고, 만곡부(51a, 52a)는 전체 길이에 걸쳐 제2 쉘(80)과 접촉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이 발명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어 서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a, 1b, 2a, 2b, 3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 2017-3365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1a, 1b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1 커넥터(10)를 나타내고, 도 2a, 2b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2 커넥터(20)를 나타낸다. 또 도 3은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끼워맞춰진 상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제1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20)는 각각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절연 하우징(11 및 21)을 가지고 있고, 절연 하우징(11 및 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신호 콘택트 부재(13 및 23)가 소정의 피치로 다극상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각 절연 하우징(11 및 21)은 절연 하우징(11 및 21)의 길이 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기단부(11a 및 21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양 기단부(11a)에 걸쳐지도록 하여 중앙볼록부(11b)가 설치되고, 양 기단부(21a)에 걸쳐지도록 하여 중앙오목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도전성 쉘(12, 22)은 신호 콘택트 부재(13, 23)에 대한 실드벽부를 구성하고, 절연 하우징(11 및 21)의 외주 부분을 둘러싸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a, 1b, 2a, 2b 중, 14 및 24는 전원 콘택트 부재를 나타낸다.
도전성 쉘(12)은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2체로 이루어지고,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2체에 의해 프레임체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도전성 쉘(12)의 긴 측벽판(12a) 및 짧은 측벽판(12b)의 하단 가장자리부에는 제1 배선 기판(15)에 설치된 그라운드 패드에 납땜접합되는 그라운드 접속부(12c)가 복수체 형성되어 있다.
도전성 쉘(12)의 긴 측벽판(12a)에 설치된 복수체의 그라운드 접속부(12c)는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고, 이웃하는 한 쌍의 그라운드 접속부(12c)끼리의 간격 영역에는 신호 콘택트 부재(13)의 기판 접속 다리부(13a)를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하여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측방 검사창(12d)이 형성되어 있다. 측방 검사창(12d)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기판 접속 다리부(13a)의 3체가 병렬되는 길이에 상당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측방 검사창(12d)을 통하여 기판 접속 다리부(13a)의 접속 상태나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쉘(12)의 긴 측벽판(12a)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평면 커버(12e)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평면 커버(12e) 및 그 평면 커버(12e)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뻗어 있는 긴 측벽판(12a)에 걸친 부위에는 끼워맞춤 상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판스프링 형상의 접촉편(12f)이 잘려 일으켜져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편(12f)은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복수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커넥터(20)측에 실드벽부로서 설치된 도전성 쉘(22)은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는 2체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도전성 쉘(22)에 의해 프레임체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도전성 쉘(22)의 긴 측벽판(22a) 및 고정 걸음편(짧은 측벽판)(22b)의 하단 가장자리부에는 제2 배선 기판(25)에 설치된 그라운드 패드에 납땜접합되는 그라운드 접속부(22c)가 복수체 형성되어 있다.
도전성 쉘(22)의 긴 측벽판(22a)에 설치된 복수체의 그라운드 접속부(22c)는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고, 이웃하는 한 쌍의 그라운드 접속부(22c)끼리의 간격 영역에는 신호 콘택트 부재(23)의 기판 접속 다리부(23a)를 커넥터 폭 방향을 향하여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측방 검사창(22d)이 형성되어 있다. 측방 검사창(22d)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기판 접속 다리부(23a)의 3체가 병렬되는 길이에 상당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측방 검사창(22d)을 통하여 기판 접속 다리부(23a)의 접속 상태나 커넥터 조립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배선 기판(15)에 실장된 제1 커넥터(10)와, 제2 배선 기판(25)에 실장된 제2 커넥터(20)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는, 제2 커넥터(20)의 각 신호 콘택트 부재(23) 및 전원 콘택트 부재(24)는 제1 커넥터(10)의 신호 콘택트 부재(13) 및 전원 콘택트 부재(14)에 각각 받아들여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커넥터(20)에 설치된 도전성 쉘(22)은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를 끼워맞출 때에, 제1 커넥터(10)의 외주를 전체 둘레에 걸쳐 외방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고, 그 때, 제2 커넥터(20)의 도전성 쉘(22)의 내벽면이 제1 커넥터(10)의 도전성 쉘(12)에 설치된 접촉편(12f)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접촉편(12f)을 통하여 양 도전성 쉘(12, 22)끼리가 그라운드 접속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는 사용되는 전자 기기의 소형화, 고실장밀도화 및 전기 신호의 고주파화에 따라, EMI 대책이 한층 더 중요한 과제가 되어오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서는, 제1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20)는 각각 도전성 쉘(12 및 22)을 갖추고, 이들 도전성 쉘(12, 22)에 의해 전자(電磁) 실드를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하기의 점에서 실드 효과는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우선, 첫번째로, 도전성 쉘(12, 22)끼리의 그라운드 접속은 도전성 쉘(12)에 형성된 복수의 접촉편(12f)이 도전성 쉘(22)에 탄성 접속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는데, 접촉편(12f)은 도전성 쉘(12)을 잘라 일으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성 쉘(12)에 있어서의 접촉편(12f)의 둘레에는 공극이 존재하고, 그곳으로부터 전자파가 방사된다는 문제가 있다.
두번째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는 도전성 쉘(12, 22)이 내외에 있어서 이중으로 배치되는데, 이들 도전성 쉘(12와 22) 사이에는 접촉편(12f)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틈이 있기 때문에, 이 틈을 통하여 전자파가 방사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기판 대 기판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어 서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종래보다 실드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커넥터의 사각 형상의 제1 쉘은 제1 쉘의 둘레 방향으로 뻗는 만곡부를 가지고 있고, 제2 커넥터의 사각 형상의 제2 쉘은 제2 쉘의 둘레 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볼록부를 가지고 있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조합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제2 쉘은 제1 쉘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쉘의 만곡부는 커넥터 조립체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제2 쉘의 볼록부는 커넥터 조립체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에 조합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를 보았을 때, 제1 쉘의 만곡부와 제2 쉘의 볼록부는 서로 오버랩하고 있다.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쉘의 만곡부는 제2 쉘에 접촉하고 있고, 제2 쉘의 볼록부는 제1 쉘에 접촉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각각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쉘과 제2 쉘의 그 프레임을 따른 방향의 접촉 길이는 종래에 비해 대폭 증대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실드 효과를 높일 수 있고, EMI 대책을 강화한 커넥터 조립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종래예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종래예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a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종래예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종래예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나타낸 제1 커넥터와 도 2a에 나타낸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배선 기판과 함께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이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하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제1 커넥터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에 있어서의 제1 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a에 있어서의 인슐레이터 및 인슐레이터에 유지된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5에 나타낸 제1 쉘을 구성하는 절반체의 캐리어 절단 제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4a에 나타낸 제1 커넥터가 제1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4a에 나타낸 제1 커넥터가 제1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a는 이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하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제2 커넥터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a에 있어서의 제2 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a에 있어서의 인슐레이터 및 인슐레이터에 유지된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9a에 나타낸 제2 커넥터가 제2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9a에 나타낸 제2 커넥터가 제2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a는 도 4a에 나타낸 제1 커넥터와 도 9a에 나타낸 제2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a는 도 4a에 나타낸 제1 커넥터와 도 9a에 나타낸 제2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이다.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4a, 4b는 이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하나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커넥터(100)를 나타낸 것이며, 제1 커넥터(100)는 인슐레이터(30)와, 인슐레이터(30)에 유지된 단자(41, 42)와,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제1 커넥터(100)의 외곽을 구성하는 제1 쉘(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제1 쉘(50)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제1 커넥터(100)로부터 제1 쉘(5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인슐레이터(30)는 수지제로 되어 있고, 전체로서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룬다. 인슐레이터(3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단자(41)가 부착되어 있고, 인슐레이터(30)의 중앙부에는 단자(42)가 2열 각 2개 합계 4개 부착되어 있다.
단자(41)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편(41a)을 가지고, 단자(42)도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편(42a)을 가지고 있다. 이들 단자(41, 42)의 기판과의 접속부(41b, 42b)는 인슐레이터(30)의 바닥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단자(41)는 이 예에서는 고주파 신호용(고속 전송용)으로 되어 있고, 4개의 단자(42)는 저주파 신호용(저속 전송용)으로 되어 있다.
제1 쉘(50)은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대략 ㄷ자 형상의 외벽을 가지는 2체에 의해 사각형의 프레임체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사각형의 긴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51) 및 사각형의 짧은 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52)의 각 상단에는 사각형의 프레임 내로 약간 돌출되도록 구부러진 후, 프레임 밖으로 돌출되도록 되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만곡부(51a, 5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외벽부(51)의 만곡부(51a)는 외벽부(51)의 변 방향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외벽부(51)의 변 방향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절결(51b) 사이에 캐리어 절단부(51c)가 위치하고 있다. 캐리어 절단부(51c)의 상단면은 캐리어 절단면(51d)을 이룬다.
각 외벽부(51)의 하단의 2개소에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연장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양 외벽부(51)의 연장부(53)는 쌍을 이루고, 서로 근접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어, 즉 제1 쉘(50)에는 2쌍의 연장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연장부(53)는 외벽부(51)로부터 서로 근접하도록 연장된 후, 절곡되어 일으켜 세워지고, 이 상승부(53a)의 상단으로부터 또한 서로 근접하도록 연장되고, 그 연장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개구하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ㄷ자형상부(54)가 선단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연장부(53)의 ㄷ자형상부(54)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고, 선단측에 위치하는 ㄷ자의 일방의 다리부(54a)는 서로 근접되어 있다. 또한 상승부(53a)에는 한 쌍의 돌기(53b)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부(51)의 하단에 있어서의 2개의 연장부(53) 사이의 부분에는 작은 크기의 절결(55)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55)은 인슐레이터(30)에 유지되어 인슐레이터(30)의 바닥면측에 노출되어 있는 단자(42)의 접속부(42b)의 위치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외벽부(52)에는 2체로 이루어지는 제1 쉘(50)의 맞댐부로서 매우 약간의 틈(56)이 있고, 이 틈(56) 부분의 하단에 있어서 외벽부(52)에는 모따기 형상의 절결(57)이 형성되어 있다.
도 7a, 7b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쉘(5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캐리어 절단 제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a, 7b 중, 50'는 2체로 이루어지는 제1 쉘(50)의 절반체를 나타내고, 59는 캐리어를 나타낸다. 캐리어(59)는 절곡 가공 등의 가공을 행하는 금형에서의 기준을 이루고, 이와 같이 캐리어(59)에 유지된 상태에서 가공을 행함으로써 정밀도 좋게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도 7b 중, 파선 a는 캐리어(59)를 절단 제거하는 절단 위치를 나타낸다. 캐리어 절단부(51c)의 양측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51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1 쉘(50)은 단자(41, 42)를 유지한 인슐레이터(30)에 부착된다. 제1 쉘(50)의 부착은 인슐레이터(30)의 위로부터 제1 쉘(50)의 2개의 절반체(50')를 씌워 밀어넣음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4개의 연장부(53)의 돌기(53b)를 갖춘 상승부(53a)가 인슐레이터(30)의 4개소의 오목부(31)에 각각 압입된다. 또 쌍을 이루는 연장부(53)의 ㄷ자형상부(54)는 인슐레이터(30)의 슬릿(32)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도 4a, 4b에 나타낸 제1 커넥터(100)가 완성된다.
도 8a, 8b는 도 4a, 4b에 나타낸 제1 커넥터(100)가 제1 기판(300)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8b에서는 숨겨져서 보이지 않지만, 단자(41, 42)의 각 접속부(41b, 42b)는 제1 기판(300)의 패드에 납땜되어 있다. 또한 단자(42)의 접속부(42b)는 제1 쉘(50)의 외벽부(51)의 외측으로부터 절결(55)을 통하여 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42b)의 위치나 납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300)에는 이 예에서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그라운드 패턴(310)이 제1 쉘(50)의 프레임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1 쉘(50)과 제1 그라운드 패턴(310)은 제1 그라운드 패턴(310)을 따른 납땜의 필렛으로 이루어지는 제1 납땜부(320)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 서로 납땜되어 접속되어 있다. 도 8a, 8b 중, 제1 납땜부(320)는 투명하게 그리고, 해칭을 붙여 나타내고 있다.
제1 쉘(50)의 제1 기판(300)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55나 57)이 존재하고, 또 제1 쉘(50)의 하단의 연장부(5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양측에는 연장부(53)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는 칼집(58)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들 절결(55, 57)이나 칼집(58)은 도 8a,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제1 납땜부(320)에 의해 막힌다.
이어서 상기 서술한 제1 커넥터(100)와 접속되어 기판 대 기판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2 커넥터(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 9b는 제2 커넥터(200)를 나타낸 것이며, 제2 커넥터(200)는 인슐레이터(60)와, 인슐레이터(60)에 유지된 단자(71, 72) 및 실드판(73)과,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제2 커넥터(200)의 외곽을 구성하는 제2 쉘(8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제2 쉘(80)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제2 커넥터(200)로부터 제2 쉘(8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인슐레이터(60)는 수지제로 되어 있고, 바닥판부(61)와, 바닥판부(61)의 4개의 코너부에 각각 설치된 측벽(62)을 가진다. 바닥판부(6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단자(71)가 부착되어 있고, 바닥판부(61)의 중앙부에는 단자(72)가 2열 각 2개 합계 4개 부착되어 있다. 또 2개의 단자(71)와 4개의 단자(72)의 각 사이에는 실드판(73)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단자(71)는 기둥 형상을 이루고, 하단에는 기판과의 접속부(71a)를 갖추고 있다. 단자(72)는 판 형상을 이루고, 하단에는 기판과의 접속부(72a)를 갖추고 있다. 2개의 단자(71)는 고주파 신호용이며, 4개의 단자(72)는 저주파 신호용이다.
실드판(73)은 바닥판부(61) 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기둥형상부(73a)와, 그들 기둥형상부(73a)의 하단을 연결 지지하여 연신된 연신부(73b)로 이루어지고, 연신부(73b)는 기판과의 접속부로 되어 있다.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2 쉘(80)은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긴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81)와, 사각형의 짧은 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82)와, 외벽부(81과 82)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83)를 갖춘다. 연결부(83)는 외벽부(81과 82)가 이루는 프레임 내로 돌출되어 프레임을 다소 좁히도록 하는 판면을 가진다.
한 쌍의 외벽부(81)의 서로의 외측면의 변 방향 중앙부에는 각각 변을 따라 연신되는 가늘고 긴 볼록부(81a)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외벽부(82)의 서로의 외측면의 변 방향 중앙부에도 각각 변을 따라 연신되는 가늘고 긴 볼록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외벽부(81)의 변 방향 양단에는 외벽부(82)를 향하여 절곡 연장된 연장부(8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부(81)의 하단에는 절결(84)이 2개 형성되고, 또한 이들 2개의 절결(84)의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절결(8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절결(84)은 인슐레이터(60)에 유지되어 인슐레이터(60)의 바닥면측에 노출되어 있는 단자(72)의 접속부(72a)의 위치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절결(85)은 인슐레이터(60)에 유지되어 인슐레이터(60)의 바닥면측에 노출되어 있는 실드판(73)의 연신부(73b)의 위치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외벽부(82)의 하단에도 절결(86)이 형성되어 있고, 각 외벽부(82)의 변 방향 양단에는 돌기(82b)가 서로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 중, 83a는 캐리어 절단부를 나타내고, 캐리어 절단부(83a)는 연결부(83)에 4개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쉘(80)은 단자(71, 72) 및 실드판(73)을 유지한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된다. 제2 쉘(80)의 부착은 인슐레이터(60)의 위로부터 제2 쉘(80)을 씌워 밀어넣음으로써 행해지고, 돌기(82b)를 갖춘 양 외벽부(82)가 인슐레이터(60)의 2개의 측벽(62)에 걸쳐져 측벽(62)의 외측에 구성되어 있는 오목부(63)에 각각 압입되어, 도 9a, 9b에 나타낸 제2 커넥터(200)가 완성된다.
도 12a, 12b는 도 9a, 9b에 나타낸 제2 커넥터(200)가 제2 기판(400)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a, 12b에서는 숨겨져서 보이지 않지만, 단자(71, 72)의 각 접속부(71a, 72a)는 제2 기판(400)의 패드에 납땜되어 있다. 또한 단자(72)의 접속부(72a)는 제2 쉘(80)의 외벽부(81)의 외측으로부터 절결(84)을 통하여 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72a)의 위치나 납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400)에는 이 예에서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2 그라운드 패턴(410)이 제2 쉘(80)의 프레임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2 쉘(80)과 제2 그라운드 패턴(410)은 제2 그라운드 패턴(410)을 따른 납땜의 필렛으로 이루어지는 제2 납땜부(420)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 서로 납땜되어 접속되어 있다. 도 12a, 12b 중, 제2 납땜부(420)는 투명으로 그리고, 해칭을 붙여 나타내고 있다.
제2 쉘(80)의 제2 기판(400)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84~86)이 존재하고, 또 각 외벽부(82)와, 외벽부(82)의 양측에 위치하는 연장부(81b) 사이에는 그들의 이간부(87)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들 절결(84~86), 이간부(87)는 도 12a,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제2 납땜부(420)에 의해 막힌다. 또한 실드판(73)의 연신부(73b)의 양단은 절결(85)에 위치하여 제2 쉘(80)과 함께 제2 납땜부(420)에 의해 제2 그라운드 패턴(410)에 납땜된다.
제1 기판(300)과 제2 기판(400)은 서로 대향되고, 제1 기판(300)과 제2 기판(400)의 서로의 대향면에 실장되어 있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끼워맞춤, 접속되어 이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가 구성된다. 도 13a 및 14a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끼워맞춤, 접속된 상태를 제1 기판(300) 및 제2 기판(400)의 도시를 생략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14b, 14c는 그 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13b는 도 13a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제2 커넥터(200)는 제1 커넥터(100)의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쉘(50) 내에 끼워넣어져 수용된다. 이 때, 제1 쉘(50)의 외벽부(51, 52)의 제2 기판(400)을 향하는 상단에는 만곡부(51a, 52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커넥터(200)는 이들 만곡부(51a, 52a)에 의해 제1 쉘(50) 내에 양호하게 끌어들여진다.
제1 커넥터(100)로의 제2 커넥터(200)의 끼워맞춤에 의해, 단자(41과 71), 단자(42와 72)가 각각 끼워맞춤, 접속된다. 제2 쉘(80)에 설치되어 있는 볼록부(81a, 82a)는 제1 쉘(50)의 만곡부(51a, 52a) 안에 끼워져들어가(만곡부(51a, 52a)보다 제1 기판(300)측에 위치하여), 이것에 의해 제1 쉘(50)의 내측에 제2 쉘(80)이 끼워맞춰진다. 제2 쉘(80)의 볼록부(81a, 82a)는 각각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쉘(50)의 대향하는 외벽부(51, 52)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제1 쉘(50)의 만곡부(51a, 52a)는 각각 전체 길이에 걸쳐 제2 쉘(80)의 대향하는 외벽부(81, 82)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또한 볼록부(81a)의 연신 방향 양단부 및 볼록부(82a)가 각각 만곡부(51a, 52a)를 타넘어 만곡부(51a, 52a) 안으로 끼워져들어갈 때, 작업자 등은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 쉘(50)에 설치되어 있는, 쌍을 이루는 ㄷ자형상부(54)의 서로 근접하고 있는 다리부(54a)는 실드판(73)의 한 쌍의 기둥형상부(73a) 사이에 끼워져들어가 한 쌍의 기둥형상부(73a) 사이의 틈을 거의 메우도록 위치하고, 이것에 의해 고주파 신호용의 단자(41, 71)와 저주파 신호용의 단자(42, 72) 사이에는 실드가 구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 이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1 커넥터(100)의 제1 쉘(50)이나 제2 커넥터(200)의 제2 쉘(80)에는 종래와 같은 잘라 일으킴으로써 형성되어 공극이 둘레에 존재하는 것 같은 접촉편은 없기 때문에, 공극으로부터 전자파가 방사되거나 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고, 종래보다 실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끼워맞춤, 접속된 상태에서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쉘(50)과 제2 쉘(80)은, 제2 쉘(80)의 외벽부(81, 82)에 각각 변을 따라 연신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81a, 82a)가 각각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쉘(50)의 외벽부(51, 52)와 접촉하고, 제1 쉘(50)의 만곡부(51a, 52a)는 각각 전체 길이에 걸쳐 제2 쉘(80)의 외벽부(81, 82)와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만곡부(51a, 52a)와 볼록부(81a, 82a)는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아, 부분적으로는 겹치지만, 완전히 겹치지는 않는데, 서로 상보하여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있어, 이것에 의해 제1 쉘(50)과 제2 쉘(80) 사이는 대부분이 이들 만곡부(51a, 52a)나 볼록부(81a, 82a)의 존재에 의해 틈이 없는 상태가 되어, 실드 효과를 대폭 높일 수 있다. 도 14b, c 중, 파선으로 나타낸 화살표 b는 제1 쉘(50)과 제2 쉘(80) 사이의 틈으로의 전자파의 침입을 나타낸 것이며, 도 14b에서는 만곡부(51a)의 존재에 의해, 또 도 14c에서는 볼록부(81a)의 존재에 의해 전자파의 방사가 각각 방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 또한 제1 쉘(50)의 제1 기판(300)을 향하는 하단에 존재하는 절결(55, 57)이나 칼집(58) 및 제2 쉘(80)의 제2 기판(400)을 향하는 하단에 존재하는 절결(84~86)이나 이간부(87)는 각각 납땜으로 메워지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개소로부터의 전자파의 방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1 커넥터(100)의 제1 쉘(50)의 상단측에 캐리어 절단부(51c)가 위치하고, 캐리어 절단부(51c)의 양측에는 절단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절결(51b)이 각각 존재하고 있어, 이 부분에는 만곡부(51a)는 없고, 만곡부(51a)에 의해 제1 쉘(50)과 제2 쉘(80) 사이의 틈은 막히지 않지만, 틈은 제2 쉘(80)의 볼록부(81a)에 의해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절결(51b)의 깊이는 절결(51b)이 위치하는 부분(변 방향의 위치)에 있어서의 볼록부(81a)와 제1 쉘(50)과의 접촉을 해치지 않는 깊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제1 쉘(50)에 있어서, 캐리어 절단부(51c)는 외벽부(51)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캐리어 절단부를 외벽부(51)의 하단측에 설치하면 제1 기판(300)의 제1 그라운드 패턴(310)과의 납땜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고, 또 외벽부(52)의 변 방향 연장 상에 설치하면 2체로 이루어지는 제1 쉘(50)의 맞댐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와 같이 캐리어 절단부(51c)는 외벽부(51)의 상단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쉘(50) 및 제2 쉘(80)은 함께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것이었지만, 프레임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각형의 4개의 코너부가 둥글게 되어 있는 대략 사각형이라도 되고, 또 타원형과 같은 형상이라도 된다.
10…제1 커넥터 11…절연 하우징
11a…기단부 11b…중앙볼록부
12…도전성 쉘 12a…긴 측벽판
12b…짧은 측벽판 12c…그라운드 접속부
12d…측방 검사창 12e…평면 커버
12f…접촉편 13…신호 콘택트 부재
13a…기판 접속 다리부 14…전원 콘택트 부재
15…제1 배선 기판 20…제2 커넥터
21…절연 하우징 21a…기단부
21b…중앙오목부 22…도전성 쉘
22a…긴 측벽판 22b…고정 걸음편
22c…그라운드 접속부 22d…측방 검사창
23…신호 콘택트 부재 23a…기판 접속 다리부
24…전원 콘택트 부재 25…제2 배선 기판
30…인슐레이터 31…오목부
32…슬릿 41, 42…단자
41a, 42a…접촉편 41b, 42b…접속부
50…제1 쉘 50'…절반체
51, 52…외벽부 51a, 52a…만곡부
51b…절결 51c…캐리어 절단부
51d…캐리어 절단면 53…연장부
53a…상승부 53b…돌기
54…ㄷ자형상부 54a…다리부
55…절결 56…틈
57…절결 58…칼집
59…캐리어 60…인슐레이터
61…바닥판부 62…측벽
63…오목부 71, 72…단자
71a, 72a…접속부 73…실드판
73a…기둥형상부 73b…연신부
80…제2 쉘 81, 82…외벽부
81a, 82a…볼록부 81b…연장부
82b…돌기 83…연결부
83a…캐리어 절단부 84, 85, 86…절결
87…이간부 100…제1 커넥터
200…제2 커넥터 300…제1 기판
310…제1 그라운드 패턴 320…제1 납땜부
400…제2 기판 410…제2 그라운드 패턴
420…제2 납땜부

Claims (15)

  1.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서로의 대향면에 실장되어 서로 끼워맞춰져 있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외곽을 구성하는 금속판제의 제1 쉘은, 상기 사각형의 각 변의 상기 제2 기판을 향하는 상단에, 상기 사각형의 프레임 내로 돌출되도록 구부러진 후, 프레임 밖으로 돌출되도록 되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만곡부를 갖추고,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외곽을 구성하는 금속판제의 제2 쉘은, 상기 사각형의 변의 외측면에, 당해 변을 따라 연신되는 가늘고 긴 볼록부를 갖추고,
    상기 만곡부와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에서 보아, 부분적으로는 겹치지만 완전히 겹치지는 않고, 서로 상보하여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쉘은 상기 볼록부가 상기 만곡부보다 상기 제1 기판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쉘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제1 쉘과 접촉하고, 상기 만곡부는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제2 쉘과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의 상기 상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절결의 깊이는 당해 절결이 위치하는 상기 사각형의 변 방향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와 상기 제1 쉘과의 접촉을 해치지 않는 깊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의 상기 상단의 2개의 상기 절결에 의해 끼워진 부분은 캐리어 절단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에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1 그라운드 패턴은 상기 제1 그라운드 패턴을 따른 제1 납땜부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 납땜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기판에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2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쉘과 상기 제2 그라운드 패턴은 상기 제2 그라운드 패턴을 따른 제2 납땜부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 납땜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에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1 그라운드 패턴은 상기 제1 그라운드 패턴을 따른 제1 납땜부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 납땜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기판에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2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쉘과 상기 제2 그라운드 패턴은 상기 제2 그라운드 패턴을 따른 제2 납땜부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 납땜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에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1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1 그라운드 패턴은 상기 제1 그라운드 패턴을 따른 제1 납땜부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 납땜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기판에는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제2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쉘과 상기 제2 그라운드 패턴은 상기 제2 그라운드 패턴을 따른 제2 납땜부에 의해 전체 둘레에 걸쳐 납땜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의 상기 제1 기판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의 절결은 상기 제1 납땜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의 상기 제1 기판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의 절결은 상기 제1 납땜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의 상기 제1 기판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의 절결은 상기 제1 납땜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의 상기 제2 기판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의 절결은 상기 제2 납땜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의 상기 제2 기판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의 절결은 상기 제2 납땜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의 상기 제2 기판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의 절결은 상기 제2 납땜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의 상기 제2 기판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의 절결은 상기 제2 납땜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의 상기 제2 기판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의 절결은 상기 제2 납땜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의 상기 제2 기판을 향하는 하단에는 절결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의 절결은 상기 제2 납땜부에 의해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043942A 2020-05-13 2021-04-05 커넥터 조립체 KR102504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4468 2020-05-13
JPJP-P-2020-084468 2020-05-13
JP2020091146A JP7348135B2 (ja) 2020-05-26 2020-05-26 コネクタ組立体
JPJP-P-2020-091146 2020-05-26
JPJP-P-2020-102280 2020-06-12
JP2020102280A JP7366844B2 (ja) 2020-06-12 2020-06-12 コネクタ
JPJP-P-2020-105098 2020-06-18
JP2020105098A JP7493877B2 (ja) 2020-06-18 2020-06-18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JPJP-P-2020-120397 2020-07-14
JP2020120397A JP7395437B2 (ja) 2020-07-14 2020-07-14 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136A KR20210139136A (ko) 2021-11-22
KR102504472B1 true KR102504472B1 (ko) 2023-03-02

Family

ID=7851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942A KR102504472B1 (ko) 2020-05-13 2021-04-05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04809B2 (ko)
KR (1) KR102504472B1 (ko)
CN (2) CN113675678A (ko)
TW (1) TWI812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9291B2 (en) * 2020-05-13 2022-11-0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JP1703884S (ko) * 2021-04-05 2022-01-04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119B1 (ko) 1995-07-27 1999-11-15 루이스 에이. 헥트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
JP2019121439A (ja) 2017-12-28 2019-07-22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38873B1 (ja) 2018-08-24 2020-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6273B2 (ja) * 2004-03-17 2007-09-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JP4361942B2 (ja) * 2007-03-30 2009-11-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36078B2 (ja) * 2015-02-09 2017-05-31 Smk株式会社 基板接続用コネクタ装置
JP6179564B2 (ja) 2015-07-29 2017-08-16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119B1 (ko) 1995-07-27 1999-11-15 루이스 에이. 헥트 전자기 차폐부용 접속 단자
JP2019121439A (ja) 2017-12-28 2019-07-22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38873B1 (ja) 2018-08-24 2020-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された回路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04809B2 (en) 2022-08-02
TW202143579A (zh) 2021-11-16
TWI812939B (zh) 2023-08-21
US20210359440A1 (en) 2021-11-18
CN113675678A (zh) 2021-11-19
CN214849393U (zh) 2021-11-23
KR20210139136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3454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KR102504472B1 (ko) 커넥터 조립체
US10361519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with sandwiching type shielding plate set
JP6573135B2 (ja) 電気コネクタ装置
JP6179564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TWI770988B (zh) 連接器組裝體
JP6256426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KR102633728B1 (ko) 커넥터
JP7348045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の実装構造
KR102519889B1 (ko) 커넥터 조립체
CN113131284A (zh) 电连接器
JP2019192656A (ja) 電気コネクタ
JP7395437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21190179A (ja) コネクタ組立体
JP7471960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7467296B2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696058B1 (ko) 전기적 커넥터 조립체
KR102543900B1 (ko) 커넥터 조립체
JP718150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22029613A (ja) コネクタ
KR20210139137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