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907A -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907A
KR20210137907A KR1020210055221A KR20210055221A KR20210137907A KR 20210137907 A KR20210137907 A KR 20210137907A KR 1020210055221 A KR1020210055221 A KR 1020210055221A KR 20210055221 A KR20210055221 A KR 20210055221A KR 20210137907 A KR20210137907 A KR 20210137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ill
food
researcher
sto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424B1 (ko
Inventor
홍 대 박
Original Assignee
홍 대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 대 박 filed Critical 홍 대 박
Publication of KR2021013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판구이 및 석쇠구이 그리고 꼬치구이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110)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안착되는 상판(130) 및 본체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하우징과(120)과,
상기 상판(130)으로 덮혀지며,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덮개(140)와,
음식물을 직화 구이 할 수 있는 석쇠(160)와,
상기 석쇠의 상단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조리된 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돌판(150)과,
상기 석쇠 및 돌판으로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제공수단(180)과,
상기 열원제공수단(180)의 하단에 설치되며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및 오물이 집진되는 오물받이(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multifunctional smokeless barbecue grill}
본 발명은 돌판구이 및 석쇠구이 그리고 꼬치구이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기를 구울 때 고기 본연의 부드러운 맛과 향과 최상의 맛을 위하여 숯불구이를 많이 애용 한다.
그러나 숯불 위에 석쇠구이를 할시에 기름이 아래로 떨어져 상당한 연기가 발생 하게 되며, 이런 연기는 미세 먼지로서 환경오염 문제가 있고 연기에 구어진 고기 섭취시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선진화로 인하여 기름이 가득한 육류 섭취가 늘어가고, 상당한 지방섭취로 국가적 비만이 심각한 단계로 3명중 1명꼴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 하고자 업소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로스타 중 철판 위에 올려서 구이를 하고 있는데, 이 또한 기름이 가득하여 적당히 먹어도 신체에 부담을 안겨준다.
그리고 업소용 무연 숯불구이기의 경우 연기가 상승하자말자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 탁자아래 집진기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있다.
즉, 기름이 숯망으로 떨어진 연기가 상승하다 순간적으로 측부에 마련된 흡입구 흡입되어 집진기로 들어갈때, 음식물에 직접적으로 닿은 후 흡입되기 때문에 구이 음식에 연기가 내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구이판 세척시 화학세제가 풀어진 물에 담구어 놓았다 세척 및 헹굼이 이루어지는데 헹굼이 부족할시 잔존하는 세제와 함께 고기를 섭취하게 된다.
즉, 종래의 구이기는 눈으로 보이지 않지만 숯불에 떨어진 기름이 연기가 되어 수직 상승하게 되고, 고온의 숯불에서 타진 연기가 조리물에 베이게 됨으로써 상당히 유해한 문제가 아닐 수 없으며, 석쇠가 자주 타게 되어 석쇠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석쇠를 세척하는 강력한 세제가 석쇠에 잔존할 경우가 많아 잦은 석쇠의 교체는 조리물과 뒤섞인 세제를 사람이 섭취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하겠다.
태운 연기의 유해성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 보고에 의하면 각종 미세먼지와 아세트알테히트,일산화탄소,포름알데 히드가 발생되며, 울산대 환경공학부 보고 에 의하면 구이 시 발생되는 미세먼지 연기는 8배 증가하며 입자 굵기가 적어 폐와 장기에 유착될 수 있고 미세먼지 pm.2.5 보다 높은 124ug/m3 에 이른다고 한다.
다음으로 소비자 보호원 화학분석팀에 의하면 최근 암사망 5만명 중 위암이 20% 인데, 그 원인은 짠 음식과 고기가 탄 음식이라고 보도된바 있다. 또한, 대기오염에 관하여 서울시는 서울지역 일만개 직화구이 식당에 미세먼지, 악취, 대기오염을 해소하기 위하여 800만원을 지원하여 저감장치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는 인체에 매우 유해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구이기는 석쇠구이, 돌판 구이, 꼬치구이를 하나의 구이판기에서는 행할 수 없고 각각의 구이기를 이용해야만 가능하며, 이러한 구이기를 각각 구매시 업소 종사자 또는 소비자에게는 경제적 부담을 가져다 준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6044호 특허문헌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15699호
본 발명은 종래의 음식물 구이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이기를 통해 돌판구이 및 석쇠구이 그리고 꼬치구이를 이용할 수 있는 다기능 무연구이기를 제공함과 아울러, 하나의 구이기를 다양한 용도의 구이기를 활용할 수 있어 업소 종사자 및 개인 구매자에게 구매에 대한 부담률을 최소화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석쇠구이, 돌판구이, 꼬치구이시 발생되는 연기를 최소화시켜 대기오염을 줄일 수있으며, 음식물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여 구이 음식물의 최상의 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구이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안착되는 상판 및 본체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하우징과과,
상기 상판으로 덮혀지며,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덮개와,
음식물을 직화 구이 할 수 있는 석쇠와,
상기 석쇠의 상단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조리된 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돌판과,
상기 석쇠 및 돌판으로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제공수단과,
상기 열원제공수단의 하단에 설치되며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및 오물이 집진되는 오물받이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이기를 통해 돌판구이 및 석쇠구이 그리고 꼬치구이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를 제공하는 효과와, 구이기의 구매에 대한 부담률을 최소화 시켜주는 효과 및,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를 최소화시켜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와, 지방 섭취를 최소화하여 소화가 빠르며 복부 비만을 감소시키고 연기가 음식물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고, 외부로 연기를 방출 하지 않으므로 환경적 미세먼지를 감소 하게하며 구이 음식물의 최상의 맛을 제공하는데 효과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무연구이기의 구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무연구이기의 석쇠판 및 돌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무연구이기의 꼬치구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첨부도면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연구이기(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안착되는 상판(130) 및 본체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하우징과(120)과, 상기 상판(130)으로 덮혀지며,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덮개(140)와, 음식물을 직화 구이 할 수 있는 석쇠(160)와, 상기 석쇠의 상단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조리된 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돌판(150)과, 상기 석쇠 및 돌판으로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제공수단(180)과, 상기 열원제공수단(180)의 하단에 설치되며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및 오물이 집진되는 오물받이(1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금속 또는 목재, 점토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는 사각형상 또는 원형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측은 중공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의 하단 일측은 오물받이(19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측 방향으로는 가스관이 통과 할 수있는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판(130)은 금속 및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손잡이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판의 하단으로 구비되되,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 및 그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의 내측으로 유입되되, 본체와 일정한 공간을 유지되도록 본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20)의 하부로는 오물받이(190)가 진입하도록 개구되거나, 오물받이로 근접되는 부위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14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손잡이가 구비되고, 원판 형상은 육안으로 구이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20)의 상단으로는 직화구이를 위한 석쇠(160)가 구비됨과 아울러 돌판구이를 위한 돌판(150)이 구비되되, 사익 돌판이 석쇠의 상단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석쇠의 상부에는 돌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돌기(161)가 구비되며, 돌판(150)의 하단에는 상기 안착돌기와 대응되는 부위로 안착홈(15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돌판(150)의 상부면은 수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는 높고 양측 사이드로 갈수록 약간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의 내측에는 돌판과 석쇠로 올려진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제공수단(180)이 구비된다.
상기 열원제공수단(180)은 숯이 내장되는 사각형의 숯망(181)으로 이루어지져 내부에 숯을 내장사용하며, 상기 숯망의 하단에는 가스 공급관으로 숯의 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일(18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열원제공수단(180)의 하단으로 가스관(A)이 구비되되, 상기 가스관은 상기 레일(182)의 하단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식을 조리하는 무연 구이기(100)는, 석쇠(160)를 이용한 직화구이와, 돌판(150)을 이용한 돌판구이를 동시에 진행되되, 석쇠 및 돌판을 제거하고 꼬치구이기(200)를 안착시켜 꼬치구이요리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꼬치구이기(200)는, 메인판(201)과, 상기 메인판의 양 측부로 절곡 연장되는 손잡이(202)와, 메인판의 하단으로 한 쌍의 가이드판(203)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판에는 꼬치를 걸수 있도록 걸이홈(203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이홈(203a)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거나, "ㄱ"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하우징(120)을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구이기 내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한편, 구이기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판의 일측에는 조리된 음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조리물 선반(300)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연구이기(100)는 실내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가정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업소용 테이블에 매립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무연구이기의 작용및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삼겹살 구이를 할때 생고기를 길이대로 중앙과 좌우로 놓고 구이를 시작하는데 구이 방법이 4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로 생삼겹을 길이대로 4판을 올리고 덮개를 덮어줌으로서 구이기의 내부 온도가 급증하게 되고, 찌듯이 함으로 육질이 부드럽게되고 구이속도가 신속히 이루어진다. 이런 방식은 조리물은 냉장되어 있다 나오는 것으로서 약10도 미만으로 보관되기 때문이며 불을 강하게 하여도 녹을려면 시간이 지나야만 되는 것이다.
이때 덮개를 덮어줌으로서 구이기 내의 온도가 상승이신속히 이루어져 음식물이 찜이되어 신속하게 구이가 된다.
2단계로서 덮개를 열고 구이물을 뒤짚고 다시 뚜껑을 덮어 두었다가 덮개에 습도가 사라지면 초벌이 완료된다.
3단계로 덮개를 들어내고 조리물을 가위로 자르고 돌판과 석쇠를 교차하면서 구이를 한다. 이때 돌판구이와 석쇠구이가 가능하며 양면 모서리에 조리물을 기대여 놓게되면 기름이 더욱 잘 빠지고 구이속도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4단계로서 석쇠로 이동한 후 천천히 섭취를 해도 구이물이 식지않으며 다시 한번 기름이 빠지게되므로서 바베큐 수준의 구이가 된다.
이와 같은 친환경적인 무연구이기는 연기가 전혀 없어 자바라 흡출 집진기 등이 필요 없어며 지방섭취가 3배 감소되고 소화 속도가 3배나 빠르고 복부비만 걱정이 사라지게하는 특징을 가진다.
다음으로 돌판을 이용하여 양념구이를 할 수가 있고 대패 삽겹살도 철판구이와 비교가 안되는데 이것은 철판과 돌판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꼬치구이기를 이용할 때 면이 넘은 것은 한쪽 끝단으로 창을 끼우고 빨래 널 듯이 세워지며 적당 구이가되면 돌려서 다시 넣어 양면으로 구워진다.
꼬치맛이 우수한 닭 꼬치 가 될 수 있고, 스테이크 등은 속까지 잘익은 향이가득한 스테이크가 된다 이것은 숯불이 원적외선이 방사 되어 50미리를 투과 하고 본연의 향기는 보존 하기 때문이다.
또한 장어구이시 두가지로 나눈다. 첫째로는 생구이로 꼬지창으로 구운후 중앙 오븐판에 올려 당기고 뺀후 가위로 짜르고 올리브 기름을 약간 두르면 겉은 바삭하게 되면서 고소하고 속은 쫀득한 맛 과 향기로 최상의 구이가 시현된다 다음으로 양념 구이로서 초벌 구이후 오븐 판에 올려 양념을 바르고 다시 하우징 아래로 끼우면 되고 이때 오븐판에는 야채를 살작 데치고 마늘을 구우면 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구이기는 이외의 방법외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이를 해 먹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구이기 110: 본체
120: 하우징 130: 상판
140: 덮개 150: 돌판
160: 석쇠 170: 보조가열판
180: 열원제공수단

Claims (8)

  1. 본체(110)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안착되는 상판(130) 및 본체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하우징과(120)과,
    상기 상판(130)으로 덮혀지며,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덮개(140)와,
    음식물을 직화 구이 할 수 있는 석쇠(160)와,
    상기 석쇠의 상단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조리된 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돌판(150)과,
    상기 석쇠 및 돌판으로 열원을 제공하는 열원제공수단(180)과,
    상기 열원제공수단(180)의 하단에 설치되며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 및 오물이 집진되는 오물받이(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160)의 상단으로 돌판(150)을 안착시켜 사용하되, 석쇠의 상단으로 안착돌기(161)이 구비되고, 돌판의 하단으로 상기 안착돌기로 인입되게 안착홈(1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제공수단(180)은 숯이 내장되는 숯망(181)으로 구비되되, 상기 숯망의 하단에는 가스 공급관으로 숯의 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일(18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음식을 조리하는 구이기는, 석쇠(160)를 이용한 직화구이와, 돌판(150)을 이용한 돌판구이를 동시에 진행되되, 석쇠 및 돌판을 제거하고 꼬치구이기(200)를 안착시켜 꼬치구이요리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구이기(200)는,
    메인판(201)과,
    상기 메인판의 양 측부로 절곡 연장되는 손잡이(202)와, 메인판의 하단으로 한 쌍의 가이드판(203)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판에는 꼬치를 걸수 있도록 걸이홈(203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203a)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거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하우징(120)을 이중 구조로 구성하여 구이기 내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판의 일측에는 조리된 음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조리물 선반(3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KR1020210055221A 2020-05-11 2021-04-28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KR102412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655 2020-05-11
KR20200055655 2020-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907A true KR20210137907A (ko) 2021-11-18
KR102412424B1 KR102412424B1 (ko) 2022-06-23

Family

ID=7871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221A KR102412424B1 (ko) 2020-05-11 2021-04-28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4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93Y1 (ko) * 1999-09-03 2000-02-15 윤용식 고기 구이기
KR20070015699A (ko) 2005-08-01 2007-02-06 정용호 불연석쇠구이장치
KR20080001526U (ko) * 2006-11-29 2008-06-03 우종찬 꼬치구이기
KR20090013077U (ko) * 2008-06-18 2009-12-29 이인우 고기구이판
KR20130016044A (ko) 2011-08-05 2013-02-14 홍 대 박 다기능 무연 구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93Y1 (ko) * 1999-09-03 2000-02-15 윤용식 고기 구이기
KR20070015699A (ko) 2005-08-01 2007-02-06 정용호 불연석쇠구이장치
KR20080001526U (ko) * 2006-11-29 2008-06-03 우종찬 꼬치구이기
KR20090013077U (ko) * 2008-06-18 2009-12-29 이인우 고기구이판
KR20130016044A (ko) 2011-08-05 2013-02-14 홍 대 박 다기능 무연 구이기
KR101380623B1 (ko) * 2011-08-05 2014-04-07 홍 대 박 다기능 무연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424B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122B2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providing both direct and indirect heat cooking
US3474724A (en) Capsule for use in a stove
US3299800A (en) Broiling and roasting apparatus
US20160235078A1 (en) Universal Barbeque System
US20130312732A1 (en) Gas and ceramic grill combination
US20080289511A1 (en) Combination grilling basket and tool set
KR101006018B1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US8137723B1 (en) Healthy cookware
KR102412424B1 (ko)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CN204930789U (zh) 一种多功能环保餐桌
US20120260809A1 (en) Rotisserie Grill
KR20060096793A (ko) 참나무 훈제,구이 겸용 조리기구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KR20120114207A (ko) 영양분과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3중석쇠
KR102224413B1 (ko) 회전식 고기 구이기
KR200207275Y1 (ko) 훈제 구이기
KR102012239B1 (ko)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CN208941856U (zh) 一种烧烤炉
US20090308264A1 (en) Ultimate combo smoker
KR20180137451A (ko) 다련식 숯불 석쇠 회전식 구이기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CN212489627U (zh) 一种双面红外燃气同时加热的烧烤机
KR101363449B1 (ko) 초벌구이 시스템
CN214259042U (zh) 一种自动翻转无烟木炭烧烤设备
KR200206887Y1 (ko) 투시창이 구성된 숯불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