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044A - 다기능 무연 구이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무연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044A
KR20130016044A KR1020120054959A KR20120054959A KR20130016044A KR 20130016044 A KR20130016044 A KR 20130016044A KR 1020120054959 A KR1020120054959 A KR 1020120054959A KR 20120054959 A KR20120054959 A KR 20120054959A KR 20130016044 A KR20130016044 A KR 2013001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rcoal
central
hole
out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623B1 (ko
Inventor
홍 대 박
Original Assignee
홍 대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 대 박 filed Critical 홍 대 박
Publication of KR2013001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62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 또는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음식물이 구워지는 동안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음식물에 열이 충분히 골고루 전달되어 중앙부위에 올려지는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외곽으로 물받이가 구비되는 오븐 몸체와, 상기 오븐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정 높이를 가진 외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측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내측판과, 철망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판의 상부에 얹혀지는 구이판과, 상기 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이판의 중앙에 위치하며 음식물에서의 기름이나 물이 상기 물받이로 떨어지게 하여 연기 발생을 차단하는 중앙판과, 상기 홀에 설치되는 열원과, 상기 구이판의 상부에 덮여지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무연 구이기{Multifunctional Smokeless Barbecue Grill}
본 발명은 다기능 무연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불 또는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음식물이 구워지는 동안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음식물에 열이 충분히 골고루 전달되어 중앙부위에 올려지는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형의 직화 오븐은 외곽으로 물받이와 중앙으로 홈이 구성되어 가스 또는 숯불을 이용하여 구이요리를 하게 된다.
가정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직화 오븐은 뚜껑의 중앙에 우산 모양의 열 분산 판과, 중간 조리 판이 구비되는 구조이며, 상승하는 열기가 우산 모양의 열 분산 판으로 인해 하방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직화 오븐은 중앙으로 상승하는 가스불과 철의 열기로 인해 구워지는 것으로서 맛과 질이 떨어지고 뚜껑을 반드시 덮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숯불 사용이 불가능한 가스 전용 바베큐식 오븐 구이이다.
도 1은 종래의 뚜껑을 이용한 직화 오븐의 단면도로서, 종래의 바베큐식 원형 직화 오븐은 하단 중앙으로 가스가 유입되는 중앙 홈(107)을 구성한 하부 몸체(101)과, 하부 몸체 상단으로 결합되는 구이판(102)과, 구이판을 감싸고 덮어지는 덮개(104)와, 중앙 홈 상부로 중앙 직립봉(105) 또는 덮개(104) 중앙으로 열기를 분산하는 분산판(103)으로 구성되어 상승하는 화력을 순환하여 오븐 실내가 뜨거워지면서 구이판의 조리물이 익어지는 가스 전용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구조에서는 조리물의 기름이 홈의 물받이로 떨어짐으로써 연기가 발생되지는 않으나, 가스불로 구이판(102)을 가열하여 고기를 구으므로 고기가 질기고 부드럽지 않고 맛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뚜껑을 반드시 덮어야만 구이가 가능한 단점이 있고, 가스불을 사용하므로, 숯불 사용이 불가능하여 영업용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하겠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2-0015144호는 뚜껑의 중앙에 우산 모양의 열 복사판과, 구이판의 중간에 열차단 커버가 구비되는 전기 구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열원으로 전기를 이용하는 차이점은 있으나, 뚜껑의 중앙에 우산 모양의 열 복사판이 구비되어 상승하는 열기가 우산 모양의 열 분산 판으로 인해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고기를 익히는 구조는 동일한 것으로, 가열된 구이판 위에서 고기를 구으므로 고기가 질기고 부드럽지 않을 뿐 아니라 뚜껑을 반드시 덮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원형 직화 오븐식으로서, 중앙부가 막혀진 철판 석쇠(108)를 올려 사용하는 단면도이다. 상부에 덮개를 덮지 않고 오픈한 체로 철판 구이가 되며, 이 역시 상기와 같은 철판 구이 식으로 맛과 질이 떨어지고 중앙부가 타지게 하여 연기 발생과 철판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가스불이나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숯불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숯불 케이스가 밥그릇 형상으로 중앙 하단이 타공 되어져 중앙 홈 통에 아래로 삽입되어 숯망 케이스 끝단에 걸쳐진 후 석쇠 또는 타공된 철판 구이판을 올려 구이를 하게 된다.
상기의 방법의 경우 중앙부의 열기가 강해 고기가 타게 되어 연기가 발생하고, 철판을 자주 교체해야 하며 주변으로 환풍 팬을 가동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 3은 종래의 야외용 숯불식 직화오븐 단면도이며, 외측으로 물받이와 중앙 홈으로 숯 케이스(130)가 삽입된 후 숯의 기운이 많이 상승하도록 철망 석쇠(140)를 올려 구이를 하게 된다.
상기 방식 역시 중앙의 수직 상승하는 화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연기가 발생되고 중앙부가 타져 철망 석쇠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좀 더 정밀하게 분석하면, 눈으로 보이지 않지만 숯불에 떨어진 기름이 연기가 되어 수직 상승하게 되고, 고온의 숯불에서 타진 연기가 조리물에 베이게 됨으로써 상당히 유해한 문제가 아닐 수 없으며, 또한, 석쇠가 자주 타게 되어 석쇠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석쇠를 세척하는 강력한 세제가 석쇠에 잔존할 경우가 많아 잦은 석쇠의 교체는 조리물과 뒤섞인 세제를 사람이 섭취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하겠다.
태운 연기의 유해성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 보고에 의하면 각종 미세먼지와 아세트알테히트,일산화탄소,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되며, 울산대 환경공학부 보고 에 의하면 구이 시 발생되는 미세먼지 연기는 8배 증가하며 입자 굵기가 적어 폐와 장기에 유착될 수 있고 미세먼지 pm.2.5 보다 높은 124ug/m3 에 이른다고 한다.
다음으로 소비자 보호원 화학분석팀에 의하면 최근 암사망 5만명 중 위암이 20% 인데, 그 원인은 짠 음식과 고기가 탄 음식이라고 보도된바 있다. 또한, 대기오염에 관하여 서울시는 서울지역 일만개 직화구이 식당에 미세먼지, 악취, 대기오염을 해소하기 위하여 800만원을 지원하여 저감장치를 설치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는 인체에 매우 유해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기 등의 음식물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외측으로 유도하여 숯불에 기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덕트 없이도 실내에서 숯불을 이용한 조리가 가능하게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석쇠 중앙부가 타서 석쇠를 자주 갈아주는 문제를 해소하여 잦은 석쇠의 교체로 인한 불편함과, 석쇠에 잔존하는 세제로 인해 인체에 유해물을 섭취하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가스와 숯불 사용을 동시에 할 수가 있어 야외 또는 실내에서 보다 간편하게 구이물을 조리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구이판이 아닌 석쇠 위에서 고기를 굽거나 자갈 위에서 간접 열에 의해 고기를 구울 수 있게 하여 고기가 부드럽고 맛있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꼬치 구이를 할 수 있어 다기능으로 사용가능한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형의 절곡된 플렌지를 가지는 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홀의 외곽으로 물받이가 구비되는 오븐 몸체와, 상기 오븐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정 높이를 가진 외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측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내측판과, 철망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판의 상부에 얹혀지는 구이판과, 상기 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이판의 중앙에 위치하며 음식물에서의 기름이나 물이 상기 물받이로 떨어지게 하여 연기 발생을 차단하는 중앙판과, 상기 홀에 설치되는 열원과, 상기 구이판의 상부에 덮여지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원으로 숯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숯을 열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홀에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숯망 케이스가 돌출결합되고, 상기 숯망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홀에 탈착되는 네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숯망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구이판의 중앙으로 강하게 상승하는 화력을 측면으로 분산하기 위한 열 차단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판은 상하로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판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구이판의 귀날개가 삽입되는 절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복수의 꼬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꼬치홈에 꼬치창을 끼워 꼬치구이를 할 수 있다.
상기 꼬치창은 손잡이의 선단부에 자석이 구성되어 원하는 위치에 꼬치창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측판은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판과 소정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외측판보다 낮게 설치되어 상기 열원에서의 화력을 보온하도록 반사경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상기 외측판의 테두리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꼬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꼬치홈에 꼬치창을 끼워 꼬치구이를 할 수 있다.
상기 꼬치창은 손잡이의 선단부에 자석이 구성되어 원하는 위치에 꼬치창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측판은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판과 소정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외측판보다 낮게 설치되어 상기 열원에서의 화력을 보온하도록 반사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판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중앙에 떨어지는 기름을 숯망 케이스의 외측으로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가스불이며, 상기 홀에 얹혀지는 네일을 구비한 중앙 분산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분산기는 상기 네일에 고정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봉과, 상기 금속봉에 결합되는 돌판과, 상기 금속봉의 상단에 결합되며 방사형으로 꼬치창이 얹혀지는 요철이 형성되는 요철중앙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봉은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너트가 상기 돌판의 상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이 시 연기가 발생하지 않고 불판이 타지 않아 자주 불판을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며, 구이 시 발생 되는 연기가 고기에 베이지 않고, 가스와 숯불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분주한 일상에 편리함을 주며, 기름이 잘 빠져 최상의 웰빙식 담백한 맛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뚜껑을 이용한 직화 오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뚜껑이 없는 직화 오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야외용 숯불식 직화오븐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내측판과 외측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숯망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판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이판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중앙판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꼬치창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가스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중앙 분산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중앙 분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중앙 분산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중앙 분산기를 이용하여 일반 가스구이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는 원형의 절곡된 플렌지를 가지는 홀(210)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홀(210)의 외곽으로 물받이(220)가 구비되는 오븐 몸체(200)와, 상기 오븐 몸체(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정 높이를 가진 외측판(300)과, 상기 외측판(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판(310)과, 철망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판(300)의 상부에 얹혀지는 구이판(600)과, 상기 홀(210)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이판(600)의 중앙에 위치하며 음식물에서의 기름이나 물이 상기 물받이로 떨어지게 하여 연기 발생을 차단하는 중앙판(700)과, 상기 구이판(600)의 상부에 덮여지는 뚜껑(80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는 단순한 중앙 화력이 아닌 측면 화력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며, 모든 구성요소가 탈부착이 되도록 하여 다양한 방식의 구이를 전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는 열원으로서, 숯불 및 가스불 사용이 가능한데, 도 4 내지 도 6은 숯불을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숯불을 열원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홀(210)에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숯망 케이스(400)가 결합된다.
상기 숯망 케이스(400)의 하부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홀(210)에 탈착되는 네일(410)이 구비된다.
그릇형상으로 철망으로 구성된 숯망 케이스(400) 하단으로 하단 네일(410)이 돌출이 되어 오븐 몸체(200) 중앙의 홀(210) 상부에 탈부착이 되며, 고기를 구울 때 상기 물받이(220)에 물을 부으면 상기 네일(410)이 물에 반쯤 잠기어 기름과 물과 뜨거운 네일(410)에 접하면서 식욕을 돋게 하는 바글바글 하는 고기 익히는 소리를 낸다.
또한, 상기 숯망 케이스(400) 상부 면으로는 열 차단판(500)이 구성되어 중앙부로 강하게 상승하는 화력을 측면으로 분산하게 한다.
도 5는 오븐 몸체(200) 중앙으로 관통되어 절곡된 홀(210)에 숯망 케이스(400)가 돌출·결합이 되어 측면으로 숯의 화기를 방사하게 되는 모습이다.
상기 오븐 몸체(200)의 하부에는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숯망 케이스(400)에서의 재를 수거하고, 공기를 유입하는 통공(270)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하부판(260)이 설치된다.
즉, 구이를 실행할 때 숯불의 재가 발생하는데, 숯의 재를 수거하기 위한 하부판(260)이 그릇 형상으로 상기 오븐 몸체(200)와 탈부착이 되도록 하여지며, 숯불의 화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부판(260) 일정 높이로 형성된 통공(270)이 방사형으로 구성되어 지속적인 화력을 위한 많은 공기가 유입되고, 상부로 올라간 숯불로 타고 난 가스는 도 7에 도시한 외측판(300)의 절개홈(320)과, 꼬치홈(730)으로 배출되며,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숯불의 열기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상기 외측판(300)은 상하로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복수의 절개홈(320)을 구성한다. 상기 절개홈(320)에는 상기 구이판(600)의 귀날개가 삽입되어 숯불에 근접한 상태에서 구이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320)은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대칭형으로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판(600)은 테두리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꼬치홈(730)이 형성되어, 상기 꼬치홈(730)에 꼬치창(610)을 끼우고 꼬치구이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뚜껑(800)을 유리로 구성하며, 상부로 유리 뚜껑(800)을 덮은 상태에서 위에서 구이 상태를 바라보면서 구이를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꼬치창(610)의 선단부에 자석이 구성되어 원하는 위치에 꼬치창(610)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색다른 구이를 위해 꼬치를 삭제하고 직화 구이가 가능하여지고, 상기 구이판(600)에 자갈을 얹어 자갈의 원적외선과 둥근 형상으로 하여 기름이 더욱 잘빠져 더욱 친환경적인 구이를 할 수 있다.
도 7은 내측판과 외측판의 사시도이다.
상기 내측판(310)은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판(300)과 소정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외측판(300)보다 낮게 설치되어 상기 열원에서의 화력을 보온하도록 반사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외측판(300)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측판(310)은 일정 높이로 이루고 상하 관통되어 상부 끝단은 절곡된 후 외측판(300)과 공간을 이루고, 오븐 몸체(200) 바닥면까지 끼워진다.
상기 숯망 케이스(400)를 감싸고 오븐 몸체(200) 상단으로 결합된 외측판(300)과 내측판(310)으로 하여금 중앙의 숯망 케이스(400)가 상부로 돌출이 가능하게 하고, 내측판(310)으로 하여 열기를 보온하게 되어 상부로 숯불의 열기가 구이판(600) 전반으로 확산이 되며, 상기와 같은 효과를 증가하기 위해 내측판(310)은 스텐 반사경으로 이루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겠다.
한편, 외측판(300) 상단으로 결합된 구이판(600)은 중앙으로 숯망 케이스(400) 보다 큰 중앙판(700)이 구성되어, 중앙 상부의 조리물에 발생 되는 기름이 하단의 숯망 케이스(400)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판(700)은 가스를 이용할 때 상기 숯망 케이스(400) 대신 중앙판(700)을 올리고, 꼬치창을 걸치고 뚜껑을 덮고나서 즉석 바베큐식 꼬치구이를 하거나 즉석 석쇠구이를 할 수 있다.
도 8은 숯망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상기 숯방 케이스(400)는 그릇의 형상을 가지고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으로 하단 네일(410)을 더욱 구성하여, 오븐 몸체(200)의 중앙 홀(210) 상부면으로 끼워져 유동을 제어하게 하고, 상기 네일(410)이 오븐 몸체(200)의 물받이(220)의 물에 잠기게 할 때 기름과 물이 뜨거운 하단 네일(410)에 접촉하여 적당한 수분 증발로 인해 구이의 촉촉함과 지글지글 하는 소리 등으로 하여 입체적 질감을 배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부판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판(260)은 숯불 케이스(400)에 떨어지는 재를 수거하기 위하여 오븐 몸체(200)가 유입될 수 있는 그릇의 형상을 이루고, 공기가 소통할 수 있는 통공(270)이 하부판(260) 상부면으로 일정 다수 형성되고, 바닥으로는 더욱 하방으로 절곡된 하부판 절곡돌기(280)가 구성된다.
상기 절곡돌기(280)는 숯망 케이스(400)의 숯의 열기가 하단으로 전달됨으로써 실내 사용 시 하부판(260)에 물을 붓게 되는데 하부판(260) 바닥보다 더욱 돌출되게 형성되어 실내의 바닥면에 열기 전이를 축소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이판 사시도이다.
상기 외측판(300) 상부로 결합되는 구이판(600)은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귀날개가 구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중앙판의 단면도이다.
상기 중앙판(70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떨어지는 기름을 숯망 케이스의 외측으로 떨어지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외주면은 절곡된 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중앙판(700) 하면에는 소정 깊이로 하부면 홈(720)이 형성되어 하부 내측으로 유입하려는 기름을 수직낙하시킨다. 상기 하부면 홈(72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판(700)의 외주면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이판 중앙으로 올려지는 중앙판(700)은 중앙부의 기름을 숯망 케이스(400)외측으로 떨어지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중앙판(7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판에 열기가 오르면 더욱 미세해진 기름이 내측으로 스며들어 연기가 나게 되는데, 중앙판 외주면을 절곡하여 떨어지는 기름을 숯망 케이스의 외측으로 떨어지게 한다.
또한, 중앙판(700) 하면에는 소정 깊이로 하부면 홈(720)은 하부 내측으로 유입하려는 기름을 수직낙하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꼬치창의 단면도이다.
상기 꼬치창(610)은 외측판(600)의 테두리 꼬치홈(730)에 유입되어지고, 손잡이의 선단에는 자석(680)이 부착된다. 상기의 수단에 있어서, 꼬치창에 끼운 조리물은 무게 중심이 강한 쪽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자석으로 하여 일정한 바라는 위치에서 정지가 됨으로써 고르게 구이를 할 수 있다 하겠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를 가스불에서 꼬치구이를 이용하기 위한 중앙 분산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중앙 분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중앙 분산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중앙 분산기를 이용하여 구이판을 올리고 직화 가스구이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가스불로 하여 세라믹 돌판이 달구어 지면서 실내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 같은 꼬치구이는 종래와 달리 유리덮개를 덮고 바라보면서 꼬지창을 돌리게 되므로서 기호에 맞게 할 수도 있고, 조리 후 돌판의 열기로 하여 구이가 식지 않아 부드러움을 느낄 수가 있으며, 전 구이과정이 시각을 즐겁게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는 상술한 숯불뿐 아니라 가스불을 사용할 수 있는데, 가스불을 사용하는 구이의 효과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홀(210)에 얹혀지는 네일을 구비한 중앙 분산기(9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분산기(900)는 상기 네일(906)에 고정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봉(903)과, 상기 금속봉에 결합되는 돌판(904)과, 상기 금속봉의 상단에 결합되며 방사형으로 꼬치창이 얹혀지는 요철이 형성되는 요철중앙판(9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네일(906)은 숯망 케이스(400)처럼 좁은 테를 이루고 십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봉(903)은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판(904)을 설치하기 위하여 너트(905)가 상기 돌판(904)의 상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판(904)은 중앙이 통공되어지고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으로 나사봉 (903)이 유입될 홈을 형성하고, 상하부에 상기 너트(905)를 조절하면서 고정이 된다.
상기 요철중앙판(902)은 그릇 형상을 이루고 테두리에 요철부를 이루어 꼬치창의 유동을 차단하게 하며 나사봉(903)에 탈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봉은(903)은 상기 요철중앙판(902)에 고정되는 파이프(908)와 결합하며, 하부 금속봉(903)에 너트(905)에 삽입하여 결합하면서 상기 돌판(904)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 분산기(90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숯망 케이스(400)를 들어내고 중앙 분산기(900)를 오븐 몸체(200)의 중앙 홀(210)에 끼우고 외측판(300)과 내측판(310)을 결합하고, 중앙으로 구이판(600)을 올리되 꼬치 구이시는 석쇠(650)를 제거한 구이판이 올려지고 상기 홈으로 꼬치를 끼우고 유리 뚜껑(800)을 덮고, 가스불을 켜서 구이를 시작한다.
상기 구이판(600)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철의 열기를 제거하게 되고 중간의 걸림이 없어 구이가 용이하고 좀더 두꺼운 꼬치구이가 가능하여 진다.
상기수단으로 하여 철의 열기를 제거하게 되고 중간의 걸림이 없어 구이가 용이하고 좀더 두꺼운 꼬치구이가 가능하여지며 상부에서 바라보며 꼬치창을 돌려 조리함으로써 타지지 않고, 노릇한 구이를 하며 즐거움과 재미가 있게 되며 조리가 끝난 후 세라믹 돌판(904)의 열기로 하여 식지 않고 따뜻하게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 가스불 직화구이로서 먼저 중앙 분산기(900) 상부의 요철중앙판(902)을 들어내고 구이판 (600)과 중앙판(700)을 올린 후 가스불을 켜고 고기를 올리면 시작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무연 구이기는 철판을 달구거나 가스불만으로 고기를 구워 맛과 향과 부드러움이 떨어지는 것을 해소할 수 있으며, 세라믹 돌판 은 상하가 둥근 형상으로 가스불이 외측으로 신속히 유동되도록 하고 쇠를 달구지 않고 세라믹 돌판 자체를 달구어 순수한 원적외선 게르마늄 등을 많이 발생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맛을 위해 구이 속도와 온도가 중요하므로, 세라믹 돌판으로 하여 실내 열을 더욱 확산하여 바싹한 구이가 가능해진다. 또한, 세라믹 돌판은 교체가 용이하여 일정 사용 후 교체하거나 황토, 옥, 적석돌 등을 취미에 맞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200 : 오븐 몸체 260 : 하부 판
270 : 통공 300 : 외측판
310 : 내측판 320 : 절개홈
400 : 숯망 케이스 410 : 하단 네일
500 : 열 차단판 600 : 구이판
610 : 꼬치창 620 : 자갈
640 : 철망 650 : 석쇠
680 : 자석 700 : 중앙판
720 : 하부면 홈 730 : 꼬치홈
800 : 유리뚜껑 900 : 중앙 분산기
902 : 요철중앙판 903 : 금속봉
904 : 돌판 906 : 네일

Claims (9)

  1. 원형의 절곡된 플렌지를 가지는 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홀의 외곽으로 물받이가 구비되는 오븐 몸체;
    상기 오븐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정 높이를 가진 외측판;
    상기 외측판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측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내측판;
    철망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판의 상부에 얹혀지는 구이판;
    상기 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이판의 중앙에 위치하며 음식물에서의 기름이나 물이 상기 물받이로 떨어지게 하여 연기 발생을 차단하는 중앙판;
    상기 홀에 설치되는 열원; 및
    상기 구이판의 상부에 덮여지는 뚜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숯이며, 상기 숯을 열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홀에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숯망 케이스가 돌출결합되고,
    상기 숯망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홀에 탈착되는 네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은 원형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기름을 숯망 케이스의 외측으로 떨어지게 하고, 그 하면에는 소정 깊이로 하부면 홈이 형성되어 하부 내측으로 유입하려는 기름을 수직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은 상하로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판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구이판의 귀날개가 삽입되는 절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복수의 꼬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꼬치홈에 꼬치창을 끼워 꼬치구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꼬치창은 손잡이의 선단부에 자석이 구성되어 원하는 위치에 꼬치창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은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판과 소정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외측판보다 낮게 설치되어 상기 열원에서의 화력을 보온하도록 반사경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가스불이며,
    상기 홀에 얹혀지는 네일을 구비한 중앙 분산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산기는 상기 네일에 고정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봉과, 상기 금속봉에 결합되는 돌판과, 상기 금속봉의 상단에 결합되며 방사형으로 꼬치창이 얹혀지는 요철이 형성되는 요철중앙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은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너트가 상기 돌판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무연 구이기.
KR1020120054959A 2011-08-05 2012-05-23 다기능 무연 구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380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71 2011-08-05
KR20110078071 2011-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044A true KR20130016044A (ko) 2013-02-14
KR101380623B1 KR101380623B1 (ko) 2014-04-07

Family

ID=4789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9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0623B1 (ko) 2011-08-05 2012-05-23 다기능 무연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6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086A (ko) * 2017-05-26 2018-12-06 홍 대 박 다기능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CN109288407A (zh) * 2018-12-05 2019-02-01 廉江市碳神五金厨具厂 一种无烟烧烤机架
KR20210137907A (ko) 2020-05-11 2021-11-18 홍 대 박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207A (ko) * 2009-07-01 2011-01-07 (주)재성인더스트리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086A (ko) * 2017-05-26 2018-12-06 홍 대 박 다기능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CN109288407A (zh) * 2018-12-05 2019-02-01 廉江市碳神五金厨具厂 一种无烟烧烤机架
CN109288407B (zh) * 2018-12-05 2024-05-28 湛江维尔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无烟烧烤机架
KR20210137907A (ko) 2020-05-11 2021-11-18 홍 대 박 다기능 웰빙 무연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623B1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358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303685B1 (ko) 열풍 가열식 로스터
KR101315045B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200444305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KR101380623B1 (ko) 다기능 무연 구이기
KR200444353Y1 (ko) 만능 구이판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101060025B1 (ko) 고기구이 불판
JP2007301327A (ja) 焼き物調理器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1494082B1 (ko)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JP2008079888A (ja) 焼き上げ装置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20210060775A (ko) 난로형 구이기
KR20170035671A (ko) 구이용 화덕
KR20160029490A (ko) 방염, 방열판을 갖는 다용도 화로
KR200159758Y1 (ko) 원적외선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구이기
CN2317784Y (zh) 改良的烧烤装置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KR101277597B1 (ko) 저탄소 웰빙 바람막이 팬
CN213524877U (zh) 一种用于煤气卡式炉的烧烤器具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2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122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