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950A - 케이블카 통행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카 통행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950A
KR20210134950A KR1020217031626A KR20217031626A KR20210134950A KR 20210134950 A KR20210134950 A KR 20210134950A KR 1020217031626 A KR1020217031626 A KR 1020217031626A KR 20217031626 A KR20217031626 A KR 20217031626A KR 20210134950 A KR20210134950 A KR 2021013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r
sensor
cable
support
evalu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파이퍼
아드리안 모니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3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특히 케이블카(5)가 케이블카(5)의 케이블카 지지대(1)를 통과할 때 케이블카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평가 유닛(16) 및 평가 유닛(16)에 연결된 둘 이상의 센서(15)를 갖는 검출 장치(9)가 하나 이상의 케이블 지지대(1)에 제공되고, 제 1 센서(15)는 제 1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카 지지대(1)의 진입 영역(E)에 위치하고, 제 2 센서(15)는 제2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로 지지대의 출구 영역(A)에 위치하며, 감지된 수(i)가 미리 정의된 최대 수(imax)를 초과할 때 감지 장치(9)는 제1 센서(15)와 제2 센서(15) 사이의 케이블카(5)의 수(i)를 감지하고 고장 신호(F)를 생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카 통행 감지 장치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가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케이블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단부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해 단부 스테이션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 지지부를 갖는 케이블카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케이블카는 지지부는 2개의 대향하는 지지 단부 사이의 케이블카 지지 길이에 걸쳐 컨베이어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여기서 제 1 지지 단부의 영역에는 케이블카가 케이블카 지지부 및 해당 영역에 진입하기 위해 제공된다. 지지부의 제 2 끝의 출구 영역은 케이블카 지지부에서 케이블카의 출구를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케이블카의 통과를 감지하기 위해 두 개의 대향하는 지지 단부 사이의 케이블카 지지 길이에 걸쳐 케이블카 지지부에 안내된 컨베이어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카의 케이블카 지지부용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및 2개의 대향하는 지지 단부 사이의 케이블카 지지 길이에 걸쳐 케이블카 지지부 상에 안내된 컨베이어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케이블카의 케이블카 지지부 상의 케이블카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는 케이블카 지지부 위로 컨베이어 케이블로 이동된다.
케이블카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되며, 주로 사람 및/또는 상품을 수송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시 교통 수단으로 또는 스키장에서 사람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의 철도 차량이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당겨지도록 와이어 케이블에 고정되는 케이블카가 알려져 있다. 이동은 지상에서 이루어지며 케이블카는 주로 산길이나 도시 지역에서 사용된다. 반면에 공중케이블카의 경우 곤돌라, 캐빈, 의자 등의 케이블카는 고정된 가이드 없이 하나 이상의 (와이어) 케이블로 운반되어 공중에 매달린 채 이동된다. 따라서 케이블카는 지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공중 케이블카는 일반적으로 계곡에서 산으로 사람들을 운송하기 위해 스키 지역과 같은 산악 루트에 주로 사용되지만 도시 지역에서는 사람들을 운송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거친 지형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카에는 케이블카가 이동하는 2개 이상의 역이 있다.
순환 케이블카와 공중 케이블카를 구분해야 한다. 공중 케이블카의 경우 견인 케이블에 의해 당겨진 한두 대의 케이블카가 두 역 사이의 경로에 있는 컨베이어 케이블이나 레일을 따라 왕복 운행한다. 반면 순환 케이블카는 역 사이를 끊임없이 순환하는 무한 컨베이어 케이블카 곤돌라나 의자 등 다수의 케이블카가 매달려 있다. 케이블카는 한쪽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동하고 반대쪽에서 다시 이동한다. 따라서 케이블카의 이동은 연속 컨베이어와 유사하게 항상 한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다.
더 먼 거리를 연결하기 위해 (운반/견인)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케이블카 지지부가 일반적으로 두 스테이션 사이에 배치된다. 케이블카 지지부는 철골 구조로 설계될 수 있지만 강철 튜브 또는 판금 상자 구조로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위 롤러 세트 형태의 복수의 롤러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을 운반하고 안내하기 위해 케이블 지지부에 배열된다. 순환 케이블카의 경우 케이블카는 일반적으로 서로 정의된 거리에서 컨베이어 케이블에 고정된다. 컨베이어 케이블과 케이블카 지지부가 가능한 한 고르게 적재되도록 하기 위해 케이블카에 있는 많은 수의 케이블카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물론 케이블카 사이의 거리는 케이블카의 구체적인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어리프트의 의자 사이의 거리는 곤돌라 케이블카 등의 곤돌라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것이다.
현대식 순환 케이블카에서 케이블카는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케이블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개방 가능한 케이블 클램프를 통해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스테이션에서 케이블카는 컨베이어 케이블에서 분리되어 컨베이어 케이블의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스테이션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승객을 수송할 때 승하차 시간이 더 많아져 승객의 편안함과 안전성이 높아진다. 역에서 나올 때 케이블카는 케이블 클램프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케이블에 다시 고정된다. 케이블카는 바람직하게는 급격한 가속 및 충격 부하를 피하기 위해 순환 컨베이어 케이블의 속도로 다시 가속된다. 더 큰 운송 능력과 더 짧은 운송 시간을 향한 발전으로 인해 케이블카의 크기와 용량 외에도 최근 몇 년 동안 컨베이어 케이블의 운송 속도도 증가했다. 케이블카가 스테이션에서 분리되고 운송 속도가 계속 증가한다는 사실은 개별 케이블카 사이의 거리를 설정할 때도 당연히 고려해야 한다. 케이블카가 컨베이어 케이블에 단단히 고정된 케이블카도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카 사이의 거리는 롤러 세트의 입구 영역과 롤러 세트의 출구 영역 사이의 케이블카 지지부(적어도 한 방향으로)에 하나의 케이블카만 있음을 의미한다. 케이블카의 작동 안전성과 승객의 안전을 높이고 손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종종 케이블 위치 센서가 롤러 세트에 제공된다. 롤러에 의해 미리 정의된 원하는 케이블 위치에서 롤러 세트의 컨베이어 케이블 위치의 편차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 위치 센서가 제공된다. 편차가 감지되면 특정 상황에서 케이블카를 정지하거나 속도를 줄이거나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롤러 세트의 롤러에서 튀어나온 컨베이어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높은 풍속에서 안전성을 높인다. 특정 상황에서 케이블카의 운영은 더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탈한 케이블 위치가 감지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상을 초래하거나 승객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예를들어, 케이블카는 케이블카 지지대의 롤러 세트에서 컨베이어 케이블의 케이블 위치가 목표 케이블 위치에서 허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벗어나지 않고, 예를 들어 돌풍으로 인해 이동 방향에 대해 가로로 컨베이어 케이블 주위를 스윙할 수 있다. 케이블카가 케이블카 지지부의 롤러 세트에 진입하거나 통과할 때 스윙 움직임이 너무 강하면 케이블카 영역이 케이블카 지지부 영역과 충돌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 이러한 충돌로 인해 케이블 위치 센서가 다른 케이블 위치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케이블카 지지부 영역에서 케이블카가 차단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로 케이블 클램프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카와 컨베이어 케이블 사이에 일정한 저항이 있을 때 컨베이어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도록(물론 클램프를 풀지 않고) 설계된다. 이렇게 막힌 케이블카는 케이블카 관제소에서 쉽게 감지할 수 없다. 케이블카 승강장에서 케이블카 지지부가 보이지 않으면 운영 직원이 막힌 케이블카를 인식할 수 없다.
설명된 시나리오는 결과적으로 케이블카가 케이블카 지지부 영역에서 막히고 컨베이어 케이블이 케이블카에 비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속도로 케이블 클램프를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이후 케이블카가 케이블카 지지부 영역에 진입하여 이미 차단된 케이블카와 충돌하여 차례로 차단될 수 있다. 케이블 위치도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변경되지 않으면 연쇄 반응을 일으켜 다음 케이블카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케이블카가 케이블카의 케이블카 지지부를 통해 이동할 때 케이블카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평가 유닛 및 평가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센서를 갖는 감지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 지지부 상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목적이 달성되고, 여기서 제 1 센서는 제 1 센서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케이블카 지지부, 그리고 제 2 센서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카 지지부의 출구 영역에 제 2 센서가 배치됨 감지 장치는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사이의 케이블카의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수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를 초과하는 경우 오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블 웨이는 바람직하게는 감지 장치의 결함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웨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가지며, 여기서 제어 유닛은 프로세싱의 기능으로서 케이블 웨이를 제어한다. 이는 예를 들어 오류 신호가 있는 경우 케이블카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광학 및/또는 음향 경고 신호는 또한 예를 들어 작동 직원에게 결함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결함 신호가 수신될 때 자동으로 방출될 수 있다.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센서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의 존재가 감지되는 경우 센서 값을 생성하고 이를 평가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제공되고, 평가 유닛은 수신된 센서 값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카 지지부의 진입 구역에 있는 제 1 센서와 출구 구역에 있는 제 2 센서 사이의 케이블카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수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를 초과하면 오류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비교적 단순한 구조가 케이블카의 통행을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평가 유닛은 유리하게는 진입 영역의 제 1 센서가 센서 값을 공급하는 경우 카운터 값을 단계 값만큼 증가시키고 출구 영역의 제 2 센서가 센서 값을 공급하는 경우 단계 값만큼 카운터 값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카운터 값이 미리 결정된 카운터 값을 초과할 때 오류 신호를 생성하도록 평가 유닛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통과 감지의 비교적 간단한 논리가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0과 동일한 초기 카운터 값이 제공되고 1의 단계 값이 제공되며, 여기서 평가 유닛은 카운터 값이 1보다 클 때 오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평가 장치는 입구 영역과 출구 영역 사이에 둘 이상의 케이블카가 있을 때 카운터 값이 값 1을 초과할 때 인식하고 오류 신호를 트리거할 수 있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카의 수를 중복 결정하기 위해 및/또는 케이블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센서가 진입 영역에 제공되고 2개 이상의 종방향으로 제공된다. 이격된 센서는 케이블카 지지부의 출구 영역에 제공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특정 SIL 수준(안전 무결성 수준)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감지 장치의 고장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케이블카 지지부의 센서의 센서 값을 처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평가 유닛이 케이블카 지지부당 제공되거나, 평가 유닛이 복수의 케이블카 지지부 센서의 센서 값을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케이블카 지지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평가할 센서의 수를 평가 장치의 성능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케이블 웨이에 충분히 강력한 제어 장치가 있는 경우 별도의 평가 장치도 생략할 수 있으며 센서 값은 제어 장치에서 평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카가 컨베이어 케이블에 부착되는 케이블카의 케이블 클램프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도성 센서이다. 이를 통해 케이블카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또한 감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유닛 및 평가 유닛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센서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센서는 검출 영역에서 케이블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제 1 지지 단부의 진입 영역에 제공됨 제 1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센서는 제 2 센서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카 지지부의 제 2 지지 단부의 출구 영역에 배치되도록 제공되고, 감지 장치는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사이의 케이블카의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수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를 초과하는 경우 오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검출장치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케이블카가 케이블카 지지부의 제 1 지지 단부의 영역에 제공된 진입 영역으로 이동되고, 진입 영역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센서가 제 1 센서의 감지 영역에 케이블카가 존재하고 센서 값을 평가 장치로 전송하고 케이블카가 제 2 지지단 영역에 제공된 케이블카 지지부의 입구 영역에서 출구 영역으로 이동한다. 출구 영역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센서는 제 2 센서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의 존재를 감지하고 센서 값을 평가 유닛에 전송하고, 평가 유닛은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센서 값을 처리한다. 제 1 및 제 2 센서 사이의 케이블카 수를 감지하고 결정된 수가 미리 정의된 최대 수를 초과하면 오류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은 예시로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를 도식적이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측면도에서 컨베이어 케이블과 이에 고정된 케이블카가 있는 케이블카의 케이블카 지지부의 상부 섹션,
도 2a-2c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케이블카의 케이블 클램프가 있는 케이블카 지지부의 롤러 세트.
도 1은 케이블카의 컨베이어 케이블(3)이 롤러 세트(4)에 의해 안내되는 케이블카의 케이블카 지지부(1)를 도시한다. 케이블카(5)는 케이블 클램프 6. 여기에서 케이블카는 순환 케이블카, 특히 곤돌라 케이블카로 설계되었으며, 케이블카(5)는 곤돌라로 설계되었다. 물론, 예를 들어 의자로 설계된 케이블카(5)가 있는 체어 리프트 또는 브래킷이 있는 드래그 리프트와 같은 케이블카의 다른 변형도 생각할 수 있다. 곤돌라와 의자를 번갈아 가며 혼합 조작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카는 2개의 단부 스테이션(14)(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을 가지며, 그 사이에서 다수의 케이블카(5)는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케이블(3)에 의해 이동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카(5)는 컨베이어에 고정된다 케이블(3)은 서로 소정의 미리 정해진 거리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클램프(6)에 의해 체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평행한 컨베이어 케이블(3) 및 적용 가능한 경우 앞뒤로 순환하거나 진행하는 견인 케이블은 도 제공된다. 그러나, 다음 예에서, 본 발명은 단 하나의 컨베이어 케이블(3)을 사용하여 설명되지만, 물론 본 발명은 복수의 컨베이어 케이블(3) 및/또는 견인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 지지부(1)는 케이블카의 단부 스테이션(14) 사이에 배열되고, 복수의 케이블카 지지부(1)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케이블카 지지부(1)의 수는 예를 들어 케이블카의 단부 스테이션(14) 사이의 거리와 케이블카(5)로부터 예상되는 부하에 의존하지만, 케이블카가 운영되는 지형의 토폴로지에도 의존한다. 케이블카 지지부(1)는 컨베이어 케이블(3)을 운반하고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1에는 케이블카 지지부(1)의 상부 섹션만 도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카(5)와 케이블카 지지부(1) 영역의 컨베이어 케이블(3)의 섹션만이 도시된다. 컨베이어 케이블(3)을 안내하기 위해 소위 롤러 세트(4)가 케이블 카 지지부(1)에 배열된다. 롤러 세트(4)는 복수의 롤러가 서로 나란히 배열된 길이 방향 빔(7)을 가질 수 있다. 롤러(8)는 롤러 세트(4), 예를 들어 종방향 빔(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컨베이어 케이블(3)을 운반하고 이를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롤러 세트(4)는 케이블카(5)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케이블(3)이 지상에서 케이블카 지지부(1)를 통해 고정된 하중을 지지한다.
케이블카 지지부(1)는 2개의 대향하는 지지 단부(SE1, SE2) 사이의 특정 케이블카 지지 길이(L)에 걸쳐 컨베이어 케이블(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지지 단부(SE1)의 영역에는 케이블카(5)가 케이블카 지지부(1)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 영역(E)이 있고, 케이블카(5)가 케이블카 지지부(1)에서 빠져나오기 위한 출구 영역(A)이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제 2 지지단 SE2의 면적. 도시된 예에서 지지 단부(SE1, SE2)는 롤러 세트(4)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물론, 지지 단부(SE1, SE2)는 또한 케이블카 지지부(1)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컨베이어 케이블(3)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 또는 케이블카 지지부(1)의 유지보수 플랫폼에 제공될 수 있다. 진입 영역 E 및 출구 영역 A의 길이는 유리하게는 케이블카 지지부(1)의 케이블카 지지부 길이 L의 최대 3분의 1이다.
도시된 예에서, 정상 작동 시 케이블카의 이동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카(5)가 우측 또는 하부에서 좌측 또는 상부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발생한다. 이것은 케이블카(5)가 케이블카 지지부(1) 또는 특히 롤러 세트(4)의 진입 영역(E)으로 들어간 다음 롤러 세트(4)를 따라 출구 영역(A)으로 이동하고 출구 영역 A에서 롤러 세트(4) 밖으로 이동됨을 의미한다. 케이블카의 방향이 반대라면 당연히 순서도 반대로 된다. 케이블카 지지부(1)는 순환 도선로에 대향하는 제 2 롤러 세트(4)(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는 순환 컨베이어 케이블(3)의 대향 부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영역 A는 반전된다. 제 2 롤러 세트(4)는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평가 유닛(16) 및 평가 유닛(16)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센서(15)를 갖는 감지 장치(9)는 케이블카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 지지부(1) 상에 제공된다. 이 경우, 제 1 센서(15)는 제 1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카 지지대(1)의 진입 영역(E)에 배열된다. 제 2 센서(15)는 제 2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로 지지대(1)의 출구 영역(A)에 배열된다. 감지 장치(9)는 제 1 센서(15)와 제 2 센서(15) 사이의 케이블카(5)의 수 i를 결정하고 결정된 수 i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imax)를 초과하는 경우 고장 신호 F를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케이블카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11)을 가지며, 제어 유닛은 감지 장치(9)의 오류 신호(F)를 처리하고 처리에 따라 케이블 경로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제어부(11)는 예를 들어, 케이블카를 차단하고, 운반 속도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신호 장치(12)를 통해, 예를 들어 제어 유닛(11)의 출력 유닛에서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 경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케이블카의 운행에 개입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은 도 1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11)가 감지 장치(9)로부터 오류 신호(F)를 수신할 때 전기 모터와 같은 케이블카의 구동 장치(13)를 제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종단 스테이션(14)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 장치(12)는 예를 들어 음향 경고 신호를 방출하기 위한 확성기(12a) 및/또는 광학 경고 신호를 방출하기 위한 조명 유닛(12b) 및/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 유닛 상의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신호 장치(12)는 예를 들어 단부 스테이션(14) 중 하나 또는 둘 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카 지지부(1)에 제공될 수 있다. 단부 스테이션(14)에 배치될 때 경고 신호는 예를 들어 케이블카 지지부(1)를 직접 보지 않고 단부 스테이션(14)에서 작업자를 조작하고, 여기서 오류 신호(F)가 감지 장치(9)에 의해 생성된다.
센서(15)는 유리하게는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할 때 센서 값(SW)을 생성하고 이를 평가 유닛(16)에 전송하도록 제공된다. 평가 유닛(16)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카(5)의 입구 영역(E)에 있는 제 1 센서(15)와 케이블카 지지부(1)의 출구 영역(A)에 있는 제 2 센서(15) 사이의 케이블카(5)의 수(i)를 결정하기 위해 얻은 센서 값 SW. 결정된 수(i)가 지정된 최대 값(imax)을 초과하는 경우, 평가 유닛(16)은 결함 신호 F를 생성하고 바람직하게는 결함 신호 F를 케이블카의 제어 유닛(11)에 전송한다. 컨베이어 케이블(3)의 케이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케이블 위치 센서(18)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러 세트(4)에 제공되면(도 1에 표시됨), 감지 장치(9)의 센서(15)는 예를 들어 또한 케이블 위치 센서(18)의 평가 유닛에 연결되고, 이 유닛은 감지 장치(9)의 평가 유닛(16)으로도 기능한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며, 여기서 케이블 위치 센서(18)는 감지 장치(9)의 평가 유닛(16)(또는 케이블 위치 센서(18)의 평가 유닛)의 평가 유닛(16)은 예를 들어 2개의 센서(15)의 센서 값(SW)을 평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케이블 위치 센서(18)를 위해 별도의 평가 유닛(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으며, 별도의 유닛은 예를 들어 장치(16) 및/또는 케이블카의 제어 장치(11)에서 평가 유닛과 통신한다. 케이블 위치 센서(18)는 케이블 위치를 검출하는 것 외에 케이블카(5)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15)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케이블카(5)의 수(i)의 중복 결정을 위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2개 이상의 센서(15)가 진입 영역(E)에 제공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2개 이상의 센서(15)가 케이블카 지지부(1)의 출구 영역(A)에 제공된다. 센서 시스템의 이러한 이중화 설계를 통해 레벨 SIL3(안전 무결성 레벨 3)과 같은 특정 기능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SIL 레벨에 따라 시스템 오작동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한 사항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입구 및 출구 영역 E, A에서 각각의 경우에 단지 하나의 센서(15)로 도시된 예에서, 예를 들어 하나의 센서(15)의 고장은 전체 시스템의 고장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 결과, 대응하는 센서(15)는 조기에 서비스될 수 있거나, 필요한 경우 전체 감지 장치(9)가 고장나기 전에 교체될 수 있다.
입구 영역(E) 및 출구 영역(A)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센서(15)의 배열은 유리하게 또한 케이블카(5)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15)는 이동 방향에서 서로로부터의 거리에서 나란히 배열된다. 그 결과, 케이블카(5)가 센서(15)를 통과할 때 시간지연으로 케이블카(5)를 인식하고 센서값(SW)을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평가 유닛(16)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케이블카 지지부(1)의 센서(15)의 센서 값(SW)을 처리하기 위해 각 케이블카 지지부에 제공된다. 그러나 복수의 케이블카 지지부(1)의 센서(15)의 센서 값(SW)을 처리하기 위해 평가 유닛(16)은 복수의 케이블카 지지부(1)를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지지부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어 케이블을 통한 유선 방식으로 또는 예를 들어 라디오를 통한 무선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의 중복 구현을 위해 특정 SIL 레벨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평가 유닛(16)이 케이블카 지지부(1)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15)는 케이블 카(5)의 일부, 특히 케이블 카(5)의 케이블 클램프(6)를 검출하도록 제공되는 유도성 센서로서 설계된다. 그러나, 모든 센서(15)는 바람직하게는 유도 센서. 유도성 센서의 구조 및 작동 모드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기본적으로 유도형 센서는 코일을 사용하여 센서 근처에 자기장을 생성한다. 전기 전도성 물체가 센서의 감지 영역에 침투하면 자기장이 변경되고 자기장의 변화가 센서에 의해 인식되고 센서는 센서 값(SW)을 생성한다. 도 1의 본 예에서, 유도성 센서(15)는 롤러 세트(4)의 종방향 빔(7) 상의 진입 영역(E)에 배열되고 유도성 센서(15)는 롤러 세트(4)의 종방향 빔(7) 상의 출구 영역(A)에 배열된다. 센서(15)는 케이블카(5)가 지나갈 때 센서 값(SW)을 생성하기 위해 케이블 클램프(6)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케이블 클램프(6)는 일반적으로 전체적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유도성) 센서(15)와 상호작용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갖는다.
센서(15)는 센서 값(SW)을 평가 유닛(16)에 전송하기 위해 평가 유닛(16)에 연결된다.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한 라인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선택적으로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평가 유닛(16)은 수신된 센서 값(SW)을 처리하고 이를 사용하여 입구 영역(E)과 출구 영역(A) 사이, 특히 각각 배열된 센서(15)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카(5)의 수(i)를 결정한다.
평가 유닛(16)이 입력 영역(E)의 제 1 센서(15)가 센서 값(SW)을 공급하고 출구 영역(A)의 제 2 센서(15)가 센서 값(SW)을 공급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 단계 값(W). 카운터 값 Z가 미리 결정된 카운터 값 ZV를 초과하는 경우, 평가 유닛(16)은 결함 신호 F를 생성하고 바람직하게는 그것을 케이블카의 제어 유닛(11)에 전송한다. 평가 유닛(16)은 또한 음향 및/또는 광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오류 신호(F)를 신호 장치(12)에 직접 보낼 수 있다. 따라서, 평가 유닛(16)은 케이블카(5)의 통과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며, 통과 검출 방법은 도 2a-2c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케이블카 지지부(1)(도시되지 않음)의 롤러 세트(4)의 단순화된 예시에 기초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리한 순서를 도시한다. 지지 단부(SE1, SE2)는 롤러 세트(4)의 종방향 빔(7)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블카(5)의 입구 영역(E)은 제 1 지지 단부(SE1) 영역 및 케이블의 출구 영역(A) 영역에 제공된다 차량(5)은 제 2 지지 단부(SE2)의 영역에 제공된다. 케이블카(5)는 케이블 클램프(6)로 컨베이어 케이블(3)에 고정되며, 여기서 케이블카(5)는 명확성을 위해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컨베이어 케이블(3)의 이동의 결과로서, 케이블카(5)가 그 위에 매달려 있는 케이블 클램프(6)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롤러 세트(4) 위로, 이 경우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된다. 케이블 클램프(6)가 제 1 센서(15)의 감지 범위에 들어오자 마자, 센서(15)는 케이블 클램프(6)의 존재를 감지하고, 센서 값 SW를 생성하고 이를 예를 들어 적절한 센서를 통해 평가 유닛(16)에 전송한다. 표시된 예에서 중복성 때문에 두 개의 센서(15)가 컨베이어 케이블(3)의 이동 방향으로 진입 영역 E 및 출구 영역 A에서 서로 뒤에 제공된다. 진입 영역 E 및 출구 영역 A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케이블카 지지 길이 L의 최대 1/3인 길이, 즉 도시된 예에서 롤러 세트(4)의 길이방향 빔(7) 길이의 1/3에 걸쳐 연장된다. 통과 감지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센서가 각각의 지지 단부(SE1, SE2)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더하여, 센서(15)는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평가 유닛(16)은 케이블카 지지부(1)의 모든 센서(15)의 센서 값(SW)을 처리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특정 센서 값(SW)을 무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 값(SW)을 수신한 후, 평가 유닛(16)이 추가 수신된 센서 값(SW)을 무시하는 특정 데드 타임(t)이 구현될 수 있다. 데드 타임(t)은 예를 들어 컨베이어 케이블(3)의 속도와 입구 및/또는 출구 영역 E, A의 두 센서(15)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는 평가 유닛(16)이 제 1 센서(15)의 센서 값(SW)은 정의된 데드 시간(t) 동안 추가 센서 값(SW), 이 경우 예를 들어 제 2 센서(15b)의 센서 값(SW)을 무시한다.
데드 타임(t)이 경과한 후, 평가 유닛(16)은 예를 들어 평가를 위해 다음 수신된 센서 값(SW), 이 경우에는 제 3 센서(15c)의 센서 값(SW)을 사용할 수 있다. 제 3 센서(15c)의 센서 값(SW)이 수신된 후, 데드 타임(t)은 더 수신된 센서 값(SW)(이 경우 제 4 센서(15d)로부터)을 무시하기 위해 다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평가 유닛(16)은 또한 쌍으로 센서 값(SW)을 실질적으로 중복으로 처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5)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이것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평가 유닛(16)에서 구현되는 케이블카(5)의 특정한 미리 결정된 운송 시간에 대해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운송 시간은 예를 들어 컨베이어 케이블 3의 속도(케이블카 5의 속도에 해당) 및 진입 영역 E의 센서(들)(15)와 출구 영역 A의 센서(들)(15) 사이의 거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 평가 유닛(16)은 또한 예를 들어 진입 영역(E)에서 센서(15)의 센서 값(SW)의 수신과 출구 영역(A)에서 센서(15)의 센서 값(SW)의 수신 사이의 시간이 특정 허용 시간을 고려하여 지정된 운송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결함 신호(F)를 생성할 수 있다. 운송 시간은 또한 예를 들어 컨베이어 케이블(3)의 현재 속도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센서(15) 사이의 거리와 센서 값 SW의 수신 사이의 시간에 걸쳐 중단이 없는 경우 일정한 속도로 정상 작동에서) 제어 유닛(11)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센서(15)를 통해 평가 유닛(16)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케이블(3)의 속도는 또한 케이블카 지지부(1)의 다른 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케이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케이블 위치 센서(18)에 의해 평가 유닛(16)으로 전달될 수 있다.
초기 카운터 값 Z=0 및 단계 값 W=1은 바람직하게 평가 유닛(16)에 제공되며, 평가 유닛은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값이 Z>1일 때 오류 신호 F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2a에서, 케이블카(5)의 케이블 클램프(6)는 케이블카 지지부(1)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여전히 진입 영역 E 앞에 있다. 초기 카운터 값 Z는 Z=0이다. 도 2b에서, 케이블 클램프(6)는 진입 영역(E)의 센서(15)를 통과하고 진입 영역(E)과 출구 영역(A) 사이의 롤러 세트(4)에 위치된다. 진입 영역(E)의 센서(15) 중 적어도 하나 는 센서 값 SW를 평가 유닛(16)으로 전송했으며, 그 결과 평가 유닛(16)은 Z=0에서 카운터 값 Z=1까지 단계 값 W=1만큼 초기 카운터 판독값을 증가시킨다. 도 2c에서, 케이블 클램프(6)는 출구 영역(A)의 센서(15)를 통과했다. 출구 영역(A)의 센서(15) 중 적어도 하나는 센서 값 SW를 평가 유닛(16)에 전송했으며, 그 결과 평가 유닛(16)은 카운터 값 Z=1을 단계 값 W=1만큼 카운터 값 Z=0으로 감소시킨다. 카운터 값 Z가 카운터 값 Z=1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단 하나의 케이블 클램프(6) 및 따라서 단 하나의 케이블카(5)가 입구 영역 E와 출구 영역 A 사이에 있거나 위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블카(5)가 입구 영역(E)과 출구 영역 사이에 차단되고 후속 케이블카(5)의 케이블 클램프(6)가 입구 영역(E)을 통과하면 카운터 값 Z =1은 카운터 값 Z=2까지 단계 값 W만큼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평가 유닛(16)은 결함 신호(F)를 트리거하고 필요하다면 케이블카를 중지하기 위해 케이블카의 제어 유닛(11)에 바람직하게 그것을 보낼 것이다. 평가 유닛(16)은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카가 꺼진 경우에 현재 카운터 값(Z)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유닛(미도시)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케이블카가 다시 시작된 후에도 통과 감지를 계속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감지 장치(9)에 대한 특정 구조적 변경 및/또는 평가 로직에 대한 변경을 수행하는 것은 당업자의 재량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카를 감지하기에 적합한 다른 센서(15)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센서, 정전 용량 센서, 라이트 배리어, 자기 센서, 기계 센서 등을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5)가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케이블(3) 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단부 스테이션(14)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케이블(3)을 안내하기 위해 단부 스테이션(14)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 지지부(1)를 가지는 케이블카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카 지지부(1)는 2개의 대향하는 지지 단부 사이의 케이블카 지지 길이에 걸쳐 컨베이어 케이블(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지지 단부 영역에 케이블카(5)가 케이블카 지지부(1)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 영역(E)이 제공되고,
    제 2 지지 단부 영역에 케이블카(5)가 케이블카 지지부(1)로 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출구 영역(A)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평가 유닛(16) 및 평가 유닛(16)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센서(15)를 갖는 감지 장치(9)가 케이블카 지지부(1)로부터의 차량(5) 상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 유닛(16) 및 평가 유닛(16)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센서(15)를 갖는 감지 장치(9)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지지대(1)에 제공되고,
    제 1 센서(15)는 제 1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로 지지대(1)의 진입 영역(E)에 배열되고,
    제 2 센서(15)는 제 2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지지대의 출구 영역(A)에 배열되고,
    결정된 수(i)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imax)를 초과하는 경우, 감지 장치(9)는 제 1 센서(15)와 제 2 센서(15) 사이의 케이블카(5)의 수(i)를 결정하고 오류 신호(F)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카는 케이블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11)을 갖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 장치(9)의 오류 신호(F)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장치(11)는 처리에 따라 케이블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센서(15)는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가 감지되면 센서 값(SW)을 생성하고 이를 평가 유닛(16)으로 전송하기 위해 제공되고, 및
    결정된 수(i)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imax)를 초과하는 경우, 진입 영역(E)에 있는 제 1 센서(15)와 케이블로 지지대(1)의 출구 영역(A)에 있는 제 2 센서(15) 사이의 케이블카(5)의 수(i)를 결정하고 오류 신호(F)를 생성하기 위해, 평가 유닛(16)이 수신된 센서 값(SW)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16)은 진입 영역(E)의 제 1 센서(15)가 센서 값(SW)을 공급하는 경우 카운터 값(Z)을 단계 값(W)만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고,
    출구 영역(A)에 있는 제 2 센서(15)가 센서 값(SW)을 제공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 단계 값(W)만큼 카운터 값(Z)을 감소시키고, 및
    상기 평가 유닛(16)은 카운터 값(Z)이 미리 결정된 카운터 값(Z)을 초과할 때 오류 신호(F)를 생성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5. 제 4항에 있어서, 초기 카운터 값(Z) Z=0이 제공되고 W=1의 스텝 값(W)이 제공되고, 평가 유닛(16)은 카운터 값(Z)이 Z>1일 때 오류 신호(F)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카(5)의 수(i)의 중복 결정 및/또는 케이블 카(5)의 이동 방향 결정을 위해 적어도 두 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센서(15)는 진입 영역(E)에 제공되고 적어도 두 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센서(15)는 케이블카 지지부(1)의 출구 영역(A)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블카 지지부(1)의 센서(15)의 센서 값(SW)을 처리하기 위해 케이블카 지지부(1)당 적어도 하나의 평가 유닛(16)이 제공되거나, 복수의 케이블카 지지부(1)의 센서(15)의 센서 값(SW)을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케이블카 지지부(1)에 대해 평가 유닛(1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8.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5)는 컨베이어 케이블(3)에 연결된 케이블 카(5)의 케이블 클램프(6)를 감지하도록 제공되는 유도성 센서(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카.
  9. 케이블카(5)의 통과를 감지하기 위해 2개의 대향하는 지지 단부 사이의 케이블카 지지 길이에 걸쳐 케이블카 지지부(1)에 안내되는 컨베이어 케이블(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카의 케이블카 지지부(1)용 감지 장치(9)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9)는 적어도 하나의 평가 유닛(16) 및 상기 평가 유닛(16)에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센서(15)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센서(15)는 제 1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카 지지부(1)의 제 1 지지 단부에 있는 진입 영역(E)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센서(15)는 제 2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카 지지부(1)의 제 2 지지 단부에 있는 출구 영역(A)에 배치되며, 및,
    결정된 수(i)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imax)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감지 장치(9)는 제 1 센서(15)와 제 2 센서(15) 사이의 케이블카(5)의 수(i)를 결정하고 오류 신호(F)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5)는 케이블카(5)의 존재가 감지될 때 센서 값(SW)을 생성하고 그것을 평가 유닛(16)으로 전송하기 위해 제공되고,
    결정된 수(i)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imax)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평가 유닛(16)은 케이블카 지지대(1)의 진입 영역(E)과 출구 영역(A) 사이의 케이블카(5)의 수(i)를 결정하고 오류 신호(F)를 생성하기 위해, 수신된 센서 값(SW)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16)은 진입 영역(E)의 제 1 센서(15)가 센서 값(SW)을 공급하는 경우 단계 값(W)만큼 카운터 값(Z)을 증가시키고, 출구 영역(A)의 제 2 센서(15)가 센서 값(SW)을 제공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 카운터 값(Z)을 단계 값(W)만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평가 유닛(16)은 카운터 값(Z)이 미리 결정된 카운터 값(Z)을 초과할 때 오류 신호(F)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Z=0의 초기 카운터 값(Z)이 제공되고 W=1의 스텝 값(W)이 제공되고, 상기 평가 유닛(16)은 카운터 값(Z)이 Z>1일 때 오류 신호(F)를 생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장치.
  13.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카(5)의 수(i)의 중복 결정 및/또는 케이블카(5)의 이동 방향 결정을 위한 감지 장치(9)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기 위해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센서(15)가 진입 영역(E)에 제공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기 위해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센서(15)가 케이블카 지지부(1)의 출구 영역(A)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5)는 케이블카(9)의 케이블 클램프(6)를 검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도성 센서(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장치(9). 5) 케이블카(5)를 컨베이어 케이블(3)에 부착할 수 있다.
  15. 케이블카(5)의 케이블카 지지대(1)상의 케이블카(5)의 통과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2개의 대향하는 지지 단부 사이의 삭도 지지 길이에 걸쳐 삭도 지지대(1)에 안내되는 컨베이어 케이블(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카(5)가 케이블카 지지대(1) 위로 컨베이어 케이블(3) 위에서 이동되고,
    케이블카(5)가 케이블카 지지대(1)의 제 1 지지단 영역에 제공된 진입 영역(E)으로 이동되고,
    진입 영역(E)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센서(15)는 상기 제 1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고 센서 값(SW)을 평가 유닛(16)에 전송하고,
    케이블카(5)는 지지대의 타단 영역에 제공된 케이블카 지지대(1)의 진입 영역(E)에서 출구 영역(A)으로 이동되고,
    출구 영역(A)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센서(15)는 제 2 센서(15)의 감지 영역에서 케이블카(5)의 존재를 감지하고 센서 값(SW)을 평가 유닛(16)에 전송하고, 및
    결정된 수(i)가 미리 결정된 최대 수(i max)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평가 유닛(16)은 제 1 및 제 2 센서(15) 사이의 케이블카(5)의 수(i)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센서 값(SW)을 처리하고 결함 신호(F)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오류 신호(F)는 케이블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11)으로 전송되고, 제어 유닛(11)은 처리에 따라 케이블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평가 유닛(16)은 진입 영역(E)의 제 1 센서(15)가 센서 값(SW)을 설정하고 출구 영역(A)의 제 2 센서(15)가 센서 값(SW)을 제공하거나 그 반대인 경우 카운터 값(Z)을 단계 값(W)만큼 감소시키고, 평가 유닛(16)은 카운터 값(Z)이 미리 결정된 카운터 값(Z)을 초과하는 경우 오류 신호(F)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Z=0의 초기 카운터 값(Z)이 사용되고 W=1의 스텝 값(W)이 사용되며, 상기 평가 유닛(16)은 카운터 값(Z)이 Z > 1일 때 오류 신호(F)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31626A 2019-03-11 2020-03-10 케이블카 통행 감지 장치 KR20210134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200/2019A AT522187B1 (de) 2019-03-11 2019-03-11 Durchfahrtserkennung für eine Seilbahn
ATA50200/2019 2019-03-11
PCT/EP2020/056305 WO2020182791A1 (de) 2019-03-11 2020-03-10 Durchfahrtserkennung für eine seilbah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950A true KR20210134950A (ko) 2021-11-11

Family

ID=6984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626A KR20210134950A (ko) 2019-03-11 2020-03-10 케이블카 통행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20169290A1 (ko)
EP (1) EP3914497B1 (ko)
JP (1) JP7255916B2 (ko)
KR (1) KR20210134950A (ko)
CN (1) CN113631456B (ko)
AT (1) AT522187B1 (ko)
AU (1) AU2020235798A1 (ko)
CA (1) CA3133135A1 (ko)
CO (1) CO2021012320A2 (ko)
ES (1) ES2952070T3 (ko)
MA (1) MA54822A (ko)
MX (1) MX2021011049A (ko)
RU (1) RU2765526C1 (ko)
WO (1) WO2020182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7027A1 (it) 2021-06-29 2022-12-29 Leitner Spa Impianto di trasporto aereo a fune e metodo di funzionamento di tale impiant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314A (en) * 1975-04-25 1977-01-18 Pearson William F Ski lift monitoring
JPH0796384B2 (ja) * 1987-05-08 1995-10-18 日本信号株式会社 ロ−プウェイのゴンドラ横揺れ監視装置
JPH0741827B2 (ja) * 1989-03-08 1995-05-10 川鉄マシナリー株式会社 リフト搬器用デタッチャー式握索機の握索力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JPH0747384B2 (ja) * 1989-06-12 1995-05-24 日本レック株式会社 搬送用ケーブルの脱索防止装置
FR2663281A1 (fr) * 1990-06-13 1991-12-20 Pomagalski Sa Dispositif cadenceur d'un teleporteur debrayable.
JP2897173B2 (ja) * 1992-02-20 1999-05-3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ロープ駆動式交通システムの追突防止装置
JP2778459B2 (ja) * 1994-04-08 1998-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ープウェイの制御装置
US5528219A (en) * 1994-04-28 1996-06-18 Konrad Doppelmayr & Sohn Ropeway safety monitoring system
JPH10119763A (ja) * 1996-10-21 1998-05-12 Nippon Cable Co Ltd 索道における脱索事前検出装置
JP3663026B2 (ja) * 1997-06-11 2005-06-2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リフトの制御装置
EP1364853A1 (fr) * 2002-05-22 2003-11-26 Pomagalski S.A. Dispositif de support et de guidage pour cable de système de transport
AT503502A3 (de) * 2006-03-23 2010-07-15 Innova Patent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eilbahnanlage und seilbahnanlage
JP4870482B2 (ja) 2006-06-21 2012-02-08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交走式索道の速度制御装置
DE102007006316B3 (de) * 2007-01-30 2008-04-10 Hima Paul Hildebrandt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eillageüberwachung einer seilbetriebenen Transportanlage und seilbetriebene Transportanlage
ATE518714T1 (de) * 2008-07-24 2011-08-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FR2941206B1 (fr) * 2009-01-22 2011-03-25 Pomagalski Sa Procede de controle du cheminement de vehicule dans une installation de transport par cable
CN104097644A (zh) * 2014-07-31 2014-10-15 泰安市泰山索道运营中心 一种索道运行管理系统
FR3025163B1 (fr) 2014-09-01 2016-08-26 Pomagalski Sa Installation et procede de transport par cable aerien
CN204323338U (zh) * 2014-11-25 2015-05-13 焦作华飞电子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猴车吊椅间距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31456A (zh) 2021-11-09
EP3914497A1 (de) 2021-12-01
US20220169290A1 (en) 2022-06-02
JP7255916B2 (ja) 2023-04-11
MX2021011049A (es) 2021-10-13
RU2765526C1 (ru) 2022-01-31
EP3914497B1 (de) 2023-07-12
CN113631456B (zh) 2023-08-29
CO2021012320A2 (es) 2021-09-30
ES2952070T3 (es) 2023-10-26
JP2022524539A (ja) 2022-05-06
EP3914497C0 (de) 2023-07-12
AT522187B1 (de) 2020-10-15
WO2020182791A1 (de) 2020-09-17
MA54822A (fr) 2021-12-01
AU2020235798A1 (en) 2021-09-23
CA3133135A1 (en) 2020-09-17
AT522187A1 (de)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5807B2 (ja) ケーブル鉄道システム
KR20070096785A (ko)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작동방법과 공중케이블 시스템
KR101463250B1 (ko) 자동운전차량시스템에서의 차량의 군집주행방법
KR20070105832A (ko)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시스템
US7114451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locking of the safety bar of a chair in a cableway system
RU2526330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рохождения вагонетки в установке для перевозок по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е
KR20210134950A (ko) 케이블카 통행 감지 장치
JP6615538B2 (ja) 空中ケーブル輸送装置および方法
KR102088061B1 (ko) 케이블 리프트, 특히, 체어 리프트 또는 캐빈 리프트의 터미널에서 몇몇 비히클들의 이동을 모니터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RU2729102C1 (ru) Канатная дорога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CN110167820A (zh) 用于运行索道设备的方法和用于执行该运行方法的索道设备
EP4112412B1 (en) Aerial cable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JP2733582B2 (ja) 自動循環式索道の搬器荷重検出安全装置
EP4190662A1 (en) Heating system for heating transport units of a cable transport system, cable transport system comprising said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heating system
US20230322274A1 (en) Circular cableway
JP2008290663A (ja) 簡易輸送システム
CN118068768A (zh) 架空轨道车游乐设施的运行控制系统
CN116880491A (zh) 用于amhs搬运小车的防撞控制装置、系统及方法
JP2722145B2 (ja) 索道搬器の荷重検出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