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5832A -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5832A
KR20070105832A KR1020070005131A KR20070005131A KR20070105832A KR 20070105832 A KR20070105832 A KR 20070105832A KR 1020070005131 A KR1020070005131 A KR 1020070005131A KR 20070005131 A KR20070005131 A KR 20070005131A KR 20070105832 A KR20070105832 A KR 20070105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cable
chair
area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하르트 가브리엘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10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1/00Ski lift, sleigh lift or like trackless systems with guided towing cabl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61B12/022Vehicle receiving and dispat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Ropes Or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공중케이블 시스템은 계곡지 스테이션과 산정상 스테이션을 갖는다. 이송케이블이 스테이션의 편향풀리상에서 안내된다. 탑승의자와 케이블카 형태의 운송장치가 스테이션에서 이송케이블로부터 분리되고 안내레일을 따라 스테이션을 통하여 이동되며 여기에서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을 벗어날 때 운송장치는 다시 이송케이블에 결합된다. 적어도 두개의 디버터가 안내레일의 진로를 따라서 제공되어 이를 따라 탑승의자가 제1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고 케이블카가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된다. 탑승의자는 스키를 착용한 탑승자용이고 케이블카는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용이다. 탑승의자는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과하는 케이블카의 속도에 비하여 두배 이상의 속도로 제1탑승하차영역을 통과한다.
공중케이블 시스템, 탑승의자, 케이블카, 안내레일, 디버터.

Description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 시스템 {CABLEWAY SYSTEM HAVING TRANSPORT DEVICES THAT CAN BE COUPLED TO A CONVEYING CABLE}
도 1,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계곡지 스테이션을 보인 것으로, 3가지의 상이한 작동위치를 보인 평면도.
도 2,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산정상 스테이션을 보인 것으로, 3가지의 상이한 작동위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 보인 계곡지 스테이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탑승영역 2... 제2탑승하차영역
3... 지지이송케이블 4, 4a... 안내레일
31... 탑승의자 32... 케이블카
40, 43... 디버터
본 발명은 하나의 계곡지 스테이션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산정상 스테이션 을 갖는 공중케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션에서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편향풀리상에서 안내되는 이송케이블이 운송장치를 스테이션 사이로 당기어 이송한다. 운송장치는 스테이션에서 이송케이블로부터 분리되고 안내레일을 따라 스테이션을 통하여 이동되며 여기에서 탑승자가 이들 운송장치에 탑승하거나 하차한다. 스테이션을 통과한 후에 운송장치는 다시 이송케이블에 결합된다. 시스템은 안내레일의 진로를 따라 제공된 두개의 디버터(diverter)를 포함하며 이를 따라 제1운송장치가 제1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고 제2운송장치가 제2탑승하차영역으로 이동하며, 제1탑승하차영역은 제2운송장치의 이동진로내에 배치된다.
통상적인 공중케이블 시스템은 탑승의자 또는 케이블카가 스테이션에서 이송케이블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탑승의자 또는 케이블카는 스테이션에서 안내레일을 따라 탑승하차영역을 통해 안내되고 여기에서 탑승자가 탑승 또는 하차하게 된다.
탑승의자가 구비된 공중케이블 시스템에는 스키어(skier)들이 탑승영역에 도달하기 위하여 지나게 되는 관문인 배리어(barrier)가 구비되어 있으며 스키어들은 탑승의자의 이송속도 보다 느린 속도로 탑승의자의 이동진로측으로 스키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탑승의자의 속도는 약 1.0 m/sec ~ 1.2 m/sec 이다. 탑승의자가 스키어의 뒤쪽에서 이들에 접근할 때 스키어들은 탑승의자에 그대로 앉을 수 있다. 그리고 탑승의자는 가속되고 다시 이송케이블에 결합된다.
케이블카 또는 곤돌라가 구비된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카는 약 0.25 m/sec의 속도로 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며,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가 이들 영역에서 케이블카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5,873,310호와 이에 상응하는 유럽특허 EP 0814992 B1 및 국제출원 WO 96/29223에는 탑승의자를 갖춘 공중케이블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스테이션에서 디버터가 탑승의자를 위한 안내레일에 제공되어 탑승의자가 별도의 두 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안내되고 여기에서 스키어는 탑승의자에 스스로 앉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는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운송용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미국특허 제6,729,241 B2호와 이에 상응하는 유럽특허 EP 1 424 257 B1에는 스키를 착용한 스키어를 위한 탑승의자와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일반탑승자를 위한 케이블카 모두가 구비된 공중케이블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탑승의자와 케이블카는 요구되는 순서에 따라 이송케이블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탑승의자를 이용하는 스키착용 탑승자와 다른 한편으로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일반 탑승자에게는 각각 탑승의자와 케이블카에 탑승하거나 이로부터 하차하기 위한 두개의 별도 탑승하차영역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모든 운송장치는 제1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며 이러한 영역은 운송장치의 이동진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충분히 감속된 속도에서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일반탑승자가 케이블카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탑승자 전용의 영역이다. 그리고 스테이션 을 통한 모든 운송장치의 이동은 탑승의자가 스키를 착용한 스키어를 위한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는 속도로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장치와 방법의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고 탑승의자와 케이블카 모두가 구비되어 있으며 종래의 공중케이블 시스템에 비하여 운송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운송장치가 구비된 공중케이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과 다른 목적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케이블 시스템은 하나의 계곡지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산정상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제1탑승하차영역과 제2탑승하차영역을 갖는 종착 스테이션, 스테이션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스테이션의 편향풀리상에서 안내되는 이송케이블, 스테이션에서 이송케이블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스테이션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스테이션을 통과한 후에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제1운송장치와 제2운송장치를 포함하는 운송장치, 스테이션을 통한 운송장치의 이동을 한정하기 위하여 스테이션에 배치된 안내레일과, 안내레일의 진로를 따라 배치된 두개의 디버터로 구성되고, 안내레일은 제1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제1운송장치를 안내하고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제2운송장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2운송장치의 이동진로가 제1탑승하차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제1운송장치가 스키를 착용한 탑승자를 위한 리프트 체어형태의 탑승의자이며 제2운송장치가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일반 탑승자를 위한 케이블카이고, 공중케이블 시스템이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는 케이블카의 속도에 대하여 적어도 두배의 이송속도로 제1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탑승의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환언컨데,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운송장치가 스키를 착용한 탑승자를 위한 탑승의자로 구성되고 제2운송장치가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를 위한 케이블카로 구성되며, 또한 탑승의자가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는 케이블카의 속도에 대하여 적어도 두배의 이송속도로 제1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 스테이션의 입구영역에 배치되고 스테이션으로 진입하는 운송장치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구성된 제1감속휠.
케이블카의 이동진로를 따라서 제1디버터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카가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는 속도로 케이블카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된 제2감속휠.
케이블카를 탑승의자의 속도로 가속시키기 위하여 제2디버터의 영역에 배치된 제1가속휠.
제2디버터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운송장치를 이송케이블에 결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속도로 가속시킬 수 있게 된 제2가속휠.
환언컨데, 제1감속휠은 스테이션의 입구영역에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이들 휠은 진입하는 운송장치의 속도를 감속시키고, 또한 제2감속휠은 케이블카의 이동진로를 따라서 제1디버터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이들 휠은 케이블카가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는 속도로 케이블카의 속도를 감속시키고, 제1가속휠이 제공되며, 이들 휠은 제2디버터의 영역에서 탑승의자의 속도로 케이블카를 가속시키고, 제2가속휠이 제2디버터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이들 휠은 운송장치를 다시 이송케이블에 결합되는 속도로 가속시킨다. 탑승의자의 이동진로를 따라서 추가로 일단의 감속휠, 이송휠 및 가속휠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1센서가 계곡지 스테이션의 입구영역에 제공되어 진입하는 탑승의자에 의하여 제1탑승영역의 접근배리어를 제어할 수 있고, 제2센서가 운송장치의 이동진로를 따라 제공되어 제1디버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레일이 운송장치의 이동진로를 따라서 제공되어 탑승의자의 안전봉과 케이블카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고, 다른 센서가 탑승의자와 케이블카의 이동진로를 따라서 제공되어 제2디버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비록 본 발명이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이나 구조적인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방법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1A 및 도 1B에서,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계곡지 스테이션은 스키를 착용한 탑승자를 위한 제1탑승영역(1)과,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스키어를 위한 제2탑승하차영역(2)을 갖는다.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지지이송케이블(3)이 계곡지 스테이션의 편향드럼(30)상에서 안내된다. 다른 한편으로 스키어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 탑승의자와, 다른 한편으로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 케이블카(32) 또는 곤돌라가 요구된 순서로 지지이송케이블(3)에 결합된다.
계곡지 스테이션으로 진입하는 탑승의자(31)와 케이블카(32)는 지지이송케이블(3)로부터 분리된 후에 안내레일(4)을 따라서 이동한다. 탑승의자(31)는 스키를 착용한 탑승자를 탑승시킬 수 있도록 제1탑승영역(1)을 통하여 안내되는 안내레 일(41)측으로 이동한다. 제1디버터(40)가 안내레일(4)의 이동진로를 따라 배치되고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를 위한 제2탑승하차영역(2)을 통하여 안내되는 안내레일(42)에 인접하여 있다.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출구영역에서, 안내레일(41)(42)은 제2디버터(43)를 통하여 탑승의자(31)와 케이블카(32)의 두 운송장치에 공통인 안내레일(4a)측으로 합하여진다. 스키를 착용한 스키어를 위한 탑승영역(1)에는 배리어(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센서(51)가 입구영역에 제공되어 있으며, 이 센서는 진입하는 운송장치가 탑승의자(31)인지 또는 케이블카(32)인지를 감지한다. 만약 탑승의자(31)가 감지되는 경우, 센서(51)는 접근배리어(11)를 개방하여 스키어가 탑승영역으로 스키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탑승의자(31)의 이동진로를 따라서 제1제어레일(61)이 제공되어 이에 의하여 탑승의자(31)의 안전봉이 개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2센서(52)가 제1디버터(40)의 상류측에서 운송장치인 탑승의자(31)와 케이블카(32)의 이동진로를 따라서 제공되어 이 제2센서가 운송장치의 형태에 따라서 제1디버터(40)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탑승의자(31)를 위한 안내레일(41)에는 제2디버터(43)를 제어하는 제3센서(53)와, 탑승의자(31)의 안전봉을 폐쇄하는제3제어레일(6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레일(42)에는 케이블카(32)의 도어를 개방하는 제2제어레일(62), 케이블카(32)의 도어를 폐쇄하는 제4제어레일(64), 제2디버터(43)를 제어하는 제4센서(54)와, 도어의 폐쇄상태를 점검하는 제5센서(55)가 배치되어 있다.
계곡지 스테이션으로 진입하는 탑승의자(31)와 케이블카(32)는 지지이송케이블(3)로부터 분리되고 안내레일(4)을 따라서 이동하며, 이들의 속도는 안내레일(4)에 배치된 감속휠에 의하여 약 1 m/sec ~ 1.2 m/sec로 감소된다.
만약 제1센서(51)가 탑승의자(31)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이 센서(51)는 스키어의 입장을 위한 접근배리어(11)를 개방한다. 그리고 제2센서(52)는 이러한 탑승의자(31)가 안내레일(41)을 따라서 스키를 착용한 탑승자를 위한 탑승영역(1)을 통하여 이동하는 위치로 제1디버터(40)를 조절한다. 이러한 탑승영역(1)에서, 배리어(11)를 통과한 스키어는 탑승의자(31)에 앉을 수 있다. 탑승의자(31)는 이러한 탑승영역(1)을 약 1 m/sec ~ 1.2 m/sec의 속도로 통과한다. 그리고 탑승의자(31)는 제3센서(53)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디버터(43)를 통하여 안내레일(4a)측으로 통과한다. 탑승의자(31)의 안전봉은 제2센서(63)에 의하여 폐쇄된다.
만약 제2센서(52)에 의하여 케이블카(32)가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제1디버터(40)가 전환되어 이 케이블카(32)가 안내레일(42)을 따라서 제2탑승하차영역(2)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제2제어레일(62)이 이 케이블카(32)의 도어를 개방한다. 이 안내레일(42)에는 감속휠이 구비되어 있어 이를 통과하는 케이블카(32)의 속도를 약 0.25 m/sec로 감속시킨다. 이 케이블카(32)는 이러한 속도로 탑승하차영역(2)을 통하여 이동하고 이 영역에서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가 케이블카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진로를 따라서, 안내레일(42) 에는 가속휠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케이블카(32)를 약 1 m/sec ~ 1.2 m/sec의 속도로 가속시킨다. 케이블카(32)는 이러한 속도에서 제2디버터(43)를 통하여 안내레일(4a)측으로 이동한다. 제4제어휠(64)이 케이블카의 도어를 폐쇄하고 센서(54)가 케이블카(32)를 안내레일(4a)측으로 이송하도록 제2디버터(43)를 제어한다.
또한 제2안내레일(4a)에는 다른 가속휠이 구비되어 있어 모든 운송장치(31)(32)가 지지이송케이블(3)에 다시 결합되었을 때 이들 운송장치를 이러한 케이블의 속도로 가속시킨다.
스키를 착용한 탑승자를 위한 탑승영역(1)과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를 위한 탑승하차영역을 통한 각각 별도의 이동진로가 한편으로는 탑승의자(31)를 위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케이블카(32)를 위하여 계곡지 스테이션에 제공되므로서 탑승의자(31)가 케이블카(32)의 속도에 비하여 현저히 빠른 속도로 스테이션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운송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계곡지 스테이션에 배치된 탑승의자(31)와 케이블카(32)의 상이한 작동위치를 보이고 있다.
도 2, 도 2A 및 도 2B는 계곡지 스테이션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 산정상 스테이션을 보인 것이다. 차잇점이 있다면 탑승의자(31)가 하차영역(1a)을 통하여 이동하며 여기에서 스키어들이 공중케이블 시스템으로부터 경사로(1b)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시스템 전체는 양방향, 즉 산정상 스테이션으로부터 계곡지 스테이션으로 또는 중간의 산정상 스테이션을 통하여 사람과 화물을 이송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탑승하차영역은 현재의 운송방향과 반대 방향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도 3은 안내레일(4)에 구비된 제1감속휠(71), 안내레일(42)에 구비된 제2감속휠(72)과, 케이블카(32)가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를 위한 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휠(73)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탑승의자와 케이블카 모두가 구비되어 있고 운송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중케이블 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7)

  1. 공중케이블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계곡지 스테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산정상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제1탑승하차영역과 제2탑승하차영역을 갖는 종착 스테이션들 ; 상기 종착 스테이션들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종착 스테이션들의 편향풀리상에서 안내되는 이송케이블 ; 상기 종착 스테이션들에서 상기 이송케이블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종착 스테이션들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종착 스테이션들을 횡단한 후에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제1운송장치와 제2운송장치를 포함하는 운송장치 ; 상기 종착 스테이션들을 통한 상기 운송장치의 이동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종착 스테이션들에 배치되고 상기 제1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1운송장치를 안내하고 상기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2운송장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운송장치의 이동진로가 상기 제1탑승하차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는 안내레일과, 이 안내레일의 진로를 따라 배치된 두개의 디버터를 포함하되 ; 상기 제1운송장치가 스키를 착용한 탑승자를 위한 리프트 체어형태의 탑승의자이며 상기 제2운송장치가 스키를 착용하지 않은 일반 탑승자를 위한 케이블카이고, 공중케이블 시스템이 상기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케이블카의 속도에 대하여 적어도 두배의 이송속도로 상기 제1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상기 탑승의자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종착 스테이션의 입구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종착 스테이션으로 진입하는 상기 운송장치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구성된 제1감속휠 ; 상기 케이블카의 이동진로를 따라서 상기 제1디버터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카가 상기 제2탑승하차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는 속도로 상기 케이블카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된 제2감속휠 ; 상기 케이블카를 상기 탑승의자의 속도로 가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디버터의 영역에 배치된 제1가속휠과 ; 상기 제2디버터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운송장치를 상기 이송케이블에 결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속도로 가속시킬 수 있게 된 제2가속휠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의자의 이동진로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감속휠, 이송휠, 및 가속휠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곡지 스테이션의 입구영역에 배치되어 이 계곡지 스테이션에 진입하는 상기 탑승의자에 의하여 상기 제1탑승영역의 접근배리어를 제어할 수 있게 된 제1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치의 이동진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디버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 제2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치의 이동진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탑승의자의 안전봉과 상기 케이블카의 도어를 제어할 수 있게 된 제어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의자와 상기 케이블카의 이동진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2디버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케이블 시스템.
KR1020070005131A 2006-04-26 2007-01-17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시스템 KR200701058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703/2006 2006-04-26
AT0070306A AT503615A3 (de) 2006-04-26 2006-04-26 Seilbahnanlage mit an ein trag- und förderseil ankuppelbaren fahrbetriebsmittel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32A true KR20070105832A (ko) 2007-10-31

Family

ID=3821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131A KR20070105832A (ko) 2006-04-26 2007-01-17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70251407A1 (ko)
EP (1) EP1849674A1 (ko)
JP (1) JP2007290687A (ko)
KR (1) KR20070105832A (ko)
CN (1) CN101062688A (ko)
AT (1) AT503615A3 (ko)
AU (1) AU2007200772A1 (ko)
CA (1) CA2577498A1 (ko)
NO (1) NO20070448L (ko)
NZ (1) NZ552470A (ko)
RU (1) RU2395417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135A (ko) * 2014-11-20 2018-08-01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가공삭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5100A3 (de) 2007-03-22 2011-03-15 Innova Patent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eilbahnanlage mit einer talstation und mit mindestens einer bergstation und seilbahnanlage
ATE518714T1 (de) * 2008-07-24 2011-08-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DE502008001840D1 (de) * 2008-08-21 2010-12-30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AT507380B1 (de) * 2008-10-09 2010-09-15 Innova Patent Gmbh Sessel für sessellift
AT507312B1 (de) * 2008-10-09 2010-08-15 Innova Patent Gmbh Sessel für sessellift
CN201710952U (zh) * 2009-08-11 2011-01-19 渠仁书 悬索式低空飞行系统
FR2953475B1 (fr) * 2009-12-03 2016-04-01 Denis Creissels Consultant Telepherique avec desserte programmee de station intermediaire
EP2412596B1 (de) * 2010-07-29 2012-12-12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CN101935978B (zh) * 2010-08-16 2013-02-13 同济大学 索轨高架及其专用轨道行车
AT12625U1 (de) * 2010-10-18 2012-09-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RU2465423C1 (ru) * 2011-04-01 2012-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женерно-консультационный центр "Мысль" Новочеркас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Стадион
AT514837A1 (de) * 2013-09-16 2015-04-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zur Beförderung von Personen
AT514815B1 (de) * 2013-09-26 2016-05-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zur Beförderung von Personen bzw. Gütern
AT515537B1 (de) * 2014-05-26 2015-10-15 August Eiler Fahrzeug für eine Umlaufseilbahn
AT515895B1 (de) * 2014-06-02 2016-08-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zur Beförderung von Personen
ITUB20150167A1 (it) * 2015-03-05 2016-09-05 Eurotech S P A Impianto di risalita a fune, metodo per incrementare la sicurezza di un impianto di risalita a fune e sistema di sicurezza per un impianto di risalita a fune
AT517445B1 (de) * 2015-05-06 2017-04-15 Innova Patent Gmbh Fahrzeug für eine Umlaufseilbahn
JP6587869B2 (ja) * 2015-08-31 2019-10-09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自動循環式索道における搬器の運行方法
FR3044627B1 (fr) * 2015-12-04 2018-01-05 Poma Installation de transport aerien
JP6791497B2 (ja) * 2016-10-14 2020-11-25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自動循環式索道の中間停留場
IT201700001070A1 (it) * 2017-01-05 2018-07-05 Leitner Spa Stazione di un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IT201700036544A1 (it) * 2017-04-03 2018-10-03 Leitner Spa Stazione per un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comprendente tale stazione e metodo di funzionamento di tale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CN108126348B (zh) * 2018-01-28 2019-10-15 东阳市俊华电器销售有限公司 智能魔毯安全间距引导指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248615B (zh) * 2018-02-01 2019-09-06 唐山市唯森新材料有限公司 智能拖牵运输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482393A (zh) * 2018-04-30 2018-09-04 广西壮族自治区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等速上下缆车装置
US20210062567A1 (en) * 2019-08-27 2021-03-04 Universal City Studios Llc Gate systems and methods for rotating loading platform
CN110525453B (zh) * 2019-09-04 2020-12-25 河南科技学院 一种基于apm的升降变轨式单轨城轨系统
CN110481571B (zh) * 2019-09-04 2020-12-18 河南科技学院 一种基于apm的螺旋爬升加减速的单轨制式城市轨道交通系统
CN113417693B (zh) * 2021-07-13 2023-06-13 晋能控股煤业集团同忻煤矿山西有限公司 一种矿用综采设备列车下陡坡安全迁移方法
AT526572A1 (de) * 2022-09-15 2024-04-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 für Warentransport
US11873015B1 (en) * 2023-07-26 2024-01-16 King Faisal University Train for religious sit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385A (en) * 1975-09-29 1977-09-27 Walt Disney Productions High capacity passenger transport apparatus
CH674492A5 (ko) * 1987-10-15 1990-06-15 Paul Glassey
FR2731972B1 (fr) * 1995-03-22 1997-06-20 Creissels Denis Teleporteur ayant deux emplacements d'embarquement
FR2752803B1 (fr) * 1996-08-28 2003-06-06 Pomagalski Sa Procede d'augmentation du debit horaire de personnes empruntant des vehicules transportes par cable et installation pour sa mise en oeuvre
FR2774963B1 (fr) * 1998-02-17 2000-04-14 Pomagalski Sa Installation de transport a cable aerien a defilement continu a boucle
DE50300440D1 (de) * 2002-07-16 2005-05-19 Innova Patent Gmbh Wolfurt Seilbahnanlage mit einem Trag- und Förderseil und durch Kabinen und durch Sessel gebildeten ankuppelbaren Fahrbetriebsmittel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135A (ko) * 2014-11-20 2018-08-01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가공삭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6147212A (ru) 2008-07-10
NZ552470A (en) 2008-05-30
JP2007290687A (ja) 2007-11-08
US20070251407A1 (en) 2007-11-01
CN101062688A (zh) 2007-10-31
RU2395417C2 (ru) 2010-07-27
AU2007200772A1 (en) 2007-11-15
EP1849674A1 (de) 2007-10-31
AT503615A3 (de) 2010-06-15
NO20070448L (no) 2007-10-29
CA2577498A1 (en) 2007-10-26
AT503615A2 (de)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5832A (ko)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시스템
US7685947B2 (en) Cable railway system
US6729241B2 (en) Aerial cableway system with at least one load-bearing and conveying cable moving between a valley station and a mountain station
US20020007758A1 (en) Installation for conveying persons
RU2431579C2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установки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с нижней станцией 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с одной верхней станцией и такая установка подвесной канатной дороги
CA2820186C (en) Station for a cable railway system
US20230088063A1 (en) Cableway having car stabilization
US11377127B2 (en) Station for a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such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cable transportation system
CA1142473A (en) Passenger aerial cableway
US20080011181A1 (en) Cableway system having at least one conveying cable
CA2347497C (en) Traveling-gear mechanism for the transporting means of a cableway system
JPH02311601A (ja) 空中ロープウェイ輸送設備
JPH05254427A (ja) 自動循環式索道における搬器の一時停止運行方法
NZ612058B (en) Station for a cable railw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