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327A - Rock 키나아제 억제제의 니트로옥시 유도체 - Google Patents

Rock 키나아제 억제제의 니트로옥시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327A
KR20210134327A KR1020217027931A KR20217027931A KR20210134327A KR 20210134327 A KR20210134327 A KR 20210134327A KR 1020217027931 A KR1020217027931 A KR 1020217027931A KR 20217027931 A KR20217027931 A KR 20217027931A KR 20210134327 A KR20210134327 A KR 2021013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reaction
mmol
substituted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 선
쿠이펑 당
차오 장
춘밍 천
리홍 산
원 딩
신 왕
지아천 미
야보 순
시아신 성
지아레이 선
용 리
Original Assignee
비바 비전 (상하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바 비전 (상하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비바 비전 (상하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3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3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8Th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e.g. ticlop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07D217/2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 C07D27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thiazole or hydrogenated 1,2-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일종의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을 제공한다. 하기 구조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라세미체, 중수소화 동위원소 유도체, 수화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고;
Figure pct00106
식 I; 상기 식에서 고리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 방향족 고리이고; X는 (CH2)n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n은 0, 1, 2, 3에서 선택되며; R은 말단 -O-NO2의 치환기이고; R1은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아미노,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에서 선택되며;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미노 보호기에서 선택되고; 또는 R2와 R3이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합물은 ROCK 키아나제에 대한 활성 억제 효과가 높다.

Description

ROCK 키나아제 억제제의 니트로옥시 유도체
본 발명은 신규 헤테로 고리 ROCK 키나아제 억제제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ROCK 키나아제 억제제의 니트로옥시 유도체에 관한 것이며, 이런 화합물은 녹내장 및 망막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Rho-관련 코일드 코일 단백질 키나아제(ROCK)는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의 AGC(PKA/PKG/PKC)패밀리에 속한다. ROCK의 인간 이소타입을 설명하였고, ROCK-I (p160ROCK 또는 ROKβ라고도 함) 및 ROCK-II (ROKα)는 하나의 N-말단 Ser/Thr 키나아제 도메인을 포함하는 약 160 kDa 단백질이며, 이어서 하나의 코일드 코일 구조, 하나의 플렉스트린 상동성 도메인 및 C-말단 위치에 하나의 시스테인이 풍부한 영역(Multifunctional kinases in cell behaviour. Nat. Rev. Mol. Cell Biol. 2003(4):446-456)이 있다.
Rho는 저분자 모노머 GTPase 슈퍼패밀리에 속하고, Ras 슈퍼패밀리의 포유동물 유전자 동족체이며, 그 다운스트림의 가장 중요한 이펙터 분자 Rho 키나아제 (Rho-associated coiled-coil containing protein kinase, ROCK)를 통해 세포 액틴 골격의 재구성을 조절함으로써 세포 유사 분열, 세포 골격 조절, 평활근 세포 수축, 신경 세포 재생, 종양 세포 침윤 및 세포 사멸 조절과 같은 일련의 생물학적 과정에 광범위하게 참여한다. Rho/ROCK는 활성화된 후 다양한 기질에 작용하여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가장 주요한 두 가지 기질은 미오신 경쇄(MLC)와 미오신 경쇄 포스파타제(MLCP)이며, MLC의 인산화 수준은 평활근 수축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미오신 경쇄 키나아제(MLCK)는 MLC의 Ser-19 부위를 인산화하여 평활근 수축을 유도하고; MLCP의 억제는 MLC의 인산화 및 평활근 수축을 더욱 강화한다. ROCK이 활성화된 후 그 자체는 MLC를 인산화하여 근섬유 수축을 유발할 수 있고; 동시에 MLCP를 인산화하고 MLCP를 비활성화하여 세포기질에서 MLC의 인산화 정도를 증가시켜 간접적으로 근섬유 수축을 촉진할 수 있다.
동물 모델에서 Rho 키나아제 활성의 억제는 폐동맥 고혈압, 고혈압, 죽상 동맥 경화증, 심장 비대, 높은 안압, 뇌 허혈, 뇌 혈관 연축 등과 같은 심혈관 질환, 신경 변성 등과 같은 중추 신경계 질환, 및 종양을 포함하는 인간 질병 치료에 다양한 이점을 보여준다. 연구에 따르면 ROCK 발현 및 활성은 자발성 고혈압 래트에서 증가하며, 이는 ROCK 발현 및 활성이 이러한 동물의 고혈압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Involvement of Rho-kinase in hypertensive vascular disease: a novel therapeutic target in hypertension. FASEB J., 2001, 15(6):1062-4). ROCK 억제제 Y-27632는 3가지 래트 고혈압 모델(자발성 고혈압, 신장성 고혈압 및 데옥시코르티코스테론 아세테이트 염 유형 고혈압)에서 혈압을 현저히 낮출 수 있지만 대조군 래트의 혈압에 대해서는 큰 영향이 없었다(Calcium sensitization of smooth muscle mediated by a Rho-associated protein kinase in hypertension[J]. Nature, 1997, 389(6654):990-4).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ROCK 억제제가 폐 고혈압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Acute vasodilator effects of a Rho-kinase inhibitor, fasudil in patients with 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Heart, 2005:91(3):391-2).
ROCK 활성은 백혈구-혈소판-내피 상호 작용, 백혈구의 혈관외유출(Leukocyte extravasation) 및 부종에서 중요한 신호 전달 메커니즘이다. 내피 세포에서 Rho 키나아제의 과도한 활성화는 염증 세포의 모집을 촉진하는 세포-세포 연결부의 파괴로 인한 누출을 유발할 수 있다. 종합하면, 이러한 증거는 급성 및 만성 염증 관련 병리학적 상황 및 자가 면역 질환에서 ROCK의 역할을 지적하고 있다 (Isoform-specific targeting of ROCK proteins in immune cells. Small GTPases. 2016; 7(3):173-177). 류마티스 관절염 및 루푸스 실험 모델에서 ROCK 억제의 유익한 효과는 동물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Rho kinase inhibitors and their application to inflammatory disorders. Curr. Top. Med. Chem.2009(9): 704-723; Antinociceptive effects of AS1892802, a novel rho kinase inhibitor, in rat models of inflammatory and noninflammatory arthritis. J.Pharmacol.Exp.Ther.2010, 334: 955-963; Administration of fasudil, a ROCK inhibitor, attenuates disease in lupus-prone NZB/W F1 female mice. Lupus. 2012; 21(6):656-61). Fasudil의 T-세포 이동 억제 작용은 다발성 경화증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임상 적용을 확대할 수 있다(Therapeutic potential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by Fasudil, a Rho kinase inhibitor. J Neurosci Res.2010; 88(8):1664-72). 축적된 증거는 또한 ROCK이 염증성 장 질환(IBD)의 발병 메커니즘의 세 가지 질병 요인(장 장벽 파괴, 점막 면역 세포에 대한 장 내용물 노출 및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을 조절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Role of Rho kinase signal pathway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t J ClinExp Med.2015; 8(3):3089-3097).
현재 시판중인 ROCK 억제제 약물에는 Asahi Kasei사의 Eril(뇌 혈관 경련 치료용), Kowa사의 Glanatec(안구 고혈압 및 녹내장 치료용, 일본에서만 승인됨), 미국 Aerie사의 녹내장 신약 Rhopressa (netarsudil)는 2017년 미국에서 개방각 녹내장 또는 높은 안압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안압을 낮추기 위해 승인을 받았다. Rhopressa는 하루에 한번 사용하는 완전히 새로운 점안액이다.
일산화질소(NO)는 중요한 세포 간 신호 전달 인자이다. 일산화질소(NO)는 일산화질소 합성 효소에 의해 유기체 내에서 합성되거나 약물(예: 니트로글리세린, Latanoprostene Bunod, 니트로 함유 프로스타글란딘 약물)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NO는 가용성 구아닐레이트 사이클라제(sGC)에 결합한 다음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를 사이클릭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cGMP)로 전환시킨다. cGMP는 평활근 이완 및 혈관 확장뿐만 아니라 혈소판 억제, 세포 성장 및 분화와 같은 다른 많은 중요한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하는 두 번째 메신저이다. 일산화질소는 시신경 유두 혈류 및 IOP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생리적 역할을 한다. 시신경 유두에서 NO 공여체는 평활근을 이완시켜 혈관 저항을 감소시켜 국소 혈관 확장과 시신경 유두 혈류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NO 경로의 손상은 시신경 유두의 혈류를 감소시켜 허혈을 유발한다.
일산화질소는 눈의 안압(IOP)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생리적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내피 일산화질소 합성 효소(eNOS)는 포도막계, 쉴렘(Schlemm)관 및 모양체(ciliary body)의 내피에 존재한다. 일산화질소는 인간의 전방 섬유주 유출 시스템(TM)을 증가시키고, NO 공여체는 동물 모델에서 안압을 감소시키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eNOS 과발현 마우스는 IOP가 상대적으로 낮다. 비교해보면, eNOS 녹아웃 마우스(기능적 eNOS 유전자가 없으므로 내인성 eNOS가 없는 동물)는 IOP가 증가한 반면 sGC 녹아웃 마우스는 IOP 증가 및 시신경 변성이 발생하였다. NO가 안압을 감소시키는 메커니즘은 액틴-미오신 상호 작용을 억제하여 섬유주(TM) 및 쉴렘관의 세포를 이완시켜 물 유출을 증가시키고 안압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ROCK 키나아제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는 동시에 NO 공여체인 저분자 약물의 개발은 단일 기능 저분자보다 안압(IOP)을 낮추는 효과가 더 좋으며, 이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경제적 의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ROCK 키나아제에 대해 높은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억제제인 동시에 NO 공여체인 저분자 약물, 및 그 제조 방법과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라세미체, 중수소화 동위원소 유도체, 수화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고;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고리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 방향족 고리이고;
X는 (CH2)n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n은 0, 1, 2, 3에서 선택되며;
R은 말단-O-NO2의 치환기이고;
R1은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아미노,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에서 선택되며;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미노 보호기에서 선택되고;
또는, R2 및 R3이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라세미체, 중수소화 동위원소 유도체, 수화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고:
Figure pct00002
L은 일종의 연결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렌에서 선택되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에스테르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에서, 상기 고리 A는 식 A, 또는 식 B에서 선택되고;
Figure pct00003
R'은 헤테로 방향족 고리의 한 개 또는 여러 개 치환의 치환기이며;
상기 치환기는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아미노,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에서 선택되고;
A1, A2, A3, A4, A5, A6, A7, A8, A9 중 적어도 하나는 질소, 황, 산소에서 선택되고;
B1, B2, B3, B4, B5, B6, B7, B8, B9 중 적어도 하나는 질소, 황, 산소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에서, 상기 고리 A는 식 Ia, 또는 식 Ib, 또는 식 Ic에서 선택되고;
Figure pct00004
R21은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아미노,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에서 선택되며;
R2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라세미체, 중수소화 동위원소 유도체, 수화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고:
Figure pct00005
여기서, L1은 화학 결합,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이고;
L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에서 선택되며;
L3은 화학 결합,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시알킬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라세미체, 중수소화 동위원소 유도체, 수화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고:
Figure pct00006
n1은 0, 또는 자연수이고;
n2는 0, 또는 자연수이며;
Y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은 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히드록시가 니트로화 반응을 거쳐 얻어지고; 니트로화 조건은 진한 질산이거나 또는 질산의 아세트산 무수물에서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7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은 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할로겐이 니트로화 반응을 거쳐 얻어지고; 니트로화 조건은 질산은 작용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8
Y는 할로겐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은 하기 식 IIIa 및 식 III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커플링 반응을 진행하여 얻어지고;
Figure pct00009
Z는 할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제공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은 ROCK 키나아제의 억제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알킬은 알킬의 탄소 사슬에 있는 수소 원자 중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다른 그룹에 의해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다른 그룹은 시클로알킬(
Figure pct00010
등과 유사한 형식으로 치환되고, 상기 시클로알킬 고리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시아노, 알킬, 히드록시, 카르복시 등 그룹에 의해 치환된 것일 수도 있음), 헤테로시클로알킬(즉, 전술한 시클로알킬의 기초상에서 그 알킬 고리의 적어도 하나의 탄소 원자가 산소, 황, 질소에 의해 대체됨), 할로겐(F, Cl, Br, I), 카르복시, 시아노(-CN), 술폰산기(-SO4,), 술포닐(-SO2Ra, Ra는 수소, 알킬, 아릴 등), 알키닐(-C≡CH, -C≡CRb, Rb는 알킬, 아릴 등), 아실아미노(-C(O)NRxRy, RxRy는 알킬, 아릴 등), 에스테르기(-C(O)O-Rz, Rz는 알킬, 아릴 등), 아릴, 헤테로아릴, -O-NO2 등 그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헤테로알킬은 상기 치환된 알킬 중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탄소가 질소, 산소, 황 등 헤테로 원자로 대체된 것이고;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시클로알킬은 알킬 고리의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수소 원자가 다른 그룹에 의해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다른 그룹은 알킬, 치환된 알킬(위와 같음), 할로겐(F, Cl, Br, I), 카르복시, 시아노(-CN), 술폰산기(-SO4,), 술포닐(-SO2Ra, Ra는 수소, 알킬, 아릴 등), 알키닐(-C≡CH, -C≡CRb, Rb는 알킬, 아릴 등), 아실아미노(-C(O)NRxRy, RxRy는 알킬, 아릴 등), 에스테르기(-C(O)O-Rz, Rz는 알킬, 아릴 등), 아릴, 헤테로아릴, -O-NO2 등 그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은 상기 치환된 시클로알킬 고리의 적어도 하나의 탄소 원자가 질소, 산소, 황 등 헤테로 원자에 의해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알케닐은 -C=C- 구조 중의 수소 원자가 다른 그룹에 의해 치환된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다른 그룹은 알킬, 치환된 알킬(위와 같음), 할로겐(F, Cl, Br, I), 카르복시, 시아노(-CN), 아실아미노(-C(O)NRxRy, RxRy는 알킬, 아릴 등), 에스테르기(-C(O)O-Rz, Rz는 알킬, 아릴 등), 아릴, 헤테로아릴, -O-NO2 등 그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알키닐은 -C≡CH 구조 중의 수소 원자가 다른 그룹에 의해 치환된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다른 그룹은 알킬, 치환된 알킬(위와 같음), 할로겐(F, Cl, Br, I), 카르복시, 시아노(-CN), 아실아미노(-C(O)NRxRy, RxRy는 알킬, 아릴 등), 에스테르기(-C(O)O-Rz, Rz는 알킬, 아릴 등), 아릴, 헤테로아릴, -O-NO2 등 그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알킬렌은 -(CH2)n(0, 자연수)- 구조 중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수소 원자가 다른 그룹에 의해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다른 그룹은 시클로알킬(
Figure pct00011
등과 유사한 형식으로 치환되고, 상기 시클로알킬 고리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시아노, 알킬, 히드록시, 카르복시 등 그룹에 의해 치환된 것일 수도 있음), 헤테로시클로알킬(즉, 전술한 시클로알킬의 기초상에서, 그 알킬 고리의 적어도 하나의 탄소 원자가 산소, 황, 질소에 의해 대체됨), 할로겐(F, Cl, Br, I), 카르복시, 시아노(-CN), 술폰산기(-SO4,), 술포닐(-SO2Ra, Ra는 수소, 알킬, 아릴 등), 알키닐(-C≡CH, -C≡CRb, Rb는 알킬, 아릴 등), 아실아미노(-C(O)NRxRy, RxRy는 알킬, 아릴 등), 에스테르기(-C(O)O-Rz, Rz는 알킬, 아릴 등), 아릴, 헤테로아릴, -O-NO2 등 그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밖에, 다수의 탄소 원자 사이는 브릿지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옥시알킬렌은 -O-(CH2)n(0, 자연수)-또는-(CH2)n(0, 자연수)-O-(CH2)n(0, 자연수)- 구조 중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수소 원자가 다른 그룹에 의해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다른 그룹은 시클로알킬(
Figure pct00012
등과 유사한 형식으로 치환되고, 상기 시클로알킬 고리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시아노, 알킬, 히드록시, 카르복시 등 그룹에 의해 치환됨), 헤테로시클로알킬(즉, 전술한 시클로알킬의 기초상에서, 그 알킬 고리의 적어도 하나의 탄소 원자가 산소, 황, 질소에 의해 대체됨), 할로겐(F, Cl, Br, I), 카르복시, 시아노(-CN), 술폰산기(-SO4), 술포닐(-SO2Ra, Ra는 수소, 알킬, 아릴 등), 알키닐(-C≡CH, -C≡CRb, Rb는 알킬, 아릴 등), 아실아미노(-C(O)NRxRy, RxRy는 알킬, 아릴 등), 에스테르기(-C(O)O-Rz, Rz는 알킬, 아릴 등), 아릴, 헤테로아릴, -O-NO2 등 그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헤테로알킬렌은 상기 치환된 알킬렌 중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탄소 원자가 질소, 산소, 황 등 헤테로 원자에 의해 대체된 것이고;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아릴은 벤젠, 나프탈렌, 플루오렌 등 5원 및 이상의 방향족 고리 또는 벤조방향족 고리에서, 고리의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수소 원자가 다른 그룹에 의해 치환되고, 여기서 다른 그룹은 알킬, 치환된 알킬(위와 같음), 할로겐(F, Cl, Br, I), 카르복시, 시아노(-CN), 술폰산기(-SO4,), 술포닐(-SO2Ra, Ra는 수소, 알킬, 아릴 등), 알키닐(-C≡CH, -C≡CRb, Rb는 알킬, 아릴 등), 아실아미노(-C(O)NRxRy, RxRy는 알킬, 아릴 등), 에스테르기(-C(O)O-Rz, Rz는 알킬, 아릴 등), 아릴, 헤테로아릴 등 그룹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헤테로아릴은 티오펜, 피롤, 피리딘, 푸란,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퀴놀린 등 5원 이상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또는 벤조방향족 헤테로 고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헤테로아릴은 티오펜, 피롤, 피리딘, 푸란,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퀴놀린 등 5원 이상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 또는 벤조방향족 헤테로 고리를 의미하고, 고리의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수소 원자가 다른 그룹에 의해 치환되며, 여기서 다른 그룹은 알킬, 치환된 알킬(위와 같음), 할로겐(F, Cl, Br, I), 카르복시, 시아노(-CN), 술폰산기(-SO4,), 술포닐(-SO2Ra, Ra는 수소, 알킬, 아릴 등), 알키닐(-C≡CH, -C≡CRb, Rb는 알킬, 아릴 등), 아실아미노(-C(O)NRxRy, RxRy는 알킬, 아릴 등), 에스테르기(-C(O)O-Rz, Rz는 알킬, 아릴 등), 아릴, 헤테로아릴, -O-NO2 등 그룹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치환된 에스테르기는 -O-C(O)-RS-또는-Ls-O-C(O)-RS-또는-O-C(O)-O-RS-또는-Ls-O-C(O)-O-RS-의 형태를 의미하고, 여기서 Ls는 알킬렌(치환된 알킬렌), 아릴, 시클로알킬(치환된 시클로알킬)이고; Rs는 알킬렌(치환된 알킬렌), 아릴, 시클로알킬(치환된 시클로알킬)이다.
실시예 1
Figure pct00013
(S)-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니트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14
단계 A: 2-(4-(브로모메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1.1)
p-톨릴아세트산(100g, 670mmol)을 아세토니트릴(1L)에 용해시키고, N-브로모숙신이미드(125.2g, 703.5mmol)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2.2g, 13.4mmol)을 반응액에 용해시키며, 질소 기체 보호하에 8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낮춘다. 대량의 고체가 석출되며, 이를 여과한다. 여과케이크는 순차적으로 석유 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1:1) (200mL), 포화 아황산수소나트륨(200mL), 물(200mL), 석유 에테르(200mL)로 세척하며, 50℃에서 건조시켜 화합물1.1(82g, 수율: 54%,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 m/z : 229.0/231.0(M+1), 다음 단계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B: 2-(4-(히드록시메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1.2)
화합물1.1(82g, 358.1mmol)을 물(300mL)에 넣고, 100℃까지 가열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액이 맑아진 다음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계속하여 온도를 0℃까지 낮춘다. 백색 고체가 석출되며, 이를 여과한다. 여과케이크는 물로 2번 세척하고, 50℃에서 건조시켜 화합물1.2(40g, 수율: 67%, 백색 고체)를 얻고, 다음 단계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C: 2-(4-(히드록시메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1.3)
화합물1.2(40g, 241.0mmol)를 메탄올(400mL)에 용해시키고, 황산(2.4g, 24.1mmol)을 첨가하며, 아이스배스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200mL)을 첨가한다. 수층은 에틸아세테이트(200mL X 3)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화합물1.3(41g, 수율: 95%, 담황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 m/z:181.1 (M+1), 다음 단계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1H NMR (400 MHz, DMSO) δ 7.23 (dd, J = 22.8, 8.4 Hz, 4H), 5.15 (s, 1H), 4.47 (s, 2H), 3.64 (s, 2H), 3.60 (s, 3H).
단계 D: 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1.4)
화합물1.3(41g, 226.5mmol), 이미다졸(23.1g, 339.8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400mL)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를 0℃까지 낮추며, 트리이소프로필클로로실란(48.1g, 249.2mmol)을 여러번 나누어 투입하고, 자연적으로 실온까지 승온시킨 후 밤새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500mL)을 추가하고, 수층은 에틸아세테이트(200mL X 3)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화합물1.4(72g, 수율: 94%,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고, 다음 단계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E: 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1.5)
화합물1.4(72g, 214.0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500mL)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리튬(10.8g, 256.8mmo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된 후 1M의 염산 용액(300mL)을 첨가하며, 수층은 에틸아세테이트(200mL X 3)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화합물1.5(67g, 수율: 97%,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12.28 (s, 1H), 7.25 (d, J = 12.8 Hz, 4H), 4.78 (s, 2H), 3.54 (s, 2H), 1.14 (s, 3H), 1.05 (d, J = 6.8 Hz, 18H).
단계 F: (R)-4-벤질-3-(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페닐)아세틸)옥사졸리딘-2-온(화합물1.6)
화합물1.5(67g, 207.8mmol) 및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0.76g, 10.4mmol)를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아이스배스 조건에서 옥살릴클로라이드(31.7g, 249.4mmol)를 천천히 적가하며, 아이스배스를 유지하여 염화 아실을 얻는다. 동시에 다른 3구 플라스크에서 (R)-4-벤질-옥사졸리디논(25.7g, 145.2mmol)을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300mL)에 넣고, 질소 가스를 교체하고, 드라이아이스-아세톤에 의해 온도를 -78℃로 낮추며, n-부틸리튬(2.5M, 64mL)을 천천히 적가하고 온도를 -78℃로 유지한다. 적가 완료 후 계속하여 -78℃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제조한 염화 아실의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을 항압 드로핑 깔때기를 통해 천천히 적가하고, 적가 온도를 -78℃로 유지한다. 적가 완료 후 계속하여 온도를 -78℃로 유지하면서 2시간 동안 반응한 다음, 자연적으로 실온까지 승온시킨다.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400mL)으로 반응을 ?칭하며, 수층은 에틸아세테이트(300mL X 3)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며,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300mL), 포화 식염수(300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1.6(44g, 수율: 44%,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단계 G: 2-((S)-3-((R)-4-벤질-2-옥소옥사졸리딘-3-일)-3-옥소-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페닐)프로필)이소인돌린-1,3-디온(화합물1.7)
화합물1.6(44g, 91.3mmol)을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500mL)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를 교체하며, 드라이아이스-아세톤에 의해 온도를 -78℃로 낮추고, LiHMDS(1M, 109mL)를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 완료 후 계속하여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며, N-브로모메틸프탈이미드(26.3g, 109.6mmol)를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200mL)에 용해시키고, 항압 드로핑 깔때기를 통해 상기 체계에 천천히 적가하며, 적가 온도를 -70℃ 미만으로 제어하고, 적가 완료 후 반응을 -78℃를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며, 자연적으로 실온까지 승온시킨 후 밤새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400mL)으로 반응을 ?칭하며, 수층은 에틸아세테이트(300mL X 3)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0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황색 고체를 얻는다. 에틸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체계를 이용하여 재결정화 및 고체 석출 후, 여과를 진행하고 여과케이크는 석유 에테르(100mL)로 세척하며, 회전 건조시켜 화합물1.7(32g, 수율: 55%,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H: (S)-2-((2-카르복시-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페닐)에틸)카르바밀)벤조산(화합물1.8)
화합물1.7(32g, 49.9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300mL)에 용해시키고, 물(100mL)을 추가하며, 아이스배스에 의해 반응 체계를 0℃로 냉각시킨 다음, 수산화리튬(6.3g, 149.7mmol)을 첨가하고,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된 후 2M 염산 용액으로 반응액 pH 값을 2-3으로 조절하고, 수층은 에틸아세테이트(200mL X 4)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0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화합물1.8(20g, 수율: 80%, 담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 m/z:500.2 (M+1).
단계 I: (S)-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페닐)프로피온산(화합물1.9)
화합물1.8(20g, 40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5.9g, 44mmol) 및 트리에틸아민(12.1g, 120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 의해 반응 체계를 0℃로 냉각시킨 다음, 반응액에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8.4g, 44mmol)를 첨가하였다. 소정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액이 맑아지면, 실온까지 천천히 온도를 높이고 하룻밤 방치한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건조시키며,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200mL)을 첨가하고, 수층은 에틸아세테이트(200mL X 3)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하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300mL), 포화 식염수(300mL)로 순차적으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화합물1.9(17g, 수율: 88%, 황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J: (S)-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N-(티에노[2,3-c]피리딘-2-일)-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1.10)
화합물1.9(65mg, 0.123mmol)를 5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5ul, 0.16mmol), 2-(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라늄헥사 플루오로포스페이트(77mg, 0.20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10분 교반하고, 티에노[2,3-c] 피리딘-2-아민(20mg, 0.135mmol)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반응을 ?칭하고, 30mL 에틸아세테이트로 3번 나누어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10(48mg, 수율: 58%)을 얻었다. LCMS ESI(+)m/z: 614.2(M+1)/
단계 K: (S)-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히드록시메틸)페닐)-N-(티에노[2,3-c]피리딘-2-일)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1.11)
화합물1.10(48mg, 0.078mmol)을 5mL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에 용해시키고, 1mL 염산(2M)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직접 용매를 회전 건조시켜 생성물 1.11(30mg, 수율: 100%)을 얻었다. LCMS ESI(+)m/z: 458.1(M+1)
단계 L: (S)-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니트레이트(화합물1.12)
질산 2방울 및 아세트산 무수물 1방울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0분 교반한 다음, 화합물1.11(20mg, 0.04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천천히 체계에 적가한다. 반응 과정에서 많은 화합물1.11이 용해되기 어렵기에, 다른 하나의 반응 플라스크에 동일한 질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준비하고, 용해되지 않은 반응액을 천천히 적가하며, 화합물1.11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3-4번 반복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1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를 진행하고,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1.12(20mg, 수율: 93%)를 얻었다. LCMS ESI(+) m/z:503.1(M+1).
단계 M: (S)-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니트레이트(화합물1)
화합물1.12(20mg, 0.04mmol)를 1mL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을 첨가하고, 40℃에서 밤새 반응시키며,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을 2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1(8mg, 수율: 44%)을 얻었다. LCMS ESI(+) m/z:373.1(M+1). 1H NMR (400 MHz, DMSO-d6) δ 12.71 (s, 1H), 9.41 (s, 1H), 8.51 (d, J = 6.4 Hz, 1H), 8.06 (d, J = 6.0 Hz, 1H), 7.99 (s, 3H), 7.54 - 7.50 (m, 2H), 7.46 - 7.42(m, 2H), 7.24 (s, 1H),5.57 (s, 2H), 4.27 - 4.22 (m, 1H), 3.62 - 3.57(m, 1H), 3.25 - 3.15(m, 1H).
실시예 2
Figure pct00015
3-(3-아미노-1-(이소퀴놀린-6-일 아미노)-1-옥소프로판-2-일)벤질니트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16
단계 A: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2.1)
2-(4-(히드록시메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5.0g, 27.8mmol) 및 이미다졸 (2.8g, 41.7mmol)을 5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터트-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5.0g, 33.4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1(8.1g, 수율: 98%)을 얻었다.
단계 B: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메틸프로피 오네이트(화합물2.2)
화합물2.1(3.0g, 10.2mmol)을 10mL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를 교체하며, 드라이아이스-아세톤에 의해 온도를 -78℃로 낮춘다.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잔(1.0M, 12.2mL, 12.2mmol)을 천천히 적가하며, 적가 완료 후 체계를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N-브로모메틸프탈이미드(2.9g, 12.2mmol)를 1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체계에 천천히 적가하며, 적가 온도를 -70℃ 미만으로 제어하고, 적가 완료 후 반응을 -78℃를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2(3.6g, 수율: 78%)를 얻었다.
단계 C: 2-((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페닐)-2-카르복시에틸)카르바밀)벤조산(화합물2.3)
화합물2.2(3.6g, 8.0mmol)를 10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30mL 물에 용해시키고, 0℃에서 수산화리튬 수화물(1.0g, 24.0mmol)을 첨가하며,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감압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고, 1M의 염산 수용액으로 pH를 3~4로 조절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고,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조생성물 2.3(3.4g, 수율: 93%)을 얻었다. LCMS ESI(+)m/z: 458.2(M+1)
단계 D: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프로피온산(화합물2.4)
화합물2.3(3.4g, 7.4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0.9g, 7.4mmol) 및 트리에틸아민(2.2g, 22.2mmol)을 1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 보호하에, 온도를 0℃로 낮춘다. 반응액에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4g, 7.4mmol)를 첨가하고, 소정 시간 동안 교반시키며, 반응액이 맑아지면, 온도를 천천히 실온까지 올리고,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추가하여 반응액을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2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4(1.5g, 수율: 46%)를 얻었다.
단계 E: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N-(이소퀴놀린-6-일)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2.5)
화합물2.4(500mg, 1.1mmol)를 5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2-(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라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27mg, 1.6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83mg, 2.2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교반하고, 6-아미노이소퀴놀린(190mg, 1.3mmo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5(443mg, 수율: 71%)를 얻었다. LCMS ESI(+) m/z:566.2(M+1).
단계 F: 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히드록시메틸)페닐)-N-(이소퀴놀린-6-일)프로피온 아마이드(화합물2.6)
화합물2.5(443mg, 0.80mmol)를 5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첨가한 다음, 5mL 염산 수용액(1M)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중화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조생성물 2.6(242mg, 수율: 68%)을 얻었다. LCMS ESI(+) m/z:452.2(M+1).
단계 G: 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이소퀴놀린-6-일 아미노)-1-옥소프로판-2-일) 질산벤질에스테르(화합물2.7)
질산 2방울 및 아세트산 무수물 1방울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0분 교반한 다음, 화합물2.6(242mg, 0.50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천천히 체계에 적가한다. 반응 과정에서 많은 화합물2.6이 용해되기 어렵기에, 다른 하나의 반응 플라스크에 동일한 질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준비하고, 용해되지 않은 반응액을 천천히 적가하며, 화합물2.6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3-4번 반복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2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7(136mg, 수율: 54%)을 얻었다. LCMS ESI(+) m/z:497.1(M+1).
단계 H: 3-아미노-2-(4-(히드라지노메틸)페닐)-N-(이소퀴놀린-6-일)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2)
화합물2.7(30mg, 0.06mmol)을 1mL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을 첨가하고, 4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키며,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10mLX3)로 3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감압 농축한다. 잔여물을 2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2(1.1mg, 수율: 4%)를 얻었다. LCMS ESI(+) m/z:367.1(M+1).
실시예 3
Figure pct00017
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닐에틸아세테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18
단계 A: 2-(4-비닐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3.1)
2-(4-브로모페닐)메틸아세테이트(11.0g, 48.0mmol), 트리플루오로(비닐)붕산칼륨(7.7g, 57.6mmol) 및 탄산세슘(31.3g, 96.0mmol)을 20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20mL 물에 용해시킨 다음, 비스(트리페닐포스핀)디클로로팔라듐(674mg, 0.96mmol)을 첨가하고, 85℃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여과하고 여과액은 에틸아세테이트(50mLX3)로 세 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1(7.0g, 수율: 83%)을 얻었다. LCMS ESI(+) m/z:177.1(M+1).
단계 B: 2-(4-(2-히드록시에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3.2)
화합물3.1(3.5g, 19.9mmol)을 2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보란(10.0M, 4mL, 40.0mmol)을 첨가하며, 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 아이스배스에서 60m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M)을 적가하고, 5mL 과산화수소(30%)를 적가하며, 아이스배스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30분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원료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2(1.5g, 수율: 39%)를 얻었다.
단계 C: 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3.3)화합물3.2(1.5g, 7.7mmol)를 1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다음, 2,6-디메틸피리딘(1.4mL, 11.6mmol)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2.5mL, 9.2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원료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디클로로메탄(20mLX3)으로 세 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3(2.1g, 수율: 78%)을 얻었다.
단계 D: 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메틸프로피오네이트(화합물3.4)
화합물3.3(2.1g, 6.0mmol)을 20mL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를 교체하며, 드라이아이스-아세톤에 의해 온도를 -78℃로 낮춘다.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잔(1.0M, 7.2mL, 7.2mmol)을 천천히 적가하며, 적가 완료 후 체계를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N-브로모메틸프탈이미드(1.7g, 7.2mmol)를 1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에 천천히 적가하며, 적가 온도를 -70℃ 미만으로 제어한다. 적가 완료 후 반응을 -78℃를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원료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10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였다.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4(1.0g, 수율: 33%)를 얻었다.
단계 E: 2-((2-카르복시-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에틸)카르바밀)벤조산(화합물3.5)
화합물3.4(1.0g, 2.0mmol)을 1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3mL 물에 용해시키고, 0℃에서 수산화리튬 일수화물(252mg, 6.0mmol)을 첨가하며,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감압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며, 1M의 염산 수용액으로 pH를 3~4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생성물 3.5(960mg,수율: 95%)를 얻었다. LCMS ESI(+)m/z: 514.2(M+1).
단계 F: 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프로피온산(화합물3.6)
화합물3.5(960mg, 1.9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257mg, 1.9mmol) 및 트리에틸아민(0.8mL, 5.7mmol)을 1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 보호하에 온도를 0℃로 낮춘 다음 반응액에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365mg, 1.9mmol)를 첨가하고, 소정 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반응액이 맑아지면, 온도를 천천히 실온까지 올리고,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추가하여 반응액을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2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6(510mg, 수율: 54%)을 얻었다. LCMS ESI(+)m/z: 496.2(M+1).
단계 G: 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N-(티에노[2,3-c]피리딘-2일)-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3.7)
화합물3.6(70mg, 0.14mmol)을 5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2-(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라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80mg, 0.21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6mg, 0.28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교반한 후 티에노[2,3-c]피리딘-2-아민(25mg, 0.17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고,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7(62mg, 수율: 71%)을 얻었다. LCMS ESI(+) m/z:628.3(M+1).
단계 H: 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2-히드록시에틸)페닐)-N-(티에노[2,3-c]피리딘-2-일) 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3.8)
화합물3.7(62mg, 0.10mmol)을 5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다음, 5mL 염산 수용액(1M)에 첨가하고, 4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중화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조생성물 3.8(47mg, 수율: 100%)을 얻었다. LCMS ESI(+) m/z:472.1(M+1).
단계 I: 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닐에틸아세테이트(화합물3.9)
질산 2방울 및 아세트산 무수물 1방울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0분 교반한 다음, 화합물3.8(30mg, 0.06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천천히 체계에 적가하고, 반응 과정에서 많은 화합물이 용해되기 어렵기에, 다른 하나의 반응 플라스크에 동일한 질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준비하고, 용해되지 않은 반응액을 천천히 적가하며, 화합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3~4번 반복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1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9(12mg, 수율: 48%)를 얻었다. LCMS ESI(+) m/z:517.1(M+1).
단계 J: 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닐에틸아세테이트(화합물3)
화합물3.9(12mg, 0.03mmol)를 1mL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14mg, 0.30mmol)을 첨가하고, 40℃에서 밤새 반응시키며,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을 2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3(5mg, 수율: 36%)을 얻었다. LCMS ESI(+) m/z:387.1(M+1).
실시예 4
Figure pct00019
(S)-4-(3-아미노-1-(벤조[d]이소티아졸-6-일 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질산벤질에스테르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20
단계 A: 벤조[d]이소티아졸-6-아민으로 실시예 1단계 J 중의 티에노[2,3-c]피리딘-2-아민을 대체하여 합성을 거쳐 화합물4.1을 얻었다. LCMS ESI(+)m/z: 614.2(M+1).
단계 B: 실시예 1의 단계 K를 통해 합성하여 화합물4.2를 얻었다. LCMS ESI(+)m/z: 458.1(M+1).
단계 C: (S)-4-(1-(벤조[d]이소티아졸-6-일 아미노)-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프로판 -2-일)벤질니트레이트(화합물4.3)
화합물4.2(150mg, 0.33mmol)를 10mL 디클로로메탄 용액에 용해시키고, 아세트산 무수물(0.5ml), 질산(0.5ml)을 첨가하며, 질소 가스 보호하에, 4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회전 건조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4.3(40mg, 수율: 24%)을 얻었다. LCMS ESI(+)m/z: 503.1(M+1).
단계 D: (S)-4-(3-아미노-1-(벤조[d]이소티아졸-6-일 아미노)-1-옥소프로판-2-일)질산벤질에 스테르(화합물4)
화합물4.3(40mg, 0.08mmol)을 5mL 메틸아민 에탄올 용액에 용해시키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며, 용매를 회전 건조시키고, 역상 정제를 거쳐 화합물4(1.4mg, 수율: 5%)를 얻었다. LCMS ESI(+)m/z: 373.1(M+1).
실시예 5
Figure pct00021
1-(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닐)에탄-1,2-디니트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22
단계 A: 2-(4-(에폭시에탄-2-일)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5.1)
칭량된 2-(4-비닐페닐)메틸아세테이트(2.2g, 12.48mmol)를 8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여러번 나누어 3-클로로페록시벤조산(7.6g, 37.44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아황산나트륨 용액 300mL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며, 디클로로메탄(300mL)으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10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5.1(1.84g, 수율: 77%,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단계 B: 2-(4-(2,2-디메틸-1,3-디옥솔란-4-일)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5.2)
화합물5.1(1.84g, 9.57mmol)을 30mL 아세톤에 용해시킨 다음, Amberlyst 15(2.5g, 12.44mmol)를 첨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150mL를 첨가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300mL)로 2번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100mL)로 1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5.2(1.5g, 수율: 63%,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었다.
단계 C: 2-(4-(2,2-디메틸-1,3-디옥솔란-4-일)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 메틸프로피오네이트(화합물5.3)
-78℃에서 화합물5.2(1.5g, 5.99mmol)를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20mL)에 용해시킨 다음,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7.2mL, 7.19mmol)를 반응액에 천천히 적가하고, -78℃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0.5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바로 칭량된 N-브로모메틸프탈이미드(1.73g, 7.19mmol)를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10mL)에 용해시킨 후 반응 플라스크에 천천히 적가하고, 계속하여 이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0mL 염화암모늄포화 용액으로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60mL)로 2번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3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5.3(2g, 수율: 82%,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410.1(M+1).
단계 D: 2-((2-카르복시-2-(4-(2,2-디메틸-1,3-디옥솔란-4-일)페닐)에틸)카르바밀)벤조산(화합물5.4)
화합물5.3(2g, 4.88mmol)을 35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30mL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리튬 일수화물(615mg, 14.64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구연산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6으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40mL)로 3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거쳐 생성물 5.4(1.1g, 수율: 55%,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414.1 (M+1).
단계 E: 2-(4-(2,2-디메틸-1,3-디옥솔란-4-일)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프로피온산 (화합물5.5)
화합물5.4(1.1g, 2.66mmol)를 3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760mg, 3.99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540mg, 3.99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88mg, 5.32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여물에 물 20mL를 첨가하며, 포화 구연산으로 용액의 pH를 6으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40mL)로 3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한다.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5.5(760mg, 수율: 72%, 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396.1(M+1).
단계 F: 2-(4-(2,2-디메틸-1,3-디옥솔란-4-일)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N-(티에노 [2,3-c]]피리딘-2-일)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5.6)
화합물5.5(260mg, 0.66mmol)를 12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127mg, 0.99mmol), 6-아미노이소퀴놀린(104mg, 0.69mmol) 및 2-(7-아자벤조트리아졸-1-일)- N,N,N",N'-테트라메틸우라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00mg, 0.79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30mL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한다.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5.6(260mg, 수율: 75%, 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528.1(M+1).
단계 G: 2-(4-(1,2-디히드록시에틸)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N-(티에노[2,3-c] 피리딘-2-일)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5.7)
화합물5.6(260mg, 0.49mmol)을 30mL 메탄올 및 30mL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3.3mL 1.5M의 염산 수용액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여 생성물 5.7(240mg, 수율: 100%, 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488.1(M+1).
단계 H: 1-(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페닐)에탄-1,2-디질산디니트레이트(화합물5.8)
0.4mL 질산 용액을 6mL 디클로로메탄에 넣고,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며, 황산 0.2mL를 적가하고 반응액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화합물5.7(30mg, 0.06mmol)의 3mL 디클로로메탄 현탁액을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pH를 8로 조절하고, 디클로로메탄(30mL)으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5.8(5mg, 수율: 14%, 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578.1(M+1).
단계 I: 1-(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닐)에탄-1, 2-디니트레이트(화합물5)
화합물5.8(5mg, 0.01mmol)을 8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히드라진 수화물(17mg, 0.40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50도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20mL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3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역상 정제를 거쳐 화합물5(1.2mg, 수율: 31%,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448.1(M+1).
실시예 6
Figure pct00023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3-(니트로옥시)시클로부탄 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24
단계 A: 3-(니트로옥시)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6.1)
아이스배스 조건에서, 아세트산 무수물(2mL)을 50mL 반응 플라스크에 넣고, 이어서 바로 진한 질산(1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천천히 적가하며, 반응액을 아이스배스에서 10분 교반하였다. 아이스배스 조건에서, 3-히드록시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100mg, 0.862mmol)을 아세트산 무수물(3mL)에 용해시킨 다음, 아세트산 무수물-진한 질산 혼합액(3mL)을 반응액에 천천히 적가한 다음, 반응액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브로모크레졸 그린 변색)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물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로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한 다음,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실리카 컬럼 정제를 거쳐 백색 고체6.1(62mg, 수율: 44.67%)을 얻었다.
단계 B: (S)-4-(3-(1,3-디옥소이소인돌-2-일)-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3-(니트로옥시)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6.2)
화합물1.11(60mg, 0.131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6mL)에 용해시키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 -3-에틸카르보디이미드(37.7mg, 0.197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4mg, 0.197mmol) 및 화합물6.1(31.7mg, 0.197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며, 혼합액은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물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로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한 다음,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실리카 컬럼 정제를 거쳐 백색 고체6.2(50mg, 수율: 63.5%)를 얻었다. LCMS ESI(+) m/z:601.1(M+1).
단계 C: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3-(니트로옥시) 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6)
화합물6.2(83mg, 0.138mmol)를 8mL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히드라진 수화물(69mg, 1.38mmol)을 반응액에 첨가하며, 반응을 55℃로 올리고,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2mL)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 및 회전 건조를 진행하며, 잔여물을 메탄올(3mL)에 용해시키고, 역상 정제를 거쳐 백색 고체 생성물 실시예 6(20mg(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율: 28.5%, 순도: 97%)을 얻었다. LCMS ESI(+) m/z:471.1(M+1). 1H NMR (400 MHz, DMSO) δ 13.41 (s, 1H), 9.47 (s, 1H), 8.52 (d, J =6.8 Hz, 1H), 8.21 - 8.12 (m, 4H), 7.49 (d, J = 8.4 Hz, 2H), 7.40 (d, J = 8.8Hz, 3H), 5.26 (p, J = 7.2 Hz, 1H), 5.10 (s, 2H), 4.45 (dd, J = 8.8, 5.6 Hz, 1H), 3.63 (s, 1H), 3.21 - 3.12 (m, 1H), 3.03 - 2.92 (m, 1H), 2.71 - 2.61(m,2H), 2.34 (ddd, J = 17.2, 9.6, 2.8 Hz, 2H).
실시예 7
Figure pct00025
3-(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녹시)프로판-1,2-디니트 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26
단계 A: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7.1)
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5.0g, 32.86mmol)을 40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0℃에서 이미다졸(11g, 164.3mmol) 및 터트-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13.8g, 92.00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130mL 포화 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계속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2M 염산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4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식염수(20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7.1(5.78g, 수율: 66%,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단계 B: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아세트산벤질에스테르(화합물7.2)
화합물7.1(5.78g, 21.70mmol)을 10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0℃로 냉각시키며, 탄산칼륨(3.6g, 26.04mmol) 및 벤질브로마이드(4.45g, 26.04mmol)를 첨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80mL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로 4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한다.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7.2(3.66g, 수율: 47%,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었다.
단계 C: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프로피온산벤 질에스테르(화합물7.3)
화합물7.2(3.66g, 10.27mmol)를 30mL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을 -78℃로 냉각시키며, 질소 기체 보호하에 1M의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잔(12.3mL, 12.3mmol)을 적가하고, 반응액을 -78℃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2-(브로모메틸)이소인돌-1,3-디온(2.96g, 12.3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25mL를 적가하고, 반응액을 -78℃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30mL 물을 추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60mL)로 3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7.3(3.9g, 수율: 74%,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516.2(M+1).
단계 D: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프로피온산 (화합물7.4)
화합물7.3(3.9g, 7.56mmol)을 3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60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팔라듐/탄소(600mg, 10%)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 및 수소 가스 보호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규조토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7.4(2.9g, 수율: 90%, 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426.2(M+1).
단계 E: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N-(티에노 [2,3-c]피리딘-2-일)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7.5)
화합물7.4(600mg, 1.41mmol)를 2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76mg, 2.11mmol), 2-(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라늄헥 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648mg, 1.69mmol), 및 티에노[2,3-c]피리딘-2-아민(233mg, 1.55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25℃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40mL)을 추가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6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X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감압 농축,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7.5(780mg, 수율: 99%, 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558.2(M+1).
단계 F: 3-아미노-2-(4-((터트-부틸디메틸)옥시)페닐)-N-(티에노[2,3-c]피리딘-2-일)프로피온아마이드 (화합물7.6)
화합물7.5(1.2g, 2.15mmol)를 20mL의 33% 메틸아민/에탄올 용액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을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7.6(655mg, 수율: 71%, 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428.2(M+1).
단계 G: 알릴(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필)카르바메이트(화합물7.7)
화합물7.6(655mg, 1.53mmol)을 3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620mg, 6.12mmol) 및 클로로포름산아릴에스테르(369mg, 3.06mmol)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5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30mL 물을 추가한 다음, 디클로로메탄(50mLX2)으로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30mL)로 1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7.7(630mg, 수율: 80%, 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512.2(M+1).
단계 H: 알릴(2-(4-히드록시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필)카르바메이트 (화합물7.8)
화합물7.7(630mg, 1.23mmol)을 15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255mg, 1.84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구연산 용액을 넣어 pH를 7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60mL)로 2번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3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7.8(490mg, 수율: 100%, 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398.1(M+1).
단계 I: 알릴(2-(4-(2,3-디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필)카르바메이트(화합물7.9)
화합물7.8(100mg, 0.25mmol)을 1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24mg, 0.60mmol) 및 글리시돌(46mg, 0.60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5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4M 염산/디옥산 용액을 넣어 pH를 6으로 조절하고,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7.9(35mg, 수율: 30%,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472.1 (M+1).
단계 J: 알릴(2-(4-(2,3-비스(니트로옥시)프로폭시)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필)카르바메이트(화합물7.10)
질산 용액 30방울을 40mL 디클로로메탄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며, 황산 7방울을 적가하며, 반응액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화합물7.9(35mg, 0.07mmol)의 20mL 디클로로메탄 현탁액을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4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pH를 8로 조절하고, 디클로로메탄(30mLX2)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X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7.10(14mg, 수율: 34%,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562.1(M+1).
단계 K: 3-(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녹시) 프로판-1,2-디니트레이트(화합물7)
화합물7.10(14mg, 0.02mmol)을 3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1,3-디메틸피리미딘-2,4,6(1H, 3H, 5H)-트리온(19mg, 0.10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15mg, 0.01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25℃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은 역상 정제를 거쳐 실시예 7(2.8mg, 수율: 24%,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478.1(M+1).
실시예 8
Figure pct00027
3-(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닐)프로필니트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28
단계 A: 3-아미노-2-(4-((터트-부틸디메틸)옥시)페닐)-N-(티에노[2,3-c]피리딘-2-일)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8.1)
화합물6.5(1.5g, 3.5mmol)를 10mL 메틸아민에탄올 용액에 용해시키고, 50℃에서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8.1(1.0g, 수율: 66%)을 얻었다. LCMS ESI(+) m/z:428.2(M+1).
단계 B: (2-(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필) 터트-부틸 카르바메이트(화합물8.2)
화합물8.1(1.0g, 2.3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7mL, 3.5mmol)을 5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디-터트-부틸 디카르보네이트(0.8mL, 3.5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며,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8.2(1.2g, 수율: 100%)를 얻었다. LCMS ESI(+) m/z:528.2(M+1).
단계 C: (2-(4-히드록시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필)터트-부틸 카르바메이트(화합물8.3)
화합물8.2(1.2g, 2.3mmol)를 10mL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탄산칼륨(476mg, 3.5mmol)을 첨가하고, 온도를 50℃로 높이고 2시간 동안 반응시키며,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8.3(940mg, 수율: 63%)을 얻었다. LCMS ESI(+) m/z:414.1(M+1).
단계 D: 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페닐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화합물8.4)
화합물8.3(940mg, 1.5mmol) 및 피리딘(474mg, 6.0mmol)을 5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에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무수물(846mg, 3.0mmol)을 적가한 다음, 실온에서 30분 반응시키고,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2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8.4(220mg, 수율: 27%)를 얻었다. LCMS ESI(+) m/z:546.1(M+1).
단계 E: (2-(4-알릴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필)터트-부틸 카르바메이트 (화합물8.5)
화합물8.4(100mg, 0.18mmol), 2-알릴-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37mg, 0.22mmol) 및 탄산세슘(117mg, 0.36mmol)을 9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mL 물에 용해시킨 다음, [1,1'-비스(디페닐포스핀)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6mg, 5mol%)을 첨가하고, 질소 가스를 교체하며, 85℃에서 밤새 반응시키고,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8.5(78mg, 수율: 99%)를 얻었다. LCMS ESI(+) m/z:438.2(M+1).
단계 F: (2-(4-(3-히드록시프로필)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필)터트-부틸 카르바메이트(화합물8.6)
화합물8.5(78mg, 0.17mmol)를 2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보란(10.0M, 0.02mL, 0.34mmol)을 첨가하며, 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 아이스배스에서 5m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M)을 첨가한 후, 1mL 과산화수소(30%)를 첨가하며, 아이스배스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30분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8.6(20mg, 수율: 26%)을 얻었다. LCMS ESI(+) m/z:456.2(M+1).
단계 G: 3-(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닐) 프로필니트레이트(화합물8)
질산 2방울 및 아세트산 무수물 1방울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0분 교반한 다음, 화합물8.6(8mg, 0.02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천천히 체계에 적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며,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여물을 2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며,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8(1mg, 수율: 11%)을 얻었다. LCMS ESI(+) m/z: 401.1(M+1).
실시예 9
Figure pct00029
(S)-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5-(니트로옥시)발레르 에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30
단계 A: (S)-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 벤질-5-발레르에이트(화합물9.1)
화합물1.11(150mg, 0.33mmol)을 1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디시클로헥 실카르보디이미드(135mg, 0.65mmol), 브로모발레르산(60mg, 0.33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1mg, 0.33mmo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반응을 ?칭하고, 30mL 에틸아세테이트로 세 번 나누어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9.1(120mg, 수율: 59%)을 얻었다. LCMS ESI(+)m/z: 620.1, 622.1(M+1).
단계 B: (S)-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5-(니트로옥시)발레르산(화합물9.2)
화합물9.1(120mg, 0.19mmol)을 10mL 아세토니트릴 용액에 용해시키고, 질산은(36mg, 0.21mmol)을 첨가하며, 질소 가스 보호하에, 7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규조토로 반응액을 여과하고,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9.2(40mg, 수율: 34%)를 얻었다. LCMS ESI(+)m/z: 603.1(M+1).
단계 C: (S)-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5- (니트로옥시)발레르에이트(화합물9)
화합물9.2(40mg, 0.07mmol)를 10mL 메틸아민 에탄올 용액에 용해시키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며, 용매를 회전 건조시키고, 역상 정제를 거쳐 실시예 9(10mg, 수율: 32%)를 얻었다. LCMS ESI(+)m/z:473.1(M+1). 1H NMR (400 MHz, DMSO) δ 13.38 (s, 1H), 9.47 (s, 1H), 8.52 (d, J = 6.4 Hz, 1H), 8.20 -8.12 (m, 4H), 7.48 (d, J = 8.4 Hz, 2H), 7.39 (d, J = 9.2 Hz, 3H), 5.07 (s, 2H), 4.50 (t, J = 6.2 Hz, 2H), 4.44 (q, J = 8.2, 5.5 Hz, 1H), 3.66-3.59 (m, 1H), 3.20-3.13 (m, 1H), 2.41 (t, J = 7.2 Hz, 2H), 1.68-1.57 (m, 4H).
실시예 10
Figure pct00031
4-(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닐)질산부틸아세테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32
단계 A: 2-(4-(4-히드록시부트-1-인-1-일)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10.1)
2-(4-브로모페닐)메틸아세테이트(4.3g, 18.7mmol), 3-부틴-1-올(2.6g, 37.4mmol)을 100mL 트리에틸아민에 용해시킨 다음, 테트라(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864mg, 4 mol%) 및 요오드화제일구리(426mg, 12 mol%)를 첨가하고, 질소 가스를 교체하며, 10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며,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0.1(2.8g, 수율: 68%)을 얻었다. LCMS ESI(+) m/z:219.1(M+1).
단계 B: 2-(4-(4-히드록시부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10.2)
화합물10.1(2.8g, 12.8mmol)을 20mL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팔라듐/탄소(280mg, 10%)를 첨가하며, 수소 가스를 3번 교체하고, 4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며,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0.2(2.0g, 수율: 70%)를 얻었다. LCMS ESI(+) m/z:223.1(M+1).
단계 C: 2-(4-(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부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10.3)
화합물10.2(2.0g, 9.0mmol)를 1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다음, 2,6-디메틸피리딘(1.6mL, 13.5mmol)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3.0mL, 10.8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원료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디클로로메탄(5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0mLX3)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0.3(3.4g, 수율: 100%)을 얻었다.
단계 D: 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부틸)페닐) 메틸프로피오네이트(화합물10.4)
화합물10.3(3.4g, 9.0mmol)을 20mL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를 교체하며, 드라이아이스-아세톤에 의해 온도를 -78℃로 낮춘다.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잔(1.0M, 10.8mL, 10.8mmol)을 천천히 적가하며, 적가 완료 후 체계를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N-브로모메틸프탈이미드(2.6g, 10.8mmol)를 1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체계에 천천히 적가하며, 적가 온도를 -70℃ 미만으로 제어한다. 적가 완료 후 반응을 -78℃를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LCMS를 통해 원료 반응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10mL)을 넣어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X3)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100mL)로 세척하였다.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0.4(2.9g, 수율: 60%)을 얻었다. LCMS ESI(+)m/z: 538.3(M+1).
단계 E: 2-((2-카르복시-2-(4-(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부틸)페닐)에틸)카르바밀)벤조산 (화합물10.5)
화합물10.4(2.9g, 5.4mmol)를 1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3mL 물에 용해시킨 다음, 0℃에서 수산화리튬 일수화물(680mg, 16.2mmol)을 첨가하며,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감압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고, 1M의 염산 수용액으로 pH를 3~4로 조절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5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0mLX3)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생성물 10.5(2.8g, 수율: 94%)를 얻었다. LCMS ESI(+)m/z: 542.3(M+1).
단계 F: 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부틸)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10.6)
화합물10.5(2.8g, 5.1mmol),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688mg, 5.1mmol) 및 트리에틸아민(2.1mL, 15.3mmol)을 1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 보호하에, 온도를 0℃로 낮춘 다음, 반응액에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979mg, 5.1mmol)를 첨가하고, 소정 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반응액이 맑아지면, 온도를 천천히 실온까지 올리고,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추가하여 반응액을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5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0.6(2.3g, 수율: 86%)을 얻었다. LCMS ESI(+)m/z: 524.3(M+1).
단계 G: 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N-(티에노[2,3-c]피리딘-2-일)-2-(4-(4-((트리이소프로필실릴) 옥시)부틸)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10.7)
화합물10.6(300mg, 0.57mmol)을 5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순차적으로 2-(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라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327mg, 0.86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47mg, 1.1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교반한 후 화합물19.5(102mg, 0.68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0.7(373mg, 수율: 100%)을 얻었다. LCMS ESI(+) m/z:656.3(M+1).
단계 H: 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4-히드록시부틸)페닐)-N-(티에노[2,3-c]피리딘-2-일) 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10.8)
화합물10.7(373mg, 0.69mmol)을 2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다음, 6mL 염산 수용액(1.0M)에 첨가하고, 4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중화시킨 다음, 에틸아세테이트(2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조생성물 10.8(270mg, 수율: 95%)을 얻었다. LCMS ESI(+) m/z:500.2(M+1).
단계 I: 4-(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페닐)부틸니트레이트(화합물10.9)
4방울 질산 및 2방울 아세트산 무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0분 교반한 다음, 화합물10.8(30mg, 0.06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천천히 체계에 적가한다. 반응 과정에서 화합물이 용해되기 어렵기에, 다른 하나의 반응 플라스크에 동일한 질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준비하고, 용해되지 않은 반응액을 천천히 적가하며, 화합물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3~4번 반복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1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0.9(22mg, 수율: 67%)를 얻었다. LCMS ESI(+) m/z:545.1(M+1).
단계 J: 4-(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닐) 질산부틸아세테이트(화합물10)
화합물10.9(22mg, 0.04mmol)를 1mL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20mg, 0.40mmol)을 첨가하고, 40℃에서 밤새 반응시키며,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을 2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10(2mg, 수율: 10%)을 얻었다. LCMS ESI(+) m/z:415.1(M+1).
실시예 11
Figure pct00033
(S)-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에틸벤젠니트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34
단계 A: 2-(4-비닐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11.1)
2-(4-브로모페닐)메틸아세테이트(10g, 43.65mmol)를 20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20mL 물에 용해시키고, 비닐트리플루오로붕산칼륨(7g, 52.39mmol), 탄산세슘(28.6g, 87.31mmol)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염화팔라듐(600mg, 0.87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78℃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에 물 100mL를 추가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10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11.1(5.6g, 수율: 73%,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단계 B: 2-(4-(2-히드록시에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11.2)
화합물11.1(5.6g, 31.78mmol)을 5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며, 10M의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용액 6.4mL를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0℃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며, 1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및 30%의 과산화수소 56mL를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아황산나트륨 용액 400mL를 첨가한 다음, 1M의 염산 용액으로 pH를 2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0mL)로 5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11.2(3.85g, 수율: 67%, 백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C: 2-(4-(2-히드록시에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11.3)
화합물11.2(3.85g, 21.37mmol)를 45mL 디클로로메탄 및 10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며, 2M의 트리메틸실릴디아조메탄 11.2mL를 적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11.3(2.4g, 수율: 58%,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단계 D: 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메틸아세테이트(화합물11.4)
화합물11.3(2.4g, 12.36mmol)을 4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며, 2,6-디메틸피리딘(1.99g, 18.54mmol) 및 트리이소프로필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4.56g, 14.83mmol)를 첨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 50mL를 추가하고, 디클로로메탄(80mL)으로 2번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30mL)로 1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11.4(3.7g, 수율: 85%,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었다.
단계 E: 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11.5)
화합물11.4(3.7g, 10.55mmol)를 15mL 물, 15mL 메탄올 및 4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리튬 일수화물(1.33g, 31.65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1M의 염산 용액을 넣어 pH를 3으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거쳐 생성물 11.5(3.43g, 수율: 97%, 황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F: 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아세틸클로라이드(화합물11.6)
화합물11.5(3.43g, 10.19mmol)를 4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며, 질소 기체 보호하에 옥살릴클로라이드(1.55g, 12.23mmol)를 적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생성물 11.6(3.62g, 수율: 100%, 황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단계 G: (R)-4-벤질-3-(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아세틸)옥사졸리딘-2-온 (화합물11.7)
(R)-4-벤질옥사졸리딘-2-온(1.72g, 9.69mmol)을 3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을 -78℃로 냉각시키며, 질소 기체 보호하에, 2.5M의 n-부틸리튬(4.28mL, 10.71mmol)을 적가하고, 반응액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반응액에 화합물11.6(3.62g, 10.20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5mL를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78℃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염화암모늄 용액 30mL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11.7(3.15g, 수율: 62%,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496.3(M+1).
단계 H: 2-((R)-3-((R)-4-벤질-2-옥소옥사졸리딘-3-일)-3-옥소-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 옥시)에틸)페닐)프로필)이소인돌-1,3-디온(화합물11.8)
-78℃에서, 화합물11.7(3.15g, 6.35mmol)을 30mL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다음,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7.63mL, 7.63mmol)를 반응액에 천천히 적가하며,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바로 칭량된 N-브로모메틸프탈이미드(1.83g, 7.63mmol)를 무수테트라히 드로푸란(20mL)에 용해시킨 다음 반응 플라스크에 천천히 적가하고, 이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염화암모늄포화 용액으로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0mL)로 2번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10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11.8(2g, 수율: 48%,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 m/z:655.3(M+1).
단계 I: (R)-2-((2-카르복시-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에틸)카르바밀)벤조산 (화합물11.9)
화합물11.8(2g, 3.05mmol)을 25mL 메탄올 및 25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킨 다음, 수산화리튬 일수화물(385mg, 9.16mmol)을 물(20mL)에 용해시키며 반응액에 적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 60mL를 첨가하고, 수상은 에틸아세테이트(40mL)로 2번 세척한 다음, 1M의 염산 용액으로 pH를 4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로 2번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시켜 화합물11.9(980mg, 수율: 62%,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 m/z:514.2(M+1).
단계 J: (R)-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2-((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11.10)
화합물11.9(980mg, 1.91mmol)를 3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1-에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548mg, 2.86mmol), 1-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387mg, 2.86mmol) 및 트리에틸아민(577mg, 5.72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M 염산 용액으로 반응액의 pH를 4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6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3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11.10(840mg, 수율: 89%, 황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496.2(M+1).
단계 K: (S)-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N-(티에노[2,3-c]피리딘-2-일)-2-(4-(2-((트리이소프 로필실릴)옥시))에틸)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11.11)
화합물11.10(840mg, 1.69mmol)을 3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438mg, 3.39mmol), 2-(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라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967mg, 2.54mmol) 및 티에노[2,3-c]피리딘-2-아민(305mg, 2.03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 30mL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11.11(580mg, 수율: 55%, 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628.3(M+1).
단계 L: (S)-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2-(4-(2-히드록시에틸)페닐)-N-(티에노[2,3-c]피리딘-2-일) 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11.12)
화합물11.11(580mg, 0.92mmol)을 5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1.5M의 염산 수용액 20mL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pH를 8로 조절하며, 에틸아세테이트(10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3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11.12(350mg, 수율: 80%, 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472.1(M+1).
단계 M: (S)-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에틸벤젠니트레이트(화합물11.13)
2mL 질산 용액을 50mL 디클로로메탄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며, 황산 0.5mL를 적가하고, 반응액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화합물11.12(250mg, 0.53mmol)의 10mL 디클로로메탄 현탁액을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4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pH를 8로 조절하고, 디클로로메탄(80mL)으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11.13(250mg, 수율: 92%, 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517.1(M+1).
단계 N: (S)-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에틸벤젠 니트레이트(화합물11)
화합물11.13(250mg, 0.48mmol)을 35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히드라진 수화물(243mg, 4.80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50℃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70mL 물을 추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11(88mg, 수율: 47%,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387.1(M+1). 1H NMR (400 MHz, DMSO-d6) δ12.75 (s, 1 H), 9.43 (s, 1 H), 8.52 (d, J = 6.4 Hz, 1 H), 8.07 (d, J = 6.4 Hz, 1 H), 8.01 (s, 2 H), 7.35 (s, 4 H), 7.26 (s, 1 H), 4.74 (t, J = 6.8 Hz, 2 H), 4.21 (dd, J = 5.4, 8.8 Hz, 1 H), 3.61 (s, 1 H), 3.18 (s, 1 H), 3.00 (t, J = 6.8 Hz, 2 H)
실시예 12
Figure pct00035
(S)-4-(3-아미노-1-((4-플루오로티에노[2,3-c]피리딘-2-일)아미노)-1-옥소프로판-2-일)벤질니트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36
단계 A: (S)-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N-(4-플루오로티에노[2,3-c]피리딘-2-일)-2-(4- (((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메틸)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12.1)
화합물1.9(400mg, 0.83mmol)를 6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50% 1-프로필인산 무수물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793mg, 1.24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14mg, 1.66mmol) 및 4-플루오로티에노[2,3-c]피리딘-2-아민(154mg, 0.92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반응 플라스크에 물을 추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mLX2)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12.1(300mg, 수율: 57%)을 얻었다. LCMS ESI(+) m/z:632.2(M+1).
단계 B: (S)-3-아미노-N-(4-플루오로티에노[2,3-c]피리딘-2-일)-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 메틸)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화합물12.2)
화합물12.1(1.1g, 1.74mmol)을 에탄올(12mL)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870mg, 17.4mmol)을 반응액에 첨가하며, 반응액을 불활성 기체 분위기 및 5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반응액은 진공 펌프로 농축, 회전 건조시키며,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다음, 유기상은 물 및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진공 농축을 거쳐 담황색 고체 생성물 12.2(580mg, 수율: 66%)를 얻었다. LCMS ESI(+) m/z:502.2(M+1).
단계 C: (S)-알릴(3-((4-플루오로티에노[2,3-c]피리딘-2-일)아미노)-3-옥소-2-(4-(((트리이소프로필 실릴)옥시)메틸)페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화합물12.3)
화합물12.2(580mg, 1.16mmol)을 디클로로메탄(10mL)에 용해시킨 다음, 칭량된 N,N-디이 소프로필에틸아민(194mg, 1.51mmol) 및 클로로포름산아릴에스테르(167mg, 1.39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디클로로메탄으로 반응액을 희석시킨 다음,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 12.3(520mg, 수율: 77%)을 얻었다. LCMS ESI(+) m/z:586.3(M+1).
단계 D: (S)-알릴(3-((4-플루오로티에노[2,3-c]피리딘-2-일)아미노)-2-(4-(히드록시메틸)페닐)-3- 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화합물12.4)
화합물12.3(520mg, 0.89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10mL) 및 메탄올(1mL)에 용해시킨 다음, 1.5mol/L의 묽은 염산(6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며, 반응액을 60℃의 오일 배스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12mL)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진공 농축 후 조품을 메틸터트-부틸에테르로 슬러리화하여 조품 백색 고체 12.4(400mg, 수율: 100%)를 얻었다. LCMS ESI(+) m/z:430.1(M+1).
단계 E: (S)-알릴(3-((4-플루오로티에노[2,3-c]피리딘-2-일)아미노)-2-(4-((니트로옥시)메틸)페닐)-3- 옥소프로필)카르바메이트(화합물12.5)
아세트산 무수물(15방울) 및 진한 질산(30방울)을 5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은 상온에서 20분 교반한 다음, 화합물12.4(320mg, 0.75mmol)를 반응액에 추가하고, 상온에서 계속하여 50분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검출하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며, 디클로로메탄(15mL)으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를 진행하고,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12.5(123mg, 수율: 35%)를 얻었다. LCMS ESI(+) m/z:475.1(M+1).
단계 F: (S)-4-(3-아미노-1-((4-플루오로티에노[2,3-c]피리딘-2-일)아미노)-1-옥소프로판-2-일)벤질니 트레이트(화합물12)
화합물12.5(123mg, 0.26mmol)를 8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다음, 테트라 (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30mg, 0.026 mmol) 및 1,3-디메틸바르비투르산(44.6mg, 0.286mmol)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검출하였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12mL)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를 진행하고, 잔여물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며, 동결 건조시켜 백색 고체 12(65mg, 수율: 50%, 순도: 98%)를 얻었다. LCMS ESI(+) m/z:391.1(M+1).
실시예 13
Figure pct00037
(S)-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4-(니트로옥시)부틸) 카르보네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38
단계 A: (S)-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틸-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 [2,3-c]피리딘-2)-아미노)프로판-2-일)벤질 카르보네이트(화합물13.1)
아이스배스에서, 4-((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부탄-1-올(100mg, 0.49mmol)을 디클로로메탄 (8mL)에 용해시킨 다음, 트리포스겐(87mg, 0.29mmol) 및 피리딘(46mg, 0.59mmol)을 반응액에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 화합물1.11(40mg, 0.088mmol) 및 피리딘(7mg, 0.096mmo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반응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며,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0.5mol/L의 묽은 염산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적으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담황색 오일상 생성물 13.1(25mg, 수율: 42%)을 얻었다. LCMS ESI(+) m/z:688.2(M+1).
단계 B: (S)-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 -2-일)벤질(4-히드록시부틸)카르보네이트(13.2)
화합물13.1(25mg, 0.036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5mL) 및 메탄올(1mL)에 용해시킨 다음, 4mol/L의 염산-디옥산 용액(0.1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상온에서 10분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반응액을 진공 농축하여 조품 백색 고체 13.2(15mg, 수율: 72%)를 얻었다. LCMS ESI(+) m/z:574.2(M+1).
단계 C: (S)-4-(3-(1,3-디옥소이소인돌린-2-일)-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 -2-일)벤질(4-(니트로옥시)부틸)카르보네이트(화합물13.3)
아세트산 무수물(1방울) 및 진한 질산(2방울)을 디클로로메탄(10mL)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을 상온에서 20분 교반한 다음, 화합물13.2(15mg, 0.026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계속하여 상온에서 20분 교반한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디클로로메탄(10mL)으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담황색 오일상 생성물 13.3(5mg, 수율: 31%)을 얻었다. LCMS ESI(+) m/z:619.1(M+1).
단계 D: (S)-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4- (니트로옥시)부틸)카르보네이트(화합물13)
화합물13.3(5mg, 0.008mmol)을 에탄올(5mL)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1방울)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불활성 기체 분위기 및 5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물을 반응액에 추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mL)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 및 회전 건조시키며, 잔여물을 메탄올(1mL)에 용해시키고, 역상 정제를 거쳐 백색 고체 실시예 13(1.5mg(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수율: 31%, 순도: 95%)을 얻었다. LCMS ESI(+) m/z:489.1(M+1).
실시예 14
Figure pct00039
2-(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녹시)프로판-1,3-디니트레 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40
단계 A: 2-(4-(3-(((알릴옥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 -2-일)페녹시)디메틸말로네이트(화합물14.1)
화합물7.8(500mg, 1.26mmol)을 2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2-브로모디메틸 말로네이트(319mg, 1.51mmol) 및 탄산칼륨(260mg, 1.89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5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 25mL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8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14.1(250mg, 수율: 38%, 황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528.1(M+1).
단계 B: 알릴(2-(4-((1,3-디히드록시프로판-2-일)옥시)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필)카르바메이트(화합물14.2)
화합물14.1(250mg, 0.47mmol)을 15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며, 여러번 나누어 수소화붕소나트륨(107mg, 2.84mol)을 첨가하고, 반응액을 0℃에서 20분 교반하며, 메탄올 15mL를 적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수소화붕소리튬(100mg, 4.70mmol)을 첨가하고, 반응액을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1M 염산 용액을 넣어 pH를 6으로 조절하고,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은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14.2(130mg, 수율: 58%,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472.1(M+1).
단계 C: 알릴(2-(4-((1,3-비스(니트로옥시)프로판-2-일)옥시)페닐)-3-옥소-3-(티에노[2,3-c] 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필)카르바메이트(화합물14.3)
3mL 질산 용액을 100mL 디클로로메탄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며, 황산 0.7mL를 적가하고, 반응액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화합물14.2(130mg, 0.27mmol)를 첨가하고, 반응액을 4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pH를 8로 조절하고, 디클로로메탄(80mL)으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14.3(8mg, 수율: 5%, 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562.1(M+1).
단계 D: 2-(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페녹시)프로판-1,3- 디니트레이트(화합물14)
화합물14.3(8mg, 0.01mmol)을 8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1,3-디메틸피리미딘-2,4,6(1H, 3H, 5H)-트리온(2.7mg, 0.02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2mg, 0.002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은 역상 정제를 거쳐 실시예 14(6.5mg, 수율: 96%,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478.1(M+1).
실시예 15
Figure pct00041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4-(니트로옥시) 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42
단계 A: (S)-3-아미노-2-(4-(히드록시메틸)페닐)-N-(티에노[2,3-c]피리딘-2-일)프로피온아마이드 (화합물15.1)
화합물1.11(6g, 13.13mmol)을 에탄올(130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25mL)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6.56g, 131.3mmol)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반응액은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규조토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 회전 건조시켜 조품 화합물15.1(5g)을 얻었다. LCMS ESI(+) m/z:328.1(M+1).
단계 B: (S)-터트-부틸(2-(4-(히드록시메틸)페닐)-3-옥소-3-(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필) 카르바메이트(화합물15.2)
조품 화합물15.1(5g, 15.3mmol)을 6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6.18g, 61.2mmol) 및 디-터트-부틸 디카르보네이트(6.67g, 30.6mmol)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상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35mL)로 추출하며,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농축 및 회전 건조를 진행하며, 잔여물은 실리카 컬럼으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 생성물 15.2(3.5g, 순도: 97%)를 얻었다. LCMS ESI(+) m/z:428.1(M+1).
단계 C: 4-(니트로옥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화합물15.3)
4-히드록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200mg, 1.39mmol)을 1mL의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진한 질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혼합산 용액(0.2mL 질산, 0.4mL 아세트산 무수물)을 첨가하며,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20mL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5.3(210mg, 수율: 80%)을 얻었다.
단계 D: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4-(니트로옥시))-1-카르복시산시클로헥산(화합물15.4)
화합물15.2(100mg, 0.23mmol) 및 화합물15.3(49mg, 0.26mmol)을 3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68mg, 0.35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8mg, 0.23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에틸아세테이트(2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5.4(127mg, 수율: 91%)을 얻었다.
단계 E: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4-(니트로옥시) 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화합물15)
화합물15.4(127mg, 0.215mmol)을 5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2mL 염산 메탄올 용액(4M)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체계의 온도를 50℃로 높이고 1시간 동안 반응시키며,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을 5mL의 메탄올 및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15(19mg, 수율: 18%, 순도: 97%)을 얻었다. LCMS ESI(+) m/z: 499.2(M+1).1H NMR (400 MHz, DMSO-d 6) δ 13.36 (d, J = 10.0 Hz, 1H), 9.46 (s, 1H), 8.52 (d, J = 6.5 Hz, 1H), 8.12 - 8.06 (m, 1H), 7.48 (d, J = 8.2 Hz, 2H), 7.39 (d, J = 8.6 Hz, 3H), 5.17 (s, 1H), 5.08 (d, J = 3.9 Hz, 2H), 5.05 - 4.88 (m, 1H), 4.54 - 4.30 (m, 1H), 3.63 (s, 1H), 3.18 (s, 2H), 2.02 (dd, J = 21.9, 11.0 Hz, 3H), 1.93 - 1.68 (m, 2H), 1.68 - 1.33 (m, 4H).
실시예 16
Figure pct00043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4-(2-(니트로옥시)에틸) 메틸벤조에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44
단계 A: (4-브로모페네톡시)(터트-부틸) 디메틸실란(화합물16.1)
4-브로모페닐에탄올(2g, 9.95mmol) 및 이미다졸(1.7g, 25mmol)을 2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여러번 나누어 터트-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3g, 19.9mmol)을 첨가한 다음, 상기 체계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에틸아세테이트(3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6.1(2.82g, 수율: 90%)을 얻었다.
단계 B: 4-(2-(((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6.2)
화합물16.1(2.82g, 8.95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핀)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659mg, 0.1mmol)을 3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90mL의 메탄올 혼합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10mL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상기 체계를 80℃ 및 CO 분위기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6.2(1.84g, 수율: 70%)을 얻었다.
단계 C: 4-(2-((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벤조산(화합물16.3)
화합물16.2(736mg, 2.5mmol)을 5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수산화리튬 일수화물(315mg, 7.5mmo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6N의 염산 수용액으로 pH를 3으로 조절하고 30분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3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6.3(254mg, 수율: 61%)을 얻었다.
단계 D: 4-(2-(니트로옥시)에틸)벤조산(화합물16.4)
화합물16.3(100mg, 0.6mmol)을 3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의 혼합산 용액(0.4mL의 진한 질산, 0.1mL의 진한 황산)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디클로로메탄(15mLX2)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6.4(92mg, 수율: 73%)을 얻었다.
단계 E: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 -2-일)벤질-4-(2-(니트로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6.5)
화합물15.2(100mg, 0.234mmol) 및 화합물16.4(55mg, 0.258mmol)을 3mL의 N,N-디메틸포름 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67mg, 0.351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8mg, 0.234mmo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6.5(117mg, 수율: 81%)을 얻었다.
단계 F: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4-(2- (니트로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6)
화합물16.5(117mg, 0.19mmol)을 5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1.5mL 염산 메탄올 용액(4M)을 첨가하며, 먼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체계의 온도를 50℃로 올리고 1시간 동안 교반하며,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을 5mL의 메탄올 및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16(83mg, 수율: 84%, 순도: 94%)을 얻었다. LCMS ESI(+) m/z: 521.2(M+1).1H NMR (400 MHz, DMSO-d 6) δ 9.47 (s, 1H), 8.52 (d, J = 6.4 Hz, 1H), 8.22 (s, 3H), 8.14 (d, J = 6.4 Hz, 1H), 7.93 (d, J = 8.4 Hz, 2H), 7.51 (d, J = 3.2 Hz, 3H), 7.44 (d, J = 8.4 Hz, 2H), 7.39 (s, 1H), 5.33 (s, 2H), 4.78 (t, J = 6.4 Hz, 2H), 4.48 (dd, J = 8.4, 5.6 Hz, 1H), 3.64 (s, 1H), 3.18 (d, J = 6.0 Hz, 1H), 3.09 (t, J = 6.4 Hz, 2H).
실시예 17
Figure pct00045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메틸-4-(2-(니트로 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46
단계 A: 2-메틸-4-비닐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7.1)
4-브로모-2-메틸메틸벤조에이트(2g, 8.73mmol)를 4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4mL 물에 용해시키고, 비닐트리플루오로붕산칼륨(1.4g, 10.48mmol), 탄산세슘(5.7g, 17.46mmol)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염화팔라듐(122mg, 0.17mmol)을 첨가하고, 반응액을 78℃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에 물 50mL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6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30mLX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17.1(1.3g, 수율: 85%, 황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단계 B: 4-(2-히드록시에틸)-2-메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7.2)
화합물17.1(1.3g, 7.39mmol)을 1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며, 10M의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용액 2.2mL를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0℃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며, 선후로 2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10mL 및 30%의 과산화수소 2.5mL를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아황산나트륨 용액 100mL를 첨가한 다음, 2M의 염산 용액을 넣어 pH를 2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17.2(0.61g, 수율: 42%, 무색 액체)를 얻었다.
단계 C: 4-(2-히드록시에틸)-2-톨루엔산(화합물17.3)
화합물17.2(610mg, 3.14mmol)을 6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2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5mL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 환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6N의 염산 수용액으로 pH를 3으로 조절하고 30분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3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7.3(509mg, 수율: 90%,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D: 2-메틸-4-(2-(니트로옥시)에틸)벤조산(화합물17.4)
화합물17.3(200mg, 1.11mmol)을 5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의 혼합산 용액(1.4mL의 진한 질산, 0.35mL의 진한 황산)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에틸아세테이트(15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7.4(192mg, 수율: 77%, 백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E: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2-메틸-4-(2-(니트로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7.5)
화합물15.2(100mg, 0.234mmol) 및 화합물17.4(58mg, 0.258mmol)를 3mL의 N,N-디메 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68mg, 0.351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8mg, 0.234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7.5(115mg, 수율: 78%,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F: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메틸-4-(2- (니트로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7)
화합물17.5(98mg, 0.15mmol)를 1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3mL 염산 메탄올 용액(4M)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여물을 5mL의 메탄올 및 수용액에 용해시키며,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화합물17(72mg, 수율: 90%, 순도: 98.8%)을 얻었다. LCMS ESI(+) m/z: 535.2(M+1). 1H NMR (400 MHz, DMSO-d 6) δ 13.52 (s, 1H), 9.48 (s, 1H), 8.52 (d, J = 6.4 Hz, 1H), 8.24 (s, 3H), 8.15 (d, J = 6.4 Hz, 1H), 7.82 (d, J = 8.0 Hz, 1H), 7.51 (q, J = 8.4 Hz, 4H), 7.41 (s, 1H), 7.26 (s, 1H), 7.23 (d, J = 8.0 Hz, 1H), 5.30 (s, 2H), 4.76 (t, J = 6.4 Hz, 2H), 4.50 (dd, J = 8.4, 5.5 Hz, 1H), 3.65 (s, 1H), 3.18 (d, J = 6.4 Hz, 1H), 3.02 (t, J = 6.4 Hz, 2H), 2.50 (s, 3H).
실시예 18
Figure pct00047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메틸-5-(2-(니트로 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48
단계 A: 2-메틸-5-비닐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8.1)
5-브로모-2-메틸메틸벤조에이트(2g, 8.73mmol)를 4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4mL 물에 용해시키고, 비닐트리플루오로붕산칼륨(1.4g, 10.48mmol), 탄산세슘(5.7g, 17.46mmol)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염화팔라듐(122mg, 0.17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78℃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반응액에 물 50mL를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6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30mLX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18.1(1.13g, 수율: 74%, 황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단계 B: 5-(2-히드록시에틸)-2-메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8.2)
화합물18.1(1.13g, 6.42mmol)을 1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며, 10M의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용액 2.2mL를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0℃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며, 선후로 2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10mL 및 30%의 과산화수소 2.5mL를 적가하였다. 반응액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아황산나트륨 용액 100mL를 첨가한 다음, 2M의 염산 용액을 넣어 pH를 2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18.2(0.62g, 수율: 50%, 무색 액체)를 얻었다.
단계 C: 5-(2-히드록시에틸)-2-톨루엔산(화합물18.3)
화합물18.2(620mg, 3.20mmol)를 6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2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 5mL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 환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6N의 염산 수용액으로 pH를 3으로 조절하고 30분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3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생성물 18.3(570mg, 수율: 99%,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D: 2-메틸-5-(2-(니트로옥시)에틸)벤조산(화합물18.4)
화합물18.3(200mg, 1.11mmol)을 5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의 혼합산 용액(1.4mL의 진한 질산, 0.35mL의 진한 황산)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에틸아세테이트(15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8.4(191mg, 수율: 76%,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E: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2-메틸-5-(2-(니트로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8.5)
화합물15.2(100mg, 0.234mmol) 및 화합물18.4(58mg, 0.258mmol)를 3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68mg, 0.351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8mg, 0.234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8.5(88mg, 수율: 59%,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F: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 메틸-5-(2-(니트로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18)
화합물18.5(88mg, 0.14mmol)를 1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3mL 염산 메탄올 용액(4M)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을 5mL의 메탄올 및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화합물18(64mg, 수율: 86%, 순도: 97%)을 얻었다. LCMS ESI(+) m/z: 535.2(M+1). 1H NMR (400 MHz, DMSO-d 6) δ 13.54 (s, 1H), 9.48 (s, 1H), 8.52 (d, J = 6.4 Hz, 1H), 8.26 (s, 3H), 8.15 (d, J = 6.4 Hz, 1H), 7.76 (d, J = 1.6 Hz, 1H), 7.52 (q, J = 8.4 Hz, 4H), 7.46 - 7.35 (m, 2H), 7.28 (d, J = 7.6 Hz, 1H), 5.32 (s, 2H), 4.72 (t, J = 6.4 Hz, 2H), 4.51 (dd, J = 8.4, 5.4 Hz, 1H), 3.65 (s, 1H), 3.17 (d, J = 6.0 Hz, 1H), 3.01 (t, J = 6.4 Hz, 2H), 2.48 (s, 3H).
실시예 19
Figure pct00049
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s, 4R)-4-(니트로옥시) 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50
단계 A: (1s, 4s)-4-(니트로옥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화합물19.1)
화합물(1s, 4s)-4-히드록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200mg, 1.39mmol)을 1.5mL의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진한 질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혼합산 용액(0.8mL 질산, 1.6mL 아세트산 무수물)을 첨가하며, 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30mL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희석하고, 반응액을 선후로 물(10mLX3) 및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9.1(220mg, 수율: 90%,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B: 4-((S)-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1s, 4R)-4-(니트로옥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화합물19.2)
화합물15.2(100mg, 0.234mmol) 및 화합물19.1(50mg, 0.257mmol)을 3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68mg, 0.351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8mg, 0.234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19.2(72mg, 수율: 51%)를 얻었다.
단계 C: 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s, 4R)-4-(니트로옥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19)
화합물19.2(72mg, 0.12mmol)를 3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2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40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디클로로메탄(2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시켰다. 잔여물을 10mL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0.2mL 염화수소에틸아세테이트 용액(2M)을 첨가하며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에서 용매를 회전 건조시키고,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의 혼합 용액으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케이크를 초순수에 용해시키고, 여과, 역상 정제,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19(54mg, 수율: 90%, 순도: 98%)를 얻었다. LCMS ESI(+) m/z: 499.2(M+1). 1H NMR (400 MHz, DMSO-d6) δ 13.50 (s, 1H), 9.47 (s, 1H), 8.52 (d, J = 6.4 Hz, 1H), 8.23 (s, 3H), 8.14 (d, J = 6.4 Hz, 1H), 7.50 (d, J = 8.4 Hz, 2H), 7.45 - 7.23 (m, 3H), 5.17 (s, 1H), 5.09 (s, 2H), 4.48 (dd, J = 8.4, 5.6 Hz, 1H), 3.64 (s, 1H), 3.64 (s, 1H), 3.24 - 3.04 (m, 1H), 3.21 - 3.02 (m, 1H), 2.58 - 2.52 (m, 1H), 1.90 - 1.81 (m, 2H), 1.81 - 1.71 (m, 4H), 1.69 - 1.57 (m, 2H).
실시예 20
Figure pct00051
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r, 4S)-4-(니트로옥시) 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52
단계 A: (1r, 4r)-4-(니트로옥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화합물20.1)
화합물(1r, 4r)-4-히드록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200mg, 1.39mmol)을 1.5mL의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진한 질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혼합산 용액(0.8mL 질산, 1.6mL 아세트산 무수물)을 첨가하며, 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30mL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희석하고, 반응액을 선후로 물(10mLX3) 및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0.1(210mg, 수율: 80%,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B: 4-((S)-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r, 4S )-4-(니트로옥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화합물20.2)
화합물15.2(100mg, 0.234mmol) 및 화합물20.1(50mg, 0.257mmol)을 3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68mg, 0.351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8mg, 0.234mmo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3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0.2(126mg, 수율: 90%,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C: 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r, 4S)-4-(니트로옥시)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20)
화합물20.2(126mg, 0.21mmol)를 3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2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40mL)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디클로로메탄(20mLX3)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시켰다. 잔여물을 10mL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0.2mL 염화수소에틸아세테이트 용액(2M)을 첨가하며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에서 용매를 회전 건조시키고,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의 혼합 용액으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였다. 여과케이크는 초순수로 용해시키고, 여과,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20(58mg, 수율: 55%, 순도: 96.5%)을 얻었다. LCMS ESI(+) m/z: 499.2(M+1). 1H NMR (400 MHz, DMSO-d6) δ 13.06 (s, 1H), 9.28 (s, 1H), 8.44 (d, J = 6.0 Hz, 1H), 8.19 (s, 3H), 7.92 (d, J = 6.0 Hz, 1H), 7.48 (d, J = 8.4 Hz, 2H), 7.38 (d, J = 8.4 Hz, 2H), 7.26 (s, 1H), 5.08 (s, 2H), 5.05 - 4.92 (m, 1H), 4.41 (dd, J = 8.8, 5.6 Hz, 1H), 3.68 - 3.54 (m, 1H), 3.14 (d, J = 8.0 Hz, 1H), 2.43 (tt, J = 11.2, 3.6 Hz, 1H), 2.12 - 1.89 (m, 4H), 1.64 - 1.36 (m, 4H).
실시예 21
Figure pct00053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3-((니트로옥시)메틸) 벤조산벤질에스테르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54
단계 A: 3-((니트로옥시)메틸)벤조산(화합물21.1)
3-브로모톨루엔산(537mg, 2.5mmol)을 10mL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질산은(510mg, 3.0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 암조건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20mL)를 용해시키고, 여과하며, 여과액을 회전 건조시켜 화합물21.1(495mg, 수율: 99%, 백색 고체)울 얻었다.
단계 B: 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일클로라이드(화합물21.2)
화합물21.1(71mg, 0.36mmol)을 4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옥살릴클로라이드(0.06mL, 0.72mmol) 및 2방울 DMF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하여 화합물21.2 조생성물을 얻고, 다음 단계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C: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3-((니트로옥시)메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21.3)
앞 단계에서 얻은 화합물21.2(0.36mmol), 화합물15.2 (51mg, 0.12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5mg, 0.01mmol)을 5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3mL 디클로로메탄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트리에틸아민(0.05mL, 0.36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디클로로메탄(10mL)으로 희석하고, 선후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10mL), 물(10mL) 및 포화 식염수(10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친 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및 정제를 거쳐 화합물21.3(28.6mg, 수율: 39%, 담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607.2(M+1).
단계 D: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3-((니트로옥시) 메틸)벤조산벤질에스테르(화합물21)
화합물21.3(28.6mg, 0.047mmol)을 2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염화수소 메탄올 용액(4M, 1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시키며, 역상 정제를 거쳐 실시예 21(13.7mg, 수율: 64%,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507.1(M+1).
실시예 22
Figure pct00055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4-((니트로옥시)메틸) 벤조산벤질에스테르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56
단계 A: 4-((니트로옥시)메틸)벤조산(화합물22.1)
4-브로모톨루엔산(537mg, 2.5mmol)을 10mL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질산은(510mg, 3.0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 암조건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20mL)를 용해시키고, 여과하며, 여과액을 회전 건조하여 화합물22.1(476mg, 수율: 97%,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B: 3-((니트로옥시)메틸)벤조일클로라이드(화합물22.2)
화합물22.1(94.6mg, 0.48mmol)을 5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옥살릴클로라이드(0.08mL, 0.96mmol) 및 2방울 DMF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하여 화합물22.2 조생성물을 얻고, 다음 단계 반응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C: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4-((니트로옥시)메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22.3)
앞 단계에서 얻은 화합물22.2(0.48mmol), 화합물15.2 (102.5mg, 0.24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3mg, 0.024mmol)을 8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3mL의 디클로로메탄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트리에틸아민(0.07mL, 0.48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디클로로메탄(15mL)으로 희석하고, 각각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15mL), 물(15mL) 및 포화 식염수(15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친 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하여 화합물22.3(70mg, 수율: 48%, 담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607.2(M+1).
단계 D: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4- ((니트로옥시)메틸)벤조산벤질에스테르(화합물22)
화합물22.3(70mg, 0.115mmol)을 염화수소 메탄올 용액(4M, 3mL)에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시키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22(36.7mg, 수율: 59%,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507.1(M+1).
실시예 23
Figure pct00057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니트로옥시)메틸) 시클로부탄-1-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58
단계 A: 3-메틸렌시클로부탄-1-카르복시산(화합물23.1)
3-메틸렌시클로부탄-1-니트릴(3.1g, 33.7mmol)을 20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수산화칼륨(7.6g, 135mmol)의 수용액(20mL)을 첨가하며, 8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유기 용매를 회전 제거하며, 수상은 진한 염산으로 pH<2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Х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3.1(3.88g, 수율: 100%, 무색 오일)을 얻었다. LCMS ESI(+)m/z: 113.1(M+1).
단계 B: 3-메틸렌시클로부탄-1-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23.2)
화합물23.1(1.8g, 16mmol)을 2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3.32g, 24mmol) 및 벤질브로마이드(2.09mL, 17.6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여과하며,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물(5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50mLХ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50mLХ5)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3.2(2.85g, 수율: 88%, 무색 오일)를 얻었다. LCMS ESI(+)m/z: 203.2(M+1).
단계 C: 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1-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23.3)
질소 기체 보호하에, 화합물23.2(1.41g, 7mmol)을 10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아이스-솔트 배스에서 2.1mL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용액(10M)을 적가하며, 적가 완료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아이스-솔트 배스에서 선후로 7m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3M) 및 2.4mL 과산화수소 용액(30%)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계속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포화 아황산나트륨 용액(5mL)으로 반응을 ?칭하며, 물(20mL)을 추가하여 희석한 후 에틸아세테이트(50mLХ2)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3.3(749mg, 수율: 49%, 무색 오일)을 얻었다. LCMS ESI(+)m/z: 221.2(M+1).
단계 D: 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1-카르복시산(화합물23.4)
화합물23.3(716mg, 3.25mmol)을 10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390mg, 9.7mmol)의 수용액(5m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은 물(20mL)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25mLХ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화합물23.4(236mg, 수율: 56%, 무색 액체)를 얻었다.
단계 E: 3-((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1-카르복시산(화합물23.5)
아이스배스에서 1mL 발연 질산을 2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적가하고, 5분 교반하였다. 화합물23.4(200mg, 1.54mmol)을 5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상기 질산/아세트산 무수물 용액을 첨가하며, 온도를 유지하고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2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2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3.5(155.6mg, 수율: 58%, 담갈색 액체)를 얻었다.
단계 F: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1-카복실레이트(화합물23.6)
화합물23.5(75mg, 0.43mmol), 화합물15.2(100mg, 0.23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1.5mg, 0.34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5m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88mg, 0.46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2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20mLХ2)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3.6(158.1mg, 수율: 81%,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585.2(M+1).
단계 G: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 ((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1-카복실레이트(화합물23)
화합물23.6(75mg, 0.128mmol)을 3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0.3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시키며, 20mL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선후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20mL) 및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23(47.8mg, 수율: 72%,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485.2(M+1). 1H NMR (400 MHz, DMSO) δ13.56 (s, 1 H), 9.48 (s, 1 H), 8.52 (d, J = 6.4 Hz, 1 H), 8.26 ( s, 3 H), 8.15 (d, J = 6.4 Hz, 1 H), 7.51 (d, J = 8.0 Hz, 2 H), 7.43 - 7.35 (m, 3 H), 5.08 (d, J = 7.2 Hz, 2 H), 4.58 (d, J = 7.2 Hz, 1 H), 4.52 - 4.44 (m, 2 H), 3.72 - 3.57 (m, 1 H), 3.31 - 3.21 (m, 1 H), 3.20 - 3.08 (m, 1 H), 2.69 - 2.56 (m, 1 H), 2.36 - 2.21 (m, 2 H), 2.14 - 1.94 (m, 2 H).
실시예 24
Figure pct00059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니트로옥시)에틸) 카르바메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60
단계 A: 2-아미노질산 에틸 니트레이트(24.1)
아이스배스에서, 3mL 발연 질산을 12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적가하고, 30분 교반하였다. 이어서 아이스배스에서 에탄올아민(977.3mg, 16mmol)을 첨가하고, 온도를 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30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시키고, 50mL 에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1시간 슬러리화하며, 여과하여 생성물 24.1(1.95g, 수율: 72%, 백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B: (S)-터트-부틸(2-(4-((((((2-(니트로옥시)에틸)카르바밀)옥시)메틸)페닐)-3-옥소-3-(티오 [2,3-c]피리딘 -2-일 아미노)프로필)카르바메이트(24.2)
아르곤 가스 보호하에, 화합물15.2(64mg, 0.15mmol) 및 트리포스겐(22.2mg, 0.075mmol)을 3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9.4mg, 0.15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3.7mg, 0.03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1mL) 용액을 첨가하며, 온도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화합물24.1(50.7mg, 0.3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8.8mg, 0.3mmol)의 테트라히드로푸란(1mL) 용액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로 반응액을 희석하며, 선후로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20mL) 및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4.2(24.8mg, 수율30%,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560.2(M+1).
단계 C: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 (2-(니트로옥시)에틸)카르바메이트(화합물24)
화합물24.2(24.8mg, 0.044mmol)을 1.5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염화수소 메탄올 용액(4M, 1.5mL)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농축하고,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24(11.6mg, 수율: 53%,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460.1(M+1). 1H NMR (400 MHz, DMSO) δ13.50 ( s, 1 H), 9.48 (s, 1 H), 8.52 (d, J = 6.4 Hz, 1 H), 8.24 (s, 3 H), 8.15 (d, J = 6.4 Hz, 1 H), 7.55 - 7.45 (m, 3 H), 7.43 - 7.32 (m, 3 H), 5.02 (s, 2 H), 4.59 - 4.40 (m, 3 H), 3.72 - 3.57 (m, 1 H), 3.36 - 3.31 (m, 2 H), 3.20 - 3.10 (m, 1 H).
실시예 25
Figure pct00061
(1R, 3S)-4-((S)-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 (니트로옥시)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62
단계 A: (1R, 3R)-3-(니트로옥시)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25.1)
아이스배스 조건에서, 칭량된 아세트산 무수물(3mL)을 1구 반응 플라스크(50mL)에 첨가하고, 이어서 바로 진한 질산(1.5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천천히 적가하며, 아이스배스에서 반응액을 10분 교반한다. 아이스배스 조건에서, (1R, 3R)-3-히드록시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150mg, 1.29mmol)을 아세트산 무수물(4mL)에 용해시킨 다음, 아세트산 무수물-진한 질산 혼합액(4.5mL)을 반응액에 천천히 적가한 다음, 반응액은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브로모크레졸 그린 변색)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물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로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한 다음,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실리카 컬럼 정제를 거쳐 백색 고체 25.1(120mg, 수율: 58%)을 얻었다.
단계 B: (1R, 3S)-4-((S)-3-(1,3-디옥소이소인돌-2-일)-1-옥소-1-(티오[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 2-(니트로)3-(니트로옥시)시클로부탄 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25.2)
화합물1.11(100mg, 0.219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6mL)에 용해시키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63.3mg, 0.33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0.26mg, 0.33mmol) 및 화합물25.1(42.34mg, 0.26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며, 혼합액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검출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추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를 진행하고, 잔여물은 실리카 컬럼으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 25.2(105mg, 수율: 80%)을 얻었다. LCMS ESI(+) m/z:601.1(M+1).
단계 C: (1R, 3S)-4-((S)-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 -(니트로옥시)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25)
화합물25.2(105mg, 0.175mmol)을 에탄올(8mL)에 용해시키고, 히드라진 수화물(87.5mg, 1.75mmol)을 반응액에 첨가하며, 반응액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 및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검출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2mLX2)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농축 및 회전 건조를 진행하며, 잔여물을 3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역상 정제하며, 동결 건조시켜 담황색 고체 실시예 25(25mg, 수율: 30%, 순도: 96%)를 얻었다. LCMS ESI(+) m/z:471.1(M+1). 1H NMR (400 MHz, DMSO) δ 13.40 (s, 1H), 9.47 (s, 1H), 8.52 (d, J = 6.5 Hz, 1H), 8.22 - 8.12 (m, 4H), 7.49 (d, J = 8.2 Hz, 2H), 7.43 - 7.37 (m, 3H), 5.45 - 5.35 (m, 1H), 5.12 (s, 2H), 4.48 - 4.42 (m, 1H), 3.64 (s, 1H), 3.25 (ddd, J = 14.4, 9.7, 4.6 Hz, 2H), 3.21 - 3.11 (m, 1H), 2.62 (ddd, J = 12.1, 7.3, 4.9 Hz, 2H), 2.48 - 2.44 (m, 1H).
실시예 26
Figure pct00063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메틸-3-(니트로옥시) -2-((니트로옥시)메틸)프로피오네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64
단계 A: (S)-4-(3-(1,3-디옥소이소인돌-2-일)-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3-(니트로옥시)-2-((니트로옥시)메틸)메틸프로피오네이트(화합물26.1)
화합물1.11(50mg, 0.11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6mL)에 용해시키고, O-(7-아자벤조트리 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라늄(62.7mg, 0.165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5.5mg, 0.275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상온에서 30분 교반한 다음, 2-메틸-3-(니트로옥시)- 2-((니트로옥시)메틸)프로피온산(29.57mg, 0.132mmol)을 첨가하고, 혼합액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물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로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회전 건조, 실리카 컬럼 정제를 거쳐 담황색 고체 26.1(40mg, 수율: 55%)을 얻었다. LCMS ESI(+) m/z:664.1(M+1).
단계 B: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메틸-3- (니트로옥시)-2-((니트로옥시)메틸)프로피오네이트(화합물26)
화합물26.1(40mg, 0.06mmol)을 7mL의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30mg, 0.6mmol)을 반응액에 첨가하며, 반응액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 및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2mL)로 추출하며,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 및 회전 건조시키며, 잔여물을 메탄올(3mL), 역상 정제를 거쳐 백색 고체 생성물 실시예 26(10.5mg(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율: 30.5%, 순도: 98%)을 얻었다. LCMS ESI(+) m/z:534.1(M+1). 1H NMR (400 MHz, DMSO) δ 13.35 (s, 1H), 9.46 (s, 1H), 8.52 (d, J =6.4 Hz, 1H), 8.22 - 8.11 (m, 4H), 7.48 (d, J = 8.4 Hz, 2H), 7.42 - 7.36 (m, 3H), 5.17 (s, 2H), 4.78 - 4.69 (m, 4H), 4.44 (dd, J = 8.8, 5.0 Hz, 1H), 3.64 (s, 1H), 3.20 - 3.11 (m, 1H), 1.29 (s, 3H).
실시예 27
Figure pct00065
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s, 4R)-4-((니트로옥시) 메틸)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66
단계 A: 트랜스-4-((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27.1)
아이스배스에서, 2mL 진한 질산을 2mL 진한 황산에 적가하고, 100분 교반하였다. 이어서 아이스배스에서 트랜스-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60mg, 0.38mmol)의 디클로로메탄(4mL) 용액을 첨가하고, 온도를 5℃미만으로 유지하면서 50분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아이스배스에서 반응액을 물(20mL)로 희석하며, 디클로로메탄(2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7.1(63mg, 수율: 81%, 백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B: 트랜스-(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4-((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헥산-1-카르복시산(27.2)
화합물27.1(43.25mg, 0.21mmo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54.8mg, 0.28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33.5mg, 0.28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3mL)에 용해시키고, 화합물15.2(60.8mg, 0.14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15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15mLХ2)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7.2(62.7mg, 수율: 72%,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613.1(M+1).
단계 C: 트랜스-(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4- ((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헥산-1-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27)
화합물27.2(57mg, 0.093mmol)을 5mL 염화수소의 1, 4-디옥산 용액(4M)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 건조하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27(30.9mg, 수율: 60%,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513.1(M+1).
실시예 28
Figure pct00067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2-(니트로옥시)에틸) 메틸벤조에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68
단계 A: (3-브로모페네톡시)(터트-부틸) 디메틸실란(화합물28.1)
3-브로모페닐에탄올(1.89g, 9.4mmol) 및 이미다졸(2.56g, 36.16mmol)을 50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터트-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2.83g, 18.78mmol)을 첨가한 다음, 상기 체계를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30mLX2),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30mLX2)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포화 식염수(3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8.1(2.64g, 수율: 89%)을 얻었다.
단계 B: 3-(2-(((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28.2)
화합물28.1(2.64g, 8.37mmol) 및 [1, 1'-비스(디페닐포스핀)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612mg, 0.0837mmol)을 15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45mL의 메탄올 혼합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15mL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상기 체계를 80℃ 및 일산화탄소 분위기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농축 후 에틸아세테이트(30mLX3)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4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8.2(2g, 수율: 81%)을 얻었다.
단계 C: 3-(2-((터트-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벤조산(화합물28.3)
화합물28.2(2g, 6.79mmol)을 20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2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5mL 물을 첨가한 다음, 수산화리튬 일수화물(859mg, 20.37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1M의 염산 수용액으로 pH를 3으로 조절하고 30분 교반하며, 에틸아세테이트(6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X1)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8.3(1.2g, 수율: 63%)을 얻었다.
단계 D: 3-(2-히드록시에틸)벤조산(화합물28.4)
화합물28.3(700mg, 2.5mmol)을 10mL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다음, 3mL의 염화수소/메탄올(4M) 용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1.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이 완료된 후, 농축을 진행하고,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28.4(258mg, 수율: 62%)를 얻었다.
단계 E: 3-(2-(니트로옥시)에틸)벤조산(화합물28.5)
아이스배스에서 30mL의 디클로로메탄에 진한 질산 및 진한 황산의 혼합산 용액(20방울의 진한 질산, 4방울의 진한 황산)을 첨가하고, 아이스배스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화합물28.4(250mg, 1.5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디클로로메탄(40mLX2)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X3)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8.5(235mg, 수율: 74%)을 얻었다.
단계 F: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2-(니트로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28.6)
화합물15.2(161mg, 0.378mmol) 및 화합물28.5(114mg, 0.539mmol)을 3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5mg, 0.808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98.6mg, 0.808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28.6(185mg, 수율: 79%)을 얻었다.
단계 G: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2- (니트로옥시)에틸)메틸벤조에이트(화합물28)
화합물28.6(100mg, 0.16mmol)을 6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4mL 염산 메탄올 용액(4M)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잔여물을 5mL의 메탄올 및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여과한 후 여과액은 역상 정제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화합물 실시예 28(76mg, 수율: 91%, 순도: 99%)을 얻었다. LCMS ESI(+) m/z: 521.2(M+1). 1H NMR (400 MHz, DMSO) δ13.55 (s, 1 H), 9.48 (s, 1 H), 8.52 (d, J = 6.4 Hz, 1 H), 8.25 (s, 3 H), 8.15 (d, J = 6.4 Hz, 1 H), 7.94 - 7.81 (m, 2 H), 7.59 (d, J = 7.6 Hz, 1 H), 7.56 - 7.45 (m, 5 H), 7.41 (s, 1 H), 5.35 (s, 2 H), 4.76 (t, J = 6.4 Hz, 2 H), 4.51 (dd, J = 5.6, 8.4 Hz, 1 H), 3.63-3.66 (m, 1 H), 3.22 - 3.12 (m, 1 H), 3.08 (t, J = 6.4 Hz, 2 H).
실시예 29
Figure pct00069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1-((니트로옥시) 메틸)시클로 프로필 아세테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70
단계 A: 2-(1-(히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트산(화합물29.1)
화합물2-(1-(히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토니트릴(1g, 9mmol)을 15mL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수산화칼륨(5g, 89.12mmol)의 수용액(20mL)을 첨가하고, 80℃에서 교반하면서 16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농축시켜 에탄올을 제거한 다음, 0℃로 냉각시키고, 진한 염산으로 PH를 1-2로 조절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8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화합물29.1(870mg, 수율: 74%)을 얻었다.
단계 B: 2-(1-(((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트산(화합물29.2)
0℃에서, 1mL 진한 질산을 2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킨 다음, 상기 혼합물을 0℃에서 10분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0℃에서 화합물29.1(200mg, 1.54mmol)의 아세트산 무수물(15mL) 용액에 적가하며, 온도를 0℃로 유지하면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한 후, 물(20mL)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40mLX2)으로 추출하며, 합한 유기상은 각각 물,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쳐 화합물29.2(56mg, 수율: 21%)를 얻었다.
단계 C: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2-(1 -((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프로필)아세테이트(화합물29.3)
화합물29.2(56mg, 0.319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mL)에 용해시키고, 1-에틸-(3- 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92mg, 0.479mmol),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59mg, 0.483mmol) 및 화합물15.2(68mg, 0.159mmol)를 첨가하며, N2 보호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한 후, 물(30mL)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4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쳐 화합물29.3(72mg, 수율: 77%)을 얻었다. LCMS ESI(+) m/z: 585.2(M+1).
단계 D: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 (1-((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 프로필 아세테이트(화합물29)
화합물29.3(72mg, 0.123mmol)을 15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30mL의 염화수소/ 메탄올 용액(4M)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며,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pH를 8-10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X2)로 추출한 다음,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30mLX1), 유기상을 농축한 후 p-HPLC 역상 제조를 진행하고, 동결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실시예 29(17mg, 수율: 28%, 순도: 81%)를 얻었다. LCMS ESI(+) m/z: 485.1(M+1).
실시예 30
Figure pct00071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2-디메틸-5- (니트로옥시)발레르에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72
단계 A: 5-브로모-2,2-디메틸발레르산(화합물30.1)
화합물2,2-디알릴펜트-4-엔산(900mg, 7.02mmol)을 헥산(35mL)에 용해시킨 다음, 아이스배스를 0℃로 냉각시키고, 상기 온도 하에 브롬화수소산의 아세트산 용액(3.44g, 33% 함량)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한 후, 혼합물에 물(40mL)을 첨가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50mLХ2)로 추출하고, 유기상(30mLХ2)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하여 화합물30.1(1.36g, 수율: 93%)을 얻었다.
단계 B: 2,2-디메틸-5-(니트로옥시)발레르산(화합물30.2)
화합물30.1(1.1g, 5.26mmol)을 아세토니트릴(16mL)에 용해시킨 다음, 질산은(1.79, 10.59mmol)을 첨가하고, 질소 기체 보호하에 온도를 80℃로 높이고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여과하고, 여과액은 농축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쳐 화합물30.2(340mg, 수율: 31%)를 얻었다.
단계 C: 5-클로로-4, 4-디메틸-5-옥소펜틸 니트레이트(화합물30.3)
화합물30.2(150mg, 0.78mmol)을 디클로로메탄(16mL)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 보호하에, 아이스배스를 0℃로 냉각시키고, 옥살릴클로라이드(0.133mL) 및 촉매량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 농축하여 화합물30.3의 조생성물을 얻었고 직접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D: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2,2-5-(니트로옥시)디메틸발레르에이트(화합물30.4)
화합물15.2(168mg, 351.27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20mL)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03mg, 2.35mmol)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상기 화합물30.3 조생성물의 디클로로메탄(10mL) 용액,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96mg, 0.786mmol)을 적가하며,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한 후, 물(30mL)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30mLХ1),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쳐 화합물30.4(150mg, 수율: 64%)를 얻었다. LCMS ESI(+) m/z: 601.2(M+1).
단계 E: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 벤질2,2-디메틸-5-(니트로옥시)발레르에이트(화합물30)
화합물30.4(150mg, 0.25mmol)을 8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한 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PH를 8로 조절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5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30mLХ1),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을 진행하며, 잔여물은 p-HPLC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30(82mg, 수율: 66%)을 얻었다. LCMS ESI(+) m/z: 501.2(M+1). 1H NMR (400 MHz, DMSO) δ13.63 (s, 1 H), 9.50 (s, 1 H), 8.52 (d, J = 6.4 Hz, 1 H), 8.30 ( s, 3 H), 8.16 (d, J = 6.4 Hz, 1 H), 7.51 (d, J = 8.4 Hz, 2 H), 7.43 (s, 1 H), 7.38 (d, J = 8.4 Hz, 2 H), 5.07 (s, 2 H), 4.52 (dd, J = 5.2, 8.8 Hz, 1 H), 4.48 - 4.40 (m, 2 H), 3.65 (d, J = 4.4 Hz, 1 H), 3.20 - 3.07 (m, 1 H), 1.64 - 1.47 (m, 4 H), 1.14 (s, 6 H)
실시예 31
Figure pct00073
(S) -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6-(니트로옥시) 카프로산벤질에스테르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74
단계 A: 6-(니트로옥시)카프로산(화합물31.1)
칭량된 6-브로모카프로산(500mg, 2.56mmol)을 8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질산은(871mg, 5.13mmol)을 반응액에 첨가하였다. 암조건, 불활성 기체 분위기, 85℃에서 반응액을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브로모크레졸 그린 변색)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반응액에서 석출된 고체를 규조로 여과시키고, 여과케이크를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며, 여과액을 회전 건조하고,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다. 유기상을 순차적으로 물(15mL) 및 포화 식염수(15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무색 액체 31.1(400mg, 수율: 88%)을 얻었다.
단계 B: ((S)-4-(3-(1,3-디옥소이소인돌-2-일)-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 벤질-6-(니트로옥시)카프로에이트(화합물31.2)
화합물1.11(100mg, 0.219mmol)을 7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63.3mg, 0.33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0.26mg, 0.33mmol) 및 화합물31.1(46.55mg, 0.263mmol)을 첨가하며, 혼합액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추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로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하고,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진행하고, 잔여물을 실리카 컬럼으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 31.2(80mg, 수율: 59%)을 얻었다. LCMS ESI(+) m/z:617.2(M+1).
단계 C: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6- (니트로옥시)카프로산벤질에스테르(화합물31)
화합물31.2(80mg, 0.13mmol)을 8mL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히드라진 수화물(65mg, 1.3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60℃까지 가열하고,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물을 넣어 반응을 ?칭하며, 에틸아세테이트(12mL)로 추출하며,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 및 회전 건조를 진행하며, 잔여물을 메탄올/테트라히드로푸란(1.5mL/1.5mL), 역상 정제를 거쳐 담황색 고체 생성물 실시예 31(35mg, 수율: 52%, 순도: 96%)을 얻었다. LCMS ESI(+) m/z:487.2(M+1). 1H NMR (400 MHz, DMSO) δ 13.54 (s, 1H), 9.48 (s, 1H), 8.52 (d, J = 6.4 Hz, 1H), 8.25 (s, 3H), 8.15 (d, J = 6.4 Hz, 1H), 7.50 (d, J = 8.0 Hz, 2H), 7.42 - 7.36 (m, 3H), 5.07 (s, 2H), 4.52 - 4.45 (m, 3H), 3.70 - 3.56 (m, 1H), 3.20 - 3.10 (m, 1H), 2.36 (t, J = 7.6 Hz, 2H), 1.68 - 1.60 (m, 2H), 1.56 (dt, J = 15.2, 7.6 Hz, 2H), 1.39 - 1.28 (m, 2H).
실시예 32
Figure pct00075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니트로옥시)메틸) 시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76
단계 A: 1-(히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화합물32.1)
아이스배스에서, 1-(메톡시카르보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650mg, 4.51mmol)을 10mL의 무수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질소 기체 보호하에, 보란의 디메틸설파이드 용액(0.5mL, 4.961mmol)을 반응액에 천천히 적가한 다음, 반응액을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브로모크레졸 그린 변색)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반응액을 0℃로 냉각시키고, 메탄올로 반응을 ?칭하였다. 반응액을 농축, 회전 건조하여 담황색 오일상의 조품 32.1(410mg, 수율: 69.87%)을 얻었다.
단계 B: 1-((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화합물32.2)
아이스배스 조건에서, 칭량된 아세트산 무수물(2mL)을 1구 반응 플라스크(50mL)에 첨가하고, 진한 질산(1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천천히 적가하며, 반응액을 아이스배스에서 10분 교반하였다. 아이스배스 조건에서, 화합물32.1(150mg, 1.29mmol)을 아세트산 무수물(3mL)에 용해시킨 다음, 아세트산 무수물-진한 질산 혼합액(3mL)을 반응액에 천천히 적가한 다음, 반응액은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브로모크레졸 그린 변색)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물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로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한 다음,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실리카 컬럼 정제를 거쳐 백색 고체 32.2(60mg, 수율: 43%)을 얻었다.
단계 C: (S)-4-(3-(1,3-디옥소이소인돌-2-일)-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 2-일)벤질-1-((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시산(화합물32.3)
화합물32.2(55mg, 0.342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7mL)에 용해시킨 다음,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98.34mg, 0.513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62.58mg, 0.513mmol) 및 화합물1.11(109.7mg, 0.24mm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며, 혼합액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약 15%의 원료 1.11가 남음). 반응액에 물을 추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로 추출하며, 분리 유기상을 합한다.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실리카 컬럼 정제를 거쳐 백색 고체 32.3(82mg, 수율: 40%)을 얻었다. LCMS ESI(+) m/z:601.1(M+1).
단계 D: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 ((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화합물32)
화합물32.3(82mg, 0.137mmol)을 7mL의 에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68.5mg, 1.37mmol)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60℃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12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농축 및 회전 건조를 진행하며, 잔여물을 메탄올/테트라히드로푸란(1.5mL/1.5mL), 역상 정제를 거쳐 백색 고체 생성물 실시예 32(29.5mg, 수율: 43%, 순도: 94%)을 얻었다. LCMS ESI(+) m/z:471.1(M+1).1H NMR (400 MHz, DMSO) δ 13.47 (s, 1H), 9.48 (s, 1H), 8.52 (d, J = 6.4 Hz, 1H), 8.25 - 8.13 (m, 4H), 7.49 (d, J = 8.4 Hz, 2H), 7.41 - 7.35 (m, 3H), 5.11 (s, 2H), 4.71 (s, 2H), 4.47 (dd, J = 8.4, 5.6 Hz, 1H), 3.64 (s, 1H), 3.17 (d, J = 6.4 Hz, 1H), 1.31 (dd, J = 7.2, 4.2 Hz, 2H), 1.19 (dd, J = 7.2, 4.4 Hz, 2H).
실시예 33
Figure pct00077
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R)-4,5-비스 (니트로옥시)발레르산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78
단계 A: (S, E)-3-(2,2-디메틸-1,3-디옥솔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화합물33.1)
화합물(2-메톡시에틸)디메틸포스페이트(2.28mL, 15.36mmol)를 0℃에서 수소화나트륨(60%, 614mg, 15.36mmol)을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15mL에 천천히 적가하고 0.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S)-2,2-디메틸-1,3-디옥솔란-4-포름알데히드(2g, 15.36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넣어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100mL)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50mL)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33.1(1.645g, 수율: 58%, 무색 오일상 액체)를 얻었다.
단계 B: (S, E)-4, 5-디히드록시펜트-2-메틸 운데세노에이트(화합물33.2)
화합물33.1(1.16g, 6.23mmol)을 7.5mL의 아세트산 수용액(80%)에 용해시키고, 80℃까지 가열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직접 회전 건조하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33.2(706mg, 수율: 78%, 무색 오일상 액체)를 얻었다.
단계 C: (R)-4, 5-디히드록시메틸펜타노에이트(화합물33.3)
화합물33.2(706mg, 4.84mmol)을 10mL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수소 가스 분위기에서, 팔라듐/탄소(10%, 71mg)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액을 규조토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회전 건조하며,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33.3(558mg, 수율: 78%, 무색 오일상 액체)를 얻었다.
단계 D: (R)-4, 5-비스(니트로옥시)메틸펜타노에이트(화합물33.4)
화합물33.3(100mg, 0.68mmol)을 1mL의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진한 질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혼합산 용액(0.8mL 질산, 1.6mL 아세트산 무수물)을 첨가하며, 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30mL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희석하고, 반응액을 선후로 물(10mLX2),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10mL) 및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조생성물 33.4(138mg, 수율: 85%, 담황색 액체)를 얻었다.
단계 E: (R)-4, 5-비스(니트로옥시)발레르산(화합물33.5)
화합물33.4(93mg, 0.39mmol)을 1.5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0.5mL 물의 혼합 용액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수산화리튬 일수화물(20mg, 0.47mmol)을 첨가하며, 상기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2M의 염산 용액을 넣어 pH를 4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로 추출하며,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화합물33.5(45mg, 수율: 85%, 무색 오일상 액체)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12.28 (s, 1H), 5.70 - 5.22 (m, 1H), 4.94 (dd, J = 12.8, 2.4 Hz, 1H), 4.72 (dd, J = 12.8, 6.0 Hz, 1H), 2.48 - 2.17 (m, 2H), 2.13 - 1.70 (m, 2H).
단계 F: 4-((S)-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R)-4, 5-비스(니트로옥시)발레르에이트(화합물33.6)
화합물15.2(51mg, 0.12mmol) 및 화합물33.5(40mg, 0.18mmol)을 2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6mg, 0.24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2mg, 0.18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30mLX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10mLX2)로 세척하며, 유기상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3.6(55mg, 수율: 72%,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G: 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R)-4, 5-비스(니트로옥시) 발레르산(화합물33)
화합물33.6(55mg, 0.087mmol)을 2mL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2mL의 에틸아세테이트 염산 용액(2M)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용매를 회전 건조하고, 잔여물을 초순수로 용해시키며, 여과, 역상 정제, 동결 건조를 거쳐 목적 생성물 실시예 33(45mg, 수율: 97%, 순도: 99%)을 얻었다. LCMS ESI(+) m/z: 534.1(M+1). 1H NMR (400 MHz, DMSO-d6) δ 13.22 (s, 1H), 9.45 (s, 1H), 8.52 (d, J = 6.4 Hz, 1H), 8.11 (s, 4H), 7.46 (d, J = 7.6 Hz, 2H), 7.40 (d, J = 8.4 Hz, 2H), 7.34 (s, 1H), 5.49-5.40 (m, 1H), 5.08 (s, 2H), 4.92 (dd, J = 12.8, 2.8 Hz, 1H), 4.71 (dd, J = 12.8, 6.0 Hz, 1H), 4.39 (s, 1H), 3.63 (s, 1H), 3.17 (d, J = 5.6 Hz, 1H), 2.59-2.53 (m, 2H), 2.08-1.87 (m, 2H).
실시예 34
Figure pct00079
(1S, 3R)-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 ((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80
단계 A: 3-((벤질옥시)카르보닐)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34.1)
화합물23.3(2.33g, 10.58mmol)을 30mL 디클로로메탄, 30mL 아세토니트릴 및 30mL 물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며, 고함량 요오드화나트륨(6.8g, 31.73mmol) 및 염화루테늄 일수화물(233mg, 1.06mmol)을 첨가하고, 반응액 온도를 실온까지 높이며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에틸아세테이트(100mL)로 희석하고, 고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1M의 염산 용액을 첨가하며, 수상은 에틸아세테이트(50mL)로 1번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은 10%의 아황산수소나트륨 용액(30mL)로 2번 세척하며, 포화 식염수(30mL)로 1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4.1(2.3g, 수율: 93%,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235.1(M+1).
단계 B: (1S, 3S)-디벤질시클로부탄-1,3-디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34.2) 및 (1r, 3r)-디벤질시클로부탄-1,3-디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34.3)
화합물34.1(2.3g, 9.82mmol)을 3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4.07g, 29.46mmol) 및 벤질브로마이드(5.04g, 29.46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에 물(50mL)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70mL)로 2번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50mL)로 4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극성이 상대적으로 작은 생성물 34.2(1.29g, 무색 오일상 물질) 및 극성이 상대적으로 큰 생성물 34.3(1.58g, 무색 오일, 수율: 90%)을 얻었다.
단계 C: (1s, 3s)-3-((벤질옥시)카르보닐)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34.4)
화합물34.2(1.19g, 3.67mmol)을 15mL 테트라히드로푸란, 15mL 메탄올 및 15mL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146.7mg, 3.67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에 2M의 염산 용액을 넣어 pH를 3으로 조절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60mL)로 2번 추출하며,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30mL)로 1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4.4(380mg, 수율: 44%,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235.1(M+1).
단계 D: (1s, 3s)-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34.5)
화합물34.4(380mg, 1.62mmol)을 15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0.24mL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용액(10M)을 적가하며, 적가 완료 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아이스배스에서 선후로 5mL 메탄올 및 2M의 염산 용액 4m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계속하여 10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20mL)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Х4)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30mL)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4.5(245mg, 수율: 69%,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었다. LCMS ESI(+)m/z: 221.1(M+1).
단계 E: (1s, 3s)-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34.6)
화합물34.5(245mg, 1.11mmol)를 6mL 메탄올 및 15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89mg, 2.22mmol)의 수용액(5m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은 물(4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25mLХ3)로 세척한 다음, 수상은 2M의 염산 용액으로 pH를 2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40mLХ6)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화합물34.6(145mg, 수율: 100%,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F: (1s, 3s)-3-((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34.7)
아이스배스에서 1.5mL 진한 질산을 3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적가하며, 5분 교반하였다. 화합물34.6(145mg, 1.11mmol)을 5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상기 질산아세트산 무수물 용액을 적가하고, 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2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4.7(110mg, 수율: 56%,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G: (1s, 3R)-4-((S)-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3-((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34.8)
화합물34.7(50mg, 0.28mmol)을 2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82mg, 0.42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53mg, 0.42mmol) 및 화합물15.2(85mg, 0.20mmol)를 첨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3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mLХ2)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진행하고,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34.8(90mg, 수율: 78%,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585.2(M+1).
단계 H: (1s, 3R)-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34)
화합물34.8(90mg, 0.15mmol)을 8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1.5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pH를 8로 조절하며, 에틸아세테이트(50mLX2)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34(64mg, 수율: 85%,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485.1(M+1). 1H NMR (400 MHz, DMSO) δ13.53 ( s, 1 H), 9.48 (s, 1 H), 8.52 (d, J = 6.4 Hz, 1 H), 8.24 ( s, 3 H), 8.15 (d, J = 6.4 Hz, 1 H), 7.50 (d, J = 8.0 Hz, 2 H), 7.43 - 7.34 (m, 3 H), 5.09 (s, 2 H), 4.58 (d, J = 7.2 Hz, 2 H), 4.53 - 4.44 (m, 1 H), 3.62-3.66 ( m, 1 H), 3.22-3.29 (m, 1 H), 3.19 - 3.08 (m, 1 H), 2.59-2.68 (m, 1 H), 2.27-2.34 (m, 2 H), 2.03-2.10 (m, 2 H).
실시예 35
Figure pct00081
(1R, 3S)-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 ((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82
단계 A: (1R, 3r)-3-((벤질옥시)카르보닐)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35.1)
화합물34.3(1.48g, 4.56mmol)을 15mL 테트라히드로푸란, 15mL 메탄올 및 15mL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182mg, 4.56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에 2M의 염산 용액을 넣어 pH를 3으로 조절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60mL)로 2번 추출하며,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30mL)로 1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5.1(380mg, 수율: 36%,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235.1(M+1).
단계 B: (1r, 3r)-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35.2)
화합물35.1(380mg, 1.62mmol)을 15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 및 질소 기체 보호하에 0.24mL 보란 디메틸설파이드 용액(10M)을 적가하고, 적가 완료 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아이스배스에서 선후로 5mL 메탄올 및 2M의 염산 용액 4m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계속하여 10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20mL)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Х4)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30mL)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5.2(300mg, 수율: 84%,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었다. LCMS ESI(+)m/z: 221.1(M+1).
단계 C: (1r, 3r)-3-(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35.3)
화합물35.2(300mg, 1.36mmol)를 6mL 메탄올 및 15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109mg, 2.72mmol)의 수용액(5m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4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25mLХ3)로 세척한 다음, 수상은 2M의 염산 용액으로 pH를 2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40mLХ6)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거쳐 화합물35.3(177mg, 수율: 100%,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단계 D: (1r, 3r)-3-((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35.4)
아이스배스에서 1.5mL 진한 질산을 3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적가하며, 5분 교반하였다. 화합물35.3(177mg, 1.36mmol)을 5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며, 아이스배스에서 상기 질산아세트산 무수물 용액을 적가하고, 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2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5.4(120mg, 수율: 50%,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었다.
단계 E: (1r, 3S)-4-((S)-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3-((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35.5)
화합물35.4(50mg, 0.28mmol)을 2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82mg, 0.42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53mg, 0.42mmol) 및 화합물15.2(85mg, 0.20mmol)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3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5.5(96mg, 수율: 82%,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585.2(M+1).
단계 F: (1r, 3S)-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35)
화합물35.5(96mg, 0.164mmol)를 8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1.5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pH를 8로 조절하며, 에틸아세테이트(50mLX2)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35(66mg, 수율: 83%,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485.1(M+1). 1H NMR (400 MHz, DMSO) δ13.53(s, 1 H), 9.47 (d, J = 5.2 Hz, 1 H), 8.52 (d, J = 6.4 Hz, 1 H), 8.37 - 8.08 (m, 4 H), 7.49 (t, J = 8.4 Hz, 2 H), 7.44 - 7.32 (m, 3 H), 5.07 (s, 2 H), 4.61 - 4.40 (m, 3 H), 3.63 ( s, 1 H), 3.09-3.18 (m, 2 H), 2.68 - 2.54 (m, 1 H), 2.34 - 2.19 (m, 2 H), 2.08 - 1.95 (m, 2 H).
실시예 36
Figure pct00083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3-비스((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84
단계 A: 5,5-비스(브로모메틸)-2-페닐-1,3-디옥산(화합물36.1)
2,2-비스(브로모메틸)프로판-1,3-디올(10g, 38.18mmol)을 140mL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벤즈알데하이드(4.25g, 40.09mmol) 및 p-톨루엔설폰산(657mg, 3.82mmol)를 첨가하며, 반응액의 온도를 120℃로 높이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40mL)으로 3번 세척하며, 포화 식염수(30mL)로 1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진행하고, 잔여물을 메탄올로 실온에서 재결정화하여 생성물 36.1(12.7g, 수율: 95%,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B: 7-페닐-6,8-디옥사스피로[3.5]노네인-2,2-디에틸 아조디카복실산(화합물36.2)
디에틸말로네이트(2.0g, 12.49mmol)를 수소 나트륨(500mg, 12.49mmol)을 함유하는 2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현탁액에 적가하고, 기포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교반하며, 화합물36.1(2.19g, 6.24mmol)의 10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액을 14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염화암모늄 용액(30mL)을 첨가하며, 에틸아세테이트(70mL)로 2번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50mL)로 4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6.2(1.4g, 수율: 64%,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349.2(M+1).
단계 C: 7-페닐-6, 8-디옥사스피로[3.5]노네인-2,2-디카르복시산(화합물36.3)
화합물36.2(1.4g, 4.02mmol)를 20mL 에탄올 및 15mL 물에 용해시키고, 수산화칼륨(676mg, 12.06mmol)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80℃에서 0.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며, 반응액에 2M의 염산 용액을 넣어 pH를 4로 조절하고, 고체가 석출되며, 여과, 건조를 거쳐 생성물 36.3(1.09g, 수율: 93%,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293.1(M+1).
단계 D: 7-페닐-6,8-디옥사스피로[3.5]노네인-2-카르복시산(화합물36.4)
화합물36.3(1.09g, 3.73mmol)을 20mL 피리딘에 용해시키고, 반응액을 20시간 환류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여 피리딘을 제거하며, 잔여물에 2M 염산 용액을 넣어 pH를 5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Х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포화 식염수(30mL)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6.4(500mg, 수율: 54%,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249.1(M+1).
단계 E: 3,3-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36.5)
화합물36.4(350mg, 1.41mmol)를 25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팔라듐/탄소(100mg)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 및 수소 가스 분위기에서 교반하면서 3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규조토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며 화합물36.5(220mg, 수율: 98%, 백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F: 3,3-비스((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시산(화합물36.6)
아이스배스에서 1.5mL 진한 질산 3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첨가하고 10분 교반하였다. 화합물36.5(110mg, 0.69mmol)를 15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상기 질산/아세트산 무수물 용액을 적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2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6.6(57mg, 수율: 33%,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G: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3-비스((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복실레이트(화합물36.7)
화합물36.6(50mg, 0.20mmol)을 2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57mg, 0.30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37mg, 0.30mmol) 및 화합물15.2(77mg, 0.18mmol)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3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mLХ2)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6.7(82mg, 수율: 69%,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660.2(M+1).
단계 H: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3-비스 ((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부탄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36)
화합물36.7(82mg, 0.124mmol)을 10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2mL 트리플루오로아 세트산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pH를 8로 조절하며, 에틸아세테이트(50mLX2)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36(58mg, 수율: 84%,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560.1(M+1). 1H NMR (400 MHz, DMSO) δ13.36 ( s, 1 H), 9.46 (s, 1 H), 8.52 (d, J = 6.4 Hz, 1 H), 8.25 - 8.08 (m, 4 H), 7.52 - 7.44 (m, 2 H), 7.42 - 7.34 (m, 3 H), 5.10 (s, 2 H), 4.66 (s, 2 H), 4.51 (s, 2 H), 4.47 - 4.40 (m, 1 H), 3.60-3.68 ( m, 1 H), 3.33 - 3.29 (m, 1 H), 3.21 - 3.07 (m, 1 H), 2.32 - 2.14 (m, 4 H).
실시예 37
Figure pct00085
(3R, 4R)-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4- 비스(니트로옥시)시클로펜탄카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86
단계 A: 시클로펜텐-3-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37.1)
시클로펜텐-3-카르복시산(1g, 8.93mmol)을 12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2.5g, 17.86mmol) 및 벤질브로마이드(1.83g, 10.72mmol)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20mL)을 추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4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로 2번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7.1(1.69g, 수율: 94%,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203.1(M+1).
단계 B: (1R, 3s, 5S)-6-옥시비시클로[3.1.0]헥산-3-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37.2)
화합물37.1(650mg, 3.22mmol)을 15mL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며, 3-클로로페록시벤조산(724mg, 4.20mmol)을 여러번 나누어 첨가하고, 반응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백색 고체가 석출되고, 반응액을 여과하며, 여과액을 순차적으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20mL), 20%의 아황산나트륨 용액(20mL) 및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7.2(460mg, 수율: 88%,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었다. LCMS ESI(+)m/z: 219.1(M+1).
단계 C: (3R, 4R)-3,4-디히드록시시클로펜탄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37.3)
화합물37.2(460mg, 2.11mmol)를 4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4mL 물에 용해시키고, 0.17mL 황산 용액을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을 넣어 pH를 8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로 2번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감압 농축,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7.3(290mg, 수율: 58%, 무색 오일상 물질)을 얻었다. LCMS ESI(+)m/z: 237.1(M+1).
단계 D: (3R, 4R)-3,4-디히드록시시클로펜탄카르복시산(화합물37.4)
화합물37.3(330mg, 1.4mmol)을 6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팔라듐/탄소(33mg)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 및 수소 가스 분위기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규조토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며 생성물 37.4(200mg, 수율: 98%,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145.1(M-1).
단계 E: (3R, 4R)-3,4-비스(니트로옥시)시클로펜탄카르복시산(화합물37.5)
아이스배스에서 1mL 진한 질산을 2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적가하고 10분 교반하였다. 화합물37.4(100mg, 0.69mmol)를 2mL 아세트산 무수물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상기 질산아세트산 무수물 용액을 적가하며, 0℃에서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2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7.5(95mg, 수율: 59%, 무색 오일상 물질)를 얻었다.
단계 F: (3R, 4R)-4-((S)-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3,4-비스(니트로옥시)시클로펜탄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37.6)
화합물37.5(40mg, 0.17mmol)를 5mL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49mg, 0.255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31mg, 0.255mmol) 및 화합물15.2(44mg, 0.102mmol)를 첨가하며, 반응액을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3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40mLХ2)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7.6(50mg, 수율: 46%,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646.2(M+1).
단계 G: (3R, 4R)-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 벤질-3,4-비스 (니트로옥시)시클로펜탄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37)
화합물37.6(50mg, 0.08mmol)을 4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8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넣어 pH를 8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mLX2)로 추출하며, 합한 유기상은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37(27mg, 수율: 60%,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546.1(M+1). 1H NMR (400 MHz, DMSO) δ13.42(s, 1 H), 9.47 (s, 1 H), 8.52 (d, J = 6.4 Hz, 1 H), 8.20 ( s, 3 H), 8.14 (d, J = 6.4 Hz, 1 H), 7.54 - 7.45 (m, 2 H), 7.39-7.41 (m, 3 H), 5.70 - 5.51 (m, 2 H), 5.11 (s, 2 H), 4.55 - 4.37 (m, 1 H), 3.62-3.66 ( m, 1 H), 3.22 - 3.05 (m, 2 H), 2.60 - 2.53 (m, 1 H), 2.45 - 2.35 (m, 1 H), 2.14-2.21 (m, 1 H), 2.10 - 1.99 (m, 1 H).
실시예 38
Figure pct00087
(1r, 4S)-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4- ((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산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88
단계 A: (1R, 4R)-4-((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산(화합물38.1)
아이스배스에서 3mL 진한 질산을 3mL 진한 황산에 적가하고, 10분 교반하였다. 이어서 아이스배스에서 (1R, 4R)-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산(100mg, 0.63mmol)의 디클로로메탄(2mL) 용액을 첨가하고, 온도를 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30분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아이스배스에서 반응액을 물(20mL)로 희석하며, 디클로로메탄(20mLХ2)으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8.1(102mg, 수율: 79%,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B: (1R, 4S)-4-((S)-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4-((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산 벤질 에스테르(화합물38.2)
화합물38.1(43.5mg, 0.21mmo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54.8mg, 0.28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33.5mg, 0.28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3mL)에 용해시키고, 화합물15.2(60.8mg, 0.14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15mL)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15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Х5)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8.2(82.5mg, 수율: 94%,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613.2(M+1).
단계 C: (1R, 4S)-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 -4-((니트로옥시)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산(화합물38)
화합물38.2(80mg, 0.13mmol)을 5mL 염화수소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4M)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 건조하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38(40.4mg, 수율: 60%,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513.2(M+1). 1H NMR (400 MHz, DMSO) δ 13.53 (s, 1H), 9.47 (s, 1H), 8.52 (d, J = 6.4 Hz, 1H), 8.25 (s, 3H), 8.14 (d, J = 6.4 Hz, 1H), 7.50 (d, J = 8.4 Hz, 2H), 7.41 (s, 1H), 7.38 (d, J = 8.2 Hz, 2H), 5.06 (s, 2H), 4.52 - 4.44 (m, 1H), 4.34 (d, J = 6.4 Hz, 2H), 3.70 - 3.58 (m, 1H), 3.21 - 3.08 (m, 1H), 2.30 (tt, J = 12.0, 3.2 Hz, 1H), 1.93 (d, J = 10.4 Hz, 2H), 1.79 - 1.62 (m, 3H), 1.34 (qd, J = 12.8, 3.2 Hz, 2H), 1.06 (qd, J = 12.8, 3.2 Hz, 2H).
실시예 39
Figure pct00089
(S)-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2-(니트로옥시)) 에틸)피롤리딘-2-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90
단계 A: (S)-1-(2-히드록시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시산(화합물39.1)
L-프롤린(921mg, 8mmol) 및 수산화칼륨(1.35g, 24mmol)을 20mL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키고, 2-브로모에탄올(1.2g, 9.6mmol)을 적가하며, 40℃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염산으로 pH<4로 조절한다. 감압을 통해 유기 용매를 회전 제거하고, 20mL 에탄올 및 20mL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2h 교반한 후 여과하며, 여과액을 농축하고 20mL 아세톤 및 2mL 메탄올로 재결정화하여 화합물39.1(968mg, 수율76%,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B: (S)-1-(2-(니트로옥시)에틸)피롤리딘-2-카르복시산(화합물39.2)
아이스배스에서 3mL 진한 질산을 3mL 진한 황산에 적가하고, 10분 교반하였다. 이어서 아이스배스에서 화합물39.1(500mg, 3.1mmol)의 디클로로메탄(10mL) 용액을 첨가하고, 온도를 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아이스배스에서 반응액을 디클로로메탄(40mL)으로 희석하고, 탄산나트륨 고체로 pH를 약 5로 조절하며, 유기 용매를 회전 제거하고, 30mL 디클로로메탄 및 에탄올의 혼합 용액(1:1)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생성물 39.2(337mg, 수율: 53%, 황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C: (S)-4-((S)-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2-(니트로옥시)에틸)피롤리딘-2-카복실레이트(화합물39.3)
화합물39.2(73mg, 0.36mmo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69mg, 0.36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4mg, 0.36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3mL)에 용해시키고, 화합물15.2(51mg, 0.12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15mL)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Х5)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39.3(47mg, 수율: 64%, 담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614.2(M+1).
단계 D: (S)-4-((S)-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1-(2- (니트로옥시))에틸)피롤리딘-2-카복실레이트(화합물39)
화합물39.3(47mg, 0.076mmol)을 5mL 염화수소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4M)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 건조하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39(19mg, 수율: 52%, 백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514.2(M+1).
실시예 40
Figure pct00091
(S)-4-(3-(디메틸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메틸-3- (니트로옥시)-2-((니트로옥시)메틸)프로피오네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92
단계 A: (S)-4-(3-(1,3-디옥소이소인돌-2-일)-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 프로판-2-일)벤질-2-3-(니트로옥시)-2-((니트로옥시)메틸)메틸프로피오네이트(화합물40.1)
2-메틸-3-(니트로옥시)-2-((니트로옥시)메틸)프로피온산(146mg, 0.32mmol),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3-산화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82mg, 0.48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23.8mg, 0.96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mL)에 용해시키고, 화합물15.2(107.5mg, 0.32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30mL)로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30mLХ2)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30mLХ5)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40.1(157mg, 수율: 74%, 담황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 664.1(M+1).
단계 B: (S)-4-(3-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메틸-3- (니트로옥시)-2-((니트로옥시)메틸)프로피오네이트(화합물40.2)
화합물40.1(157mg, 0.237mmol)을 5mL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히드라진 수화물(118mg, 2.37mmol)을 첨가하며, 5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20mL)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40.2(75mg, 수율: 59%,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534.1(M+1).
단계 C: (S)-4-(3-(디메틸아미노)-1-옥소-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2- 메틸-3-(니트로옥시)-2-((니트로옥시)메틸)프로피오네이트(화합물40)
질소 기체 보호하에, 화합물40.2(75mg, 0.14mmol), 포름알데히드(57mg, 37-40%의 수용액, 0.7mmol) 및 1방울의 아세트산을 5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26.4mg, 0.42mmo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10mL)으로 ?칭하며, 물(10mL)을 추가하여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조생성물을 얻고, 계속하여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40(48mg, 수율: 57%,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562.2(M+1). 1H NMR (400 MHz, DMSO) δ 13.47 (s, 1H), 9.27 (s, 1H), 8.44 (s, 1H), 7.92 (s, 1H), 7.54 (d, J = 7.6 Hz, 2H), 7.40 (d, J = 7.6 Hz, 2H), 7.27 (s, 1H), 5.17 (s, 2H), 4.86 - 4.69 (m, 5H), 4.07 - 3.96 (m, 1H), 3.49 - 3.41 (m, 1H), 2.79 (s, 6H), 1.29 (s, 3H).
실시예 41
Figure pct00093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니트로옥시)메틸) 비시클로[1.1.1]펜탄-1-카복실레이트
구체적인 반응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94
단계 A: 3-(히드록시메틸)비시클로[1.1.1]펜탄-1-메틸 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41.1)
질소 기체 보호하에, 3-(메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시산(493mg, 2.9mmol)을 15mL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아이스배스에서 보란의 디메틸설파이드 용액(0.44mL, 10M, 4.35mmol)을 적가하며,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5mL 메탄올 및 4mL 염산(2M)으로 반응을 ?칭하였다. 감압을 통해 유기 용매를 회전 제거한 후, 물(20mL)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41.1(402mg, 수율: 89%,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B: 3-(히드록시메틸)비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시산(화합물41.2)
화합물41.1(400mg, 2.5mmol)을 10mL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0mL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200mg, 5mmol)의 수용액(5mL)을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감압을 통해 유기 용매를 회전 제거한 후, 물(15mL)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Х2)로 세척하였다. 수층은 염산으로 pH<4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41.2(287mg, 수율: 81%, 백색 고체)를 얻었다.
단계 C: 3-((니트로옥시)메틸)비시클로[1.1.1]펜탄-1-카르복시산(화합물41.3)
아이스배스에서, 5mL 진한 질산을 5mL 진한 황산에 적가하고, 10분 교반하였다. 이어서 아이스배스에서 화합물41.2(285mg, 2mmol)의 디클로로메탄(5mL) 용액을 첨가하고, 온도를 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20mL 아이스 워터에 쏟아 넣어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거쳐 생성물 41.3(303mg, 수율: 81%, 백색 고체)을 얻었다.
단계 D: (S)-4-(3-((터트-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니트로옥시)메틸)비시클로[1.1.1]펜탄-1-카복실레이트(화합물41.4)
화합물41.3(33.7mg, 0.18mmol),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46mg, 0.24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9.3mg, 0.24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mL)에 용해시키고, 화합물15.2(51mg, 0.12mmol)를 첨가하며, 실온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물(15mL)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15mLХ2)로 추출하며,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식염수(20mLХ3)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회전 건조를 진행하고, 잔여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생성물 41.4(54.9mg, 수율: 77%, 담황색 고체)를 얻었다. LCMS ESI(+)m/z: 597.2(M+1).
단계 E: (S)-4-(3-아미노-1-옥시-1-(티에노[2,3-c]피리딘-2-일 아미노)프로판-2-일)벤질-3- ((니트로옥시)메틸)비시클로[1.1 .1]펜탄-1-카복실레이트(화합물41)
화합물41.4(54mg, 0.09mmol)를 3mL 에틸아세테이트 및 3mL 염화수소의 에틸아세테이트 용액(4M)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를 통해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모니터링하고, 반응액을 농축 건조하며, 역상 정제를 거쳐 생성물 실시예 41(40mg, 수율: 83%, 백색 고체)을 얻었다. LCMS ESI(+)m/z:497.2(M+1).1H NMR (400 MHz, DMSO) δ 13.56 (s, 1H), 9.47 (s, 1H), 8.52 (d, J = 6.4 Hz, 1H), 8.21 (s, 3H), 8.15 (d, J = 6.4 Hz, 1H), 7.50 (d, J = 7.6 Hz, 2H), 7.43 - 7.31 (m, 3H), 5.08 (s, 2H), 4.58 (s, 2H), 4.53 - 4.40 (m, 1H), 3.70 - 3.56 (m, 1H), 3.22 - 3.08 (m, 1H), 2.02 (s, 6H).
실시예 42
ROCK2 키나아제 억제제 활성 테스트
<1> 실험 과정
1) 실험 요구에 따라 4X ROCK2 반응 용액, 4X ATP 반응 용액, 4X 기질 용액, 4X 화합물 용액을 준비하였다.
2) 384 웰 플레이트에 순차적으로 2.5μL의 4X 키나아제 용액, 및 2.5μL의 이미 희석된 상이한 농도 기울기의 4X 테스트 화합물 용액을 첨가하고, 각 농도에 대해 2개의 중복 웰을 설치하며, 동시에 효소 용액 블랭크 대조군 및 음성 대조군(DMSO 군)은 1000 rpm으로 1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효소와 화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384 웰 플레이트에 2.5μL의 4X 기질 용액을 첨가하고 1000 rpm으로 1분 동안 원심 분리하며, 384 웰 플레이트에 2.5μL의 4X ATP 용액을 첨가하고 1000 rpm으로 1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효소 반응을 개시하고 실온에서 1.5시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ROCK2 반응의 각 성분의 최종 농도는 각각 ROCK2: 1nM, 기질: 500nM, ATP: 6uM이고, 테스트 화합물 최종 농도 범위는 100nM~5pM이다.
3) 실험 요구에 따라 4X Streptavidin-XL-665 검출 용액을 조제하였다.
4) 효소 반응이 완료된 후, 384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ul의 4X Streptavidin-XL-665 검출 용액을 첨가하고 1000 rpm으로 1분 동안 원심 분리하며, 384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μL의 4X STK Antibody-cryptate 항체 검출 용액을 첨가하고 1000 rpm으로 1분 동안 원심 분리하며, 실온 조건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5) 항체 인큐베이션이 완료된 후, Envision 리더에서 HTRF 프로그램으로 각 웰의 신호값을 측정하였다.
<2> 데이터 분석
1) 효소 용액 블랭크 대조군은 100% 억제율 및 음성 대조군(DMSO군)은 0% 억제율로 하여, 화합물 각 농도에 대응되는 억제율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2)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테스트 화합물의 농도 로그값 및 대응되는 억제율 백분율에 대해 비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테스트 화합물의 반수 저해 농도(IC50)를 얻었다.
이 방법으로 검출한 화합물 ROCK2 키나아제 억제제 활성(IC50)은 아래 표와 같다.
Figure pct00095
실시예 43 세포 활성 테스트
<1> 실험 과정
1) 대수 성장기의 A7R5 세포를 소화시키고, 6 웰 플레이트에 웰당 2E5개 세포를 접종하며, 5%CO2, 37℃에서 밤새 배양하고 24시간 후 세포 배지를 0.05% FBS 함유 기아 배지로 교체하고 세포를 20시간 굶겼다.
2) 기아 배지를 제거하고, 준비된 화합물 농도 기울기로 세포를 60분 동안 처리하며, VIP-5021(10uM)을 양성 대조군으로, DMSO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3) 화합물 처리가 완료된 후, 화합물 용액을 흡입해가고, PBS로 2번 세척하며, 웰당 100ul 세포 용해액을 첨가하고, 세포 스크래퍼로 부드럽게 긁어낸 후 세포를 원심 분리관에 옮기고 얼음 위에서 60분 용해시켰다.
4) 용해가 완료된 후, 4℃에서 14000 rpm로 15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용해액 상층액을 수집하고, BCA 방법으로 단백질 정량화를 수행하여 단백질 농도를 조절하며, 비율에 따라 로딩 버퍼액을 첨가하고 100℃에서 10분동안 처리하여 단백질을 변성시켰다.
5) 전기 영동 장치를 조립하고, 각 시료에 20ug 총단백질을 로딩하며, 고정 전압 125V를 인가하고 90분 동안 전기 영동을 수행하며, 전기 영동이 완료된 후, 트렌스퍼 시스템을 조립하고 고정 전류 300mA를 인가하고 120분 동안 트렌스퍼하고, 트렌스퍼가 완료되면 PVDF 막을 꺼내고 PBS로 2번 세척하며, 차단 용액을 추가하고 실온에서 60분 동안 차단 후 차단 용액을 제거하고, 1차 항체(Phospho-Myosin Light Chain2 (Ser19))가 포함된 용액을 첨가하며(항체 희석 비율 1:1000), GAPDH를 내부 표준으로 하여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 하였다.
6) PBST로 3번 세척하고, 대응되는 종속을 함유하는 HRP 항체를 첨가하며(2차 항체 희석 비율 1:2000), 실온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 하고, PBS로 3번 세척하며, HRP 화학 발광 기질을 준비하고 1 제곱센티미터 당 0.1mL를 PVDF 막에 적가하며 30초 동안 작용하게 하고, 겔 이미지장치(ChemiDoc XRS+ (BIO-RAD))에 의해 화학 발광 신호를 수집하였다.
7) image J 소프트웨어로 각 밴드에 대해 정량 분석을 수행하고, GAPDH 발현량을 내부 표준으로 하여, 각 시료 중 Phospho-Myosin Light Chain2(Ser19)의 인산화 단백질 수준을 보정하였다.
<2> 데이터 분석
1) 최고 농도 화합물 시료의 MLC2(Ser19) 단백질 인산화 수준을 100% 억제율로 하고, 음성 대조군(DMSO 군)의 MLC2(Ser19) 단백질 인산화 수준을 0% 억제율로 하여, 테스트 화합물 각 농도에 대응되는 억제율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2)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테스트 화합물의 농도 로그값 및 대응되는 억제율 백분율에 대해 비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테스트 화합물의 세포 수준의 반수 저해 농도(IC50)를 얻었다.
이 방법으로 검출한 화합물 세포 활성(IC50)은 아래 표와 같다.
Figure pct00096

Claims (10)

  1.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라세미체, 중수소화 동위원소 유도체, 수화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고;
    Figure pct00097
    식 I;
    상기 식에서 고리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 방향족 고리이고;
    X는 (CH2)n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n은 0, 1, 2, 3에서 선택되며;
    R은 말단-O-NO2의 치환기이고;
    R1은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아미노,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키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에서 선택되며;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미노 보호기에서 선택되고;
    또는, R2 및 R3이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라세미체, 중수소화 동위원소 유도체, 수화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고;
    Figure pct00098

    L은 일종의 연결 그룹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렌에서 선택되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에스테르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A는 식 A, 또는 식 B에서 선택되고;
    Figure pct00099

    R'은 헤테로 방향족 고리의 한 개 또는 여러 개 치환의 치환기이며;
    상기 치환기는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아미노,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에서 선택되고;
    A1, A2, A3, A4, A5, A6, A7, A8, A9 중 적어도 하나는 질소, 황, 산소에서 선택되고;
    B1, B2, B3, B4, B5, B6, B7, B8, B9 중 적어도 하나는 질소, 황, 산소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A는 식 Ia, 또는 식 Ib, 또는 식 Ic에서 선택되고;
    Figure pct00100

    R21은 수소, 히드록시, 할로겐, 아미노,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에서 선택되며;
    R2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라세미체, 중수소화 동위원소 유도체, 수화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고;
    Figure pct00101

    여기서, L1은 화학 결합,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이고;
    L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에서 선택되며;
    L3은 화학 결합,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옥시알킬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라세미체, 중수소화 동위원소 유도체, 수화물, 용매화물, 대사 산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프로드러그이고:
    Figure pct00102

    n1은 0, 또는 자연수이고;
    n2는 0, 또는 자연수이며;
    Y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
  7. 제1항에 따른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히드록시가 니트로화 반응을 거쳐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103
  8. 제1항에 따른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기 구조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할로겐이 니트로화 반응을 거쳐 얻어지고;
    Figure pct00104

    Y는 할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9. 제3항에 따른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기 식 IIIa 및 식 III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커플링 반응을 진행하여 얻어지고;
    Figure pct00105

    Z는 할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의 제조 방법.
  10. ROCK 키나아제의 억제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NO 공여체의 저분자 화합물.
KR1020217027931A 2020-02-21 2020-11-18 Rock 키나아제 억제제의 니트로옥시 유도체 KR20210134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107800.9 2020-02-21
CN202010107800.9A CN111217834B (zh) 2020-02-21 2020-02-21 Rock激酶抑制剂的硝基氧衍生物
PCT/CN2020/129840 WO2021164351A1 (zh) 2020-02-21 2020-11-18 Rock激酶抑制剂的硝基氧衍生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327A true KR20210134327A (ko) 2021-11-09

Family

ID=7080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931A KR20210134327A (ko) 2020-02-21 2020-11-18 Rock 키나아제 억제제의 니트로옥시 유도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332726A1 (ko)
EP (1) EP3901156A4 (ko)
JP (1) JP7364258B2 (ko)
KR (1) KR20210134327A (ko)
CN (1) CN111217834B (ko)
AU (1) AU2020403705B2 (ko)
CA (1) CA3132077A1 (ko)
IL (1) IL285709A (ko)
SG (1) SG11202109516WA (ko)
WO (1) WO2021164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9675B (zh) * 2019-12-12 2023-12-19 维眸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小分子含硫杂环化合物
CN111217834B (zh) * 2020-02-21 2021-10-26 维眸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Rock激酶抑制剂的硝基氧衍生物
CN111606852B (zh) * 2020-05-12 2022-02-11 中国药科大学 一种一氧化氮供体型Netarsudil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4184693B (zh) * 2021-10-14 2023-10-13 重庆医科大学 4-羟苯乙酸作为标志物在制备脓毒症脑病的诊断试剂盒中的应用
WO2023143476A1 (en) * 2022-01-27 2023-08-03 Vivavision Biotech, Inc. Deuterated rock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306819A (en) * 2002-01-25 2003-12-01 Vertex Pharma Indazole compounds useful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ES2632808T3 (es) * 2014-09-04 2017-09-15 Nicox Science Ireland Compuestos de carnosina donadores de óxido nítrico
TWI705827B (zh) * 2014-11-07 2020-10-01 瑞士商諾華公司 治療眼部疾病之方法
WO2018138293A1 (en) * 2017-01-30 2018-08-02 Chiesi Farmaceutici S.P.A. Tyrosine amide derivatives as rho- kinase inhibitors
CN111479568A (zh) * 2017-12-21 2020-07-31 参天制药株式会社 司培前列素与Rho激酶抑制剂的组合药物
CA3093963A1 (en) * 2018-03-14 2019-09-19 Aerie Pharmaceuticals, Inc. Amino-benzoisothiazole and amino-benzoisothiadiazole amide compounds
CA3108551A1 (en) * 2018-08-06 2020-02-13 Nicox S.A. Nitric oxide releasing phosphodiesterase type 5 inhibitor
CN111217834B (zh) * 2020-02-21 2021-10-26 维眸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Rock激酶抑制剂的硝基氧衍生物
CN111606852B (zh) * 2020-05-12 2022-02-11 中国药科大学 一种一氧化氮供体型Netarsudil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2077A1 (en) 2021-08-26
JP7364258B2 (ja) 2023-10-18
CN111217834B (zh) 2021-10-26
SG11202109516WA (en) 2021-09-29
IL285709A (en) 2021-10-31
EP3901156A1 (en) 2021-10-27
WO2021164351A1 (zh) 2021-08-26
AU2020403705A1 (en) 2021-09-09
AU2020403705B2 (en) 2023-01-12
US20220332726A1 (en) 2022-10-20
JP2022530590A (ja) 2022-06-30
EP3901156A4 (en) 2022-03-30
CN111217834A (zh)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17834B (zh) Rock激酶抑制剂的硝基氧衍生物
TWI670266B (zh) 二氫嘧啶類化合物及其製備方法和用途
CA2718528C (en) Substituted 4-hydroxypyrimidine-5-carboxamides
EP2158198B1 (en) N-(5-heteroarylchromane-3-yl) carbox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pain
EP0541168B1 (en) HIV protease inhibitor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ids
CA2770475C (en) Novel pyrrolidine derived beta 3 adrenergic receptor agonists
AU2010272548B2 (en) Spiro amino compounds suitable for the treatment of inter alia sleep disorders and drug addiction
CA2555800C (en) Piperidinylcarbonyl-pyrrolidines and their use as melanocortin agonists
CN113286794A (zh) Kras突变蛋白抑制剂
TW201427952A (zh) 新穎吡啶衍生物
WO2022166890A1 (zh) 取代的哒嗪苯酚类衍生物
CN113302183A (zh) 环脲
EA030116B1 (ru) Пиридин-2-амиды, пригодные в качестве агонистов cb2
CN113330009A (zh) 氮杂环化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UA45317C2 (uk)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інгібіторів віл-протеази, проміжні сполуки та спосіб їх отримання
EP4245372A2 (en) Hbv inhibitor and use thereof
CA2433174A1 (en) Cholesterol biosynthesis inhibitor containing tricyclic compound having spiro union as effective component
WO2021115495A1 (zh) 一种小分子含硫杂环化合物
WO2021117759A1 (ja) 含窒素芳香族複素環式基を有する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阻害剤
CN114746089A (zh) 噻唑甲酰胺化合物及其用于治疗分枝杆菌感染的用途
WO2019144811A1 (zh) 四氢异喹啉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5594622A (zh) 一种吡咯磺酰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TW202409046A (zh) 氧雜氮雜環庚三烯衍生物
WO2023202642A1 (zh) Rho相关蛋白激酶抑制剂及其制备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