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240A - 셔터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구조 - Google Patents

셔터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240A
KR20210125240A KR1020200042682A KR20200042682A KR20210125240A KR 20210125240 A KR20210125240 A KR 20210125240A KR 1020200042682 A KR1020200042682 A KR 1020200042682A KR 20200042682 A KR20200042682 A KR 20200042682A KR 20210125240 A KR20210125240 A KR 2021012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transfer
storage unit
transfer belt
shutter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근
김원국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4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5240A/ko
Priority to US17/915,221 priority patent/US11809099B2/en
Priority to PCT/US2021/023836 priority patent/WO2021206907A1/en
Publication of KR2021012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0136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transfer member separable from recording member or vice versa, mode swi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7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of the clean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9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 G03G2215/0193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transfer member separable from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47Cleaning of transfer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47Cleaning of transfer member
    • G03G2215/1661Cleaning of transfer member of transfe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과, 상기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와,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와, 상기 이물질을 수용하는 저장부를 갖는 저장 부재와, 상기 저장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저장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셔터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구조{cleaning structure for intermediate transfer belt with storage space equipped with shutter}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로 전사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칼라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복수의 감광체에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화상들이 형성된다. 복수의 감광체는 중간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와 대향된다. 중간 전사 벨트는 복수의 지지 롤러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토너 화상들을 복수의 감광체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를 거쳐서 인쇄 매체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에는 토너,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이물질은 중간 전사 롤러와 복수의 지지 롤러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중간 전사 벨트는 구동 롤러와 백업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 벨트의 주행 상태는 칼라 화상의 품질과 중간 전사 벨트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로서, 도 3은 셔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4는 셔터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와 도 6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로서, 도 5는 셔터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6은 셔터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캠 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셔터와 제1이동 부재와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인쇄 모드 전환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0은 대기 모드, 도 11은 블랙 모드, 도 12는 칼라 모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인쇄 모드를 검출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3은 대기 모드, 도 14는 흑백 모드, 도 15는 칼라 모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6과 도 17은 인쇄 모드 전환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6은 흑백 모드, 도 17은 칼라 모드를 각각 보여준다.
전자사진 방식 화상형성과정에서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이물질은 중간 전사 벨트를 주행시키는 지지 롤러들, 중간 전사 롤러들, 및 전사 롤러의 외주에 부착될 수 있다. 이물질은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 및 지지 롤러들, 중간 전사 롤러들, 및 전사 롤러의 외주에 고착될 수도 있다.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 지지 롤러들, 중간 전사 롤러들, 및 전사 롤러에 부착거나 고착된 이물질은 전사 불량과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며, 제거된 이물질은 저장 공간에 저장된다. 셔터는 저장 공간을 개폐한다. 셔터는,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저장 공간을 개방할 수 있으며, 저장 공간에 수용된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저장 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칼라 화상을 인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현상기(10), 노광기(50), 전사기(2), 정착기(80)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현상기(10)는 옐로우(Y: Yellow), 마젠타(M:magenta), 시안(C:cyan),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기(10Y)(10M)(10C)(10K)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기(10Y)(10M)(10C)(10K)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현상제는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는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Y)(20M)(20C)(20K)에 각각 수용될 수 있으며, 현상제 공급유닛(30)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Y)(10M)(10C)(10K)로 공급될 수도 있다. 현상제 공급유닛(30)은 공급 관로(40)에 의하여 현상기(10)와 연결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제 공급유닛(30)이 생략되고, 공급 관로(40)가 현상제 카트리지(20)와 현상기(10)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카트리지(20) 및 현상기(1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현상기(10Y)(10M)(10C)(10K)와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Y)(20M)(20C)(20K)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Y, M, C,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를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현상기(10)는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14)과,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 드럼(14)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15)는 감광 드럼(14)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5)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대전롤러(15)에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클리너, 감광 드럼(14)과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17)는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 드럼(14)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클리닝 부재(17)는 예를 들어 감광 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리닝 부재(17)는 회전되면서 감광 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브러쉬일 수도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 또는 토너와 캐리어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현상롤러(13)는 감광 드럼(14)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현상롤러(13)의 외주면과 감광 드럼(14)의 외주면과의 간격은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일 수 있다. 현상롤러(13)는 자기롤러일 수 있다. 또한, 현상롤러(13)는 회전되는 현상 슬리브 내에 마그넷이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기(10) 내에서 토너가 캐리어와 혼합되며,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 드럼(14)과 현상롤러(13)가 서로 대향된 현상 영역으로 운반된다. 규제부재(미도시)는 현상영역으로 운반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한다. 현상롤러(13)와 감광 드럼(14)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 드럼(14)로 공급되어 감광 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노광기(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14)에 조사하여 감광 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50)의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있다.
전사기(2)는 감광 드럼(14)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전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전사방식 전사기가 채용된다. 일 예로서, 전사기(2)는 중간 전사 벨트(60), 중간 전사 롤러(61)와, 전사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60)는 복수의 현상기(10Y)(10M)(10C)(10K)의 감광 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중간 전사 벨트(60)는 복수의 지지 롤러들(62, 63, 64, 65)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 벨트(6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기(10Y)(10M)(10C)(10K)의 감광 드럼(14)과 대면되는 위치에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가 배치된다. 중간 전사 롤러(61)는 중간 전사 벨트(60)를 감광 드럼(14)에 가압하여 중간전사닙을 형성한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에는 감광 드럼(14)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6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70)는 중간 전사 벨트(6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70)는 예를 들어 지지 롤러(62)와 대향되게 위치되며, 중간 전사 벨트(60)에 가압되어 전사닙을 형성한다. 전사롤러(70)에는 중간 전사 벨트(60)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정착기(80)는 인쇄 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8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5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복수의 광을 복수의 현상기(10Y)(10M)(10C)(10K)의 감광 드럼(14)에 주사하여 감광 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20Y)(20M)(20C)(20K)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Y)(10M)(10C)(10K)로 공급된 Y, M, C, K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Y)(10M)(10C)(10K)의 감광 드럼(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 전사 벨트(60)로 순차로 중간전사된다. 급지수단(90)에 적재된 인쇄 매체(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70)와 중간 전사 벨트(60)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인쇄 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 매체(P)는 배출롤러(92)에 의하여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60)는 지지 롤러(62)(63)(64)(65)에 의하여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지지 롤러(62)(65)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방향(D)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60)를 지지하고 주행시키는 구동 롤러와 백업 롤러일 수 있다. 백업 롤러(65)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측에 위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60)에 장력을 인가하는 텐션 롤러일 수 있다.
벨트 클리너(67)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외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질은 예를 들어, 토너 화상이 인쇄 매체(P)로 전사된 후에 중간 전사 벨트(60)의 외표면에 잔류되는 토너와, 중간 전사 벨트(60)의 외표면에 뭍은 먼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60)의 외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은 이물질 저장부(66)에 저장되며, 도시되지 않은 운반 수단에 의하여 교체 가능한 이물질 수용 부재(미도시)로 운반되어 저장될 수 있다.
화상형성과정에서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이물질은 화상형성과정에서 비산된 토너, 화상형성장치(1) 내부로 유입된 먼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이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지속적으로 부착되면 단단하게 고착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은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중간 전사 롤러들(61) 및 지지 롤러들(62)(63)(64)(65)의 표면으로 옮아가서 부착될 수 있다. 이물질은 전사 과정에서 전기 저항체로 작용된다.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과 중간 전사 롤러들(61) 및 지지 롤러들(62)(63)(64)(65)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이물질층이 전기 저항체로 작용하여, 감광 드럼(14)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60)로의 전사 성능 및 중간 전사 벨트(60)로부터 인쇄 매체(P)로의 전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꺼운 이물질층에 있는 부분에서는 토너 화상의 전사가 불충분하여 화상이 부분적으로 누착되거나 화상 농도가 부분적으로 흐려지는 전사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이물질층으로 인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이 손상되어 중간 전사 벨트(60)가 변형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60)의 변형은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방향(D)으로 띠(streak) 모양의 화상 농도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60)의 탄성 계수를 높여 이물질에 의한 중간 전사 벨트(60)의 변형을 줄이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계수가 높은 중간 전사 벨트(60)는 브리틀(brittle)한 경향을 띠게 되어 중간 전사 벨트(60)에 크랙(crack)이 발생하기 쉽고, 중간 전사 벨트(60)의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지지 롤러들(62)(63)(64)(65)로서 탄성 고무 롤러를 채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고무 롤러는 금속 롤러에 비하여 가격이 높으며,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안정성에는 불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다. 제거된 이물질은 저장 공간에 저장된다. 저장 공간은 개폐된다.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저장 공간은 개방될 수 있으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이물질이 화상형성장치(1) 내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저장 공간은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거된 이물질이 저장 공간에 수용된 후에 저장 공간이 폐쇄되므로, 중간 전사 벨트(60)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한 중간 전사 벨트(60)의 오염 및 화상형성장치(1)의 내부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구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는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로서, 도 3은 셔터(130)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4는 셔터(13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의 일 실시예는,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14),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60),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110), 이물질을 수용하는 저장부(121)를 갖는 저장 부재(120), 및 저장부(12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저장부(12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들(61) 및 지지 롤러들(62)(63)(64)(65)는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롤러(65)는 중간 전사 벨트(60)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 롤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지지 롤러(65)는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에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방향(D)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프링(103)은 지지 롤러(65)에 지지 롤러(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스프링(103)의 탄성력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에 텐션이 인가된다. 중간 전사 벨트(60)는 중간 전사 롤러들(61)이 접촉되는 전사영역과, 전사영역의 반대쪽인 비전사영역을 구비한다.
클리닝 부재(11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측에 위치되며,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접촉된다. 클리닝 부재(110)는 비전사영역에서 중간 전사 벨트(60)에 접촉된다. 클리닝 부재(110)는 예를 들어, 축방향, 즉 중간 전사 벨트(60)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브러쉬일 수 있다. 중간 전사 벨트(60)가 주행됨에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클리닝 부재(110)에 긁혀서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접촉되는 브러쉬 형태의 클리닝 부재(110)는, 회전되는 브러쉬 롤러와 비교하여, 회전되지 않으므로 구동 구조가 불필요하고 중간 전사 벨트(60)의 진동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점, 제거된 이물질을 수용하기가 용이하여 제거된 이물질에 의한 중간 전사 벨트(60)의 재오염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저장 부재(120)는 클리닝 부재(11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측에, 클리닝 부재(110)의 하부에 위치된다. 저장 부재(12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에 지지될 수 있다. 저장 부재(120)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저장부(제1저장부)(12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21)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방향(D)을 기준으로 하여 클리닝 부재(110)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주행방향(D)은 중간 전사 벨트(60)의 비전사부의 주행방향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클리닝 부재(110)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와의 부착력이 약화되어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이물질은 낙하하여 저장부(121)에 수용된다.
셔터(130)는 저장부(121)를 개폐한다. 일 실시예로서, 셔터(13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측에 중간 전사 벨트(60)의 비전사영역과 저장 부재(120) 사이에 위치된다. 셔터(130)는 저장부(12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저장부(12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셔터(130)는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에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셔터(130)는 저장 부재(120)에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셔터(130)에는 개구부(제1개구부)(131)가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130)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면 개구부(131)가 저장부(121)와 정렬되어 저장부(121)가 개방되며,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저장부(121)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13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면 개구부(131)가 저장부(121)가 서로 어긋나서 저장부(121)가 폐쇄되며, 저장부(121)에 수용된 이물질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유연한 씰링 부재(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씰링 부재(14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방향(D)을 기준으로 하여 저장부(121)의 하류측에서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접촉된다. 씰링 부재(140)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진 유연한 고분자 필름, 스펀지, 펠트,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씰링 부재(14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행방향(D)으로 기준으로 하여 저장부(121)의 상류측에 클리닝 부재(110), 하류측에 씰링 부재(140)가 위치되므로,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화상형성장치(1) 내부로 비산되지 않고 저장부(121)로 수용될 수 있다.
클리닝 부재(110)와 씰링 부재(140)는 셔터(13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리닝 부재(110)와 씰링 부재(140)는 각각 개구부(131)의 상류측 가장자리와 하류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화상형성장치(1) 내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로서, 도 5는 셔터(130)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6은 셔터(13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저장 부재(12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방향(D)을 기준으로 하여 클리닝 부재(110)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1저장부(121)와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2저장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클리닝 부재(110)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중에서 클리닝 부재(110)의 상류측으로 밀려난 이물질은 제2저장부(122)에 수용되며, 클리닝 부재(110)의 하류측으로 운반된 이물질은 제1저장부(121)에 수용될 수 있다.
셔터(130)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셔터(130)에는 제1개구부(131)와 제2개구부(132)가 마련된다. 제1개구부(131)와 제2개구부(132)는 각각 클리닝 부재(110)의 하류측과 상류측에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130)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면 제1개구부(131) 및 제2개구부(132)가 각각 제1저장부(121) 및 제2저장부(122)와 정렬되어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가 개방되며,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13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되면 제1개구부(131) 및 제2개구부(132)와 제1저장부(121) 및 제2저장부(122)가 서로 어긋나서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가 폐쇄되며,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에 수용된 이물질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씰링 부재(140)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방향(D)을 기준으로 하여 제1저장부(121)의 하류측에서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예를 들어, 씰링 부재(140)는 제1개구부(131)의 하류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셔터(130)는 인쇄 모드에 따라서 셔터(1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모드는 인쇄를 수행하지 않는 대기 모드와, 칼라 인쇄를 수행하는 칼라 모드와, 흑백 인쇄를 수행하는 흑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130)는 도시되지 않은 액츄에이터, 예를 들어 모터, 솔레노이드 등에 의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액추에이터는, 칼라 모드와 흑백 모드일 때에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제1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에 수용될 수 있도록 셔터(130)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대기 모드일 때에 제1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에 수용된 이물질이 비산되지 않도록 셔터(130)를 폐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액추에이터는, 칼라 모드일 때에 셔터(130)를 개방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흑백 모드일 때와 대기 모드일 때에 셔터(130)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는 흑백 인쇄를 위한 제1중간 전사 롤러(61K)와, 칼라 인쇄를 위한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중간 전사 롤러(61K)는 감광 드럼(14K)와 대향된다.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는 각각 감광 드럼(14Y)(14M)(14C)와 대향된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는 중간 전사 벨트(60)를 가압하여 대응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14)에 접촉시켜 중간 전사 닙을 형성하는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의 변형, 마찰에 의한 복수의 감광 드럼(14)의 표면과 중간 전사 벨트(60)의 표면의 손상, 정전기에 의한 복수의 감광 드럼(14)의 감광층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 모드에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60)를 복수의 감광 드럼(1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중 적어도 하나는 인쇄 모드에 따라서 중간 전사 닙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라 모드에서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모두가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흑백 모드에서는 제1중간 전사 롤러(61K)는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되고,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는 해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는 인쇄에 사용되지 않는 감광 드럼(14Y)(14M)(14C)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60)와 감광 드럼(14Y)(14M)(14C)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의 변형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모두가 해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과 복수의 감광 드럼(14)의 손상 위험 및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의 변형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셔터(130)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과 연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는 중간 전사 벨트(6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감광 드럼(14)과 마주보게 위치되며, 중간 전사 벨트(60)를 가압하여 대응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14)에 접촉시켜 중간 전사 닙을 형성하는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중 적어도 하나는 중간 전사 닙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셔터(130)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 모드에 따라서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 중 적어도 하나를, 중간 전사 벨트(60)를 가압하여 대응되는 감광 드럼(14)에 접촉시켜 중간 전사 닙을 형성하는 중간 전사 위치와 중간 전사 닙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는 인쇄 모드 전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셔터(130)는 인쇄 모드 전환부에 의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셔터(1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7은 중간 전사 벨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캠 부재(23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셔터(130)와 제1이동 부재(210)와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인쇄 모드 전환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0은 대기 모드, 도 11은 블랙 모드, 도 12는 칼라 모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제2이동 부재(2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이동 부재(210)와 분리되어 도시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130)는 제1중간 전사 롤러(61K)의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인쇄 모드 전환부는 캠 부재(230)와, 캠 부재(230)와 연결되어 제1중간 전사 롤러(61K)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 부재(210)와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 부재(220)를 포함하며, 셔터(130)는 제1이동 부재(210)와 연결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복수의 홀더(150)는 힌지축(151)과, 힌지축(151)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1아암(152)과 제2아암(153)을 구비한다. 복수의 홀더(150)는 제1프레임(101)에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의 일단부는 복수의 홀더(150)의 제1아암(152)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복수의 홀더(150)는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를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홀더(150)는 복수의 탄성 부재(160)에 의하여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를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의 타단부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에 의하여 제2프레임(102)에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복수의 홀더(150)의 제2아암(153)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54)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인쇄 모드 전환부는 캠 부재(230)와, 캠 부재(230)와 연결되어 제1중간 전사 롤러(61K)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 부재(210)와,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1)에는 가이드 돌기(191)(192)가 마련된다. 제1이동 부재(210)에는 주행 방향(D)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211)(212)이 마련된다. 제1이동 부재(210)는 가이드 돌기(191)(192)가 가이드 슬롯(211)(212)에 각각 삽입되도록 제1프레임(101)에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제1이동 부재(210)는 제1프레임(101)에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제1이동 부재(210)에는 제1중간 전사 롤러(61K)가 지지되는 홀더(150K)의 제2아암(153)에 마련된 돌출부(154)가 삽입되는 삽입부(213)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이동 부재(210)가 주행 방향(D)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삽입부(213)가 홀더(150K)의 돌출부(154)를 밀거나 당긴다. 그러면, 홀더(150K)가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1중간 전사 롤러(61K)가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1)에는 가이드 돌기(193)(194)(195)가 마련된다. 제2이동 부재(220)에는 주행 방향(D)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221)(222)(223)(224)이 마련된다. 제2이동 부재(220)는 가이드 돌기(192)(193)(194)(195)가 각각 가이드 슬롯(221)(222)(223)(224)에 삽입되도록 제1프레임(101)에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제2이동 부재(220)는 제1프레임(101)에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제2이동 부재(220)에는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가 지지되는 복수의 홀더(150Y)(150M)(150C)의 제2아암(153)에 마련된 돌출부(154)가 삽입되는 삽입부(225)(226)(227)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2이동 부재(220)가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되면, 삽입부(225)(226)(227)가 복수의 홀더(150Y)(150M)(150C)의 돌출부(154)를 밀거나 당긴다. 그러면, 복수의 홀더(150Y)(150M)(150C)가 각각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가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91)(192)(195)에는 제1이동 부재(210)와 제2이동 부재(220)가 축방향으로 가이드 돌기(191)(192)(19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 부재(196)가 체결될 수 있다.
제1이동 부재(210)와 제2이동 부재(220)는 캠 부재(230)에 의하여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 샤프트(240)는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캠 샤프트(240)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된다. 캠 샤프트(240)의 일단부에는 캠 부재(230)가 결합된다. 캠 부재(230)는 제1캠부(231)와 제2캠부(232)를 구비한다. 제1캠부(231)와 제2캠부(232)는 축방향으로 단차지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캠부(232)가 제1캠부(231)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제1캠부(231)는 제1이동 부재(210)에 마련된 제1캠 슬롯(214)에 삽입된다. 제2캠부(232)는 제2이동 부재(220)에 마련된 제2캠 슬롯(228)에 삽입된다.
셔터(130)는 제1이동 부재(210)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셔터(130)에는 제1연결부(133)가 마련된다. 제1이동 부재(210)에는 제1연결부(133)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215)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1연결부(133)는 셔터(130)의 축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돌기 형상이며, 제2연결부(215)는 제1연결부(133)가 삽입되는 홈 형상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61)의 타단부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구조에 의하여 제2프레임(102)에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복수의 홀더(150)의 제2아암(153)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54)가 마련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프레임(102)에도 제1이동 부재(210) 및 제2이동 부재(220)가 마련되며, 캠 샤프트(240)의 타단부에는 캠 부재(230)가 마련된다. 셔터(130)의 타단부와 제1이동 부재(210)는 제1, 제2연결부(133)(21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대기 모드이다. 제1캠부(231)는 제1이동 부재(210)의 제1캠 슬롯(214)에 삽입되어 제1캠 슬롯(214)의 측벽(214a)을 주행 방향(D)의 반대 방향(DR)으로 민다. 제1이동 부재(210)는 반대 방향(DR)으로 이동된다. 삽입부(213)는 홀더(150K)의 돌출부(154)를 반대 방향(DR)으로 밀며, 홀더(150K)는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A1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중간 전사 롤러(61K)는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제2캠부(232)는 제2캠 슬롯(228)의 측벽(228a)을 주행 방향(D)의 반대 방향(DR)으로 민다. 제2이동 부재(220)는 반대 방향(DR)으로 이동된다. 삽입부(225)(226)(227)는 홀더(150Y)(150M)(150C)의 돌출부(154)를 반대 방향(DR)으로 밀며, 홀더(150Y)(150M)(150C)는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A1방향, 즉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는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도 4, 도 6,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제1캠부(231)는 제1캠 슬롯(214)의 측벽(214a)을 주행 방향(D)의 반대 방향(DR)으로 밀어 제1이동 부재(210)를 반대 방향(DR)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셔터(130) 역시 반대 방향(DR)으로 이동되어 폐쇄 위치에 도달된다. 도 4,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1) 또는 제1개구부(131)와 제2개구부(132)가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와 어긋난다. 따라서,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가 셔터(130)에 의하여 폐쇄되며,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흑백 모드이다. 화상형성장치(1)를 대기 모드로부터 흑백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인쇄 모드 전환부는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캠 부재(230)를 제1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제1각도는 제1캠부(231)가 제1캠 슬롯(214)의 측벽(214a)으로부터 이격되는 각도일 수 있다. 제1이동 부재(210)는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캠 부재(230)를 제1각도만큼 회전됨에 따라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홀더(150K)는 A2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중간 전사 롤러(61K)는 중간 전사 위치로 이동된다. 돌출부(154)는 삽입부(213)를 주행 방향(D)으로 민다. 제1이동 부재(210)는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된다. 캠 부재(230)가 제1각도만큼 회전된 때에도, 제2캠부(232)는 제2캠 슬롯(228)의 측벽(228a)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2이동 부재(220)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되며,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는 해제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흑백 인쇄가 가능하다.
도 3, 도 5,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에서 흑백 모드로 전환될 때에 제1이동 부재(210)는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된다. 제2연결부(215)는 제1연결부(133)를 주행 방향(D)으로 민다. 셔터(130)는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되어 개방 위치에 위치된다. 개구부(131) 또는 제1개구부(131)와 제2개구부(132)가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와 정렬된다. 따라서,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가 개방되며, 흑백 인쇄 과정에서 클리닝 부재(110)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칼라 모드이다. 화상형성장치(1)를 흑백 모드로부터 칼라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인쇄 모드 전환부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캠 부재(230)를 제2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제2각도는 제2캠부(232)가 제2캠 슬롯(228)의 주행 방향(D) 쪽의 측벽(도 8: 228b)에 접촉되는 각도이다. 캠 부재(230)가 제2각도만큼 회전되는 동안에 제2캠부(232)는 제2캠 슬롯(228)의 주행 방향(D) 쪽의 측벽(228b)을 주행 방향(D)으로 민다. 제2이동 부재(220)는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된다.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수의 홀더(150Y)(150M)(150C)는 A2방향으로 회전된다.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는 해제 위치로부터 중간 전사 위치로 이동된다. 캠 부재(230)가 제2각도만큼 회전된 때에도, 제1캠부(231)는 제1캠 슬롯(214)의 측벽(214a)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1이동 부재(210)는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되며, 제1중간 전사 롤러(61K)는 중간 전사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칼라 인쇄가 가능하다.
제1이동 부재(210)가 도 11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되므로, 셔터(130)는 개방 위치에 유지되며, 칼라 인쇄 과정에서 클리닝 부재(110)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중간 전사 롤러(61K)의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셔터(1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중간 전사 롤러(61K)를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이동시키는 인쇄 모드 전환부를 이용하여 셔터(1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셔터(1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불필요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재료비를 낮출 수 있다.
인쇄 모드는 다양한 구조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캠 샤프트(240)에 모드 캠(250)이 결합된다. 모드 캠(250)은 센서(260)에 의하여 검출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인쇄 모드를 검출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3은 대기 모드, 도 14는 흑백 모드, 도 15는 칼라 모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모드 캠(250)은 제1모드 판(251), 제2모드 판(252), 제3모드 판(25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모드 판(251), 제2모드 판(252), 제3모드 판(253)은 서로 소정 각도 씩 이격되게 위치된다. 센서(260)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제1모드 판(251), 제2모드 판(252), 제3모드 판(253)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면, 수광부에서 광이 검출되지 않으며, 제1모드 판(251), 제2모드 판(252), 제3모드 판(253) 사이의 공간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면, 수광부에서 광이 검출된다. 센서(260)는 예를 들어, 광이 검출되면 광량에 비례하는 검출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광이 검출된 경우의 센서(260)의 검출 신호를 하이(H), 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의 센서(260)의 검출 신호를 로우(L)라 한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260)에 의하여 제1모드 판(251)이 검출된 후 각도(C1)만큼 회전된 후, 즉 검출 신호가 로우(L)에서 하이(H)로 바뀌고 각도(C1)의 회전 시간이 경과된 후, 모드 캠(250)의 회전을 멈춘다. 이 상태가 대기 모드이다.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드 캠(25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센서(260)에 의하여 검출 신호가 하이(H)에서 로우(L)로 바뀌고 로우(L) 상태로 소정 각도(C3)의 회전 시간 동안 유지된 후에 다시 하이(H)로 바뀐다. 이 상태가 제2모드 판(252)에 검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소정 각도(C1) 회전된 후, 모드 캠(250)의 회전을 멈춘다. 이 상태가 도 14에 도시된 상태이며, 흑백 모드이다.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드 캠(25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센서(260)에 의하여 검출 신호가 하이(H)에서 로우(L)로 바뀌고 로우(L) 상태로 소정 각도(C4)의 회전 시간 동안 유지된 후에 다시 하이(H)로 바뀐다. 이 상태가 제3모드 판(253)에 검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소정 각도(C1) 회전된 후, 모드 캠(250)의 회전을 멈춘다. 이 상태가 도 15에 도시된 상태이며, 칼라 모드이다. 각도 C2, C3, C4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로우(L) 신호의 유지 시간으로부터 제1모드 판(251), 제2모드 판(252), 및 제3모드 판(253)의 검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중속 또는 저속의 화상형성장치(1)의 경우, 중간 전사 벨트(60) 또는 감광 드럼(14)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인쇄 모드는 흑백 모드와 칼라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흑백 모드가 대기 모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중간 전사 롤러(61K)는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는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셔터(130)는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의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은 인쇄 모드 전환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6은 흑백 모드, 도 17은 칼라 모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인쇄 모드 전환부는 캠 부재(330)와, 캠 부재(330)와 연결되어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300)를 포함한다. 셔터(130)는 이동 부재(300)와 연결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전술한 화상형성장치(1)와 비교하여, 제1이동 부재(210)가 생략된 점, 셔터(130)의 제1연결부(133)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215)가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 부재(220)에 마련된 점, 및 캠 부재(230)에서 제1캠부(231)가 생략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제1캠부(231)가 생략된 캠 부재(230)를 캠 부재(330)라 하며, 제2연결부(215)가 마련된 제2이동 부재(220)를 이동 부재(300)라 한다. 제2캠부(232)는 캠부(332), 제2캠 슬롯(228)은 캠 슬롯(328)이라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흑백 모드이다. 캠부(332)는 이동 부재(300)의 캠 슬롯(328)에 삽입되어 캠 슬롯(328)의 측벽(328a)을 주행 방향(D)의 반대 방향(DR)으로 민다. 이동 부재(300)는 반대 방향(DR)으로 이동된다. 삽입부(225)(226)(227)는 홀더(150Y)(150M)(150C)의 돌출부(154)를 반대 방향(DR)으로 밀며, 홀더(150Y)(150M)(150C)는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A1방향, 즉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는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제1중간 전사 롤러(61K)는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흑백 인쇄가 가능하다.
셔터(130)는 제1연결부(133)와 제2연결부(215)에 의하여 이동 부재(300)와 연결된다. 따라서, 흑백 모드에서, 이동 부재(300)가 반대 방향(DR)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셔터(130) 역시 반대 방향(DR)으로 이동되어 폐쇄 위치에 도달된다. 도 4, 도 6,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1) 또는 제1개구부(131)와 제2개구부(132)가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와 어긋난다. 따라서,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가 셔터(130)에 의하여 폐쇄되며,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다.
도 17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칼라 모드이다. 화상형성장치(1)를 흑백 모드로부터 칼라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인쇄 모드 전환부는 도 16에 도시된 상태에서 캠 부재(230)를 소정 각도만큼, 예를 들어 약 180도 회전시킨다. 캠 부재(330)가 약 180도만큼 회전되는 동안에 캠부(332)는 캠 슬롯(328)의 주행 방향(D) 쪽의 측벽(328b)을 주행 방향(D)으로 민다. 이동 부재(300)는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된다.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수의 홀더(150Y)(150M)(150C)는 A2방향으로 회전된다.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는 해제 위치로부터 중간 전사 위치로 이동된다. 제1중간 전사 롤러(16K)는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칼라 인쇄가 가능하다.
이동 부재(300)가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되므로, 셔터(130)도 함께 주행 방향(D)으로 이동되어 개방 위치에 도달된다. 도 3, 도 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31) 또는 제1개구부(131)와 제2개구부(132)가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와 정렬된다. 따라서,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가 개방되어, 칼라 인쇄 과정에서 클리닝 부재(110)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부(121) 또는 제1저장부(121)와 제2저장부(122)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의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셔터(1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중간 전사 롤러(61Y)(61M)(61C)를 중간 전사 위치와 해제 위치로의 이동시키는 인쇄 모드 전환부를 이용하여 셔터(1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셔터(130)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가 불필요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재료비를 낮출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
    상기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상기 이물질을 수용하는 저장부를 갖는 저장 부재;
    상기 저장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저장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감광 드럼과 마주보게 위치되며,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감광 드럼에 접촉시켜 중간 전사 닙을 형성하는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되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간 전사 닙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간 전사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는 흑백 인쇄를 위한 제1중간 전사 롤러와 칼라 인쇄를 위한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제1중간 전사 롤러의 상기 중간 전사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는 흑백 인쇄를 위한 제1중간 전사 롤러와 칼라 인쇄를 위한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중간 전사 롤러는 상기 중간 전사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는 상기 중간 전사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의 상기 중간 전사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클리닝 부재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1저장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클리닝 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저장부의 하류측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에 접촉되는 유연한 씰링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셔터에 탑재되는 화상형성장치.
  9.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
    상기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감광 드럼과 마주보게 위치되는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
    인쇄 모드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간 전사 벨트를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감광 드럼에 접촉시켜 중간 전사 닙을 형성하는 중간 전사 위치와 상기 중간 전사 닙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는 인쇄 모드 전환부;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상기 이물질을 수용하는 저장부를 갖는 저장 부재;
    상기 인쇄 모드 전환부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저장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는 흑백 인쇄를 위한 제1중간 전사 롤러와 칼라 인쇄를 위한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모드 전환부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중간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 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는 제2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제1이동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간 전사 롤러는 흑백 인쇄를 위한 제1중간 전사 롤러와 칼라 인쇄를 위한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모드 전환부는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제2중간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클리닝 부재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1저장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클리닝 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저장부의 하류측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의 내표면에 접촉되는 유연한 씰링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와 상기 씰링 부재는 상기 셔터에 탑재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00042682A 2020-04-08 2020-04-08 셔터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구조 KR20210125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82A KR20210125240A (ko) 2020-04-08 2020-04-08 셔터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구조
US17/915,221 US11809099B2 (en) 2020-04-08 2021-03-24 Cleaning structure for intermediate transfer belt with storage space equipped with shutter
PCT/US2021/023836 WO2021206907A1 (en) 2020-04-08 2021-03-24 Cleaning structure for intermediate transfer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82A KR20210125240A (ko) 2020-04-08 2020-04-08 셔터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240A true KR20210125240A (ko) 2021-10-18

Family

ID=7802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682A KR20210125240A (ko) 2020-04-08 2020-04-08 셔터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09099B2 (ko)
KR (1) KR20210125240A (ko)
WO (1) WO20212069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4402A (en) * 1997-07-18 2000-10-17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having image transfer component cleaning means
JP3503458B2 (ja) 1998-01-30 2004-03-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147564A (ja) 1999-11-18 2001-05-2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1296712A (ja) 2000-04-12 2001-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244448A (ja) * 2001-02-20 2002-08-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740067B2 (ja) * 2006-08-23 2011-08-03 株式会社リコー 粉体案内装置及びその粉体案内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812658B2 (ja) 2007-02-28 2011-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589636B2 (ja) 2010-07-21 2014-09-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2150187A (ja) * 2011-01-18 2012-08-09 Ricoh Co Ltd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63646A (ja) * 2011-02-04 2012-08-30 Fuji Xerox Co Ltd 着脱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42680B2 (ja) * 2012-10-31 2017-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98162B2 (ja) * 2012-12-27 2017-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03410B2 (ja) * 2013-07-31 2016-04-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転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184274B2 (ja) * 2013-09-25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48975B2 (ja) 2015-04-06 2017-12-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11672B2 (ja) * 2016-04-05 2020-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13119A1 (en) 2023-04-13
WO2021206907A1 (en) 2021-10-14
US11809099B2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4900B2 (ja) 離間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4332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ransfer nip adjustment function
KR101608062B1 (ko) 착탈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726441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US20020110386A1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parating mechanism for separating developing member from photosensitive drum
US769787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KR102264525B1 (ko)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 잔량을 검지하는 구조
KR20210125240A (ko) 셔터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구조
US20070086805A1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047018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83164A (ja) 画像形成装置
WO2015126038A1 (en) Cartridge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11133767A (ja) ローラ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20117972A (ko) 롤러를 이용한 셔터의 개폐 구조
JP2005043539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9657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detecting unit incorporated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12603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39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316170A (ja) クリーナ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978029B2 (ja) 画像形成装置
WO2023282930A1 (en) Intermediate transfer belt assembly with shutter structure
JPH01191885A (ja) 画像記録装置のトナー回収装置
JP3837003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30055452A (ko) 현상 유닛의 피벗 축에 위치되는 토너 수용부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JP2021135341A (ja) 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