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377A - 구동 트레인 - Google Patents

구동 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377A
KR20210123377A KR1020217028323A KR20217028323A KR20210123377A KR 20210123377 A KR20210123377 A KR 20210123377A KR 1020217028323 A KR1020217028323 A KR 1020217028323A KR 20217028323 A KR20217028323 A KR 20217028323A KR 20210123377 A KR20210123377 A KR 20210123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element
frictional engagement
friction
friction engagement
fri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헨즈러
마커스 포레스트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21012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29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loading of both hub and shaft by an intermediate ring or sleeve
    • F16D1/0835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loading of both hub and shaft by an intermediate ring or sleev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 F16D7/021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with radially applied torque-limiting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Y2201/236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using force or torqu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4Actuation thereof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52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friction
    • E05Y2201/26Mechanical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62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motion
    • E05Y2201/266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motion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05Y2201/49Wrap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8Back-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05Y2201/632Sleeves
    • E05Y2400/301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6Tail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폐쇄 요소(3)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구동 장치(2)의 구동 트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마찰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마찰 결합 기구(6)가 제공되고, 마찰 결합 기구(6)는 구동 트레인(1)의 2개의 구동 컴포넌트(11, 12)를 고정 회전(conjoint rotation) 방식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구동 트레인(1)의 커플링 기구(7)의 일부이고, 커플링 기구(7)는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를 통해 구동 컴포넌트들 중 모터 측 구동 컴포넌트(11)에, 그리고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를 통해 구동 컴포넌트들 중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구동 컴포넌트(12)에 고정 회전 방식으로 커플링되고, 커플링 기구(7)는 구동 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 마찰 결합 기구(6)를 형성하는 복수의 마찰 결합 요소(8, 9, 10)를 포함하고, 이러한 마찰 결합 요소들 중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는 다른 2개의 마찰 요소들(9, 10)과 각각 마찰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 결합 요소들(8, 9, 10)은 적어도 섹션별로 서로에 대해 동심성으로 배치되고,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는 공차 링(13)이고, 2개의 다른 마찰 결합 요소(9, 10) 사이에 마찰 결합 방식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클램핑된다.

Description

구동 트레인
본 발명은 본원의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폐쇄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구동 장치의 구동 트레인,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이러한 구동 트레인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폐쇄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구동 장치 및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이러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폐쇄 요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언급된 구동 장치의 구동 트레인은 자동차의 폐쇄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절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폐쇄 요소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도어, 특히 슬라이딩 도어, 또는 플랩, 특히 트렁크 플랩, 트렁크 리드(lid), 엔진 보닛(bonnet), 러기지 컴파트먼트(luggage compartment) 바닥 등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폐쇄 요소"라는 용어는 본 경우에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언급된 구동 트레인은 구동 장치의 구동 모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의 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응하여, 구동 트레인은 샤프트, 기어, 클러치, 브레이크 등과 같은 구동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공지된 구동 트레인(DE 10 2017 101 325 A1호)은 자동차의 트렁크 플랩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스핀들 구동 장치의 일부이다. 과부하 클러치로서 설계된 커플링 기구가 구동 트레인에 할당된다. 커플링 기구는 2개의 구동 컴포넌트들 사이에 연결되며, 그 중 하나는 구동 트레인의 중간 기어의 모터 측 기어 샤프트이고, 다른 하나는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의 스핀들이다. 커플링 기구는 마찰 결합 기구를 포함하고, 이는 한편으로는 트렁크 플랩을 중간 위치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마찰 결합 기구의 이탈 토크가 극복된 후 트렁크 플랩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탈 토크"는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2개의 부품 사이에 존재하는 정지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접착 연결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최대 적용 토크이며, 여기서 정지 마찰은 이탈 토크가 달성될 때 슬라이딩 마찰로 전환된다.
공지된 구동 트레인의 구조적 설계는 기본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작동 안정성 및 수동 조절 가능성과 관련하여 높은 수준의 사용자 편의성을 보장한다. 그러나, 커플링 기구는 구동 트레인의 구동 축 방향으로 비교적 많은 구조 공간을 차지한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즉 구동 축을 따라 작용하는 별도의 가압 기구, 마찰 결합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인장하는 코일 압축 스프링이 제공된다. 이는 구동 트레인의 기술적인 길이를 증가시켜 구동 장치의 길이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동 장치의 기술적인 길이가 감소되는 방식으로 공지된 구동 트레인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원의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트레인에서 달성된다.
본질적으로 한편으로는, 구동 트레인의 커플링 기구의 일부인 마찰 결합 기구의 마찰 결합 요소들 사이에 축방향 대신에 반경 방향 마찰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적인 고려사항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찰 토크를 생성하는 수직력은 반경 방향으로, 즉 구동 축에 대해 직각으로 작용하고, 구동 축을 따라 작용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 기구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는 기술적 길이 및 그에 따라 축방향으로 필요한 구조 공간을 이에 상응하게 감소시킨다.
또한, 3개의 마찰 결합 요소들이 반경 방향으로 서로 상호 작용하며, 그 중 중간 마찰 결합 요소는 공차 링인 것이 필수적이다. "공차 링"은 서로에 대해 동심성으로 정렬된 2개의 부품들 사이, 여기서는 2개의 마찰 결합 요소들 사이의 갭에 배치되는 반경 방향, 링 형상 또는 슬리브 형상의 중간 요소이며, 서로에 대해 동심성으로 정렬된 2개의 부품들 사이에 마찰 결합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토크 전달을 허용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공차 링은 원주 방향, 즉 중심 축 주위로 완전히 원통형이 아닌 불균일한 외부 윤곽 및/또는 내부 윤곽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공차 링은 반경 방향으로 정의된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공차 링이 반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포함하기 때문에, 코일 압축 스프링에 비해 반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작은 구조 공간을 또한 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차 링은 최대 5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3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2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mm의 두께를 갖는다. "두께"는 공차 링의 최대 외부 반경과 최소 내부 반경 사이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제 구체적으로는, 마찰 결합 요소들이 적어도 섹션별로 서로에 대해 동심성으로 배치되고, 중간 마찰 결합 요소가 공차 링이고, 2개의 다른 마찰 결합 요소들 사이에 마찰 결합 방식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클램핑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커플링 기구의 일부인 마찰 결합 기구의 마찰 결합 요소들의 배열은, 특히 중간 마찰 결합 요소와 마찰 결합되는 하나의 마찰 결합 요소가 중간 마찰 결합 요소의 반경 방향으로 내부에 배치되고, 반경 방향으로 외부 측에서 중간 마찰 결합 요소와 마찰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에 대응하여 중간 마찰 결합 요소와 마찰 결합되는 다른 마찰 결합 요소가 중간 마찰 결합 요소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에 배치되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 측에서 중간 마찰 결합 요소와 마찰 결합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서로에 대해 마찰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각각의 마찰 결합 요소들 사이에는 반경 방향 마찰 결합, 바람직하게는 오직 반경 방향의 마찰 결합만이 생성된다. 제안에 따라 공차 링에 의해 형성된 클램핑된 중간 마찰 결합 요소는 마찰 결합을 유발하는 반경 방향 클램핑력, 특히 반경 방향 스프링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서로를 향한 마찰 결합 요소들의 가압력을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압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압력은 반경 방향 클램핑 또는 스프링력에 의해 발생된다.
청구항 제2항 및 제3항은 복수의 반경 방향 융기부를 갖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 특히 공차 링의 특별한 구성예를 정의한다. 이들은 반경 방향으로 측면 에지 및 특히 측면 에지를 형성하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의 원주 방향 편평한 에지에 대해 돌출하고, 그리고/또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또한 돌출한다. 반경 방향 융기부 사이의 원주 방향의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구동 축 주위에 원통형으로 연장되는데, 즉 구동 축에 대해 동축인 실린더 축을 갖는 원형 실린더의 실린더 재킷 상에서 연장된다. 반경 방향 융기부는 바람직하게는 스탬핑부인데, 즉 스탬핑에 의해 생성되므로, 대응하는 리세스 또는 비드(bead)가 다른 반경 방향 측면 상에 형성된다. 이 경우, 중간 마찰 결합 요소의 융기부 및 이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가장 멀리 돌출된 지점은 바람직하게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의 하나의 마찰 표면을 형성하는 반면, 다른 반경 방향 측면은 중간 마찰 결합 요소의 다른 마찰 표면을 형성한다. 후자의 마찰 표면은 특히 완전한 원통형, 즉 편평하도록 형성된다.
청구항 제4항 및 제5항은 커플링 기구의 특히 바람직한 적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커플링 기구는 청구항 제4항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과부하 클러치로서 설계된다. 청구항 제5항에 따르면, 마찰 결합된 2개의 마찰 결합 요소들 사이의 이탈 토크는 서로 마찰 결합된 다른 2개의 마찰 결합 요소들의 이탈 토크보다 더 크므로, 한 쌍의 마찰 결합 요소 또는 할당된 마찰 표면 쌍 사이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여전히 정지 마찰이 존재하는데, 즉 고정 회전 방식의 연결이 여전히 존재하는 반면, 반경 방향으로 다른 측면 상에서는 슬라이딩 마찰이 발생하고, 고정 회전 방식의 연결은 상쇄된다. 이러한 과부하의 경우에 일 측면 상에 여전히 존재하는 고정 회전 방식의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조립 시 중간 마찰 결합 요소 또는 공차 링, 특히 융기부가 2개의 마찰 결합 요소 중 하나로 압착되고, 특히 반경 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압착됨으로써 보장된다. 이를 통해, 융기부는 이와 함께 마찰 결합된 마찰 결합 요소의 재료 내로 새겨진다. 특히, 중간 마찰 결합 요소는 마찰 결합 요소들 중 하나, 특히 융기부가 향하는 마찰 결합 요소의 압입 끼워맞춤에 의해 조립된다.
이러한 과부하의 경우는, 예를 들어 트렁크 플랩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마찰 결합 기구가 미끄러질 수 있음으로써, 구동 장치의 손상이 방지된다.
청구항 제6항 내지 제12항은 개별 마찰 결합 요소들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예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제6항은 특히 마찰 결합 요소의 마찰 표면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마찰 표면의 바람직한 재료를 정의한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금속이다. 또한, 청구항 제7항 및 제8항은 중간 마찰 결합 요소 또는 공차 링의 특정 구성예에 관한 것이고, 청구항 제9항 내지 제12항은 다른 2개의 마찰 결합 요소들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예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제13항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구성예에서, 커플링 기구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의해 모터 측 구동 컴포넌트 및/또는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구동 컴포넌트에 커플링된다. 플러그형 커넥터는 특히 클로 클러치(claw clutch)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플링 기구는 사전 조립된 유닛으로서 생성될 수 있고,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각각의 구동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독립적인 의미를 갖는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추가의 교시에 따르면, 제안에 따른 구동 트레인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폐쇄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구동 장치가 청구된다. 구동 장치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다면, 제안된 구동 트레인과 관련된 모든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핀들 구동 장치로서 설계되며, 여기서 제안된 구동 트레인의 커플링 기구 및/또는 마찰 결합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모터와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 사이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의미를 갖는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추가의 교시에 따르면, 자동차의 차체에 조절 가능하게 커플링된 폐쇄 요소 및 폐쇄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안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폐쇄 요소 조립체가 청구된다. 또한, 제안된 구동 트레인 및 제안된 구동 장치에 대한 이전의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각각 제안된 구동 트레인이 있는, 제안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제안된 폐쇄 요소 조립체를 구비한 자동차의 후방 영역을 매우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커플링 기구가 있는, 수축된 상태의 도 1에 따른 구동 장치 중 하나를 종방향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a) 커플링 기구의 제1 실시예의 개별 마찰 결합 요소들의 분해도, b) 커플링 기구의 분해도, c) 대각선 상부에서 본 조립된 상태의 커플링 기구 및 d) 대각선 하부에서 본 조립된 상태의 커플링 기구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커플링 기구를 상이한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5는 a) 커플링 기구의 제2 실시예의 개별 마찰 결합 요소들의 분해도, b) 커플링 기구의 분해도, c) 대각선 상부에서 본 조립된 상태의 커플링 기구 및 d) 대각선 하부에서 본 조립된 상태의 커플링 기구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커플링 기구를 상이한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동 트레인(1)은 폐쇄 요소(3), 여기서는 자동차의 트렁크 플랩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구동 장치(2)에 할당된다. 구동 트레인(1)은 구동 장치(2)의 구동 모터(4)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의 힘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렁크 플랩으로 설계된 폐쇄 요소(3)의 적용이 여기서 중심을 이룬다. 그러나, 제안된 해결 방안은 다른 모든 유형의 폐쇄 요소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의 서두 부분에 있는 예시적인 열거들이 참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트렁크 플랩(3)에는 트렁크 플랩 개구부(5)의 2개의 측면 에지 및 트렁크 플랩(3) 자체에 작용하는 총 2개의 구동 장치(2)가 할당된다. 트렁크 플랩 개구부(5)의 각각의 측면 에지 및 트렁크 플랩(3) 상의 대응하는 볼 헤드와 맞물리는 볼 소켓(2a, 2b)은 여기서 각각 스핀들 구동 장치로서 설계된 구동 장치(2)의 단부에 할당된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구동 장치(2)만이 언급된다. 모든 실시예들은 도 1에서 볼 수 없는, 그 뒤에 위치된 구동 장치와 단일 구동 장치(2)만 구비하는 조립체에도 대응하게 적용된다.
구동 장치(2)의 구동 트레인(1)에는 마찰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마찰 결합 기구(6)가 장착되어 있다. 마찰 결합 기구(6)는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동 트레인(1)의 커플링 기구(7)의 일부이다. 도 3 및 도 4는 커플링 기구(7)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5 및 도 6은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안에 따라 제공되는 커플링 기구(7)는 구동 장치(2)가 자동 잠금식으로, 즉 다시 구동될 수 없도록 설계된 조립체에 가장 적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렁크 플랩(3)의 수동 조절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커플링 기구(7)는 슬립 클러치로서 설계되므로, 마찰력을 극복한 후 트렁크 플랩(3)의 대응하는 수동 조절이 가능해진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트레인(1)은 또한 커플링 기구(7)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어떤 경우에든 커플링 기구(7)와 공통의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는 제동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동 기구는 트렁크 플랩(3)을 중간 위치에 특히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동 트레인(1)의 바람직하게는 영구적인 제동을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동 기구는 디스크 브레이크 방식으로 또는 드럼 브레이크 방식으로 설계된다.
커플링 기구(7)는 구동 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마찰 결합 기구(6)를 형성하는 복수의 마찰 결합 요소(8, 9, 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3개의 마찰 결합 요소(8, 9, 10)가 제공된다. 중간 마찰 결합 요소(8), 즉 2개의 다른 마찰 결합 요소들(9, 10) 사이에 배치된 마찰 결합 요소(8)는 각각 이들과 마찰 결합된다.
커플링 기구(7)는 또한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 및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를 포함한다.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를 통해, 커플링 기구(7)는 모터 측 구동 컴포넌트(11)에 그리고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를 통해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구동 컴포넌트(12)에 고정 회전 방식으로 커플링된다. 여기서 고정 회전 방식의 커플링이라 함은, 원주 방향(U)으로, 즉 구동 축(X) 주위의 방향으로 맞물림 끼워 맞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맞물림 끼워 맞춤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특히 커플링 기구(7)와 각각의 구동 컴포넌트들(11, 12) 간의 축방향 상대 이동을 통해 해제될 수 있다.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모터 측 구동 컴포넌트(11)의 별도의 할당된 클러치 대응물(11a)에, 그리고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가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구동 컴포넌트(12)의 별도의 할당된 클러치 대응물(12a)에 원주 방향(U)으로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커플링된다. 커플링 기구(7)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자체의 하우징(7c) 내에 배치된다.
이제 한편으로는 마찰 결합 요소들(8, 9, 10)이 적어도 섹션별로 서로에 대해 동심성으로 배치되는데, 즉 내부 마찰 결합 요소(9)는 다른 마찰 결합 요소(8)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여 있고, 이는 다시 제3 마찰 결합 요소(10)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중요하다.
"적어도 섹션별로 동심성"이라 함은, 적어도 각각의 마찰 결합 요소들(8, 9, 10)의 마찰 표면을 형성하는 섹션들, 즉 서로 각각 마찰 결합되는 마찰 결합 요소들(8, 9, 10)의 표면들이 서로에 대해 동심성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가 공차 링(13)이고, 2개의 다른 마찰 결합 요소들(9, 10) 사이에 마찰 결합 방식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클램핑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반경 방향으로 클램핑된"이라 함은, 각각 마찰 결합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한, 한편으로는 2개의 마찰 결합 요소들(8, 9) 및 다른 한편으로는 2개의 마찰 결합 요소들(8, 10)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수직력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공차 링(13)은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반경 방향 스프링력을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마찰 결합되는 하나의 마찰 결합 요소(9)가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 측에서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마찰 결합된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마찰 결합되는 다른 마찰 결합 요소(10)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는 반경 방향 내부 측에서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마찰 결합된다. 따라서, 2개의 마찰 결합 요소(9, 10) 사이의 공차 링(13)의 배열을 통해, 반경 방향 클램핑력이 생성되고, 여기서는 각각의 마찰 결합을 정의하는 수직력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 스프링력도 또한 생성된다.
이하에서, 이제 도 3 및 도 4에 기초하여 구동 트레인(1) 또는 커플링 기구(7)의 제1 실시예, 및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구동 트레인(1) 또는 커플링 기구(7)의 제2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들은 우선 중간 마찰 결합 요소(8), 즉 공차 링(13)이 원주 방향(U)으로 복수의 반경 방향 융기부(14)를 포함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반경 방향 융기부(14)는 여기서 공차 링(13)의 측면 에지(13a, 13b)에 대해 그리고/또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공차 링(13)의 편평한 섹션(15)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편평한"이라 함은, 반경 방향 융기부(14) 사이의 원주 방향(U)으로 제공된 섹션들(15)이 구동 축(X)을 중심으로 원통형으로 연장되고, 즉 구동 축(X)과 동축인 실린더 축을 갖는 원형 실린더의 실린더 재킷 상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융기부(14)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스탬핑부이며, 이에 의해 반경 방향 융기부(14)에 대향하는 공차 링(13)의 반경 방향 측면 상에 융기부(14)에 각각 대응하는 리세스(16)가 형성된다. 리세스(16)는 여기서 융기부(14)와 같이 구동 축(X)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대응하는 리세스(16)는 비드로도 또한 지칭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융기부 및/또는 리세스를 포함하지 않고 특히 편평한, 즉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원통형인 공차 링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되고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2개의 실시예들은,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융기부(14)가 일 경우에 반경 방향으로 내부를 향하고(도 3 및 도 4), 다른 경우에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함으로써(도 5 및 도 6) 구별된다. 기본적으로, 이들의 조합, 즉 일부 반경 방향 융기부가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하고, 다른 반경 방향 융기부는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하는 조합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하는 융기부(14)는 반경 방향으로 내부 마찰 결합 요소(9)에 의해 형성된 마찰 표면(9a)과 마찰 결합되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 측 마찰 표면(8a)을 형성한다. 이 경우, 원주 방향(U)으로 융기부(14) 사이에 위치된 섹션(15)은 반경 방향으로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에 의해 형성된 마찰 표면(10a)과 마찰 결합되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 측 마찰 표면(8b)을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융기부(14)는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에 의해 형성된 마찰 표면(10a)과 마찰 결합되는 반경 방향 외부 측 마찰 표면(8b)을 형성한다. 여기서 원주 방향(U)으로 융기부(14) 사이에 위치된 섹션(15)은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에 의해 형성된 마찰 표면(9a)과 마찰 결합되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 측 마찰 표면(8a)을 형성한다.
구동 트레인(1)의 2개의 구동 컴포넌트(11, 12)를 고정 회전 방식으로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플링 기구(7)는, 두 실시예에서 각각 구동 컴포넌트들(11, 12) 사이에 연결된 과부하 클러치이다.
그러나, 2개의 실시예들은 각각의 마찰 표면 사이에 정의된 이탈 토크에서 구별된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융기부(14)로 인해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내부 마찰 결합 요소(9) 사이의 이탈 토크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 사이의 이탈 토크보다 더 크다. 그러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융기부(14)로 인해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 사이의 이탈 토크가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내부 마찰 결합 요소(9) 사이의 이탈 토크보다 더 크다. 특히, 융기부(14)가 각각 할당된 마찰 결합 요소(9, 10)의 마찰 표면 내에 새겨짐으로써, 더 높은 이탈 토크가 달성된다.
개별 또는 모든 마찰 표면(8a, 8b, 9a, 10a)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표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마찰 표면은 금속 표면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개별 또는 모든 마찰 표면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공차 링(13)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주 방향(U)으로 차단된, 즉 슬롯형 금속 링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연속적인, 즉 원주 방향(U)으로 중단 없는 금속 링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공차 링(13)은 조립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U)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고 원주 방향(U)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거나 또는 서로 접촉되는 2개의 밴드 단부를 갖는 구부러진 금속 밴드에 의해 형성된다.
중간 마찰 결합 요소(8) 또는 공차 링(13)은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최대 외부 반경의 비가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 및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6이 되도록 설계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최소 내부 반경의 비는 적어도 1.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2, 보다 바람직하게는 2.6, 및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최대 외부 반경은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중심축과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으로 가장 먼 외부에 위치된 지점 사이의 거리이며, 이는 특히 2개의 반경 방향 융기부(14) 사이에 위치된 섹션(15)을 통해 정의되거나(도 3 및 도 4), 또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는 융기부(14)에 의해 정의된다(도 5 및 도 6). 최소 내부 반경은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중심 축과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으로 가장 먼 내부에 위치된 지점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며, 이는 특히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하는 융기부(14)에 의해(도 3 및 도 4) 또는 2개의 반경 방향 융기부(14) 사이의 섹션(15)에 의해(도 5 및 도6) 정의된다.
도 3 및 도 5에서, 커플링 기구(7) 및 특히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 및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 및/또는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는 복수의 부분으로 될 수 있으며, 즉 복수의, 특히 2개 이상의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2개의 마찰 결합 요소(9, 10)는 복수의 부분으로 되어 있고, 여기서 특히 2개의 부분(9b, 9c 또는 10b, 10c)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마찰 결합 요소(9, 10)의 제1 부분(9b, 10b) 및 각각의 마찰 결합 요소(9, 10)의 제2 부분(9c, 10c)은 서로 원주 방향(U)으로 및/또는 축방향으로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마찰 결합 로킹 방식으로 및/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2개의 부분들(9b, 9c 또는 10b, 10c) 사이의 맞물림 끼워 맞춤은 특히 볼트 결합, 래칭 또는 압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2개의 부분(9b, 9c 또는 10b, 10c) 사이의 마찰 결합은 또한 압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2개의 부분(9b, 9c 또는 10b, 10c) 사이의 재료 결합은 특히 접착, 마찰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화학적 에칭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 및/또는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는 다성분 사출 성형 부분, 특히 2-성분 사출 성형 부분이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찰 결합 요소(9)뿐만 아니라 마찰 결합 요소(10)도 또한 2-성분 사출 성형 부분이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의 제1 부분(9b)은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철로 이루어지고, 제2 부분(9c)은 플라스틱 재료, 특히 열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후자는 바람직하게는 감쇠 특성을 갖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형태로 설계된 제1 부분(9b)은 여기서 마찰 결합 요소(9)의 마찰 표면(9a)을 형성한다. 제1 부분(9b)의 금속은 마찰 결합 요소(8)의 융기부(14)가 마찰 결합 요소(9) 내에 새겨지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특히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금속보다 더 연성인 금속이다. 또한,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의 제1 부분(10b)은 마찬가지로 금속, 바람직하게는 강철로 이루어지고, 제2 부분(10c)은 플라스틱 재료, 특히 열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슬리브 형상으로 설계된 제1 부분(10b)은 여기서 마찰 결합 요소(10)의 마찰 표면(10a)을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찰 결합 요소(9)는 마찬가지로 2-성분 사출 성형 부분이다. 반면, 마찰 결합 요소(10)의 경우, 2개의 부분(10b 및 10c)은 서로 축방향으로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삽입되고, 서로에 대해 접착, 용접 등이 이루어진다. 또한, 마찰 결합 요소(9, 10)의 구조 및 재료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것에 대응하지만, 그러나 여기서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의 제1 부분(10b)의 금속이 특히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금속보다 더 연성인 금속을 포함하여, 마찰 결합 요소(8)의 융기부(14)가 여기서 마찰 결합 요소(10) 내에 새겨지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예외적이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의 전체가 금속, 특히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보다 더 연성인 금속으로,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 전체가 금속, 특히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보다 더 연성인 금속으로,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으로 제동 기구가 제공되는 경우, 제동 기구의 마찰 요소, 특히 브레이크 디스크는 마찰 결합 요소(10)에 고정 회전 방식 및 특히 축방향 고정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7c)에 고정 회전 방식으로 배치된 반대 마찰 요소와 제동 방식으로, 특히 영구 제동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도 4 및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기구(7)의 조립된 상태에서,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는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에 축방향으로 래칭될 수 있다. 이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의 중앙의 홀에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의 중앙 래칭 헤드를 래칭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은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 상의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의 동심성 래칭 러그를 통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두 변형예에서, 래칭은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에 대한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의 회전 운동을 보장하기 위해 축방향 간극을 두고 수행된다. 마찰 결합 요소들(9, 10)이 서로 축방향으로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특히 축방향 간극을 두고 커플링될 수 있는 다른 연결 방식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6에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가 커플링 기구(7)의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를, 그리고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가 커플링 기구(7)의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를 제공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반경 방향 내부 마찰 결합 요소(9)가 커플링 기구(7)의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를, 그리고 반경 방향 외부 마찰 결합 요소(10)가 커플링 기구(7)의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를 제공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편으로는 도 3c 및 도 3d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 5c 및 도 5d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커플링 기구(7)의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는 모터 측 구동 컴포넌트(11)에 그리고/또는 커플링 기구(7)의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는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구동 컴포넌트(12)에 각각 플러그형 커넥터(17a, 17b)를 통해 커플링된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모터 측 플러그형 커넥터(17a)뿐만 아니라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플러그형 커넥터(17b)도 또한 각각 클로 클러치이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모터 측 플러그형 커넥터(17a)도 마찬가지로 클로 클러치인데, 그러나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플러그형 커넥터(17b)는 다중 톱니 연결부이다. 기본적으로, 예를 들어 스플라인 샤프트 프로파일, 다각형 프로파일, 특히 육각형 프로파일, 스타 프로파일(Torx 프로파일) 등에 의한 다른 연결 방식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 대해 한편으로는 도 3b 내지 도 3d 및 다른 한편으로는 도 5b 내지 도 5d의 개요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플링 기구(7)를 사전 조립된 유닛으로서 우선 제공한 다음,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7a, 17b)를 각각의 구동 컴포넌트들(11, 12)과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커플링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독립적인 중요성을 갖는 추가의 교시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2)는 그 자체로 청구된다. 제안된 구동 장치(2)는 자동차의 폐쇄 요소(3)의 모터 구동식 조절에 대응하여 사용되며, 여기서 첫 번째로 언급된 교시에 따라 설계된 구동 트레인(1)이 제공된다. 제안된 구동 트레인(1)에 대한 모든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구성예에서, 구동 장치(2)는 스핀들 구동 장치이다. 구동 장치(2)는 구동 모터(4), 및 스핀들(19) 및 선형 구동 운동을 생성하기 위한 할당된 스핀들 너트(20)를 구비하는 구동 모터(4)의 하류에 연결된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18)를 포함한다. 도 2에는, 도시된,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모터(4)와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18) 사이에 구동 장치(2)의 커플링 기구(7)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모터 측 구동 컴포넌트(11)는 예를 들어 구동 모터(4)의 모터 샤프트의 형태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 모터(4)와 커플링 기구(7) 사이에 연결된 중간 기어(21)의 기어 샤프트의 형태의 구동 샤프트이다.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구동 컴포넌트(12)는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에 대응하여 스핀들-스핀들 너트 기어(18)의 기어 컴포넌트, 여기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스핀들(19)이다.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중요성을 갖는 추가의 교시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의 폐쇄 요소 조립체가 그 자체로 청구된다. 제안에 따른 폐쇄 요소 조립체는 자동차의 차체(22)에 조절 가능하게 커플링된 폐쇄 요소(3) 및 폐쇄 요소(3)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제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2)를 포함한다. 제안된 구동 장치(2)에 대한 모든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다.

Claims (15)

  1. 자동차의 폐쇄 요소(3)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구동 장치(2)의 구동 트레인으로서,
    마찰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마찰 결합 기구(6)가 제공되고, 상기 마찰 결합 기구(6)는 상기 구동 트레인(1)의 2개의 구동 컴포넌트(11, 12)를 고정 회전(conjoint rotation) 방식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상기 구동 트레인(1)의 커플링 기구(7)의 일부이고, 상기 커플링 기구(7)는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를 통해 상기 구동 컴포넌트들 중 모터 측 구동 컴포넌트(11)에, 그리고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를 통해 상기 구동 컴포넌트들 중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구동 컴포넌트(12)에 고정 회전 방식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커플링 기구(7)는 구동 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기구(6)를 형성하는 복수의 마찰 결합 요소(8, 9, 10)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결합 요소들 중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는 상기 다른 2개의 마찰 결합 요소들(9, 10)과 각각 마찰 결합되는, 상기 구동 트레인에 있어서,
    상기 마찰 결합 요소들(8, 9, 10)은 적어도 섹션별로 서로에 대해 동심성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는 공차 링(13)이고, 상기 2개의 다른 마찰 결합 요소(9, 10) 사이에 마찰 결합 방식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는 원주 방향(U)으로 복수의 반경 방향 융기부(14)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기부(14)는 스탬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상기 반경 방향 융기부(14)는 반경 방향 내측 및/또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융기부(14)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마찰 결합 요소(9)에 의해 형성된 마찰 표면(9a)과 마찰 결합되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 측 마찰 표면(8a)을 형성하고, 원주 방향(U)으로 상기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하는 융기부(14) 사이에 위치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섹션(15)은,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마찰 결합 요소(10)에 의해 형성된 마찰 표면(10a)과 마찰 결합되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 측 마찰 표면(8b)을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하는 융기부(14)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마찰 결합 요소(10)에 의해 형성된 마찰 표면(10a)과 마찰 결합되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 측 마찰 표면(8b)을 형성하고, 원주 방향(U)으로 상기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하는 융기부(14) 사이에 위치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섹션(15)은,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마찰 결합 요소(9)에 의해 형성된 마찰 표면(9a)과 마찰 결합되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 측 마찰 표면(8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기구(7)는 상기 구동 트레인(1)의 상기 2개의 구동 컴포넌트(11, 12) 사이에 연결된 과부하 클러치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9) 사이의 이탈 토크가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10) 사이의 이탈 토크보다 더 크거나, 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10) 사이의 이탈 토크가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와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9) 사이의 이탈 토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상기 반경 방향 내측 마찰 표면(8a) 및/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상기 반경 방향 외측 마찰 표면(8b) 및/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9)에 의해 형성된 상기 마찰 표면(9a) 및/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10)에 의해 형성된 상기 마찰 표면(10a)은 금속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는 원주 방향(U)으로 중단된 또는 연속적인 금속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축방향 길이에 대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최대 외부 반경의 비는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6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축방항 길이에 대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최소 내부 반경의 비는 적어도 1.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2,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6,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9) 및/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10)는 복수의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결합 요소(9, 10)의 제1 부분(9b, 10b) 및 상기 마찰 결합 요소(9, 10)의 제2 부분(9c, 10c)은 서로 원주 방향(U)으로 및/또는 축방향으로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마찰 결합 로킹 방식으로 및/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9) 및/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10)는 다성분 사출 성형 부분, 특히 2-성분 사출 성형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9) 및/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10)의 제1 부분(9b, 10b)은 금속, 특히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보다 더 연성인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일한 마찰 결합 요소(9, 10)의 제2 부분(9c, 10c)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분(9b, 10b)은 상기 마찰 결합 요소(9, 10)의 상기 마찰 표면(9a, 10a)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전체 마찰 결합 요소(9) 및/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전체 마찰 결합 요소(10)는 금속, 특히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보다 더 연성인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9) 및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10)는 서로 축방향으로 형상 맞춤 로킹 방식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또는 서로 래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9)는 상기 커플링 기구(7)의 상기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를, 그리고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10)는 상기 커플링 기구(7)의 상기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9)는 상기 커플링 기구(7)의 상기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를, 그리고 상기 중간 마찰 결합 요소(8)의 반경 방향 외부에 배치된 상기 마찰 결합 요소(10)는 상기 커플링 기구(7)의 상기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기구(7)의 상기 모터 측 커플링 피스(7a)는 상기 모터 측 구동 컴포넌트(11)에 그리고/또는 상기 커플링 기구(7)의 상기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커플링 피스(7b)는 상기 모터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구동 컴포넌트(12)에 플러그형 커넥터(17a, 17b)를 통해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14. 자동차의 폐쇄 요소(3)의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트레인(1)이 제공되는 것인, 구동 장치.
  15. 자동차의 차체(22)에 조절 가능하게 커플링된 폐쇄 요소(3) 및 제13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상기 폐쇄 요소(3)의 상기 모터 구동식 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2)를 구비하는 상기 자동차의 폐쇄 요소 조립체.
KR1020217028323A 2019-02-05 2020-02-04 구동 트레인 KR202101233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2857.4 2019-02-05
DE102019102857.4A DE102019102857A1 (de) 2019-02-05 2019-02-05 Antriebsstrang
PCT/EP2020/052648 WO2020161087A1 (de) 2019-02-05 2020-02-04 Antriebsstra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377A true KR20210123377A (ko) 2021-10-13

Family

ID=6946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323A KR20210123377A (ko) 2019-02-05 2020-02-04 구동 트레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27894A1 (ko)
JP (1) JP7472153B2 (ko)
KR (1) KR20210123377A (ko)
CN (1) CN113677864B (ko)
DE (1) DE102019102857A1 (ko)
WO (1) WO2020161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5254B1 (ja) * 2021-07-30 2022-03-14 株式会社オリジン 角度位置保持装置の製造方法
JP7138819B1 (ja) * 2022-06-22 2022-09-16 株式会社オリジン 角度位置保持装置
DE102022123764A1 (de) * 2022-09-16 2024-03-2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Verschlusselements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1228B4 (de) * 2008-07-03 2013-07-18 Stabilus Gmbh Antriebseinrichtung
EP2159438A1 (en) * 2008-09-02 2010-03-03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Torque limiter for transmitting component of a drive unit
DE102009033277B4 (de) * 2009-07-15 2018-03-15 Stabilus Gmbh Antriebseinrichtung
US20110076096A1 (en) * 2009-09-25 2011-03-3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Rencol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olerance ring control of slip interface sliding forces
US20150275997A1 (en) * 2014-03-28 2015-10-01 Burton Technologies, Llc Variable rate friction damper
JP6217499B2 (ja) * 2014-04-07 2017-10-25 株式会社デンソー トルクリミッタ付き回転機器
JP6458923B2 (ja) * 2014-05-14 2019-01-30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DE102016113353A1 (de) * 2016-07-20 2018-01-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Bamberg Antriebsanordnung einer Verschlusselementanordnung
DE102017101325A1 (de) 2017-01-24 2018-07-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stra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9672A (ja) 2022-03-24
CN113677864A (zh) 2021-11-19
JP7472153B2 (ja) 2024-04-22
US20220127894A1 (en) 2022-04-28
WO2020161087A1 (de) 2020-08-13
CN113677864B (zh) 2024-01-02
DE102019102857A1 (de)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3377A (ko) 구동 트레인
US10670087B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US9353836B2 (en) Driving device and modular system for such a driving device
JP6245462B2 (ja) 継手アッセンブリ及び差動アッセンブリ
JP3436718B2 (ja)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機構
JP2003104179A (ja) 自動車両のための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JP5976758B2 (ja) クラッチ
JP2003530229A (ja) 研削機械工具取付部
US9316265B2 (en) Torque damper apparatus
US11873869B2 (en) Angular position holding apparatus with overload prevention system
JP6208327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及びこのプロペラシャフトに用いられる等速ジョイント
JP2010525267A (ja) 原動機駆動車両用のトルク差または速度差応動クラッチ操作装置
JP6568649B2 (ja) 自動車のためのブレーキブースタ
JP2009528485A (ja) 歯車装置
JPH10318274A (ja) 弾性軸継手
JP4954410B2 (ja) 自動車用の流体結合装置
WO2016104687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7093701B2 (en) Bridging clutch for a clutch apparatus which has a hydrodynamic circuit in a clutch housing
CA3158341C (en) Bidirectional torque limiter
JP3618576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0947719B1 (en) Power steering system
JP7138819B1 (ja) 角度位置保持装置
JP699491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WO2021065022A1 (ja) 双方向トルクリミッタ
WO2018123562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