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323A - 내광성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광성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323A
KR20210123323A KR1020217026124A KR20217026124A KR20210123323A KR 20210123323 A KR20210123323 A KR 20210123323A KR 1020217026124 A KR1020217026124 A KR 1020217026124A KR 20217026124 A KR20217026124 A KR 20217026124A KR 20210123323 A KR20210123323 A KR 2021012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able composition
group
mass
active energy
hard 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186B1 (ko
Inventor
하루키 츠지모토
마사유키 하라구치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높은 내찰상성과 내광성을 발현하는 하드코트층의 형성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 100질량부, (b)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양말단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단,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와 상기 우레탄결합과의 사이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제외한다.) 0.05질량부~10질량부, (c)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 0.1질량부~30질량부, 및 (d)활성에너지선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중합개시제 1질량부~20질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그리고 이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이다.

Description

내광성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본 발명은,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표시소자 등의 표면에 적용되는 하드코트층의 형성재료로서 유용한 내광성 하드코트재(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등의 가전기기, 휴대전화 등의 통신기기, 복사기 등의 사무기기, 게임기 등의 오락기기, X선촬영장치 등의 의료기기, 전자렌지 등의 생활기기 등의 많은 전자기기에는, 사람이 손가락으로 조작가능한 액정표시소자 또는 OLED(유기EL)표시소자를 이용한 터치패널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터치패널 디스플레이의 최표면(最表面)에는, 사람이 손가락으로 조작할 때에, 손톱 등으로 터치패널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찰상성, 및 사람이 손가락으로 접촉할 때에 부착되는 지문오염을 부착하기 어렵고 또한 닦아내기 쉽게 하기 위한 방오성을 갖는 하드코트층을, 기재인 투명플라스틱필름 상에 구비한 하드코트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드코트층에 내찰상성을 부여하는 수법으로서, 예를 들어, 고밀도의 가교구조를 형성하는, 즉 분자운동성이 낮은 가교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표면경도를 높이고, 외력에의 저항성을 부여하는 수법이 채용된다. 이들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현재, 활성에너지선에 의한 라디칼중합에 의해 3차원 가교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재료가 가장 이용되고 있다. 나아가, 투명플라스틱필름 표면에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광중합개시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플라스틱필름에 그래비어코트 등으로 코팅을 행하고, 유기용매를 건조 후,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고,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수단이 채용된다. 형성한 하드코트층에 있어서, 경도, 내찰상성 등의 기능을 실용상 문제가 없는 수준으로 발현시키기 위해 통상,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1μm~15μm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터치패널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기기 중에는, 옥외에서 사용하는 것도 있으며, 터치패널표면 및 하드코트필름은 자외선에 폭로(曝露)된다. 하드코트필름의 기재에 사용되는 투명플라스틱필름 중에는, 단시간 자외선에 폭로됨으로써, 현저히 황변, 열화되는 것이 있다. 터치패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하드코트필름에는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점에서, 자외선에 의한 이 하드코트필름의 황변,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하드코트층에는 내광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하드코트층에 내광성을 부여하려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수법으로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 중에,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해두는 수법이 있다. 그러나, 자외선흡수제는, 라디칼중합에 의한 경화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활성에너지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통상,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3차원 가교구조의 형성을 저해한다. 이와 같이, 하드코트층의 내찰상성과 내광성은 트레이드오프의 관계에 있으며, 양자의 특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었다. 한편,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와 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를 병용함으로써, 내광성에 과제가 있는 플라스틱필름 상에서, 일정한 내광성과 내찰상성이 양립된 하드코트층의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602067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하드코트층에서는, 파장 300nm 이상의 영역의 자외선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내광성을 가지지만, 내찰상성이 부족한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양말단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개재하지 않고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와, 특정의 자외선흡수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이, 내광성에 과제가 있는 플라스틱필름 상에서, 파장 300nm 이상뿐만 아니라 300nm 미만의 영역의 자외선에 대해서도 우수한 내광성을 갖고, 또한 내찰상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층을 형성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제1 관점으로서,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 100질량부,
(b)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양말단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단,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와 상기 우레탄결합과의 사이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제외한다.) 0.05질량부~10질량부,
(c)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 0.1질량부~30질량부, 및
(d)활성에너지선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중합개시제 1질량부~20질량부,
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2 관점으로서, 상기 (c)자외선흡수제가, 하이드록시기를 적어도 2개 갖는, 제1 관점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3 관점으로서, 상기 (b)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는, 그 분자쇄의 양말단 각각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적어도 2개 갖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4 관점으로서, 상기 (b)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는, 그 분자쇄의 양말단 각각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적어도 3개 갖는, 제3 관점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5 관점으로서,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가, 반복단위-[OCF2]- 및 반복단위-[OCF2CF2]-의 쌍방을 갖고, 이들 반복단위를 블록결합, 랜덤결합, 또는, 블록결합 및 랜덤결합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기인,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6 관점으로서, 상기 (c)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가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부분구조를 갖는, 제5 관점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식[1] 중,
n은, 반복단위-[OCF2CF2]-의 수와, 반복단위-[OCF2]-의 수의 총수로서 5~30의 정수를 나타내고,
상기 반복단위-[OCF2CF2]-와, 상기 반복단위-[OCF2]-는, 블록결합, 랜덤결합, 또는, 블록결합 및 랜덤결합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제7 관점으로서, 상기 (a)다관능 모노머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제1 관점 내지 제6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8 관점으로서, 상기 (a)다관능 모노머가, 옥시알킬렌변성 다관능 모노머인, 제1 관점 내지 제7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9 관점으로서, 상기 (a)다관능 모노머가,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적어도 3개 갖는 다관능 모노머인, 제1 관점 내지 제8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제10 관점으로서, 추가로 (e)용매를 포함하는, 제1 관점 내지 제9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11 관점으로서, 제1 관점 내지 제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막에 관한 것이다.
제12 관점으로서, 필름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으로서, 이 하드코트층이 제11 관점에 기재된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하드코트필름에 관한 것이다.
제13 관점으로서, 필름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이 하드코트층이, 제1 관점 내지 제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을 필름기재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이 도막에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하드코트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 1μm~15μm 정도의 박막에 있어서도 우수한 내찰상성을 갖고, 또한 내광성이 우수한 경화막 및 하드코트층의 형성에 유용한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막 또는 그로부터 형성되는 하드코트층이 표면에 부여된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내찰상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옥외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표면 등의 기재표면에의 적용에 호적해지는, 파장 300nm 이상뿐만 아니라 300nm 미만의 파장영역의 자외선에 대한 우수한 내광성을 갖고, 또한 내찰상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하드코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상세하게는,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 100질량부,
(b)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양말단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단,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와 상기 우레탄결합과의 사이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제외한다.) 0.05질량부~10질량부,
(c)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 0.1질량부~30질량부, 및
(d)활성에너지선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중합개시제 1질량부~20질량부,
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우선 상기 (a)~(d)의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
(a)성분의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이하, 간단히 「(a)다관능 모노머」라고도 칭한다)란, 자외선 등의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중합반응이 진행하여 경화하는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2개 이상 갖는 모노머를 가리킨다. 상기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한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를 들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나, 락톤변성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로서,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양방을 말한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을 말한다.
또한 상기 (a)다관능 모노머는 옥시알킬렌변성 다관능 모노머일 수도 있고, 이 옥시알킬렌변성으로는, 옥시메틸렌변성, 옥시에틸렌변성, 옥시프로필렌변성 등을 들 수 있다. 이 옥시알킬렌변성 다관능 모노머로는 상기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또는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있어서 옥시알킬렌변성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옥시알킬렌변성 다관능 모노머도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a)다관능 모노머로서,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적어도 3개, 예를 들어 적어도 4개 갖는 다관능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a)다관능 모노머로서,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적어도 3개 갖는, 옥시알킬렌변성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우레탄결합을 갖고 있지 않은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A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1,8-옥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5.2.1.02,6]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1-아크릴로일옥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판, 2-하이드록시-1,3-디(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판,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비스[4-(메트)아크릴로일티오페닐]설파이드, 비스[2-(메트)아크릴로일티오에틸]설파이드, 1,3-아다만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아다만탄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시알킬렌변성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옥시알킬렌으로 변성된 폴리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펜타글리세린, 헥사글리세린, 데카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1분자 내에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복수 갖고, 우레탄결합(-NHCOO-)을 1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와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폴리올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이러한 예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디올류; 이들 디올류와 석신산, 말레산, 아디프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본산류 또는 디카르본산무수물류와의 반응생성물인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a)활성에너지선 다관능 모노머는 락톤변성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도 있고, 변성하는 락톤으로서 ε-카프로락톤이 바람직하다. 이 락톤변성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변성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변성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b)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양말단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단,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와 상기 우레탄결합과의 사이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제외한다.)]
본 발명에서는, (b)성분으로서,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양말단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개재하지 않고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이후, 간단히 「(b)분자쇄의 양말단에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라고도 칭한다)를 사용한다. (b)성분은,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을 적용하는 하드코트층에 있어서의 표면개질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b)성분은, (a)성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그로 인해, 하드코트층이 백탁되는 것을 억제하여, 투명한 외관을 나타내는 하드코트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의 폴리(옥시알킬렌)기란, 옥시알킬렌기의 반복단위수가 2 이상이며 또한 옥시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알킬렌기는 비치환된 알킬렌기인 기를 의도한다.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에 있어서의 알킬렌기의 탄소원자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원자수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는, 탄소원자수 1~4의 2가의 불화탄소기와 산소원자가 교호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기를 가리키고, 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는 탄소원자수 1~4의 2가의 불화탄소기와 산소원자가 연결된 구조를 갖는 기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OCF2]-(옥시퍼플루오로메틸렌기), -[OCF2CF2]-(옥시퍼플루오로에틸렌기), -[OCF2CF2CF2]-(옥시퍼플루오로프로판-1,3-디일기), -[OCF2C(CF3)F]-(옥시퍼플루오로프로판-1,2-디일기) 등의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그 경우, 복수종의 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의 결합은 블록결합 및 랜덤결합 중 어느 것일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찰상성이 양호해지는 경화막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로서, -[OCF2]-(옥시퍼플루오로메틸렌기)와 -[OCF2CF2]-(옥시퍼플루오로에틸렌기)의 쌍방을 반복단위로서 갖는 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로서, 반복단위:-[OCF2]-와 -[OCF2CF2]-가, 몰비율로 [반복단위:-[OCF2]-]:[반복단위:-[OCF2CF2]-]=2:1~1:2가 되는 비율로 포함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1이 되는 비율로 포함하는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반복단위의 결합은, 블록결합 및 랜덤결합 중 어느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의 반복단위수는, 그 반복단위수의 총계로서 5~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7~21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의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폴리스티렌환산으로 측정되는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5,000, 바람직하게는 1,500~3,000이다.
상기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을 들 수 있다.
(b)분자쇄의 양말단에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등의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1개 이 분자쇄의 양말단에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이 분자쇄의 양말단에 갖는 것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포함하는 말단구조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식[A1]~식[A5]의 구조, 및 이들 구조 중의 아크릴로일기를 메타크릴로일기로 치환한 구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이러한 (b)분자쇄의 양말단에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2] 중, A는 상기 식[A1]~식[A5]로 표시되는 구조 및 이들 구조 중의 아크릴로일기를 메타크릴로일기로 치환한 구조 중의 1개를 나타내고, PFPE는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나타내고(단, L1과 직접결합하는 측이 옥시말단이며, 산소원자와 결합하는 측이 퍼플루오로알킬렌말단이다.), L1은, 불소원자 1개~3개로 치환된 탄소원자수 2 또는 3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L2는, m+1가의 알코올로부터 OH를 제외한 m+1가의 잔기를 나타낸다.)
상기 불소원자 1개~3개로 치환된 탄소원자수 2 또는 3의 알킬렌기로는, -CH2CHF-, -CH2CF2-, -CHFCF2-, -CH2CH2CHF-, -CH2CH2CF2-, -CH2CHFCF2- 등을 들 수 있고, -CH2CF2-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의 부분구조(A-NHC(=O)O)mL2-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식[B1]~식[B12]로 표시되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B1]~식[B12] 중, A는 상기 식[A1]~식[A5]로 표시되는 구조 및 이들 구조 중의 아크릴로일기를 메타크릴로일기로 치환한 구조 중의 1개를 나타낸다.)
상기 식[B1]~식[B12]로 표시되는 구조 중에서, 식[B1] 및 식[B2]가 m=1인 경우에 상당하고, 식[B3]~식[B6]이 m=2인 경우에 상당하고, 식[B7]~식[B9]가 m=3인 경우에 상당하고, 식[B10]~식[B12]가 m=5인 경우에 상당한다.
이들 중에서도, 식[B3]으로 표시되는 구조가 바람직하고, 특히 식[B3]과 식[A3]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b)분자쇄의 양말단에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는,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부분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상기 식[1]로 표시되는 부분구조는,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A-NHC(=O)를 제외한 부분에 상당한다.
상기 식[1] 중의 n은, 반복단위-[OCF2CF2]-의 수와, 반복단위-[OCF2]-의 수의 총수를 나타내고, 5~30의 범위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7~21의 범위의 정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복단위-[OCF2CF2]-의 수와, 상기 반복단위-[OCF2]-의 수의 비율은, 2:1~1: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1:1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반복단위의 결합은, 블록결합 및 랜덤결합의 어느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b)분자쇄의 양말단에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는, 전술의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질량부~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5질량부의 비율로 사용한다.
(b)분자쇄의 양말단에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0.05질량부 이상의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하드코트층에 충분한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b)분자쇄의 양말단에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10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사용함으로써,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와 충분히 상용하여, 보다 백탁이 적은 하드코트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b)분자쇄의 양말단에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는, 예를 들어, 하기 식[3]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3] 중, PFPE, L1, L2 및 m은, 상기 식[2]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양말단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기에 대하여, 중합성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즉, 상기 식[A1]~식[A5]로 표시되는 구조 및 이들 구조 중의 아크릴로일기를 메타크릴로일기로 치환한 구조에 있어서의 결합수(結合手)에 이소시아나토기가 결합한 화합물(예를 들어,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1,1-비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반응시켜 우레탄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b)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양말단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단,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와 상기 우레탄결합과의 사이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지 않는다.)에 더하여,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편말단(일방의 말단)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이 분자쇄의 타단(또 다른 일방의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단,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와 상기 우레탄결합과의 사이 그리고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와 상기 하이드록시기와의 사이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지 않는다.)나,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양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단,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와 상기 하이드록시기와의 사이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지 않는다.)[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고 있지 않은 화합물]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c)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c)성분으로서 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 중에서도 하이드록시기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 즉, 벤조페논골격을 구성하는 2개의 벤젠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수소원자가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채용하는 것이 호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c)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를 채용함으로써, 파장 300nm 이상뿐만 아니라 300nm 미만의 영역의 자외선에 대한 우수한 내광성을 갖는 하드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은, 옥외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표면 등의 기재표면에의 적용이 호적해지는, 내광성이 우수한 하드코트필름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옥시벤존-3),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하이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c)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는, 전술의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3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15질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활성에너지선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중합개시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한 활성에너지선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중합개시제(이하, 간단히 「(d)중합개시제」라고도 칭한다)는,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 X선 등의 활성에너지선에 의해, 특히 자외선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중합개시제이다.
상기 (d)중합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류, 알킬페논류, 티오크산톤류, 아조류, 아지드류, 디아조류, o-퀴논디아지드류,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옥심에스테르류, 유기과산화물, 벤조페논류, 비스쿠마린류, 비스이미다졸류, 티타노센류, 티올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트리클로로메틸트리아진류, 및 요오도늄염, 설포늄염 등의 오늄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 표면경화성, 박막경화성의 관점에서, (d)중합개시제로서,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알킬페논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 알킬페논류를 사용함으로써, 내찰상성이 보다 향상된 경화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아실포스핀옥사이드류로는, 예를 들어, 페닐비스(2,4,6-트리메톡시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페논류로는,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1-(4-(4-(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의 α-하이드록시알킬페논류;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등의 α-아미노알킬페논류;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페닐글리옥실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d)중합개시제는, 전술의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10질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용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추가로 (e)용매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고, 즉 바니시(막형성재료)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로는, 상기 (a)성분~(d)성분을 용해하고, 또한 후술하는 경화막(하드코트층)형성에 있어서의 도공시의 작업성이나 경화 전후의 건조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테트랄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미네랄스피릿,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류; 염화메틸, 브롬화메틸, 요오드화메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o-디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물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등의 에스테르류 또는 에스테르에테르류;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1,4-디옥산,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PGME),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디-n-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tert-부틸알코올, 2-에틸헥실알코올, 벤질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의 아미드류;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등의 설폭사이드류, 그리고 이들 용매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용매를 들 수 있다.
(e)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형분농도가 1질량%~70질량%, 바람직하게는 5질량%~50질량%가 되는 농도로 사용한다. 여기서 고형분농도(불휘발분농도라고도 칭한다)란,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의 상기 (a)성분~(d)성분(및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의 총질량(합계질량)에 대한 고형분(전체성분으로부터 용매성분을 제외한 것)의 함유량을 나타낸다.
[기타 첨가물]
또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중합촉진제, 중합금지제, 광증감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밀착성 부여제, 가소제, 상기 이외의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저장안정제, 대전방지제, 무기충전제, 안료, 염료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경화막의 헤이즈값을 제어할 목적으로, 산화티탄 등의 무기미립자나 폴리메타크릴산메틸입자 등의 유기미립자를 배합할 수도 있다.
<경화막>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기재 상에 도포(코팅)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합(경화)시킴으로써,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화막도 본 발명의 대상이다. 또한 후술하는 하드코트필름에 있어서의 하드코트층을 이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상기 기재로는, 예를 들어, 각종 수지(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공중합체(AS), 노보넨계 수지 등), 금속, 목재, 종이, 유리, 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재의 형상은 판상, 필름상 또는 3차원 성형체일 수도 있다.
상기 기재 상에의 도포방법은, 캐스트코트법, 스핀코트법, 블레이드코트법, 딥코트법, 롤코트법, 스프레이코트법, 바코트법, 다이코트법, 잉크젯법, 인쇄법(볼록판인쇄법, 오목판인쇄법, 평판인쇄법, 스크린인쇄법 등) 등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롤·투·롤(roll-to-roll)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박막도포성의 관점에서, 볼록판인쇄법, 특히 그래비어코트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전에 구멍직경이 0.2μm 정도인 필터 등을 이용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여과한 후, 도포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포할 때, 필요에 따라 이 경화성 조성물에 용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용제로는 전술의 [(e)용매]에서 든 다양한 용매를 들 수 있다.
기재 상에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 후, 필요에 따라 핫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수단으로 도막을 예비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한다(용매제거공정). 이 때의 가열건조의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40℃~120℃에서, 30초~10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후, 자외선 등의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킨다. 활성에너지선으로는, 자외선, 전자선, X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조사에 이용하는 광원으로는, 태양광선, 케미칼램프, 저압수은등, 고압수은등, 메탈할라이드램프, 크세논램프, UV-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그 후, 포스트베이크를 행함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핫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중합을 완결시킬 수도 있다.
한편, 형성되는 경화막의 두께는, 건조, 경화 후에 있어서, 통상 0.01μm~50μm, 바람직하게는 0.05μm~20μm이다.
<하드코트필름>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표면)에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 하드코트필름도 본 발명의 대상이며, 이 하드코트필름은, 예를 들어 터치패널이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표시소자 등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호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하드코트필름에 있어서의 하드코트층은, 전술의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을 필름기재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이 도막에 자외선 등의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하고 이 도막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공정을 포함하는, 필름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의 제조방법도 본 발명의 대상이다.
상기 필름기재로는, 전술의 <경화막>에서 든 기재 중, 광학용도로 사용가능한 각종의 투명한 수지제 필름이 이용된다. 바람직한 수지제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기재 상에의 경화성 조성물의 도포방법(도막형성공정) 및 도막에의 활성에너지선 조사방법(경화공정)은, 전술의 <경화막>에 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용매가 포함되는(바니시형태의) 경우, 도막형성공정의 후, 필요에 따라 이 도막을 건조하고 용매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전술의 <경화막>에 든 도막의 건조방법(용매제거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하드코트층의 층두께(막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μm~2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μm~10μm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에 있어서, 시료의 조제 및 물성의 분석에 이용한 장치 및 조건은, 이하와 같다.
(1)바코터에 의한 도포
장치: (주)에스엠티제 PM-9050MC
바: 오에스지시스템 프로덕츠(주)제 A-Bar OSP-22, 최대웨트막두께 22μm(와이어바 #9 상당)
도포속도: 4m/분
(2)오븐
장치: 어드밴텍토요(주)제 무진건조기 DRC433FA
(3)UV경화
장치: 헤레우스(주)제 CV-110QC-G
램프: 헤레우스(주)제 고압수은램프 H-bulb
(4)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장치: 토소(주)제 HLC-8220GPC
칼럼: 쇼와덴코(주)제 Shodex(등록상표) GPC K-804L, GPC K-805L
칼럼온도: 40℃
용리액: 테트라하이드로푸란
검출기: RI
(5)내찰상성 시험
장치: 신토카가쿠(주)제 왕복마모시험기 TRIBOGEAR TYPE: 30S
주사속도: 4,500mm/분
주사거리: 50mm
(6)내광성 시험
장치: Q-Lab사제 촉진내후성시험기 QUV(등록상표)/se
광원: UVB-313형 램프
시험조건: 0.89W/cm2, 50℃
시험시간: 6시간
(7)색차계
장치: 코니카 미놀타(주)제 분광측색계 CM-700d
측정모드: 투과모드
또한, 약기호는 이하의 의미를 나타낸다.
A1: 옥시에틸렌변성 다관능 아크릴레이트[토아합성(주)제 아로닉스(등록상표) MT-3553]
A2: 옥시에틸렌변성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일본화약(주)제 KAYARAD(등록상표) RP-1040]
A3: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혼합물[일본화약(주)제 KAYARAD(등록상표) DN-0075]
A4: 10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네가미공업(주)제 ART RESIN(등록상표) UN-904]
A5: 카프로락톤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일본화약(주)제 KAYARAD(등록상표) DPCA-20]
PFPE: 분자쇄의 양말단 각각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개재하지 않고 하이드록시기를 2개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솔베이스페셜티폴리머즈사제 Fomblin(등록상표) T4]
BEI: 1,1-비스(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이소시아네이트[쇼와덴코(주)제 카렌즈(등록상표) BEI]
DOTDD: 디네오데칸산디옥틸주석[닛토화성(주)제 네오스탠(등록상표) U-830]
O819: 비스(2,4,6-트리메톡시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IGM Resins사제 OMNIRAD(등록상표) 819]
O2959: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프로판-1-온[IGM Resins사제 OMNIRAD(등록상표) 2959]
UVA-1: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도쿄화성공업(주)제]
UVA-2: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BASF재팬(주)제 UVINUL(등록상표) 3050]
UVA-3: 2-(4-((2-하이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4-((2-하이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시)-2-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BASF재팬(주)제 TINUVIN(등록상표) 400]
UVA-4: 3-(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젠프로판산옥틸[BASF재팬(주)제 TINUVIN(등록상표) 384-2]
UVA-5: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2-에틸헥실[BASF재팬(주)제 UVINUL(등록상표) 3039]
MEK: 메틸에틸케톤
MeOH: 메탄올
TPU: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필름[쉬담(주)제 하이그레스 DUS605-CER, 두께 100μm]
PC: 폴리카보네이트필름[미쯔비시가스화학(주)제 유필론(등록상표)필름 FS-2000, 두께 100μm]
[참고예 1] 표면개질제SM의 제조
스크류관에, PFPE 1.19g(0.5mmol), BEI 0.52g(2.0mmol), DOTDD 0.017g(PFPE 및 BEI의 합계질량의 0.01배량), 및 MEK 1.67g을 투입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터러칩을 이용하여 실온(대략 23℃)에서 24시간 교반하여, 목적화합물인 표면개질제SM의 50질량% MEK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SM의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환산으로 측정되는 중량평균분자량: Mw는 3,000, 분산도: Mw(중량평균분자량)/Mn(수평균분자량)은 1.2였다.
[실시예 1~실시예 12, 비교예 1~비교예 10]
표 1의 기재에 따라 이하의 각 성분을 혼합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1 중, [부]란 [질량부]를 나타낸다. 이 경화성 조성물을, 표 1에 기재된 필름기재(A4사이즈) 상에 바코터에 의해 도포하여, 도막을 얻었다. 이 도막을 65℃의 오븐에서 3분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막을, 질소분위기하, 노광량 300mJ/cm2의 UV광을 조사하고 노광함으로써, 대략 5μm의 층두께(막두께)를 갖는 하드코트층(경화막)을 갖는, 하드코트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하드코트필름의, 내찰상성 및 내광성을 평가하였다. 내찰상성 및 내광성의 평가의 순서를 이하에 나타낸다. 결과를 표 2에 아울러 나타낸다.
[내찰상성]
하드코트필름의 하드코트층표면을, 상기 왕복마모시험기에 부착한 스틸울[본스타판매(주)제 본스타(등록상표) #0000(초극세)]로 350g/cm2의 하중을 가하여 10왕복 문지르고, 흠집의 정도(개수 및 길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하의 기준A, B 및 C에 따라 평가하였다. 한편 하드코트층으로서 실제의 사용을 상정한 경우, 적어도 B인 것이 요구되며, A인 것이 바람직하다.
A: 흠집 없음
B: 길이 5mm 미만의 흠집 5개 미만 발생
C: 길이 5mm 미만의 흠집 5개 이상 발생, 또는 길이 5mm 이상의 흠집 1개 이상 발생
[내광성]
내광성 시험 전에, 하드코트필름의 이면(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백색의 덧댐판(あて板)[L*=86.6, a*=-1.0, b*=-0.4]을 두고, 상기 색차계를 이용하여 황색도지수(Yellow Index, D1925)(YI1)를 측정하였다. 상기 촉진내후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내광성 시험 후, 상기 색차계를 이용한 동일한 방법으로 황색도지수(YI2)를 측정하였다. 내광성 시험 전과 내광성 시험 후의 황색도지수의 차(YI2-YI1)를 ΔYI로 하고, 이하의 기준A 및 C에 따라 평가하였다.
A: ΔYI<1.0
C: ΔYI≥1.0
[표 1]
Figure pct00008
[표 2]
Figure pct00009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관능 모노머로서 A1, A2, A3, A4 또는 A5, 자외선흡수제로서 벤조페논골격을 갖는 UVA-1 또는 UVA-2, 표면개질제로서 분자쇄의 양말단 각각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아크릴로일기를 4개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SM을, 각각 배합한 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실시예 1~실시예 12)은, 내찰상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또한 TPU 및 PC의 어느 필름기재에 있어서도, UVB(자외선B파)영역에 있어서의 우수한 내광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한편, 다관능 모노머로서 A1, 자외선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골격을 갖는 UVA-3, 표면개질제로서 SM을 사용하고, 필름기재로서 TPU 및 PC를 각각 이용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4의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작한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은, 내광성이 우수하지만, 내찰상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자외선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골격을 갖는 UVA-4를 사용하고, 필름기재으로서 TPU 및 PC를 각각 이용한 비교예 2 및 비교예 5의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작한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은, 내찰상성 및 내광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자외선흡수제로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골격을 갖는 UVA-5를 사용하고, 필름기재로서 TPU 및 PC를 각각 이용한 비교예 3 및 비교예 6의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작한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은, 내광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나타났다. 다음에, 다관능 모노머로서 A1을 사용하고, 자외선흡수제 미첨가로 하고, 표면개질제로서 SM을 사용하고, 필름기재로서 TPU 및 PC를 각각 이용한 비교예 7 및 비교예 8의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작한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은, 내찰상성이 우수하지만, 자외선흡수제 미첨가로 인해, 내광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나타났다. 나아가, 다관능 모노머로서 A1, 자외선흡수제로서 벤조페논골격을 갖는 UVA-1을 사용하고, 표면개질제 미첨가로 하고, 필름기재로서 TPU 및 PC를 각각 이용한 비교예 9 및 비교예 10의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작한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은, 내광성이 우수하지만, 표면개질제 미첨가로 인해, 내찰상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나타났다.
이상, 실시예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관능 모노머, 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 및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조합한 경화성 조성물로 함으로써 비로소, 내찰상성 및 내광성을 만족시키는 하드코트필름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a)활성에너지선 경화성 다관능 모노머 100질량부,
    (b)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서, 그 분자쇄의 양말단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단,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와 상기 우레탄결합과의 사이에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제외한다.) 0.05질량부~10질량부,
    (c)벤조페논골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 0.1질량부~30질량부, 및
    (d)활성에너지선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중합개시제 1질량부~20질량부,
    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자외선흡수제가, 하이드록시기를 적어도 2개 갖는, 경화성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는, 그 분자쇄의 양말단 각각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적어도 2개 갖는, 경화성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는, 그 분자쇄의 양말단 각각에 우레탄결합을 개재하여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적어도 3개 갖는, 경화성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퍼플루오로알킬렌)기가, 반복단위-[OCF2]- 및 반복단위-[OCF2CF2]-의 쌍방을 갖고, 이들 반복단위를 블록결합, 랜덤결합, 또는, 블록결합 및 랜덤결합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기인, 경화성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가 하기 식[1]로 표시되는 부분구조를 갖는, 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10

    (상기 식[1] 중,
    n은, 반복단위-[OCF2CF2]-의 수와, 반복단위-[OCF2]-의 수의 총수로서 5~30의 정수를 나타내고,
    상기 반복단위-[OCF2CF2]-와, 상기 반복단위-[OCF2]-는, 블록결합, 랜덤결합, 또는, 블록결합 및 랜덤결합 중 어느 하나로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다관능 모노머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경화성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다관능 모노머가, 옥시알킬렌변성 다관능 모노머인, 경화성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다관능 모노머가, 활성에너지선 중합성기를 적어도 3개 갖는 다관능 모노머인, 경화성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막.
  12. 필름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으로서, 이 하드코트층이 제11항에 기재된 경화막으로 이루어지는, 하드코트필름.
  13. 필름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하드코트층을 구비하는 하드코트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이 하드코트층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을 필름기재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이 도막에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하드코트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17026124A 2019-02-06 2020-01-30 내광성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KR102584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0170 2019-02-06
JP2019020170 2019-02-06
PCT/JP2020/003456 WO2020162322A1 (ja) 2019-02-06 2020-01-30 耐光性ハードコート用硬化性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323A true KR20210123323A (ko) 2021-10-13
KR102584186B1 KR102584186B1 (ko) 2023-10-05

Family

ID=7194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124A KR102584186B1 (ko) 2019-02-06 2020-01-30 내광성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32988B2 (ko)
KR (1) KR102584186B1 (ko)
CN (1) CN113423513B (ko)
WO (1) WO202016232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670U (ja) 1983-07-15 1985-02-13 ニチメン株式会社 集積回路カ−ド
WO2005049687A1 (en) * 2003-10-21 2005-06-02 Tdk Corporation Hardcoat agent composition and optical information medium thereof
KR20160103781A (ko) * 2015-02-25 2016-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180006309A (ko) * 2016-07-08 2018-01-17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화 피막 및 피막을 갖는 기재와, 경화 피막 및 피막을 갖는 기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10669T2 (de) * 1995-02-01 2001-05-03 Mitsui Chemicals Inc Härtbare beschichtungsharzzusammensetzung, beschichtete gegenstände und containe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6051633A (ja) * 2004-08-10 2006-02-23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合成樹脂製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737401B2 (ja) * 2004-10-13 2011-08-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反射防止膜、反射防止膜形成用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反射防止膜を備えた物品
JP2006119476A (ja) * 2004-10-22 2006-05-11 Nippon Zeon Co Ltd 反射防止積層体および光学部材
TW200927771A (en) * 2007-08-31 2009-07-01 Dow Corning Toray Co Ltd Light curing resin composition
JP5206464B2 (ja) 2008-03-26 2013-06-12 Jsr株式会社 パーフルオロポリエーテル基、ウレタン基及び(メタ)アクリロイル基を有する化合物
KR101553079B1 (ko) * 2008-04-28 2015-09-14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적층체, 광 기록 매체 및 경화막의 제조 방법
JP2012133079A (ja) * 2010-12-21 2012-07-12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076029A (ja) * 2011-09-30 2013-04-25 Tdk Corp ハードコート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EP2631254A1 (en) * 2012-02-27 2013-08-28 Cytec Surface Specialties, S.A. Fluorinated water-oil repellency agents
JP2013119553A (ja) * 2011-12-06 2013-06-17 Mitsubishi Chemicals Corp ハードコート層の下地として使用する下層形成用塗料、及び該下層形成用塗料を塗布して形成した積層体
JP6340210B2 (ja) * 2014-02-27 2018-06-0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表面調整剤及びそれを用いた物品
JP2016016338A (ja) * 2014-07-04 2016-02-01 旭硝子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付き樹脂基板の製造方法
KR102332177B1 (ko) * 2015-04-07 2021-11-29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내찰상성 코팅용 경화성 조성물
JP2017008128A (ja) 2015-06-16 2017-01-12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JP7041405B2 (ja) * 2017-09-01 2022-03-24 日産化学株式会社 延伸性耐擦傷性コーティング用硬化性組成物
CN112368305B (zh) * 2018-07-05 2023-03-28 日产化学株式会社 柔性涂层用固化性组合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670U (ja) 1983-07-15 1985-02-13 ニチメン株式会社 集積回路カ−ド
WO2005049687A1 (en) * 2003-10-21 2005-06-02 Tdk Corporation Hardcoat agent composition and optical information medium thereof
KR20160103781A (ko) * 2015-02-25 2016-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180006309A (ko) * 2016-07-08 2018-01-17 주고꾸 도료 가부시키가이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화 피막 및 피막을 갖는 기재와, 경화 피막 및 피막을 갖는 기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45551A (zh) 2020-12-16
WO2020162322A1 (ja) 2020-08-13
CN113423513A (zh) 2021-09-21
KR102584186B1 (ko) 2023-10-05
JP7332988B2 (ja) 2023-08-24
JPWO2020162322A1 (ko) 2020-08-13
CN113423513B (zh) 202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6530B (zh) 耐擦傷性塗佈用硬化性組成物
KR102329391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화 피막 및 피막을 갖는 기재와, 경화 피막 및 피막을 갖는 기재의 제조방법
KR102516524B1 (ko) 내광성 하드코트재
KR20140114292A (ko) 플라스틱 필름
KR102617722B1 (ko) 연신성 내찰상성 코팅용 경화성 조성물
KR20170134577A (ko) 방현성 코팅용 경화성 조성물
WO2018056370A1 (ja) 耐擦傷性ハードコート材
JP7199185B2 (ja) 成形用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210123324A (ko) 플렉서블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KR20210124271A (ko) 대전방지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JP3890022B2 (ja) パーフルオロ基含有(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
KR102584186B1 (ko) 내광성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WO2016104770A1 (ja) 積層体及び表示体カバー
JP7265226B2 (ja) フレキシブルハードコート用硬化性組成物
KR102593819B1 (ko) 방현성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WO2022034733A1 (ja) ハードコート用硬化性組成物
WO2022190937A1 (ja) ハードコート用硬化性組成物
JP2016196600A (ja)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ハードコート材及びハードコート膜、並びに積層体
KR20210124349A (ko) 하드코트용 경화성 조성물
KR20230160236A (ko) 2종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TW202411359A (zh) Uv硬化性組成物、硬塗層及附硬塗層之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