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642A - 환자용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환자용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642A
KR20210121642A KR1020200038729A KR20200038729A KR20210121642A KR 20210121642 A KR20210121642 A KR 20210121642A KR 1020200038729 A KR1020200038729 A KR 1020200038729A KR 20200038729 A KR20200038729 A KR 20200038729A KR 20210121642 A KR20210121642 A KR 2021012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hoist
rotating body
patien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883B1 (ko
Inventor
한경환
Original Assignee
한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환 filed Critical 한경환
Priority to KR102020003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8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환자용 호이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환자용 호이스트는, 커버; 상기 커버 내에 위치한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트랩이 풀리거나 감기는 스트랩수용부; 및 상기 스트랩수용부에 연결된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스트랩수용부의 회전력을 받아 함께 회전하는 회전몸체와, 일측이 상기 회전몸체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암(Arm)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의 타측이 상기 회전몸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상기 스트랩수용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상기 탄성력보다 큰 경우 상기 회전몸체에서 이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의 타측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 중인 대상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용 호이스트 {HOIST FOR PATIENT}
본 발명은 이송 중인 대상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Hoist)는, 대상물을 인양하기 위하여 감속장치, 드럼 등을 통합시킨 장치이다. 호이스트는, 대상물을 인양한 상태에서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주행하여 대상물의 위치를 변경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호이스트는 체인, 공기, 전기 등 다양한 구동계로 동작할 수 있다.
환자용 호이스트는, 인양하는 대상물이 사람일 수 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하거나 신체에 장애를 가진 사람을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사회가 고령화 되는 등의 각종 현상과 맞물려, 병원은 물론 일반 가정에도 환자용 호이스트를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환자용 호이스트의 가격은 낮추면서도 안전성과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필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이송 중인 대상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환자용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벽체 등으로 레일을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상자를 이송할 수 있는 환자용 호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버; 상기 커버 내에 위치한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트랩이 풀리거나 감기는 스트랩수용부; 및 상기 스트랩수용부에 연결된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스트랩수용부의 회전력을 받아 함께 회전하는 회전몸체와, 일측이 상기 회전몸체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암(Arm)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의 타측이 상기 회전몸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상기 스트랩수용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상기 탄성력보다 큰 경우 상기 회전몸체에서 이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의 타측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몸체의 직경보다 큰 수용부를 가지는 루프(loop)형태의 고정몸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내부를 향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고정몸체의 회전과 관계없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의 일측과 타측에 상호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고리는,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던 상기 환자용 호이스트가 상기 제1 레일과 연속되지 않은 제2 레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레일에서 연장된 스트랩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호이스트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송 중인 대상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벽체 등으로 레일을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상자를 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호이스트의 외관을 도시한도면이다.
도 2 및 3은, 도 1 환자용 호이스트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 추락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 추락방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 추락방지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호이스트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호이스트의 외관을 도시한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호이스트(1)는, 커버(C)와, 연결고리(60)와, 제어패널(P)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C)는, 환자용 호이스트(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C)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C)는, 복수의 파트로 나누어 성형된 후 하나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2개의 파트로 구성된 후 조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파손 등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파손된 파트만을 교환할 수 있어 경제적일수 있다.
연결고리(60)는, 환자용 호이스트(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고리(60)는, 환자용 호이스트(1)와 레일을 연결하는 스트랩이 결합될 수 있다.
연결고리(60)를 사용하여, 설치비용을 낮추면서도 환자용 호이스트(1)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방과 방 사이의 문 상측에 벽체가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주택을 상정해볼 때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레일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해당 벽체를 제거되어야 한다. 그러나 구조적, 비용적 문제로 인하여 벽체를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고리(60)는, 제1,2 연결고리(62, 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연결고리(62, 64)를 사용함으로써, 벽체로 인하여 연결되지 않은 제1,2 레일 사이에서도 환자용 호이스트(1)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패널(P)은, 환자용 호이스트(1)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패널(P)을 통해, 환자용 호이스트(1)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을 감거나 풀어 대상자를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제어패널(P)을 통해, 환자용 호이스트(1)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패널(P)에 배터리 잔량, 예상 가동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어패널(P)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연장선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연장선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팔을 상방으로 뻗지 않고서도 환자용 호이스트(1)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 및 3은, 도 1 환자용 호이스트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호이스트(1)의 구동부(10)는, 모터(20)와, 기어부(30)와, 회전축(40)과, 스트랩수용부(70)와, 추락방지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는, 환자용 호이스트(1)가 스트랩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동부(10)는, 커버(C)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20)는, 구동부(10)의 구성물들이 결합되도록 강성을 제공하는 고정판(12, 14)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판(12, 14)은, 알루미늄 등 상대적으로 가벼우면서도 구성물들을 지지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12, 14)은, 제1, 2 고정판(12, 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2 고정판(12, 14)은, 복수의 연결핀(16)을 통해 상호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모터(20)는, 제1 고정판(12)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모터(20)는, 제어패널(P)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정회전, 역회전, 정지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모터(20)에서 생성된 회전력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스트랩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할 수 있다.
기어부(30)는, 모터(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가감속하는 기어의 집합일 수 있다. 기어부(30) 및 제1,2 고정판(12, 14)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기어(46, 48)를 통해 모터(20)의 회전속도 및/또는 회전력이 조절될 수 있다.
회전축(40)은, 기어부(30)의 출력단인 동시에 회전기어(46, 48)의 입력단일 수 있다. 즉, 기어부(30)에서 출력된 회전력이 회전축(40)을 통해 회전기어(46, 48)로 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회전축(40)은, 물리적으로 회전축(40)이 분리되어 있는 것은 아닐 수 있으나, 고정판(12, 14)과의 관계에서 제1,2 회전축(42, 4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축(42)은, 기어부(30)와 모터(20)가 위치한 제1 고정판(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축(40)이며, 제2 회전축(44)은, 제1 회전축(42)에서 연장되되 제1,2 고정판(12, 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축(40)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회전축(44)의 끝단은 제1 회전기어(46)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스트랩수용부(70)는, 제1 회전기어(46)에 맞물린 제2 회전기어(4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모터(20)에서 생성된 구동력이 기어부(30)와 제1,2 회전기어(46, 48)를 거치며 회전력이 조절되어 스트랩수용부(7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트랩수용부(70)는, 환자용 호이스트(1)와 메달려 있는 환자 및/또는 환자용 호이스트(1)와 레일을 연결하는 스트랩이 권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용 호이스트(1)의 하방으로 늘어져 환자에게 연결되는 제1 스트랩(도 7의 S1)이 스트랩수용부(7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용 호이스트(1)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레일(R1, R2)에 연결되는 제2 스트랩(도 7의 S2)이 스트랩수용부(7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상부고정판(50)은, 스트랩수용부(70) 상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상부고정판(50)은, 제1,2 고정판(12, 14)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연결핀(16)과 함께 제1,2 고정판(12, 14)이 단단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고정판(50)은, 슬릿(52)과, 고리연결공(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고정판(12, 14)과의 관계에서 상부고정판(5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1,2 고정판(12, 14)의 사이에 상부고정판(50)이 위치하는 것이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2 고정판(12, 14)의 간격이 좁은 경우, 상부고정판(50)은 제1,2 고정판(12, 14)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과 같은 경우, 슬릿(52)이 제1,2 고정판(12, 14)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에서 관측하였을 때, 슬릿(52)이 제1,2 고정판(12, 14) 사이가 아니라 모터(20)와 제1,2 고정판(12, 14)의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측에서 관측하였을 때, 슬릿(52)이 모터(20) 및 제1,2 고정판(12, 14) 다음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슬릿(52)의 위치는, 슬릿(52)을 통과하게되는 스트랩이 다른 구성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슬릿(52)은, 제2 스트랩(도 7의 S2)이 통과되어 상측의 레일(R1, R2)로 연결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슬릿(52)은 제2 스트랩(도 7의 S2)의 폭에 대응되는 만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리연결공(54)은, 상부고정판(5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리연결공(54)은, 연결고리(60)가 결합되는 연결부일 수 있다. 고리연결공(54)은, 연결고리(6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고리(60)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는 경우 고리연결공(54)도 그에 대응되도록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락방지부(100)는, 제2 고정판(14) 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추락방지부(100)는, 제1,2 고정판(12, 14)을 중심으로 모터(20)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구동부(10)는 모터(20), 기어부(30), 추락방지부(100),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구성은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무게가 나가는 모터(20)의 타측에 추락방지부(100) 등을 배치하여 전체적인 무게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추락방지부(100)는, 스트랩수용부(70)에 권취된 스트랩이 의도치 않게 풀려 이송 중이던 대상자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추락방지부(100)는, 스트랩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빠르게 풀리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스트랩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락방지부(100)는 모터(20), 기어부(30), 회전기어(46, 48), 회전축(40) 등 구동부(10) 구성품의 파손 및/또는 이상동작이 발생한 경우 대상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일 수 있다.
추락방지부(100)는, 기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전기적/전자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방전, 급작스러운 전원 차단 등의 상황이 발생해도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도 3 추락방지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 추락방지부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락방지부(100)는, 스트랩수용부(70)의 회전력을 받아 함께 회전하는 회전몸체(110)와, 일측이 회전몸체(110)에 힌지결합된 암(120)과, 암(120)의 타측이 회전몸체(110)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23c, 125c)과, 스트랩수용부(7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스프링(123c, 125c)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 회전몸체(110)에서 이격된 암(120)의 타측이 접촉되는 스토퍼(132, 13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몸체(110)는, 추락방지부(1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회전몸체(110)는, 스트랩수용부(70)의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는 축결합공(11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몸체(110)는, 스트랩수용부(70)와 동일한 방향,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회전몸체(110)는 기구적으로 스트랩수용부(70)와 사실상 일체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스트랩수용부(70)의 회전축은, 축결합공(112)을 관통하여 베어링(140)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몸체(110)는, 추락방지부(100)의 다른 구성품과 간섭되지 않고 추락방지부(100)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암(120)은, 회전몸체(110)에 결합되어 회전몸체(1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암(12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암(122, 124)이 상호 대향 배치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서 한 개 또는 3개 이상의 암(120)이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암(120)은, 일측이 회전몸체(110)에 힌지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결합핀(123a, 125a)이 회전몸체(110)와 제1,2 암(122, 124)의 일측의 제1,2 결합공(123b, 125b)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결합핀(123a, 125a)은, 제1,2 결합공(123b, 125b)에 결합된 이후에는 힌지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2 암(122, 124)이 제1,2 결합핀(123a, 125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프링(123c, 125c)은, 암(1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2 스프링(123c, 125c)은, 제1,2 결합핀(123a, 125a)의 결합위치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제1,2 스프링(123c, 125c)이 제1,2 암(122, 124)에 제공하는 탄성력은, 인장력일 수 있다. 즉, 제1,2 암(122, 124)이 회전몸체(1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암(120)은 회전몸체(110)에 밀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몸체(130)는, 실질적으로 제2 고정판(14)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고정몸체(130)와 볼트(152)에 의하여 고정몸체(130)에 결합되는 커버(150)에 의하여, 회전몸체(110)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몸체(130)는, 회전몸체(11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31)의 직경은 회전몸체(1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판(14)에 고정몸체가 고정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회전몸체(110)는 고정몸체(130)와 간섭됨 없이 회전할 수 있다.
스토퍼(132, 135)는, 고정몸체(130)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스토퍼(132, 135)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스토퍼(132, 135)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고정몸체(130)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2 스토퍼(132, 135)는, 고정몸체(130)의 루프(loop) 상에 상호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토퍼(132, 135)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스토퍼(132, 135)가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회전몸체(110)의 회전 범위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회전몸체(110)가 회전하면, 회전몸체(110)와 함께 회전하는 암(120)에에 원심력이 가해질 수 있다. 회전몸체(110)의 회전이 빨라져 암(120)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스프링(123c, 125c)의 인장력보다 커지면, 제1,2 결합핀(123a, 125a)을 회전축으로 하여 암(120)의 타측이 회전몸체(110)에서 점차 벌어지며 이격될 수 있다. 암(120)의 벌어짐이 일정 정도 이상이 되면, 스토퍼(132, 135)에 암(120)의 타단이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암(122, 124)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이 스토퍼(132, 135) 중 하나에 접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토퍼(132, 135)에 암(120)이 접촉되면, 회전몸체(11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판(14)에 결합된 고정몸체(130)에 회전하던 암(120)이 접촉되면 회전몸체(110)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회전몸체를 일정 속도 이상 회전하게 만든 스트랩의 빠른 풀림이 정지되고, 그에 따라 이송 중이던 환자 등의 추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스트랩의 순간적인 빠른 풀림의 원인을 제거하면,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작게 작용하여 암(120)은 다시 회전몸체(110)에 밀착되어 스트랩을 풀거나 감을 수 있다.
도 6은, 도 3 추락방지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부(100)는, 3개의 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3 암(122, 124, 126)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2,3 스토퍼(122a, 124a, 126a)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암(120)과 스토퍼(122a, 124a, 126a)의 개수가 많으면, 스트랩이 급작스럽게 풀리는 상황에서 보다 빠르게 스트랩의 풀림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암(120) 구조가 동작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더라도 다른 암(120) 구조가 동작하여 스트랩의 풀림을 막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호이스트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호이스트(1)는, 벽체 등의 존재로 인하여 레일(R1, R2)을 연장할 수 없는 경우에도 환자를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레일(R1, R2) 사이에 벽체(P)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기존 건물에 환자용 호이스트(1)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 빈번할 수 있다. 즉, 벽체(P)를 제거하는 경우 건물의 구조적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벽체(P)를 제거하는 비용이 큰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스트랩(S1)에는 대상자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대상자를 태우고 제1 레일(R1)을 따라 이송방향(D)으로 이동하여, 제1 레일(R1)의 끝 지점에 환자용 호이스트(1)가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레일(R2)측에서 연장된 제3 스트랩(S3)을 제1 연결고리(62)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제2 스트랩(S2)은 제1 레일(R1) 측에 연결되고, 제3 스트랩(S3)은 제2 레일(R2) 측에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일(R1) 측에 연결하였던 제2 스트랩(S2)을 제2 레일(R2) 측으로 옮겨 결합할 수 있다. 제2 스트랩(S2)을 제1 레일(R1)에서 결합해제하여도, 제3 스트랩(S3)으로 인하여 환자용 호이스트(1)는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스트랩(S3)을 제거하고 환자용 호이스트(1)를 이송방향(D)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호이스트(1)를 사용하면, 건물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며 적은 비용으로 환자용 호이스트(1)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 환자용 호이스트 10 : 구동부
20 : 모터 30 : 기어부
40 : 회전축 100: 추락방지부

Claims (5)

  1. 커버;
    상기 커버 내에 위치한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트랩이 풀리거나 감기는 스트랩수용부; 및
    상기 스트랩수용부에 연결된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스트랩수용부의 회전력을 받아 함께 회전하는 회전몸체와,
    일측이 상기 회전몸체에 힌지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암(Arm)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의 타측이 상기 회전몸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상기 스트랩수용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상기 탄성력보다 큰 경우 상기 회전몸체에서 이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의 타측에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퍼(Stopper)를 포함하는 환자용 호이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몸체의 직경보다 큰 수용부를 가지는 루프(loop)형태의 고정몸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내부를 향해 상호 이격 배치된 환자용 호이스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고정몸체의 회전과 관계없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에 결합된 환자용 호이스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와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의 일측과 타측에 상호 대향하여 위치하는 환자용 호이스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고리는,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던 상기 환자용 호이스트가 상기 제1 레일과 연속되지 않은 제2 레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레일에서 연장된 스트랩에 결합되는 환자용 호이스트.
KR1020200038729A 2020-03-31 2020-03-31 환자용 호이스트 KR10238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29A KR102383883B1 (ko) 2020-03-31 2020-03-31 환자용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729A KR102383883B1 (ko) 2020-03-31 2020-03-31 환자용 호이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642A true KR20210121642A (ko) 2021-10-08
KR102383883B1 KR102383883B1 (ko) 2022-04-07

Family

ID=7811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729A KR102383883B1 (ko) 2020-03-31 2020-03-31 환자용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88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591A (ja) * 1994-05-13 1995-11-28 Three H:Kk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JPH09579A (ja) * 1995-06-23 1997-01-07 Meidensha Corp 介護用リフタ
JPH114858A (ja) * 1997-06-18 1999-01-12 Zojirushi Chain Block Kk ベルト式巻上機
US6460828B1 (en) * 1999-04-01 2002-10-08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Brake, in particular for a drive of a hoist
US20040217078A1 (en) * 2003-02-18 2004-11-04 Brian Keane Portable raising and lowering device and equipment therefor
KR20080076062A (ko) * 2007-02-14 2008-08-20 (주)진영이엔지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KR20120103288A (ko) * 2011-03-10 2012-09-19 김태유 환자용 침대
JP2018033785A (ja) * 2016-09-01 2018-03-08 サンコー株式会社 天井クレーン下での高所作業における墜落防止方法及び墜落防止設備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9591A (ja) * 1994-05-13 1995-11-28 Three H:Kk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JPH09579A (ja) * 1995-06-23 1997-01-07 Meidensha Corp 介護用リフタ
JPH114858A (ja) * 1997-06-18 1999-01-12 Zojirushi Chain Block Kk ベルト式巻上機
US6460828B1 (en) * 1999-04-01 2002-10-08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Brake, in particular for a drive of a hoist
US20040217078A1 (en) * 2003-02-18 2004-11-04 Brian Keane Portable raising and lowering device and equipment therefor
KR20080076062A (ko) * 2007-02-14 2008-08-20 (주)진영이엔지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KR20120103288A (ko) * 2011-03-10 2012-09-19 김태유 환자용 침대
JP2018033785A (ja) * 2016-09-01 2018-03-08 サンコー株式会社 天井クレーン下での高所作業における墜落防止方法及び墜落防止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883B1 (ko)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6831A (en) Safety device
EP2671557B1 (en) Lift system with lowering mechanism
EP3613700A1 (en) Electric hoisting machine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434787B2 (en) Winch for raising and lowering persons
KR102383883B1 (ko) 환자용 호이스트
US20060231215A1 (en) Roller shutters
JP2018118814A (ja) 懸吊転回装置
US6059008A (en) Braking device for shutter for building
KR20120077122A (ko) 캔버스 도어
US20230235606A1 (en) Emergency bi-fold door closing prevention system
CN202523328U (zh) Led显示屏及其led箱体
WO2009040459A1 (es) Aparato elevador por cable
CN102232137B (zh) 百叶窗的操作装置
JP2009243090A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落下防止装置
JP3052285B2 (ja) 水門や樋門の扉体手動昇降装置
JPH10291780A (ja) 動力伝達機構
JPH11253058A (ja) 温室の開閉装置
JP3485354B2 (ja) 窓の開閉操作装置
JP3595927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における電動開閉機の取付け構造
CN112544484B (zh) 自动收放调教绳
CN210684543U (zh) 一种基于被动防护的车位锁
JPH07180458A (ja) 電動シャッター
CN209411665U (zh) 提升装置及具有其的堆垛机
KR100458825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200327979Y1 (ko) 승강장치의 역회전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