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062A -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062A
KR20080076062A KR1020070015493A KR20070015493A KR20080076062A KR 20080076062 A KR20080076062 A KR 20080076062A KR 1020070015493 A KR1020070015493 A KR 1020070015493A KR 20070015493 A KR20070015493 A KR 20070015493A KR 20080076062 A KR20080076062 A KR 2008007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rope
hoist
braking device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757B1 (ko
Inventor
함길규
Original Assignee
(주)진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진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01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7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2Safety gear for retaining load-engaging elements in the event of rope or cable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의 운반에 사용되는 호이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가이드로드(100)와, 로드셀(200)로 구성되어 와이어로프(300)에 연결된 운반물연결수단(500)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호이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200)의 하단부에 제동장치(10)를 구비하고, 상기 제동장치(10)의 수직축선상에 전원차단레버(30)를 형성하며, 상기 제동장치(10)의 하단부 외주면에 제1물림홈(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호이스트를 사용하는 중에 와이어로프(300)가 절개될 시, 와이어로프(300)를 제동장치(10)가 제동하고, 전원차단레버(30)가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후크(400) 및 운반물의 추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호이스트장치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 크레인, 로드셀, 추락방지, 브레이크, 와이어로프

Description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Prevent folling carriage apparatus of hois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순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동장치 20: 제1물림홈
30: 전원차단장치 40: 제2물림홈
100: 로프가이드로드 200: 로드셀
300: 와이어로프 400: 후크
500: 운반물연결수단 600: 회전체
700: 구동모터 800: 와이어로프드럼
본 발명은 후크에 운반물을 연결하여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2개의 로프가이드로드와 그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셀에 의해 로프를 유동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의 하단부에 로드셀의 회전에 따라 회동이 가능한 제동장치를 구비하여, 와이어로프의 절단 시에, 이탈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제동장치가 회동하여 상기 로드셀에 상기 와이어로프를 밀착시켜 제동함으로써, 후크 및 운반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 장치는 공장이나 작업장에서 물건을 끌어올리거나,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권상용 로프 끝에 매달아 구성되는 운반물연결수단의 후크에 운반물을 연결하고,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로프를 당기게 함으로써, 운반물을 상하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며, 주로 천장에 레일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 로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호이스트에 사용되어 운반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와이어로프는 여러 가닥의 스텐리스 재질의 철사를 꼬아서 만든 강성의 로프를 사용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운반물에 의한 피로하중과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오랜 시간 사용하여 와이어로프의 가는 철사가 한 가닥이라도 절개될 시, 절개된 부분에 계속적으로 마찰과 하중이 집중되어 완전히 절개되어 운반물 이 추락 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호이스트의 운반물이 추락 할 경우,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위험이 있으며, 크린룸과 같이 고가의 장비들로 이루어져 있는 작업장에서는 엄청난 물적 손실을 초래 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2개의 로프가이드로드와 그 사이에 로드셀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호이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호이스트 장치의 로드셀의 하단부에 제동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동장치의 하단 외주면과 상기 로프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 제1,2물림홈을 각각 구성하며, 상기 제동장치의 수직축선상에 전원차단레버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와이어로프가 절단 시, 호이스트 장치에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후크 및 운반물이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권취 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2개의 로프 가이드 로드와, 상기 2개의 로프 가이드 로드의 중간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를 "U" 형태로 굽어지게 안내하는 로드셀을 구비하며, 상기 로프 가이드 로드의 바깥쪽 양측부에서 하단부로 향하는 와이 어로프를 운반물연결수단의 양측부에 형성된 회전체에 권취 하고, 최종적으로는 구동모터의 축 선상에 형성되는 와이어로프드럼에 권취 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로프 드럼의 회전에 의해 후크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호이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의 하단부에 상기 로드셀의 회전과 연계하여 회동 하도록 설치하여, 와이어로프의 절단 시 일방향으로 이탈되는 와이어로프를 밀착하여 제동하는 제동장치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동장치의 하부 외주면은 제동장치의 회동 시, 로프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 맞물려 결착되도록 하는 제1물림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동장치의 수직축선상에서 상기 제동장치의 회전에 연계하여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제동장치의 회전에 따라 'ON' 스위치에서 'OFF'스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전원을 강제 차단함으로써, 와이어로프드럼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전원차단레버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프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는 제동장치의 회전 시, 상기 제동장치의 하부 외주면의 제1물림홈과 물리도록 하는 제2물림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 고, 도 4는 도 3의 제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순서를 나타낸 정면도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호이스트장치 내부에서 와이어로프(300)를 권취 하여 안내하는 2개의 로프가이드로드(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중앙에 와이어로프(300)를 'U' 형태로 안내하는 로드셀(200)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셀(200)은 회전함에 따라서 연계하여 회동하는 제동장치(10)를 하단부에 구비한다.
상기 제동장치(10)는 도 3에서와 같이 로드셀(200)의 하단부에서 와이어로프(300)를 상기 로드셀(200)의 홈부(210)에 밀착시키도록 결착되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300)를 삽입하도록 하는 로프홈(11)이 형성되고, 하단의 외주면은 기어물림이 되도록 하는 제 1 물림홈(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셀(200)의 수직축선상에 전원차단레버(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차단레버(30)는 로드셀(200)의 중앙부에 결착되어 형성되며, 제동장치(10)와 수직축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셀(200)과 제동장치(10)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여 ‘ON’스위치(30a)와 ‘OFF’스위치(30b)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에 의해 하단으로 안내되는 와이어로프(300)는 후크(400)가 결착된 운반물연결수단(500)의 양단에 형성된 회전체(600)에 권취 되어, 상기 운반물연결수단(500)을 매달아 호이스트장치에 결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300)는 구동모터(700)의 축선상에 형성된 와이어로프드럼(800)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드럼(800)을 구동모터(700)를 작동하여 회전시켜 와이어로프(300)를 감거나 풀어서 후크(400)가 형성된 운반물연결수단(5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한 호이스트장치는 와이어로프(300)가 호이스트장치 내부에서 로프가이드로드(100)와 로드셀(20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와 로드셀(200)의 축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유동적으로 고정이 되게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호이스트장치의 정상작동 시에는 도 5a에서 보는바와 같이 로드셀(200)의 하단부에 제동장치(10)가 위치하고, 상기 제동장치(10)의 수직축선상에 전원차단레버(30)가 ‘ON‘스위치(30a)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호이스트장치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와이어로프(300)가 피로하중과 마찰작용에 의해 절단될 경우, 도 5b에서와 같이 절단된 와이어로프(300)의 타측에서 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후크(400) 및 운반물의 하중의 방향으로 급속도로 와이어로프(300)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이탈되는 와이어로프(300)는 로드셀(200)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로드셀(2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제동장치(10)가 회동하여 상기 로드셀(200)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와이어로프(300)와 접촉하여 로드셀(200)의 측면에 상기 와이어로프(300)를 밀착하여 제동시키게 된다.
또한 도 3b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동장치(10)의 하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물림홈(20)이 축회동하면서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물림홈(40)에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도 3c에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프가이드로드(100)에 의해 제동장치(10)를 상부로 밀어 올려 와이어로프(300)를 더욱 크게 꺾이게 하여 로드셀(200)의 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동장치(10)는 로프가이드로드(100)의 회전을 정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와이어로드(300)의 이탈을 완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작용과 동시에, 도 3c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동장치(10)의 수직축선상에 형성된 전원차단장치레버(30)가 옆으로 회동하여 전원을 'OFF'스위치(30b)에 위치시킴으로써, 와이어로프드럼(800)의 구동을 강제 정지시켜 호이스트의 동작을 완전히 멈추게 하여 후크(400) 및 운반물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참고로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와이어로프(300)의 오른쪽이 절개될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와이어로프(300)의 왼쪽 부분이 절개될 경우에는, 운반물연결수단(500)(도1을 참조)에 연결된 와이어로프(300)의 오른쪽에서 하방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로드셀(200)과, 로프가이드로드(100) 및 제동장치(10)가 상술한 방향과 반대로 작동이 가능하며, 이때, 전원차단레버(30)는 양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서, 각각 전원차단이 가능하도록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ON'스위치(30a)의 양측에 'OFF'스위치(30b)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이스트의 작동 시에, 와이어로프가 절단되어 발생되는 후크 및 운반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 인명피해와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기대되는 효과가 아주 우수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4)

  1. 와이어로프(300)를 권취 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2개의 로프가이드 로드(100)와, 상기 2개의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중간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300)를 "U" 형태로 굽어지게 안내하는 로드셀(200)을 구비하며,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의 바깥쪽 양측부에서 하단부로 향하는 와이어로프(300)를 후크(400)의 양측부에 형성된 회전체(600)에 권취 하고, 최종적으로는 구동모터(700)의 축 선상에 형성되는 와이어로프드럼(800)에 권취 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로프드럼(800)의 회전에 의해 후크(400)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호이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200)의 하단부에 상기 로드셀(200)의 회전과 연계하여 회동 하도록 설치하여, 와이어로프(300)의 절단 시 일방향으로 이탈되는 와이어로프(300)를 밀착하여 제동하는 제동장치(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10)는 하부 외주면에 상기 제동장치(10)의 회동 시,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외주면에 맞물려 결착되도록 하는 제1물림홈(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10)의 수직축선상에서 상기 제동장치(10)의 회전에 연계하여 움직이도록 형성하여, 제동장치(10)의 회전에 따라 ‘OFF’스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원을 강제로 차단시켜 와이어로프드럼(8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전원차단레버(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제동장치(10)의 회전 시, 상기 제동장치(10)의 하부 외주면의 제1물림홈(20)과 물리도록 하는 제2물림홈(4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KR1020070015493A 2007-02-14 2007-02-14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KR10085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493A KR100859757B1 (ko) 2007-02-14 2007-02-14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493A KR100859757B1 (ko) 2007-02-14 2007-02-14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062A true KR20080076062A (ko) 2008-08-20
KR100859757B1 KR100859757B1 (ko) 2008-09-24

Family

ID=3987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493A KR100859757B1 (ko) 2007-02-14 2007-02-14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07A (ko) * 2019-02-20 2020-08-28 이익환 싱글 와이어 타입 호이스트의 와이어 파단 시 기계식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후크
KR20210121642A (ko) * 2020-03-31 2021-10-08 한경환 환자용 호이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926B1 (ko) 2019-05-27 2020-11-05 (주)고려호이스트 호이스트의 추락방지 장치
KR102190630B1 (ko) 2020-04-08 2020-12-14 조성범 자동차 허브드럼 호이스트 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672B1 (ko) * 1999-09-09 2003-12-18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 추락 및 과부하방지 회로
KR20030075616A (ko) * 2002-03-20 2003-09-26 주식회사 포스코 기어 회전력을 이용한 호이스트 비상 제동장치
KR100480309B1 (ko) * 2002-12-17 2005-04-07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에어밸런싱 호이스트의 브레이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07A (ko) * 2019-02-20 2020-08-28 이익환 싱글 와이어 타입 호이스트의 와이어 파단 시 기계식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후크
KR20210121642A (ko) * 2020-03-31 2021-10-08 한경환 환자용 호이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757B1 (ko)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9654B2 (ja) 掴線器
KR20080076062A (ko)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JP2011157171A (ja) ロープホイスト
KR101183196B1 (ko) 권상기
KR101783323B1 (ko) 리프트 낙하 방지장치
JP6296973B2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20170052812A (ko) 원격 강제 조속기 작동장치
US20230242377A1 (en) Brake disc releasing device, turning device, elevator rescue kit and method
KR101462646B1 (ko) 소방호스 건조장치
JP6518225B2 (ja) ケーブルグリッパ
KR20160096619A (ko) 이용가능한 견인력이 증가된 승강 시스템
KR200327787Y1 (ko) 권취기구용 정열장치
KR102115587B1 (ko) 투드럼 호이스트
JP2003292290A (ja) ウインチ
JP5512592B2 (ja) ロープ牽引機構
KR101230609B1 (ko) 에어 브레이크가 구비된 용접용 매니퓰레이터
JP3098673B2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JP2008081218A (ja) エレベータ用巻上装置
CN110759165A (zh) 厂区线缆铺设用旋转式放线装置
KR101291582B1 (ko) 상시동작형 엘리베이터용 안전제동장치
CN215755812U (zh) 井道内施工升降机的吊笼及其手动制动装置
JP2007099522A (ja) 起伏式ジブクレーンのワイヤリング方法
JP2006137517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ブレーキ解放装置
CN107686068B (zh) 一种桥式起重机钢丝绳防过放装置
JP2007177489A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用チェーンホイストの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